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076B1 - 각질제거, 피부장벽 개선, 가려움증 완화, 색소침착 및 피부염증 완화의 복합효능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각질제거, 피부장벽 개선, 가려움증 완화, 색소침착 및 피부염증 완화의 복합효능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076B1
KR102315076B1 KR1020210093675A KR20210093675A KR102315076B1 KR 102315076 B1 KR102315076 B1 KR 102315076B1 KR 1020210093675 A KR1020210093675 A KR 1020210093675A KR 20210093675 A KR20210093675 A KR 20210093675A KR 102315076 B1 KR102315076 B1 KR 102315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skin
weight
extra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종
Original Assignee
(주)스킨오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킨오르 filed Critical (주)스킨오르
Priority to KR102021009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질제거, 피부장벽 개선, 가려움증 완화, 색소침착 및 피부염증 완화의 복합효능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시 우수한 각질 제거, 피부 진정 효과, 피부 염증완화, 피지 완화, 피부장벽 개선 및 색소 침착 완화 효과를 동시에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각질제거, 피부장벽 개선, 가려움증 완화, 색소침착 및 피부염증 완화의 복합효능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ON THE SKIN HAVING A COMPLEX EFFECT OF EXFOLIATING DEAD SKIN CELLS, IMPROVING SKIN BARRIER, RELIEVING ITCHING, RELIEVING PIGMENTATION AND SKIN INFLAMMATION}
본 발명은 각질제거, 피부장벽 개선, 가려움증 완화, 색소침착 및 피부염증 완화의 복합효능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표피는 외측으로부터 "각질층(각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구성되며, 기저 층에서 생겨난 표피 세포(케라티노사이트)가 순차적으로 외측으로 이동하여 각질층이 되고, 결국에는 벗겨져 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케라티노사이트가 표피의 가장 안쪽에 있는 기저층에서 증식하고 분화하여 상층으로 밀어 올려지며, 최종적으로 표피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각질층(각층)이 되고, 때가 되어 탈락하게 된다. 이 케라티노사이트의 증식, 이동, 분화, 탈락의 일련의 과정을 턴오버라고 하며, 케라티노사이트가 일정 주기로 새롭게 생성되어 변해감으로써 피부의 항상성이 유지되고 있는데, 나이 듦에 따라 피부의 턴오버(turn-over) 속도가 느려지고, 그 결과, 주름이나 처짐이나 피부 거침이 생긴다고 한다.
한편, 세안제는 눈, 코, 입 등 각종 기관이 집중된 얼굴을 세정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 비누와 폼클렌징 등이 세안제로 판매되고 있으며, 후자는 특히 자극이 적거나 물로 씻어내기 쉬워 요철이 심한 얼굴 부위의 청결을 위하여 흔히 사용된다. 또한, 화장품을 씻어내기 위한 세안제(클렌징이라고 함)로는 안료를 함유한 유지를 유화하거나 연마재(스크럽이라고 함)가 포함된 제품도 있다. 더하여, 세안제에 포함되는 스크럽으로서 주로 쌀겨와 같은 식물의 분말이 이용된다.
가령 장기간 세안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마와 코끝이나 콧방울에는 피지가 누적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은 케라티노사이트의 탈락이 효과적으로 보조되지 못하여 눈이나 입주름에는 잔주름이, 눈 주위에는 칙칙함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세안제의 사용은 미용상의 이점을 향유하기 위한 것에 더불어 피부의 턴오버를 보조하여 피부의 항상성 유지에 기여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비슷한 관점에서, 클렌징을 하면서 색소 침착을 예방하는 성분이나 각질을 녹일 수 있는 효소가 포함된 제품들이 시판 중이다.
