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515B1 - 일년봉(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일년봉(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515B1
KR101595515B1 KR1020140155243A KR20140155243A KR101595515B1 KR 101595515 B1 KR101595515 B1 KR 101595515B1 KR 1020140155243 A KR1020140155243 A KR 1020140155243A KR 20140155243 A KR20140155243 A KR 20140155243A KR 101595515 B1 KR101595515 B1 KR 101595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ss
present
composition
extract
y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세환
강일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웰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웰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웰니스
Priority to KR1020140155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스트레스성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년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감퇴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스트레스 효능이 있는바, 스트레스로 인한 기억력 감퇴, 긴장완화, 자신감 상실, 우울감 형성, 수면장애, 생명력 감소, 피로감 등을 완화 및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일년봉(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tress-Related Diseases Comprising Annual fleabane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일년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스는 모든 사람들이 경험하게 되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스트레스가 발생 했을 때, 몸에 다양한 해를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스트레스는 강박증과 우울증을 포함한 정신적인 질환이나 긴장과 우울증을 비롯해서 면역력 약화, 당뇨병을 비롯한 내분비계 이상, 인지기능 저하, 기억력 감퇴, 그리고 고혈압을 비롯한 대사성 질환까지 다양한 질환의 유병율을 높이고 직접적인 발병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보고가 계속되고 있다(Singh AK, Dhamanigi SS, Asad M (2009) Anti-stress activity of hydro-alcoholic extract of Eugenia caryophyllus buds (clove). Indian J Pharmacol 41(1):28-31). 또한 스트레스는 스테로이드(steroid) 호르몬의 분비를 증가시키며,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T 세포 및 대식세포(macrophage)로부터 생산되는 여러 종류 싸이토카인(cytokine)의 생산을 억제함으로서 면역반응을 억제한다.
벤조디아제팜(제조사: 시그마)은 대표적인 항불안제로 작용기전이 중추신경계에서 대표적 억제성 신경 전달물질인 GABA 수용체의 친화력을 증가시켜 인접한 Cl- 채널을 더 자주 열어 Cl- 이온의 투과성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벤조디아제팜은 효과가 즉각 나타나기는 하나, 습관성과 중독성이 있고, 전문의의 치료에 따라 사용하여야 하며, 증상이 재발하거나 금단증상이 나타난다. 벤조디아제팜의은 또한 우울증, 정신이상, 조울 행동, 불안의 고조, 적대감, 광폭함 등의 부작용이 있고 기립성저혈압, 호흡억제, 두통, 만성수면장애, 간질환 등이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전기 스트레스 치료에 있어서 '멘덱' 및 정신 불안 안정제로 '안신환'제제 등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약물은 정신이상, 조증과 울증의 반복 등의 부작용이 있다. 특히 안신환은 불안, 호흡 촉박, 가슴 뜀, 놀램, 건망증, 식은땀, 잠잘 때 땀 흐름, 정액의 자연배출, 가슴 아플 때에 오래전부터 지어 먹던 한약이며 부작용으로는 감정의 조절이 어렵고 습관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스트레스 치료에 있어서 합성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대체 천연물 또는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항스트레스제에 대한 요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스트레스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며 기억력 감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인체에 안전한 물질, 특히 식물-유래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고, 그 결과 일년봉 추출물이 스트레스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고, 기억력 감퇴를 완화시키는데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년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년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년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감퇴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년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년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년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감퇴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스트레스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며 기억력 감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인체에 안전한 물질, 특히 식물-유래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고, 그 결과 일년봉 추출물이 스트레스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고, 기억력 감퇴를 완화시키는데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일년봉은 국화과 식물로 개망초, 천장초, 장두초, 장모초라고도 불리며, 우리나라 전국에서 흔히 자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일년봉 추출물을 일년봉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수득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h) 1,3-부틸렌글리콜, (i) 헥산 및 (j)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을 일년봉에 처리하여 수득한 것이다.
