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7622B1 - 맹종죽엽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클로로젠산 메틸에테르계 화합물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맹종죽엽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클로로젠산 메틸에테르계 화합물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622B1
KR100447622B1 KR10-2001-0056002A KR20010056002A KR100447622B1 KR 100447622 B1 KR100447622 B1 KR 100447622B1 KR 20010056002 A KR20010056002 A KR 20010056002A KR 100447622 B1 KR100447622 B1 KR 100447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activity
compound
oxy
cafeo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2620A (ko
Inventor
권미향
성하진
황한준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Priority to KR10-2001-0056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622B1/ko
Publication of KR20030022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6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12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and hav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in the acid moiety
    • C07C69/618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and hav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in the acid moiety having unsaturation outside the six-membered aromat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4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5/0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 C09K15/04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09K15/06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맹종죽엽으로부터 추출한 신규한 클로로젠산 메틸 에테르계 화합물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으로, 맹종죽엽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화학식 1과 2로 표시되는 신규화합물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은 항산화활성 특히 활성산소 소거기능이 뛰어나므로 천연물 유래의 항산화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체저해활성, 잔틴옥시다제 및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동시에 나타냄으로써 보체저해활성과 관련된 천식, 알레르기, 관절염, 류마치스, 전신성 홍반성 낭창, 망막염, 간염, 장염, 췌장염, 신장염,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치료제 및 장기 이식거부 반응을 억제제, 잔틴옥시다제 활성과 관련된 통풍, 신장결석의 치료제, 알파-글루코시다제의 활성과 관련된 당뇨병, 고지혈증 치료제 및 비만억제제등의 의약품용도로 개발될 수 있으며, 상기 효능을 이용한 화장품, 기능성식품으로도 응용할 수 있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맹종죽엽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클로로젠산 메틸 에테르계 화합물 및 그 용도{Novel chlorogenic acid methyl ether compounds isolated from Phyllostachys edulis leaf and a use thereof}
본 발명은 맹종죽엽으로부터 추출한 신규한 클로로젠산 메틸 에테르계 화합물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맹종죽엽을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및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하고 HPLC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된 클로로젠산 메틸 에테르계 화합물 및 그의 항산화활성, 면역증강, 혈당강하에 관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호기성 생물체는 산소(O2)를 이용하여 에너지 대사를 진행하며 생존하고 있다. 그러나, 생체내 산소가 각종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인 스트레스를 받으면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superoxide anion radical, ·O2-), 과산화수소(H2O2), 히드록시 라디칼(hydroxyl radical, ·OH) 등의 유해한 활성산소종(active oxygen species)으로 변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생리적 장애를 일으키고 심할 경우는 질병을 유발하고 생명을 잃게 한다. 특히 세포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유라디칼 및 활성산소종에 의한 유해작용이 계속적으로 누적될 경우 발암, 동맥경화, 심장질환및 피부노화 등 연령증가에 따른 여러 성인병과 관련된 질환은 물론 전반적인 세포의 노화를 야기하여 인간의 질병발생과 노화의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Harman, D., Free Radicals in Biology, Academic Press, New York, 255-275(1982)).
따라서 최근 노화와 성인병 질환의 원인으로 밝혀진 프리라디칼 및 활성산소종를 조절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진 항산화제의 개발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퍼옥시다아제(peroxidase), 카탈라아제(catalase),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아제(glutathione peroxidase) 등의 항산화효소와 토코페롤(tocopherol), 아스코베이트(ascorbate), 카로테노이드 (carotenoid), 글루타티온(glutathione) 등의 천연물 유래의 저분자 항산화 물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Chang, S. S., et al., J. Food Sci. 42: 1102, 1977;Hammerschmidt, P. A. and Pratt, D. E., J. Food Sci. 43: 556, 1977; Pratt, D. E. and Watts, B. W., J. Food Sci.29: 17, 1964),2,6'-디-테르트-부틸-4-히드록시 톨루엔(2,6'-di-tert-butyl-4-hydroxytoluene, BHT), 2,6'-디-테르트-부틸-4-히드록시 아니졸(2,6-di-tert-butyl-4-hydroxyanisole, BHA) 등의 합성 항산화제가 많이 개발되어 의약품과 식품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Kitahara, K., et al., Chem. Pharm. Bull. 40: 2208, 1992; Hatano, T., Natural Medicines 49: 357,1995; Masaki, H., et al., Biol. Pharm. Bull. 18: 162, 1995).
상기 합성항산화제인 부틸히드록시아니솔 (BHA)과 부틸히드록시톨루엔 (BHT)은 항산화력은 우수하나 인체독성문제로 사용량과 용도가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천연물로부터 항산화활성이 높으며, 인체의 해가 없는 항산화제를 찾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그 예로 녹차잎의 카테친 계열 화합물 (Nanjo, F.; Goto, K.; Seto, R.; Suzuki, M.; Hara, Y. Free Radic. Biol. Med. 21: 895-902, 1996), 당근의 베카 카로틴 계열 화합물이 잘 알려져 있으며, 국내의 경우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냉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본계열의 항산화성 물질등이 연구되었으나 (Kweon, M.H.; Kwak, J.H.; Sung, H.C.; Yang, H.C. J. Biochem. Mol. Chem. 29: 423-428, 1996) 상업화 되지는 못하였다.
