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763A -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763A
KR20200144763A KR1020190072808A KR20190072808A KR20200144763A KR 20200144763 A KR20200144763 A KR 20200144763A KR 1020190072808 A KR1020190072808 A KR 1020190072808A KR 20190072808 A KR20190072808 A KR 20190072808A KR 20200144763 A KR20200144763 A KR 20200144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orget
degenerative brain
brain diseases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476B1 (ko
Inventor
서경혜
김형돈
지윤정
김동휘
박정용
이지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90072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476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Abstract

본 발명은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개망초 추출물은 항산화 효소인 SOD2(superoxide dismutase-2), CAT(catalase), GPx(glutathione peroxidase)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세포사멸을 촉진하는 단백질 Bax(Bcl-2 Antagonist X), caspase 3 및 caspase 8의 발현 억제 및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Bcl-XL(B-cell lymphoma-extra large) 단백질 발현을 촉진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하여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므로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rigeron annuus (L.) Pers.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s}
본 발명은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하여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한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퇴행성 뇌질환(degenerative brain diseases)은 노화에 따른 신경퇴화, 유전적 요인 등으로 인해 뇌신경세포가 사멸하거나, 뇌신경세포의 기능이 상실되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퇴행성 뇌질환 발병에 대한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원인 규명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치매, 뇌졸중 등으로 대표되는 퇴행성 신경계 뇌질환은 신경세포 손상과 소실로 이어지는 세포죽음이 그 궁극적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퇴행성 신경계 뇌질환의 신경 세포 죽음의 주요 원인으로 활성산소가 지적되고 있다. 활성산소란 호흡과정에서 체내로 들어간 산소가 산화과정에 이용되면서 여러 대사과정에서 생성되어 생체조직을 공격하고 세포를 손상시키는 산화력이 강한 산소를 말한다. 이러한 활성산소는 생체 세포 내 DNA, 세포 구성 단백질, 지질 등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준다(Valko et al.,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2007),44-84). 특히 뇌세포에서 활성산소가 다량 생성되면 그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의 구조와 기능에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등의 신경계 뇌질환을 일으키게 된다(Knott et al.,Mitochondrial fragmentation in neurodegeneration. Nat Rev Neurosci., 9(2008), 505-18).
최근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인지능력 저하 및 퇴행성 뇌질환에 대한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인지능력 개선 및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퇴행성 뇌질환에 대하여 해당 분야에서는 최근 인체 적합성을 가진 천연물 소재를 이용한 치료제 개발이 발전 중에 있으며, 또한 부작용이 적은 신소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개망초(Erigeron annuus (L.) Pers.)는 국화과 개망초속의 두해살이풀로, 북아메리카가 원산이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북아메리카에만 173종의 개망초속 식물이 자생하고 있어 가장 다양성이 높은 식물속이다. 개망초는 베타시토스테롤 (-sitosterol), 다이드제인 (daidzein), 아피제닌 (apigenin), 쿼세틴 (quercetin), 프로토카테츄익산 (protocatechuic acid), 파이로메코닉산 (pyromeconic acid),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민간에서 개망초는 위장염, 소화불량, 전염성 간염, 혈뇨, 학질 및 말라리아 등에 사용되어 왔다.
현재 퇴행성 뇌질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하여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천연물질 유래의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뇌의 신경세포의 특성을 고려할 때,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질 유래 물질을 이용한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필요성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 물질을 이용한 퇴행성 뇌질환 예방,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개망초 추출물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하여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한 점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개망초추출물을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하여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한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하여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한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망초 추출물은, 항산화 효소인 SOD2(superoxide dismutase-2), CAT(catalase), GPx(glutathione peroxidase)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세포사멸을 촉진하는 단백질 Bax(Bcl-2 Antagonist X), caspase 3 및 caspase 8의 발현 억제 및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Bcl-XL(B-cell lymphoma-extra large) 단백질 발현을 촉진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하여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standard solution PAs(A), 개망초 지상부 추출물(B) 및 개망초 꽃 추출물(C)의 phenolic compound HPLC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The chromatography of PAs, EAA and EAF using by HPLC analysis. Peak identification; 1: Homogenistisic acid, 2: Gallic acid, 3: Protocatechnic acid, 4: Chlorogenic acid, 5: (+)-catechin, 6: caffeic acid, 7: Phloretic acid, 8: p-Coumaric acid , 9: Ferulic acid, 10: Veratric acid, 11: Salicylic acid, 12: Naringin, 13: Hesperidin, 14: Quercetin, 15: Cinnamic acid, 16: Naringenin, 17: Kaempferol, 18: Hesperitin. (A): Chromatogram of standard solutions for PAs analysis (100 μg/mL each). (B) Chromatogram of EAA (10 mg/mL). (C) Chromatogram of EAF (10 mg/mL). PAs: phenolic acids, EAA: aerial parts of Erigeron annuus, EAF: flowers of Erigeron annuus)
도 2는 개망초 지상부 추출물 및 개망초 꽃 추출물의 신경세포(pc-12)에서의 독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개망초 지상부 추출물 및 개망초 꽃 추출물의 신경세포(pc-12)에서의 활성산소 생성 억제 효과(A 및 B) 및 산화 단백질 발현 분석 결과(C, D 및 E)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개망초 지상부 추출물 및 개망초 꽃 추출물의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 발현 분석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개망초 꽃 분획 과정(A) 및 개망초 꽃 분획물의 신경세포(pc-12)에서의 활성산소 생성 억제 효과(B)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하여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한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조성물(composition)”은 본 발명의 단수수 추출물에 희석제 또는 담체와 같은 다른 화학 성분들을 혼합한 혼합물을 의미한다.
