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979B1 - 피부 타이트닝 조성물 중의 개질 대두 단백질 - Google Patents

피부 타이트닝 조성물 중의 개질 대두 단백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979B1
KR101139979B1 KR1020057024234A KR20057024234A KR101139979B1 KR 101139979 B1 KR101139979 B1 KR 101139979B1 KR 1020057024234 A KR1020057024234 A KR 1020057024234A KR 20057024234 A KR20057024234 A KR 20057024234A KR 101139979 B1 KR101139979 B1 KR 101139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oy protein
weight
protei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2594A (ko
Inventor
토마스 엠. 슐츠
후 탐 트랜
디르크 맘페
Original Assignee
코그니스 아이피 매니지먼트 게엠베하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그니스 아이피 매니지먼트 게엠베하,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코그니스 아이피 매니지먼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32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9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8Preparations for bleach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유효량의 개질된 대두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피부)의 타이트닝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대두 단백질은 환원제로 처리한 후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개질시킨 대두 단백질; 환원제로 처리하고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킨 후 산화시켜 개질시킨 대두 단백질; 히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반응시켜 개질시킨 대두 단백질; 에폭시드, 아크릴레이트 또는 클로로히드린 등의 이온성 단량체로 개질시킨 대두 단백질; 알킬 아크릴이미도글리콜레이트와 반응시켜 개질시킨 대두 단백질을 포함한다.
피부 타이트닝 유도 방법, 개질 대두 단백질, 화장

Description

피부 타이트닝 조성물 중의 개질 대두 단백질 {MODIFIED SOY PROTEINS IN SKIN TIGHTENING COMPOSITION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3년 6월 17일부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번호 제60/479,33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로써 그 전문이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개인 관리 제품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피부 타이트닝용 조성물에서의 개질 대두 단백질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막-형성 물질은 컨디셔닝제 및 보습제와 같은 피부 관리 및 모발 관리용 조성물에서 환경적 및 화학적 손상에 대해 피부 및 모발을 보호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상기 물질은 피부 또는 모발 상에 흡착되고(되거나) 피부 또는 모발 내로 흡수되어 보호 코팅을 형성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막-형성 물질에는 합성 중합체, 예를 들어 실리콘, 폴리피닐피롤리돈, 아크릴산 중합체, 및 폴리사카라이드, 및 단백질, 예를 들어 콜라겐, 케라틴, 엘라스틴, 실크, 및 대두 단백질이 포함된다. 많은 단백질이 이들의 분자량에 따라, 특히 효과적인 막-형성제로 알려져 있다. 단백질은 피부 및 모발 관리 용품에 이용되는 조건에서 용해도가 낮기 때문 에, 통상적으로 단백질의 가수 분해에 의해 형성된 펩티드 형태로 사용된다.
모발 관리 조성물에서, 막-형성 물질은 모발 표면상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모발 케라틴 단백질을 변성시키는 그루밍 및 스타일링, 샴푸, 및 자외선 및 퍼머넌트 웨이브제, 모발 염색 제품, 표백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반응성 화학 물질, 및 모발 고데기에 노출되는 것에 기인한 손상으로부터 모발을 보호하기 위해 모발 표면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막-형성 물질은 모발의 탄성을 개선한다. 모발 관리 용품에 사용되어 온 막-형성 물질로는 단백질, 예를 들어 케라틴, 콜라겐, 실크 단백질 및 이들의 가수분해물, 및 중합체 물질,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레이트, 장쇄 알킬 4급화 아민 및 실록산 중합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카넬 (Cannell) 등의 미국 특허 제6,013,250호에는 화학적 및 자외선 손상에 대해 모발을 치료하기 위한 모발 관리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이 조성물은 풍부한 황-함유 아미노산을 갖는 가수분해 단백질 및 2가 양이온을 포함한다. 오무라 (Omura) 등의 미국 특허 제6,139,851호에는 1종 이상의 실리콘 유도체, 1종 이상의 특정 폴리에테르 개질 실리콘, 및 저급 알콜을 함유하는 갈라진 머리카락 치료용 모발 관리 화장품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조성물의 주요 문제는 장시간 지속되는 보호에 필요한 필수적인 내구성이 이들에게 없다는 점이다.
막-형성 물질은 또한 피부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기 위한 피부 관리 조성물에서 사용된다. 상기 막은 피부를 윤활 및 코팅함으로써 수분 증발을 수동적으로 저해하여 피부를 매끄럽고 부드럽게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피부 관리 조성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막-형성 물질로는 가수분해 동물성 및 식물성 단백질 (푸찰스 키 (Puchalski) 등의 미국 특허 제4,416,873호, 엘-멘샤위 (El-Menshawy) 등의 미국 특허 제4,482,537호 및 코지마 (Kojima) 등의 JP 제02311412호) 및 실크 단백질 (필립 (Philippe) 등의 미국 특허 제6,280,747호 및 판스톡 (Fahnestock) 등의 동시 계류중인 미국 특허 가출원 제60/448952호)이 포함된다.
개인 관리 조성물에서의 막-형성제로서 가수분해 대두 단백질의 용도는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러스 (Russ) 등의 미국 특허 제6,299,890호, 번즈 (Burns) 등의 미국 특허 제5,635,168호, 사이몬 (Simon) 등의 미국 특허 제6,284,233호 및 요시다 (Yoshida) 등의 미국 특허 제6,036,730호 참조). 이러한 조성물의 대부분에서는 원형 단백질의 낮은 용해도로 인해 대두 단백질이 광범위하게 가수분해된 형태로 사용된다.
일부 유형의 화학적으로 개질된 대두 단백질의 개인 관리 조성물에서의 용도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존스 (Jones) 등의 미국 특허 제5,412,074호에는 유기관능성 실리콘 시약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실리콘-개질 대두 단백질 및 펩티드의 화장품 제형에서의 막-형성제로서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헤일 (Hale) 등의 GB 제1,529,841호에는 산 무수물과의 반응에 의해 아실화된 가수분해 대두 단백질의 세제 조성물에서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마쉬 (Marsh) 등의 CA 제1051312호에는 산화제, 예를 들어 과산화수소 처리에 의해 개질된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화장품 또는 세제 조성물에서의 그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이 개시에서, 과산화물 처리의 목적은 물질을 옅은 색으로 표백함으로써 화장품용으로 보다 허용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사오 (Isao) 등의 JP 공개 제2001031697A호에는 알킬 또는 알케닐 글리시딜 에테르와의 반응에 의해 개질된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세제 조성물에서의 그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알랑 (Alain) 등의 FR 제2707647호에는 α-히드록시산을 대두 단백질 또는 펩티드와 커플링시킴으로써 형성된 개질 대두 단백질, 및 화장품 및 제약 조성물에서의 그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대두 단백질이 모발 및 피부 관리 조성물에서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하나,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피부를 위한 개선된 피부 타이트닝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출원인들은 처음에는 공업적 용도로 개발된 특정 개질 대두 단백질이 피부,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피부의 타이트닝 효과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뜻밖에도 발견함으로써 상기 언급된 요구를 충족시켰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환원제로 처리한 후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개질시킨 대두 단백질; 환원제로 처리하고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킨 후 산화시켜 개질시킨 대두 단백질; 히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반응시켜 개질시킨 대두 단백질; 에폭시드, 아크릴레이트 또는 클로로히드린 이온성 단량체로 개질시킨 대두 단백질; 알킬 아크릴이미도글리콜레이트와 반응시켜 개질시킨 대두 단백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대두 단백질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바람직하게는, 인간 피부)의 타이트닝 효과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충전제, 계면활성제, 요변제, 산화방지제, 보존제, 염료, 안료, 향료, 증점제, 비타민, 호르몬, 보습제, UV 흡수 유기 선스크린, UV 산란 무기 선스크린, 습윤제, 양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비이온성 중합체 및 양쪽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장 보조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개질 대두 단백질의 유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의 약 0.001 내지 약 90 중량%, 조성물의 총 중량의 약 0.001 내지 약 60 중량% 또는 조성물의 총 중량의 약 0.005 내지 약 20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액체, 고체 또는 반고체 지방 물질을 함유하는 지방상을 함유하는 무수 조성물이거나, 또는 1가 또는 다가 알콜을 함유하는 수용액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무수 조성물인 경우, 지방 물질은 이소도데칸,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스쿠알란,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시클로테트라- 및 - 펜타디메티콘, 페닐트리메티콘, 에틸렌 단독중합체, 에톡실화 지방 및 오일, 플루오로알칸, 미세결정질 왁스, 지랍, 밀랍, 세라사이트, 쉬어 버터, 칸데릴라 왁스, 아라키딜 프로피오네이트, 단량체 X1X2C=CX3F (여기서, X1, X2 및 X3은 독립적으로 H 또는 F임)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중합체, 및 에틸렌과 화학식 CH2=CH--R3 (여기서, R3은 1 내지 30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라디칼, 또는 아릴 또는 아랄킬 라디칼임)으로 표시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별법으로, 상기 기재된 조성물은 크림 에멀젼, 겔, 건조 분말, 에어로졸, 무스, 유중알콜형 에멀젼, 알콜과 물의 용액, 수용액 또는 에멀젼 용액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카르보머, 검 또는 다른 증점제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0.1 내지 약 15 중량%의 비율로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별법으로, 조성물에서 발견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은 분말 형태이며, 유효량의 개질 대두 단백질이 안료 또는 충전제와 함께 존재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개질 대두 단백질의 유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의 약 0.001 내지 약 60 중량%이다.