한편 약 20여종의 혈청 단백질로 이루어진 보체계(complement system)는 항원 및 항체의 면역 복합체에 C1 단백질부터 활성화되는 고전 경로(classical pathway)와 균체성분인 자이모산(zymosan)이나 베타-글루칸(β-glucan)에 의해 보체중심경로인 C3 활성화가 직접적으로 일어나는 부경로(alternative pathway)로 나누어진다. 이와 같은 보체계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 외부 감염원에 대한 숙주방어기전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보체계 활성화 과정중 유리되는 C3a, C4a, C5a 등의 조각(fragment)들은 아나필라톡신(anaphylatoxin)으로서 천식, 알레르기, 아토피성 피부염등을 비롯한 다양한 염증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Bellanti, T.A.(1985) . Saunders, Philadelphia, pp. 106., Miyagawa, S., Hirose, H. Shirakura, R. Nakata, Y. Kawashima, Y. Seya, T. Matsumoto, M.Uenaka, A. and Kitamura, H. (1988), 825., Zvaifler NH (1989), S17., Sabharwal UK, Vaughan JH, Fong S, BennettPH, Carson DA, Curd JG. (1982), 161., Murray JF, Matthay Ma, Luce Jm, Flick Mr. (1988), 720)
그러므로 보체계 (complement system)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었을 때 자가면역질환이나 염증악화 및 이식수술시 심한 거부반응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보체저해제는 항염증 치료제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Arvind Sahu et. al., Immunopharmacology, 49(2000) 133-148), Arvind Sahu et. al., Biochemical pharmacology, Vol. 57.pp. 1439-1446, 1999).
잔틴옥시다제 (xanthine oxidase)는 퓨린(purine)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로서 인체 세포내에서 잔틴 (xanthine) 또는 히포잔틴 (hypoxanthine)을 산화하여 요산 (uric acid)과 활성산소종을 생성시킨다. 요산이 혈액에 증가하면 낮은 용해성으로 인하여 혈액이나 골절에 축척되어 통풍을 유발하거나 신장에 침착하여 신장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때문에 잔틴옥시다제의 과도한 활성을 저해하면 인체내 해가되는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통풍(goat)을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Tandtaka Noro et. al., Chem. Pharm. bull., 31(11) 3984-3987(1983),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잔틴옥시다제 저해제를 분리하는 연구들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Hao Li et al. J. Natural Product, 62, 1053-1055 (1999))
알파글루코시다제는 동물 소장내에서 이당류들을 마지막으로 가수분해하고 포도당을 유리시켜 소장점막으로 흡수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이 효소의 활성 저해는 식사 후 탄수화물의 흡수를 억제하여 과도한 혈당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당뇨병 환자 특히 인슐린 저항성이 과다하게 나타나는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 환자들의 식후 급격한 혈당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당뇨병 치료를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Chiasson, Jean-Louis MD et. al., Diabetes Care, 21(10) 1720-1725. October (1998), Martin, Ann E. et. al.,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53(19): 2277-2290, October (1996))
대나무는 아열대 및 온대지방까지 널리 분포하며, 특히 아시아의 계절풍지대에 흔히 자생하는 벼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우리나라에는 왕대, 솜대, 맹종죽의 3대 죽종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주로 남부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다. 왕대와 솜대는 식용보다는 가구조제등에 주로 이용된다. 맹종죽 (孟宗竹)은 일본에서는 직경이 약 20cm 정도가 되는 것이 있을 정도로 대나무 중에서 가장 굵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가구제조에도 이용되나 죽순이 굵고,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식용죽 (食用竹)이라고 흔히 부르고, 죽순과 목재에 이용되는 부분 이외인 맹종죽엽은 모두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또한 맹종죽은 예로부터 구토, 소염, 유산, 발한, 중품 등에 대한 치료제로 이용되어 왔고 (동의보감, 중약대사전) 그외에 항균성을 나타내는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일본에서는 옛부터 죽물통으로 이용하였고, 우리나라에서도 고기, 경단등을 포장하는 식품의 보관에 이용되어 왔다.
종래 맹종죽을 비롯한 대나무의 생리활성 물질 연구는 대부분 항균활성 중심으로 국내 및 일본에서 보고 되어왔다. 이미 대나무 잎에서 항균성 물질인 2,6-디메틸벤조퀴논과 벤조산이 일본 연구자에 의하여 밝혀져 있다. 국내의 경우 아직, 물질의 규명단계에 접근한 연구 보다 죽엽의 용매 추출물에 대하여 항균활성의 조사(김미정등,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5권 1호, p.135-142, 1996) 와 죽순의 일반 성분 분석에 관한 보고 (정종성등, 한국임학회지, 78권 1호, p,55-60, 1989) 등 매우 제한된 연구가 보고되었다.
