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467B1 - 미강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강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467B1
KR102256467B1 KR1020190136670A KR20190136670A KR102256467B1 KR 102256467 B1 KR102256467 B1 KR 102256467B1 KR 1020190136670 A KR1020190136670 A KR 1020190136670A KR 20190136670 A KR20190136670 A KR 20190136670A KR 102256467 B1 KR102256467 B1 KR 102256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ran
skin
extract
hot water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414A (ko
Inventor
박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파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파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파젠
Priority to KR102019013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4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강 열수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하비넨시스(Lactobacillus harbinensis) 균주로 발효한 미강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미강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 인체에 무해하며, 독성 및 부작용이 없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전하며, 피부 보습 효과가 뛰어나 피부 보습 목적의 화장료나 또는 피부건조증, 건선 또는 아토피 등과 같은 피부 트러블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미강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PREPARING METHOD FOR FERMENTATION EXTRACTS OF RICE BRAN AND A SKIN MOISTURIZ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미강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기능과 피부 내부로부터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피부는 각질 세포층, 피지막, 천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 등에 의해 스스로 피부 또는 신체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피부의 표피층은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및 기저층으로 구분되고, 표피의 각질층은 약 10~20%의 수분을 함유하며, 인체의 최외각에 존재하여 피지선에서 나온 피지와 땀샘에서 나온 땀과 함께 천연 보호막을 형성한다.
그러나, 사람이 일상생활 중 접하게 되는 자외선, 차고 건조한 바람, 실내 난방, 영양 부족, 수면부족 등의 과도한 물리적 화학적 외부자극과 스트레스 등에 의한 내부자극은 피부가 가지고 있는 본래 기능이 저하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각질층의 생성-탈락 속도가 늦어지게 되면, 각질형성세포의 지질합성 능력이 저하되거나, 표피에서 정상적인 세포의 분열, 성숙 및 분화가 원활하지 않게 됨으로써, 피부장벽기능이 와해되게 된다.
이러한, 피부장벽기능 와해 시 피부는 피부건조증, 아토피 또는 건선 등 다양한 피부 질환에 노출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오늘날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이러한 피부 기능 저하를 본래 상태로 회복시키거나 피부 상태가 정상 상태로 유지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편, 오늘날에는 천연물 등으로부터 얻은 생리 활성 물질을 화장료에 도입하여 피부 자체의 고유 방어 기능을 강화시키고, 피부의 보습력을 증가시켜 피부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정 균주로 발효한 미강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미강 열수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하비넨시스(Lactobacillus harbinensis) 균주로 발효한 미강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미강 발효추출물이 50% 에탄올 추출물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물,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향제, 보존제,중화제, 에몰리언트제, 피부보호제 및 피부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a) 미강을 70 내지 90℃ 온도에서 22 내지 2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미강 열수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미강 열수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하비넨시스(Lactobacillus harbinensis) 균주를 접종하여, 미강 열수추출물을 천연 발효시키는 단계; c) 상기 천연 발효 단계를 통해 얻어진 미강 발효추출물을 여과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얻어진 미강 발효추출물을 에탄올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강 발효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 인체에 무해하며, 독성 및 부작용이 없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전하며, 피부 보습 효과가 뛰어나 피부 보습 목적의 화장료나 또는 피부건조증, 건선 또는 아토피 등과 같은 피부 트러블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강 발효추출물의 각질층 수분함량 개선정도 및 각질층 수분함량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강 발효추출물의 각질하부층 수분함량 개선 정도 및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강 발효추출물의 각질층 수분 분포 정도개선 추이 및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미강 발효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강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은 a) 미강을 70 내지 90℃ 온도에서 22 내지 2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미강 열수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미강 열수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하비넨시스(Lactobacillus harbinensis) 균주를 접종하여, 미강 열수추출물을 천연 발효시키는 단계; c) 상기 천연 발효 단계를 통해 얻어진 미강 발효추출물을 여과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얻어진 미강 발효추출물을 에탄올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미강을 70 내지 90℃ 온도에서 22 내지 2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미강 열수추출물을 수득한다(단계 a).
