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187A -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187A
KR20230033187A KR1020210114709A KR20210114709A KR20230033187A KR 20230033187 A KR20230033187 A KR 20230033187A KR 1020210114709 A KR1020210114709 A KR 1020210114709A KR 20210114709 A KR20210114709 A KR 20210114709A KR 20230033187 A KR20230033187 A KR 20230033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regeneration
seaweed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사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사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사화장품
Priority to KR1020210114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3187A/ko
Publication of KR20230033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주성분으로 용매, 기능성제제, 방부제 및 유화 안정제를 포함하되, 용매로서 정제수를 포함하고, 기능성제제로서 포도주 추출물, 사과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개우무 추출물, 김 추출물, 넓미역 추출물, 하이알루로닉애씨드(Hyaluronic Acid),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고, 방부제로서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및 소르빅애씨드(Sorbic Acid)를 포함하고, 유화 안정제로서 프로판다이올(Propanediol), 덱스트린(Dextrin),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Glycereth-25 PCA Isostear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BOOSTING SKIN REGENERATION}
본 발명은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피부 재생에 대한 기능성제제로서 포도주 추출물, 사과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개우무 추출물, 김 추출물, 넓미역 추출물, 하이알루로닉애씨드,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미네랄 오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련된 것이다.
피부는 자외선이나 다양한 오염, 공해물질, 온도 및 습도의 변화 등과 같은 피부에 유해한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해주는 일차 배리어(barrier)로서 기능한다.
피부는 크게 표피, 진피 및 피하 조직의 3개 층으로 구분되며 표피는 다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및 기저층으로 분류되고, 이 중에서도 각질층은 외관상으로 드러나게 되는 최외각층으로서 유해한 외부 환경에 대한 물리화학적 저항력을 나타내며 미용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한편 고운 피부는 수분 보유량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진피의 수분함량은 약 70% 정도이나 표피로 가면서 감소하여 최외층에서는 수분함량이 10~30%이고, 진피에서 공급된 수분은 주로 수동적 확산에 의해 각질층 상부로 확산되어 외부로 소실되기 때문에 미용학적으로 각질층의 수분 보유능은 매끄럽고 고운 피부를 유지함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관련 선행 기술로서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8-0088735호 등에서는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보습성분과,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밀폐 성분을 화장품의 원료로 포함시켜 각질층에서의 수분 함유량을 증가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기반한 화장품은 보습 효과가 일시적이라서 장기간 피부 보습 효과를 유지할 수 없거나, 다양한 제형에 적용이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피부 재생에 대한 기능성제제로서 포도주 추출물, 사과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개우무 추출물, 김 추출물, 넓미역 추출물, 하이알루로닉애씨드,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미네랄 오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주성분으로 용매, 기능성제제, 방부제 및 유화 안정제를 포함하되, 용매로서 정제수를 포함하고, 기능성제제로서 포도주 추출물, 사과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개우무 추출물, 김 추출물, 넓미역 추출물, 하이알루로닉애씨드(Hyaluronic Acid),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고, 방부제로서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및 소르빅애씨드(Sorbic Acid)를 포함하고, 유화 안정제로서 프로판다이올(Propanediol), 덱스트린(Dextrin),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Glycereth-25 PCA Isostear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능성제제 중 상기 포도주 추출물은, 알코올 발효 및 젖산 발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효 과정을 거쳐 제조된 포도주를 감압 농축한 뒤, 덱스트린 및 아라비아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제를 이용하여 수용성 분말로 가공한 추출물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기능성제제 중 상기 사과 추출물 및, 상기 양배추 추출물은, 사과 및 양배추를 78 내지 124℃의 온도에서 1 내지 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기능성제제 중 개우무 추출물, 김 추출물 및, 넓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해조류 기반 추출물은, 개우무, 김 및 넓미역을 42 내지 61℃에서 5 내지 12시간 동안 열풍 건조시킨 후, 10 내지 