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377B1 - 항염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377B1
KR101911377B1 KR1020160162821A KR20160162821A KR101911377B1 KR 101911377 B1 KR101911377 B1 KR 101911377B1 KR 1020160162821 A KR1020160162821 A KR 1020160162821A KR 20160162821 A KR20160162821 A KR 20160162821A KR 101911377 B1 KR101911377 B1 KR 101911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dermatitis
composition
presen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763A (ko
Inventor
우진석
김대희
서원민
강선엽
양지영
강태호
정혜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켐
Priority to KR1020160162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377B1/ko
Priority to PCT/KR2016/014079 priority patent/WO2018101517A1/ko
Publication of KR20180062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3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Y10S514/85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피부 안정성으로 인체에 무해할 뿐 아니라 염증성 피부질환 관련 매개 인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우수한 항염 효과를 나타내어 항염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염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본 발명은 독성이 없고, 염증성 피부질환 관련 매개 인자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상승된 항염 활성을 갖는 항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염증반응은 외부의 생물학적인 원인(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물리학적인 원인(기계적인 자극, 열, 방사선, 전기), 화학적인 원인 등으로 인한 세포나 조직이 손상을 입거나 파괴되었을 때, 그 손상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기 위하여 국소적으로 일어나는 면역반응을 의미한다.
상기 염증반응은 생체를 보호하고, 조직 손상으로 생성된 산물들을 제거하는데 유용한 방어 메카니즘으로, 국소 혈관과 체액에 존재하는 각종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효소 활성화, 염증매개물질 분비, 체액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홍반, 부종, 발열 또는 통증 등을 수반하거나 상기와 같은 증상에 의해 기능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염증반응은 다양한 생화학적인 현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면역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염증반응과 관련된 다양한 효소에 의해 반응이 개시되거나 조절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면역세포들은 히스타민(histamine),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 또는 프로스타글라딘 E2(prostaglandin E2, PGE2) 등의 도움으로 혈관을 통해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염증반응을 개시한다. 상기 손상된 부위로 이동한 면역세포는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β(interleukin-1β) 또는 IL-6(interleukin-6)와 같은 사이토카인(cytokine)이나 MIP-1, IL-8 또는 MCP-1등과 같은 케모카인(chemokine)을 분비하여 직접적인 외부침입물질을 파괴하거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아 염증반응을 개시한다.
상기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interferon-γ, lipoteichoic acid, lipopolysaccharide(LPS) 등의 염증유발 물질이나 다양한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에 노출될 경우,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와 COX-2(cyclooxygenase-2)가 발현되어, NO와 PGE2가 과량 생성된다. 이들 여러 염증 개시인자들(iNOS, COX-2, TNF-α, IL-6 등)은 활성화된 NF-κB에 의해 전사가 촉진되며, 이로 인해 NO가 필요이상으로 생성되면 쇼크에 의한 혈관확장, 염증반응에 의해 유발되는 조직손상, 돌연변이유발(mutagenesis), 신경조직의 손상을 일으키거나 만성 염증을 유발하여 더욱 더 심각한 조직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현재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이부프로펜과 같은 합성의약제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코티손, 면역억제제, 면역 항진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치료효과가 일시적이거나 단순 증상완화, 과민반응, 면역체계 악화 등의 부작용이 많고, 염증의 근본적인 치료에는 한계를 가졌다. 또한, 특허문헌 1 내지 4 에는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의한 또 다른 피부자극 또는 변색 등의 이유로 그 사용량이 제한되거나 물에 대한 용해도가 좋지 않아 실제 제품 적용시 용도의 제한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어려웠다.