이에, 최근에는 피부 적용시 자극, 홍반, 발적 등을 수반하지 않으면서, 피부에 독소를 제거하고, 보습 및 탄력감을 부여할 수 있는 새로운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0899502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미리스틱애시드(Myristic Acid, 미리스틴산), 스테아릭애시드(Stearic acid), 라우릭애시드(Lauric acid), 팔미틱애씨드(Palmitic Acid),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및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베타-글루칸(Beta-Glucan),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알란토인(Allantoin), 베타인(Betaine) 및 세라마이드엔피(NP)를 추가로 더 포함하여 제조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미리스틱애시드(Myristic Acid, 미리스틴산), 스테아릭애시드(Stearic acid), 라우릭애시드(Lauric acid), 팔미틱애씨드(Palmitic Acid),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및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전체 피부 외용제 조성물 1000 중량부 대비, 상기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는 1 내지 15 중량부, 미리스틱애시드(Myristic Acid, 미리스틴산) 1 내지 15 중량부, 스테아릭애시드(Stearic acid) 3 내지 10 중량부, 라우릭애시드(Lauric acid) 5 내지 8 중량부, 팔미틱애씨드(Palmitic Acid) 5 내지 8 중량부,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5 내지 8 중량부 및 천연물 유래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물 유래 추출물은 석류, 무화과, 오디 및 은행으로부터 추출한 과실 추출물, 코코넛야자 오일, 올리브 오일, 라벤더 오일, 마트리카리아꽃 추출물 및 하수오뿌리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천연물 유래 추출물은 석류 추출물 25 중량부 대비, 무화과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부, 오디 추출물 15 내지 20 중량부, 은행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 코코넛야자 오일 10 내지 15 중량부, 올리브 오일 10 내지 13 중량부, 라벤더 오일 8 내지 12 중량부, 마트리카리아꽃 추출물 6 내지 9 중량부 및 하수오뿌리 추출물 6 내지 9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천연물 추출물에 미생물을 처리하여 발효하는 과정을 추가로 거쳐 발효 추출물을 수득한 후, 이를 피부 외용제의 제조 과정에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베타-글루칸(Beta-Glucan),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알란토인(Allantoin), 베타인(Betaine) 및 세라마이드엔피(NP)를 추가로 더 포함하여 제조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천연물 유래 추출물 25 중량부 대비, 베타-글루칸(Beta-Glucan) 1 내지 5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1 내지 5 중량부, 알란토인(Allantoin) 1 내지 5 중량부, 베타인(Betaine) 2 내지 5 중량부 및 세라마이드엔피(NP)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는 진정, 불안 감소, 항구토, 항우울, 진정 등의 심리적 효과와 진정, 불안 감소, 항구토, 항우울, 진정의 생리적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트리카리아(Matricaria chamomilla)”는 달리 저먼캐모마일로도 알려져 있으며,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이다. 마트리카리아 식물의 꽃, 줄기 및 잎 추출물에는 플라본 유도체와 쿠마린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 진정 효과가 있으며 피부 탄력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수오(Pleuropterus multiflorus)”는 중국이 원산지인 약초로 재배하는 여러해살이 덩굴식물이다. 하수오의 효능은 종기, 불면증 등 간과 신장을 보하고 머리를 검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 원료를 특정 조건 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전이된 용매를 지칭하는 것으로, 천연물로부터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분리해낸 물질이라면, 추출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한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특히 에센셜 오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열거된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 상기 추출물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물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물의 조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물 자체 및 추출물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추출물은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냉침 추출,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압출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추출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물, 저급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추출한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는 미생물이 효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미생물에 의해 발효과정을 거친 원료는 발효 전보다 최소 2배에서 최대 수십배의 효과가 증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효를 거친 대사물질은 피부에 유익한 다량의 아미노산, 유기산,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므로 피부대사를 촉진시키고 피부 결을 탄력 있고 매끄럽게 가꿔준다. 또한,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입자가 작아지고 중금속 등의 독성이 분해되어 흡수율이 증가하고 피부트러블이나 알레르기 부작용이 완화될 수 있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을 용매, 구체적으로는 정제수에 일정 농도로 희석한 후 발효용 미생물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열거된 각종 천연물의 혼합 발효 추출물은 발효 과정에서 생리활성물질이 저분자화 되거나 신규 생성된 발효산물의 상호작용에 의해 본 발명 조성물의 효과인 피부 염증 완화, 피부장벽 개선, 각질 제거 및 피지 완화 효과가 증대될 수 있으며 체내 안전성뿐만 아니라 피부 침투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효 단계는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150 내지 175 중량부 및 정제수 125 내지 15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에 발효 균주 50 내지 60 중량부를 접종하고 35 내지 40℃에서 5 내지 8시간 동안 숙성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발효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Bifidobacterium animali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으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프로바이오틱스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가장 구체적으로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을 