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056B1 -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056B1
KR101895056B1 KR1020170173355A KR20170173355A KR101895056B1 KR 101895056 B1 KR101895056 B1 KR 101895056B1 KR 1020170173355 A KR1020170173355 A KR 1020170173355A KR 20170173355 A KR20170173355 A KR 20170173355A KR 101895056 B1 KR101895056 B1 KR 101895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weight
dried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주
Original Assignee
(주)360 퍼스펙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360 퍼스펙티브 filed Critical (주)360 퍼스펙티브
Priority to KR1020170173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루이보스 추출물, 루틴 및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의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and improving skin elasticity}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 루이보스 추출물, 루틴 및 베타글루칸을 함유하여 피부의 보습력을 향상시키고, 탄력을 증진시키는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되며, 인체를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물리적, 화학적인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하는데, 특히 피부는 인체가 갖고 있는 약 65~70%의 수분이 체외로 증발되는 것을 조절해 준다. 그 중에서도 표피는 외부로부터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의 순서로 구분되는데, 표피의 각질층은 약 10~20%의 수분을 함유하고 인체의 최외각에 존재하여 체내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물질 과잉 침투를 차단한다. 이러한 각질층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에는 수용성 성분인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가 유연성을 나타내도록 작용함은 물론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러나 환경의 변화 혹은 생활 방식의 변화, 사회생활에서 발생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오염,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원인으로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피부 보습에 관한 문제는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또한, 피부가 노화됨에 따라 진행되는 탄력 저하 현상은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와 나이의 증가 및 폐경 등의 내인성 요인, 유전적인 요인,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현상으로 섬유아세포의 분열 감소, 콜라겐 합성의 감소, MMP 생성의 증가 등으로 인해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게 된다. 특히, 40대 전후로는 호르몬의 균형이 깨져 세포재생능력, 콜라겐 합성능력, 피부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피부 지질의 생성능력도 크게 저하된다. 소비자들의 젊어 보이고자 하는 욕구와 화장품에 대해 기대가 증가하면서 이와 같은 피부 탄력 저하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신체를 청결히 하고 자신을 아름답고 매력적으로 가꾸며, 자외선이나 건조 등으로부터 피부나 모발을 보호해서 노화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산업사회의 발달과 사회활동의 증가로 자기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자아의식이 높아지면서 화장품을 이용하여 자기 자신의 피부를 가꾸고 건강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제형의 기초 및 색조 화장품이 연구·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피부 건성화를 개선해 주는 피부 보습 효과의 화장품과 피부 탄력 개선 화장품은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가장 중요한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피부 보습과 피부 탄력 저하를 개선하고자 하는 의미에서 다양한 화장품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근래의 외부 환경을 살펴 보면 동물성 원료들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 하락과 광우병 등의 파문으로 동물성 원료에 대한 사용이 급격히 줄어들고 천연 식물 유래의 원료들이 각광받고 있다. 게다가, 소비자들도 한 가지 기능이 아닌 멀티 기능의 화장품, 예를 들면 보습은 기본으로 하고 탄력 강화 효과를 부가적인 기능으로 갖는 화장품들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여 멀티 기능을 가질 수 있는 식물유래의 화장품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KR 10-1708459 B1 KR 10-1708459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루이보스 추출물, 루틴 및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루이보스 추출물, 루틴 및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상기 루이보스 추출물, 루틴 및 베타글루칸을 각각 1~5중량%만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효성분으로서, 토란의 발효추출물 1~3중량%, 무청의 발효추출물 1~3중량%, 무화과나무 잎의 발효추출물 1~3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각의 발효추출물은, 토란, 무청 및 무화과나무 잎 중 1종의 재료를 건조하는 과정과, 상기 건조된 건조물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후, 여과 및 농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의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루이보스 추출물, 루틴 및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토란의 발효추출물, 무청의 발효추출물, 무화과나무 잎의 발효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루이보스는 콩과 식물에 속하는 침엽수로 아프리카어로 '붉은'(rooi)과 '관목'(bos)을 합한 뜻이다. 