용어 “담체(carrier)”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디메틸술폭사이드(DMSO)는 생물체의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많은 유기 화합물들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통상 사용되는 담체이다.
용어 “희석제(diluent)”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버퍼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염은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버퍼 용액은 포스페이트 버퍼 식염수이며, 이는 인간 용액의 염상태를 모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버퍼 염은 낮은 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버퍼 희석제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형하는 일은 드물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망초 추출물은 개망초(Erigeron annuus (L.) Pers.)의 지상부 또는 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부위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망초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하여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므로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병(Alzheimer disease), 픽병(Pick disease),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및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개망초 추출물은 물, 알코올,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되고, 개망초를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서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개망초 추출물은 개망초를 상기 용매로 추출한 후, 상기 용매를 제거하여 분말 형태로 수득될 수 있으며,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 제거 방법, 일예로 진공여과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하여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의약품에 포함되어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의약품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의약품에 포함되어 사용될 경우,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의약품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내피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및 직장내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경구 투여시,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는 소화가 되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 되어야 한다. 또한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은 개별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조성물의 종류에는 통상적으로 제조 및/또는 판매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건강 음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개망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포함되는 개망초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 1. 개망초 추출물의 제조
개망초는 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에서 재배하여 사용하였으며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신경세포주(pc-12) 배양
신경세포주(pc-12)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세포주를 37℃ , 5% CO2 incubator를 이용하여 5% fetal bovine serum (FBS), 100 units/ml 페니실린, 100 units/ml 스트렙토마이신 등을 첨가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1. 개망초의 부위별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및 DPPH radical 소거능 확인
개망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1,1-diphenyl-2-picryl hydrazyl(DPPH) 및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DPPH 소거활성은 공지된 논문(Blois ML, Nature, 181 (1958) 1199-1224)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DPPH(Sigma, MO, USA)에 대한 시료 용액과의 전자 공여 효과에 의해 DPPH 라디칼이 감소하는 정도를 분광광도계(Biotek instrument, WT, USA)로 측정하였다. 개망초 추출물 0.5 ml를 취하고 0.1mM DPPH 용액 1 ml를 가하고, 볼텍스를 이용하여 혼합한 후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켜 52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ABTS 소거활성 측정은 먼저, ABTS 7mM과 과황화칼륨(potassium persulfate) 2.45 mM을 증류수에 용해하고, 12시간 동안 암실에 방치하여 ABTS 양이온 라디칼을 생성시켰다. 라디칼이 형성된 ABTS용액 1ml에 따른 개망초 추출물 3 ml를 가하여 6분 동안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흡광도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개망초 지상부 추출물(EAA) 및 개망초 꽃 추출물(EAF)에서는 페놀이 각각 9.8±0.1 및 20.8±0.1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플라보노이드는 각각 8.9±0.1 및 10.1±0.1임을 확인하였다. 개망초 지상부 추출물(EAA) 및 개망초 꽃 추출물(EAF)은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및 DPPH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1
실험예 2. 개망초의 부위별 페놀 화합물 분석
개망초의 페놀함량 분석은 Waters HPLC 2790/5 system의 PDA by Waters 2996를 이용하여 정량, 정성분석을 하였다. column은 INNO를 이용하였으며, 온도는 35℃로 분리 하였다.
개망초 지상부 추출물의 경우,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토카테츄산(Protocatechnic acid),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테킨((+)-catechin), 카페산(caffeic acid), p-쿠마린산(p-Coumaric acid), 베라트릭산(Veratric acid), 살리실릭산(Salicylic acid), 나린긴(Naringin), 헤스페리딘(Hesperidin), 케르세틴(Quercetin), 나린제닌(Naringenin), 및 캠퍼롤(Kaempferol)이 검출되었다.