맹종죽엽에서 항산화활성을 갖는 활성물질에 관한 보고는 없었으나, 본 발명자들이 국내출원 제 2001-55000호에서 맹종죽엽 추출물이 항산화활성이 있음을 명시한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맹종죽엽의 추출물에서 신규한 클로로젠산 메틸 에테르계 화합물 2가지를 분리하고, 상기 신규물질이 항산화활성 및 보체저해활성, 잔틴옥시다제 저해활성,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맹종죽엽으로부터 추출 분리된 신규한 클로로젠산 유도체 화합물들인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신규한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의 항산화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맹종죽엽을 동결건조한 뒤 파쇄하여 분말화한 다음 에탄올로 추출하고,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유기용매 분배 분획을 한뒤, 컬럼크로마토그래피와 박층크로마토그래피하고, 이를 HPLC로 정제하여 신규한 클로로젠산 메틸 에테르계 화합물 2가지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신규물질의 유리활성 소거활성, 활성산소 소거능 측정, 지질과산화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고, 항보체활성, 알파-글루코시다제, 잔틴옥시다제 저해활성을 확인함으로써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 맹종죽엽으로부터 분리정제된 화합물과 알파-토코페롤을 처리한 DPPH 유리라디컬의 전자스핀공명 분광기(ESR)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은 맹종죽엽을 수세한 후 동결건조 또는 음건한 다음 파쇄하여 수득한 건조분말을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80±2℃에서 환류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에탄올 침전을 실시하여 고분자성 화합물을 제거한 후, 극성을 달리하는 헥산, 크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배분획하는 단계; 상기추출물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흡착성 HP-20컬럼, 극성 실리카겔 컬럼, LH-20 겔여과컬럼, ODS 역상컬럼 크로마토그라피의 4 단계 컬럼크로마토그라피 정제단계; 상기 컬럼 정제 활성획분을 메탄올에 용해한 후 최종적으로 순상 및 역상의 박막크라마토그라피에 의한 정제단계; 역상 소수성 컬럼을 이용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순수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순수 분리한 결과 3종의 화합물이 분리된 바, 이를 분자구조를 동정한 결과, 하나는 기지의 화합물인 3-페루오일퀴닌산 (3-feruloylquinic acid)으로 이는 생 커피콩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Corse, J.; Sondheimer, E.; Lundin, R. Tetrahedron, 18: 1207-1210, 1962)로 판명되었다.
다른 2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과 2로 신규의 클로로젠산 유도체들로 미국화학협회부터 인정받았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클로로젠산 메틸 에테르계 (chlorogenic acid methyl ether) 화합물이다. 상기화합물은 크게 좌측 부위의 메틸퀴닌산과 우측부위의 카페인산으로 구성되는 일종의 에스테로 화합물이다. 한편으로는 1번 탄소에 연결된 산소에 메틸기를 가지며 3번 에스테로 이루어진 클로로젠산 유도체이다. 상기 화합물은 19개의 탄소와 20개의 수소 및 9개의 산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4개의 자유히드록실기 (free hydroxyl) 즉, 4, 5, 3', 4'번 탄소에 히드록실기 (hydroxyl)를 각각 1개씩 갖고 있다. 특히 카페이산 부위의 3', 4'위치의 디히드록실기들은 오르토 (ortho) 형태의 카테콜 (catecol)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퀴닌산 1번 탄소에 각각 메톡실기와 카르복실기가 존재하며 퀴닌산의 3번 탄소에 연결된 산소와 카페인산의 9'탄소가 에스테로 결합되어 있다. 이를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로 명명하였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화합물 1인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유사한 클로로젠산 메틸 에테르계 (chlorogenic acid methyl ether) 화합물로서 우측 부위의 메틸퀴닌산과 좌측부위의 카페인산으로 구성되는 일종의 에스테로 화합물이다.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는 달리 4번 탄소에 연결된 산소에 메틸기를 가지며 5번 에스테로 이루어진 클로로제산 유도체이다. 상기 화합물은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의 구조이성질체로서 19개의 탄소와 20개의 수소 및 9개의 산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3, 5, 3', 4'의 위치에 4개의 자유히드록실기 (free hydroxyl)를 각각 1개씩 갖고 있다. 화합물 1과 같이 카페이산 부위의 3', 4'위치의 디히드록실기들은 오르토 (ortho) 형태의 카테콜 (catecol) 구조로 되어있으나 또한 1번 위치에 카르복실기로 구성된 퀴닌산 4번 탄소에 메톡실기가 존재하며, 퀴닌산의 5번 탄소에 연결된 산소와 카페인산의 9'탄소가 에스테로 결합되어진 구조이다. 이는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로 명명하였다.
상기 화학식 1과 2로 나타내어지는 각각의 화합물에 대하여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DPPH) 유리라디컬에 대한 소거활성, 잔틴 (xanthine)과 잔틴옥시다제 (xanthine oxidase)를 이용하여 생성시킨 활성산소 즉 수퍼옥사이드의 소거활성과 흰쥐 간에서 분리한 마이크로좀 내의 지질과산화 저해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전자스핀분광기(electrospin resonance, ESR)를 이용하여 유리라디컬의 소거기능을 직접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화학식 1과 2로 나타내어지는 각각의 화합물에 대하여 감작된 양의 적혈구에 대한 보체의 용혈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보체저해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잔틴이 산화되는 것을 저해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잔틴옥시다제 저해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글루코즈 옥시다제(glucose oxidase reagent)를 가하여 생성되는 과산화수소를 오르토디아니시딘(ο-dianisidine)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색소물질을 비색정량하여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 맹종죽엽으로부터 추출한 신규한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은 각각 종래의 천연항산화제인 알파-토코페롤 보다 항산화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신규한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를 각각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은 노화와 성인병 질환을 예방,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또는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맹종죽엽은 오랫동안 생약 및 식용으로 쓰여왔던 것이므로 이들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을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은 보체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본 발명의 보체활성조절제는 생체외 또는 생체내 모두에서 보체활성을 조절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체활성 조절제는 보체활성과 관련된 천식, 알레르기, 관절염, 류마치스, 전신성 홍반성 낭창, 망막염, 간염, 장염, 췌장염, 신장염,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하는 염증질환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장기 이식시 유발되는 이식거부 반응을 억제하는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은 잔틴옥시다제 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본 발명의 잔틴옥시다제 저해제 조성물은 이와 관련된 질환인 통풍, 신장결석의 질환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은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본 발명의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제 조성물은 이와 관련된 비만억제, 당뇨병, 고지혈증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맹종죽엽으로부터 순수물질의 분리정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맹종죽엽은 대한민국 거제도 하청면 일대에 서식하는 맹종죽의 잎으로, 이를 채취하여 수세하고 동결건조 또는 음건 후 파쇄하여 분말화하여 사용하고, 순수물질은 하기와 같이 제조한다.