상기 용매의 양은 추출하는 일년봉의 양에 다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년봉 중량의 1 배 내지 20배의 부피량(w/v%), 더욱 바람직하게는 5배 내지 10배의 부피량(w/v%)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0℃ 내지 12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추출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1시간 내지 10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3시간 내지 7시간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공지의 천연물 추출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가열 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1회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4회 반복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여과하여 액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의 건조 공정을 통하여 고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 전 덱스트린을 혼합하여 건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일년봉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일년봉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하기의 일년봉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재료인 일년봉으로부터 추출한 조성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일년봉 추출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스트레스성 질환’은 스트레스로 인해 유발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스트레스성 질환은 바람직하게는 스트레스성 불안, 우울증, 피로증후군, 두통, 신경변성 질병, 알츠하이머, 식이장애, 수면장애, 신경성 식욕부진, 위염, 위궤양, 약물중독, 약물 및 알코올 금단 증후군 또는 스트레스성 정신병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레스성 불안, 우울증, 피로증후군, 두통, 신경변성 질병, 식이장애, 수면장애, 신경성 식욕부진, 위염, 위궤양 또는 스트레스성 정신병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우울증, 수면장애, 피로증후군, 위염 또는 위궤양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우울증, 수면장애 또는 피로증후군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및 기억력 감퇴의 개선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년봉 추출물은 항스트레스 효과를 나타낸다. 만성 스트레스로 인해, 비장, 흉선, 갑상선의 크기는 줄어들고, 신장의 크기는 커지게 되는데 일년봉 추출물 섭취를 통해서 이런 증상이 완화 혹은 개선되었다.
비장은 척추동물 위 주변에 존재하는 구형, 난형 또는 방추형의 체내 최대 림프계 기관으로서 낡은 혈구를 파괴하고, 혈액 중의 세균을 식작용으로 죽인다. 또한 림프절 못지않게 항체 생성이나 세포성 면역발현의 주요기관이기도 하다. 그리고 흉선은 흉골의 후방, 심막 및 심장의 대혈관의 앞쪽에 있는 림프 기관이다. 면역반응 담당하는 T세포를 훈련시켜 혈액으로 내보내고, 인체 면역계에 작용하는 중요한 면역활성물질인 티모신을 분비한다. 또한 갑상선은 기도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내분비선으로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한다. 갑상선의 주된 역할은 음식물을 통해 섭취한 아이오딘을 이용해 갑상선 호르몬을 생성한 후 체내로 분비하여 인체 내 모든 기관의 기능을 적절하게 유지시킨다.
신장은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내어 오줌의 형태로 내보내는 척추동물의 배설기관이다. 신장은 노폐물과 불필요하게 많은 수분, 그리고 무기염류를 오줌으로 만들어 내보냄으로써 혈액 내의 이온 농도와 pH, 그리고 혈압을 조절한다. 또한 비타민 D를 활성화시켜서 소장에서 칼슘이 흡수되도록 도와주며 여러 가지 호르몬의 합성에도 관여한다.
스트레스는 교감신경계인 뇌하수체-부신계(HPA)의 기능을 항진시켜 호르몬 분비를 유발하여 부신의 기능항진과 비장의 기능저하를 일으킨다. 이 때문에 스트레스에 의한 모든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스트레스가 부가되면 면역기능의 감퇴로 인해, 면역과 관련된 비장, 갑상선, 흉선 등의 크기가 감소한다. 또한 스트레스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의 분비를 활발하게 하여 부신의 기능이 항진되어 결국 신장이 커지게 된다.
