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638A -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638A
KR20180040638A KR1020187007083A KR20187007083A KR20180040638A KR 20180040638 A KR20180040638 A KR 20180040638A KR 1020187007083 A KR1020187007083 A KR 1020187007083A KR 20187007083 A KR20187007083 A KR 20187007083A KR 20180040638 A KR20180040638 A KR 20180040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mposition
ampelopsis
p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아 두
얀 리
타오 리우
잉신 마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40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63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장벽 복원, 수화 및 보습을 위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 조성물은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부를 치료하는 방법, 노화 징후를 감소시키도록 피부를 치료하는 방법, 및 염증 징후를 감소시키도록 피부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사용 방법
본 발명은 피부에 사용하기 위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치료 및 피부 수화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피부 장벽 보호를 개선하고, 피부의 수화 및 보습을 개선하고, 피부의 염증을 감소시키고, 피부에 노화 방지 특성을 제공함으로써, 피부의 상태 및 외관을 개선하기 위한,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Ampelopsis grossedentata)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Albizia julibrissin)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수화 및 보습을 개선하는 것을 비롯하여 피부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 의도된 매우 다양한 조성물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보습제의 대부분은 경피 수분 손실을 막는 피부 상의 폐쇄성 필름의 형성 (예를 들어, 광유, 바셀린 및 기타 오일)을 통해 또는 피부 표면 상에 수분을 끌어당겨 보유하는 습윤제 (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등)를 통해 작용한다. 피부 장벽을 더 전면적으로 보호하는 제제가 필요하다.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또는 "모예암"(Moyeam)은 암펠롭시스 미크스(Ampelopsis Michx) 속, 비타세아에(Vitaceae) 과에 속하는 식물의 종이다. 종명인 그로세덴타타는 식물의 성장 구조 및 잎에서 온 것이다. 이것은 중국의 중부 및 남부에 주로 분포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동남아시아 국가에 존재한다. 모예암은 일반적으로 중국 후난성의 유명한 산인 장가계(Zhang Jiajie)에서 자란다. 잎 및 줄기는 중국에서 "모예암"이라는 명칭으로 유명한 허브 차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이 차는 그의 높은 수준의 플라보노이드, 특히 다이하이드로미리세틴으로 인해 건강을 의식하는(health-conscious) 소비자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 전통적인 용도에는 호흡기 질환을 치료하는 용도, 염증을 없애는 용도, 항산화제로서의 용도, 혈당 및 지방을 조절하는 용도, 및 항암제로서의 용도가 포함된다.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는 약용 식물로서 널리 사용된다. 바인 티(Vine Tea) 또는 마오 얀 메이(Mao Yan Mei)로도 불리는 그의 건조된 잎 및 줄기는 수백 년간 건강차 및 약초로서 소비되어 왔다. 이 식물의 화학 성분은 플라보노이드, 예를 들어 다이하이드로미리세틴 및 미리세틴을 포함한다 (문헌[Du, Q.; Chen, P.; Jerz, G.; Winterhalter, P. Preparative separation of flavonoid glycosides in leaves extract of Ampelopsis grossedentata using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J. Chromatogr. A 2004, 1040, 147―149]). 이것은 간염, 독감, 고혈압, 고혈당 및 인후통의 치료를 위한 민간요법 또는 일상 음료로서 사용되었다 (문헌[Gao, J.H.; Liu, B.G.; Ning, Z.X.; Zhao, R.X.; Zhang, A.Y.; Wu, Q.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rich extracts from leaves of Ampelopsis grossedentata. J. Food Biochem. 2009, 33, 808―820]). 현대 약리학 연구는, 이것이 항암, 간 보호, 항산화, 항염증 등과 같은 활성을 가짐을 나타내었다 (문헌[Xiao J. Zheng, Hao Xiao, Zhi Zeng, ZiW. Sun, Can Lei, Jing Z. Dong, Ying Wang. Composition and serum antioxidation of the main flavonoids from fermented vine tea (Ampelopsis grossedentata) has also been shown. Journal of functional foods. 2 0 1 4, 9, 290―294]).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은 서남아시아 및 동아시아 원산의 파바세아에(Fabaceae) 과로부터의 나무의 종이다. 이것은 "페르시안 실크 트리"(Persian silk tree) 또는 "핑크 시리스"(pink siris)와 같은 매우 다양한 일반명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공원 및 정원에서 관상용 식물로서 널리 심어진다. 이 식물의 종자는 야생 동물에 의해 그리고 가축용 먹이로서 사용된다.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은 항우울 특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문헌[Kim, JH; Kim, SY; Lee, SY; Jang, CG (2007).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Albizzia julibrissin in mice: Involvement of the 5-HT1A receptor system". Pharmacology, Biochemistry, and Behavior 87 (1): 41―7]). 전통적인 중국 의학에서,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은 심장을 강화하고 정신을 진정시키는 데 사용된다. 2015년 6월 15일자로 접속된 http://www.acupuncture-and-chinese-medicine.com/albizza.html을 참조한다. 이것은 불면증, 낙상으로 인한 상해를 치료하고 옹종(carbuncle)을 제거하는 데 또한 사용된다. 유명한 중국 고서인 "신농본초경"(Shen Nong's Herbal Classic)은 정신 질환에 대한 그의 의약적 용도를 교시한다.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주성분에는 트라이테르페노이드 사포닌, 리그나노이드, 페놀성 글리코사이드, 플라보노이드, 스페르민 마크로사이클릭 알칼로이드 등이 포함된다. 그들 중에서, 트라이테르페노이드 사포닌이 이러한 생약의 주요 생리활성 원리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문헌[Kokila K, Priyadharshini SD, Sujatha V. Phyto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Albizia species: a review. Int J Pharm Pharm Sci 2013;5(Suppl. 3):70-3]). 현대 약리학 연구는 이것이 진정, 항우울, 항산화, 항종양, 면역조절, 피임 및 항혈소판 활성화 인자 수용체 활성을 가짐을 나타내었다 (문헌[Hongxiang Sun, Shuwang He, Minghua Shi. Adjuvant-active fraction from Albizia julibrissin saponins improves immune responses by inducing cytokine and chemokine at the site of injection.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22 (2014) 346―355]).