이에, 본 출원인은 염증성 피부질환 관련 매개 인자인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이나 케모카인의 활성 억제 정도에 대한 연구를 심화한 결과, 보습성분으로 알려진 특정 성분의 조합에서 사이토카인(IL-6 등) 및 케모카인(IL-8, MCP-1 등)의 발현 억제에 효과를 보일 뿐 아니라 단독 성분으로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시 현저한 상승 효과를 보임을 발견하여, 이를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허문헌1)한국등록특허제0563548호 (특허문헌2)한국등록특허제0697319호 (특허문헌3)한국등록특허제1309172호 (특허문헌4)한국특허등록제1141802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며, 피부 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항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한 피부 밀착성으로 향상된 보습효과의 제공과 함께 쿨링 효과를 제공하여 피부 진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항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 및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항염 조성물은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을 조절하거나 염증 매개분자의 발현 억제에 의해 자극과 염증을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항염 조성물은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 등과 같은 사이토카인이나 인터루킨-8(interleukin-8, IL-8), 단핵구 화학유인 단백질-1(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 등과 같은 케모카인에 의해 과도하게 생성된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E2, PGE2)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염증반응을 억제 및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토카인의 조절은 물론 염증 매개분자인 일산화질소,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E2, PGE2)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반응을 억제 및 차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대식세포에서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IL-6 등)과 케모카인(IL-8, MCP-1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과 동시에 LPS 자극 후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NO형성을 억제함으로써, 탁월한 항염 효과를 갖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항염 조성물은 독성 또는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아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및 약학 조성물로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염 조성물에 대하여 이하 상술하나,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방어 목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경, 혈관, 임파관, 체액 반응, 세포 반응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통증, 부종, 발적, 발열 등을 일으켜 기능장애를 유발하는 것을 통칭한다. 상기 염증으로 인한 염증성 피부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접촉성 피부염, 습진성 피부염, 광선 피부염, 지루 피부염, 포진성 피부염, 편평태선, 경화태선, 괴저성 농피증, 천포창, 수포성 표피박리증, 전신성 경화증, 피부근염, 다발성 근염, 염증성 근병변, 나병, 세자리 증후군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두드러기(urticaria),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및 약품 알러지 등의 알러지성 피부염 또한 동일 범주에 속한다.
또한, 상기 염증은 생체 내에서 다양한 생화학적 현상에 의해 발생되며, 특히,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을 생합성하는데 관련된 효소인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와 L-아르기닌(L-arginin)으로부터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를 생성시키는 효소인 니트릭옥사이드 신타제(nitric oxide synthase, NOS)는 염증 반응을 매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프로스타글란딘“은 몸속에서 합성되는 일종의 생리활성 호르몬으로서,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프로스타글란딘은 PGE1, PGE2, PGE3로 3종류가 있으며, PGE1과 PGE3는 염증을 억제하고, PGE2는 염증을 유발시킨다. 상기 프로스타글란딘은 아라키돈산을 전구체로 하여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를 통해 생합성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는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의 제1단계를 촉매하는 효소로서, 아라키돈산에 2분자의 산소를 도입하여, PGE2를 합성하며, 프로스타글란딘 엔도페록시드 신타아제라고도 불린다. 한편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도 COX-1, COX-2로 2종류의 이소형태가 존재한다. COX-1는 세포 내에 항상 존재하여 세포보호 작용에 필요한 프로스타글란딘을 합성하는 작용을 하는 반면 COX-2는 염증 반응 시 세포내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염증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용어,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는 각종 사이토카인이나 외부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iNOS(induced NOS)에 의해 발생되며, 세포독성이나 각종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만성 염증은 iNOS 활성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Appleton L.et al Adv. Phamacol., 35. 27-28.1996).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의 의미는 항염 조성물로써, 항염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도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의 피부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접촉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해당 조성물을 피부 내부로 흡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도포로 염증 상태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발명에서 “용해”는 물을 포함하는 용매에 완전히 녹는 상태뿐만 아니라 미셀 등에 의한 가용화 상태, 또는 수성 용매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육안으로 투명한 액의 상태를 포함하며, 각 물질의 용해도 측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험 방법으로 측정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출원인은 염증성 피부질환 관련 매개 인자인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의 활성 억제 정도에 대한 연구를 심화한 결과, 보습 성분으로 알려진 특정 성분의 조합에서 항염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성분의 단순 배합에 따른 예상치 못한 우수한 상승작용적 항염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어, 다양한 양태의 제형으로 안전하게 활용 될 수 있는 새로운 양태의 항염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항염 조성물은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 및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항염 조성물은 염증과 관련된 각 수준의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고, 염증을 직접적으로 유도하는 NO의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 및 차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대식세포에서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IL-6 등)과 케모카인(IL-8, MCP-1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과 동시에 LPS 자극 후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NO형성을 억제함으로써, 탁월한 항염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항염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밀착성으로 향상된 보습효과의 제공과 함께 쿨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겁고 미끌거리는 히알루론산 고유의 사용감을 가볍고 산뜻하게 전환시켜 줌으로써, 부드러운 사용감으로 피부에 도포되어 우수한 밀착성으로 상술된 항염 효과를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알루론산은 D-glucuronic acid와 N-acetyl-D-glucosamine이 β-1,3결합으로 연결된 구조가 교대로 반복되어 β-1,4결합으로 연결된 쇄상구조를 가진 것으로, 분자량은 수십만에서 수백만에 이르는 고분자 다당으로 매우 높은 점성을 가진다. 