각 균주의 중량비가 1:3:2:2: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기재된 범위보다 적은 경우 목적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기재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자극이 너무 강해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의 첨가 및 혼합비율은 수년간의 연구 결과를 통해 확립한 것으로서, 상기한 비율을 지키지 않는 경우 특정 균주의 생장이 두드러져 다른 균주의 증식을 억제하게 되어 목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 제거, 피부 진정 효과, 피부 염증완화, 피지 완화, 피부장벽 개선 및 색소 침착 완화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 각각을 구체적인 실험예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스킨, 토너,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미스트,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형화에 있어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등의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의 경우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 만을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화장료 조성물로의 활용도가 높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발효 공정에 의한 다량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므로 피부 개선 효과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이를 활용하여 샴푸, 스킨, 토너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의 피부 외용제로서 활용하는 데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에 적용시 우수한 각질 제거, 피부 진정 효과, 피부 염증완화, 피지 완화, 피부장벽 개선 및 색소 침착 완화 효과를 동시에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석류, 무화과, 오디, 은행, 마트리카리아 꽃잎 및 하수오 뿌리를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여 준비하고, 상업용 오일 추출기 탱크에 원료를 각각 투입하고 추출기를 3 내지 4시간동안 가동하여 오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료 각각에 대하여 정제수와의 비율이 1:2 정도가 되도록 증류탱크에 넣은 후 증류탱크의 추출 온도를 90℃로 유지하면서 2 내지 3시간동안 증류시켰다. 이때 냉각기 내부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는 13℃정도로 유지하며, 냉각기를 통과한 응축물을 분리탱크에 수집하였다.
상기 수집된 응축물은 기름과 물이 혼재되어 있으며, 분류 탱크에서 오일과 하이드로졸이 분리되면 약 3회에 걸쳐 하이드로졸을 받고, 최종 오일을 함유한 하이드로졸 잔류물을 받아서 분리기를 통해 하이드로졸과 오일을 분리하였다.
상기한 과정에서 수득한 석류 추출물 25 중량부 대비, 무화과 추출물 20 중량부, 오디 추출물 18 중량부, 은행 추출물 12 중량부, 마트리카리아꽃 추출물 7 중량부 및 하수오뿌리 추출물 6 중량부에 더하여, 코코넛야자 오일 13 중량부, 올리브 오일 11 중량부 및 라벤더 오일 9 중량부를 추가하여 본 발명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천연물 유래 발효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의 효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발효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하는 과정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1의 혼합 추출물 150 내지 175 중량부 및 정제수 125 내지 15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에 발효 균주 50 내지 60 중량부를 접종하고 35 내지 40℃에서 5 내지 8시간 동안 숙성하였다.
이때, 상기 발효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을 각 균주의 중량비가 1:3:2:2: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에 더하여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미리스틱애시드(Myristic Acid, 미리스틴산), 스테아릭애시드(Stearic acid), 라우릭애시드(Lauric acid), 팔미틱애씨드(Palmitic Acid),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베타-글루칸(Beta-Glucan),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알란토인(Allantoin), 베타인(Betaine) 및 세라마이드엔피(NP)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전체 피부 외용제 조성물 1000 중량부 대비, 상기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는 10 중량부, 미리스틱애시드(Myristic Acid, 미리스틴산) 10 중량부, 스테아릭애시드(Stearic acid) 7 중량부, 라우릭애시드(Lauric acid) 5 중량부, 팔미틱애씨드(Palmitic Acid) 6 중량부,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5 중량부, 천연물 유래 추출물 25 중량부, 베타-글루칸(Beta-Glucan) 3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5 중량부, 알란토인(Allantoin) 3 중량부, 베타인(Betaine) 3 중량부 및 세라마이드엔피(NP) 1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천연물 유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제조예 1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 대신 제조예 2의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점만 다르게 하여 실시예 2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2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포함되는 천연물 유래 추출물에 코코넛야자 오일, 올리브 오일, 라벤더 오일, 마트리카리아꽃 추출물 및 하수오뿌리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고 제조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2의 제조방법대로 제조한 것을 각각 비교예 1, 2로 설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서 베타-글루칸(Beta-Glucan),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알란토인(Allantoin), 베타인(Betaine) 및 세라마이드엔피(NP)를 제외하고 이에 해당하는 비율만큼을 정제수로 대체하여 제조한 것을 비교예 3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예 1. 각질 제거 및 블랙헤드 개선효과 임상시험
인체를 대상으로 본 발명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각질 제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예는 1주간 20~50대의 남녀 24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코를 포함한 얼굴에 매일 1회씩 사용하고, 각질 제거 및 블랙헤드 개선 정도를 측정하여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상기 남녀 24명을 4명씩 6개 그룹으로 나누어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각 그룹별로 2일 간격으로 1주간 세안시 사용하였고, 대조군 4명은 시중에 판매중인 기능성 클렌징폼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1주 경과 후, 실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각질 제거효과, 블랙헤드 개선, 피부 컨디션 및 종합 선호도를 평가하였다.
