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1239A -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1239A
KR20070121239A KR1020060056032A KR20060056032A KR20070121239A KR 20070121239 A KR20070121239 A KR 20070121239A KR 1020060056032 A KR1020060056032 A KR 1020060056032A KR 20060056032 A KR20060056032 A KR 20060056032A KR 20070121239 A KR20070121239 A KR 20070121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oisturizing
extract
pumpki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5877B1 (ko
Inventor
이화준
조준철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056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877B1/ko
Publication of KR20070121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유발되는 피부 건성화를 개선시킬 수 있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당류가 풍부한 꿀 추출물 및 각종 비타민이 풍부한 호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분을 동시에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 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에 있어 매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꿀 추출물, 호박 추출물, 폴리올(polyol),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oney Extract and Pumpkin Extract for moisturizing the skin}
도 1은 젊은 무모생쥐의 등에 아세톤을 처치한 후,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 4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결과를 TEWL(수분 증발량)의 변화치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건성 피부를 가진 사람의 피부에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 4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결과를 TEWL(수분 증발량)의 변화치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2를 1회 도포한 후, 24시간 동안 코니오미터로 피부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유발되는 피부 건성화를 개선시킬 수 있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당류가 풍부한 꿀 추출물 및 각종 비타민이 풍부한 호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분을 동시에 함유하는 화 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 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에 있어 매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크게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 조직의 3개 층으로 구분되며, 인체를 외부 환경의 물리적,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한다. 특히 피부는 인체가 갖고 있는 약 65 ~ 70%의 수분, 즉 인체에 필요한 각종 생리 활성 물질을 운반하며 피부가 부드럽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이러한 수분이 체외로 증발되는 것을 조절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표피는 외부로부터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의 순서로 구분되는데,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 사이의 세포간 지질들은 모르타르와 같은 역할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한다(J. Invest. Dermatol. 80(Suppl.), 44-49. 1983). 표피의 각질층은 약 10 ~ 20%의 수분을 함유하며 인체의 최외각에 존재함으로써 체외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물질 과잉 침투를 차단한다. 이들 각질층 표면은 피지선에서 나온 피지와 땀샘에서 나온 땀으로 만들어진 얇은 천연 보호막이 감싸져 있어서 수분의 증발을 예방한다. 부연 설명하자면 물을 머금고 있는 스폰지(각질층)를 물이 통과하지 않는 비닐 랩(천연 보호막)으로 감싸고 있는 형태로 생각하면 된다. 이러한 각질층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에는 수용성 성분인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가 유연성을 나타내도록 작용함은 물론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데, 예를 들면 아미노산과 같은 물질은 수용성일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수분과 결합하여 피부에서 수분이 건조되는 것을 억제한다(J. Invest. Dermatol. 54, 24-31, 1970). 그러나, 환경의 변화 혹은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절, 사회 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부 보습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를 위해 보습제로서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휴멕턴트(humectant)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폐쇄 보습제(Occlusive Moisturizer)를 사용하여 각질층에서의 수분 보유를 증가시키는 방식이 가장 널리 사용되어왔다. 휴멕턴트로는 거의 대부분 폴리올류로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물질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피부에 도포시 폴리올의 고유 점성과 물성으로 인하여 끈적임이 심하거나 눅진한 느낌이 드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폐쇄 보습제로는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 성분이나 필수 지방산 및 지질 복합체 등이 사용되었으나(J. Invest. Dermatol. (5), 731-740, 1994) 유화 제형에서 유화 계면 막의 구조를 교란하여 안정도를 저해하는 난점이 있고 투명한 젤 상의 제품을 제조하는데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라멜라 액정을 함유한 제형들은 피부 각질 구조와 유사한 장점으로 수분 보습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원료들의 특정 조성에서만 가능하여 보편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점들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각질층에서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수분 증발을 감소시키는 조성물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천연에 존재하는 다당류를 다량 함유하고, 수분 담지 및 보유 능력이 뛰어난 꿀 추출물이 피부 각질층에서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수분 증발을 감소시키면서, 생체가 환경의 변화 즉, 온도 변화, 습도 저하, 바람 등에 의하여 각질층 내 수분 부족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유발되는 피부의 투명성 감소, 피부가 거칠어짐, 피부의 윤기 저하 및 잔주름이 두드러지게 보이는 현상들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아울러 각종 비타민류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호박 추출물을 함유하면 그 효과가 상승된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폴리올(polyol)을 추가 적용하면, 그 효과가 더욱 상승된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각질층에서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수분 증발을 감소시킴으로써, 수분 부족으로 인한 피부의 제반 증상들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피부 보습력이 매우 우수하고, 안전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꿀 추출물과 호박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꿀 추출물과 호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폴리올(polyol)을 더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천연에 존재하는 다당류를 다량 함유하고, 수분 담지 및 보유 능력이 뛰어난 꿀 추출물과 각종 비타민류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호박 추출물 및 보습제인 폴리올(polyol)로 구성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성물의 꿀 추출물, 호박 추출물 및 폴리올을 혼합한 혼합물을 24시간 보습제Ⅰ(24hr Moisturizing ComplexⅠ)이라고 명명하고,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만을 혼합한 혼합물을 24시간 보습제Ⅱ(24hr Moisturizing ComplexⅡ)라고 명명한다.