피부는 인간을 환경적 외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생명 유지에 필요한 장벽 구조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피부 장벽 기능이 있는 표피는 고도로 층화되어 있으며 각질화된 최외측 층을 갖는다. 표피 장벽 완전성(integrity) 붕괴 또는 기능 이상은 건조한 피부, 피부 민감화(skin sensitization),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및 노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손상 피부 상태와 병리학적으로 관련된다. 강력하고 개선된 피부 장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외인성 자극을 방어하기 위한 역치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심지어 손상 피부 상태에 대해서도, 피부 장벽의 복원은 건조함, 노화, 염증 및 다른 병리학적 특성의 출현을 감소시키고 회복하기 위해 또한 중요하다.
건조한 피부는 거의 모든 사람에게 그의 생애 중 몇몇 시점에 영향을 미치는 흔히 있는 피부 상태이다. 건조한 피부는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건선 및 소양증을 포함하는 다수의 피부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보습이 피부를 건강하고 젊고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탄력 있고 투명한 피부 상태를 위한 핵심 단계이다.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및 민감성 피부와 같은 염증성 피부 상태는 또한 피부의 장벽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피부가 외부 자극 물질을 방어하기 위해서는 표피 완전성이 필요하다.
필라그린은 피부 장벽 구조 및 기능에 기여함으로써 피부 보습 및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중요한 단백질이다. 필라그린은 각질층(stratum corneum; SC)의 주요 습윤제의 역할을 하는 천연 보습 인자 (NMF)의 주성분을 형성하는 유리 아미노산으로 분해될 수 있다. 2-피롤리돈-5-카르복실산 (PCA) 및 우로칸산 (UCA)은 수분을 결합시켜 정상 피부의 표면을 부드럽고 유연하게 만드는 2가지 중요한 NMF 성분이다. 필라그린은, NMF와 함께, 각질층 (SC) 수화 및 pH에 기여한다. 필라그린은 수분 흡수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는 전통적인 보습 성분과는 상이하다. 필라그린 및 NMF는 표피의 수분 결합 능력 및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필라그린 및 NMF의 감소는 주로 건조한 피부를 야기하는 핵심 요인이다. 필라그린 및 NMF의 복원 또는 개선은 건강하고 활기찬 피부를 위해 중요하다. 또한, UCA는 UV 광보호 기능 및 UV-발생 하이드록실 라디칼의 제거제(scavenger)로서의 기능을 포함하는 몇몇 다른 기능을 SC에서 가질 수 있다 (문헌[Jacob P. Thyssen and Sanja Kezic (2014) "Causes of epidermal filaggrin reduction and their role in the pathogenesis of atopic dermatitis".J Allergy Clin Immunol 2014;134:792-9]).
추가로, 필라그린은 또한 각질세포의 형성을 위해 중요하다. 필라그린은 중간 필라멘트-관련 단백질 (IFAP)로서 기능하여, 케라틴 필라멘트를 각질세포에 존재하는 가장 큰 필라멘트 다발인 마크로피브릴(macrofibril)로 응집시킨다. 이어서, 몇몇 다른 표피 분화-관련 단백질과 함께, 필라그린은 각질화된 외피(cornified envelope)로 가교결합된다. 필라그린은 피부를 위한 방어선인 강력한 구조에 기여한다. 연구들은 필라그린 발현의 감소 및 완전한 상실의 결과로서의 피부 장벽 기능의 섭동은 알레르겐의 경피 전달을 향상시키고, 게다가 Th2 면역 반응을 야기하는 랑게르한스 세포를 자극하는 것을 강력하게 시사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피부 염증의 병리를 초래한다. 필라그린의 개선은 피부 염증의 완화를 막거나 제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라그린은 방어의 최전선에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이상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외래 환경 물질의 유입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 (문헌 [Osawa R, Akiyama M, Shimizu H(2011)" The filaggrin gene defects and the risk of developing allergic disorders." Allergol Int. 2011 Mar;60(1):1-9]).
피부의 기능 및 외관은 나이가 듦에 따라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저하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로리크린 (LOR)은 표피의 최종 분화 및 피부 장벽의 형성을 촉진하는 다른 중요한 단백질이다. 인간 LOR은 각질화 동안 표피의 과립층에서 초기에 발현되는 불용성 단백질이며, 각질화된 외피 (CE)의 총 단백질 질량의 80%를 구성한다. LOR의 함량은 나이가 듦에 따라 감소한다 (문헌[Mark Rinnerthaler, Jutta Duschl, Peter Steinbacher, Manuel Salzmann, Johannes Bischof (2013)" Age-relate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cornified envelope in human skin". Experimental Dermatology, 2013, 22, 329―335]). 그러므로, LOR의 발현을 촉진하여 피부에 대한 노화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LOR, 인볼루크린 및 필라그린은 표피 분화 동안 e-(g-글루타밀)라이신 아이소다이펩타이드 결합의 형성에 의해 가교결합된다. 이러한 기능은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1 (TGM 1)에 의해 촉매된다. 대부분의 TGM1은 지방 아실 결합을 통해 케라틴세포 원형질막에 앵커링되며, 또한 외피에 지질을 가교결합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문헌[Richard L Eckert, Michael T Sturniolo, Ann-Marie Broome, Monica Ruse and Ellen A Rorke (2005)" Transglutaminase Function in Epidermis"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005) 124, 481―492]). TGM 1의 돌연변이 또는 감소된 양은 층판상 어린선(lamellar ichthyosis), 및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을 갖는 다른 피부 문제와 관련된다. 따라서, TGM 1의 증가는 피부 강도를 개선하고 SC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유익하다.
