KR20140098449A - 액정화 원료를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정화 원료를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8449A
KR20140098449A KR1020130011105A KR20130011105A KR20140098449A KR 20140098449 A KR20140098449 A KR 20140098449A KR 1020130011105 A KR1020130011105 A KR 1020130011105A KR 20130011105 A KR20130011105 A KR 20130011105A KR 20140098449 A KR20140098449 A KR 20140098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liquid crystal
cosmetic composition
oil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1462B1 (ko
Inventor
이승환
김왕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30011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462B1/ko
Publication of KR20140098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화 원료를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 구조를 가진 액정화 원료를 함유하여 비극성 물질의 모발 표면 흡착을 촉진함으로써 모발의 윤기를 증대시켜주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정화 원료를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Hair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for making liquid crystal}
본 발명은 액정화 원료를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 구조를 가진 액정화 원료를 함유하여 비극성 물질의 모발 표면 흡착을 촉진함으로써 모발의 윤기를 증대시켜주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모발 제품은 모발에 윤기와 광택을 부여하기 위하여, 모발에 퍼짐성이 우수한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손상된 모발은 전하를 띄는 상태이어서, 실리콘과 같은 비극성 물질은 손상된 모발에 흡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모발에 윤기와 광택을 부여하는데 있어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이루지 못하였다.
한편, 친수성 유용물질의 피부투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피부 각질층을 이루는 인지질 액정 구조를 교란시키고, 이 각질층 사이로 유용물질을 전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피부 각질층과 유사한 구조와 유사한 액정을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액정화 원료를 이용하는 방법은 기존에 각질 제거나 보습의 용도로만 사용되었을 뿐, 모발 상태 개선, 특히 모발 윤기 증진과 관련하여서는 적용되지 않았었다.
국내특허출원 제2010-0114954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손상된 모발의 윤기를 향상시키는데 역육방형 구조의 액정을 이용하고자 하였으며, 상기 액정 구조를 가진 액정화 원료를 함유하여 비극성 물질의 모발 표면 흡착을 촉진시켜 모발의 윤기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화 물질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여 모발의 윤기를 증대시켜주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급 지방족 알코올, 계면활성제 및 오일로 구성된 액정화 원료를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액정화 물질을 이용하여 손상된 모발에 비극성 물질이 모발 표면에 흡착하는 것을 촉진함으로써 모발의 윤기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실시예 1 및 제형예 1의 편광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제형예 1 및 비교 제형예 1의 SAMBA 시스템을 이용한 모발 윤기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제형예 1 및 비교 제형예 1의 SAMBA 시스템을 이용한 모발 윤기 측정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제형예 1 및 비교 제형예 1의 SEM(Scanning Election Microscopy)/EDX(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모발의 Si 흡착 분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고급 지방족 알코올, 계면활성제 및 오일로 구성된 액정화 원료를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손상된 모발은 정상 모발과 달리 전하를 띠고 있으므로, 수분과 같이 극성 물질은 끌어당기는 성질이 있는 반면, 실리콘과 같은 비극성 물질은 잘 붙지 않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액정 물질은 그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소수성 고분자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막이 모발 표면에 흡착하는 것을 촉진시키게 되어 모발의 친유성을 증가시키게 되고, 따라서 실리콘의 흡착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액정에 사용 가능한 고급 지방족 알코올은 세틸 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및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급 지방족 알코올은 액정화 물질 총 중량에 대하여 5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5중량% 이상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급 지방족 알코올은 액정화 물질 총 중량에 대하여 8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75중량% 이하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급 지방족 알코올은 액정화 물질 총 중량에 대하여 55~80중량%, 바람직하게는 65~75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함량이 55중량% 미만이면 액정을 안정화 시킬 수 있는 3차원 다중층 구조(Multi-lamellar structures)를 만들기 어려우며, 80중량% 초과이면 오일 입자(oil droplet)가 커져 액정 구조 안정성이 좋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O/W(oil-in-water) 에멀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써, 상기 언급한 고급 지방족 알코올의 사용으로, 특히 상기 고급 지방족 알코올 중 2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세틸 알코올과 스테아릴알코올의 배합으로 3차원 입자구조를 형성시켜 레올로지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오일의 작은 방울(oil droplet) 주변에 다중층(multilayer)을 형성하여 반데르발스 힘의 작용으로 액정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그 후 많은 연구를 거듭하여 오일의 작은 방울(droplet) 주위에 다중의 라멜라상(multi-liquid crystalline lamellarphase)이 형성되며, 이것은 고급 지방족 알코올의 특정 조성비에 의하여 발생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액정에 사용 가능한 계면활성제는 레시틴(Lecithin), 폴리솔베이트 80(Polysorbate 8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Polyoxyetylene Phytosterol),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소이빈 포스포리피드(Hydrogenated Soybean Phospholip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는 액정화 물질 총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상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는 액정화 물질 총 중량에 대하여 4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는 액정화 물질 총 중량에 대하여 10~40중량%, 바람직하게는 20~30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역육방형 구조가 아닌 라멜라 구조 또는 큐빅 구조가 형성되며, 40중량% 초과이면 역육방형 구조가 역마이셀 구조가 형성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액정에 사용 가능한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틴(Hydrogenated Polyisobutene), 에틸헥실팔미테이트(Ethyhexyl Palmitate), 스쿠알렌(Squalane), 마카다미아(Macadamia Nut Oil), 호호바오일(Jojoba Oil),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Acid Triglycerid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이소세틸 올리베이트(Hydrogenated Isocetyl Olivate) 및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오일은 액정화 물질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오일은 액정화 물질 총 중량에 대하여 2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중량% 이하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오일은 액정화 물질 총 중량에 대하여 1~20중량%, 바람직하게는 1~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8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에멀젼이 불안정하고, 20중량% 초과이면 액정구조의 안전성이 저하되어 적합하지 않다.
