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289A -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289A
KR20220040289A KR1020200123279A KR20200123279A KR20220040289A KR 20220040289 A KR20220040289 A KR 20220040289A KR 1020200123279 A KR1020200123279 A KR 1020200123279A KR 20200123279 A KR20200123279 A KR 20200123279A KR 20220040289 A KR20220040289 A KR 20220040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demodex
ski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백
정은선
박덕훈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3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0289A/ko
Publication of KR20220040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14Ectoparasiticides, e.g. scabic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2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containing insect repel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r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낭충 사멸효과와, 모낭충의 염증매개인자인 키틴으로부터 유발되는 톨유사수용체-2의 발현 및 활성화 신호전달 억제를 통해 염증유발인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모낭충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의 홍반, 염증 등의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어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모낭충 사멸 및 모낭충증의 피부 증상을 개선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demodicosis comprising Coptis chinensi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낭충의 사멸효과를 나타내고, 모낭충의 염증매개 인자인 키틴으로부터 활성화되는 내재면역수용체인 톨유사수용체-2의 발현을 억제하고, 또한 염증유발인자의 발현을 유도하는 신호전달을 억제함으로써, 모낭충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의 홍반, 염증 등의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낭충(Demodex mite)은 피부의 모낭 또는 피지선에 기생하는 피부 진드기로 가장 작은 절지동물 중 하나이다. 모낭충은 뺨, 코, 턱, 이마, 관자놀이, 속눈썹, 눈썹, 두피, 목, 귀 등 얼굴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며, 가슴, 등과 같은 다른 지루성 피부 영역에서도 발견된다. 약 65종의 모낭충이 알려져 있으며, 인간에서는 데모덱스 폴리쿠로룸(Demodex folliculorum)과 데모덱스 브레빅스(Demodex brevis)가 발견되며, 건강한 성인의 피부에서도 흔하게 발견된다. 데모덱스 폴리쿠로룸(Demodex folliculorum)는 몸체가 길고 끝이 둥근 형태로 길이는 0.3~0.4 mm로 얼굴에 일반적으로 국한되며, 데모덱스 브레빅스(Demodex brevis)는 몸이 짧고 끝이 예리한 형태로 길이는 0.15~0.2 mm로 목과 가슴에서 더 많이 발견된다. 이들은 피부세포와 피지 또는 선세포로부터 영양을 공급받아 기생하며,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의 피부에서는 증상이 없는 상태로 남아 있지만, 모낭충의 진피로의 침투 또는 모낭충의 급격한 증가 (5 cm2의 피부에서 5마리 이상의 모낭충) 등으로 인한 면역 메커니즘의 불균형은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모낭충증의 주요한 증상으로는 안면홍조, 인설, 가려움증, 피부 민감성 증가, 안구자극 및 충혈, 구진, 농포, 발진 등의 염증 및 탈모 등이 나타난다.
모낭충은 키틴성 외골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방출된 키틴은 병원체 관련 분자 패턴(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PAMPs)로 작용하여 톨유사수용체-2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하여 염증반응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선천성 면역계의 주요한 패턴인식 수용체인 톨유사수용체-2 (Toll like receptor-2, TLR-2)는 건선 및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에서는 발현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으나, 여드름, 로사시아, 모낭충증 피부질환에서 발현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다. 톨유사수용체-2는 외부자극 또는 유발인자에 의해 활성화될 때,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등의 생성을 통해 염증반응을 유도한다.
모낭충은 포유류 및 동물 특히 개와 고양이 등에서 모낭충증을 유발할 수 있다. 얼굴 및 두피에 주요하게 발생되는 인간과는 다르게 동물들은 몸 전체에 발생할 수 있으므로 치료가 힘들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질환이다. 현재 모낭충증의 주요한 치료법으로 국소요법으로 항생제 요법이 쓰이고 있으며 이들 약제는 항염작용과 면역억제 작용 등 다양한 기전으로 효능을 나타낸다. 그 외에도 이미다졸, 트레티노인, 이버멕틴 크림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염증성 병변이 심한 경우에는 단기적으로 스테로이드 제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전신요법으로 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메트리니다졸 등의 경구용 항생제 복용이 구진(papule), 고름물집 병변에 효과를 나타낸다. 이소트레티노인은 피지분비가 많은 환자의 경우에 도움이 되며,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구충제인 이버멕틴이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천연 추출물로 티트리 오일이 모낭충 사멸 효능을 가지며, 안구 모낭충증에 대해서 눈꺼풀 세척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황련(Coptis chinensis)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민간 및 한약처방에 약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중국이 원산이며 생약용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재배되며 주로 산지의 수림 그늘의 습진 땅에서 자란다. 한방에서는 당뇨병, 위장염, 설사, 항종양, 항균 활성 등을 치료하는 데에 사용되어져 왔다.
