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490B1 -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490B1
KR102040490B1 KR1020170173023A KR20170173023A KR102040490B1 KR 102040490 B1 KR102040490 B1 KR 102040490B1 KR 1020170173023 A KR1020170173023 A KR 1020170173023A KR 20170173023 A KR20170173023 A KR 20170173023A KR 102040490 B1 KR102040490 B1 KR 102040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oi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2013A (ko
Inventor
유성동
백운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피코스메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피코스메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피코스메틱스
Priority to KR1020170173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4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Tri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o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4Endothermic; Cooling; Cooling sen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에리스리톨(erythritol), 구아이아줄렌(guaiazulene) 및 소듐 벤조트리아졸릴부틸페놀설포네이트(sodium benzotriazolyl butyl phenol sulfonat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구아이아줄렌 및 소듐 벤조트리아졸릴부틸페놀설포네이트는 1:1~1:3 중량비로 포함된다.

Description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SKIN COOLING WITH SKIN MOISTURIZING EFFECT}
본 발명은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피부 적용시, 피부의 온도를 낮추어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 피부의 주요기능은 자외선차단, 미생물, 화학물질등의 외부 오염물질의 차단과 체내 온도 조절이다. 피부는 표면으로부터 차례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고, 그 밖에 모공 및 땀샘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층은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및 기저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중 각질층은 피부장벽을 구성하여 외부물질로부터 차단 및 진피층의 수분유지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표피층은 약 10~20㎛의 두께이며, 단백질로 꽉 찬 새포들이 세포사이의 비극성 층판 지질에 파묻혀있는 형상이다. 피부장벽의 핵심이 되는 지질층의 주성분은 콜레스테롤(30%), 자유지방산(15%), 세라마이드(50%)이다. 지질층의 주성분들은 과립층의 층판소체로부터 유래된다.
남성과 여성의 피부는 사춘기에 분비되는 호르몬의 의해 피부구조와 기능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진피두께가 크지만 반대로 표피, 파히조직 두께는 작다. 피부장벽을 구성하는 지질의 총량은 성에 따라 차이가 없지만, 나이가 같을 시 남성피부에서 세라마이드의 구성 비가 더 높다. 피지량은 남성이 여성보다 훨씬 높으며, 상대적으로 땀이 많이 분비되는 남성의 경우 피부 pH가 평균 4.6으로 여성보다 낮은 특성이 있다.
모공에는 피지선이라 하여 피지를 분비하는 기관이 있다. 여기서 모낭으로 분비되고, 땀을 통해 피지가 몸 밖으로 배출 될 때 장애가 생기면 모공이 커지게 된다. 모공이 넓어지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탄력이 없어진다.
피부온도와 피지 및 모공과의 상관관계는 여러 논문을 통해 밝혀진 바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피부온도가 높아질 경우 더욱 건조해지고 모공이 넓어진다는 보고가 있다. 뿐만 아니라 블랙헤드, 여드름도 피부온도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따라서 피부온도를 낮춰주는 쿨링효과가 있는 화장품을 사용하면 피부보습, 모공수축, 블랙헤드, 여드름에 도움이 되어 트러블 없는 피부를 가꿀 수 있다.