1단계 : 맹종죽엽의 에탄올추출
상기 맹종죽엽 건조분말 500g을 5 L 부피의 원형 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3 L의 70% 에탄올을 가하여 80±2℃에서 6 시간 환류추출의 과정을 3회 내지 4회 반복 실시하여 약 10 L의 추출액을 수득한 후 원심분리 (4℃, 5000 rpm, 25 분) 및 감압필터 하여 추출잔사를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회전증발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동결건조하여 약 90 g의 항산화성 추출물을 얻었다.
2단계 : 맹종죽엽의 유기용매 분배분획
상기 1단계에서의 추출물을 1 L의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3L의 차가운 95% 에탄올를 가하여 교반하고 4℃에서 12시간 정치한다. 이 과정에서 생긴 침전물을 원심분리 (4℃, 6000 rpm, 30 분) 및 감압필터 여과로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건조하여 에탄올을 완전 제거한 액을 증류수 2 L에 재용해 시킨다. 그리고 5L 부피의 분액깔대기에 2L의 n-헥산을 혼합하여 헥산층과 수층으로 2회 분획하였다. 상기 수층에 2L의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클로로포름층과 수층으로 2회 분획하고, 수층에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층과 수층으로 2회 분획하고, 최종적으로 수층에 n-부탄올을 2L 가하여 부탄올층과 수층으로 2회 분획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각 분획을 감압건조하여 각 유기용매를 제거한 뒤 동결건조한 결과 헥산분획, 클로로포름 분획,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부탄올 분획, 최종수층 분획을 각각 15.2g, 6.9g, 2.1g, 9.3g, 16.1g씩 얻었다.
3 단계 : 컬럼크로마토그래피 정제
상기 2단계의 n-부탄올 분획을 50 mL 알칼리수 (pH 10)에 용해시켜 흡착성 디아이온 HP-20 레진이 충진된 첫 번째 컬럼 (4 x 28 cm) 상단부위에 흡착시킨 후 30% 메탄올로 용출시킨 활성획분 2.2 g을 극성 실리카겔이 충진된 두 번째 컬럼 (5 x 12 cm)에서 메탄올을 농도구배로 증가시킨 클로로포름 용매를 이용하여 용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활성획분을 감압건조 후 1 mL의 메탄올에 용해하고, 저분자용 겔여과 세파덱스 (Sephadex) LH-20이 충진된 세 번째 컬럼 (2 x 95 cm)에 도입하여 95% 메탄올을 유속 0.2mL/분 으로 하여 4 mL 씩 분획하였다. 상기과정의 활성획분 (48번 - 60번 튜브)들을 혼합농축하여 소수성 옥타데실실란 (ODS)이 충진된 네 번째 컬럼 (1.5 x 8.5 cm)에 도입시키고 30-70 % methanol의 농도구배로 유속 0.1 mL/min 하에 2 mL 씩 분획하여 강력한 항산화성 활성획분 (10번 - 18번 튜브) 357 mg을 수득하였다.
4단계 : 박층크로마토그래피 정제
상기 3 단계의 활성획분을 소량의 메탄올에 용해시켜 극성 실리카겔이 도포된 박층크로마토그라피 플레이트 (20 x 20 cm)에 점적한 후, n-부탄올 : 메탄올 : 물 = 4 : 1 : 2로 구성된 이동용매를 이용하여 전개하고 Rf 값 0.7 위치의 활성띠 부분을 긁어 취한다. 이 성분을 메탄올로 용출하고 소수성 옥타데실란(ODS) 실리카가 도포된 역상플레이트 (20 x 10 cm)에 재점적하여 30% 메탄올을 이동상 용매로 전개하였으며, Rf 0.3 위치의 최종 정제된 맹종죽엽 항산화조성물 108mg을 획득하였다.
5단계 : HPLC에 의한 순수분리
상기 4단계에서 얻어진 항산화조성물 70 mg을 10mL의 HPLC 용 메탄올에 용해한 후 0.2 μm 시료용 휠터에 통과시킨 것을 안정화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항산화성 단일물질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는 미국 워터스사 (Waters Co) 시머트리프렙 컬럼 (SymmertryPrep, 7μm, 21. x 150 mm)을 장착한 워터스사 (Waters Co) 모델 2690 얼라이언스 (allience) 시리즈을 사용하였고, 아세토니트릴과 1%의 트리플루올산 (TFA)를 함유하는 3차 증류수를 17 대 83의 비율로 혼합, 탈기한 이동상 용매를 1.5 mL/분 의 유속으로 흐르게 하여 분석하였으며, 워터스 996 포토디오드어레이 (photodiode array, PDA) 검출기 (detector)로 물질의 자외선흡광패턴과 두 파장영역 (254 및 300 nm)의 흡수도를 이용하여 화합물들을 순수분획한 결과 머무름시간 16 분의 화합물 1 (7.0 mg)과 머무름시간 20분의 화합물 2 (5.2 mg) 및 머무름시간 28분의 화합물 3 (8.5 mg)를 수득할 수 있었다. 상기 3개의 화합물 중에서 화합물 1은 생커피콩으로부터 분리된 기지의 물질3-페루오일퀴닌산 (3-feruloylquinic acid)으로 판명되었으나, 화합물 2와 3은 신규의 클로로젠산 유도체로서 미국화학협회로부터 인정받았다.