상기 기재된 조성물은 또한 안정한 유중수형 또는 수중유형 분산액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적합한 화장품 담체 중의 유효량의 개질 대두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피부에 적용되어 타이트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조성물이 포함된다. 이러한 조성물로는 스킨 케어, 스킨 클렌징, 메이크업, 페이셜 로션; 크림 보습제; 바디 워시; 바디 로션; 발 및 손 크림; 립스틱; 아이섀도우; 파운데이션; 셰이빙 크림 조성물 (겔형 포함); 셰이빙 로션; 크림 및 로션 탈모제; 점토 재료로 제조된 페이셜 마스크; 및 노화방지 제품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정의들은 본원에서 사용되며 청구의 범위 및 본 명세서의 이해를 위해 참조되어야 한다.
"피부 타이트닝"이란 용어는 피부 상에 피부 퍼밍 (firming) 및 토닝 (toning) 막을 형성하여 잔주름, 주름 및 처진 피부를 비롯한 노화의 가시적 징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지칭한다.
"화장품"이란 용어는 주로 미용 목적이나 외모를 위한 외용을 위한 제제를 지칭한다.
용어 "폴리펩티드" 및 "단백질"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펩티드"란 용어는 가수분해로 형성된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아단위를 기재하는 데 사용된다.
"실질적으로 가수분해되지 않은 대두 단백질"이란 용어는 단백질 물질의 개별 아단위 분자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지 않은 대두 단백질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질"이란 용어는 약 2 kDa 내지 약 350 kDa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펩티드를 형성하도록 한정 범위로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질을 기재하는 데 사용된다.
"천연 단백질"이란 용어는 천연의 동물 또는 식물 공급원으로부터 단리된 단백질을 기재하는 데 사용된다.
"재조합 단백질"이란 용어는 유전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비천연 유기체로 제조된 단백질을 기재하는 데 사용된다. 천연 단백질 및 재조합 단백질 모두가 이들의 고유 서열로 또는 유전 공학으로 변형된 서열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질 대두 단백질의 제조에 유용한 대두 단백질 물질에는 대두분, 대두 농축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두 단백질 단리물 및 천연 단리 대두 단백질이 포함된다. 상기 대두분, 대두 농축물, 대두 단백질 단리물 및 천연 단리 대두 단백질은 대두 또는 대두 유도체일 수 있는 대두 출발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대두 출발 물질은 대두 케이크, 대두 칩, 대두박, 또는 바람직하게는 대두 플레이크일 수 있다. 이들 대두 출발 물질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대두 단백질 단리물은 크린스키 (Krinski) 등의 미국 특허 제5,766,331호 (특히 제4컬럼 제41행 내지 제60행)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탈지 대두 플레이크 물질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문헌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이후, 상기 대두 단백질 물질은 화학적으로 개질되어 본 발명의 개질 대두 단백질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개질 대두 단백질로는 환원제로 처리한 후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개질시킨 대두 단백질; 환원제로 처리하고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킨 후 산화시켜 개질시킨 대두 단백질; 히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반응시켜 개질시킨 대두 단백질; 에폭시드, 아크릴레이트 및 클로로히드린과 같은 이온성 단량체로 개질된 대두 단백질; 및 알킬 아크릴이미도글리콜레이트와의 반응에 의해 개질된 대두 단백질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대두 단백질은 실질적으로 가수분해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실질적으로 가수분해되지 않은 대두 단백질이란 단백질 물질의 개별 아단위 분자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지 않은 대두 단백질을 지칭한다. 실질적으로 가수분해되지 않은 대두 단백질의 분자량은 약 10 kDa 내지 약 600 kDa이다. 실질적으로 가수분해되지 않은 대두 단백질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백질 분자가 클수록 종래기술에 기재된 광범위하게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질보다 우수한 표면-개질제가 제조된다. 그러나, 원하는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질이 사용될 수 있다. 대두 단백질의 부분 가수분해에 유용한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요시오카 (Yoshioka) 등의 미국 특허 제5,753,214호 참조), 예로는 산 또는 염기 처리, 또는 펩신, 파파인, 트립신, 키모트립신, 서브틸리신 등과 같은 단백질분해 효소 처리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 시간 및 시약의 농도는 원하는 가수분해도를 얻도록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질의 분자량은 약 2 kDa 내지 약 350 kDa이다.
환원제로 처리한 후에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개질시킨 대두 단백질은 코코 (Coco) 등의 미국 특허 제4,474,694호 (특히 제3컬럼 제57행 내지 제6컬럼 제15행)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문헌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이 방법에서, 단리된 대두 단백질 물질은 처음에는 탈지 대두 플레이크를 알칼리 용액으로 처리하여 단백질을 가용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알칼리 처리 단계는 1) 아스파라긴 및 글루타민의 아미드를 카르복실산으로 가수분해, 2) 세린 및 시스테인의 베타 제거에 이어 리신과의 반응을 통한 단백질 가교, 및 3) 친수성기 및 소수성기에 의한 단백질의 재조직화를 포함하는 3가지의 중요한 단백질 개질을 생성한다. 단백질 가교에 의해 매우 높은 분자량의 특정 단편이 생성되며, 개질 단백질의 분자량 범위는 약 2 kDa 내지 약 5,000 kDa가 된다. 이후, 알칼리-불용성 고체로부터 여과 또는 원심분리에 의해 단백질 추출물이 분리된다. 상기 단백질 추출물 또는 분산액은 공정에서 출발 물질로 사용된다. 상기 단백질 추출물 또는 분산액은 우선 환원제, 예를 들어 티오글리콜산 또는 티오글리콜산의 염으로 처리되어 디술피드 결합과 반응함으로써 후속 반응 동안 단백질 물질의 반응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처리된 대두 단백질 분산액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가수분해되지 않은 형태로 유지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될 수 있다. 이후, 처리된 대두 단백질 분산액은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하여 단백질 물질을 개질시켜 조성물 및 메이크업에서 유용한 독특한 막-형성 특성을 단백질 물질에게 부여한다. 바람직한 카르복실산 무수물은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예를 들어 프탈산 무수물 또는 숙신산 무수물이다. 대두 단백질 물질이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한 후, 개질 대두 단백질은 등전점에서 산 침전에 의해 단리되어 회수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개질 대두 단백질은 예를 들어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E.I. du Pont de Nemours and Co., Inc.;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 소재)로부터 시판된다.
환원제로 처리하고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킨 후 산화시켜 개질시킨 대두 단백질은 크린스키 등의 미국 특허 제4,961,788호 (특히 제2컬럼 제58행 내지 제3컬럼 제12행)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문헌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이 방법에서, 환원제로 처리한 후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개질시킨 대두 단백질은 코코 등의 상기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이후, 이 개질 대두 단백질은 표백제, 예를 들어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산화에 의해 더 개질된다. 이러한 유형의 개질 대두 단백질은 예를 들어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 소재)로부터 시판된다.
히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에 의해 개질된 대두 단백질은 스타인메츠 (Steinmetz) 등의 미국 특허 제4,687,826호 (특히 제3컬럼 제8행 내지 제4컬럼 제41행)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문헌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이 방법에서, 단리된 대두 단백질 물질은 처음에는 탈지 대두 플레이크를 알칼리성 용액으로 처리하여 단백질을 가용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후, 알칼리-불용성 고체로부터 여과 또는 원심분리에 의해 단백질 추출물이 분리된다. 대두 단백질의 알칼리성 분산액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가수분해되지 않은 형태로 유지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될 수 있다. 이후, 대두 단백질 분산액은 단백질을 개질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히드록실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반응한다. 바람직한 히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는 알킬기가 C1 내지 C8, 가장 바람직하게는 C2 또는 C3인 것이다. 개질 대두 단백질은 등전점에서 산 침전에 의해 단리되어 회수될 수 있다.
에폭시드, 아크릴레이트 및 클로로히드린과 같은 이온성 단량체로 개질된 대두 단백질은 크린스키 등의 미국 특허 제4,689,381호 (특히 제3컬럼 제9행 내지 제4컬럼 제53행)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문헌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이 방법에서, 단리된 대두 단백질 물질은 처음에는 탈지 대두 플레이크를 알칼리성 용액으로 처리하여 단백질을 가용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후, 알칼리-불용성 고체로부터 여과 또는 원심분리에 의해 단백질 추출물이 분리된다. 대두 단백질의 알칼리 분산액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가수분해되지 않은 형태로 유지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될 수 있다. 이후, 대두 단백질 분산액은 단백질 물질을 개질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양이온성 에폭시드 단량체, 예를 들어 2,3-에폭시프로필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양이온성 아크릴계 단량체, 예를 들어 메타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양이온성 클로로히드린 단량체, 예를 들어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와 반응한다. 개질 대두 단백질은 등전점에서 산 침전에 의해 단리되어 회수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개질 대두 단백질은 예를 들어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 소재)로부터 시판된다.