각질 제거효과 항목은 각질이 잘 제거되는지 여부를, 블랙헤드 개선 항목은 지속적인 세안시에 제품 사용 전후의 블랙헤드 제거효과 및 재발 정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것이고, 피부 컨디션은 각질 제거 및 블랙헤드 제거 효과에 의한 피부 발적, 자극, 보습도의 하락 등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종합적인 컨디션을 평가한 것이다.
평가는 5점 평점법으로서, 만족도가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주도록 하였으며, 예를 들어, 블랙헤드 개선 항목이 5점이면 블랙헤드가 현저히 개선되어 거의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구분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각질 제거효과 3.5 4.5 4.6 4.1 4.2 4.0
블랙헤드 개선 3.1 4.2 4.4 4.0 4.2 3.5
피부 컨디션 3.8 4.8 4.9 4.1 4.5 3.9
종합 선호도 3.7 4.5 4.7 4.1 4.3 3.7
상기 표 1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의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대조군 및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하여 모든 항목에서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기능성 클렌징폼을 매일 사용한 대조군에서는 피부 컨디션에 특히 낮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또한, 베타글루칸, 세라마이드 등을 제외한 비교예 3의 경우 특히나 전반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즉, 상기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우수한 각질 제거 및 블랙헤드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피부 보습 효과 확인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꾸준히 세안에 사용하는 경우, 피부 보습 능력의 향상이 일어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건조를 호소하거나, 건성 피부라고 생각되는 20~50대 성인 남, 녀 24명에게 상기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1주일간 꾸준히 사용한 후의 세안 직후 10분 및 30분 경과시점의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세부적인 실험군의 구성은 실험예 1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피부 외용제를 이용하여 세안을 실시한 후에 별도의 로션 등을 바르지 않고 항온,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 피험자의 얼굴을 자연 건조하고 10분 및 30분 경과시점에 코니오미터(cor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코니오미터는 피부의 표피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에 코니어미터 프로브를 올려놓고, 프로브를 피부에 누르면 센서를 통하여 피부의 전기 전도도(capacitance)가 수치화되어 화면에 표시되며, 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제품사용 전 1주일 사용 후
10분 후 수분량 30분 후 수분량 10분 후 수분량 30분 후 수분량
실시예 1 33.2 30.5 41.7 39.4
실시예 2 33.1 30.4 41.6 40.3
비교예 1 33.0 30.5 39.0 36.5
비교예 2 33.1 30.4 39.8 38.2
비교예 3 33.3 30.6 35.1 32.0
대조군 33.1 30.3 33.0 30.4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3의 경우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가 미비하였으나, 실시예 1, 2는 모두 비교예 대비 현저히 우수한 보습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천연물의 종류를 달리한 비교예 1 및 2의 경우에도 실시예 대비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피부 진정 효과 확인
자극에 민감하거나, 민감성 피부라 생각되는 성인 남, 녀 30명(나이 28±3)을 선발하여, 항온, 항습 조건(24~ 26℃, 상대 습도 40 ~ 50%)에서 1시간을 대기시킨 후, 여름철 얼굴의 온도 상승시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운동(25분간 줄넘기)을 통해 얼굴에 열을 발생시켰다. 이후,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30초간 세안한 후에 5분간 방치하고, 시간에 따른 피부 온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간 온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운동 후(-5분) 33.8 33.5 33.5 33.6
세안직후(0분) 28.6 28.8 28.7 29.0
5분 29.9 29.1 32.6 32.2
10분 30.2 29.9 32.8 32.4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 온도 변화에 있어서 세안 직후에는 실시예 및 비교예 모두 피부 온도가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시 피부의 온도가 상승하였다. 이때, 실시예 1, 2는 피부 온도 상승의 정도가 미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피부 진정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상대적으로 비교예 1 및 2의 경우에는 피부 온도가 약간 감소하였을 뿐 크게 감소하지 못하였고, 시간이 흐른 후에도 실시예에 비해 여전히 높은 온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경우 낮은 피부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피부 진정 효과가 실질적으로 일어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0 중량부 대비,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는 1 내지 15 중량부, 미리스틱애시드(Myristic Acid, 미리스틴산) 1 내지 15 중량부, 스테아릭애시드(Stearic acid) 3 내지 10 중량부, 라우릭애시드(Lauric acid) 5 내지 8 중량부, 팔미틱애씨드(Palmitic Acid) 5 내지 8 중량부,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5 내지 8 중량부, 베타-글루칸(Beta-Glucan) 