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162A -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162A
KR20150101162A KR1020140022497A KR20140022497A KR20150101162A KR 20150101162 A KR20150101162 A KR 20150101162A KR 1020140022497 A KR1020140022497 A KR 1020140022497A KR 20140022497 A KR20140022497 A KR 20140022497A KR 20150101162 A KR20150101162 A KR 20150101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breviscapine
pers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백
이정아
정은선
박덕훈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2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1162A/ko
Publication of KR20150101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81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involving autoimmunity, allergy, immediate hypersensitivity, delayed hypersensitivity, immunosuppression, immunotolerance, or anergy

Abstract

본 발명은 개망초 추출물 (Erigeron annuus (L.) Pers. extract) 또는 개망초로부터 단리된 활성물질인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약제학적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에오탁신-1의 과발현을 저해하며 또한 일산화질소의 과발현을 저해함으로써, 이들로 인해 매개되는 피부염증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및 약제학적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inflammation comprising Erigeron annuus (L.) Pers. extract or breviscapine or salts thereof}
본 발명은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약제학적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지속적인 소양감과 피부의 급, 만성 습진 병변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염증성 피부질환으로 피부병변 외에도 천식, 알러지성 비염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그리고 알러지성 피부염은 알러지 면역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피부증상으로 아토피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곤충 알러지, 식품 또는 약품 알러지 등이 포함된다.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러지성 피부염은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염증억제가 치료의 주요 타겟이 되고 있다.
피부염증의 병변에서 염증반응의 시작과 유지에는 피부림프구 관련 항원을 발현하는 CD4+ 또는 CD8+ T 세포나 호산구 등 여러 염증세포가 병변에 침윤하는 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사이토카인이나 케모카인이 관여하며 이와 관련된 수용체가 염증세포, 각질형성세포, 섬유아세포 등 여러 세포에 발현한다고 알려져 있다.
케모카인은 피부에 염증 세포가 침윤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C-C 케모카인인 에오탁신-1(eotaxin-1)은 이러한 피부염 병변에서 특히 증가하며, 이는 C-C 케모카인 수용체3(CCR3)를 가진 호산구와 Th2 세포의 화학주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에오탁신-1은 호산구를 피부염 병변으로 끌어들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호산구들은 매우 독성이 강한 단백질기와 자유기 (free radical)를 분비하므로 미생물과 기생충을 죽일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이들이 부적절하게 활성화될 경우 숙주에게 심각한 조직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매우 엄격하게 조절되어진다. 이러한 호산구들이 순환혈액에서 조직으로 이동할 때 열쇠가 되는 물질이 에오탁신-1이며, 염증부위의 조직으로부터 분비된 에오탁신-1이 호산구 표면의 CCR3 수용체에 결합함으로서 염증병변으로의 호산구 이동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들 에오탁신-1과 CCR3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피부염증반응을 막을 수 있다.
염증발생 병변에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게 된다.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염증반응을 조절하기 위해 유도성 일산화질소 생성효소인 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이로 인해 일산화질소(nitric oxide)의 생성이 증가하게 된다. 일산화질소는 사이토카인과 같은 염증성 자극에 의해 상피세포와 대식세포, 호산구와 같은 염증세포에 의해 생성됨이 알려져 있어 과면역반응과 함께 염증반응을 반영한다. 즉, 염증반응에 의해 생성된 산물이 일산화질소이며, 이는 염증반응에서 화학적 매개체로 역할한다. 또한 최근에는 알레르기 비염 및 천식에서 호기 중 일산화질소 농도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비침습적인 하기도 염증의 임상적 지표로 각광받고 있고 실용화를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아토피는 1970년대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발병되는 중요 질병 중의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유병률이 인구의 20%라는 보고가 있다. 미국에서는 1,500만 명의 사람들이 아토피를 앓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초중고생의 16.3%가 아토피를 앓고 있다 (Ahn S.Y. et al., J. Skin Barrier Res., 8, 47-51, 2006). 현재,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로는 스테로이드 제제, 국소 면역억제제 및 항히스타민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약물제제를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피부가 얇아지거나 피부색의 변색, 골다공증, 동맥경화, 발암 가능성 및 내성으로 인한 증상 악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는 국화과 개망초속의 두해살이풀로, 북아메리카가 원산이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북아메리카에만 173종의 개망초속 식물이 자생하고 있어 가장 다양성이 높은 식물속이다. 개망초는 베타시토스테롤 (-sitosterol), 다이드제인 (daidzein), 아피제닌 (apigenin), 쿼세틴 (quercetin), 프로토카테츄익산 (protocatechuic acid), 파이로메코닉산 (pyromeconic acid),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민간에서 개망초는 위장염, 소화불량, 전염성 간염, 혈뇨, 학질 및 말라리아 등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본 발명에서와 같은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또는 이의 염을 이용하여 염증성 피부질환의 개선 효능에 대하여서는 개시된 바가 없다.