알킬 아크릴이미도글리콜레이트와의 반응에 의해 개질된 대두 단백질은 크린스키 등의 미국 특허 제4,554,337호 (특히 제3컬럼 제7행 내지 제4컬럼 제31행)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문헌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이 방법에서, 단리된 대두 단백질 물질은 처음에는 탈지 대두 플레이크를 알칼리성 용액으로 처리하여 단백질을 가용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후, 알칼리-불용성 고체로부터 여과 또는 원심분리에 의해 단백질 추출물이 분리된다. 이후, 대두 단백질 분산액은 단백질 물질을 개질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알킬 아크릴아미도글리콜레이트 알킬 에테르, 예를 들어 메틸 아크릴아미도글리콜레이트 메틸 에테르와 반응한다. 개질 대두 단백질은 등전점에서 산 침전에 의해 단리되어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개질 대두 단백질의 "유효량"이라는 표현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약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1 내지 약 6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약 20 중량%의 비율에 상응한다. 상기 비율은 조성물의 기능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1종 이상의 통상적인 화장용 또는 피부용 첨가제 또는 보조제, 예를 들어 충전제, 계면활성제, 요변제, 산화방지제, 보존제, 염료, 안료, 향료, 증점제, 비타민, 호르몬, 보습제, UV 흡수 유기 선스크린, UV 산란 무기 선스크린, 습윤제,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중합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를 함유한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많은 문헌 (예를 들어 문헌 [Harry's Book of Cosmeticology, 8th edition, Martin Rieger, ed., Chemical Publishing, New York (2000)] 참조)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보조제 중에서, 충전제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99.9 중량%의 최대 비율로 제품 내에 존재한다. 매우 미세한 분말의 형태인 상기 충전제는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일 수 있으며, 무기물 분말, 예를 들어 탈크, 카올린, 운모, 실리카, 실리케이트,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견운모, 이산화티탄, 티탄 운모판암, 황산바륨, 탄산칼슘, 황산칼슘, 비스무스 옥시클로라이드, 질화붕소 및 금속 분말, 예를 들어 알루미늄 분말; 식물 분말,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밀 전분 또는 쌀 전분 분말; 유기 분말,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분말, 폴리에스테르 분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분말, 플루오르화 알칸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및 다른 불활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들 다양한 분말은 또한 예를 들어 지방산, 아미노산, 레시틴, 콜라겐, 실리콘 화합물, 플루오로 화합물의 금속 염 또는 임의의 통상적인 코팅제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계면활성제 또는 습윤제를 바람직하게는 총 조성물의 약 0.001 내지 약 1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약 15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계면활성제" 및 "습윤제"는 표면-활성제를 지칭하는데, 물에 첨가하는 경우 이는 물-공기 또는 물-오일 계면에서 물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물이 다른 물질의 표면으로 보다 쉽게 침투하거나 표면 상에 퍼지게 한다. "표면 활성제"는 물 또는 수용액에 용해된 경우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는 임의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목적을 위한 계면활성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광범위한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로는 하기의 것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1)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지방산의 금속염 또는 알칸올아민 염, 예를 들어 소듐 라우레이트 및 트리에탄올아민 올레에이트; 알킬 벤젠 술폰, 예를 들어 트리에탄올아민 도데실 벤젠 술포네이트; 알킬 술페이트, 예를 들어 소듐 라우릴술페이트;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예를 들어 소듐 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 (2 내지 8 EO); 술포숙시네이트, 예를 들어 소듐 디옥틸 술폰숙시네이트; 모노글리세라이드 술페이트, 예를 들어 소듐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모노술페이트; 이소티오네이트, 예를 들어 소듐 이소티오네이트; 메틸 타우라이드, 예를 들어 이게폰 (Igepon) T; 아실사르코시네이트, 예를 들어 소듐 미리스틸 사르코시네이트; 아실 펩티드, 예를 들어 메이폰 (Maypon) 및 라메폰 (lamepon); 아실 락틸레이트, 폴리알콕실화 에테르 글리콜레이트, 예를 들어 트리데세트-7 카르복실산; 포스페이트, 예를 들어 소듐 디라우릴 포스페이트.
(2)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아민 염, 예를 들어 사파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4급 암모늄 염, 예를 들어 쿼터늄 (Quaternium) 5, 쿼터늄 31 및 쿼터늄 18;
(3) 양쪽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이미다졸 화합물, 예를 들어 미라놀 (Miranol); N-알킬 아미노산, 예를 들어 소듐 코카미노프로피오네이트 및 아스파라긴 유도체; 베타인, 예를 들어 코카미도프로필레베타인;
(4)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예를 들어 올레산 에탄올아미드; 에스테르 또는 폴리알콜, 예를 들어 스팬 (Span);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예를 들어 C 치환 12 치환-18 지방산 및 하나 또는 수개의 OH기로 에스테르화된 것; 폴리알콕실화 유도체, 예를 들어 폴리옥시: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예를 들어 매킨타이어 캄파니 (McIntyre Co) 제품); 에테르,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테르 라우릴 에테르 (예를 들어 미국 일리노이주 노쓰필드 소재의 스테판 캄파니 (Stepan Co.) 제품인 스테파놀 (Stepanol) ES); 에스테르 에테르, 예를 들어 트윈 (Tween); 아민 옥시드, 예를 들어 코코넛 및 도데실 디메틸 아민 옥시드. 상기 계면활성제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요변제 또는 겔화제를 바람직하게는 총 조성물의 약 0.02 내지 약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18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요변제 또는 겔화제로는 알루미늄, 칼슘,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또는 아연의 스테아레이트;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레이트, 라우레이트, 리놀레에이트, 미리스테이트, 올레에이트, 올리베이트, 팔메이트, 팔미테이트, 탈로웨이트, 로시네이트 등, 및 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트리글리세라이드, 지방 알콜의 혼합물, 콜레스테롤 유도체, 특히 히드록시콜레스테롤 및 오일 존재하에 팽창하는 점토 광물, 특히 몬모릴로나이트 군에 속하는 것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산화방지제를 바람직하게는 총 조성물의 약 0.001 내지 약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8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산화방지제는 부패를 방지하거나 지연시키는 데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산화방지제의 예로는 칼륨 술파이트, 소듐 비술파이트, 소듐 에리트로베이트, 소듐 메타비술파이트, 소듐 술파이트, 프로필 갈레이트, 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보존제를 바람직하게는 총 조성물의 약 0.001 내지 약 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5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조산, 벤질 알콜, 벤질헤미포르말, 벤질파라벤, 5-브로모-5-니트로-1,3-디옥산,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 부틸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메틸 파라벤, 에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칼슘 벤조에이트, 칼슘 프로피오네이트, 캡탄, 클로르헥시딘 디아세테이트,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클로르헥시딘 디히드로클로라이드, 클로로아세타르니드, 클로로부탄올, p-클로로-m-크레졸, 클로로펜, 클로로티몰, 클로로크실레놀, m-크레졸, o-크레졸, DEDM 히단토인, DEDM 히단토인 디라우레이트, 데히드로아세트산,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디브로모프로파미딘 디이세티오네이트, DMDM 히단토인, 페노닙 (Phenonip; 등록상표), 캐톤 (Kathon; 등록상표) 및 문헌 [CTFA Cosmetic Ingredient Handbook, Second Edition, 1992, pages 570 내지 571]에 개시된 것 모두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문헌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염료를 바람직하게는 총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15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염료로는 에오신 유도체, 예를 들어 디앤드씨 레드 (D&C Red) 21번 및 할로겐화 플루오레세인 유도체, 예를 들어 디앤드씨 레드 27번, 디앤드씨 레드 오렌지 (D&C Red Orange) 5번과 함께 디앤드씨 레드 21번 및 디앤드씨 오렌지 10번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안료를 바람직하게는 총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15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안료는 무기 또는 유기이거나, 다르게는 금속 레이크일 수 있고,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바륨, 디앤드씨 레드 36번 및 디앤드씨 오렌지 17번, 디앤드씨 레드 7, 11, 31 및 34번의 칼슘 레이크, 디앤드씨 레드 12번의 바륨 레이크, 디앤드씨 레드 13번의 스트론튬 레이크, 에프디앤드씨 옐로우 (FD&C Yellow) 5번, 에프디앤드씨 옐로우 6번, 디앤드씨 레드 27번, 디앤드씨 레드 21번 및 에프디앤드씨 블루 (FD&C Blue) 1번의 알루미늄 레이크, 철 산화물, 망간 바이올렛, 산화크롬, 울트라마린 블루 및 카본블랙 입자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향료를 바람직하게는 총 조성물의 약 0.01 내지 약 1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수많은 천연 및 합성 향료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문헌 [Secondini (Handbook of Perfumes and Flavors, Chemical Publishing Co., Inc., New York, 1990)]는 화장품에 사용되는 많은 천연 및 합성 향료를 기재하고 있다. 적합한 천연 향료로는 자스민, 수선화, 장미, 바이올렛, 라벤더, 민트, 향신료, 바닐라, 아니스, 호박, 오렌지, 소나무, 레몬, 윈터그린, 로즈마리, 바질 및 전나무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적합한 합성 향료로는 아세트알데히드, C7 내지 C16 알콜, 벤질 아세테이트, 부티르산, 시트르산, 이소부틸 페닐 아세테이트, 리날릴 부티레이트, 말산, 멘톨, 페닐 에틸 신나메이트, 페닐 프로필 포르메이트, 탄닌산, 테르피네올, 바닐린, 아밀 살리실레이트, 벤즈알데히드, 디페닐 케톤, 인돌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증점제를 바람직하게는 총 조성물의 약 0.001 내지 약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15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증점제로는 전분; 검, 예를 들어 아라비아 검 또는 크산탄 검; 카르보머 중합체, 예를 들어 카르보폴 (Carbopol; 등록상표) 941, 940, 934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유니온 카바이드 캄파니 (Union Carbide Co.) 