본 실험의 <실시예 2>에서도 스트레스를 준 대조군과 정상군의 장기 크기를 비교해본 결과, 비장, 흉선, 갑상선의 중량이 눈에 띄게 줄었고, 신장의 중량은 커졌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장기의 중량변화를 관찰함으로서, 시료들이 스트레스 완화에 얼마만큼 영향을 주는지 관찰하였다. 스트레스를 준 실험 랫트에 본 발명의 일년봉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한 차이를 보이면서, 장기의 크기가 정상대조군(normal)과 가장 비슷했다(표 1 참조). 또한 스트레스로 인한 기억력 감소, 우울증, 자신감 감소, 수면장애, 생명력 감소, 피로감 등의 증상 완화 및 개선 효과에서도 일년봉 추출물이 매우 우수함을 보였다(실시예 3 내지 5 참조). 상기 효과들 중에서도 기억력 감퇴 억제효과를 동물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모리스 수중 미로 실험으로 교육된 실험동물에게 본 발명의 일년봉 추출물 투여와 스트레스 부여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측정한 결과, 정상대조군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스트레스 예방, 개선 및 치료하는 효능과 기억력 감퇴 예방, 개선 및 치료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 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 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일년봉 추출물뿐 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년봉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일년봉 혼합추출물 자체를 차, 주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년봉 혼합추출물과 스트레스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 또는 기억력 감퇴에 대하여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일년봉 혼합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년봉 혼합추출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중 일년봉 혼합추출물의 바람직한 함량은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스트레스성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은 일년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감퇴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ⅲ)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스트레스 효능이 있는바, 스트레스로 인한 기억력 감퇴, 긴장완화, 자신감 상실, 우울감 형성, 수면장애, 생명력 감소, 피로감 등을 완화 및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스트레스 효능을 장기 중량 변화를 통해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Y축: 장기들의 무게로 단위는 mg/체중 100 g, X축 : 측정한 장기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스트레스로 인한 기억력 감소 억제 효능이 있음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Y축: Time spent in platform zone / X축 : Normal- 정상 대조군, CTL- 스트레스 대조군, AF-일년봉 추출물 투여군)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스트레스로 인한 자신감 상실 억제 효능이 있음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Y축: PWI 측정 점수, X축: Placebo- 위약 투여한 대조군, AF-일년봉 추출물 투여군)
도 4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감 억제 효능이 있음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Y축: PWI 측정 점수, X축: Placebo- 위약 투여한 대조군, AAF-일년봉 추출물 투여군)
도 5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스트레스로 인한 수면장애 억제 효능이 있음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Y축: PWI 측정 점수, X축: Placebo- 위약 투여한 대조군, AF-일년봉 추출물 투여군)
도 6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스트레스로 인한 생명력 감소 억제 효능이 있음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Y축: PWI 측정 점수, X축: Placebo- 위약 투여한 대조군, AF-일년봉 추출물 투여군)
도 7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스트레스로 인한 피로 억제 효능이 있음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Y축: MFS 측정 점수, X축: Placebo- 위약 투여한 대조군, AF-일년봉 추출물 투여군)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천연 추출물의 제조
일년봉 추출물의 제조
일년봉을 선별하여 분쇄한 뒤, 분쇄물 중량 10 배 부피량(w/v)의 물로 85℃ 온도에서 약 8시간 동안 열수추출로 4회 반복추출을 한다. 본 추출물을 바로 여과하여 진공농축한 후 배합비율에 의해 덱스트린을 혼합하여 동결건조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실시예 2: 장기 중량변화로 알아본 추출물의 항스트레스 효능
실험 준비
항스트레스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9주령의 약 300 g 중량의 수컷 스프라그-다우리(Sparague-Dawley)-랫트(샘타코)를 이용하였으며, 1주일간 적응기간을 거치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동물은 12시간 단위로 조명의 소등이 조절되는 공간에서 실내온도는 23℃로 조절된 방에서 사육하였다. 사료는 고형사료를 사용하였으며 급수는 소독이 완료된 물을 사용하였다. 사료와 급수는 제한을 두지 않았다.