이는 닭의 볏으로부터 추출하거나 발효법 등에 의해, 통상의 방법으로 수득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의 염 형태 역시 포함한다. 상기 히알루론산의 염으로는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칼륨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모든 염 형태 역시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때, 상기 히알루론산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고분자 히알루론산, 저분자 히알루론산 등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분자 히알루론산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0 내지 3,000,000 Da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저분자 히알루론산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0 Da 미만인 것일 수 있으며, 상술된 보습효과 및 쿨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고분자 히알루론산 단독 또는 저분자 히알루론산과 고분자 히알루론산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항염 조성물에서 상기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 및 히알루론산의 사용량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우수한 밀착성으로 피부에 도포되어 피부 진정 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목적하는 항염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측면에서 좋게는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히알루론산을 10 내지 200 중량부 범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히알루론산을 50 내지 150 중량부 범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항염 조성물은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는 통상의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 및 히알루론산과의 뛰어난 상용성으로 제형 안정성을 높이고, 상호간의 수소 결합에 의해 산뜻한 제형감과 함께 보습 효과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 글리세린 단독 또는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혼합 용매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혼합 용매에 추가되는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는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5-펜탄디올, 1,2-헥산디올, 1,8-옥탄디올 및 1,10-데칸디올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특히, 상기 글리세린과 1,2-헥산디올, 1,8-옥탄디올 및 1,10-데칸디올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혼합된 혼합 용매의 경우, 놀랍게도 상기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와의 조합으로 항균 효과에서, 시너지를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항염 조성물은 상기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혼합 용매를 포함하는 경우, 난용성 또는 불용성 물질의 가용화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우선된다.
상기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의 사용량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가 혼합 용매일 경우, 글리세린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글리세린 외 추가 용매를 10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 범위에서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항염 조성물은 물에 대한 난용성 또는 불용성 물질의 가용화를 돕는다. 이때, 상기 난용성 또는 불용성 물질의 바람직한 일예로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대부분 배당체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항산화, 항알러지, 항염, 항균 등의 다양한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허나, 이들은 물에 대한 난용성 또는 불용성의 대표적인 원료로, 이들을 제형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과량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가용화 처리 후 사용되거나 포집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가용화 처리 후 사용되어야 했다.
그러나, 놀랍게도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항염 조성물이 상기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용해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르면, 상기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가용화 처리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유효량 이상 가용화가 가능하다. 특히, 항염·항균 효과에서의 상승 작용을 보임은 물론이고,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효능·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측면에서, 상기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바람직한 일예로는 아피제닌, 카테킨, 다이드제인, 제니스테인, 캠퍼롤, 나린제닌, 케르세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당전이 유도체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속한다.
일예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플라보노이드 성분 중 카테킨의 용해도를 200 배 이상(카테킨의 물에 대한 용해도, 5㎍/㎖)으로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케르세틴, 아피제닌(물에 대한 용해도, 5㎎/㎖ in 1M KOH) 등과 같이 염기 존재 하에서만 용해가 가능했던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가용화 역시 가능케 할 수 있음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가용화를 위해 사용되는 과량의 계면활성제 또는 염기에 의해 유발되는 안정성의 저하(일예, 변색, 변취, 역가 등의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유효량 이상 가용화 함으로써, 효능·효과를 최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어 좋다. 