꿀은 꿀벌이 여러 식물의 꽃으로부터 수집한 화밀과 화분을 그들의 식량으로 전환하여 저장한 것으로, 2개의 단당류, 즉 글루코오스(glucose)와 프룩토오스(fructose), 탄수화물, 무기질, 식물성 색소, 효소 및 화분 등을 함유하고 있다. 꿀의 성분 중 80% 이상은 글루코오스(glucose), 프룩토오스(fructose) 등의 단당류이다. 이 성분은 흡습성이 매우 뛰어나 피부에서 수분막을 형성하여 지속적인 보습효과를 가진다. 꿀 추출물은 이러한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강력한 보습효과를 가진다.
호박 추출물은 다양한 비타민류와 미네랄 등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이 성분들은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어 피부 재생 및 피부 보호효과를 제공한다. 호박 추출물에는 특히 비타민 A와 C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비타민 A는 건성 피부의 예방과 부엌일 후 손발이 트는 현상 등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피부에 흡수된 비타민 A는 피부 세포의 분화 및 증식을 촉진시켜서 탄력을 부여해 주며,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해 손상된 피부, 피부 건선(psoriasis), 여드 름(acne)과 같은 피부 질환, 피부 노화 방지(collagen 합성 촉진) 등에 효과가 좋다. 비타민 C는 강력한 항산화 작용과 콜라겐 합성 촉진능이 알려져 있고, 세포 내의 멜라닌 형성에 대한 티로시나제의 작용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포 내 콜라겐 합성의 증가, 항염 작용 등으로 피부 재생, 피부 보호 및 그 탄력효과가 뛰어나다.
폴리올(polyol)은 수분을 흡수하는 효과가 뛰어난 휴멕턴트로서 화장품 제형에 보습제로서 흔히 쓰이는 것이며,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24시간 보습제(24hr Moisturizing Complex)는 피부에 대한 과학적인 기초자료에 근거한 조합으로 꿀 추출물, 호박 추출물 및 폴리올(polyol)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이를 통해 피부 보습 측면에서 그 장기적인 효능을 실질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그 제형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피부 점착 타입 화장료의 제형, 또는 경피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반드시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24시간 보습제(24hr Moisturizing Complex)의 보습 효과 실험
본 발명의 24시간 보습제(24hr Moisturizing Complex)의 보습 효과를 알아보 기 위하여, 꿀 추출물, 호박 추출물 및 글리세린(Glycerin)의 비율을 각각 1 : 1 : 1로 한 24시간 보습제Ⅰ(24hr Moisturizing ComplexⅠ)과 꿀 추출물과 호박 추출물만을 각각 1 : 1로 한 24시간 보습제Ⅱ(24hr Moisturizing ComplexⅡ)를 각각 제조한 후, 이에 대한 보습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러나, 각 성분의 사용 가능한 범위가 이 비율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표 1의 제형들은 에멀젼(O/W) 제형이며,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유상 성분 스테아릭액시드 1.0 1.0 1.0 1.0 1.0 1.0
세테아릴알코올 0.2 0.2 0.2 0.2 0.2 0.2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오일 0.7 0.7 0.7 0.7 0.7 0.7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0.5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C12-16알코올/팔미틱액시드 1.0 1.0 1.0 1.0 1.0 1.0
방부제 0.3 0.3 0.3 0.3 0.3 0.3
폴리데센 4.0 4.0 4.0 4.0 4.0 4.0
메도우폼시드오일 1.0 1.0 1.0 1.0 1.0 1.0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3.0 3.0 3.0 3.0 3.0 3.0
디메치콘 0.5 0.5 0.5 0.5 0.5 0.5
세틸옥타노에이트 2.0 2.0 2.0 2.0 2.0 2.0
데실코코에이트 1.0 1.0 1.0 1.0 1.0 1.0
사이클로메치콘 3.0 3.0 3.0 3.0 3.0 3.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0.1 0.1 0.1 0.1 0.1
수상 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티이에이 0.15 0.15 0.15 0.15 0.15 0.15
방부제 0.2 0.2 0.2 0.2 0.2 0.2
24hr Moisturizing Complex I (꿀 추출물:호박 추출물:글리세린 = 1 : 1 : 1) 5.0 - - - - -
24hr Moisturizing Complex ? (꿀 추출물:호박 추출물 = 1 : 1) - 5.0 - - - -
꿀 추출물 - - 5.0 - - -
호박 추출물 - - - 5.0 - -
글리세린(Glycerin) - - - - 5.0 -
< 실시예, 비교예의 제조방법 >
(1) 유상성분을 가열(70 ~ 75℃)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수상성분을 가열(70 ~ 75℃)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3) 상기 (2)에 상기 (1)을 교반하에 온도(70 ~ 75℃)를 유지한 상태에서 투입하여 에멀젼을 만들고 28 ~ 30℃까지 냉각하였다.