이에, 피부 염증 예방 및 치료효과가 우수하고 안정성이 높아 피부 부작용이 없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또는 이의 염이 항염 효과가 우수함을 발견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또는 이의 화장학적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또는 이의 화장학적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하나의 양태로써, 본 발명은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또는 이의 화장학적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브레비스카핀은 개망초로부터 단리된 플라보노이드 (flavonoid)로 그 구조는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 개망초 추출물은 개망초의 전초를 포함한 잎, 뿌리, 줄기 및 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브레비스카핀을 식물에서 용매로 추출하는 경우, 추출 용매로 물, 탄산수 1-4의 무수 또는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브레비스카핀은 망초속 (Erigeron) 식물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개망초, 단정비봉 등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비스카핀은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제조하거나, 상업적으로 제조된 상품을 통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브레비스카핀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뿐 아니라 상기 화학식 1에 치환기를 부가하거나 치환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유도체 중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즉,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핵 (nucleus)으로 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치환체 및 치환체의 결합 반응을 통하여 얻어진 화학식 1의 유도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화학식 1에 히드록실기, 할로기, 니트로기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가 결합된 치환 유도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개망초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글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염은 염증에 저항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상기 염증은 면역반응체계의 신호전달체계로 유발되며, 구체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알러지성 피부염, 염증성 피부질환, 면역질환 및 천식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섬유아세포주를 이용하여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의 농도에 따른 에오탁신-1의 활성을 살펴본 결과,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인터루킨-4 (IL-4)에 의해 유도된 에오탁신-1의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이 에오탁신-1을 매개로 발생하는 염증 반응에 대하여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 실시로서, LPS (lipopolysaccharide)를 면역대식세포주에 처리하여 염증매개인자인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을 유도한 후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의 농도에 따른 생성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 본 발명의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을 함유한 크림의 아토피 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 브레비스카핀이 함유된 크림을 장기간 사용할수록 아토피 개선 효과가 증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0.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 중량%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다.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의 중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항염 효능이 미약하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브레비스카핀의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매우 미약하며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제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항염 효능을 가진 유효 성분으로서의 브레비스카핀 또는 이의 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 (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종류 및 이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및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특정 추출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사용된 특정 추출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0.1 내지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mg/kg의 용량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치료 목적에 따라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인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정제, 캅셀제, 산제, 과립, 현탁제, 유제, 시럽제, 유탁제, 경고제, 연고제, 스프레이제, 오일제, 겔제, 주정제, 틴크제, 욕제, 리니먼트제, 로션제, 패취제, 패드제, 크림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환부에 직접 도포하는 국소투여를 목적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젤 