20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분쇄하고, 분쇄된 개우무, 김 및, 넓미역을 고전단 믹서로 건식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기능성제제 중, 상기 하이알루로닉애씨드는,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하이알루로네이트(Hydroxypropyltrimonium Hyaluronate),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Acetylated Hyaluronate),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Hydrolyzed Hyaluronic Acid), 하이알루로닉애씨드(Hyaluronic Acid),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크로스폴리머(Sodium Hyaluronate Crosspolymer),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Hydrolyzed Sodium Hyaluronate) 및 포타슘하이알루로네이트(Potassium Hyaluron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는, 젤라틴, 잔탄검 및 구아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점증제를 더 포함시켜 점도를 조절하되, 점증제는 상기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0.005 중량 비율로 첨가되는 경우 스킨 제형, 0.05 내지 0.1 중량 비율로 첨가되는 경우 에멀전 제형, 0.1 내지 0.8중량 비율로 첨가되는 경우 크림 제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에멜전 제형의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는, 입경 0.2 내지 3mm를 갖는 씨솔트(Sea salt)를 전체 중량의 0.08 내지 0.15중량 비율로 포함되도록 하여, 각질 제거제로서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용매, 기능성제제, 방부제 및, 유화 안정제를 80.7~84.8:10.5~13.9:1.1~1.5:3.4~4.6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피부 재생에 대한 기능성제제로서 포도주 추출물, 사과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개우무 추출물, 김 추출물, 넓미역 추출물, 하이알루로닉애씨드,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미네랄 오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화장료 조성물에 점증제의 첨가 함량을 달리함으로써,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스킨, 에멀전, 크림 등으로 응용 범위를 확대하여 공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피부 바깥 층의 죽은 세포를 밀어내도록 하는 기능을 발휘하여, 피부결을 개선하면서, 피부에 윤광을 주고, 피부 연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게 가꾸며, 여드름 피부의 진정 및 완화 작용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비를 나타낸 테이블.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도주 추출물의 수득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예들 간의 사용경과에 따른 수분 함유량 비교 결과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실험자들의 사용 전후에 대한 사진.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련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피부 재생에 대한 기능성제제로서 포도주 추출물, 사과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개우무 추출물, 김 추출물, 넓미역 추출물, 하이알루로닉애씨드,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미네랄 오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개진하기로 하며,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 중, 도 1 및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비를 나타내었으며, 도 3에서는 피부 재생에 대한 기능성제제로 포함되는 포도주 추출물에 대한 수득 프로세스를, 도 4에서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실시 예와 비교 예들의 사용 경과에 따른 수분 함유량의 비교 결과를, 도 5에서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실험자들의 사용 전후에 대한 피부 개선 정도를 살피기 위한 사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을 개진하여 보면,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주 성분으로서, 도 1의 10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용매, 기능성 제제, 방부제 및 유화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용매는 용액의 매체로, 전술한 기능성제제, 방부제 및 유화 안정제를 녹이거나 희석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기능성 제제는, 손상된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여 줄 수 있는 유효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물질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부제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 또는 감소시켜 화장료 조성물의 품질을 보존하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술한 유화 안정제는 수용성 물질과 지용성 물질의 혼합을 도모하고, 화장료 조성물의 발림성을 증대하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용매, 기능성제제, 방부제 및 유화 안정제를 80.7 ~ 84.8 : 10.5 ~ 13.9 : 1.1 ~ 1.5 : 3.4 ~ 4.6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용매, 기능성제제, 방부제 및 유화 안정제를 82.3 : 10.5 : 1.1 : 3.4의 중량비율로 구성할 때, 화장품 조성물의 기능성, 저자극성, 발림성이 개선됨이 확인되어 상기의 중량 비율을 이용하도록 한다.