루이보스 잎은 건조시켜 차로 이용하며 차는 단맛이 나는데 카페인이 없고 타닌 농도도 극히 낮으며 항산화 작용이 있다고 여겨진다. 루이보스의 항산화 성분은 세포의 파괴를 막아 피부 노화를 막아주며, 미네랄을 함유하며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암, 알레르기, 아토피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상기 루이보스의 추출물은, 피부 노화를 막아주고, 피부를 보호해주며, 영양을 부여해주는 효과가 있다. 다만, 이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탄력 개선 및 보습에 있어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므로, 루틴 및 베타글루칸 또는 토란의 발효추출물, 무청의 발효추출물 및 무화과나무 잎의 발효추출물을 함께 사용하여 탄력 개선 및 보습에 우수한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루이보스의 다양한 기관(잎, 꽃, 줄기 및 뿌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루이보스의 잎을 사용한다. 상기 루이보스 잎으로부터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종래 게시된 것이라면 그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데, 예시적으로 루이보스 잎을 건조하고, 이에 5~10중량배의 용매를 가한 후, 20~100℃에서 5~20시간 추출하여, 여과하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를 농축 및 건조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용매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헥산,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페트로레움에테르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는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루틴(Rutin)은 플라보놀 배당체의 하나로, 컨디셔닝 역할을 하여 활력 있는 피부를 만들어준다. 또한, 결합조직인 콜라겐을 만드는 비타민 C의 기능을 보강하여 피부 속 튼튼한 순환 관리에 관여하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루틴은 루이보스 추출물의 작용을 도와 탁월한 탄력 부여 효과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루틴은 메밀로부터 추출된 것을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베타글루칸은 효모의 세포벽, 버섯류, 곡류 등에서 발견되는 규칙적인 구조의 천연 고분자로서, 피부의 유, 수분을 잡아주는 보습기능이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루이보스 추출물의 작용을 도와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낸다.
즉, 상기와 같이 루이보스 추출물, 루틴 및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우수한 탄력개선 및 보습 효과를 갖는다.
이때, 상기 루이보스 추출물, 루틴 및 베타글루칸을,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각각 1~5중량% 만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러한 비율은 탄력 개선 및 보습, 제형의 안정성 등을 모두 고려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토란의 발효추출물 1~3중량%, 무청의 발효추출물 1~3중량% 및 무화과나무 잎의 발효추출물 1~3중량%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발효추출물을 더 포함하면 보습 및 탄력 개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한 비율은 탄력 개선 및 보습, 제형의 안정성 등을 모두 고려한 것이다.
상기 토란(Colocasia antiquorum Schott et Endl. var. esculenta Engl.)의 발효추출물은 보습 및 탄력 증진 효과가 우수한바, 토란의 알뿌리를 이용하여 추출 및 발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무청에는 무기질 및 비타민류가 풍부한바, 이의 발효추출물은 우수한 영양 부여 및 보습의 효과를 부여한다.
상기 무화과나무 잎은 유효한 약리성분을 다량 함유하는바, 그 발효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로서 뛰어난 영양부여 및 보습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토란, 무청 및 무화과나무의 잎의 발효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각 재료란 토란, 무청 및 무화과나무 잎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토란, 무청, 무화과나무 잎을 각각 단독으로 추출 및 발효할 수도 있고, 혼합하여 복합 추출 및 발효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재료를 건조하는 과정과, 상기 건조된 건조물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후, 여과 및 농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먼저, 재료, 즉 토란, 무청 및 무화과나무 잎 중 1종 이상을 건조한다. 이때, 그 건조방법은 제한하지 않으며, 자연건조, 열풍건조 등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는 추출을 위한 준비과정에 불과하므로 그 재료의 건조도(수분함량) 역시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물에 5~10중량배의 용매를 가한 후, 20~100℃에서 5~20시간 추출하여, 여과 및 건조한다. 이때, 상기 용매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헥산,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페트로레움에테르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는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 및 건조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바,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된 추출물과 물을 1:1~5중량비로 혼합한 후, 유산균을 105~108cfu/g의 농도로 접종하여 20~40℃, 습도 60~80%에서 1~4일간 발효시키고, 여과, 농축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건조한다. 여기서, 상기 여과, 농축, 건조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 중 어느 것이라도 무관하다.