이때, 상기 플라보노이드의 사용량은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1 내지 0.2 중량% 범위로 사용되는 경우, 상술된 효능·효과에 있어 우선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항염 조성물은 인터루킨-6의 발현, 인터루킨-8의 발현 및 단핵구 화학유인 단백질-1의 발현 중 하나 이상의 억제에 관여하는 것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항염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항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은 사이토카인의 활성 억제, 피부 안전성, 제형화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적절하게 함량 범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염 조성물의 사용량은 제한되지 않으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 및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염 조성물은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를 더 포함함으로써, 산뜻한 제형감의 부여와 함께 향상된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인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 및 히알루론산에 글리세린이 혼합되어 사용될 경우, 제형 내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와 히알루론산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겔링 현상을 유도하여 무겁고 미끌거리는 히알루론산 고유의 사용감을 가볍고 산뜻하게 전환시켜 줌과 동시에 부드럽게 피부에 도포되어 우수한 밀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인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 및 히알루론산에 글리세린과 1,2-헥산디올, 1,8-옥탄디올 및 1,10-데칸디올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혼합된 혼합 용매의 경우,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 단독 사용 대비 현저하게 향상된 항균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난용성 또는 불용성 물질의 가용화능을 향상시키는 가용화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특별히 개시된 제조방법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알려진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예로,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팩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형화 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유화 제형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유화제, 점증제, 유제, 오일, 왁스, 윤활제, 알코올류, 수용성 고분자제, 젤화제, 안정화제, 무기분체, 항료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가용화 제형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및 유탁화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성분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물; C1~C4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글리콜 등에서 선택되는 폴리올;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류; 수용성 폴리펩타이드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그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수용성 고분자; Tween 20, Tween 60, 및 Tween 80 등에서 선택되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 및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폴리 펩타이드류, 고분자 다당체, 스핑고 지질 세라마이드 및 해초 엑기스 등에서 선택된 성분; 및 항염증제, NO 저해제 또는 COX-2 저해제 등에서 선택된 성분;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절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 및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식물에 대응하는 생물군으로 주로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섭취하고, 소화기관, 배설기관 및 호흡기관이 분화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좋게는 포유류, 더욱 좋게는 인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상기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 및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을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또 다른 일예로,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에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체중 1 ㎏당 0.01~500 ㎎, 바람직하게는 0.1~100 ㎎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률,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외용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유화제, 점증제, 유제, 오일, 왁스, 윤활제, 알코올류, 수용성 고분자제, 젤화제, 안정화제, 무기분체, 항료, pH 조절제, 방부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분무제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로션, 크림, 겔, 패취, 분무제 등의 외용제, 좌제, 주사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연고, 로션, 크림, 겔, 패취, 분무제 등의 외용제 형태의 약학 조성물이 우선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공지의 항염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된 물질, 일 예로 항염증제, NO 저해제 또는 COX-2 저해제 등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가진다. 상기 염증성 피부 질환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아토피 피부염, 건선, 접촉성 피부염, 습진성 피부염, 광선 피부염, 지루 피부염, 포진성 피부염, 편평태선, 경화태선, 괴저성 농피증, 천포창, 수포성 표피박리증, 전신성 경화증, 피부근염, 다발성근염, 염증성 근병변, 나병 또는 세자리 증후군일 수 있으며, 특히 아토피 피부염, 건선, 접촉성 피부염 등의 개선 효과가 탁월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세포독성 확인)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람의 섬유아세포(ATCC 2076)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사람의 섬유아세포(ATCC 2076)를 5x104cells/ml의 농도로 하여, 소혈청 10%를 함유한 IMDM (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GIBCO) 24웰 배양판에 접종하였다. 접종 후 24시간 후 혈청이 없는 배지로 교체한 다음, 시험 시료를 1, 10 , 100 ㎍/㎖의 농도로 첨가하여 하루 동안 37 ℃, 5% CO2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등액을 제거 하고 다시 5%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를 200 ul씩 가하여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MTT 용액을 웰당 1.0㎖씩 가한 후 4시간 후에 MTT를 제거한 후 DMSO를 웰당 1.0㎖씩을 가하여, 15시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고,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음성 대조군으로는 상기 유효성분을 사용하지 않은 무처리구를 채택하였다.
(식 1)
세포 생존율(%) = (A570λ값/B570λ값) × 100
A: 실시예의 570nm에서 흡광도값
B: 음성대조군의 570nm에서 흡광도값
(항염 효능 평가)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대식세포주에서 LPS 자극에 의한 IL-8, MCP-1 및 IL-6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인간 대식 세포주(Human macrophage cell line)인 THP-1 cell(한국세포주은행(KCLB), 40202)을 6-well plate에 2×106 cells/well이 되도록 seeding하고 12시간 동안 세포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여기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항염 조성물의 최종 농도가 각각 1, 10 , 100 ㎍/㎖이 되도록 처리하고, 21시간 뒤에 LPS의 최종 농도가 20 ㎍/㎖이 되도록 추가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배양액 50 ㎕를 취하여 인터루킨-8 (Interleukin-8; IL-8), 단핵구 화학유인 단백질-1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인터루킨-6 (Interleukin-6; IL-6) ELISA 키트 (입수처: BD pharmigen, USA)를 이용하여 LPS에 의한 IL-8, MCP-1, IL-6 유리 억제 효과(억제능)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억제능은 표준물질인 유전자 재조합형 IL-8, MCP-1, IL-6의 각 흡광도를 토대로 표준 곡선을 그려 흡광도와 표준물질간의 반응식을 구한 후, 처리된 각각의 배양액의 흡광도를 대입하여, 인터루킨-8 또는 단핵구 화학유인 단백질-1의 분비량을 얻었다. 이후 아래의 식 1에 의해 자극완화율을 평가하였다.