상기 고급 지방족 알코올,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혼합하여 70℃로 가열 용해시킨 후 균질화기로 분산시켜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이 혼합물을 기밀 용기에 채우고 냉각기에 사용하여 실온으로 냉각시켜 본 발명에 의한 액정화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형성 복합체는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NIKKOL Nikkomulese LC(제조회사: NIKKO CHEMICALS CO., LTD) 등의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액정화 물질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이는 액정화 물질 함량이 1중량% 미만에서는 유화 안정도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액정을 형성하는 유화 입자 크기가 불균일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에센스, 헤어세럼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컨디셔너, 헤어샴푸 또는 헤어로션 등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액정화 물질의 제조
세테아릴 알코올 70중량%,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25 중량%,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틴 5 중량%를 혼합하여 70℃로 가열 용해시킨 후 균질화기로 분산시켜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이 혼합물을 기밀 용기에 채우고 냉각기를 사용하여 실온으로 냉각시켜 액정화 물질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
하기 표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은 모발에 분무하여 도포하는 미스트 타입 제형으로서, 제형예 1은 액정 구조를 가진 실시예 1을 5% 함유하며, 유화 공정없이 호모게나이져만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성분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1 정제수 TO 100 TO 100
2 실시예 1 5.0 -
3 글리세린 5.0 5.0
4 부틸렌글라이콜 5.0 5.0
5 페녹시에탄올 0.5 0.5
6 PEG/PPG 블록 코폴리머 1.5 1.5
7 염화나트륨 0.3 0.3
8 에탄올 3 3
9 디메치콘 10 10
[시험예 1] 액정 구조 확인
상기 실시예 1 및 제형예 1 조성물의 액정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편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으며, 관찰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보면, 내부 입자의 크기가 매우 규칙적이며 입자들 사이에 액정 구조가 연속적으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손상모발 윤기 측정
상기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을 이용하여 모발의 윤기를 측정하였다.
손상모발 트레스를 준비하고 각각의 조성물 5g을 상기 모발 트레스에 도포한 후 상온에서 방치하여 충분히 건조하였다. 건조된 트레스에서 80±10㎛의 굵기를 가지는 머리카락을 채취하고 준비된 샘플을 아래의 Bossa Nova Tech사의 SAMBA HAIR SYSTEM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하고자 하는 트레스를 로딩한 후 각 트레스를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이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고, 이 때 트래스를 촬영한 사진은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이 포함된 제형예 1로 처리한 모발은 비교제형예 1로 처리한 모발에 비교하여 윤기가 현저하게 상승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정화 원료를 포함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의 윤기를 증가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EM(Scanning Election Microscopy)/EDX(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형예 1 및 비교 제형예 1의 조성물을 도포한 모발의 Si 흡착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의 분석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보면, 실시예 1이 포함된 제형예 1의 모발의 실리콘 흡착량(빨간점)이 실시예 1이 미포함된 비교제형예 1보다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손상모의 실리콘 흡착량 증가를 나타내는 상기 결과를 통해 제형예 1에 포함된 실시예 1이 제형예 1에 포함된 디메치콘의 모발 흡착량 증가에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액정화 물질(실시예 1)이 함유된 제형예 1이 모발의 윤기를 증가시키는 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을 거라고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펌, 염색으로 인한 손상된 모발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서 연속상 내 액정 구조를 도입시킬 경우, 액정 구조가 소수성 고분자 및 음이온 계면활성제 막의 모발 표면 흡착을 촉진함으로써 모발의 윤기를 증대시켜주는 데 효과적이다.