1 내지 5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1 내지 5 중량부, 알란토인(Allantoin) 1 내지 5 중량부, 베타인(Betaine) 2 내지 5 중량부 및 세라마이드엔피(NP) 1 내지 3 중량부 및 천연물 유래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천연물 유래 추출물은 석류 추출물 25 중량부 대비, 무화과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부, 오디 추출물 15 내지 20 중량부, 은행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 코코넛야자 오일 10 내지 15 중량부, 올리브 오일 10 내지 13 중량부, 라벤더 오일 8 내지 12 중량부, 마트리카리아꽃 추출물 6 내지 9 중량부 및 하수오뿌리 추출물 6 내지 9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제거, 블랙헤드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의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스킨, 토너,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미스트,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화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93675A 2021-07-16 2021-07-16 각질제거, 피부장벽 개선, 가려움증 완화, 색소침착 및 피부염증 완화의 복합효능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15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675A KR102315076B1 (ko) 2021-07-16 2021-07-16 각질제거, 피부장벽 개선, 가려움증 완화, 색소침착 및 피부염증 완화의 복합효능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675A KR102315076B1 (ko) 2021-07-16 2021-07-16 각질제거, 피부장벽 개선, 가려움증 완화, 색소침착 및 피부염증 완화의 복합효능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076B1 true KR102315076B1 (ko) 2021-10-20

Family

ID=78268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675A KR102315076B1 (ko) 2021-07-16 2021-07-16 각질제거, 피부장벽 개선, 가려움증 완화, 색소침착 및 피부염증 완화의 복합효능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0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502B1 (ko) 2007-11-09 2009-05-26 장문식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KR20150141813A (ko) * 2014-06-10 2015-12-21 (주)네오메디컬 메이크업 리무브 거꾸로 클렌징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502B1 (ko) 2007-11-09 2009-05-26 장문식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KR20150141813A (ko) * 2014-06-10 2015-12-21 (주)네오메디컬 메이크업 리무브 거꾸로 클렌징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9620B2 (ja) 皮膚及び/又は粘膜を水和させるためのネフェリウム・ラパセウム(nephelium lappaceum)の果皮の抽出物の使用
KR101303295B1 (ko) 겨우살이 발효추출물, 모근 발효추출물 및 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 또는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발효 화장료 조성물
WO2009069906A1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complex of herbal extracts
CN110638707A (zh) 一种眼部护理霜及其制备方法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KR101908977B1 (ko) 렌즈콩, 캐럽콩, 연꽃씨 및 퀴노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수축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36236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조성물
JP3991164B2 (ja) ナツメ抽出物および胡桃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532001B1 (ko)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품
KR102104214B1 (ko) 포타슘 알룸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08459B1 (ko) 다시마추출물, 미역추출물 및 차전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6922A (ko) 천연발효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의 완화 및 피부보습용 조성물
KR101953676B1 (ko) 악마의 발톱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5076B1 (ko) 각질제거, 피부장벽 개선, 가려움증 완화, 색소침착 및 피부염증 완화의 복합효능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81208B1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05222A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9684B1 (ko)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3324A (ko) 대두, 겨우살이, 모근으로 구성된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보습과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N113278477A (zh) 一种美白保湿滋润抑菌的沐浴皂及其制备方法
KR102205789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01161A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101154501B1 (ko) 천산설연을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 효능을 갖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