상기 황련의 효능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0032호는 항진균 활성,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5938호는 선천면역증강 및 항바이러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0739호는 호흡기질환 예방 및 치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4254호는 항균 및 주름개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0387호는 피부보습 효능 등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74755호는 갑상선 질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특허가 출원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황련 추출물의 모낭충증에 대한 피부 개선 효과에 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더불어 모낭충증 환자의 피부 홍조 및 구진, 농포 등의 염증반응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인체 자극이 적고 홍반 및 염증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는 천연 소재를 연구하던 중, 황련 추출물이 모낭충증 피부의 홍반 및 염증 발생을 억제하여 피부를 진정시키고,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어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0032호 (2008.03.05.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5938호 (2017.04.2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0739호 (2010.07.1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4254호 (2018.09.0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0387호 (2019.06.18.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74755호 (2019.06.2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어 인체 안전성이 우수하면서도 모낭충의 사멸 효과를 나타내고, 모낭충의 염증매개 인자인 키틴으로부터 활성화되는 내재면역수용체인 톨유사수용체-2의 발현을 억제하고, 또한 염증유발인자의 발현을 유도하는 신호전달을 억제함으로써, 모낭충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의 홍반, 인설, 가려움증, 피부 민감성 증가, 안구자극 및 충혈, 구진, 농포, 발진 등의 염증 등의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황련 추출물이 키틴으로부터 유발되는 톨유사수용체-2 신호전달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황련 추출물이 키틴으로부터 유발되는 톨유사수용체-2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를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황련 추출물이 키틴으로부터 유발되는 톨유사수용체-2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유세포 분석을 통해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황련 추출물이 키틴으로부터 유발되는 모낭충증 염증을 유발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IL-8, TNF-α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어 인체 안전성이 우수하면서도 모낭충 사멸효과와 모낭충의 염증매개 인자인 키틴으로부터 활성화되는 톨유사수용체-2의 발현 및 신호전달 억제를 통해 염증유발인자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모낭충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의 홍반, 염증 등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황련(Coptis chinensis)"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민간 및 한방처방에 약재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한방에서는 당뇨병, 위장염, 설사, 항종양, 항균 활성 등을 치료하는 데에 사용되어져 왔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추출물(extract)"이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 분획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황련 추출물은 물 또는 다양한 유기용매 등으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모낭충증 피부 치료 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물,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가 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등), 이들의 혼합용매 등이 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황련 추출물은 황련(Coptis chinensis)의 잎, 줄기, 뿌리 및 전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것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황련의 뿌리줄기로부터 추출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 역시 모낭충증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출 방법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 방법 등이 있으며, 열수 추출 방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상기 열수 추출은 황련 분말을 물에 침지하고, 90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121℃로 가열하여 추출하는 가열추출법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추출시간은 10분 내지 12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20분 내지 8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분 내지 40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횟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회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초음파 추출은 진동수가 1초에 20,000번 이상인 진동소자를 사용하여 각종 천연소재로부터 유용성분을 화학적인 힘이 아닌 물리적인 힘으로 상온에서 추출하는 방법으로, 용매 추출, 식물성 오일 추출 또는 수증기 증류 추출과 달리 상온에서 천연소재가 함유하고 있는 유효성분을 파괴하지 않고 고농도로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상기 초음파 추출은 건조된 황련 분말을 60 내지 80%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24 내지 72 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36 내지 60 시간 동안 실시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48 시간 동안 실시한다. 상기 수치의 하한을 벗어나는 경우 황련에 함유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으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유효성분의 추출량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고 상기 유효성분외 불순물이 추출되며 공정의 효율성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수득한 황련 추출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농축될 수 있다. 또한 감압농축 후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동결건조,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또는 분무건조를 통해 건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모낭충증(Demodicosis)"은 모낭충에 의하여 발생하는 피부의 홍반, 염증, 구진(1㎝ 미만 크기의 솟아 오른 피부 병변), 부종, 농포(고름) 또는 이러한 증상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적인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이다. 모낭충증의 피부병변은 일반적으로 뺨, 코, 턱, 이마, 관자놀이, 속눈썹, 눈썹, 두피, 먹, 귀 등의 얼굴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며 가슴, 등과 같은 다른 지루성 피부 영역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모낭충증의 피부 홍반 및 염증은 모낭충의 증가 및 진피로의 침투에 의해 발생되며, 이는 모낭충에 의해 활성화된 톨유사수용체-2가 매개하여 염증유발인자의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서 발생하며, 피부세포 및 면역세포에 영향을 주어 피부의 염증 및 홍반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황련 추출물은 모낭충을 사멸하고, 모낭충에 의해 발현 및 활성이 증가되는 톨유사수용체-2의 발현 및 활성화 억제를 통해 염증유발인자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모낭충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의 홍반, 염증 등의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간 이마로부터 추출한 모낭충을 대상으로 황련 추출물의 모낭충 사멸 효과를 확인한 결과 황련 추출물을 모낭충에 처리한 후 평균 24.8분 후에 모낭충이 사멸되어 황련 추출물의 모낭충 사멸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1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황련 추출물의 모낭충증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낭충의 염증매개인자인 키틴으로부터 유도되는 톨유사수용체-2의 발현 및 활성화 억제능,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IL-8, TNF-α의 발현 억제능을 분석해 본 결과, 황련 추출물이 톨유사수용체-2의 발현 및 활성화 억제를 통해 염증유발인자인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도 1 내지 도 4).