제품), 및 울트레즈 (Ultrez) 10; 카올린 또는 다른 점토, 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아크릴계 공중합체,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 및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비타민 및(또는) 보조효소를 바람직하게는 총 조성물의 약 0.001 내지 약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8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5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비타민으로는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B군, 예를 들어 티아민, 리보플라빈, 피리독신 등; 비타민 A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E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D 및 비타민 K가 포함되며, 보조효소로는 티아민 피로포스페이트,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엽산, 피리독살 포스페이트, 테트라히드로엽산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호르몬을 바람직하게는 총 조성물의 약 0.0001 내지 약 0.01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호르몬으로는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프레그네놀론,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라디올, 히드로코르티손 및 코르티손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보습제를 바람직하게는 총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2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에는 수용성 저분자량 보습제, 지용성 저분자량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량 보습제 및 지용성 고분자량 보습제가 포함된다. 적합한 수용성 저분자량 보습제에는 세린, 글루타민, 소르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소듐 카르복실레이트,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 (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및 락트산염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적합한 지용성 저분자량 보습제에는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적합한 수용성 고분자량 보습제에는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폴리아스파테이트, 트라가칸트, 크산탄 검, 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및 덱스트린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적합한 지용성 고분자량 보습제에는 폴리비닐피롤리돈-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스,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고분자 실리콘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UV 흡수 유기 선스크린을 바람직하게는 총 조성물의 약 0.001 내지 약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8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원에서 UV 흡수 유기 선스크린은 290 내지 329 nm 파장의 자외광을 흡수하는 유기 화학물질로서 정의된다. 적합한 UV 흡수 유기 선스크린으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에틸 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 아밀 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 옥틸 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 에틸렌 글리콜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 살리실레이트, 벤질 살리실레이트, 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 벤질 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예를 들어 지브당-루르 캄파니 (Givaudan-Roure Co.) 제품인 파르솔 (Parsol; 등록상표)), 옥틸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글리세릴 모노(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디이소프로필-디이소프로필신남산 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칸산, 에틸 우로카네이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의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소듐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포네이트,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및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무기 안료, 및 티탄 산화물 (예를 들어 코그니스 캄파니 (Cognis Co.) 제품인 선스마트 (SunSmart)), 아연 산화물 및 철 산화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은 금속 산화물과 같은 UV 산란 무기 선스크린 물질을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혼입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 UV 산란 무기 선스크린은 210 내지 280 nm 파장의 자외광을 산란시키는 무기 물질로서 정의된다. 상기 UV 산란 무기 선스크린은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바람직하게는 총 조성물의 약 0.001 내지 약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8 중량%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다른 막-형성 중합체를 바람직하게는 총 조성물의 약 0.01 내지 약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1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는 피부를 코팅하거나 조성물에 존재하는 입자를 코팅하는 컨디셔너의 역할을 한다. 상기 중합체는 양이온성, 음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일 수 있다. 본원에서 양이온성 중합체는 양으로 하전된 기 및(또는) 양으로 하전된 기로 이온화될 수 있는 기를 함유하거나 이를 함유하도록 개질된 합성 또는 천연 중합체로 정의된다. 적합한 양이온성 중합체로는 양이온화된 셀룰로스, 양이온화된 구아 검, 디알릴 4급 암모늄 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4급화된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그의 유도체, 폴리쿼터늄-1, 폴리쿼터늄-2, 폴리쿼터늄-5,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8, 폴리쿼터늄-9,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2, 폴리쿼터늄-13, 폴리쿼터늄-14, 폴리쿼터늄-15, 폴리쿼터늄-16, 폴리쿼터늄-17, 폴리쿼터늄-18, 폴리쿼터늄-19, 폴리쿼터늄-20, 폴리쿼터늄-22, 폴리쿼터늄-27, 폴리쿼터늄-28, 폴리쿼터늄-29, 폴리쿼터늄-30 및 그의 혼합물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여기서 화합물 명칭은 미국 미용, 화장 및 향료 협회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에서 화합물에 대해 채택되었고 문헌 [CTFA International Cosmetic Dictionary, J. Nikitakis, ed.,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1991)]에서 발견되는 명칭이다.
본원에서 음이온성 중합체는 음으로 하전된 기 및(또는) 음으로 하전된 기로 이온화될 수 있는 기를 함유하거나 이를 함유하도록 개질된 합성 또는 천연 중합체로 정의된다. 적합한 음이온성 중합체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 및 전분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비이온성 중합체는 어떠한 하전된 기도 함유하지 않는 합성 또는 천연 중합체로서 정의된다. 적합한 비이온성 중합체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실록산 및 비닐피롤리돈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양쪽성 중합체는 음으로 및 양으로 하전된 기 및(또는) 음으로 및 양으로 하전된 기로 이온화될 수 있는 기를 모두 함유하는 합성 또는 천연 중합체로 정의된다. 적합한 양쪽성 중합체는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마르치 (Marchi) 등의 미국 특허 제5,643,672호에 기재되어 있다. 예로는 카르복실기를 보유하는 비닐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단량체,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및 알파-클로로아크릴산의 공중합으로 얻어지는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염기성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치환된 비닐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염기성 단량체의 공중합으로 얻어지는 중합체, 예를 들어 디알킬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 및 디알킬아미노알킬메타크릴아미드 및 -아크릴아미드, 내셔널 스타치 (National Starch)사에서 암포머 (Amphomer; 등록상표)라는 명칭으로 시판하는 제품,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디메틸카르복시메틸암모늄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예를 들어 키멕스 (Chimex)사에서 멕소머 (Mexomer) PX라는 명칭으로 시판하는 제품 (CTFA 명칭: "폴리쿼터늄-30"), 산도즈 (Sandoz)사에서 디아포머 (Diaformer)라는 명칭으로 시판하는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머콜 (Amerchol)사에서 아머세트 (Amersette)라는 명칭으로 시판하는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골드쉬미트 (Goldschmidt)사에서 아빌 (Abil) B 9950이라는 명칭으로 시판하는 폴리실록산 폴리오르가노베타인 공중합체 (CTFA 명칭: "디메티콘 프로필 (Dimethicone Propyl) PG-베타인"), 실테크 (Siltech)사에서 페코실 (Pecosil) SPB-1240이라는 명칭으로 시판하는 알킬포스포베타인 기를 함유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골드쉬미트사에서 BC 1610이라는 명칭으로 시판하는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오르가노베타인/실록산 공중합체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개질된 대두 단백질의 막 형성성 및 코팅성을 향상시키거나 다른 바람직한 성질을 제공하는 1종 이상의 다른 천연 또는 재조합 단백질의 유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이러한 추가적인 단백질의 유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0.001 내지 약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20 중량%의 비율로서 정의된다. 상기 비율은 조성물 종류의 함수로서 변화될 수 있다. 모든 단백질 분자는 아미노산의 중합체라고 간주될 수 있다. 각각 20개의 가변 측쇄 중 하나와 결합된 공통의 골격을 가진 20개의 자연 발생 아미노산이 존재한다. 아미노산은 통상적으로 가변 측쇄의 전하를 기준으로 중성,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아미노산으로 분류한다. 자연 발생 음이온성 아미노산으로는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이 포함되고, 이들은 모두 이들 각각의 가변 측쇄의 말단에 카르복실레이트기를 보유한다. 자연 발생 양이온성 아미노산으로는 리신, 아르기닌 및 히스티딘이 포함되고, 이들은 모두 이들 각각의 가변 측쇄에 아미노기를 포함한다. 또한, 아미노산은 개질되어 전체 전하가 양이온성이 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이러한 아미노산 모두를 "양이온성 아미노산"으로 간주한다.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가장 유리한 단백질은 구체적인 조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피부 관리 제품은 일반적으로 pH 범위가 2.0 내지 10.0이다. 양이온성 아미노산에 비해 음이온성 아미노산을 주로 갖는 단백질은 상기 제품의 일반적인 pH 범위에서 음으로 하전되기 쉽다. 반대로, 양이온성 아미노산이 상대적으로 풍부한 단백질은 유사한 조건하에서 양으로 하전되기 쉽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천연 또는 재조합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물은 단백질이 피부 관리 제품의 일반적인 pH 범위에서 음으로 하전되도록, 양이온성 아미노산보다 음이온성 아미노산을 우세하게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음이온성 아미노산 대 양이온성 아미노산의 몰비가 적어도 1.1 : 1, 바람직하게는 약 1.1 : 1 내지 25 : 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1 : 1 내지 15 : 1인 추가적인 천연 또는 재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천연 또는 재조합 단백질의 "음이온성 아미노산 대 양이온성 아미노산의 몰비"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단백질에서 양이온성 아미노산의 총 몰량 (예를 들어, 리신, 아르기닌 및 히스티딘의 개별 몰 양을 더함)에 대한 음이온성 아미노산의 총 몰량 (예를 들어, 음이온성 아미노산, 예를 들어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의 개별 몰 양을 더함)으로서 정의된다. 음이온성 아미노산 대 양이온성 아미노산의 몰비는 천연 또는 재조합 단백질 또는 천연 또는 재조합 단백질의 혼합물의 전체 아미노산 조성을 기준으로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은 당업계에 자주 공지되어 있다. 