[실험예 1-1] 무모생쥐에서의 24시간 보습제의 보습 효과 실험
출생 후 8 ~ 10주가 경과한 젊은 무모생쥐의 등에 아세톤을 1일 2회씩 5일 동안 주기적으로 도포하여 피부의 장벽기능을 손상시킨 다음, 증발계(Evaporimeter)로 TEWL(수분 증발량)을 측정 - TEWL 측정 방법은 하기에 기술하였다 - 하여 40g/㎡/hr 이상의 경피수분손실을 나타내는 피부를 가진 실험동물만을 대상으로 상기 표 1의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 4를 피부면적 5cm2 당 200㎕의 용량으로 각 군당 5마리씩 1일 1회씩 도포하면서 일정시간마다 TEWL의 평균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동물 실험의 결과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꿀 추출물, 호박 추출물 및 글리세린(Glycerin)을 혼합한 24시간 보습제I(24hr Moisturizing ComplexI)과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혼합한 24시간 보습제Ⅱ(24hr Moisturizing ComplexⅡ)를 함유한 제형을 도포한 경우, 꿀 추출물, 호박 추출물 및 글리세린을 각각 단독으로 함유한 제형에 비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TEWL의 변화값(수분증발량)이 현저히 줄어듦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실시예 1, 2가 비교예 1 ~ 4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보습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 Trans Epidermal Water Loss(TEWL) 측정 방법 >
원리: 피부에서 증발하는 수분의 양을 면적과 시간에 따라 계산하여 증발하는 수분량을 온도와 보습 전자센서로 읽고 수치화하여 피부의 보습력을 측정한다.
1. 환경조건: 온도,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측정자와 피검자외에 최소한의 인원만 남긴다.(가급적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2. TEWL 프로브(probe)를 피검자의 측정부위에 올려놓는다.
3. 프로브(probe)를 측정부위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말고,(피부에 자국이 남지않도록) 가볍게 올려놓고 지면과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한다.
4. 시간이 지날수록 피부의 TEWL수치가 일정해지는 값을 측정한다. (통상 1 ~ 3분 소요)
5. 프로브(probe)의 손잡이는 가급적 멀리 잡아서 측정자의 체온이 전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6. 면적당 시간당 증발하는 수분량(g/m2/h)을 계산한다.
[실험예 1-2] 인체에서의 24시간 보습제의 보습 효과 실험
인체 실험에서는 건조를 호소하거나, 건성 피부라 생각되는 성인 남,녀 300명을 각각 50명씩 6개 군으로 나누어 상기 표 1의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 4의 화장료 조성물을 매일 2회씩 4주간 하박 내측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2주 및 4주를 경과한 시점에서 항온, 항습 조건(24℃,상대습도 40%)하에 TEWL(수분 증발량)을 측정하여 보습력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인체 실험의 결과는 도 1과 마찬가지로 꿀 추출물, 호박 추출물 및 글리세린(Glycerin)을 혼합한 24시간 보습제I(24hr Moisturizing ComplexI)과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혼합한 24시간 보습제Ⅱ(24hr Moisturizing ComplexⅡ)를 함유한 제형을 피부에 도포한 경우, 꿀 추출물, 호박 추출물 및 글리세린을 각각 단독으로 함유한 제형에 비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TEWL 변화값(수분 증발량)이 현저히 줄어듦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 1, 2가 비교예 1 ~ 4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보습 효과가 더 큼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3] 24시간 보습제의 보습 지속력 검정
본 발명의 보습 지속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표 1의 실시예 1과 2를 도포한 후 24시간 동안 코니오미터(Corneometer)로 피부 수분량을 측정 - 코니오미터 측정 방법은 하기에 기술하였다 - 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꿀 추출물, 호박 추출물 및 글리세린(Glycerin)을 혼합한 24시간 보습제I(24hr Moisturizing ComplexI)과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혼합한 24시간 보습제Ⅱ(24hr Moisturizing ComplexⅡ)를 함유한 제형을 피부에 1회 도포한 경우, 그 보습력이 24시간 이상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코니오미터(Corneometer) 측정방법 >
원리: 피부의 표피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정도를 측정,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한다.