건조한 피부, 노화, 가려움 및 다른 피부 문제가 피부의 분화 능력 및 대사 감소와 관련된다. 세포 활력(cell vitality)은 피부의 생리학적 특성의 기본적인 원천이다. 피부 세포 활력의 회복 또는 개선은 피부의 잠재적인 분화 능력 및 대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피부 재생을 위해 그리고 내인성 및 외인성 자극을 방어하기 위해 중요하다. 따라서, 필라그린 및 LOR을 촉진하여 피부 장벽을 개선하는 활성 성분을 찾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소정 추출물이,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소정 추출물과 조합될 때, 탁월한 피부 장벽 보호를 제공하고 피부의 노화 징후를 감소시키고 피부 염증을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예상외의 상승 작용을 나타냄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 및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국소 담체를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은 1:10 내지 10:1의 중량비로 존재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피부 장벽 기능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피부를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로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피부 염증의 감소를 필요로 하는 피부에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피부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노화 징후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피부에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쉽게 명백할 것이다.
달리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백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중량 백분율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피부 장벽 기능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피부"는, 제한 없이, 수분이 결여된 피부, 피지가 결여된 피부, 갈라진 피부, 건조한 피부, 가려운 피부, 인설 피부, 건피성 피부, 수분이 부족한(dehydrated) 피부, 거칠거나 벗겨지거나(peely) 자극을 받거나 염증이 있어 보이는 피부; 통증이 있거나, 가렵거나, 유연성이 결여되거나, 광채가 결여되거나, 칙칙하거나 또는 지질이 결여된 피부, 변경된 유리 지방산:세라마이드:콜레스테롤 비를 갖는 피부, 변경된 경피 수분 손실을 갖는 피부, 변경된 수분 장벽 기능을 갖는 피부, 변경된 피부 전도성, 표피 분화, 증가된 염증/자극, 과각질화, 이상 낙설(abnormal desquamation) 및 세균 증식을 갖는 피부, 민감성 피부, 습진 피부와 같은 손상 피부 상태,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과 같은 피부병이 있는 피부,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피부 염증 감소를 필요로 하는 피부"는 발적 또는 홍반, 부종을 나타내거나, 또는 외부 요소에 대하여 반응성이거나 또는 민감성인 피부를 의미한다. 외부 요소는 태양광선(UV, 가시광선, IR), 미생물, 대기 오염물질, 예를 들어 오존, 배기가스 오염물질, 염소 및 염소 발생 화합물, 담배 연기, 저온, 열, 비누 및 세제, 화장품, 보석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에 의해 치료 또는 예방될 수 있는 염증성 장애 및 관련 병태에는 하기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관절염, 기관지염,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지루성 피부염, 옻(sumac) 및 옻나무(poison oak) 피부염, 습진, 알레르기성 피부염, 다형 광발진, 염증성 피부병, 모낭염, 탈모증, 덩굴옻(poison ivy), 곤충 교상, 여드름 염증, 화학물질, 외상, 오염물질(예를 들어, 담배 연기) 및 일광 노출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외인성 요인에 의해 유도되는 자극, 건조증, 과각화증, 소양증, 염증후 색소과다침착, 흉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염증으로부터 발생된 이차 병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치료 또는 예방될 수 있는 염증성 장애 및 관련 병태는 관절염, 염증성 피부병, 접촉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다형 광발진, 외인성 요인에 의해 유도되는 홍반을 포함한 자극, 여드름 염증, 건선, 지루성 피부염, 습진, 덩굴옻, 옻나무, 독성 옻, 곤충 교상, 모낭염, 탈모증, 및 이차 병태 등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노화 징후의 개선 또는 감소를 필요로 하는 피부"는 처진 피부, 늘어진 피부, 느슨한 피부, 거친 피부, 주름진 피부, 얇아진 피부 및 고르지 못한 피부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피부를 의미한다. 노화 징후의 개선은 피부 견고성(firmness)의 개선, 피부 결의 개선, 피부에서의 주름살 출현의 개선, 피부톤 개선, 또는 피부에서의 외부 공격(external aggression)의 치료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피부 견고성의 개선"은 피부의 견고성 또는 탄력성의 향상, 피부의 견고성 또는 탄력성 상실의 예방, 또는 처지고 늘어지고 느슨한 피부의 예방 또는 치료를 의미한다. 피부의 견고성 또는 탄력성은 피부 탄력 측정기(cutometer)의 사용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문헌[Handbook of Non-Invasive Methods and the Skin, eds. J. Serup, G. Jemec & G. Grove, Chapter 66.1 (2006)]을 참조한다. 피부 탄력성 또는 견고성의 상실은 노화, 환경적 손상, 또는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한 결과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많은 요인들의 결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피부 결의 개선"은 피부 표면 상의 범프(bump) 또는 크레바스(crevass)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도록 피부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피부에서의 주름살의 출현의 개선"은 피부에서의 주름살 및 잔주름 형성 과정의 예방, 지연, 저지, 또는 역행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피부에서의 외부 공격의 치료"는 피부에서 외부 공격으로 인한 손상을 감소 또는 예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외부 공격의 예에는 클렌저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국소 클렌저)의 사용, 화장, 면도로 인한 피부에의 손상뿐만 아니라, UV 광 (예를 들어, 일광으로부터의 일광 손상 또는 UV 램프 및 솔라 시뮬레이터(solar simulator)와 같은 비-천연 공급원으로부터의 손상), 오존, 배기가스, 공해, 염소 및 염소 함유 화합물, 및 담배 연기로부터의 손상과 같은 환경적 손상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피부에 대한 외부 공격의 영향에는 지질, 탄수화물, 펩타이드, 단백질, 핵산, 및 비타민에 대한 개질 및 이에 대한 산화적 및/또는 질산화적(nitrosative) 손상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피부에 대한 외부 공격의 영향에는 세포 생존능의 상실, 세포 기능의 상실 또는 변경, 및 유전자 및/또는 단백질 발현의 변화가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피부톤의 개선"은 피부 외관의 라이트닝 (예를 들어, 색소침착된 자국 또는 병변의 라이트닝, 피부의 누르스름함(sallowness)의 감소, 및/또는 피부색을 고르게 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화장용으로/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과도한 독성, 불상용성, 불안정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등이 없이 조직 (예를 들어, 피부 또는 모발)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안전하고 유효한 양"은 원하는 효과를 유발하기에 충분하지만 심각한 부작용을 피하기에 충분히 적은 양을 의미한다. 화합물, 추출물, 또는 조성물의 안전하고 유효한 양은, 예를 들어 최종 사용자의 연령, 건강 및 환경적인 노출, 치료의 지속시간 및 유형, 사용되는 특정 추출물, 성분 또는 조성물, 이용되는 특정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유사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더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에 주어진 정량적인 표현들 중 일부는 용어 "약"으로 수식되지 않는다. 용어 "약"이 명시적으로 사용되든지 사용되지 않든지 간에, 본 명세서에서 주어진 모든 양은 실제 주어진 값을 지칭하고자 하며, 또한 이것은 그러한 주어진 값에 있어서 실험 및/또는 측정 조건으로 인한 근사치를 비롯하여 당업계의 통상적인 기술에 기초하여 합리적으로 추론될 그러한 주어진 값의 근사치를 지칭하고자 하는 것임이 이해된다.