미강은 쌀을 도정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과피, 종피, 호분층 등의 분쇄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미강은 지방, 단백질, 식이섬유 등의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A, 티아민, 피리독신, 나이신 등의 비타민B군, 칼슘, 아연, 철분 등의 미네랄이 주성분을 이룬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물 1000 중량부에 상기 미강 100 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70 내지 90℃ 온도에서 22 내지 2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미강 열수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80℃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미강 열수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하비넨시스(Lactobacillus harbinensis) 균주를 접종하여, 미강 열수추출물을 천연 발효시킨다(단계 b).
구체적으로 본 단계에서 사용되는 락토바실러스 하비넨시스 균주는 YM 배지 내지 MRS 배지에서 37℃ 온도 조건 하에서, 약 48시간 배양시킨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배양 시 180rpm으로 교반하여 배양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균주는 OD 600 흡광도 값이 4.0 내지 6.0 범위인 것을 사용하되, 미강 열수추출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3 중량부를 접종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범위 내에서 미강 열수추출물의 최적의 천연 발효가 수행될 수 있고, 일례로, 상기 천연 발효 과정은 상기 균주 접종 후 인큐베이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천연 발효 단계를 통해 얻어진 미강 발효추출물을 여과하여 상등액을 수득한다(단계 c).
상기 발효추출물은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포집하되, 구체적으로 포집된 상층액은 5㎛ pore size 여과지로 여과하여,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무균 상태의 상등액만을 수득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여과 과정은 1회 이상 반복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c 단계에서 얻어진 미강 발효추출물을 에탄올로 추출한다(단계 d).
상기 단계에서는 c 단계에서 얻어진 미강 발효추출물을 PB-600 흡착레진을 이용하여 추출하되, 50% 에탄올 추출물로 수득할 수 있다.
일례로, PB-600 흡착레진 300 중량부에 대해 미강 발효추출물 1000중량부를 흘려주되, 500중량부의 50% 에탄올을 흘려주어 얻어진 50%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40 내지 60% 에탄올 추출물, 상세하게는 50% 에탄올 추출물로 수득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특히 활성이 유효한 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충분한 보습력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강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공지된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미강 발효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들을 사용목적 또는 제형의 특징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제형의 제제화에 따른 필요에 맞추어 목적하는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첨가제는 예를 들어 물,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향제, 보존제,중화제, 에몰리언트제, 피부보호제 및 피부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강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 인체에 무해하며, 독성 및 부작용이 없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전하며, 피부 보습 효과가 뛰어나 피부 보습 목적의 화장료나 또는 피부건조증, 건선 또는 아토피 등과 같은 피부 트러블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어떠한 의미로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도정으로 얻어진 미강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300㎛ 의 체를 통과시켜 분말화된 미강을 100 g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준비된 미강을 1000g의 물에 혼합한 다음, 80℃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미강 열수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수득한 열수 추출물에 OD600 흡광도 값이 4.0 내지 6.0인 락토바실러스 하비넨시스(Lactobacillus harbinensis) 균주를 미강 열수추출물 500ml 기준으로 약 5ml 접종하고, 인큐베이터에서 48시간 동안 천연 발효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발효된 미강 발효추출물을 30분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포집하고, 5㎛ pore size의 여과지를 이용하여 3차례 여과하여 찌꺼기와 균이 제거된 무균 상태의 상층액만을 다시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PB-600 흡착레진 300g을 준비한 후, 상기 과정을 통해 얻은 미강 발효추출물 1000ml를 흘려주되, 50% 에탄올 용액을 500ml 흘려주었을 때 나온 50% 에탄올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실험 1: 피부 수분함량 측정
실시예 1에 따른 미강 발효추출물의 50% 에탄올 추출물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 피부에 대한 보습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20대 내지 50대에 걸친 여성들 20명을 대상으로(평균 연령: 44세) 피부 수분함량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 전, 시험 2주 후 및 시험 4주 후에 각질층 수분 함량을 Corne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보습력 개선 정도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도출하였다.
Figure 112019111262366-pat00001
상기 실험에 따라 도출된 피부 각질층 수분 함량 측정 결과는 다음 표 1 및 도 1과 같다.