한편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주성분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용매로 정제수를 이용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정제수를 대체하여 혈액 순환, 진통완화, 진정 작용에 효과가 있는 온천수를 이용하거나, 정제수보다 풍부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는 빙하수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기능성 제제로 포도주 추출물, 사과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개우무 추출물, 김 추출물, 넓미역 추출, 하이알루로닉애씨드,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제제로 포함되는 각 물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여 보면, 상술한 포도주 추출물은, 알코올 발효 및 젖산 발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효 과정을 거쳐 제조된 포도주를 감압 농축한 뒤, 덱스트린 및 아라비아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제를 이용하여 수용성 분말로 가공한 추출물이 이용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동시 참조하여 보면, 도 3의 200에서는 포도주 추출물의 수득 프로세스에 대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상술한 포도주 추출물은, 원재료가 되는 포도를 분쇄(찧음)하는 S201단계(바람직하게 수확 후 12시간 이내인 포도를 이용하도록 함), 분쇄된 포도를 발효하는 S202 단계가 수행되게 된다.
이때, S202 단계에서는 18 내지 30도의 온도에서 5 내지 25일간의 발효가 수행되고, S202 단계의 수행 시, 전술한 바와 같이 알코올 발효 및 젖산 발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효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S202 단계로, 알코올 발효(S202a)를 1차 발효로 하고, 젖산 발효(202b)를 2차 발효로 하여, 적어도 두 단계의 발효 과정을 거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알코올 발효(202a)로는 적어도 이스트를 포함하는 효모를 이용하여 포도당분을 알코올 및 탄산 가스로 변환하는 발효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고, 상술한 젖산 발효(202b)로는 포도에 포함된 산 성분인 사과산에 의한 발효 처리가 수행되도록 한다.
다만 상술한 젖산 발효(202b) 수행 시, 포도에 내재된 사과산의 함량이 적을 경우, 구연산을 첨가하여 젖산 발효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젖산 발효는 포도의 사과산 또는, 사과산 및 구연산이 젖산 및 탄산 가스로 변환되어 발효 처리가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알코올 및 젖산을 비롯한 유기산은 세정 효과를 제공하고, 동시에 발효 과정을 거치면서 입자의 크기가 작아져 피부 흡수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발효 후에는 발효된 포도 분쇄물을 압착하는 S203 단계가 수행되게 되는데, 단순 포도주 제조 공정에서는 제1 압착물을 숙성 및 여과하여 포도주로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에서는 포도 분쇄물을 압착하여 액상형으로 수득된 제1 압착물과, 압착 후 고형의 부산물(찌꺼기)을 제2 압착물로 수득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제1 압착물 및 제2 압착물은 5:5 또는 6:4의 비율로 수득될 수 있는데, 이때 본 발명에서 액상형과 고형의 부산물을 동시 이용하도록 하는 것은 액상형의 제1 압착물에는 유기산/무기산이 파괴되지 아니한 상태로 포도의 유용 성분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기능할 수 있고, 비타민 C가 다량 함유 되어 있어 피부 미백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고, 고형의 제2 압착물에는 폴리페놀과, 리놀렌산, 토코페롤 등 피부노화방지를 위한 유용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을 뿐만이 아니라, 잔주름을 완화하고, 거친 촉감을 개선하며 풍부하고 촉촉한 피부로 가꾸도록 하는 성분인 AHA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제1 압착물 및 제2 압착물이 수득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숙성하는 숙성 단계(S204)가 수행된다.
이때, 상술한 숙성 단계(S204)는 발효 과정 중 발생한 탄산 가스 등에 의한 이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진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최소 1주일 이상의 숙성 시간을 둠이 바람직하다.
S204 단계의 수행 후에는 여과 단계(S205) 및 감압 농축 단계(S206)가 수행되게 되는데, 이는 액상형으로 수득된 제1 압착물에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 야할 것이고, 이러한 제1 압착물은 덱스트린 및 아라비아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제를 이용하여 수용성 분말로 분말화하는 S207단계를 거치게 된다.