다르게는, 임의의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을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기술로는 자동 아미노산 분석 및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기술로 개별 아미노산이 분리되므로, 음이온성 대 양이온성 아미노산의 몰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천연 또는 재조합 단백질은 자외광 또는 화학적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피부에 제공하기 위해 황-함유 아미노산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천연 또는 재조합 단백질은 황-함유 아미노산을 약 0.2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25 내지 약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25 내지 약 5.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용어 "황-함유 아미노산"은 술프히드릴기 또는 디술피드 결합을 포함하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임의의 형태로 황을 함유하는 임의의 천연 또는 합성 아미노산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적합한 황-함유 아미노산으로는 시스테인, 시스틴, 메티오닌 및 그의 각각의 유도체 및 합성 유사체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천연 또는 재조합 단백질로는 밀 및 귀리 단백질, 콜라겐, 케라틴, 젤라틴, 엘라스틴, 피브로넥틴, 가용성 레티큘린, 및 동시 계류 중인 미국 특허 가출원 제60/425617호 (파네스톡 (Fahnestock))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수용성 실크 단백질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천연 또는 재조합 단백질을 원형 그대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그의 이온 전하를 변경하기 위해 예를 들어 술폰화 또는 숙시닐화로 개질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은 또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보다 작은 펩티드 단위로 분해되어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추가 단백질로는 또한 비가수분해되거나 또는 가수분해된 형태의 비개질된 대두 단백질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조성물은 무수물이고, 하나 이상의 액체, 고체 또는 반-고체 지방 물질을 함유하는 지방상을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일반적으로 약 10 내지 약 90 중량%의 비율로 포함한다. 상기 지방 물질로는 오일, 지방, 왁스, 검, 및 소위 페이스트성 지방 물질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지방상 중 오일은 광물성, 동물성, 식물성 또는 합성 기원일 수 있고, 실온에서 휘발성이거나 휘발성이 아닐 수 있다. 광물성 기원의 오일로는 액체 파라핀 및 액체 페트롤륨 젤리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동물성 기원의 오일로는 스쿠알렌 및 스쿠알란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식물성 기원의 오일로는 스위트 아몬드유, 뷰티-립 (beauty-leaf)유, 팜유, 아보카도유, 호호바유, 참기름, 올리브유, 피마자유 및 곡류 배아유, 예컨대 밀배아유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합성 기원의 오일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1) 화학식 R1-COOR2 (식 중, R1은 7 내지 20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고급 지방산 잔기를 나타내고, R2는 3 내지 30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탄화수소계 라디칼을 나타냄)의 에스테르.
상기 에스테르로는 퍼셀린유, 부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헥사데실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옥틸 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및 라놀산으로부터 유도된 에스테르, 예컨대 이소프로필 라놀레이트 및 이소세틸라놀레이트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기타 합성유로는 이소도데칸 (예를 들어, 엑손-모빌 케미칼 컴퍼니 (Exxon-Mobil Chemical Co.; 미국 텍사스주 휴스톤 소재)로부터 상표명 이소파르 (ISOPAR; 상표명)로 시판됨), 이소헥사데칸, 폴리이소부텐 및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뿐만 아니라, 폴리알콜, 예컨대 글리콜 및 글리세롤의 아세틸글리세라이드, 옥타노에이트 및 데카노에이트, 알콜 또는 폴리알콜의 리시놀레에이트, 예컨대 세틸 리시놀레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및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2) 올레일 알콜, 리놀레일 알콜, 리놀레닐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및 옥틸도데칸올을 포함하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지방 알콜;
(3) 폴리에틸렌 글리콜 쇄가 삽입된 트리글리세라이드, 에톡실화 모노 및 디-글리세라이드, 폴리에톡실화 라놀린, 에톡실화 버터 유도체,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글리세릴 카프로에이트,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릴 탈로웨이트, 글리세릴 팔미테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글리세릴 올레에이트, 글리세릴 리시놀레에이트, 및 트리글리세라이드로부터 유도된 글리세릴 지방 에스테르, 예컨대 팜유, 아몬드유 및 옥수수유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글리세릴 탈로웨이트,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계 폴리에톡실화 지방 알콜, 예컨대 PEG 40 수소화 피마자유 (바스프 (BASF)사로부터 상표명 크레모포르 (Cremophor; 등록상표)로 시판됨), PEG 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및 PEG 20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헨켈 (Henkel)사로부터 각각 상표명 세티올 (Cetiol; 등록상표) HE 및 라마시트 (Lamacit; 등록상표) GML 20으로 시판됨), 및 세테릴 알콜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예컨대 세테아레쓰 (Ceteareth) 25 (바스프사로부터 상표명 크레마포르 (Cremaphor) A25로 시판됨)를 포함하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에톡실화 오일 및 지방;
(4) 임의로는 관능화된 선형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시클릭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및 특히 시클로테트라- 및 -펜타디메티콘,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예컨대 알킬, 알콕시 또는 페닐 디메티콘, 및 특히 페닐트리메티콘 (다우 코닝 (Dow Corning; 미국 미시간주 미드랜드 소재)사로부터 시메티콘 (Simethicone) 및 DC 200 플루이즈 (Fluids)로 시판됨)을 포함하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실리콘유;
(5) 플루오로알칸 및 플루오로폴리에테르,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탄화수소계 오일, 및 화학식 X1X2C=CX3F (식 중, X1, X2 및 X3은 독립적으로 H 또는 F임)의 단량체 단위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플루오로 오일.
지방상 중 왁스는 광물성, 화석, 동물성, 식물성 또는 합성 기원일 수 있거나, 다르게는 25 ℃에서 고체인 수소화 오일 또는 지방 에스테르일 수 있다. 상기 광물성 왁스로는 미세결정질 왁스, 파라핀, 페트롤륨 젤리 및 세레신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화석 왁스로는 지랍 및 몬탄 왁스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동물성 기원의 왁스로는 밀랍, 경랍, 및 라놀린 왁스 및 라놀린으로부터 얻어진 유도체, 예컨대 라놀린 알콜, 수소화 라놀린, 히드록실화 라놀린, 아세틸화 라놀린, 라놀린 지방산 및 아세틸화 라놀린 알콜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식물성 기원의 왁스로는 칸데릴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목랍 및 코코아 버터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합성 왁스로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세라사이트, 쉬어 버터, 및 에틸렌과 화학식 CH2=CH--R3 (여기서, R3은 1 내지 30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 또는 아릴 또는 아랄킬기를 나타냄)에 해당하는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1 내지 3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데실, 도데실 또는 옥타데실 라디칼이다. 피셔-트롭슈 (Fisher-Tropsch) 합성으로 얻어지는 왁스 및 실리콘 왁스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25 ℃에서 고체인 수소화 오일로는 수소화 피마자유, 수소화 팜유, 수소화 탈로우 및 수소화 코코넛유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25 ℃에서 고체인 지방 에스테르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미리스테이트 및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왁스로는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25 ℃에서 고체인 모노-, 디-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스테아르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송진연무 (colophony) 및 그의 유도체, 예컨대 글리콜 아비에테이트 및 글리세릴 아비에테이트, 수크로글리세라이드 및 칼슘, 마그네슘, 아연 및 알루미늄 올레에이트, 미리스테이트, 라놀레이트, 스테아레이트 및 디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페이스트-유형 지방 물질은 광물성, 동물성, 식물성 또는 합성 기원일 수 있다. 페이스트 지방 물질로는 합성 에스테르, 예컨대 아라키딜 프로피오네이트, 폴리비닐 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 왁스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예컨대 알킬디메티콘, 알콕시디메티콘 또는 디메티콘 에스테르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들 무수 조성물은 유성 겔, 고형 제품, 예컨대 압축 또는 캐스트 파우더, 또는 다르게는 스틱, 예컨대 립스틱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유성 겔의 형태인 경우, 이는 일반적으로 앞서 예시된 요변제 또는 겔화제를 함유한다. 요변제는 조성물의 원하는 감촉에 따라 다양한 비율로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 내지 약 20 중량%의 비율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무수 조성물은 특히 피부 케어, 피부 클렌징, 또는 메이크업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메이크업 제품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이는 파운데이션,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립스틱, 아이섀도우 또는 블러셔일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착색되어 있고, 화장 보조제로서 상기에 기재된 염료 및(또는) 안료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조성물은 유중수 (W/O) 또는 수중유 (O/W) 에멀젼 형태인 안정한 분산액이고, 지방상의 총 중량에 대해 약 0.001 내지 약 90 중량% 비율로 1종 이상의 개질된 대두 단백질을 함유하는, 에멀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0.1 내지 약 50 중량% 비율의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지방상; 에멀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50 내지 약 98.9 중량% 비율의 수성상; 및 에멀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 내지 약 10 중량% 비율의 1종 이상의 유화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유화제는 화장품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유중수 유화제로는 스테롤, 예컨대 콜레스테롤 및 그의 관련 에스테르 및 알콜, 라놀린, 칼슘 올레에이트 및 2가 금속의 기타 지방산 비누, 밀랍, 및 지방산의 다가 알콜, 예컨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적합한 수중유 유화제로는 일반 비누, 부분적 술페이트화 지방 알콜, 세토매크로골 (Cetomacrogol) B. P., 스팬스 (Spans)로 공지된 폴리에톡실화 에스테르, 세티디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검 및 검 대체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크림 형태인 에멀젼은 양호한 막 형성성을 갖고, 적용된 후 매우 만족스러운 느낌을 제공한다. 이러한 에멀젼은 피부 케어, 피부 클렌징 또는 메이크업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피부 케어 제품인 경우, 피부 외양 개선을 위한 주름 방지 제품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메이크업 제품인 경우, 상기에 기재된 특정 비율의 안료 및(또는) 염료를 함유한 파운데이션 또는 마스카라일 수 있다.