No. 시험 부위(피부 각질층) -Corneometer Value (A.U.)
시험 전 시험 2 주 후 시험 4 주 후
1 44.7 46.8 46.4
2 44.3 52 46
3 45.8 50.8 47.8
4 47 50.2 56.2
5 42.6 38.8 39.4
6 46.7 44 48.2
7 48.1 52.3 67.8
8 53.9 62.6 70
9 45.6 50.2 54.6
10 33.8 52.6 56.2
11 58.5 60.2 59.8
12 39.6 45.2 46.8
13 42.2 52 56.2
14 34.4 48 55.8
15 33.8 41 44.4
16 47.9 50.2 40.6
17 34 40.6 38.6
18 39.2 45 50.8
19 37.6 58.4 62.4
20 37.6 42.4 45.6
표 1 및 도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시험 2주 후부터 시험 부위에서 시험 전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각질층 수분함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각질층 수분 함량을 나타내는 Corneometer 측정값(A.U.)이 시험 부위에서 시험 전과 비교하여 시험 2주 후에 14.70%, 시험 4주 후에 20.56% 증가하였다.
실험 2: 피부 각질하층부 보습력 개선 효과 평가
실시예 1에 따른 미강 발효추출물의 50% 에탄올 추출물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 피부에 대한 보습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20대 내지 50대에 걸친 여성들 20명을 대상으로(평균 연령: 44세) 피부 각질하층부 수분함량 변화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 전, 시험 2주 후 및 시험 4주 후에 각질하층부 수분 함량을 MoistureMeter Epi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피부 각질하층부 보습력 개선 정도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도출하였다.
Figure 112019111262366-pat00002
상기 실험에 따라 도출된 피부 각질하층부 수분 함량 변화 측정 결과는 다음 표 2 및 도 2와 같다.
No. 시험 부위(피부 각질하층부)-MoistureMeter EpiD(%)
시험 전 시험 2 주 후 시험 4 주 후
1 47.36 44.78 46.76
2 46.08 43.68 42.58
3 46.04 48.06 53.54
4 48.14 43.7 39.66
5 48.48 38.3 41.78
6 41.92 36.86 47.28
7 47.46 48.22 54.64
8 31.24 38.68 41.82
9 47.24 49.02 43.94
10 35.02 43.04 41.94
11 45.94 44.06 46.66
12 43.34 45.38 47.6
13 42.36 43.6 45.58
14 46.92 48.36 46.96
15 37.7 37.78 39.3
16 46.38 45.3 45.06
17 33.1 45.96 43
18 37.76 49.64 38.7
19 45.56 56.4 51
20 35.52 40.38 42.54
표 2 및 도 2의 결과를 참조하면, 시험 2주 후부터 시험 부위에서 시험 전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은 아니지만, 각질하층부 수분 함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각질하층부 수분 함량을 나타내는 MoistureMeter EpiD 측정값(%)이 시험 부위에서 시험 전과 비교하여 시험 2주 후에 4.41%, 시험 4주 후에 5.48% 증가하였다.
실험 3: 피부 수분분포 개선 효과 평가
실시예 1에 따른 미강 발효추출물의 50% 에탄올 추출물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 피부에 대한 보습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20대 내지 50대에 걸친 여성들 20명을 대상으로(평균 연령: 44세) 피부 수분분포 개선 효과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 전, 시험 2주 후 및 시험 4주 후에 각질층 수분 분포를 Moisture MAP MM1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피부 수분분포 개선 정도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도출하였다.
Figure 112019111262366-pat00003
상기 실험에 따라 도출된 피부 각질층 수분 분포 측정 결과는 다음 표 3 및 도 3과 같다.
No 시험 부위(각질층)-Relative permittivity(GrayIndex, A.U.)