실시 예 2 : 신규화합물의 구조동정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화합물 2와 3 즉 본 발명에서의 신규화합물 1과 2의 자외선 최대 흡수대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 시료를 메탄올에 1mg/mL의 농도롤 용해시켜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기(시마주(Shimadzu)사, UV-2401)를 이용하여 190-500nm 영역내에서 측정하였다. 시약첨가에 따른 자외선 흡수대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AlCl3, NaOH, NaOAC 등을 사용하였다.
적외선 흡수 영역을 조사항고자 각 화합물 2-3 mg을 포타슘브로마이드 (KBr)와 함께 잘 혼합 후 직경 0.5 cm의 디스크로 만들어 적외선 분광기 (Jasco FTIR-430)에서 최대 IR 흡광도을 측정하였다.
화합물의 분자량 결정은 전자포말이온화 (ESI) 질량분석기 (Micromass Quattro II)와 고해석능 팹매스 질량분석기 (JMS-700 Mstation mas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글라이세롤 매트릭스로 하여 하이 레조루션(High resolution) MS를 측정하였다.
핵자기공명(NMR)분석은 순수 정제 화합물 들 (5-7 mg)을 완전 건조하여 CD3OD (0.5 mL)에 용해한 후 5 mm NMR 튜브에 주입하고 브루커 모델 기종 (Bruker AMX-500)으로 NMR분석 하였으며,1H-NMR은 500MHz로,13C-NMR은 125MHz로 각각 측정하였다. 기타 융점측정은 DSC 2010기종을, 광학활성측정은 AUTOPOL III 편광기 (polarimeter)를 이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신규화합물 1의 물리화학적 성질은 다음과 같다.
(1) 분자식 : C17H20O9
(2) 녹는점 : 202-204 ℃
(3) 광학활성 : [α]25 D-16.9 (water,c0.35)
(4) 성상 : 백색분말
(5) 용해성 :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에 용해되고 클로로포름, 헥산등에 불용성
(6) TLC 양성발색 : FeCl3,브로모크레졸그린 (bromocresol green)
(7) 자외선 흡수대 (메탄올, nm) : 245sh, 300, 329; (+NaOH) 266sh, 310, 374; (+AlCl3) 355;(+AlCl3+HCl) 245sh, 299, 328; (+NaOAc) 338, 377sh; (+NaOAc + H3BO3)254, 306, 351
(8) 적외선흡수대 (KBr, cm-1) : 3423, 2957, 1734, 1686, 1631, 1522, 1443
(9) 분자량 : 368 : ESI-MS,m/z369 [M+H]+, FAB-MSm/z369 [M+H]+,m/z391 [M+Na]+
(10)1H 및13C-NMR
1H NMR : (CD3OD, 500 MHz) 7.51 (1H, 15.9Hz, H-7), 7.04 (1H, d, 2.0Hz, H-2), 6.94 (1H, dd, 8.2Hz, 2.0Hz, H-6), 6.77 (1H, d, 8.4Hz, H-5), 6.20 (1H, d, 15.9Hz, H-8) 5.26-5.30 (1H, m, H-3), 4.12-4.15 (1H, m, H-5), 3.71 (1H, dd, 7.5Hz, 3.1Hz, H-4), 3.70 (OCH3), 1.93-2.23 (4H, m, H-2, H-6);
13C NMR : (CD3OD, 125 MHz) 175.4 (COO-), 168.3 (C-9), 149.7 (C-3), 147.2 (C-4), 146.8 (C-7), 127.7 (C-6), 123.0 (C-1), 116.5 (C-5), 115.1 (C-2, C-8), 75.8 (C-4), 72.6 (C-1), 72.1 (C-3), 70.3 (C-5), 53.0 (OCH3), 38.1 (C-6), 37.8 (C-2)
(11) 화학구조식
[화학식 1]
(12) 화학명 :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 (3-O-caffeoyl-1-methylquinc acid)
본 발명의 신규화합물 2의 물리화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분자식 : C17H20O9
(2) 녹는점 : 200-201 ℃
(3) 광학활성 : [α]25 D-39.2 (ethanol,c0.30)
(4) 성상 : 백색분말
(5) 용해성 :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에 용해되고 클로로포름, 헥산등 에 불용성
(6) TLC 양성발색 : FeCl3,브로모크레졸그린 (bromocresol green)
(7) 자외선 흡수대 (메탄올, nm) : 244sh, 296, 328; (+NaOH) 261sh, 308, 372; (+AlCl3) 263sh, 306, 351; (+AlCl3+HCl) 244sh, 296, 328; (+NaOAc) 274, 334, 375; (+NaOAc + H3BO3) 252sh, 303, 348
(8) 적외선흡수대 (KBr, cm-1) : 3433, 2950, 1735, 1680, 1631, 1519, 1445
(9) 분자량 : 368 : ESI-MS, m/z 369 [M+H]+, FAB-MS m/z 369 [M+H]+, m/z 391 [M+Na]+
(10)1H 및13C-NMR
1H NMR : (CD3OD, 500 MHz) 7.61 (1H, 15.9Hz, H-7), 7.06 (1H, d, 2.0Hz, H-2),6.95 (1H, dd, 8.2Hz, 2.0Hz, H-6), 6.78 (1H, d, 8.2Hz, H-5), 6.35 (1H, d, 15.9Hz, H-8) 4.23-4.30 (3H, m, H-3, 4, 5), 3.75 (OCH3), 1.99-2.21 (4H, m, H-2, H-6);
13C NMR : (CD3OD, 125 MHz) 176.5 (COO-), 168.9 (C-9), 149.5 (C-3), 146.9 (C-4), 146.8 (C-7), 127.9 (C-6), 123.0 (C-1), 116.5 (C-5), 115.8 (C-8), 115.1 (C-2), 74.3 (C-4), 73.9(C-1), 71.3 (C-3), 70.6 (C-5), 52.9 (OCH3), 40.8 (C-2), 36.4 (C-17)
(11) 화학구조식
[화학식 2]
(12) 화학명 :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 (5-O-caffeoyl-4-methylquinic acid)
실시예 3 : 본 발명에 의한 신규화합물의 항산화 활성 조사
상기 실시예 2의 신규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유리 라디컬에 대한 소거활성, 활성산소 소거능 측정, 지질과산화 저해활성 그리고 ESR 통한 유리라디칼의 소거기능을 각각 측정하였다.