더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의 정량적 표현들 중 일부는 대략 X의 양 내지 대략 Y의 양의 범위로서 언급된다. 범위가 언급되는 경우, 그 범위는 언급된 상한치 및 하한치에 제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대략 X의 양 내지 대략 Y의 양의 전체 범위, 또는 그 안의 임의의 양 또는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예상외로 양호한 피부 장벽 기능을 제공하며 피부 장벽 기능 손상의 임의의 징후를 감소, 억제, 치료, 및 지연시킴을 밝혀내었다. 특히, 본 출원인은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이 피부 그 자체에 의한 천연 보습 인자의 촉진을 유도하며, 천연 보습 인자의 그러한 유도된 생성은 피부 장벽 기능과 피부 수화 및 보습을 개선하는 데 있어서 유익한 효과를 가질 것임을 밝혀내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1:10 내지 10:1의 중량비로 조합될 때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 및 그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간의 피부의 천연 보습 인자의 현저한 증가를 제공한다.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 :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추출물은 분쇄, 냉침(macerating), 가압(pressing), 압착(squeezing), 으깸(mashing), 원심분리, 및/또는 콜드 퍼콜레이션(cold percolation), 교반/증류와 같은 과정에 의해 바이오매스(biomass)로부터의 직접 추출, 마이크로파 보조 추출, 초음파 처리, 극성 개질제가 있거나 또는 없는 상태에서의 초임계/미임계 CO2 압축 가스 추출, 가압 용매 추출, 가속 용매 추출, 계면활성제 보조 가압 열수 추출, 오일 추출, 막 추출, 속슬레(Soxhlet) 추출, 골드 핑거(gold finger) 증류/추출 및/또는 예컨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인티그레이티드 보태니컬 테크놀로지스, 엘엘씨(Integrated Botanical Technologies, LLC)의 미국 특허 제7,442,391호, 제7,473,435호, 및 제7,537,791호에 개시된 과정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용매 추출과 같은 다른 방법 등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추출은 바람직하게는 용매, 전형적으로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알코올, 아세톤, 극성 개질제를 갖거나 갖지 않는 액체 이산화탄소, 헥산, 또는 클로로포름 중에서 식물 재료를 분쇄 또는 냉침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용매-기반 추출이다. 생성된 추출물은 비극성 화합물을 주로 포함하였다. 식물 바이오매스는 바람직하게는 추출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며, 추출 후에 사용되지 않는다.
극성 용매,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양한 용매가 용매 추출을 포함하는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가 사용된다. 적합한 극성 용매에는 물 등과 같은 극성 무기 용매, 알코올 및 상응하는 유기 산,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을 포함하는 C1-C8 알코올, 및 아세트산, 포름산, 프로판산 등을 포함하는 유기산과 같은 극성 유기 용매, C1-C8 폴리올/글리콜 등을 포함하는 폴리올 및 글리콜,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이 포함된다. 적합한 비극성 용매에는 C1-C8 알칸을 포함하는 알칸, C1-C8 알칸을 포함하는 사이클로알칸, C1-C8 알킬 에테르를 포함하는 알킬 에테르, 석유 에테르, C1-C8 케톤을 포함하는 케톤,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자일렌, 톨루엔, 클로로포름, 식물유, 광유 등과 같은 비극성 유기 용매가 포함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추출은 C1-C8 알코올, 물, C1-C8 폴리올/글리콜 또는 C1-C8 유기산과 같은 극성 개질제와 함께 또는 극성 개질제 없이 초임계 유체 추출 또는 상기 기재된 비극성 용매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추출물은 극성 추출물이다. 극성 추출물은, 이 추출물이 식물 또는 식물의 일부분을 극성 용매로 처리함으로써 생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추출물은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잎을 미분화하고 20℃에서 1 내지 100의 유전 상수 값, 바람직하게는 20℃에서 4 내지 60의 유전 상수 값,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에서 4 내지 50의 유전 상수 값, 및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에서 4 내지 40의 유전 상수 값을 갖는 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제조된다. 바람직한 극성 용매의 예는 20℃에서 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0,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의 유전 상수 값을 갖는 C1-C8 알코올, C1-C8 폴리올/글리콜, C1-C8 유기산, 물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며, 이에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문헌["Dielectric Constants of Some Organic Solvent-Water Mixtures at Various Temperatures," Akerlof, Gosta; JACS, Vol. 54, No. 11 (Nov. 1932), pp. 4125-4139]에 개시된 바와 같은 원하는 유전 상수 값을 갖는 그러한 용매 및 용매들의 조합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극성 추출물은 하나 이상의 C1-C8 알코올, C1-C8 폴리올, C1-C8 글리콜,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을 사용하여 추출된다. 소정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추출물은 하나 이상의 C1-C4 알코올, C1-C4 폴리올, 및/또는 C1-C4 글리콜을 사용하여 추출된다. 소정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추출물은 물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추출물은 목탄 (활성탄으로도 지칭됨) 처리에 의해 추가로 정제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잎을 미분화하고, 20℃에서 약 1 내지 약 80의 유전 상수 값, 바람직하게는 20℃에서 약 2 내지 약 60의 유전 상수 값,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에서 약 2 내지 약 40의 유전 상수 값, 및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에서 약 2 내지 35의 유전 상수 값을 갖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제조되는 추출물이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식물의 다른 부분, 예를 들어 줄기, 수피, 뿌리, 열매, 종자, 또는 꽃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에는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식물의 잎이 아닌 다른 부분의 추출물이 본질적으로 부재한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식물의 세포 배양물로부터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양의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이 본 발명의 국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0% 초과 내지 약 20%의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을 포함한다. 소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약 0.0001 내지 약 20%, 약 0.001 내지 약 10%, 약 0.01 내지 약 5%, 약 0.1 내지 약 5%, 또는 약 0.2 내지 약 2%의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을 포함한다. 소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0% 초과 내지 약 1%, 약 0.0001 내지 약 1%, 약 0.001 내지 약 1%, 또는 약 0.01 내지 약 1%의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을 포함한다. 소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약 1 내지 약 5%,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5%의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을 포함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의 양은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잎으로부터의 것이다.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 :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추출물은 분쇄, 냉침, 가압, 압착, 으깸, 원심분리, 및/또는 콜드 퍼콜레이션, 교반/증류와 같은 과정에 의해 바이오매스로부터의 직접 추출, 마이크로파 보조 추출, 초음파 처리, 극성 개질제가 있거나 또는 없는 상태에서의 초임계/미임계 CO2 압축 가스 추출, 가압 용매 추출, 가속 용매 추출, 계면활성제 보조 가압 열수 추출, 오일 추출, 막 추출, 속슬레 추출, 골드 핑거 증류/추출 및/또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인티그레이티드 보태니컬 테크놀로지스, 엘엘씨의 미국 특허 제7,442,391호, 제7,473,435호, 및 제7,537,791호에서 개시된 과정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용매 추출과 같은 다른 방법 등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추출은 바람직하게는 용매, 전형적으로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알코올, 아세톤, 극성 개질제를 갖거나 갖지 않는 액체 이산화탄소, 헥산, 또는 클로로포름 중에서 식물 재료를 분쇄 또는 냉침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용매-기반 추출이다. 생성된 추출물은 비극성 화합물을 주로 포함하였다. 식물 바이오매스는 바람직하게는 추출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며, 추출 후에 사용되지 않는다.