한편 상술한 S207 단계에서는 고형으로 수득된 제2 압착물에 대한 분말화 역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압착물은 건조된 상태의 것으로, S207에서 10 내지 20마이크로 미터의 크기로 분말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S207 단계의 수행으로, 전술한 용매에 쉽게 용해될 수 있는 형태의 포도주 추출물의 수득이 가능하다.
또한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능성제제 중 상술한 사과 추출물 및 양배추 추출물은 사과 및 양배추를 78 내지 124℃의 온도에서 1 내지 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열수 추출물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사과 추출물 및 양배추 추출물에서는 사과와 양배추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카로티노이드를 비롯한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고, 바람직하게 상술한 항산화 물질의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에탄올을 용매로 하는 열수 추출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열수 추출의 용매로 이용되는 에탄올의 농도는 38 내지 50%인 것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사과 및 양배추의 유효 성분 파괴를 최대한 방지하면서 사과 및 양배추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의 추출 함량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추출할 수 있는 최적 농도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능성제제 중 상술한 개우무 추출물, 김 추출물 및 넓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해조류 기반 추출물은, 전술한 사과 추출물 및 양배추 추출물과 유사하게 열수 추출된 추출물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나, 바람직하게 개우무, 김 및, 넓미역을 42 내지 61℃에서 5 내지 12시간 동안 열풍 건조시킨 후, 10 내지 20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분쇄처리하고, 분쇄된 개우무, 김 및 넓미역을 고전단 믹서로 건식 혼합한 것을 이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열수 추출에 비해 개우무, 김, 넓미역의 유효 성분의 추출 수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개우무는, 우뭇가사리속에 속하며 우리 나라의 제주도, 남, 서해안의 각지에 분포하여 공급이 용이한 재료 중 히나로, 우뭇가사리와 형태가 유사하나 몸은 보통 얇고 편압하며 폭이 넓은 특징이 있으며, 상술한 개우무추출물은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고, 미백에 관여하며 피부를 보호하도록 하는 피부 장벽 강화에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술한 김은, 보라털과에 속하는 해조류로 전라남도 일대, 인천, 경기, 충청도 등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하여 공급이 용이한 재료 중 하나이다.
단백질과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데 관여하고, 피부각질세포에 독성 없이 세포의 생장을 촉진시켜 손상된 피부의 재생에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넓미역은, 갈조식물 다시마목 미역과의 해조류로, 점심대의 깊은 바닷속에 서식하여 있고, 이러한 넓미역에는 알긴산 및 후코이단 성분이 포함되어, 유해물질을 흡착하도록 기능하면서, 피부세포를 활성화하여 손상된 피부의 개선을 돕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넓미역에는 트리메틸싸이클로헥실 아세테이트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도 한데, 이 성분은 탈모 방지 및 양모 효과가 있어 본 발명의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탈모 방지제로서도 응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기능성제제로서, 하이알루로닉애씨드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하이알루로닉애씨드를 어느 1종의 하이알루로닉애씨드를 단일의 것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분자량이 서로 다른 하이알루로닉애씨드를 둘 이상으로 이용하여 피부의 당김, 거칠음, 탄력 부족 현상에 대한 개선 효과를 증대하도록 한다.