피부 타이트닝 효과를 주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무, 브러싱 및 손으로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다양한 수단으로 피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서 더 설명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 한 실시양태를 나타내지만, 단지 예시로서만 제공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논의 및 하기 실시예로부터, 당업자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징을 확인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및 변형하여 다양한 용도 및 조건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성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구입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본원에 모든 인용 문헌의 전체 내용을 구체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양, 농도, 또는 기타 값 또는 파라미터가 범위, 바람직한 범위 또는 바람직한 상위값 및 바람직한 하위값의 목록으로 주어지는 경우, 범위가 따로 개시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임의의 상한 범위 한계 또는 바람직한 값 및 임의의 하한 범위 한계 또는 바람직한 값의 임의의 짝으로부터 형성된 모든 범위를 구체적으로 개시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수치값의 범위가 본원에 기재된 경우,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그 범위는 그의 종점 및 범위 내 모든 정수 및 분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범위 기재시 언급된 특정 값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생체 외 타이트닝 효과
원칙
실시예 1의 원리는 피부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적용된 작은 사인 함수의 힘에 대한 피부 변위의 측정이었다. 측정된 파라미터는 동적 스프링률 (DSR) (힘을 변위로 나눔)이었다. 적용된 힘에 대해 변위가 높을수록 피부는 더 유연하였 고, 변위가 낮을수록 피부는 덜 유연하였다. 피부 타이트닝은 DSR을 증가시키는 반면, 피부 소프트닝은 DSR을 감소시켰다.
방법
(시험 물질로 처리된) 인간 피부 샘플을 현미경 슬라이드 위에 고정시켰다. 상기 샘플을 조절된 습도 (상대 습도, RH = 33%) 및 온도 (20 ℃)를 갖는 대기에서 2 시간 동안 평형을 유지시켰다. 이 후, 기계적 특성을 시험하였다 (시험 물질로 처리 180 분 후). 하기 4 종의 샘플을 시험하였다:
a) 대조군; 처리하지 않음
b) 플라시보 제형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파라핀 함유)로 처리한 피부
c) 플라시보 제형 중 3.85 중량% 농도의 중합체 SY1912 (물 중 비개질된 대두 단백질 단리물 12 중량%)로 처리한 피부
d) 플라시보 제형 중 4.55 중량% 농도의 중합체 SY2515 (물 중 SY2500 15 중량%; SY2500은 환원제로 처리하고, 프탈산 무수물과 반응시키고, 이어서 산화하여 개질시킨 대두 단백질이며,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 소재)로부터 시판됨)로 처리한 피부.
시험 c) 및 d)에서 피부에 적용된 중합체의 양은 4 mg/cm2로 동일하였다.
DSR 파라미터의 증가로 나타낸, 6회의 동일한 검정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3에 요약하였다.
비개질된 대두 단백질의 피부 타이트닝 효과
DSR, 처리 180 분 후 대조군 플라시보 SY1912
검정 1 97.59% 98.72% 102.19%
검정 2 103.17% 101.48% 109.73%
검정 3 98.70% 104.17% 174.94%
검정 4 95.72% 110.09% 121.51%
검정 5 103.03% 105.58% 114.81%
검정 6 100.92% 104.84% 139.28%
평균 99.86% 104.15% 127.07%
SEM (표준 편차의 평균) 1.24% 1.57% 10.87%
통계
NS/대조군
S/대조군
S/플라시보
"NS/대조군", "S/대조군" 및 "S/플라시보"는 통계학상 용어임.
NS/대조군은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고, S/대조군은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S/플라시보는 플라시보 제형에 비해 현저하다는 것을 의미함.
개질된 대두 단백질의 피부 타이트닝 효과
DSR, 처리 180 분 후 대조군 플라시보 SY2515
검정 1 94.96% 85.90% 133.94%
검정 2 102.81% 115.36% 157.39%
검정 3 98.70% 104.17% 202.22%
검정 4 99.65% 110.93% 182.65%
검정 5 106.90% 99.79% 149.45%
검정 6 100.92% 104.84% 194.23%
평균 100.66% 103.50% 169.98%
SEM (표준 편차의 평균) 1.64% 4.17% 11.06%
통계
NS/대조군
S/대조군
S/플라시보
비개질된 및 개질된 대두 단백질로 얻어지는 피부 타이트닝 효과의 비교
플라시보에 비해 DSR의 증가% SY1912 SY2515
검정 1 3.51% 55.92%
검정 2 8.12% 36.43%
검정 3 67.94% 94.13%
검정 4 10.36% 64.66%
검정 5 8.74% 49.77%
검정 6 32.85% 85.26%
평균 21.92% 64.36%
SEM 10.12% 8.92%
통계 S/SY1912
S/SY1912는 개질된 대두 중합체 SY2515에 대한 결과가 기타, 비개질된 대두 중합체 SY1912에 비해 현저하다는 것을 의미함.
결과의 통계학적 분석: 아노바 (ANOVA) 시험 및 사후 검증 PLSD 피셔 (Fisher)
S = 현저함 (p < 0.05) (p가 0.05 미만인 경우, 결과는 현저함).
결론
중합체 SY1912 및 SY2515는 생체 외 인간 피부 상에서 양호한 타이트닝 활성을 나타내었다. 두 제품 모두 적용 180 분 후 DSR 값의 증가는 플라시보 샘플에 비해 현저하였다. 천연 대두 단백질의 화학적 개질은 목적하는 타이트닝 활성을 개선하였다. 두 중합체 SY1912 및 SY2515의 차이는 현저하였다. SY2515가 SY1912 보다 더 우수한 타이트닝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생체 내 타이트닝 효과
원칙
생체 내 타이트닝 효과를 코르네오스피노미터 (corneospinometer)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프랑스 특허 FR-B 제2 822 67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음). 상기 장치는 미세뒤틀림 하 각질의 거동을 평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작은 바늘 (직경 0.8 밀리미터)을 포함하는 탐침으로 피부 표면에 적용된 기계적 토르크에 대한 피부의 각 변형을 측정하였다. 접촉 면적은 0.2 평방 밀리미터 미만이었고, 측정은 각질층으로 제한되었다. 전문 기술로 탐침 축 방향으로 피부에 대해 바늘을 낮춰 바늘의 중량만이 피부에 적용되고 이에 따른 마찰은 감소하였다. 상기 장치는 첫째, 바늘에 주기적으로 토르크를 가하고 둘째, 바늘의 각 위치를 측정하는 2가지 기능을 갖는 코일을 포함하였다.
결과는 기계적 토르크 (일정한 사인 진폭)와 피부의 각 변형 (변수) 간의 비율인 동적 스프링률 (DSR)로 나타내었다. DSR의 증가는 각질에서의 타이트닝 효과에 상응한다.
시험 제품
SY2500, 분말 형태 (SY2500은 환원제로 처리하고, 프탈산 무수물과 반응시키고, 이어서 산화시켜 개질한 대두 단백질로서,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 소재)로부터 시판됨).
방법/시험 조건 (키워드)
- 지원자 1명
- 전완 (forearm) 내부면
- 면적: 3 x 3 cm2
- 적용량 2 mg/cm2
- 50회 측정 평균값
- 결과는 T0 (처리 0분 후)에 대한 처리 10 분 후 DSR의 증가%로 나타냄
피부를 하기 조성물로 처리하였다 (중량%):
SY2500 2.00%
엘레스탭 (Elestab; 등록상표) 388 2.50%
켈트롤 (Keltrol; 등록상표) T 0.20%
NaOH (수중 10%) 0.50%
카르보폴 (등록상표) 980 2% 10.00%
물 100%가 되게 하는 양
엘레스탭 (등록상표) 388의 INCI명은 "프로필렌 글리콜 및 페녹스에탄올 및 클로로페네신 및 메틸파라벤"이다.
켈트롤 (등록상표) T의 INCI명은 "크산탄 검"이다.
카르보폴 (등록상표) 980의 INCI명은 "카르보머"이다.
결과는 하기 표 4에 제시하였다.