1.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에 코니오미터(corneometer)의 프로브(probe)를 올려놓는다.
2. 프로브(probe)를 피부에 누르면 센서를 통하여 피부의 전기 전도도(capacitance)를 수치화하여 화면에 표시된다.
3. 측정 부위를 달리 하여, 측정을 반복한다.
4. 한번 측정 후, 킴와이프 같은 휴지로 센서를 닦은 후, 다시 측정한다.
[실험예 1-4] 주관적 효능 평가
상기 실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 4에 대한 주관적인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피부 건조증 개선효과 설문 조사
도포군 응답자수
매우양호 양호 보통 미흡
실시예 1 24 21 5 0
실시예 2 20 18 10 2
비교예 1 5 10 26 9
비교예 2 4 11 24 11
비교예 3 6 13 25 6
비교예 4 1 5 26 18
상기 표 2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과 2를 도포한 사람은 비교예 1 ~ 4를 도포한 사람보다 상대적으로 보습 효과가 더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수에서도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꿀 추출물(Honey extract), 호박 추출물(Pumpkin extract) 및 폴리올(polyol)을 혼합한 24시간 보습제(24hr Moisturizing Complex)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 효과 및 항산화 효과 등을 나타내며, 특히 보습 효과에 있어서는 각각의 구성 성분을 따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훨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소비자에게 매우 만족스러운 우수한 보습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3)

  1. 꿀 추출물과 호박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폴리올(polyol)을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polyol)은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56032A 2006-06-21 2006-06-21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0795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032A KR100795877B1 (ko) 2006-06-21 2006-06-21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032A KR100795877B1 (ko) 2006-06-21 2006-06-21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239A true KR20070121239A (ko) 2007-12-27
KR100795877B1 KR100795877B1 (ko) 2008-01-21

Family

ID=3913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032A KR100795877B1 (ko) 2006-06-21 2006-06-21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8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8885A1 (en) * 2011-09-02 2013-03-07 Burt's Farm, LLC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Squash or Pumpkin Extract
KR101334274B1 (ko) * 2006-12-26 2013-11-2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호박 추출물 및 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각질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5852A (ko) 2015-02-04 2016-08-12 진원 꿀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7968A (ko) * 2017-02-24 2018-09-03 동구안 쫑찌 지안스 리미티드 꿀을 함유하는 보습 얼굴 마스크
CN115300445A (zh) * 2022-08-29 2022-11-08 凯里学院 一种基于米酸汤为原料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928A (ko) * 2002-02-09 2003-08-19 장관종 미용팩의 조성물
KR100836037B1 (ko) * 2004-08-23 2008-06-09 (주)아모레퍼시픽 꿀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274B1 (ko) * 2006-12-26 2013-11-2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호박 추출물 및 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각질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US20130058885A1 (en) * 2011-09-02 2013-03-07 Burt's Farm, LLC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Squash or Pumpkin Extract
US9198852B2 (en) * 2011-09-02 2015-12-01 Burt's Farm, LLC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squash or pumpkin extract
KR20160095852A (ko) 2015-02-04 2016-08-12 진원 꿀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7968A (ko) * 2017-02-24 2018-09-03 동구안 쫑찌 지안스 리미티드 꿀을 함유하는 보습 얼굴 마스크
CN115300445A (zh) * 2022-08-29 2022-11-08 凯里学院 一种基于米酸汤为原料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877B1 (ko) 2008-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558B1 (ko) 이중으로 안정된 세라마이드 나노 캡슐 포함 에멀젼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CN103237555B (zh) 外用皮肤护理制剂
KR101838642B1 (ko) 피부 보습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N104010662B (zh) 使皮肤回春的组合物和方法
KR101125878B1 (ko)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US20100173027A1 (en) O/w emulsion for hand care
KR101909980B1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0B1 (ko) 진달래꽃, 사과꽃 및 함박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진정 화장용 조성물
KR100904200B1 (ko) 꿀풀잎 추출물 및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91B1 (ko)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5877B1 (ko)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1096277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3271B1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6333886B (zh) 一种具有保湿和美白亮肤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KR101151008B1 (ko) 피탄트리올과 헥사미딘디이세치오네이트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5807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2095A (ko) 흰목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59947B1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3116753B (zh) 一种玫瑰精油面霜及其制备方法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2027B1 (ko) 바오밥 나무 열매 추출물과 콜라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077693B1 (ko) 자일리톨 및 베타-1,3-글루칸을 함유한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0667182B1 (ko) 오소리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개선용 화장료
KR101252553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