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제제로 포함되는 하이알루로닉애씨드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하이알루로네이트(Hydroxypropyltrimonium Hyaluronate),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Acetylated Hyaluronate),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Hydrolyzed Hyaluronic Acid), 하이알루로닉애씨드(Hyaluronic Acid),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크로스폴리머(Sodium Hyaluronate Crosspolymer),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Hydrolyzed Sodium Hyaluronate) 및 포타슘하이알루로네이트(Potassium Hyaluronate) 중 둘 이상으로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닭의 벼슬에서 추출되는 성분으로 수분 항상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생체 폴리머의 일종으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분자량이 1,500,000Da인 고분자 하이알루로닉애씨드로서 보습막을 형성하여 각질층의 수분을 유지하고 수분의 증발을 방지함으로써, 주름 저하 및 피부 윤광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하이알루로닉애씨드의 전체 첨가 중량에 대하여 90 내지 92.5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1.5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하이알루로네이트 및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는 분자량이 1,000,000 내지 1,500,000Da인 중분자 히알루론산으로 각질층과 표피층 사이의 보습을 담당하여, 겉 피부의 당김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때, 상술한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하이알루로네이트는 하이알루로닉애씨드의 전체 첨가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0.03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고, 상술한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는 하이알루로닉애씨드의 전체 첨가 중량에 대하여 0.002 내지 0.004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하이알루로네이트를 0.028중량비율,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를 0.003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는 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0Da인 저분자 하이알루로닉애씨드로 표피층에 수분을 증가시켜 속 피부의 당김 등 속 건조를 해소하는 보습 작용을 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는 하이알루로닉애씨드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2 내지 0.004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3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크로스폴리머는 분자량이 1500000Da 이상인 고분자 히알루론산으로 각질층에 보습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의 수분을 유지하고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도록 기능하여 주름 저하 및 피부 윤광에 관여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크로스폴리머는 8중 히알루론산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1.5 내지 4.3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81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및, 상술한 포타슘하이알루로네이트는 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0Da인 저분자 히알루론산으로 표피층의 수분을 증가시켜 속 건조를 해소하도록 하는 보습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술한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및, 상술한 포타슘하이알루로네이트는 하이알루로닉애씨드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4.3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81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하이알루로닉애씨드의 조성비는 서로 다른 분자량을 갖는 다종의 하이알루로닉애씨드가 포함되도록 하여, 피부의 각질층, 표피층 및 진피층 전반에 보습 효과를 고루 제공함으로써 피부 보습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성비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프로필렌글라이콜은 1,2-프로판다이올로도 통칭되며, 합성 유기알코올로 분류될 수 있다. 프로필렌글라이콜은 미국식품의약국(FDA)에서 안전하다고 인정되는 물질이고, 수분을 끌어당기는 보습제로 작용하여 피부에서 각질이 생기는 플레이킹 현상을 줄이고 탄력을 회복시켜 피부를 생기 있게 바꿔주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술한 미네랄 오일은 투명하고 무색무취한 액체의 성상을 가지며, 화이트 미네랄 오일로 불리기도 한다. 석유로부터 추출되어 고도로 정제되어 수득되며, 특유의 부드러운 발림성과 보호장벽의 형성으로 피부 보습 및 피부 연화에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는 전술하였듯이 방부제가 첨가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및 소르빅애씨드(Sorbic Ac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1,2-헥산다이올은 헥산의 1, 2번 탄소에 두개의 히드록시를 갖는 다이올 형태로 보습력이 우수할 뿐만이 아니라, 자극이 거의 없고 항균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술한 에틸헥실글리세린은 글리세린의 일종으로 강한 항균력을 갖는 반면 피부에 자극이나 독성이 거의 없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술한 소르빅애씨드는, 유기산의 일종으로 곰팡이, 효모, 세균 등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도록 기능한다. 산 성분이기 때문에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 중 0.6 중량%를 초과할 시,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상기 첨가 중량을 엄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 실시 예로서, 상술한 방부제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1.1 내지 1.5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3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술한 방부제는 헥산다이올 0.4 내지 0.6중량%(가장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에틸헥실글리세린 0.3 내지 0.5중량%(가장 바람직하게는 0.4중량%), 소르빅애씨드 0.3 내지 0.5중량%(가장 바람직하게는 0.4중량%)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하였듯이 방부제로서, 세 가지의 방부 기능이 있는 물질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단일의 방부 물질로는 미생물에 대한 활성 범위가 지극히 제한적이어서 화장료 보존 품질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는 전술하였듯이 유화 안정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유화 안정제로서 바람직하게 프로판다이올(Propanediol), 덱스트린(Dextrin),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Glycereth-25 PCA Isostearate)를 포함하도록 하는데, 상술한 프로판다이올은, 기본적으로 저자극성 성분에 해당하고, 수분 보유 능력이 있어 보습력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화장품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거나, 유화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덱스트린은 녹말에서 얻어지는 천연 성분으로, 물에 쉽게 용해되어 화장품 조성물의 각 성분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술한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는 글리세린의 폴리에틸렌글라이콜에터(Polyethylene glycol)와 PCA 및 아이소스테아릭애씨드(Isostearic acid)의 혼합물로, 피부 컨디셔닝제, 유화안정제로서 화장품 조성물들 간의 혼화를 돕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유화 안정제의 각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유화의 형성과 형성된 유화의 안정을 도모함으로써,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성상의 품질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도 2의 110에서는 전술한 용매, 기능성제제, 방부제, 유화안정제의 세부 성분에 대한 첨가량에 대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기재하였다.