(식 1)
자극완화율(%) = 100 x [1-(LPS과 처리군에서의 IL-8, MCP-1 또는 IL-6 분비증가량/ LPS 단독처리군에서의 IL-8, MCP-1 또는 IL-6 분비증가량)]
(항균 효능 평가)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박테리아로는 그람양성균으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그람음성균으로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효모로는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ATCC 10231),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ATCC22343)을 사용하였다.
배양한 각각의 균주를 응고된 평판 배지 위에 약 50㎕를 가하여 평판배지에 분주하고 스프레더(spreader)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말 하였다. 각각의 조성물을 지름이 10mm인 페이퍼디스크(paper disk)에 약 40 ㎕를 흡수시킨 후 용매를 건조시키고 균주가 도말된 배지 표면상에 밀착시켜 30 ℃조건의 배양기에서 48 시간 이상 배양 후 페이퍼디스크 주변에 형성된 투명환 (clear zone)의 크기를 측정하여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미생물은 페이퍼디스크 근처에서 생장을 못하므로 평균직경 값이 넓어질수록 항균활성이 우수하다. 또한, 양성 대조군으로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MP)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이때, 직경이 클수록 해당 균주에 대해 항균 효과가 높음을 의미하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항염 조성물을 제조한 후 상기의 방법으로 세포독성 및 항염·항균 효과를 평가하였다.
(비교예 1-6)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조성물을 제조한 후 상기 상기의 방법으로 세포독성 및 항염·항균 효과를 평가하였다.
Figure 112016118107155-pat00001
상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된 조성물에 있어서, 비교예 4 내지 6의 경우, 제형이 불안정하게 형성되어 유화 후 1일 이내 (-)-카테킨의 침전 현상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비교예 4 및 5의 안정성이 불량하였다.
Figure 112016118107155-pat00002
상기 표 2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항염 조성물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세포 생존율이 거의 감소하지 않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항염 조성물이 상기 시험농도에서 세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특정 비율을 만족하는 경우 세포 독성에 탁월함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16118107155-pat00003
상기 표 3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항염 조성물은 대식세포에서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IL-6 등)과 케모카인(IL-8, MCP-1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과 동시에 LPS 자극 후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NO형성을 억제함으로써, 탁월한 항염 효과를 갖는다.
특히,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 또는 히알루론산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 및 2 대비, IL-6의 발현 억제는 최대 220% 이상, MCP-1 의 발현 억제는 최대 197% 이상, IL-8의 발현 억제는 최대 410% 이상으로 현저하게 향상된 항염 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비교예 2_100㎍/㎖ vs 실시예 4_10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염 조성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IL-8, MCP-1 및 IL-6의 분비가 억제되며, 특히, 100 ㎍/㎖의 농도일 때, 각 억제능이 최대가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항염 조성물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거나 불용성인 폴리페놀류(일예, 카테킨, 케르세틴 등)의 가용화능(solubilization ability)을 향상시켜, 본 발명에 따른 효능·효과에 시너지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6118107155-pat00004
상기 표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염 조성물은 뛰어난 항염 효과 뿐 아니라 항균 효과에 있어, 현저하게 향상된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상술된 항균에 대한 효과는 합성 항균제로 알려진 메틸 파라벤에 준하는 것이다.