실시예 1의 일년봉 추출물을 증류수에 녹인 후, 매일 14-15시에 1회 1개월간 연속하여 경구투여(10 mg/kg)하였다. 실험군은 총 3개로, 스트레스만 준 대조군(CTL), 일년봉 추출물 투여군(MA) 그리고 스트레스와 추출물 둘 다 주지 않은 대조군(Normal)로 구성하였다. 각 실험군에 대해서 랫트는 각각 5마리를 사용하였으며, 투여 7일 후부터 폭 6 cm, 길이 14 cm의 원통에 넣은 후 45도의 경사도에 고정시켜 3주 동안, 스트레스를 유발하였다.
장기 중량 변화 측정
상기 랫트들을 졸레틸(Zoletil)로 마취하여 흉선, 비장, 신장 및 갑상선을 적출하여 중량을 측정하였다. 각 조직들의 무게를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정상군 및 스트레스를 가하되 시료(추출물)를 부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각각 비교하여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스트레스로 인한 각 장기의 중량 변화
장기
실험군
비장
(mg/체중100g)
신장
(mg/체중100g)
흉선
(mg/체중100g)
갑상선
(mg/체중100g)
정상 278.23 ± 13.32 891.75 ± 31.46 312.14 ± 23.58 7.09 ± 0.43
스트레스 모델 CTL 210.09 ± 10.39 1100.26 ± 55.46 198.37 ± 18.41 5.63 ± 0.62
AF 266.23 ± 11.23 902.37 ± 30.43 288.37 ± 21.13 6.85 ± 0.53
측정 결과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스트레스 대조군(CTL)에서 비장, 흉선, 갑상선 장기들이 정상군(Normal)에 비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반면 신장의 중량은 정상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그러나 일년봉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AF)의 경우, 비장, 흉선, 갑상선 등의 중량은 스트레스 대조군(CTL)에 비해 확연히 컸고, 신장의 중량은 각 장기의 중량이 정상치에 가까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의 내용을 한눈에 보기 쉽도록 [도 1]에 그래프로 기재하였다.
따라서 스트레스 상황에서 각 기관 항상성을 유지하고 정상 수준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보아 일년봉 추출물의 스트레스 억제효과와 호르몬 발란스 유지 및 면역계 관련 장기들의 건강도 유지 효과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항스트레스 효능을 통한 기억력 감퇴 완화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상기 실시예 2에 나온 방법으로 스트레스 유발한 랫트에 대해 스트레스로 인한 기억력 감소에 대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개선효과가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모리스 수중 미로 검사(Morris water maze test)를 실시하였다. 수조는 직경이 180 cm 높이가 50 cm 인 원형의 통으로, 온도가 22℃ 되는 물이 30 cm 정도로 채워지게 하였으며 우유를 풀어 수중에서 동물의 움직임을 비디오카메라를 통해서 관찰하기 용이하게 만들었다. 수중 미로의 주변은 위치 단서를 최대한 배제할 수 있도록 구조화했으며 수중미로 자체를 4개의 동일한 사분원으로 나누어서 북동, 북서, 남동, 남서로 나누고 이중 북동 사분원의 중심부에 도피대(플랫폼)를 넣었다.
첫째 날에는 각 랫트들이 물에 대하여 적응을 할 수 있도록 1분간 미로 안에서 자유로이 수영하도록 하며, 이때 플랫폼은 설치하지 않으며 둘째 날부터 6일째 되는 날까지는 하루에 각각의 마우스가 1일 4회씩 1분 간격으로 미로에서 수영하도록 하였다. 만약 랫트들이 60초 내에 도피대의 위치를 찾지 못했다면, 수영하도록 하면서 도피대로 인도해준다. 랫트들이 도피대에 일단 올라가면, 도피대 위에서 30초간 머무르게 한다. 마지막 훈련이 끝나고 24시간 후(8일 째날)에, probe trial을 시행한다. 이때에는 도피대를 두지 않고, 60초 동안 자유수영을 하게 하여, 이전 도피대가 위치했던 영역에서 머무는 시간을 측정한다.