본 발명의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황련 추출물을 0.0001 내지 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황련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모낭충증 피부 홍반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화장품 제형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황련 추출물의 모낭충증 예방 또는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모낭충증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모낭충증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낭충증의 예방 또는 치료는 상기 추출물에 의해 모낭충을 사멸시키고, 모낭충에 의한 톨유사수용체-2의 발현 및 신호전달을 억제하여 염증유발인자의 생성을 억제함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전체 약학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황련 추출물을 0.0001 내지 7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68.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황련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모낭충증의 피부 홍반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7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상기 효과의 증가량이 미미하며 의약품 제형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윤활제, 습윤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비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외용제, 좌제, 피부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뺨, 코, 턱, 이마, 관자놀이, 속눈썹, 눈썹, 두피, 먹, 귀 등의 얼굴 부위와 가슴 및 등 부위와 같은 모낭충증의 피부병변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부위에만 한정되지 않고 모낭충증이 발병한 어느 부위든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예컨대 완충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기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유효성분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 (non-naturally occuring carrie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여 개체의 몸무게 1㎏ 당 일반적으로 1일 0.001㎎ 내지 300㎎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모낭충증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기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하여 또는 적당한 집합을 이루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외에 종래 모낭충증 치료제로 쓰이는 이미다졸, 트레티노인, 이버멕틴 크림, 스테로이드 제제, 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메트리니다졸 등의 경구용 항생제 등을 선택하여 추가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소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뺨, 코, 턱, 이마, 관자놀이, 속눈썹, 눈썹, 두피, 먹, 귀 등의 얼굴 부위와 가슴 및 등 부위와 같은 모낭충증의 피부병변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낭충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황련 추출물의 모낭충증 치료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모낭충증 피부 질환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구체적으로, 모낭충증 피부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상기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투여하는 방법은, 상기에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모낭충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모낭충증 피부 질환의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모낭충증 발병 의심 개체에 투여하여 모낭충증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하여,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 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황련 추출물의 투여량은 0.001~300㎎/Kg일 수 있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황련 추출물의 모낭충증 예방 또는 개선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개선"은 개체에서 모낭충의 염증매개인자인 키틴으로부터 유도되는 톨유사수용체-2의 발현 및 활성의 증가로 발생하는 모낭충증 피부 홍반 또는 피부 염증의 발병 억제, 경감, 제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팩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황련 추출물의 모낭충증 치료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른 의약외품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련 추출물, 보다 상세하게는 황련 물 추출물은 천연 약용식물을 원료로 하므로 모낭충증 피부 홍반 및 염증을 개선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에도 일반적인 합성 화합물에 비하여 부작용이 덜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포함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황련 추출물의 제조
황련의 뿌리줄기 부위를 채취하여 이물질 및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깨끗이 세척한 후, 20℃ 내지 35℃에서 음건한 다음 입자의 크기가 1 ㎜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그 후 상기 분쇄된 황련 분말 50 g에 정제수 1ℓ를 첨가하여 121℃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지(Advantec, No.2)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감압 농축하여 황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모낭충의 추출
살아있는 모낭충은 표준화된 피부 표면 생검 (standardized skin surface biopsy, SSSB) 기술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한 방울을 유리 슬라이드에 떨어뜨리고 이것을 이마의 지정된 부위에 1분 동안 부착되도록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피부에서 부드럽게 제거하여 모낭 내용물을 추출하였으며, 연속적으로 3번 동일한 얼굴 부위에서 피부 표면 생검법을 이용하여 모낭 내 깊숙한 곳에 위치한 모낭충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모낭충은 현미경에서 200 배율로 관찰하여 데모덱스 폴리쿠로룸(Demodex folliculorum)으로 식별 후 계수하였다. 모낭충은 형태학적 특징을 비교하여 구분하였고, 움직임을 통해 사멸여부를 판단하였으며, 사멸 실험은 추출 분리 후 1시간 이내에 진행하였다.