요컨데,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며, 피부 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항염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에 대한 우수한 밀착성으로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이상적인 약리작용 및 효능·효과를 부여할 수 있어, 새로운 항염용 원료로 다양한 양태로 제형화 되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형예 1)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6118107155-pat00005
(제형예 2)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6118107155-pat00006
(제형예 3)
하기 표 7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연고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6118107155-pat00007
(제형예 4)
하기 표 8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겔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6118107155-pat00008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 및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를 더 포함하는 항염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는 글리세린,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5-펜탄디올, 1,2-헥산디올, 1,8-옥탄디올 및 1,10-데칸디올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항염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플라보노이드를 더 포함하는 항염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아피제닌, 카테킨, 다이드제인, 제니스테인, 캠퍼롤, 나린제닌, 케르세틴 및 이들의 당전이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항염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 및 히알루론산은 1: 0.1 내지 1:2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항염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터루킨-6의 발현, 인터루킨-8의 발현 및 단핵구 화학유인 단백질-1의 발현 중 하나 이상의 억제에 관여하는 것인 항염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인 항염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또는 팩으로 제형화되는 것인 항염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되는 것인 항염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인 항염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피부 질환은 아토피피부염, 건선, 접촉성피부염, 습진성 피부염, 광선 피부염, 지루 피부염, 포진성 피부염, 편평태선, 경화태선, 괴저성 농피증, 천포창, 수포성 표피박리증, 전신성 경화증, 피부근염, 다발성근염, 염증성 근병변, 나병 또는 세자리 증후군인 항염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60162821A 2016-12-01 2016-12-01 항염 조성물 KR101911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821A KR101911377B1 (ko) 2016-12-01 2016-12-01 항염 조성물
PCT/KR2016/014079 WO2018101517A1 (ko) 2016-12-01 2016-12-02 항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821A KR101911377B1 (ko) 2016-12-01 2016-12-01 항염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763A KR20180062763A (ko) 2018-06-11
KR101911377B1 true KR101911377B1 (ko) 2018-10-25

Family

ID=6224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821A KR101911377B1 (ko) 2016-12-01 2016-12-01 항염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1377B1 (ko)
WO (1) WO20181015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1367B (zh) * 2018-12-17 2021-11-12 贺鹏 一种婴儿专用的蛋白质乳霜
CN113712841B (zh) * 2021-11-01 2022-02-11 深圳市萱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甘油葡萄糖苷在制备口腔护理产品中的应用
CN116473901B (zh) * 2023-06-12 2023-11-07 广州丽彦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保湿修护的冻干面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9539A1 (en) * 2006-11-22 2010-08-19 Ocumedic Ap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for treatment of a disease or disorder of the eye and/or the adnexa of the eye
US20140010847A1 (en) * 2011-07-12 2014-01-09 Aihol Corporation Material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mucosa related diseas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548B1 (ko) 2004-05-18 2006-03-27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마가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97319B1 (ko) 2005-05-30 2007-03-20 한불화장품주식회사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된 마가목추출물의 제조방법과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09172B1 (ko) 2005-06-29 2013-09-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141802B1 (ko) 2009-10-30 2012-05-04 (주)아모레퍼시픽 남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62331B1 (ko) * 2010-04-02 2012-07-04 주식회사 진켐 플라보노이드 당전이 유도체의 제조방법
MY172807A (en) * 2011-11-24 2019-12-12 Toyo Sugar Refining Co Ltd Protective agent for keratoconjunctiva or suppressive agent for keratoconjunctival disorder
EP2861239A4 (en) * 2012-06-17 2016-05-04 Kamedis Ltd TOP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SKIN INFLAMMATORY DISEAS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9539A1 (en) * 2006-11-22 2010-08-19 Ocumedic Ap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for treatment of a disease or disorder of the eye and/or the adnexa of the eye
US20140010847A1 (en) * 2011-07-12 2014-01-09 Aihol Corporation Material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mucosa related dise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517A1 (ko) 2018-06-07
KR20180062763A (ko)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079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95225B1 (ko) 독일붓꽃, 병풀, 캐모마일, 달맞이꽃 및 어성초 추출물을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2575971B1 (en) Combined plant extract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microbial infections
KR101015702B1 (ko)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US8835496B2 (en)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 fat or oil of an essential fatty acid triglyceride for treating of skin, mucosa, hair, nails, or scalp
KR101911377B1 (ko) 항염 조성물
KR20070111785A (ko) 병풀 및 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
KR101831883B1 (ko)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30584A (ko)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8404B1 (ko) 올리고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70003365A (ko) 항염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문주란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1115061A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20160119967A (ko)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40004199A (ko) 올벚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348776B1 (ko) 토란 생물전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12324A (ko) 피부 염증성 질환 치료용 다시마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230120619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20062615A (ko) 부챗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870420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피부용 저자극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631A (ko)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80017974A (ko)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6924A (ko) 항염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참식나무 정유 추출물 및 그 용도
KR102488864B1 (ko)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10036318A (ko) 항염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참식나무 정유 추출물 및 그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