이때, 상기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종에 속하는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sakei, Lactobacillus sakei,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curvatus, Lactobacillus sakei, Lactobacillus curvatus, Lactobacillus curvatus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쑥의 발효추출물 1~3중량% 및 두릅의 발효추출물 1~3중량%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쑥과 두릅의 발효추출방법은, 앞선 토란, 무청, 무화과나무의 잎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인바, 쑥과 두릅의 발효추출물을 더 포함하면 우수한 보습, 피부 보호, 영양 부여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상기한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촉진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및 미용 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제형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미용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예 1)
건조된 루이보스 잎 100g에 에탄올 추출용매로서 70% 함수 에탄올 500g을 넣고, 20℃에서 10시간 교반하여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250mesh 여과포와 0.5㎛ 필터페이퍼로 여과한 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루틴, 베타글루칸과 1:1:1 중량비로 배합하였다.
(제조예 2)
토란의 알뿌리를 절단하여 열풍건조하고, 이를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그리고 이 건조분말 100g에 에탄올 추출용매로서 70% 함수 에탄올 500g을 넣고, 20℃에서 10시간 교반하여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250mesh 여과포와 0.5㎛ 필터페이퍼로 여과한 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물에 물을 1:3 중량비로 혼합한 후, 유산균을 106cfu/g의 농도로 접종하여 25℃, 습도 60~80%에서 48시간 발효시킨 후, 250mesh 여과포와 0.5㎛ 필터페이퍼로 여과하고,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종에 속하는 Lactobacillus reuteri를 이용하였다.
무청을 열풍건조하고, 이를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그리고 이 건조분말을 상기 토란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및 발효하였다.
무화과나무의 잎을 열풍건조하고, 이를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그리고 이 건조분말을 상기 토란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및 발효하였다.
그리고 상기 토란의 발효추출물, 무청의 발효추출물 및 무화과나무 잎의 발효추출물을 1:1:1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제조예 3)
쑥을 열풍건조하고, 이를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그리고 이 건조분말을 상기 제조예 2의 토란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및 발효하였다.
두릅을 열풍건조하고, 이를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그리고 이 건조분말을 상기 제조예 2의 토란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및 발효하였다.
그리고 상기 쑥의 발효추출물과 두릅의 발효추출물을 1:1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
하기 표 1과 같은 비율로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은 모두 수중유형(O/W) 제형으로 제조하였는바, 유상 파트를 별도 용기에서 70℃로 가열 용해 시킨 후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분산시키고, 수상 파트를 70℃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유상 파트를 수상 파트에 천천히 첨가하여 70℃에서 유화를 시켰다. 마지막으로 조성물을 기밀 용기에 채우고 냉각기를 사용하여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배합비(중량%)
구분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유상







폴리솔베이트 60 1.0 1.0 1.0 1.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메도우폼시드오일 3.0 3.0 3.0 3.0
사이클로메치콘 2.0 2.0 2.0 2.0
디메치콘 3.0 3.0 3.0 3.0
베헤닐 알코올 1.0 1.0 1.0 1.0
세테아릴 알코올 1.0 1.0 1.0 1.0
세칠에틸헥사노에이트 10.0 10.0 10.0 10.0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 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글리세린 10.0 10.0 10.0 10.0
점증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제조예 1 6 3 3 -