한편, 구아이아줄렌(guaiazulene, 1,4-dimethyl-7-isopropylazulene)은 캐모마일과 구아이아컴(guaiacum)에서 추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캐모마일 정유(Guaiac wood oil), Callis Intratropica Blue, 및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 L.)로부터 추출된다. 피부진정효과를 가진 성분으로 피부장벽을 강화 해주고 피부의 손상을 예방, 회복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과 시술 후 붉어진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화장품과 의약품에 널리 사용한다. 구아이아줄렌은 비슷한 구조를 가진 비극성 나프탈렌과 비교하여, 분자 구조상 극성 성질이 있고, 쌍극자모멘트를 가지는 성분이다. 이러한 특이한 구조로 인해 가시광선 600nm에서 흡수하여 파란색을 띄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아이아줄렌은 착색제로 유니크한 색깔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빛과 열에 대하여 대단히 불안정하여 화장료 제조시, 제형 안정성이 낮고, 변색이 발생하여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2333 호(2008.05.26. 공고, 발명의 명칭: 구아이안 계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피부 쿨링, 모공 크기 축소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제형의 색상 등 심미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자극이 없으며,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료 제형 분리 및 변색 방지 등 화장료의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에리스리톨(erythritol), 구아이아줄렌(guaiazulene) 및 소듐 벤조트리아졸릴부틸페놀설포네이트(sodium benzotriazolyl butyl phenol sulfonat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구아이아줄렌 및 소듐 벤조트리아졸릴부틸페놀설포네이트는 1:1~1:3 중량비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에리스리톨 0.05~10 중량%, 구아이아줄렌 0.01~5 중량% 및 소듐 벤조트리아졸릴부틸페놀설포네이트 0.01~8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제형을 가질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Oil-in-Water(수중유형)(O/W), Water-in-Oil(유중수형)(W/O), Water-in-Silicone(실리콘중수형)(W/S), Oil-in-Water-in-Oil(유중수중유형)(O/W/O) 또는 Water-in-Oil-in-Water(수중유중수형)(W/O/W)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쿨링효과, 모공 크기 축소,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구아이아줄렌의 고유한 색상 발현이 가능하고, 심미성이 우수하고, 화장료의 제형 분리 및 변색 방지 효과가 우수하여, 제형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을 50℃에서 30일 동안 방치한 다음의 변색 정도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 후의 피부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전 피부 온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전, 피부를 가온하였을 때 온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직후의 피부 온도 분포를 나타낸 열화상 카메라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전 후의 피부 온도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전 후의 피부 수분 함유량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전 후의 피부 모공 크기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전의 피부 모공 사진이며, 도 8(b)는 상기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후의 피부 모공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리스리톨(erythritol), 구아이아줄렌(guaiazulene) 및 소듐 벤조트리아졸릴부틸페놀설포네이트(sodium benzotriazolyl butyl phenol sulfonat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에리스리톨(Erythritol)은 당알코올의 한 종류로 탄소가 4개인 4 탄당 화합물이다. 상기 에리스리톨은 와인 등 발효식품 및 메론 등의 과실 등에 함유된 천연 화합물로서, 상업적으로는 포도당을 효모로 발효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생산되고 있다.
상기 에리스리톨은 천연 유래성분으로서 피부 자극이 없고, 물에 잘 용해되며, 피부에 적용시 쿨링효과와 보습성이 우수하다. 또한, pH 안정성이 우수하여 pH 2~10 범위에서도 분해가 되지 않고 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제형안정성도 매우 우수하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에리스리톨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5~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으로 포함시, 피부 쿨링효과, 보습효과 및 제형안정성이 동시에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1~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1~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일리톨(xylito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자일리톨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5~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으로 포함시, 피부 쿨링효과, 보습효과 및 제형안정성이 동시에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1~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아이아줄렌(guaiazulene)은 고유한 색상을 발현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의 심미성을 확보하면서, 피부 진정 효과의 확보를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구아이아줄렌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으로 포함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심미성, 제형안정성과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01~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0.01~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0.01~0.0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듐 벤조트리아졸릴부틸페놀설포네이트(sodium benzotriazolyl butyl phenol sulfonate)는 상기 구아이아줄렌의 변색을 방지하여, 본 발명의 제형안정성 향상을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소듐 벤조트리아졸릴부틸페놀설포네이트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1~8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으로 포함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자극이 없으면서, 변색 방지 효과 및 제형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0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0.02~2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0.02~0.08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구아이아줄렌 및 소듐 벤조트리아졸릴부틸페놀설포네이트는 1:1~1:3 중량비로 포함된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본 발명의 변색 방지 등 제형안정성이 우수하며, 피부 진정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구아이아줄렌 함량을 기준으로, 소듐 벤조트리아졸릴부틸페놀설포네이트를 1:1 중량비 미만으로 포함시, 본 발명의 제형안정성이 저하되며, 상기 구아이아줄렌에 대하여 소듐 벤조트리아졸릴부틸페놀설포네이트를 1:3 중량비를 초과하여 포함시, 본 발명의 제형안정성이 오히려 저하되며, 피부 자극성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1~1:2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구아이아줄렌, 소듐 벤조트리아졸릴부틸페놀설포네이트 및 에리스리톨은 1:0.5~3:20~250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비로 포함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자극이 없으면서, 변색 방지 효과 및 제형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 쿨링, 모공 축소,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용해보조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정제, 방부제, 현탁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살균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가용화제 또는 착향제, 염료, 안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암모늄라우릴술포석시네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등과 같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등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이 가능하다. 또한,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베타인, 아미드베타인형과 같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이 될 수 있으며, 점증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잔탄검,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보머,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등의 화합물이 될 수 있다. 또한, pH 조정제는 구체적으로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구연산나트륨, 인산, 인산나트륨, 젖산 등이 가능하다.