실험예 1 : 유리라디컬 소거활성 측정
유리라디컬 소거활성은 불로이스의 방법에 준하여 1,1-디페닐-2-피크릴 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DPPH 20 mg을 에탄올 150 mL에 녹여 DPPH 용액을 만든 후 이 용액 0.5 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킨 시료를 0-100 ㎍/mL 의 농도로 첨가하고 즉시 5초 동안 진탕한 후 10 - 30분 후 동안, 517 nm에서 시료을 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흡광도 감소를 유리라디컬소거 활성으로 나타내었다. 50%의 유리라디컬을 소거하는데 필요한 물질의 농도를 IC50값으로 나타내었다. 이 값이 낮을수록 항산화활성이 강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의 유리라디컬 소거활성과 종래 항산화제인 알파-토코페롤의 유리라디컬 소거활성을 상기와 같이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 신규화합물과 알파-토코페롤의 유리라디컬 소거활성
화합물 DPPH 소거활성 (IC50값, μM)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 6.9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 8.8
알파-토코페롤 40.6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신규화합물인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의 유리라디컬의 소거활성은 종래 널리 알려져 있는 천연 항산화비타민인 알파-토코페롤과 상대 비교하였을 때 상당히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의 경우 알파-토코페롤에 비하여 DPPH 소거활성은 약 5.8배이었고, 화학식 2로 표시되는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은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에 비하여 약간 낮은 활성을 보였으나, 알파-토코페롤보다 DPPH 소거활성은 약 4.5배 강한 활성을 보였다.
실험예 2 : 활성산소 소거능 측정
활성산소(superoxide anion) 소거능 측정은 잔틴/잔틴옥시다제 (xanthin/xanthin oxidase) 효소반응에 의한 활성산소 발생계를 이용하여 활성산소에 의한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리움 (nitroblue tetrazolim, NBT)의 산화에 의한 광흡수도 (530nm) 변화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0%의 활성산소를 소거하는데 필요한 물질의 농도를 IC50값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한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의 활성산소 소거활성과 종래 항산화제인 알파-토코페롤의 활성산소 소거활성을 상기와 같이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한 신규화합물 및 알파-토코페롤의 활성산소 소거활성
화합물 활성산소 소거활성 (IC50값, μM)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 1.2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 2.8
알파-토코페롤 >50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신규화합물인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의 활성산소 소거활성을 기존의 널리 알려져 있는 천연 항산화비타민인 알파-토코페롤과 상대 비교하였을 때 월등히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의 경우 알파-토코페롤에 비하여 활성산소 소거활성은 50배 이상. 화학식 2로 표시되는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은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에 비하여 약간 낮은 활성을 보였으나, 알파-토코페롤보다 활성산소 소거활성은 20배 이상 강한 활성을 보였다.
실험예 3 : 지질과산화 저해활성 측정
지질과산화 저해활성 측정은 적출된 흰쥐 간세포를 초원심분리 (77000g, 60분, Hitachi RP 30) 하여 얻어진 마이크로좀을 지질원으로 하여 Fe2+/아스코르베이트 계에 의한 지질과산화를 유도하고 생성된 말론디알데히드 (malonaldehyde, MDA)를 티오바비트린산 (thiobarbituric acid, TBA)과 반응시켜 시료에 의해 감소된 MDA양을 정량 환산하였다. 시험관에 시료가 함유된 간 마이크로좀 용액 200μL 와 소듐도데실슬폰염 (sodium dodesyl sulfate, SDS) 용액 225μL를 가하고 5초간 진탕혼합한후, 20%의 아세트산, 75μL의 증류수, 1.2% TBA 용액 1mL 씩 가하여 30분간 수욕상에서 가온 하였다. 실온에서 30분 냉각 후에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5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지질 과산화 저해활성(%)을 구하였다. 50%의 활성산소를 소거하는데 필요한 물질의 농도를 IC50값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한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의 지질과산화 저해활성과 종래 항산화제인 알파-토코페롤의 지질과산화 저해활성을 상기와 같이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 나타내었다.
본 발명 신규화합물과 알파-토코페롤의 지질과산화 저해활성
화합물 지질과산화 저해활성 (IC50값, μM)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 14.6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 19.2
알파-토코페롤 50.1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신규화합물인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의 지질과산화 저해활성을 종래 널리 알려져 있는 천연 항산화비타민인 알파-토코페롤과 상대 비교하였을 때 상당히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의 경우 알파-토코페롤에 비하여 지질과산화 저해활성은 약 3.2배 강하였으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은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에 비하여 약간 낮은 활성을 보였으나, 지질과산화 저해활성은 약 2.6배 강한 항산화활성을보였다.