제조예 2 - 3 3 -
제조예 3 - - 2 -
(시험예 1)
피부가 건조한 25세~40세의 남녀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왼쪽 팔 하부 안쪽 2 × 2㎠씩 구획을 나누고 경피 수분 손실량을 각 구획당 3회씩 측정한 후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매일 2회씩 4주간 왼쪽 팔 하부 안쪽에 도포토록 하였다. 각 화장료 조성물을 50㎍의 용량으로 1일 2회씩 1주일간 연속도포 하고, 경피 수분 증발량(Transepidermal Water Loss;TEWL)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실내온도 24±2℃, 상대 습도 40±2℃의 항온 항습실에서 실시하였고 각 조건당 3회씩 측정하여 얻어진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결과 값은 초기 실시예 1, 2와 비교예 1의 화장료를 도포하기 전 경피 수분 손실량을 100% 기준으로 하여 도포 3일 후, 7일 후에 따른 수분 증발량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결과
시료
증발량(%)
도포 전 3일 후 7일 후
실시예 1 100 63 50
실시예 2 100 52 41
실시예 3 100 50 39
비교예 1 100 75 60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경피 수분 증발 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피부가 건조한 25세~40세의 남녀 성인 8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였다. 20명씩 4개의 조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고 도포 전과 도포 2주, 도포 4주 후 코르네오미터(Corneometer CM 820, Courage & Khazaka)를 이용하여 피부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실내온도 24±2℃, 상대 습도 40±2℃의 항온 항습실에서 실시하였고 각 조건당 3회씩 측정하여 얻어진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결과 값은 초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의 화장료를 도포하기 전 피부 전도도를 100% 기준으로 하여 도포 2주 후, 4주 후에 따른 전도도 증가율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포 4주 후 피험자의 설문을 통해 피험자의 설문을 통해 피부 건조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설문은 사용전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개선 정도는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4단계로 답변토록 하였다.
시험예 2 결과(보습력 측정)
시료
증가율(%)
도포 전 2주 후 4주 후
실시예 1 100 113 124
실시예 2 100 116 132
실시예 3 100 118 137
비교예 1 100 103 106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피부 보습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결과(설문)
시료
응답자수
상당한 개선 중등도 개선 약간 개선 개선 없음
실시예 1 8 5 7 0
실시예 2 10 8 2 0
실시예 3 12 7 1 0
비교예 1 0 3 5 12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은 피부 보습 효과에 대한 만족도가 현저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30~40대 여성 8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였다. 20명씩 4개의 조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고, 4주 후 피부탄력을 측정할 수 있는 큐토미터(cutometer; SEM474,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얼굴 부위의 탄력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각 조건당 3회씩 측정하여 얻어진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결과 값은 초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 탄력도를 기준으로 하여 도포 4주 후 그 개선도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 값은 피부탄력측정기의 피부 점탄성(viscoelasticity)의 성질을 의미한다.
시험예 3 결과
시료 피부 탄력 개선도(%)
실시예 1 64
실시예 2 79
실시예 3 85
비교예 1 41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은 피부 탄력 개선도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시험을 위해 불투명 초자용기에 담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12주 동안 보관하고, 또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12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 정도를 측정하였다. 제품의 변색 정도는 다음 6등급 (0 :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4: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들의 조성물들은 모두 변색 및 분리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0등급임을 확인하였다.