시험 전 시험 2 주 후 시험 4 주 후
1 137.06 147.04 162.36
2 68.12 82.28 118.26
3 108.6 127.69 155.06
4 76.1 88.06 151.7
5 89.41 98.24 111.12
6 107.39 113.75 121.34
7 94.69 113.58 122.07
8 105.33 126 138.43
9 108.45 109.54 111.3
10 67.71 68.47 112.6
11 105.42 116.57 126.15
12 93.68 96.94 119.78
13 104.87 117.3 113.76
14 122.38 124.96 131.51
15 71.15 99.3 115.47
16 96.92 93.28 84.05
17 94.12 74.3 120.55
18 116.89 121.68 164.59
19 111.6 118.66 122.81
20 114.51 102.15 117.51
표 3 및 도 3의 결과를 참조하면, 시험 2주 후부터 시험 부위에서 시험 전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피부 각질층 수분 분포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피부 수분 분포도를 나타내는 Moisture MAP 측정값(A.U.)이 시험 부위에서 시험 전과 비교하여 시험 2주 후에 7.29%, 시험 4주 후에 26.37% 증가하였다.
한편, 상술한 실험 1 내지 3의 시험기간 동안 피부에 홍반, 부종, 인설 생성, 가려움, 자통, 작열감, 뻣뻣함, 따끔거림, 기타 이상증 등과 같은 피부 이상반응은 별도로 관찰되지 않았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미강 열수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하비넨시스(Lactobacillus harbinensis) 균주로 발효한 미강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발효 과정에서 균주는 OD 600 흡광도 값이 4.0 내지 6.0 범위인 것을 사용하되, 미강 열수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3 중량부를 접종하여 수행되며,
    상기 미강 발효추출물은 50% 에탄올 추출물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물,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향제, 보존제,중화제, 에몰리언트제, 피부보호제 및 피부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a) 미강을 70 내지 90℃ 온도에서 22 내지 2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미강 열수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미강 열수추출물 100 중량부에 락토바실러스 하비넨시스(Lactobacillus harbinensis) 균주를 OD 600 흡광도 값이 4.0 내지 6.0 범위가 되도록 1 내지 3 중량부를 접종하여, 미강 열수추출물을 천연 발효시키는 단계;
    c) 상기 천연 발효 단계를 통해 얻어진 미강 발효추출물을 여과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얻어진 미강 발효추출물을 에탄올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강 발효추출물 제조방법.
KR1020190136670A 2019-10-30 2019-10-30 미강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256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670A KR102256467B1 (ko) 2019-10-30 2019-10-30 미강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670A KR102256467B1 (ko) 2019-10-30 2019-10-30 미강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414A KR20210051414A (ko) 2021-05-10
KR102256467B1 true KR102256467B1 (ko) 2021-06-01

Family

ID=75917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670A KR102256467B1 (ko) 2019-10-30 2019-10-30 미강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4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344B1 (ko) * 2011-11-01 2012-12-20 차웅호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4868B1 (ko) * 2017-11-20 2019-05-03 박병희 미강 및 오미자 혼합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344B1 (ko) * 2011-11-01 2012-12-20 차웅호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4868B1 (ko) * 2017-11-20 2019-05-03 박병희 미강 및 오미자 혼합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414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04302A (zh) 一种富勒烯外用组合物
CN107334726B (zh) 一种祛痘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435855B1 (ko)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15339A (ko) 여드름 치료용 크림 조성물
KR20080079802A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KR101895056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4498B1 (ko) 유칼립투스 잎과 붉은토끼풀 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20000251A (ko)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6467B1 (ko) 미강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708459B1 (ko) 다시마추출물, 미역추출물 및 차전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8908B1 (ko) 항노화 및 주름개선에 활성을 갖는 대추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 및 향장 원료
JP2008239494A (ja) 皮膚外用剤
KR101953676B1 (ko) 악마의 발톱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5317385A (zh) 粉底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5590772A (zh) 一种具有抗皱修护功效的双层精华油及其制备方法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3324A (ko) 대두, 겨우살이, 모근으로 구성된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보습과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06595B1 (ko)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메셈브리안테뭄속 아이스플랜트와 콜라겐의 혼합 발효물, 발효 용해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007080A (ko) 제주 스코리아를 주성분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CN110974770A (zh) 抗衰老组合物、制剂及制备方法
KR102315076B1 (ko) 각질제거, 피부장벽 개선, 가려움증 완화, 색소침착 및 피부염증 완화의 복합효능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20038A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8086B1 (ko) 대나무 잎 발효 여과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