상기 방부제는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히단토인 등이 될 수 있으며, 산화방지제는 구체적으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아스코르빈산 등이 가능하다.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테트라나트륨 등이 가능하며, 살균제는 구체적으로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4급 암모늄염,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살리실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항염증성분으로는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알란토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가능하며, 항균(항미생물)성분은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벤조산 및 그의 염, 벤질알코올, 살리실산, 트리클로카르반,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로는 구체적으로 피이지 60-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착향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 사용되는 통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린징, 오일, 파운데이션, 왁스 또는 스프레이 제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앰플,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팩트, 립글로즈, 립스틱, 섀도우, 샴푸 및 린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Oil-in-Water(수중유형)(O/W), Water-in-Oil(유중수형)(W/O), Water-in-Silicone(실리콘중수형)(W/S), Oil-in-Water-in-Oil(유중수중유형)(O/W/O) 또는 Water-in-Oil-in-Water(수중유중수형)(W/O/W)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쿨링효과, 모공 크기 축소,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구아이아줄렌의 고유한 색상 발현이 가능하고, 심미성이 우수하며, 화장료의 제형 분리 및 변색 방지 효과가 우수하여, 제형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비교예
하기 표 1 및 표 2에 따른 성분 및 함량을 적용하여, 로션(플루이드)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부에 정제수를 평량한 후 혼합(stirring) 하면서 점증제인 잔탄검 및 카보머를 서서히 투입하여 완전히 분산시킨다. 그 후 상기 표 1 및 표 2의 나머지 성분들을 차례로 투입하여 상온에서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7000rpm으로 혼합하였다.
Figure 112017125153548-pat00001
Figure 112017125153548-pat00002
실험예 1: 제형 안정성 평가
실시예 1~4 및 비교예 1~5에 대하여 50℃, 40℃, 25℃, 5℃의 온도에서 각각 4주 동안 보관 후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품의 분리 및 변색 정도는 하기의 6 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 분리 및 변색 평가 기준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Figure 112017125153548-pat00003
도 1은 상기 실시예 2~4 및 비교예 4~5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직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실시예 2~4 및 비교예 4~5의 화장료 조성물을 50℃에서 30일 동안 방치한 다음의 변색 정도를 비교한 사진이다.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4의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분리와, 색상의 변색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제형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1~5의 경우, 상기 실시예 1~4 보다 제형의 점도가 증가하거나, 제형의 분리가 발생하는 등 제형안정성이 저하되었으며, 특히 본 발명의 구아이아줄렌 및 소듐벤조트리아졸릴부틸페놀설포네이트의 함량비를 벗어난 비교예 4~5의 경우, 색상이 회색으로 변색되는 등 제형 안정성이 크게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피부 쿨링감 평가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5의 화장료조성물의 피부 쿨링효과를 평가하였다. 만 19~59세의 성인 여성 50명을 선정하고, 5명을 1개의 그룹으로 하여 10개 그룹으로 분류한 다음, 상기 피험자의 안면부위의 피부를 가온한 다음,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5 조성물을 도포한 직후의 피부 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평균하여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4는 본 발명을 벗어난 비교예 1~5에 비해 피부 쿨링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피부온도 감소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4에 대하여 피부 온도 감소효과를 평가하였다. 상기 피부 온도 측정은 열화상 카메라 T-420을 사용하여 적외선 조사기로 안면 가온 전, 안면 가온 후에, 상기 실시예 4를 적용한 후의 얼굴 전체를 촬영하였다. 촬영한 사진에서 시험제품 사용 부위와 미사용 부위의 온도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한편, 측정된 피부 온도의 단위는 ℃이다.
Figure 112017125153548-pat00004
하기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 4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전 피부 온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4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전, 피부를 가온하였을때 온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 4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직후의 피부 온도 분포를 나타낸 열화상 카메라 사진이다. 또한 하기 도 5는 상기 실시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전 후의 피부 온도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상기 표 4, 도 4 및 도 5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피부에 적용시, 일시적 피부 온도 감소 효과(쿨링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피부 보습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4에 대한 피부 보습 효과를 평가하였다. 상기 피부 보습 측정은 Corneometer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4를 적용하기 전과 후의 얼굴 볼 부위를 측정하였다. 3회씩 측정한 평균 값을 하기 표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측정된 피부 수분함유량의 단위는 A.U(Arbitrary Unit)이며, 측정값과 피부 수분함유량은 비례한다.