생체 내 시험에서 개질된 대두 단백질로 얻어지는 피부 타이트닝 효과
DSR (T10/T0) 증가%
2 중량% 농도의 SY2500 (분말형) 93.3
결론
개질된 대두 단백질인 SY2500 (분말형)은 T0과 비교하여 처리 10 분 후 (T10)에서 DSR의 증가로 입증된 바와 같이 매우 양호한 즉각적인 타이트닝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23)

  1. 환원제로 처리하고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킨 후 산화시켜 개질시킨 대두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타이트닝 효과 발생을 위한 화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충전제, 계면활성제, 요변제, 산화방지제, 보존제, 염료, 안료, 향료, 증점제, 비타민, 호르몬, 보습제, UV 흡수 유기 선스크린, UV 산란 무기 선스크린, 습윤제,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장 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대두 단백질이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01 내지 90 중량%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대두 단백질이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01 내지 60 중량%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대두 단백질이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05 내지 20 중량%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천연 또는 재조합 단백질, 또는 가수분해된 천연 또는 재조합 단백질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천연 또는 재조합 단백질이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01 내지 60 중량%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천연 또는 재조합 단백질이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1 내지 20 중량%인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천연 또는 재조합 단백질이 밀, 귀리 및 쌀 단백질, 콜라겐, 케라틴, 젤라틴, 엘라스틴, 피브로넥틴, 가용성 레티큘린, 가수분해되지 않거나 가수분해된 형태의 비개질 대두 단백질, 및 수용성 실크 단백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무수 조성물이며, 1종 이상의 액체, 고체 또는 반 고체 지방 물질을 함유하는 지방상을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90 중량% 함유하는 것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지방 물질이 이소도데칸,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스쿠알란,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시클로테트라- 및 펜타디메티콘, 페닐트리메티콘, 에틸렌 단독중합체, 에톡실화 지방 및 오일, 플루오로알칸, 미세결정질 왁스, 지랍, 밀랍, 세라사이트, 쉬어 버터, 칸데릴라 왁스, 아라키딜 프로피오네이트, X1X2C=CX3F (여기서, X1, X2 및 X3는 독립적으로 H 또는 F임)의 단량체로 표시되는 플루오로 중합체, 및 에틸렌과 CH2=CH--R3 (여기서, R3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 라디칼, 또는 아릴 또는 아랄킬 라디칼임)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1가 또는 다가 알콜을 함유하는 수용액의 형태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크림 에멀젼, 겔, 건조 분말, 에어로졸, 무스, 유중 알콜 에멀젼, 알콜과 물의 용액, 수용액 또는 에멀젼 용액의 형태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카르보머, 검, 또는 다른 증점제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의 비율로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조성물에 함유된 하나 이상의 성분이 분말의 형태이며, 대두 단백질이 안료 또는 충전제와 함께 존재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대두 단백질이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01 내지 60 중량%인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안료가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바륨, 디앤드씨 레드 (D&C Red) 36번 및 디앤드씨 오렌지 (D&C Orange) 17번, 디앤드씨 레드 7번, 11번, 31번 및 34번의 칼슘 레이크, 디앤드씨 레드 12번의 바륨 레이크, 디앤드씨 레드 13번의 스트론튬 레이크, 에프디앤드씨 옐로우 (FD&C Yellow) 5번의 알루미늄 레이크, 에프디앤드씨 옐로우 6번의 알루미늄 레이크, 디앤드씨 레드 27번의 알루미늄 레이크, 디앤드씨 레드 21번의 알루미늄 레이크, 및 에프디앤드씨 블루 (FD&C Blue) 1번의 알루미늄 레이크, 철 산화물, 망간 바이올렛, 산화크롬, 울트라마린 블루, 및 카본블랙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충전제가 칼슘 카르보네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운모, 탈크, 황산바륨, 황산칼슘, 분말화 폴리아미드, 분말화 폴리에스테르, 분말화 플루오르화 알칸, 및 다른 불활성 분말화 플 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유중수 또는 수중유 유형의 안정한 분산액의 형태이며,
    (a)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50 중량%의 비율의 지방상;
    (b)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 내지 98.9 중량%의 비율의 수성상; 및
    (c)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10 중량%의 비율의 1종 이상의 유화제
    를 포함하고,
    상기 지방상이, 지방상의 총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90 중량%의 비율로 대두 단백질을 함유하는 것인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지방 물질이 이소도데칸,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스쿠알란,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시클로테트라- 및 펜타디메티콘, 페닐트리메티콘, 에틸렌 단독중합체, 에톡실화 지방 및 오일, 플루오로알칸, 미세결정질 왁스, 지랍, 밀랍, 세라사이트, 쉬어 버터, 칸데릴라 왁스, 아라키딜 프로피오네이트, X1X2C=CX3F (여기서, X1, X2 및 X3는 독립적으로 H 또는 F임)의 단량체로 표시되는 플루오로 중합체, 및 에틸렌과 CH2=CH--R3 (여기서, R3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 라 디칼, 또는 아릴 또는 아랄킬 라디칼임)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스킨 케어 제품, 스킨 클렌징 제품, 메이크업, 페이셜 로션, 크림 보습제, 바디 워시, 바디 로션, 발 및 손 크림, 립스틱, 아이섀도우, 파운데이션, 셰이빙 크림 조성물, 셰이빙 로션, 크림 탈모제, 로션 탈모제, 페이셜 마스크 및 노화 방지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22. 삭제
  23. 화장 용도로 사용되는, 피부 타이트닝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 조성물.
KR1020057024234A 2003-06-17 2004-06-15 피부 타이트닝 조성물 중의 개질 대두 단백질 KR101139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7933003P 2003-06-17 2003-06-17
US60/479,330 2003-06-17
PCT/US2004/018767 WO2004112732A2 (en) 2003-06-17 2004-06-15 Modified soy proteins in skin tightening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594A KR20060032594A (ko) 2006-04-17
KR101139979B1 true KR101139979B1 (ko) 2012-05-02

Family

ID=3353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234A KR101139979B1 (ko) 2003-06-17 2004-06-15 피부 타이트닝 조성물 중의 개질 대두 단백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050025725A1 (ko)
EP (2) EP1643967A1 (ko)
JP (1) JP4608615B2 (ko)
KR (1) KR101139979B1 (ko)
CN (1) CN1835731A (ko)
AU (1) AU2004249165A1 (ko)
BR (1) BRPI0411341A (ko)
DE (1) DE602004028250D1 (ko)
ES (1) ES2348981T3 (ko)
MX (1) MXPA05013871A (ko)
WO (2) WO20041127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5013871A (es) * 2003-06-17 2006-03-13 Cognis Ip Man Gmbh Proteinas de soya modificadas en composiciones para reafirmar la piel.
GB0320834D0 (en) * 2003-09-05 2003-10-08 Victrex Mfg Ltd Dispersion and use thereof
DE102004062702A1 (de) * 2004-09-16 2006-03-23 Henkel Kgaa Farbverändernde Mittel mit Moringa Extrakt
US20060242771A1 (en) * 2005-02-28 2006-11-02 Eric Bone Anhydrous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film comprising a film-forming polymer and a direct dye, preparation and dyeing process using the composition
US20060230546A1 (en) * 2005-02-28 2006-10-19 Eric Bone Anhydrous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film comprising at least one film-forming polymer and at least one oxidation dye, preparation, and dyeing process
US7601212B2 (en) * 2005-08-29 2009-10-1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igment particles coated with polysaccharides and having improved properties
US7736633B2 (en) 2005-09-28 2010-06-1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for enhancing effects of colorants and conditioners
CA2624900A1 (en) * 2005-10-04 2007-04-19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Fibronectin polypeptides and methods of use
US20080138417A1 (en) * 2006-11-22 2008-06-12 Charles Grigsby Topical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GB0704599D0 (en) * 2007-03-09 2007-04-18 Reckitt Benckiser Uk Ltd Depilatory composition
JP4251222B2 (ja) * 2007-03-12 2009-04-08 株式会社デンソー 外燃機関
US20080233075A1 (en) * 2007-03-22 2008-09-25 Marina Sokolinsky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tightening
US7824662B2 (en) * 2007-06-06 2010-11-02 Arizona Sunwash LLC Body wash with sunscreen
EP2167111A4 (en) * 2007-06-14 2010-06-09 Univ New York State Res Found POLYPEPTIDES AND METHOD OF USE
CA2712446A1 (en) * 2008-01-22 2009-07-30 Hamlet Protein A/S Composition comprising protein and disperse fat
CA2716611C (en) * 2008-02-25 2013-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sucrose polyesters
US8163685B2 (en) * 2009-04-07 2012-04-24 Michael Goldenberg Soy skin care
EP2436773B1 (en) * 2009-05-29 2015-02-11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Process for production of useful substance, and surfactant for use in the process
FR2951947B1 (fr) * 2009-11-03 2022-01-07 Isp Investments Inc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comprenant un extrait peptidique de riz non fermente pour stimuler la pousse des cheveux
RU2560677C2 (ru) * 2009-12-22 2015-08-20 Лео Фарма А/С Кожн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аналог витамина d и смесь растворителя и поверхностно-активных веществ
EA032840B8 (ru) 2011-06-22 2020-06-18 Вайоми Терапеутикс Лимитед Пролекарства на основе конъюгатов противогрибковых агентов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EP2682096B1 (en) * 2011-11-16 2015-12-30 Seiwa Kasei Company, Limited Cosmetic base material, and cosmetic containing said cosmetic base material
US9439334B2 (en) 2012-04-03 2016-09-06 X-Card Holdings, Llc Information carrying card comprising crosslinked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122968B2 (en) 2012-04-03 2015-09-01 X-Card Holdings, Llc Information carrying card comprising a cross-linked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936687B1 (ko) * 2012-04-06 2019-01-11 (주)아모레퍼시픽 파우더 타입 화장료 조성물
WO2014037906A1 (en) * 2012-09-06 2014-03-13 Design Nutrition And Aesthetics Products (Pty) Limited Hair product
US8679467B1 (en) * 2013-01-30 2014-03-25 Jim Cirile Dyeless all-day facial hair color
WO2014149926A1 (en) 2013-03-15 2014-09-25 X-Card Holdings, Llc Methods of making a core layer for an information carrying card, and resulting products
KR101814895B1 (ko) 2013-06-04 2018-01-04 바이옴 바이오사이언스 피브이티. 엘티디. 코팅된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9856436B2 (en) * 2013-10-11 2018-01-02 Alice Hudson Laundry additives from modified crude protein sources
MX2016009898A (es) 2014-01-29 2017-01-23 Vyome Biosciences Pvt Ltd Tratamientos para acne resistente.