Claims (7)

  1. 고급 지방족 알코올, 계면활성제 및 오일로 구성된 액정화 원료를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지방족 알코올은 세틸 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및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레시틴(Lecithin), 폴리솔베이트 80(Polysorbate 8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Polyoxyetylene Phytosterol),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소이빈 포스포리피드(Hydrogenated Soybean Phospholip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틴(Hydrogenated Polyisobutene), 에틸헥실팔미테이트(Ethyhexyl Palmitate), 스쿠알렌(Squalane), 마카다미아(Macadamia Nut Oil), 호호바오일(Jojoba Oil),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Acid Triglycerid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이소세틸 올리베이트(Hydrogenated Isocetyl Olivate) 및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화 물질은 액정화 물질 총 중량에 대하여 고급 지방족 알코올 55~80중량%, 계면활성제 10~40중량% 및 오일 1~10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화 물질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 윤기 증진용인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011105A 2013-01-31 2013-01-31 액정화 원료를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105A KR102021462B1 (ko) 2013-01-31 2013-01-31 액정화 원료를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105A KR102021462B1 (ko) 2013-01-31 2013-01-31 액정화 원료를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449A true KR20140098449A (ko) 2014-08-08
KR102021462B1 KR102021462B1 (ko) 2019-09-16

Family

ID=51745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105A KR102021462B1 (ko) 2013-01-31 2013-01-31 액정화 원료를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4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32A (ja) * 1996-06-14 1998-01-13 Kose Corp ヘア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JP2007269740A (ja) * 2006-03-31 2007-10-18 Kose Corp ヘア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JP2008231035A (ja) * 2007-03-20 2008-10-02 Kose Corp ヘア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KR20090017336A (ko) * 2007-08-14 2009-02-18 (주)아모레퍼시픽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14954A (ko) 2009-04-17 2010-10-27 (주)실리콘화일 광도파관을 구비하는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32A (ja) * 1996-06-14 1998-01-13 Kose Corp ヘア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JP2007269740A (ja) * 2006-03-31 2007-10-18 Kose Corp ヘア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JP2008231035A (ja) * 2007-03-20 2008-10-02 Kose Corp ヘア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KR20090017336A (ko) * 2007-08-14 2009-02-18 (주)아모레퍼시픽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14954A (ko) 2009-04-17 2010-10-27 (주)실리콘화일 광도파관을 구비하는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462B1 (ko) 201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7462B1 (ko)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623013B1 (ko) 나노에멀션, 그의 용도 및 제조방법
ES2460878T3 (es) Proceso de producción de una preparación de microemulsión de aceite en agua de aplicación externa
TWI632918B (zh) 水中油型乳化皮膚化妝料及其製造方法
EP1055424A2 (de) Zubereitung vom Emulsionstyp W/O mit erhötem Wassergehalt mit einem Gehalt an mittelpolaren Lipiden und Siliconemulgatoren und gegebenenfalls kationischen Polymeren
EP2815737A1 (de) DMS (Derma Membrane Structure) in Schaum-Cremes
KR101989750B1 (ko) 발효 당지질과 오일을 포함하는 구상다중액정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98845B1 (ko) 오일-볼 화장료 조성물
EP3038589B1 (de) Emulgatorfreie, hautkonditionieren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 mit peelingwirkstoffen
KR20180103143A (ko) 리플상 함유 조성물, α겔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외용 조성물 및 α겔 조성물
KR20110116247A (ko)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KR101780772B1 (ko) 다중층 나노겔 에멀젼을 함유한 세라마이드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및 다중층 나노겔 에멀젼의 제조방법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1192935A2 (de) Zubereitungen vom Emulsionstyp W/O mit erhöhtem Wassergehalt
KR102500905B1 (ko)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반투명 제형의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BR112017023693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ou dermatológica na forma de uma nanoemulsão de óleo-em-água, uso cosmético da composição e uso da composição
DE19950089A1 (d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in Form von O/W-Makroemulsionen oder O/W-Mikroemulsionen, mit einem Gehalt an einem oder mehreren Filmbildnern, welche aus der Gruppe der Copolymere des Polyvinylpyrrolidons gewählt werden
CA295031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ing the topical application of a color cosmetic
KR102021462B1 (ko) 액정화 원료를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DE19957761A1 (d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in Form von O/W-Makroemulsionen oder O/W-Mikroemulsionen, mit einem Gehalt an Sheabutter
KR20150062993A (ko) 소르비탄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EP3441060B1 (en) Nano-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in which high content oils are stabilized
KR102175467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8402B1 (ko) 모발 화장료용 친환경 멀티 라멜라 유화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멀티 라멜라 유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EP1189687B1 (de) Fliessfähige zubereitungen vom emulsionstyp w/o mit erhöhtem wassergehalt mit einem gehalt an mittelpolaren lipid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