극성 용매,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양한 용매가 용매 추출을 포함하는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가 사용된다. 적합한 극성 용매에는 물 등과 같은 극성 무기 용매, 알코올 및 상응하는 유기 산,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을 포함하는 C1-C8 알코올, 및 아세트산, 포름산, 프로판산 등을 포함하는 유기산과 같은 극성 유기 용매, C1-C8 폴리올/글리콜 등을 포함하는 폴리올 및 글리콜,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이 포함된다. 적합한 비극성 용매에는 C1-C8 알칸을 포함하는 알칸, C1-C8 알칸을 포함하는 사이클로알칸, C1-C8 알킬 에테르를 포함하는 알킬 에테르, 석유 에테르, C1-C8 케톤을 포함하는 케톤,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자일렌, 톨루엔, 클로로포름, 식물유, 광유 등과 같은 비극성 유기 용매가 포함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추출은 C1-C8 알코올, 물, C1-C8 폴리올/글리콜 또는 C1-C8 유기산과 같은 극성 개질제와 함께 또는 극성 개질제 없이 초임계 유체 추출 또는 상기 기재된 비극성 용매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추출물은 극성 추출물이다. 극성 추출물은, 이 추출물이 식물 또는 식물의 일부분을 극성 용매로 처리함으로써 생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추출물은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꽃을 미분화하고 20℃에서 1 내지 100의 유전 상수 값, 바람직하게는 20℃에서 4 내지 60의 유전 상수 값,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에서 4 내지 50의 유전 상수 값, 및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에서 4 내지 40의 유전 상수 값을 갖는 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제조된다. 바람직한 극성 용매의 예는 20℃에서 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0,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의 유전 상수 값을 갖는 C1-C8 알코올, C1-C8 폴리올/글리콜, C1-C8 유기산, 물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며, 이에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문헌["Dielectric Constants of Some Organic Solvent-Water Mixtures at Various Temperatures," Akerlof, Gosta; JACS, Vol. 54, No. 11 (Nov. 1932), pp. 4125-4139]에 개시된 바와 같은 원하는 유전 상수 값을 갖는 그러한 용매 및 용매들의 조합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극성 추출물은 하나 이상의 C1-C8 알코올, C1-C8 폴리올, C1-C8 글리콜,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을 사용하여 추출된다. 소정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추출물은 하나 이상의 C1-C4 알코올, C1-C4 폴리올, 및/또는 C1-C4 글리콜을 사용하여 추출된다. 소정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추출물은 물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추출물은 목탄 (활성탄으로도 지칭됨) 처리에 의해 추가로 정제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꽃을 미분화하고, 20℃에서 약 1 내지 약 80의 유전 상수 값, 바람직하게는 20℃에서 약 2 내지 약 60의 유전 상수 값,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에서 약 2 내지 약 40의 유전 상수 값, 및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에서 약 2 내지 35의 유전 상수 값을 갖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제조되는 추출물이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나무의 다른 부분, 예를 들어 줄기, 수피, 목재, 뿌리, 잎, 열매 또는 종자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에는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나무의 꽃이 아닌 다른 부분의 추출물이 본질적으로 부재한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나무의 세포 배양물로부터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양의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이 본 발명의 국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0% 초과 내지 약 20%의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을 포함한다. 소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약 0.0001 내지 약 20%, 약 0.001 내지 약 10%, 약 0.01 내지 약 5%, 약 0.1 내지 약 5%, 또는 약 0.2 내지 약 2%의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을 포함한다. 소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0% 초과 내지 약 1%, 약 0.0001 내지 약 1%, 약 0.001 내지 약 1%, 또는 약 0.01 내지 약 1%의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을 포함한다. 소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약 1 내지 약 5%,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5%의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을 포함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양은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꽃으로부터의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함유하는 국소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지 소정 비율의 추출물만이 표피에 침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침투율은 분자량, 용해도 등과 같은 다수의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매우 광범위하게 변한다. 본 발명은 피부 장벽 기능의 개선 및 피부 보습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피부에,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 특히 1:10 내지 10:1 범위의 중량비의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잎의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꽃의 추출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장벽 기능을 개선하고 피부의 수화 및 보습을 개선하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방법은, 예를 들어,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 특히 1:10 내지 10:1 범위의 중량비의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잎의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꽃의 추출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 장벽 기능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피부에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한 국소 도포는 신체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임의의 피부, 예를 들어 얼굴, 입술, 목, 가슴, 등, 팔, 엉덩이, 겨드랑이 및/또는 다리의 피부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출물들은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극성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극성 추출물이다.