실시예 2: 황련 추출물의 모낭충 사멸효과
황련 추출물의 모낭충 사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일정하게 습도가 유지되는 실온의 챔버에 각각의 모낭충을 계수한 슬라이드 글라스를 위치시키고 각 농도의 황련 추출물을 모낭충에 직접적으로 처리하고 모낭충의 몸체와 다리의 움직임을 현미경 200 배율로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모낭충의 죽음은 최소 30초 동안 몸체와 다리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생존 시간은 황련 추출물을 처리하고 모낭충의 움직임이 없을 때까지의 시간으로 정의하였다. 식염수는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처리물질 실험한 모낭충수 평균 생존 시간
(ㅁSD)
최소 생존시간 최대 생존시간
식염수 10 70 시간
(± 5.5 시간)
60.8 시간 78.2 시간
50% 황련 추출물 10 24.8 분
(± 11.3 분)
18.5 분 43.9 분
10% 황련 추출물 11 46.2 분
(± 12.6 분)
39.2 분 65.4 분
1% 황련 추출물 10 95 분
(± 28.7 분)
57.8 분 116.5 분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황련 추출물은 모낭충에 처리되었을 때, 50% 처리 조건에서 평균 24.8분 (± 11.3 분) 후 모낭충을 사멸시켰으며, 이는 음성 대조군인 식염수의 평균 사멸시간 70 시간 (± 5.5 시간)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우수한 모낭충 사멸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키틴의 제조
키틴 파우더 (Sigma-Aldrich, USA)를 구매하여 세포 수준에서 반응이 가능한 크기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키틴 파우더를 포스페이트 버퍼 살린 (PBS)에 현탁시킨 뒤 초음파 분쇄기(Vibra-Cell™ ultrasonic sonicator, Sonics & Materials, USA)를 이용하여 25% 의 진동세기로 20 분간 분쇄하였다. 분쇄된 키틴은 세포여과기 (Cell strainer, SPL, Korea)를 이용하여 40 ~ 70 ㎛ 크기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키틴은 동결건조 후 정량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4: 황련 추출물의 톨유사수용체-2 신호전달 활성화 억제 효과 측정
황련 추출물의 톨유사수용체-2 활성화 억제에 의한 염증 유발 억제효능을 측정하였다. 톨유사수용체-2와 NF-kB/SEAP(secreted embryonic alkaline phosphatase) 리포터 유전자(reporter gene)와 함께 형질주입(transfection)된 HEK-Blue TLR-2 세포주(cell line) (Invivogen, USA)를 사용하였으며, SEAP 리포터 유전자는 전사인자인 NF-κB와 AP-1 결합 부위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톨유사수용체-2의 활성화에 의해 NF-κB와 AP-1가 활성화되면 SEAP을 생성하여 세포외로 분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HEK-Blue™ 톨유사수용체-2 세포주를 10% FBS가 포함된 DMEM에 배양한 후 48-웰 플레이트에 웰 당 1 × 105개의 세포수로 접종시킨 뒤 황련 추출물을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키틴 100 μg을 처리하여 12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여기서 키틴은 모낭충의 구성인자로 모낭충증의 주요한 유발인자로 알려져 있다. 실험에 사용한 키틴은 40 ~ 70 ㎛ 크기로 분리하여 처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TLR-2/1의 길항제인 CU-CPT22 (Sigma-Aldrich)를 처리하여 비교하였다. 12시간 동안 배양한 세포 배양 상등액 20 ㎕를 덜어낸 다음 QUANTI-Blue(Invivogen, USA) 80 ㎕와 섞은 후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톨유사수용체-2 활성화 정도는 Quanti-Blue와 세포외로 분비된 SEAP의 반응으로 인한 발색 정도를 비교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황련 추출물의 톨유사수용체-2 신호전달 활성 억제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황련 추출물은 키틴에 의해 유도된 톨유사수용체-2 신호전달의 활성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황련 추출물의 톨유사수용체-2 발현 억제 효과 측정
황련 추출물의 모낭충증 염증 유발인자 발현 억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인간 각질세포를 배양하여 키틴으로부터 유발되는 톨 유사수용체-2의 발현 억제 정도를 단백질 수준 그리고 유전자 수준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각질세포(human epidermal keratinocytes)를 12-웰 플레이트에 웰 당 2 × 104개의 세포수로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인간 각질세포에 황련 추출물을 농도별로 2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100 μg의 키틴을 처리하였다. 처리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세포를 회수하여 TRIzol(Invitrogen, USA)을 이용하여 전체 RNA (tRNA)를 추출한 뒤 AccuPower RT PreMix & Master Mix (Bioneer, Korea)를 이용하여 상보적 DNA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상보적 DNA를 이용하여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실시하여 전령 RNA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인간각질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웰 당 5 × 104개의 세포수로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인간 각질세포에 황련 추출물을 2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100 μg의 키틴을 처리하였다. 처리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세포를 회수하여 1% 세럼에 1시간 동안 블록킹 시킨 후 FITC 형광이 표지된 톨유사수용체-2 단일항체 (hTLR2-FITC, mouse/IgG2a kappa, eBioscience, USA)를 이용하여 4℃에서 40분간 세포를 염색하였다. 대조군으로는 FITC가 표지된 아이소타입 대조군 (Mouse IgG2a kappa Isotype Control-FITC, eBioscience)을 이용하여 세포를 염색하였다. 염색한 인간각질세포를 유세포분석기 (BD FACSCalibur, USA)를 이용하여 톨유사수용체-2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여 아이소타입 대조군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3에서 볼 수 있듯이, 키틴 처리로 인해 톨유사수용체-2의 발현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황련 추출물은 톨유사수용체-2의 발현을 유전자 수준 그리고 단백질 수준에서 억제함으로써, 톨유사수용체-2의 활성화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반응의 신호전달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황련 추출물의 염증인자 발현 억제 효과 측정