실험예 4 : ESR 통한 유리라디컬의 소거기능 측정
유리라디컬의 소거기능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고자 전자스핀공명 분광기 (electrospin resonace, ESR)를 이용하여 안정한 유리라디컬 화합물인 1,1-디페닐-2-피크릴 하이드라질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용액에 본 발명에서의 화합물과 알파-토코페롤을 가하여 라디컬 소거여부를 직접 측정하였다. 전자스핀공명 분광기 (Bruker model ESP-300s ESR, Silberstreifen, Germany)의 측정조건은 25℃, 10 mW의 microwave power, 41.9s sweep time, microwave frequency 9.78 GHz로 하였고 200 μM의 DPPH와 0.1 mM의 시료들을 사용하였다.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이 직접적으로 유리라디컬을 소거하는 현상을 알파-토코페롤과 동일조건에서 실험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1)에 비하여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을 포함하는 3종의 맹종죽 기원 항산화성화합물들(3, 4, 5)은 완전히 DPPH 라디컬을 소거하였으나, 알파-토코페롤 (2)의 경우 동일 실험조건에서 완전히 소거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4 : 본 발명에 의한 신규화합물의 생리활성 조사
상기 실시예 2의 신규화합물의 생리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보체저해 활성, 잔틴옥시다제 저해활성,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각각 측정하였다.
실험예 5 : 보체저해활성
항보체 활성은 정상성인의 혈청 (NHS, normal human serum)과 GVB++(gelatin veronal buffered saline, pH 7.2) 완충액 및 3차 증류수에 용해한 시료 (100 μg/mL)를 각각 50㎕씩 혼합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반응액에 GVB++를 350㎕씩 첨가하고, 이를 10배에서 160배까지 연속 희석하였다. 여기에 750㎕의 GVB++와 양의 감작 적혈구 (IgM-hemolysin-sensitized sheep erythrocyte, 108cells/mL)를 250㎕씩 가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4) 완충액를 2.5mL씩 가하여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의 흡광도를 412 nm에서 측정하였다. 보체저해활성은 ITCH50, 즉 총보체 용혈 저지율 (Inhibition of 50% Total Complement Hemolysis)로 나타내었다. 보체저해활성을 백분율(%)로 표시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 신규한 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의 생리활성
화합물 보체저해활성 잔틴옥시다제저해활성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 66.3% 88.6% 52.7%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 52.5% 80.1% 48.3%
* : 각 생리활성실험에서 처리된 물질의 농도는 0.1 mg/mL 임.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은 보체저해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 액성면역계의 일부를 담당하며 항체와 함께 외부로부터 침임된 이물질이나 병원균을 파괴하는 혈청내 일련의 단백질군인 보체계 (complement system)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었을 때 자가면역질환이나 염증악화 및 이식수술시 심한 거부반응을 초래하게 되므로 보체저해 활성이 있는 본 발명의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은 각각 보체활성과 관련된 천식, 알레르기, 관절염, 류마치스, 전신성 홍반성 낭창, 망막염, 간염, 장염, 췌장염, 신장염,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하는 염증질환 치료 및 장기 이식거부 반응을 억제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실험 예 6 : 잔틴옥시다제 저해활성
잔틴옥시다제 (xanthine oxidase) 활성은 Noro등의 방법 (Noro, T; Oda, Y.; Toxhio, M; Ueno, A. Chem. Pharm. Bull. 31: 3984-3987, 1983)을 일부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0.1 mg 농도의 시료용액 (0.1 mL), 50 mM의 인산염(phosphate) 완충액 (pH 7.5, 0.3 mL) 및 0.1 의 효소용액 (0.5 unit/mL, xanthine oxidase)을 혼합한 시험관을 25 ℃에서 15분간 정치한 후, 0.15 mM의 잔틴 기질용액 (0.2 mL)을 가하여 25℃에서 30분간 반응 시킨후 0.1mL HCl 용액으로 반응을 중지시키고 29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잔틴옥시다제 저해활성을 백분율로 나타내어 그 결과를 상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은 잔틴옥시다제 저해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틴옥시다제 (xanthine oxidase)가 과도하게 활성되는 경우 통풍이나 신장결석을 초래하는 유린산 (uric acid)과 인체내 해가되는 활성산소종이 축적된다. 따라서 잔틴옥시다제 저해활성이 있는 본 발명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은 각각은 통풍 (goat)이나 신장결석 (kidneystone)과 같은 질병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실험 예 7 :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
알파-글루코시다제 (α-Glucosidase)는 Ove의 방법(Ove, N.; Sjostorm, H.; Cowell, G.M.; Tranum-Jenser, J.; Hansen, O.; Welinder, K.G. J. Biol. Chem. 261:12306-12309, 1986)에 준하여 돼지 소장으로부터 조정제하여 사용하였으며, 반응에 필용한 기질은 0.1 M phosphate 완충액에 1% 전분, 50 mM 맥아당, 100 mM 서당을 조제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알파글루코시다제 활성은 반응액 (0.1 ㎎/mL)에 글루코스옥시다제 (glucose oxidase reagent)를 가하여 생성되는 과산화수소를 오르토디아니시딘 (o-dianisidine)과 반응시켜 생성되는 색소물질을 540 nm에서 비색정량하고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계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은 알파글로코시다제 저해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파글루코시제를 저해하는 경우 식사후 탄수화물의 흡수를 억제하여 과도한 혈당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이 있는 본 발명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각각은 당뇨병, 고지혈증 치료제나 비만억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폐기되고 있던 맹종죽엽으로부터 분리정제된 신규화합물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은 항산화할성 특히 활성산소 소거기능이 뛰어나므로 천연물 유래의 항산화제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체저해활성, 잔틴옥시다제 및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동시에 나타냄으로써 보체활성과 관련된 천식, 알레르기, 관절염, 류마치스, 전신성 홍반성 낭창, 망막염, 간염, 장염, 췌장염, 신장염,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치료제 및 장기 이식거부 반응을 억제제, 잔틴옥시다제 활성과 관련된 통풍, 신장결석의 치료제, 알파-글루코시다제의 활성과 관련된 당뇨병, 고지혈증 치료제 및 비만억제제등의 의약품용도로 개발될 수 있으며, 상기 효능을 이용한 화장품, 기능성식품으로도 응용할 수 있어 생물 의약분야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 (3-O-caffeoyl-1-methylquinc acid) 화합물.