본 발명은, 필요로 하는 피부에,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 특히 1:10 내지 10:1 범위의 중량비의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잎의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꽃의 추출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피부 건조함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방법은, 예를 들어,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 특히 1:10 내지 10:1 범위의 중량비의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잎의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꽃의 추출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 염증의 감소를 필요로 하는 피부에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한 국소 도포는 신체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임의의 피부, 예를 들어 얼굴, 입술, 목, 가슴, 등, 엉덩이, 팔, 겨드랑이 및/또는 다리의 피부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출물들은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극성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극성 추출물이다.
본 발명은 피부 염증의 감소를 필요로 하는 피부에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염증-감소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도포함으로써 피부 염증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특히, 본 방법은 1:10 내지 10:1 범위의 중량비의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잎의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꽃의 추출물의 조합을 사용한다. 본 방법은, 예를 들어,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 특히 1:10 내지 10:1 범위의 중량비의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잎의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꽃의 추출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 염증의 감소를 필요로 하는 피부에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한 국소 도포는 신체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임의의 피부, 예를 들어 얼굴, 입술, 목, 가슴, 등, 엉덩이, 팔, 겨드랑이 및/또는 다리의 피부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출물들은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극성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극성 추출물이다.
본 발명은 피부 노화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피부에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노화 징후를 감소시키기 위해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도포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개선하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특히, 본 방법은 1:10 내지 10:1 범위의 중량비의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잎의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꽃의 추출물의 조합을 사용한다. 본 방법은, 예를 들어,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 특히 1:10 내지 10:1 범위의 중량비의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잎의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꽃의 추출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 노화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피부에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한 국소 도포는 신체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임의의 피부, 예를 들어 얼굴, 입술, 목, 가슴, 등, 엉덩이, 팔, 겨드랑이 및/또는 다리의 피부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출물들은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극성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극성 추출물이다.
임의의 적합한 양의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을 포함한다. 특히, 사용될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주어진 피부 상태의 원하는 치료를 달성하도록 선택된다.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은, 추출물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10 내지 약 10:1, 바람직하게는 약 1:7 내지 약 7: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5:1,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3 내지 약 3:1, 및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1의 중량비의 양으로 추출물 조성물에 존재한다.
임의의 적합한 담체가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담체는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이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과도한 독성, 불상용성, 불안정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등이 없이 신체, 특히 피부와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담체를 포함한다. 담체의 안전하고 유효한 양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9.999%, 바람직하게는 약 80% 내지 약 99.9%,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99.9% 내지 약 9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8% 내지 약 99.8%이다.
담체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중유, 유중수, 수중유중수 및 실리콘중수중유 에멀전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에멀전 형태의 담체가 본 발명에서 유용하다. 이러한 에멀전은, 예를 들어 브룩필드(Brookfield) RVT 점도계를 사용한 약 100 cP 내지 약 200,000 cP의 넓은 점도 범위를 포괄할 수 있다.
적합한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의 예에는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용매, 및 화장용 용액, 현탁액, 로션, 크림, 세럼, 에센스, 젤, 토너, 스틱, 스프레이, 연고, 리퀴드 워시 및 비누 바(soap bar), 샴푸, 헤어 컨디셔너, 페이스트, 폼(foam), 무스, 파우더, 면도 크림, 와이프(wipe), 패치, 스트립, 전동 패치(powered patch), 미세바늘 패치, 붕대, 하이드로젤, 필름-형성 제품, 페이셜 및 스킨 마스크, 메이크업, 점적액(liquid drop) 등을 위한 물질이 포함된다. 이들 제품 유형은 용액, 현탁액, 에멀전, 예를 들어 마이크로에멀전 및 나노에멀전, 젤, 고체, 리포좀, 다른 캡슐화 기술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몇몇 유형의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는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이다. 다른 담체가 당업자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담체는 물을 함유한다. 추가 실시 형태에서, 담체는 또한 하나 이상의 수성 용매 또는 유기 용매를 함유할 수 있다. 유기 용매의 예에는 다이메틸 아이소소르바이드;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성질의 계면활성제; 식물유; 광유; 왁스; 검; 합성 및 천연 젤화제; 알칸올; 글리콜; 및 폴리올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글리콜의 예에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탈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카프릴 글리콜, 글리세롤, 부탄다이올 및 헥산트라이올, 및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알칸올의 예에는 약 2개의 탄소 원자 내지 약 12개의 탄소 원자 (예를 들어, 약 2개의 탄소 원자 내지 약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들, 예를 들어 아이소프로판올 및 에탄올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올의 예에는 약 2개의 탄소 원자 내지 약 15개의 탄소 원자 (예를 들어, 약 2개의 탄소 원자 내지 약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들,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 용매는 담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99.99%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50%)의 양으로 담체에 존재할 수 있다. 물은 담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95% (예를 들어, 약 50% 내지 약 90%)의 양으로 (사용 전에) 담체에 존재할 수 있다. 용액은 약 40 내지 약 99.99%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양의 용매를 함유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용액은 약 50 내지 약 99.9%, 약 60 내지 약 99%, 약 70 내지 약 99%, 약 80 내지 약 99%, 또는 약 90 내지 99%의 용매를 함유한다.