US9107839B1 (en) * 2014-05-08 2015-08-18 Gwendolyn J. Williams Hair care composition
RU2018107227A (ru) 2015-07-28 2019-08-28 Виоме Терапьютикс Лимитед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е и 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е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ые средства
CA3026108A1 (en) 2016-06-10 2017-12-14 Clarity Cosmetics Inc. Non-comedogenic hair and scalp care formulations and method for use
CN110023325B (zh) 2016-10-14 2023-07-04 尼优美特里克斯医疗有限公司 具有提高的生物活性和降低的对嗜中性粒细胞弹性蛋白酶降解易感性的来源于纤连蛋白的肽
US10729741B2 (en) 2017-03-27 2020-08-04 Neomatrix Therapeutics Inc. Methods of treating burns with i.v. cP12 in a window from 2 to 6 hours after injury
WO2019173455A1 (en) 2018-03-07 2019-09-12 X-Card Holdings, Llc Metal card
EP4014952A1 (en) * 2020-12-17 2022-06-22 Kao Corporation Solid composition for keratin fibers
CN115119895B (zh) * 2022-07-06 2024-01-26 山东御馨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大豆分离蛋白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4694A (en) * 1982-11-08 1984-10-02 Ralston Purina Company Modified protein adhesive binder and method of producing
EP0455468A2 (en) * 1990-04-30 1991-11-06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Method of improving the soil anti-redeposition properties of washing detergent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3900A (en) * 1971-03-29 1976-08-10 Wella Ag Hair dye
JPS532506A (en) * 1976-06-28 1978-01-11 Idemitsu Kosan Co Ltd Liquid detergent for clothing
JPS5850638B2 (ja) * 1977-10-13 1983-11-11 ライオン株式会社 洗剤組成物
US4352692A (en) * 1981-03-16 1982-10-05 Ralston Purina Company Modified vegetable protein adhesive binder
US4416873A (en) * 1982-06-01 1983-11-22 Charles Of The Ritz Group Ltd. Combined allantoin-hydrolyzed animal protein skin preparation
US4482537A (en) * 1983-09-19 1984-11-13 Charles Of The Ritz Group Ltd. Skin conditioning composition
US4554337A (en) * 1985-01-18 1985-11-19 Ralston Purina Company Modified protein adhesive binder and process for producing
US4687826A (en) * 1986-10-31 1987-08-18 Ralston Purina Company Modified protein adhesive binder and process for producing
US4824662A (en) * 1987-06-15 1989-04-25 Vi-Jon Laboratories, Inc. Nail polish remover
US4961788A (en) * 1989-06-28 1990-10-09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dhesive binders for paper coat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and whiteness
GB9123251D0 (en) * 1991-11-01 1991-12-18 Croda Int Plc Protein-silicone copolymers
US5635168A (en) * 1994-09-21 1997-06-03 Business Resources Group, Inc. Composition for treating hair
US6013250A (en) * 1995-06-28 2000-01-11 L'oreal S. A. Composition for treating hair against chemical and photo damage
DE19544655A1 (de) * 1995-11-30 1997-06-05 Goldwell Gmbh Oxidations-Haarfärbemittel
US6034198A (en) * 1996-09-13 2000-03-07 Shalaby; Shalaby W. Modified soy protein and thermoplastic articles therefrom
US5766331A (en) * 1996-10-25 1998-06-16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Protein adhesive binder and process for forming a protein adhesive binder
CN1140251C (zh) * 1997-01-21 2004-03-03 株式会社资生堂 染发剂组合物
JP3545588B2 (ja) * 1997-03-24 2004-07-21 株式会社資生堂 毛髪化粧料
US6027738A (en) * 1997-10-31 2000-02-22 E-L Management Corp. Anhydrous matte cosmetic
FR2774588B1 (fr) * 1998-02-11 2000-05-05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contenant au moins une proteine de soie d'arachnides naturelle, recombinante ou un analogue
FR2783418B1 (fr) * 1998-09-17 2000-11-10 Oreal Composition anti-rides comprenant une association de polymeres tenseurs d'origine synthetique et/ou naturelle et de polyesters dendritiques
US6291559B1 (en) * 1999-05-19 2001-09-18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Soy protein thickener
US6299890B1 (en) * 1999-12-22 2001-10-09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Makeup compositions
AUPQ877300A0 (en) * 2000-07-13 2000-08-03 Johnson & Johnson Pacific Pty Limited Topical treatment of skin
DE10230043A1 (de) * 2001-07-25 2003-02-13 Merck Patent Gmbh Druckfarben
MXPA05013871A (es) * 2003-06-17 2006-03-13 Cognis Ip Man Gmbh Proteinas de soya modificadas en composiciones para reafirmar la pi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4694A (en) * 1982-11-08 1984-10-02 Ralston Purina Company Modified protein adhesive binder and method of producing
EP0455468A2 (en) * 1990-04-30 1991-11-06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Method of improving the soil anti-redeposition properties of washing deter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594A (ko) 2006-04-17
DE602004028250D1 (de) 2010-09-02
JP4608615B2 (ja) 2011-01-12
WO2004112732A3 (en) 2005-03-24
EP1643966B1 (en) 2010-07-21
WO2004112745A1 (en) 2004-12-29
US20050008604A1 (en) 2005-01-13
EP1643967A1 (en) 2006-04-12
MXPA05013871A (es) 2006-03-13
BRPI0411341A (pt) 2006-07-11
CN1835731A (zh) 2006-09-20
US20050025725A1 (en) 2005-02-03
ES2348981T3 (es) 2010-12-21
AU2004249165A1 (en) 2004-12-29
EP1643966A2 (en) 2006-04-12
JP2006528132A (ja) 2006-12-14
WO2004112732A2 (en) 200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979B1 (ko) 피부 타이트닝 조성물 중의 개질 대두 단백질
EP1249227B1 (fr) Composition anti-rides a effet immédiat a base de dispersion aqueuse d&#39;au moins une charge minérale.
RU2503444C2 (ru) Полиуретаны в качестве средств модифицирования реологии косметических препаратов
WO2018180009A1 (ja) フラーレン含有化粧料用組成物
JP4294160B2 (ja) 化粧品最終処方物におけるナノディスパージョンの使用
JP2865648B2 (ja) ロウ類の球状の芯部を含む複合メラニン顔料粒子の調製及び化粧品への使用
JP3947668B2 (ja) 水系溶媒用会合性増粘剤、それを含むゲル状組成物及びエマルション組成物
JP2005516048A (ja) 加水分解タンパク質を含有する局所用皮膚及び/又は毛髪組成物
JP2001501636A (ja) 化粧用もしくは皮膚科用の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を基礎としたゲル
JP2005330257A (ja) 化粧料
LU86021A1 (fr) Utilisation de pourdre de graines de lupin dans la realisation de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opharmaceutiques,et compositions ainsi obtenues
JP2002275020A (ja) 油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外用剤
KR20150066826A (ko)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2241240A (ja) 重金属捕捉抗汚染剤としての少なくとも一の穀物抽出物の使用
JPS5810512A (ja) 化粧料
JP2020176067A (ja) ホスファチジルイノシトール含有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JPH115719A (ja) 毛髪化粧料
KR20010102559A (ko) 화장품 및 피부과용 피부관리 조성물
JPH08231348A (ja) 毛髪化粧料
JP2604782B2 (ja) 化粧料
JP4351749B2 (ja) 化粧料および化粧下地料
RU2242216C1 (ru) Лифтинг-крем &#34;д&#34; для сухой и чувствительной кожи
JP2000344697A (ja) 長鎖分岐アルコ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料及び外用剤
DE19631220C2 (de) Schaumförmige oder schäumbar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grenzflächenaktiven Substanzen und Elektrolyten
FR2820314A1 (fr) Utilisation d&#39;un complexe de photoprotecteurs cellulaires comme agent anti-pol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