즉 본 발명의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중량 대비, 용매로 첨가되는 정제수를 80.7 내지 84.8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고, 기능성제제로 첨가되는 포도주추출물을 2.6 내지 3.1중량비율, 사과 추출물을 1.0 내지 1.4중량비율, 양배추 추출물을 1.4 내지 2.0중량비율, 개우무 추출물을 0.9 내지 1.2중량비율, 김 추출물을 1.7 내지 2.3중량비율, 넓미역 추출물을 0.9 내지 1.2중량비율, 하이알루로닉애씨드를 0.9 내지 1.2중량비율, 프로필렌글라이콜을 0.4 내지 0.6중량비율, 미네랄오일을 0.9 내지 1.2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로 첨가되는 헥산다이올은 0.4 내지 0.6중량비율,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소르빅애씨드는 0.3 내지 0.5중량비율로 첨가될 수 있고, 유화 안정제로 첨가되는 프로판다이올은 1.7 내지 2.3중량비율, 덱스트린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는 0.9 내지 1.2중량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한 실시 예로서, 상술한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정제수 82.3중량비율, 포도주 추출물 3중량비율, 사과추출물 1.2중량비율, 양배추 추출물 1.7중량비율, 개우무 추출물 1중량비율, 김 추출물 2중량비율, 넓미역 추출물 1중량비율, 하이알루로닉애씨드 1중량비율, 프로필렌글라이콜 0.5중량비율, 미네랄오일 1중량비율, 헥산다이올 0.5중량비율, 에틸헥실글리세린 0.4중량비율, 소르빅애씨드 0.5중량비율, 프로판다이올 2중량비율, 덱스트린 1중량비율,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라아레이트 1중량비율을 첨가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조성비율은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화도를 유지하면서, 피부 재생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최적 비율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젤라틴, 잔탄검 및 구아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점증제를 더 포함시켜 점도를 조절함으로써, 제형의 특성을 달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젤라틴은 천연단백질인 콜라겐을 뜨거운 물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유도 단백질로 온도에 따라 점도 형성 능력에 차이가 있다는 성질이 있다. 일반적으로 가루타입 또는 필름 타입이 시판되고 있으며, 물의 온도를 60도 이상 가열하여 고형의 젤라틴을 녹인 뒤 사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잔탄검은 탄수화물을 순수배양 발효하여 얻은 고분자 다당류 검물질을 아이소프로필알코올에 정제, 건조, 분쇄한 것으로서, 포도당, 마노스 및 글루크론산의 나트륨, 칼륨 및 칼슘염 등으로 구성된 혼합물로 이해될 것이며, 물에 잘 녹으며 에탄올에는 녹지 않는 성질이 있다.