또한 개망초 꽃 추출물의 경우,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토카테츄산(Protocatechnic acid),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테킨((+)-catechin), 카페산(caffeic acid), p-쿠마린산(p-Coumaric acid), 베라트릭산(Veratric acid), 살리실릭산(Salicylic acid), 나린긴(Naringin), 헤스페리딘(Hesperidin), 케르세틴(Quercetin), 계피산(Cinnamic acid), 나린제닌(Naringenin), 및 캠퍼롤(Kaempferol)이 검출되었다.
실험예 3. 개망초의 부위별 신경세포(pc-12) 독성 평가
개망초의 신경세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배양한 신경세포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신경세포 독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개망초 추출물을 50 내지 4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고 MTS를 처리한 후 490 nm 파장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망초 지상부 추출물 및 개망초 꽃 추출물 모두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H202(50μM) 실험군의 경우에도 개망초 지상부 추출물 및 개망초 꽃 추출물 모두 200 μg/mL 농도까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개망초의 부위별 신경세포(pc12 cell) 활성산소 억제 효과 확인 및 산화 단백질 발현 분석
개망초의 신경세포 활성산소 억제 효과 및 산화 단백질 발현 분석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배양한 신경세포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신경세포 독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쥐 뇌신경세포(Rat PC-12)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개망초 추출물을 50, 100, 200 μg/ml의 농도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처리하고 12시간 후에 50 μM의 H2O2를 처리하였다.
활성산소 생성량 측정은 DCFDA assay법을 이용하여 세포에 형광염색을 하여 excitation 485 nm emission 535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망초 꽃 추출물의 경우 200 μg/mL 농도에서 활성산소 생성 억제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산화 효소인 SOD2(superoxide dismutase-2), CAT(catalase), GPx(glutathione peroxidase) 단백질의 발현이 개망초 꽃 추출물과 개망초 지상부 추출물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개망초 추출물이 항산화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신경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5. 개망초의 부위별 신경세포(pc-12) 세포사멸 단백질 발현 분석
Bax(Bcl-2 Antagonist X) 단백질은 DNA 손상에 의한 세포사멸에 관여하며 이러한 Bax 단백질의 작용을 억제하는 대표적은 단백질은 Bcl-XL(B-cell lymphoma-extra large) 로서, 사립체 막에서의 Bax 단백질의 소중합체 형성을 억제하여 Bax 단백질의 작용을 방해하고 궁극적으로 세포자멸사를 억제하여 세포생존을 촉진한다. 또한 caspase 8은 caspase 3을 활성화하며 동시에 Bax를 통해 세포사멸 시그널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개망초의 부위별 신경세포 세포사멸 억제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개망초 추출물 처리 후 Bax, Bcl-XL, caspase 3 및 caspase 8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쥐 뇌신경세포(Rat PC-12)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개망초 추출물을 50, 100, 200 μg/ml의 농도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처리하고 12시간 후에 50 μM의 H2O2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Bax 단백질 발현 억제 및 Bcl-XL 단백질 발현 촉진 효과에 대하여, 도 4(A) 나타낸 바와 같이 개망초 지상부 추출물의 경우 200 μg/mL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개망초 지상부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Caspase 3 및 caspase 8 단백질의 경우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망초 지상부 추출물과 개망초 꽃 추출물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caspase 3 및 caspase 8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6. 개망초 꽃 분획물의 신경세포(pc-12) 활성산소 생성 억제 효과 확인
개망초 꽃 분획물의 활성산소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망초 꽃을 분획하였다.