등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들 피부외용제는 또한 치료 부위에 직접 적용될 수 있는 지지 기재(support base) 또는 매트릭스 등에 포함될 수 있으며, 지지기재의 예는 거즈 또는 붕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항염 효능을 가진 유효 성분으로서의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또는 이의 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에오탁신-1 (eotaxin-1)의 발현을 억제하여, 에오탁신-1의 과다발현으로 발생하는 호산구의 응집작용을 예방하고, 또한 일산화질소의 과도한 발생을 저해함으로써, 이로 인해서 발생되는 염증 및 알러지 매개인자의 발현과 분비를 조절함으로써 항염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대부분의 망초속식물의 경우 브레비스카핀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 나타난 항염효과가 개망초 추출물만을 한정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브레비스카핀은 개망초로부터 유래하여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약제학적 및 화장료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망초 추출물(Erigeron annuus (L.) Pers extract) 또는 개망초로부터 단리된 활성물질인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및 화장료 조성물은 염증성 알러지 반응을 유도하는 에오탁신-1의 발현을 저해하여 에오탁신-1의 과발현으로 유도되는 호산구의 응집작용을 저해하며, 또한 일산화질소의 과도한 발생을 저해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방지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알러지성 피부염 등에 대한 항염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세포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및 약제학적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섬유아세포주에 IL-4를 처리한 경우 개망초 추출물 또는 개망초로부터 단리된 브레비스카핀의 농도에 따른 에오탁신-1의 분비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섬유아세포주에 IL-4를 처리한 경우 개망초 추출물 또는 개망초로부터 단리된 브레비스카핀의 농도에 따른 에오탁신-1 mRNA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대식세포주에 LPS를 처리한 경우 개망초 추출물 또는 개망초로부터 단리된 브레비스카핀의 농도에 따른 일산화질소의 생성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개망초 추출물의 제조: 개망초의 잎, 줄기, 꽃 및 뿌리를 채취하여 이물질 및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깨끗이 세척한 다음, 20 내지 35에서 음건한 다음, 분쇄하여 입자의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그 다음 상기 분쇄된 개망초 분말 1kg을 70% 에탄올 10에 침지하여 24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였다. 그 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지(Advantes, No.2)에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개망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개망초로부터 브레비스카핀 분리 및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개망초 추출물 분말을 Bulk C18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1개의 분획추출물로 나누고, 이러한 분획 중 2번째 분획을 Prep-HPLC를 이용하여 C18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신규 활성성분 물질을 단리하였다. 상기 신규 활성성분 물질에 대한 구조는 NMR, IR, UV 등의 기기를 사용하여 5,6-Dihydroxy-2-(4-hydroxyphenyl)-4-oxo-4H-chromen-7-yl -D-glucopyranosiduronic acid (분자량: 462.36)임을 확인하였으며, 이하 상기 활성성분 물질을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이라 하였다.
개망초 추출물 또는 개망초로부터 단리된 활성성분인 브레비스카핀의 에오탁신-1 세포외 분비 억제효과 측정: 개망초 추출물 또는 개망초로부터 단리된 활성성분인 브레비스카핀의 에오탁신-1에 대한 세포외로의 분비 억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주인 NIH/3T3 세포에 10, 100 ppm의 개망초 추출물 또는 1, 10 및 50 uM의 브레비스카핀을 각각 전 처리한 후 50ng/의 IL-4로 자극하였다. 24시간 후, 세포 배양액을 수집하여 ELISA kit을 이용하여 에오탁신-1의 분비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도1 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IL-4에 의해 유도된 에오탁신-1의 분비를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이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에오탁신-1의 분비 정도가 감소하여 농도의존적인 경향이 관찰되었다.
개망초 추출물 또는 개망초로부터 단리된 활성성분인 브레비스카핀의 에오탁신-1 mRNA 발현 저해효과 측정: 개망초 추출물 또는 개망초로부터 단리된 활성성분인 브레비스카핀의 세포내 에오탁신-1 발현저해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주인 NIH/3T3 세포에 10, 100 ppm의 개망초 추출물 또는 1, 10, 50 uM의 브레비스카핀을 각각 전처리한 후 50 ng/의 IL-4로 자극한 뒤, 24시간 후 세포를 수집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수집한 세포에서 tRNA를 추출한 다음 추출한 tRNA를 바탕으로 상보성 DNA (cDNA)를 합성 후, 합성한 상보성 DNA를 주형으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정량검사 (quantitative Real-time PCR)를 실시하여 에오탁신-1의 mRNA 발현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IL-4에 의해 유도된 에오탁신-1 의 mRNA발현 정도를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이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에오탁신-1의 mRNA 발현 정도가 감소하여 농도 의존적인 경향이 관찰되었다.