그러한 용액으로부터 로션이 제조될 수 있다. 로션은 전형적으로 용매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연화제를 함유한다. 로션은 약 1% 내지 약 20% (예를 들어, 약 5% 내지 약 10%)의 연화제(들) 및 약 50% 내지 약 90% (예를 들어, 약 60% 내지 약 80%)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용액으로부터 제형화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제품은 크림이다. 크림은 전형적으로 약 5% 내지 약 50% (예를 들어, 약 10% 내지 약 20%)의 연화제(들) 및 약 45% 내지 약 85% (예를 들어, 약 50% 내지 약 75%)의 물을 함유한다.
용액으로부터 제형화될 수 있는 또 다른 유형의 제품은 연고이다. 연고는 동물유, 식물유, 합성유 또는 반고체 10 탄화수소의 단순 베이스(simple base)를 함유할 수 있다. 연고는 약 2% 내지 약 10%의 연화제(들) + 약 0.1% 내지 약 2%의 증점제(들)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조성물은 또한 에멀전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담체가 에멀전일 경우, 담체의 약 1% 내지 약 10% (예를 들어, 약 2% 내지 약 5%)가 유화제(들)를 함유한다. 유화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일 수 있다.
로션 및 크림은 에멀전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로션은 0.5% 내지 약 5%의 유화제(들)를 함유하는 반면, 그러한 크림은 전형적으로 약 1% 내지 약 20% (예를 들어, 약 5% 내지 약 10%)의 연화제(들); 약 20% 내지 약 80% (예를 들어, 30% 내지 약 70%)의 물; 및 약 1% 내지 약 10% (예를 들어, 약 2% 내지 약 5%)의 유화제(들)를 함유할 것이다.
단일 에멀전 피부 케어 제제, 예를 들어 수중유 유형 및 유중수 유형의 로션 및 크림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유용하다. 다상(multiphase) 에멀전 조성물, 예를 들어 수중유중수 유형 또는 유중수중유 유형이 또한 본 발명에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단일 또는 다상 에멀전은 물, 연화제 및 유화제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젤로서 (예를 들어, 적합한 젤화제(들)를 사용하여 수성, 알코올, 알코올/물 또는 오일 젤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수성 및/또는 알코올성 젤에 적합한 젤화제에는 천연 검, 아크릴산 및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공중합체, 및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일 (예를 들어, 광유)을 위해 적합한 젤화제에는 수소화 부틸렌/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 및 수소화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한 젤은 전형적으로 약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그러한 젤화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고체 제형 (예를 들어, 왁스-기재 스틱, 비누 바 조성물, 파우더, 또는 와이프)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고체, 반고체, 또는 용해성 기재(substrate) (예를 들어, 와이프, 마스크, 패드, 글러브, 또는 스트립)와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의 다양한 부가적인 화장용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부가적인 활성제의 예에는 피부 라이트닝제, 다크닝제, 부가적인 노화방지제,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 콜라겐 촉진제, 항여드름제, 광택 제어제, 항미생물제, 예를 들어 항효모제, 항진균제, 및 항균제, 항염증제, 항기생충제, 외용 진통제, 썬스크린, 광차단제, 항산화제, 각질용해제, 세제/계면활성제, 보습제, 영양제, 비타민, 에너지 증강제, 발한방지제, 수렴제, 탈취제, 제모제, 모발 성장 증강제, 모발 성장 지연제, 퍼밍제(firming agent), 수화 증진제(hydration booster), 효능 증진제, 굳은살 방지제(anti-callous agent), 피부 컨디셔닝제, 항셀룰라이트제, 냄새 제어제, 예를 들어 냄새 차폐제 또는 pH 변경제 등이 포함된다.