(제형예 1): 화장수
상기 실시예 1을 함유한 화장수를 하기 표 6의 함량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9번 물질에 2, 3, 4, 8번 물질을 순서대로 반응용기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 물질을 60℃ 정도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이를 9번 물질에 투입하였다. 마지막으로, 9번 물질에 1, 6, 7번 물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시킨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1의 조성비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1 3.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글리콜 2.0
4 프로필렌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1.0
6 에탄올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페녹시에탄올 0.0001
9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상기 실시예 1을 함유한 영양로션을 하기 표 7의 함량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10, 11, 13, 14번 물질을 혼합 교반하면서 80~85℃ 사이로 가열하였다. 그리고 2, 3, 4, 5, 6, 7, 8, 9, 12번 물질을 혼합 교반하면서 80~85℃ 사이로 가열 용해한 후, 상기 10, 11, 13, 14번의 혼합 교반물에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1번 물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2의 조성비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1 3.0
2 밀납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5 유동 파라핀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8 스테아린산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카르복시폴리머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페녹시에탄올 0.0001
14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상기 실시예 1을 함유한 세럼을 하기 표 8의 함량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2, 3, 5, 8번 물질을 혼합 교반하면서 40~45℃ 사이로 가열하고, 이에 4, 6, 7번 물질을 투입하여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1번 물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세럼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3의 조성비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1 3.0
2 잔탄검 0.02
3 부틸렌글리콜 10.0
4 포스포리피드 10.0
5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1
6 소디움히아루로네이트 5.0
7 페녹시에탄올 0.0001
8 정제수 잔량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루이보스 추출물 1~5중량%, 루틴 1~5중량%, 베타글루칸 1~5중량%, 토란의 발효추출물 1~3중량%, 무청의 발효추출물 1~3중량% 및 무화과나무 잎의 발효추출물 1~3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란의 발효추출물은,
    토란을 건조하는 과정과,
    상기 건조된 토란 건조물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토란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후, 여과 및 농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무청의 발효추출물은,
    무청을 건조하는 과정과,
    상기 건조된 무청 건조물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무청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후, 여과 및 농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며,
    상기 무화과나무 잎의 발효추출물은,
    무화과나무 잎을 건조하는 과정과,
    상기 건조된 무화과나무 잎 건조물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무화과나무 잎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후, 여과 및 농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73355A 2017-12-15 2017-12-15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5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355A KR101895056B1 (ko) 2017-12-15 2017-12-15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355A KR101895056B1 (ko) 2017-12-15 2017-12-15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056B1 true KR101895056B1 (ko) 2018-09-04

Family

ID=63598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355A KR101895056B1 (ko) 2017-12-15 2017-12-15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0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743B1 (ko) 2019-06-18 2020-04-02 원경아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30305B1 (ko) * 2021-01-08 2021-03-18 안연옥 해양심층수와 해양콜라겐을 이용한 피부 마사지용 액상 조성물
KR20210077365A (ko) *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토란 생물전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6694A (ko) * 2008-12-10 2010-06-1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8741A (ko) * 2013-12-31 2015-07-08 (주)에이씨티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1708459B1 (ko) 2010-04-23 2017-02-22 (주)아모레퍼시픽 다시마추출물, 미역추출물 및 차전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6694A (ko) * 2008-12-10 2010-06-1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08459B1 (ko) 2010-04-23 2017-02-22 (주)아모레퍼시픽 다시마추출물, 미역추출물 및 차전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8741A (ko) * 2013-12-31 2015-07-08 (주)에이씨티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743B1 (ko) 2019-06-18 2020-04-02 원경아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77365A (ko) *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토란 생물전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8776B1 (ko) * 2019-12-17 2022-01-10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토란 생물전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0305B1 (ko) * 2021-01-08 2021-03-18 안연옥 해양심층수와 해양콜라겐을 이용한 피부 마사지용 액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971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꽃송이버섯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63946B1 (ko) 인삼꽃 흑효모 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g3 강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5056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36253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5207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카카두플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0251A (ko)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08459B1 (ko) 다시마추출물, 미역추출물 및 차전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3676B1 (ko) 악마의 발톱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5807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53995B1 (ko) 온양온천수를 이용한 행채 및 병풀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4529B1 (ko) 홍해삼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홍해삼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33187A (ko)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54772B1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KR101948657B1 (ko)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0038A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8931A (ko)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67625B1 (ko)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6467B1 (ko) 미강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JP7485336B2 (ja) MSX-2 mRNA発現促進剤、まつ毛の育毛剤、及びまつ毛の育毛用外用剤組成物
KR100890068B1 (ko) 피부 보습용 영양크림 조성물
KR102378103B1 (ko) 노니 및 마카뿌리의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