연구결과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유의성 검증을 위해 통계처리는 Student's t-test를 이용하였으며,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5 시에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여 표시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냈다.
측정 결과, CTL군은 정상군에 비해 심한 기억력 및 학습력 저하를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일년봉 추출물 섭취한 군(AF)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플랫폼 기억능력이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보아 스트레스로 인한 기억력 및 학습력 저하가 현저히 개선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항스트레스 효능으로 인한 심리적 건강의 개선 효과
연구방법
본 실험에 동의한 남녀 80명을 위약을 섭취한 대조군(placebo), 일년봉 추출물(AF)을 섭취한 실험군으로 각 40명씩 임의로 분류하여 8주간 각각의 시료를 일일 400 mg씩 섭취하도록 하였다.
심리적 건강 개선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사회·심리적 건강측정검사인 PWI (Psychosocial Well-being Index)를 섭취 전후에 실시하였다. PWI는 Goldberg의 GHQ60을 기초로 우리 실정에 맞게 45개 문항으로 재구성한 검사로, 개인보다는 집단적 분석에 용이하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토된 사회·심리적 건강측정 도구이다. 구성은 사회적 역할 및 자기 신뢰도 항목(자신감) 요인 14개 문항, 우울증 요인 13개 문항, 수면장애 및 불안 요인 10개 문항, 일반 건강 및 생명력 요인 8개 문항으로 되어있다. 각 문항의 점수는 ‘전혀 그렇지 않다’를 0점, ‘가끔 그렇다’를 1점, ‘자주 그렇다’를 2점, ‘항상 그렇다’를 3점으로 정도에 따라 0-1-2-3의 4점 척도로 하였으며 긍정적 감정의 내용을 가진 문항은 이를 역으로 하여 점수를 부여하였다.
연구결과
결과는 각 요인에 대한 점수 총점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유의성 검증을 위해 통계처리는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섭취 전과 후의 결과값을 비교하여 p<0.05 시에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여 표시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각 요인에 대한 부정적인 대답이므로, 섭취 후 점수가 낮아질수록 개선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일년봉 추출물을 섭취한 군에서 각 요인에 대한 개선도를 %로 나타내었다. 결과는 [도 3] 내지 [도 6]에 기재하였다.
평가 결과, 자신감, 우울, 수면장애, 생명력 등 각 요인에서 placebo은 섭취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관찰 할 수 없었던 반면 일년봉을 지속적으로 섭취한 실험군(AF)은 섭취 전에 비해, 모든 요인에서 25-32% 정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항스트레스 효능으로 인한 피로도 개선효과
연구방법
상기 실시예 4와 같이 대조군과 실험군을 분류하여, 각 실험군당 40명을 구성하여 각 시료 섭취 전후에, 피로도 측정 검사를 실시했다. 피로도 측정법은 MFS(Multidimensional Fatigue Scale, 다차원 피로척도)를 이용했는데, 이 방법은 Schwartz 등이 개발한 FAI(Fatigue Assessment Inventory, 19문항)을 토대로 재구성한 검사법이다. 지난 2주 동안 느꼈던 피로수준에 대해 각 항목에 대해 답하도록 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해 1점부터 5점까지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피로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유의성 검증을 위해 통계처리는 Student's t-test를 이용하였으며, 섭취 전과 후의 결과값을 비교하여 p<0.05 시에 유의한 것을 *로 표시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피로도가 높은 것이므로, 섭취 후 점수가 낮아질수록 피로 개선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평과 결과는 [도 7]에 도시하였다.