개망초 추출물 및 개망초로부터 단리된 활성성분인 브레비스카핀의 일산화질소 감소 효과: 마우스 대식세포 (Macrophage, Raw 264.7 cells, 한국세포주은행)를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24-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웰당 약 2 x 105 개의 세포가 되도록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10 및 100 ppm의 개망초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일산화질소 생성을 담당하는 효소 iNOS(Nitric oxide synthases)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LPS (Lipopolysaccharide) 200 ng/을 함께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 후 배양액을 수집하여 동량의 그리스 시약 (Griess reagent: 5%(w/v) phosphoric acid, 1%(w/v) sulfanilamide, 0.1%(w/c) N-[1-naphthyl] ethylene diamine dihydrochloride)과 10분간 혼합하여 반응 시킨 후 540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LPS에 의해 유도된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개망초 추출물이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망초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일산화질소의 생성이 감소하여 농도 의존적인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망초 추출물 또는 개망초로부터 단리된 활성물질인 브레비스카핀의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실험: 개망초 추출물 또는 개망초로부터 단리된 활성물질인 브레비스카핀이 인체피부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스쿠알렌을 기본으로 개망초 추출물을 1, 10 및 100 ppm 첨가한 제형을 제조하고, 브레비스카핀을 각각 10, 250 및 500 ppm 첨가한 제형을 각각 제조하여 이를 사용하여 건강한 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 첩포를 시행하여 개망초 추출물과 브레비스카핀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방법은 핀 챔버 (Finn chan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으며 챔버에 상기에서 제조한 피부외용제를 각각 15 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실험식 1을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반응도에서 는 1점, +는 2점 및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시험물질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 수
평균
반응도
1주 2주 3주
1차 2차 3차 1차 2차 3차 1차 2차 3차
a b c a b c a b c a b c a b c a b c a b c a b c a b c
대조군
(스쿠알렌)
- - - - - - - - - - - - - 1 - - - - - - - - - - - - - 0.09


개망초추출물
1ppm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10ppm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100ppm
- - - - - - - - - - - - - - - - - - - - - - 1 - - - - 0.09


브레비스카핀
10ppm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250ppm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500ppm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a : ±, b : +, c :++를 나타냄)
실험 결과, 대조군의 경우 ±, +,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2주차의 2차 첩포에서 각각 0명, 1명, 0명이었고, 나머지 기간에 대한 첩포에 대하여는 피부에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개망초 추출물을 1, 10 및 100 ppm 처리한 군에서는 100ppm 3주차 2차 첩포에서 각각 0명, 1명, 0명이었고, 브레비스카핀을 실험한 모든 시험군에서는 피부에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표 1의 결과를 상기 실험식 1에 따라 계산한 결과, 대조군의 평균 반응도는 0.09이며, 시험군의 평균 반응도는 개망초 추출물은 1, 10 및 100 ppm에서 각각 0.00, 0.00 및 0.09이고, 브레비스카핀 10, 250 및 500 uM에서 각각 0.00, 0.00 및 0.00로 나타나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개망초 추출물 또는 개망초로부터 단리된 활성성분인 브레비스카핀을 함유한 크림의 아토피 개선 효과 측정: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을 함유한 화장료의 아토피 개선효과를 임상 시험을 통하여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 제조예 1-1의 방법으로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이 함유된 크림을 제조한 다음, 30명의 소아 아토피 환자를 대상으로 1일 2회, 4주동안 상기 크림을 사용하게 하였다. 대조구로는 브레비스카핀 대신 정제수가 함유된 하기 제조예 1-2의 방법으로 제조한 크림을 사용하였다.
아토피 개선 효과는 EASI (Eczema Area Severity Index) 스코어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EASI 지수
시험경과일
2주 4주
비교제조예 2.85 2.57 2.28
개망초 추출물 2.74 1.48 0.69
브레비스카핀 2.82 1.51 0.63
실험 결과,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이 포함된 크림을 사용한 경우, 개망초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이 포함되지 않은 크림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EASI 스코어가 감소하며,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EASI 스코어가 기간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제조예 1: 화장료의 제조
1-1. 크림의 제조
하기의 표 3과 같이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0.05 또는 0.02
카보머940 0.12
트레할로스 3.00
솔비톨 1.00
1,3-부틸렌 글리콜 5.00
비스-피이지-18 메틸에테르 다이메틸 실란 1.00
글라이세롤 4.00
디엘-판테놀 0.30
이디티에이 0.02
폴리솔배이트 60 0.80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1.2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0.90
솔비탄 세스퀼레테이트 0.30
라네트-오 1.60
세틸 에틸헥소노에이트 3.00
카프릴릭/카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0
사이클로메티콘 6.50
트리리에탄올아민 0.13
페노닙 0.70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1-2. 정제수를 함유한 크림의 제조
하기의 표 4와 같이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대신 정제수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
호호바 오일 5.0
유동파라핀 7.0
세틸아릴 알코올 2.0
폴리글리세릴-3 메칠 글루코즈 디스테아레이트 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3.0
프로필렌 글리콜 4.0
글리세린 5.0
트리에탄올아민 0.3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3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2
방부제, 향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1-3. 토너의 제조
하기의 표 5와 같이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토너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0.05 또는 0.02
다이소듐 이디티에이 0.01
아미노코트 1.00
디엘-판테놀 0.10
트레할로스 0.10
글리세롤 3.00
카보폴 이티디 2020 0.07
알콜 3.00
비스-피이지-18 메틸 에테르 디메틸 실란 0.20
페닐 트리메티콘 0.10
피이지-40 하이드로게네이티드 코스톨 오일 0.15
메틸파라벤 0.05
트리에탄올아민 0.13
페노닙 0.70
페녹시에탄올 0.50
향, 방부제,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1-4. 로션의 제조