먼저 극성별 용매분획은 물 추출 분말을 다시 물에 녹이고, 같은 양의 n-헥세인(n-Hexane)과 혼합하여 분획한 후, 물 층은 다시 클로로포름(chloroform)으로 분획하고, 다시 물 층은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로 분획하고, 남은 물 층은 마지막으로 n-부탄올(n-butanol)로 분획하여 최종 물 층과 함께 5개의 분획을 확보하였다. 상기 분획물들을 환류 냉각 농축시킨 후, 동결 건조하였다. 추출물은 Dimethyl sulfoxide (DMSO,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로 용해하여 각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수득한 개망초 꽃 분획물의 활성산소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망초 꽃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n-부탄올 분획물의 경우 우수한 활성산소 생성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개망초(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망초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페놀 또는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뇌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은 프로토카테츄산(Protocatechnic acid),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테킨((+)-catechin), 카페산(caffeic acid), p-쿠마린산(p-Coumaric acid), 베라트릭산(Veratric acid), 살리실릭산(Salicylic acid), 나린긴(Naringin), 헤스페리딘(Hesperidin), 케르세틴(Quercetin), 계피산(Cinnamic acid), 나린제닌(Naringenin), 및 캠퍼롤(Kaempfer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뇌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망초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퇴행성 뇌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망초 추출물은 SOD2(superoxide dismutase-2), CAT(catalase) 및 GPx(glutathione peroxidase)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망초 추출물은 Bax(Bcl-2 Antagonist X), caspase 3 및 caspase 8의 발현을 억제하고 Bcl-XL(B-cell lymphoma-extra large) 단백질 발현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병(Alzheimer disease), 픽병(Pick disease),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및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개망초(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90072808A 2019-06-19 2019-06-19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66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808A KR102366476B1 (ko) 2019-06-19 2019-06-19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808A KR102366476B1 (ko) 2019-06-19 2019-06-19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763A true KR20200144763A (ko) 2020-12-30
KR102366476B1 KR102366476B1 (ko) 2022-02-23

Family

ID=7408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808A KR102366476B1 (ko) 2019-06-19 2019-06-19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47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282A (ko) * 2013-12-18 2015-06-26 한국식품연구원 Tgr5 작용제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KR20150101162A (ko) * 2014-02-26 2015-09-03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1595515B1 (ko) * 2014-11-10 2016-02-19 주식회사 엔에스웰니스 일년봉(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1902B1 (ko) * 2015-06-24 2016-07-22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스트레스의 완화용 조성물
KR101953143B1 (ko) * 2017-04-28 2019-03-05 (주)알피바이오 오미자 추출물과 칠해목 추출물을 이용한 뇌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190041329A (ko) * 2017-10-12 2019-04-22 한국식품연구원 왕불유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200002075A (ko) * 2018-06-29 2020-01-08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망초 꽃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신경 근육 관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76184B1 (ko) * 2017-11-29 2020-11-09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칠해목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282A (ko) * 2013-12-18 2015-06-26 한국식품연구원 Tgr5 작용제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KR20150101162A (ko) * 2014-02-26 2015-09-03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1595515B1 (ko) * 2014-11-10 2016-02-19 주식회사 엔에스웰니스 일년봉(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1902B1 (ko) * 2015-06-24 2016-07-22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스트레스의 완화용 조성물
KR101953143B1 (ko) * 2017-04-28 2019-03-05 (주)알피바이오 오미자 추출물과 칠해목 추출물을 이용한 뇌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190041329A (ko) * 2017-10-12 2019-04-22 한국식품연구원 왕불유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76184B1 (ko) * 2017-11-29 2020-11-09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칠해목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200002075A (ko) * 2018-06-29 2020-01-08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망초 꽃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신경 근육 관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 43: 2144-2152(2019.03.19.) 1부.* *
Jeong et al., Neuroprotective and anti-oxidant effects of caffeic acid isolated from Erigeron annuus leaf, Chinese Medicine, 2011, 6:2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476B1 (ko)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llag et al. Equisetum arvense L. extract induces antibacterial activity and modulates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apoptosis in endothelial vascular cells exposed to hyperosmotic stress
US6858235B2 (en) Antioxid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KR101945865B1 (ko) 울릉국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포노화 억제용 조성물
Şöhretoğlu et al. The polyphenolic profile of Oak (Quercus) species: A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overview
AU2002348598A1 (en) Use of an opuntia ficus-indica extract and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for protecting nerve cells
EP1448188A1 (en) Use of an opuntia ficus-indica extract and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for protecting nerve cells
El Souda et al. Phenolic composition and prospective anti-infectious properties of Atriplex lindleyi
KR101034624B1 (ko) 디디에이에이치를 활성화시키는 감초 유래의 칼콘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췌장 베타세포 사멸 및 당뇨병성 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09936A1 (e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neuropathic pain
KR100543897B1 (ko) 치자 추출물 및 치자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그 용도
Feyzmand et al. Mechanistic in vitro evaluation of Prosopis farcta roots potential as an antidiabetic folk medicinal plant
KR102366476B1 (ko)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418390B1 (ko) 녹차로부터 추출된 항암효과가 우수한 폴리페놀류 화합물
KR20160141463A (ko) 독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KR20220077317A (ko) 바이러스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30005118A (ko)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억제 및 예방용 조성물
US8399033B2 (e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from barks of Alnus pendula Matsum
KR100542323B1 (ko) 후박나무로부터 세포사멸 유도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Abay et al. Investig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Fruit, Leaf, and Branche Extracts of White (Morus alba L.) and Black (Morus nigra L.) Mulberry Species from Diyarbakır
KR101132174B1 (ko) 에리스리나 아비시니카로부터 얻은 에이엠피케이를 활성화시키는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BR112021003857A2 (pt) extrato botânico para cuidados com a pele
KR100529991B1 (ko) 간염 치료제 및 예방제 또는 간보호제로 유용한 섬오갈피추출물
KR102169153B1 (ko) 큰금계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08425A (ko) 플라보노이드 8-o-글루쿠로니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0447622B1 (ko) 맹종죽엽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클로로젠산 메틸에테르계 화합물 및 그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