Figure 112017125153548-pat00005
도 6은 실시예 4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전 후의 피부 수분 함유량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상기 표 5 및 도 6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4 화장료 조성물 적용시, 피부 수분 함유량이 증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피부 모공 축소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4에 대한 피부 보습 효과를 평가하였다. 상기 피부 모공 크기의 측정은 Antera 3D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4를 적용하기 전과 후, 얼굴의 볼 부위를 촬영하였다. 촬영한 사진에서 특정 영역을 지정해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분석된 모공 크기의 단위는 mm3이며, 분석 값과 모공 크기의 정도는 반비례하므로 분석 값이 감소할수록 모공 크기가 개선됨을 의미한다.
Figure 112017125153548-pat00006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전 후의 모공 크기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전의 피부 모공 사진이며, 도 8(b)는 상기 실시예 4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후의 피부 모공을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표 6, 도 7 및 도 8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4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시, 모공 축소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4)

  1. 에리스리톨(erythritol), 구아이아줄렌(guaiazulene) 및 소듐 벤조트리아졸릴부틸페놀설포네이트(sodium benzotriazolyl butyl phenol sulfonat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구아이아줄렌 및 소듐 벤조트리아졸릴부틸페놀설포네이트는 1:1~1:3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에리스리톨 0.05~10 중량%, 구아이아줄렌 0.01~2.66 중량% 및 소듐 벤조트리아졸릴부틸페놀설포네이트 0.01~8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Oil-in-Water(수중유형)(O/W), Water-in-Oil(유중수형)(W/O), Water-in-Silicone(실리콘중수형)(W/S), Oil-in-Water-in-Oil(유중수중유형)(O/W/O) 또는 Water-in-Oil-in-Water(수중유중수형)(W/O/W)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73023A 2017-12-15 2017-12-15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40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023A KR102040490B1 (ko) 2017-12-15 2017-12-15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023A KR102040490B1 (ko) 2017-12-15 2017-12-15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013A KR20190072013A (ko) 2019-06-25
KR102040490B1 true KR102040490B1 (ko) 2019-11-05

Family

ID=6706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023A KR102040490B1 (ko) 2017-12-15 2017-12-15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4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008B1 (ko) * 2023-12-27 2024-01-30 이하리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678B1 (ko) * 2018-08-23 2021-01-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간지방줄기세포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47357A1 (en) * 2013-11-22 2015-05-28 Mary Kay Inc. Compositions for Sensitive Skin
WO2017034367A2 (ko) 2015-08-27 2017-03-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표면 개질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53881B (en) * 1995-10-16 2001-09-11 Kao Cor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mide derivativ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47357A1 (en) * 2013-11-22 2015-05-28 Mary Kay Inc. Compositions for Sensitive Skin
WO2017034367A2 (ko) 2015-08-27 2017-03-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표면 개질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008B1 (ko) * 2023-12-27 2024-01-30 이하리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013A (ko)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0464A (ko) 모발 및 두피에 대한 약물 방출을 위한 막-형성 액체 제형
KR101987559B1 (ko)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62952B1 (ko)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43485B1 (ko)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CN105687059A (zh) 一种用于抗衰老的化妆品组合物及其配制方法、应用
KR102248733B1 (ko)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glawe et al.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polyherbal facial scrub
KR102040490B1 (ko)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1558A (ko) 피부장벽 강화효과가 우수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8325130A (ja) 化粧料
KR20190105383A (ko) 자가발포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60777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147137A1 (ja) セラミド配合外用剤組成物
CN113853195A (zh) 皮肤治疗组合物和防腐体系
JP6179513B2 (ja) 育毛剤組成物
WO2014185461A1 (ja) 育毛剤組成物
JP5291365B2 (ja) ケラチン状態改善剤
JP7256624B2 (ja) ジェル状皮膚外用剤又は皮膚化粧料
JP5945566B2 (ja) かゆみ軽減剤及びそれを用いたかゆみ軽減組成物並びに外部刺激により生じるかゆみを軽減する方法
JP3479048B2 (ja) 化粧料及び不織布含浸化粧料
JP2001019611A (ja) 皮膚外用組成物
JPH11302147A (ja) 化粧料
KR101107312B1 (ko)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 및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240555A (ja) 美肌用外用剤
JP2021054721A (ja) アデノシンリン酸含有組成物のべたつき改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