또한 상술한 잔탄검은, pH에 의한 점도 저하가 없고 pH 2 내지 13의 범위 내에서 안정적이어서, 약산성의 화장료 조성물 등에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기능하는 천연 점증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아검은, 콩과 구아 종자의 배유를 분쇄하여 수득되거나, 이를 온수나 열수로 추출하여 얻어지며, 갈락토만난으로 구성된 다당류로 냉수나 온수에 쉽게 분산되며, 냉수에서도 수화되고, 피부에 쉽게 흡수되어 화장품 조성물에 이용될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흡수에 유의하게 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 실시 예로서, 상술한 점증제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100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0.005 비유로 첨가되는 경우 스킨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고, 0.05 내지 0.1 중량 비율로 첨가되는 경우 스킨보다 점도가 있는 에멀전 제형, 0.1 내지 0.8중량 비율로 첨가되는 경우, 에멀전보다 더 점도가 있는 크림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어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수요에 맞게 점증제의 첨가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제형의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점증제들은 모두 천연 점증제로, 피부 자극의 위험도를 최소화하면서 화장료 조성물을 원하는 점도의 제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상기 언급한 점증제는 상술한 첨가 범위로 어느 일 종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둘 이상의 것이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에멀전 제형의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입경 0.2 내지 3mm를 갖는 씨솔트를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0.08 내지 0.15 중량으로 포함되도록 하여 각질 제거제로서 이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에멜전의 제형으로 가공된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상기 입경의 천일염 입자를 첨가하여, 천일염 입자가 피부 바깥 층의 죽은 세포를 밀어내도록 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입경을 갖는 천일염 입자들에 의해 피부 광채와 피부 연화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다음으로 도 4의 300을 참조하여 보면 도 4의 300에서는 피부 수분 측정 결과, A.U(Arbitrary Unit)가 35레벨로 유사한 3인의 실험자 측에 수분함유량에 대한 비교 실험을 진행한 결과 데이터를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수분함유량에 대한 비교 실험은 40일 간 진행되었으며, 실험자의 얼굴 중 오른쪽 뺨의 일 영역을 단위 면적으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도 4의 300에 도시된 결과 데이터 중, 실시 예로 표시된 것은 본 발명의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품을 사용하게 한 결과이고, 비교예 1은 시판되는 보습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하게 한 결과이며, 비교예 2는 별도의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대한 결과로 이해될 수 있으며, 10일 이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20일이 경과한 시점부터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수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보였으나, 비교예 1은 수분함유량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다소 감소세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 예2는 수분 함유량이 서서히 감소하여 피부 상태의 악화를 예측하여 볼 수 있었으며, 30일이 경과한 시점부터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비교예 1 및 2의 수분 함유량 격차가 더욱 뚜렷이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도 5에서는 여드름 피부를 가진 실험자로 성별이 다른 실험자 2인을 선정하여, 40일 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결과로 사용 전과 후의 사진을 첨부하였다.
이때 도 5의 A 및 B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 피부 상태로 이해될 수 있고, 도 5의 A' 및 B'은 본 발명의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40일간 사용한 후의 피부 상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의 A, B 및 A'및 B'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의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후, 실험자들의 여드름의 수가 감소되고, 여드름의 붉음성이 감소되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더하여 피부 미백과 윤광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도 4 및 도 5의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건조한 피부에 수분을 부여하고, 여드름 피부의 진정 및 완화를 유도하는 등, 손상된 피부를 개선하는데 유의미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피부 재생에 대한 기능성제제로서 포도주 추출물, 사과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개우무 추출물, 김 추출물, 넓미역 추출물, 하이알루로닉애씨드,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미네랄 오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화장료 조성물에 점증제의 첨가 함량을 달리함으로써,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스킨, 에멀전, 크림 등으로 응용 범위를 확대하여 공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피부 바깥 층의 죽은 세포를 밀어내도록 하는 기능을 발휘하여, 피부결을 개선하면서, 피부에 윤광을 주고, 피부 연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게 가꾸며, 여드름 피부의 진정 및 완화 작용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인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설명을 수행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주성분으로 용매, 기능성제제, 방부제 및 유화 안정제를 포함하되,