황련 추출물의 모낭충증 염증 유발인자 발현 억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면역세포를 배양하여 키틴으로부터 유발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IL-8, TNF-α)의 발현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단핵 백혈구인 THP-1 (한국세포주은행, 한국)을 24-웰 플레이트에 5 × 105 세포수로 접종시키고, 500 nM의 PMA (Sigma-Aldrich)을 처리하여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 시간 동안 배양하여 대식세포로 분화시켰다. 대식세포로 분화된 THP-1에 황련 추출물을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전처리 후 100 μg 키틴을 처리하였다. 처리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세포배양액을 회수하여 각각의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세포외로 분비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황련 추출물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IL-8, TNF-α) 발현 억제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황련 추출물은 키틴으로부터 유도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황련 추출물의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시험
본 발명에 따른 황련 추출물이 인체피부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안전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피부누적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의 황련 추출물을 각각 0.1%, 0.5% 및 1%를 함유한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상인 정제수, 트리에탄올아민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70℃로 가열하고 용해시킨 후, 밀납, 유동파라핀, 유상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로 가열하여 용해한 액을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후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키고 황련 추출물을 각각 0.1%, 0.5% 및 1% 첨가하고 분산시킨 다음 30℃로 냉각하였다. 상기 황련 추출물의 함량을 0.1%, 0.5% 및 1%로 증가시킴에 따라서 유동파라핀의 함량을 각각 9.91%, 9.51% 및 9.01%로 줄여가며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영양크림을 사용하여 건강한 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 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 첩포를 시행하여 황련 추출물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Finn chamber, Epitest Ltd, Finland)를 이용하였다. 챔버에 상기 각 피부외용제를 15㎕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평균반응도 = [[(반응지수 × 반응도)/(총 피검자수 × 최고점수(4점))] × 100] ÷ 검사회수(9회)
반응도에서 ±는 1점, +는 2점 및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시험물질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 수 평균반응도
1주 2주 3주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조군
(스쿠알렌)
- - - - - - 1 - - - - - - - - - - - - - - - - - - - - 0.09
황련
추출물
(0.1%)
[시험군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황련
추출물
(0.5%) [시험군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황련 추출물
(1%)
[시험군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군 1, 2 및 3 모두 ±, + 및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모두 0명이고, 평균 반응도 역시 0.00이었다. 상기 시험결과 3 이하의 평균반응도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에 따른 황련 추출물은 뚜렷한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 인체 피부에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제제예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화장료 제제
제제예 1-1: 유연화장수
하기의 표 3과 같이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황련 추출물 1.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 정제수 81.8
총계 100.0
제제예 1-2: 영양화장수
하기의 표 4와 같이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황련 추출물 1.0
밀납 4.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68.7
총계 100.0
제제예 1-3: 영양크림
하기의 표 5와 같이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황련 추출물 1.0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55.8
총계 100.0
제제예 1-4: 마사지 크림
하기의 표 6과 같이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황련 추출물 1.0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26.5
총계 100.0
제제예 1-5: 팩
하기의 표 7과 같이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황련 추출물 1.0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알란토인 0.1
에탄올 5.0
노닐페닐에테르 0.3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80.4
총계 100.0
제제예 2 : 약제학적 제제
제제예 2-1: 연고제의 제조
성분 함량(g)
황련 추출물 1.0
디에탄올아민 1.5
전분폴리비닐프톨리돈 5.0
프로필렌글리콜 30.0
정제수 62.5
총계 100.0

Claims (7)