평가 결과, 위약을 섭취한 군은 섭취 전에 비해 피로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없었던 반면, 일년봉을 지속적으로 섭취한 군은 섭취 전에 비해 피로 정도가 통계적으로 27% 정도 개선되어 본 발명의 일년봉 추출물이 피로도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일년봉(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상기 스트레스성 질환은 우울증 또는 피로증후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일년봉(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스트레스성 질환은 우울증 또는 피로증후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년봉 추출물은 열수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55243A 2014-11-10 2014-11-10 일년봉(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95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243A KR101595515B1 (ko) 2014-11-10 2014-11-10 일년봉(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243A KR101595515B1 (ko) 2014-11-10 2014-11-10 일년봉(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515B1 true KR101595515B1 (ko) 2016-02-19

Family

ID=55448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243A KR101595515B1 (ko) 2014-11-10 2014-11-10 일년봉(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5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907A (ko) 2017-12-01 2019-06-11 주식회사 엔에스웰니스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00109178A (ko) 2019-03-12 2020-09-22 주식회사 엔에스웰니스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00144763A (ko) * 2019-06-19 2020-12-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118492A (ko) * 2020-03-23 2021-10-01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기억력, 인지기능 개선용 또는 뇌신경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20067972A (ko) 2020-11-18 2022-05-2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20220104542A (ko) * 2021-01-18 2022-07-26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 완화 및 스트레스 관련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4629A (ko) * 2008-07-08 2008-12-3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질환의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CN103705780A (zh) * 2014-01-02 2014-04-09 王秋玲 一种治疗顽固性失眠的药剂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4629A (ko) * 2008-07-08 2008-12-3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질환의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CN103705780A (zh) * 2014-01-02 2014-04-09 王秋玲 一种治疗顽固性失眠的药剂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inese medicine, 2011.06.*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907A (ko) 2017-12-01 2019-06-11 주식회사 엔에스웰니스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00109178A (ko) 2019-03-12 2020-09-22 주식회사 엔에스웰니스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00144763A (ko) * 2019-06-19 2020-12-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66476B1 (ko) 2019-06-19 2022-02-23 대한민국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118492A (ko) * 2020-03-23 2021-10-01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기억력, 인지기능 개선용 또는 뇌신경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402315B1 (ko) 2020-03-23 2022-05-26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기억력, 인지기능 개선용 또는 뇌신경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20067972A (ko) 2020-11-18 2022-05-2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20220104542A (ko) * 2021-01-18 2022-07-26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 완화 및 스트레스 관련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489407B1 (ko) * 2021-01-18 2023-01-17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 완화 및 스트레스 관련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515B1 (ko) 일년봉(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udhia et al. Cyclopia maculata and Cyclopia subternata (honeybush tea) inhibits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JP6640392B2 (ja) 肥満抑制組成物
EP2083838B1 (en) Medicinal herbal extract having anti-obesity effect
KR100860080B1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꼬리풀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US7846484B2 (en) Composition compris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Lindera obtusiloba blume extract, or herbal mixture extract thereof
JP6352029B2 (ja) 抗疲労剤
US2013017843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renal disease including maillard browning reaction products of panax species plant extract
KR102483300B1 (ko) 진세노사이드 Rf, 진세노사이드 Rf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개선용 조성물
KR101466443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685438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체적 피로 개선 및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조성물
KR102348044B1 (ko) 번아웃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02378A (ko)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JP2005512999A (ja) 川椒抽出物を含む脳細胞保護及び記憶力増進用組成物
KR20180001032A (ko) 저함량의 카테킨 및 카페인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 개선용 조성물
KR101154031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KR102649974B1 (ko) 진세노사이드 Rf, 진세노사이드 Rf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기능 개선용 조성물
Lu et al. Mutagenicity and safety evaluation of ethanolic extract of Prunus mume
KR20200061285A (ko) 가랑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및 혈관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US9937220B2 (en) Anti-diabetic nutraceutical composition from palm leaf extract
KR20150046951A (ko) 자색당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00109664A (ko) 캠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이상지방혈증, 지방간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56357B1 (ko) 양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혈관질환 예방 또는개선용 조성물
JP2017079746A (ja) 概日リズム調整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