    상기 용매로서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제제로서 포도주 추출물, 사과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개우무 추출물, 김 추출물, 넓미역 추출물, 하이알루로닉애씨드(Hyaluronic Acid),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방부제로서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및 소르빅애씨드(Sorbic Acid)를 포함하고,
    상기 유화 안정제로서 프로판다이올(Propanediol), 덱스트린(Dextrin),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Glycereth-25 PCA Isostear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제제 중 상기 포도주 추출물은,
    알코올 발효 및 젖산 발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효 과정을 거쳐 제조된 포도주를 감압 농축한 뒤, 덱스트린 및 아라비아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제를 이용하여 수용성 분말로 가공한 추출물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제제 중 상기 사과 추출물 및, 상기 양배추 추출물은,
    사과 및 양배추를 78 내지 124℃의 온도에서 1 내지 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제제 중 상기 개우무 추출물, 상기 김 추출물 및, 상기 넓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해조류 기반 추출물은,
    개우무, 김 및 넓미역을 42 내지 61℃에서 5 내지 12시간 동안 열풍 건조시킨 후, 10 내지 20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분쇄하고, 분쇄된 개우무, 김 및, 넓미역을 고전단 믹서로 건식 혼합한 것이 이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제제 중, 상기 하이알루로닉애씨드는,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하이알루로네이트(Hydroxypropyltrimonium Hyaluronate),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Acetylated Hyaluronate),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Hydrolyzed Hyaluronic Acid),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크로스폴리머(Sodium Hyaluronate Crosspolymer),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Hydrolyzed Sodium Hyaluronate) 및 포타슘하이알루로네이트(Potassium Hyaluron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분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는,
    젤라틴, 잔탄검 및 구아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점증제를 더 포함시켜 점도를 조절하되,
    상기 점증제는 상기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0.005 중량 비율로 첨가되는 경우 스킨 제형, 0.05 내지 0.1 중량 비율로 첨가되는 경우 에멀전 제형, 0.1 내지 0.8중량 비율로 첨가되는 경우 크림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멜전 제형의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에는,
    입경 0.2 내지 3mm를 갖는 씨솔트(Sea salt)를 전체 중량의 0.08 내지 0.15중량 비율로 포함되도록 하여, 각질 제거제로서 이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용매, 상기 기능성제제, 상기 방부제 및, 상기 유화 안정제를 80.7~84.8:10.5~13.9:1.1~1.5:3.4~4.6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14709A 2021-08-30 2021-08-30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33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709A KR20230033187A (ko) 2021-08-30 2021-08-30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709A KR20230033187A (ko) 2021-08-30 2021-08-30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187A true KR20230033187A (ko) 2023-03-08

Family

ID=8550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709A KR20230033187A (ko) 2021-08-30 2021-08-30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31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272B1 (ko) 2023-07-31 2024-03-14 주식회사 에이원인더스트리 천연 유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272B1 (ko) 2023-07-31 2024-03-14 주식회사 에이원인더스트리 천연 유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53142A (zh) 一种保湿组合物
CN108113914B (zh) 一种不添加香精和防腐剂的精华霜及其制备方法
CN102908304B (zh) 一种富含活性多肽的抗衰祛皱化妆水及其制备方法
KR20180078564A (ko) 피부 진정 및 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CN111450028A (zh) 一种保湿美白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09453059B (zh) 美白化妆品添加剂和美白睡眠面膜及其制备方法
KR20120136141A (ko) 즉각적인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7307A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N108464960A (zh) 一种铁皮石斛美容凝胶
CN107260641B (zh) 一种男士醒肤露及其制备方法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5056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33187A (ko)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973501A (zh) 一种神经酰胺赋活乳及其制备方法
CN110897905A (zh) 人参眼部营养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30094043A (ko) 다시마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053186A (zh) 一种玫瑰长效保湿美白的精华水及其制备方法
KR101724529B1 (ko) 홍해삼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홍해삼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54772B1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5870A (ko) 감태, 톳, 개청각, 우뭇가사리, 제주진득찰 및 랍도시아루베스켄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0038A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831915B (zh) 一种滋润修复眼霜及其制备方法
KR102572172B1 (ko) 점액성이 우수한 스킨케어 에센스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