  1.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련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모낭충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낭충증은 모낭충에 의하여 피부에 홍반, 인설, 가려움, 안구자극 및 충혈, 구진, 농포, 탈모 또는 이들의 조합이 발생하는 것인, 모낭충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인, 모낭충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7.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200123279A 2020-09-23 2020-09-23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40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279A KR20220040289A (ko) 2020-09-23 2020-09-23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279A KR20220040289A (ko) 2020-09-23 2020-09-23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289A true KR20220040289A (ko) 2022-03-30

Family

ID=8094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279A KR20220040289A (ko) 2020-09-23 2020-09-23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0289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032B1 (ko) 2004-10-28 2008-03-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항진균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황련 추출물
KR100970739B1 (ko) 2008-06-13 2010-07-16 안국약품 주식회사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25938B1 (ko) 2013-05-09 2017-04-26 (주)비타바이오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면역 증강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1894254B1 (ko) 2018-03-27 2018-09-04 (주)진코스텍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90387B1 (ko) 2016-10-10 2019-06-18 김용대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4755A (ko) 2017-12-20 2019-06-28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갑상선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032B1 (ko) 2004-10-28 2008-03-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항진균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황련 추출물
KR100970739B1 (ko) 2008-06-13 2010-07-16 안국약품 주식회사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25938B1 (ko) 2013-05-09 2017-04-26 (주)비타바이오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면역 증강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1990387B1 (ko) 2016-10-10 2019-06-18 김용대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4755A (ko) 2017-12-20 2019-06-28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갑상선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94254B1 (ko) 2018-03-27 2018-09-04 (주)진코스텍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524B1 (ko) 피부 진정 및 재생효과를 지니는 병풀 유래 엑소좀 함유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0638A (ko)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사용 방법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33089B1 (ko) 항균, 항염증, 피지감소, 각질박리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KR101015702B1 (ko)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EA021777B1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кстракт венериной мухоловки dionaea muscipula,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кожи и придатков кожи
KR100702327B1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00089409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00882A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200007501A (ko) 갯괴불주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40289A (ko)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19587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20230076873A (ko) 쑥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JPH04164013A (ja) フケ菌発育阻害成分含有物の抽出方法
KR20150050980A (ko)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KR20220123618A (ko) 울산도깨비바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조성물
KR102110903B1 (ko)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141039B1 (ko) 애기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76874A (ko)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US20210299203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carum carvi and rosmarinus officinalis extract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210299033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carum carvi and rosmarinus officinalis extract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20230012749A (ko) 과민성 면역 반응 개선용 조성물
CN115844939A (zh) 具有trpv1蛋白抑制作用的青蒿提取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