하기의 표 6과 같이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션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
개망초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0.05 또는 0.02
카보머941 0.05
알란토인 3.00
허브엑스 히알루론 1.00
메틸파라벤 0.10
글리세롤 1.10
다이소듐 이디티에이 0.05
폴리솔베이트60 1.00
솔리탄 세스키올레이트 1.00
스테아릭 에시드 1.0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50
세틸 알콜 1.30
프로필파라벤 0.05
부틸파라벤 0.05
마카다미아 오일 0.05
디메티콘 0.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0
미네랄오일 4.50
트리에탄올아민 0.10
페녹시에탄올 0.50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2: 약학적 제제의 제조
2-1. 정제의 제조
브레비스카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7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브레비스카핀 30 mg
유당 20 mg
전분 2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 mg
2-2. 캡슐제의 제조
브레비스카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8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브레비스카핀 30 mg
유당 20 mg
전분 2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 mg
2-3. 연고제의 제조
브레비스카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9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연고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브레비스카핀 30 mg
다이에탄올아민 1.5 g
전분폴리비닐피롤리돈 5 g
프로필렌글리콜 30 g
증류수를 가하여 전체 100ml로 제조

Claims (9)

  1. 개망초 추출물 (Erigeron annuus (L.) Pers. extract) 또는 개망초로부터 단리된 신규 활성물질인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은 알러지성 염증질환 (allergic inflammation), 아토피성 피부염 (atopic dermatitis), 피부습진 (eczema), 건선 (psoriasis), 또는 천식(asth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망초 추출물(Erigeron annuus (L.) Pers. extract) 또는 신규 생리활성물질인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개망초 추출물 (Erigeron annuus (L.) Pers. extract) 또는 개망초로부터 단리된 신규 생리활성물질인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은 알러지성 염증질환 (allergic inflammation), 아토피성 피부염 (atopic dermatitis), 피부습진 (eczema), 건선 (psoriasis), 또는 천식(asth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망초 추출물 (Erigeron annuus (L.) Pers. extract) 또는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10.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개망초 추출물 (Erigeron annuus (L.) Pers. extract) 또는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파우더, 바, 캔디, 아이스크림, 오일 및 분말 유탁액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40022497A 2014-02-26 2014-02-26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20150101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497A KR20150101162A (ko) 2014-02-26 2014-02-26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497A KR20150101162A (ko) 2014-02-26 2014-02-26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162A true KR20150101162A (ko) 2015-09-03

Family

ID=5424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497A KR20150101162A (ko) 2014-02-26 2014-02-26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11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0451A (zh) * 2018-02-27 2018-06-29 云南玉药生物制药有限公司 一种稳定的灯盏花素注射液及其制备工艺
KR20200002075A (ko) * 2018-06-29 2020-01-08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망초 꽃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신경 근육 관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144763A (ko) * 2019-06-19 2020-12-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0451A (zh) * 2018-02-27 2018-06-29 云南玉药生物制药有限公司 一种稳定的灯盏花素注射液及其制备工艺
KR20200002075A (ko) * 2018-06-29 2020-01-08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망초 꽃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신경 근육 관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144763A (ko) * 2019-06-19 2020-12-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633B1 (ko) 감귤 미성숙과 추출물, 또는 시네프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694958B1 (ko) 천심련추출물 또는 안드로그라폴라이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166279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367423B1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1162A (ko)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77959B1 (ko) 알로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2626B1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50033797A (ko)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50141B1 (ko)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0939B1 (ko) 인삼 유래 화합물 분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염증 조성물
KR102127771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9315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진정용 조성물
KR101576337B1 (ko)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598042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자가면역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49114B1 (ko) 푸마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2050470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23618A (ko) 울산도깨비바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조성물
KR101864607B1 (ko) 피노셈브린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76873A (ko) 쑥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30022571A (ko) 거문도닥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14330796B2 (en) Extracts and compositions of Helichrysum odoratissimu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kin cancers
KR20220064360A (ko) 석창포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40289A (ko)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