    [화학식 1]
  2.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5-O-caffeoyl-4-methylquinic acid) 화합물.
    [화학식 2]
  3.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식품.
  6.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체활성-관련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보체활성-관련 질환은 천식, 알레르기, 관절염, 류마치스, 전신성 홍반성 낭창, 망막염, 간염, 장염, 췌장염, 신장염,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장기 이식거부 반응으로 구성되는 염증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잔틴옥시다제 활성-관련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잔틴옥시다제 활성-관련 질환은 통풍, 신장결석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파글루코시다제 활성-관련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알파글루코시다제 활성-관련 질환은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맹종죽엽을 수세한 후 동결건조한 다음 파쇄하여 수득한 건조분말을 에탄올로 환류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에탄올 침전을 실시하여 고분자성 화합물을 제거한 후, 극성을 달리하는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배분획하는 단계;
    상기 유기용매 분획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및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정제된 추출물을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순수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맹종죽엽으로부터 신규화합물 3-옥시-카페오일-1-메틸-퀴닌산과 5-옥시-카페오일-4-메틸-퀴닌산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1-0056002A 2001-09-11 2001-09-11 맹종죽엽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클로로젠산 메틸에테르계 화합물 및 그 용도 KR100447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002A KR100447622B1 (ko) 2001-09-11 2001-09-11 맹종죽엽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클로로젠산 메틸에테르계 화합물 및 그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002A KR100447622B1 (ko) 2001-09-11 2001-09-11 맹종죽엽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클로로젠산 메틸에테르계 화합물 및 그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620A KR20030022620A (ko) 2003-03-17
KR100447622B1 true KR100447622B1 (ko) 2004-09-07

Family

ID=2772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002A KR100447622B1 (ko) 2001-09-11 2001-09-11 맹종죽엽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클로로젠산 메틸에테르계 화합물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7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936B1 (ko) 2012-09-26 2014-06-03 한국 한의학 연구원 죽엽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691B1 (ko) 2020-01-23 2022-08-19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댓잎을 이용한 대나무 마카롱 제조 방법
KR20210095338A (ko) 2020-01-23 2021-08-02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성이 강화된 디저트 케이크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966A (ko) * 1999-08-16 2001-03-05 유청기 클로로제닉산과 1, 4-디-오-카페오일-디-(+)-퀴닉산의 분리방법 및 이들을 함유한 가시오갈피 유식물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KR20010096634A (ko) * 2001-04-18 2001-11-08 서경배 대나무수액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20074275A (ko) * 2001-03-19 2002-09-30 애경산업(주)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KR20030021640A (ko) * 2001-09-07 2003-03-15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항산화 활성이 있는 맹종죽엽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966A (ko) * 1999-08-16 2001-03-05 유청기 클로로제닉산과 1, 4-디-오-카페오일-디-(+)-퀴닉산의 분리방법 및 이들을 함유한 가시오갈피 유식물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KR20020074275A (ko) * 2001-03-19 2002-09-30 애경산업(주)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KR20010096634A (ko) * 2001-04-18 2001-11-08 서경배 대나무수액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30021640A (ko) * 2001-09-07 2003-03-15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항산화 활성이 있는 맹종죽엽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936B1 (ko) 2012-09-26 2014-06-03 한국 한의학 연구원 죽엽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620A (ko) 200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3007B2 (en) Method of producing proanthocyanidin oligomer
AU2003295856B2 (en) Efficient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ions enriched in total phenols
Skupień et al. In vitro antileukaemic activity of extracts from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Michx] Elliott) and mulberry (Morus alba L.) leaves against sensitive and multidrug resistant HL60 cells
JP2010059096A (ja) C型肝炎ウイルス産生抑制剤
KR100486763B1 (ko) 항산화 활성이 있는 맹종죽엽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Sankaranarayanan et al. Antioxidant and antihemolytic activity of flavonoid extract from fruit peel of Punica granatum
Ye et al. Hypolipidemic effect of a novel biflavonoid from shells of Camellia oleifera (Abel.)
KR101440684B1 (ko) 클로렐라 유래 항산화 활성을 갖는 펩티드
KR100460133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로부터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카테킨의 생산방법
JP4822291B2 (ja) 肝線維化抑制剤
KR101812319B1 (ko) 아이리린 b를 포함하는 혈전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2178673B (zh) 含硫原花色素寡聚物的组合物及其制造方法
KR100447622B1 (ko) 맹종죽엽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클로로젠산 메틸에테르계 화합물 및 그 용도
WO2022254868A1 (ja) 新規イソフラボン化合物
JP2006182706A (ja) 血中アディポネクチン量増加剤
US8372890B2 (en) Functional food containing sodium tricaffeoylaldarate
WO2022254867A1 (ja) 新規フェニルプロパノイド化合物
Liu et al. Chemical Constituent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in Seeds and Leaves of Goji (Lycium barbarum)
AU2012244090B2 (en) Method of producing proanthocyanidin oligomer
Widyasti Chemical constituents of fan-si abutilon indicum stems
CN101182317A (zh) 含硫原花色素寡聚物的组合物及其制造方法
Lopes et al. Immunostimulating and antiproliferative properties of Indigofera suffruticosa (Fabaceae)
MX2007010344A (es) Metodo de produccion del oligomero de la proantocianid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