다양한 적합한 부가적인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활성제의 예에는 하이드록시산; 벤조일 퍼옥사이드; D-판테놀; 아보벤존 (파르솔(Parsol) 1789), 비스다이설리졸 다이소듐 (네오 헬리오판(Neo Heliopan) AP), 다이에틸아미노 하이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우비눌(Uvinul) A 플러스), 에캄술 (멕소릴(Mexoryl) SX),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4-아미노벤조산 (PABA), 시녹세이트, 에틸헥실 트라이아존 (우비눌 T 150), 호모살레이트, 4-메틸벤질리덴 캠퍼 (파르솔 5000),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티녹세이트(Octinoxate)), 옥틸 살리실레이트 (옥티살레이트(Octisalate)), 파디메이트 O (에스칼롤(Escalol) 507), 페닐벤즈이미다졸 설폰산 (엔설리졸(Ensulizole)), 폴리실리콘-15 (파르솔 SLX), 트롤라민 살리실레이트, 베모트라이지놀 (티노소르브(Tinosorb) S), 벤조페논 1―12, 다이옥시벤존, 드로메트라이졸 트라이실록산 (멕소릴 XL), 이스코트라이지놀 (우바소르브(Uvasorb) HEB), 옥토크릴렌, 옥시벤존 (에우솔렉스(Eusolex) 4360), 설리소벤존, 비소크트라이졸 (티노소르브 M),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과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UV 필터; 카로티노이드; 자유 라디칼 제거제; 스핀 트랩(spin trap); 레티노이드 및 레티노이드 전구체, 예를 들어 30 레티놀, 레티노산 및 레티닐 팔미테이트; 세라마이드; 다중불포화 지방산; 필수 지방산; 효소; 효소 억제제; 미네랄; 호르몬, 예를 들어 에스트로겐; 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하이드로코르티손; 2-다이메틸아미노에탄올; 구리 염, 예를 들어 염화구리; 구리를 함유하는 펩타이드, 예를 들어 Cu:Gly-His-Lys, 코엔자임 Q10; 아미노산, 예를 들어 프롤린; 비타민; 락토비온산; 아세틸-코엔자임 A; 나이아신; 리보플라빈; 티아민; 리보스; 전자 수송물질(electron transporter), 예를 들어 NADH 및 FADH2; 및 다른 식물성 추출물, 예를 들어, 귀리, 알로에 베라, 피버퓨(Feverfew), 대두, 표고 버섯 추출물, 및 이들의 유도체 및 혼합물이 포함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피부 케어 조성물은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피부 보습 활성제를 포함한다. 부가적인 피부 보습 활성제의 예에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탈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카프릴 글리콜, 글리세롤, 부탄다이올 및 헥산트라이올,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 및 노화 징후를 개선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제제를 포함하는 피부 케어 조성물이다. 노화 징후를 개선하는 적합한 부가적인 제제의 예에는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 콜라겐 촉진제, 레티노이드, 하이알루론산, 다이메틸아미노에탄올, N,N,N',N'-테트라키스(2-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렌다이아민, 알파 하이드록스산, 폴리하이드록시산,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는 트로포엘라스틴의 생성을 향상시키는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한 화합물 부류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는 인체에서 트로포엘라스틴의 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든 천연 또는 합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의 예에는 블랙베리 추출물, 코티너스(cotinus) 추출물, 피버퓨 추출물, 필란투스 니루리(Phyllanthus niruri) 추출물, 및 구리 및/또는 아연 구성성분을 갖는 2금속 착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리 및/또는 아연 구성성분을 갖는 2금속 착물은, 예를 들어 구리-아연 시트레이트, 구리-아연 옥살레이트, 구리-아연 타르타레이트, 구리-아연 말레이트, 구리-아연 석시네이트, 구리-아연 말로네이트, 구리-아연 말레에이트, 구리-아연 아스파르테이트, 구리-아연 글루타메이트, 구리-아연 글루타레이트, 구리-아연 푸마레이트, 구리-아연 글루카레이트, 구리-아연 폴리아크릴산, 구리-아연 아디페이트, 구리-아연 피멜레이트, 구리-아연 수베레이트, 구리-아연 아질레이트, 구리-아연 세바케이트, 구리-아연 도데카노에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는 블랙베리 추출물, 코티너스 추출물, 피버퓨 추출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는 블랙베리 추출물, 피버퓨 추출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코티너스 추출물"은 "코티너스 코기그리아(Cotinus coggygria)"의 잎의 추출물, 예를 들어, 불가리아 소피아 소재의 빌코쿠프(Bilkokoop)로부터 입수가능한 이의 물 추출물을 의미한다.
"블랙베리 추출물"은 루부스(Rubus) 속의 식물, 바람직하게는 루부스 프루티코수스(Rubus fruticosus)로부터 단리된 화합물들의 블렌드를 의미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화합물은 식물의 꽃으로부터 단리된다. 추가 실시 형태에서, 화합물은 식물의 건조된 꽃으로부터 단리된다. 그러한 화합물은 식물의 하나 이상의 부분 (예를 들어, 전체 식물, 식물의 꽃, 종자, 뿌리, 근경, 줄기, 열매 및/또는 잎)으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블랙베리 추출물은 블랙베리 잎 추출물이다. 하나의 특히 적합한 블랙베리 추출물은 루부스 프루티코수스의 잎을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제조되며, 말토덱스트린 매트릭스와 약 5% 내지 약 10%의 활성으로 배합되고, 미국 뉴저지주 테테르보로 소재의 심라이즈 인크.(Symrise Inc.)로부터 구매가능하며, 명칭 "심매트릭스"(SymMatrix)로 판매된다.
"필란투스 니루리"의 추출물은 전체 식물로서 수확 및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식물의 하나 이상의 부분 (예를 들어, 식물의 꽃, 종자, 뿌리, 근경, 줄기, 열매 및/또는 잎)이 사용될 수 있다. 필란투스 니루리 식물 또는 이의 부분은, 예를 들어 분쇄 또는 밀링(milling)에 의해 파우더로 미분될 수 있다. 적합한 밀링된 형태의 필란투스 니루리는 미국 네바다주 카슨 시티 소재의 레인트리 뉴트리션, 인크.(Raintree Nutrition, Inc.)로부터 구매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필란투스 니루리의 저분자량 분획(fraction), 예를 들어 분자량이 약 100,000 달톤을 초과하는 분자종이 실질적으로 없는 필란투스 니루리의 분획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저분자량 분획은 필란투스 니루리 식물로부터 물 추출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에 기재된 것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를 화장용으로 유효한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활성제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0%의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5%의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2%의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콜라겐 촉진제"는 콜라겐의 생성을 향상시키는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한 화합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레티노이드 콜라겐 촉진제"는, 레티노이드가 아니거나 또는 레티노이드로부터 유래되지 않으며 인체에서 콜라겐의 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든 천연 또는 합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콜라겐 촉진제의 예에는 하기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레티놀, 레틴알데하이드, 및 레티노산을 포함하는 레티노이드, 피버퓨 (타나세툼 파르테늄(Tanacetum parthenium))의 추출물,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의 추출물, 및 시에게스벡키아 오리엔탈리스(Siegesbeckia orientalis)의 추출물; 대두의 추출물; 콜라겐-촉진 펩타이드; 우르솔산; 및 아시아티코사이드.
리유니온 섬(Reunion Island)에서는 바이올렛 마로네(Violette marronne), 인도에서는 코투 콜라(Gotu Kola) 또는 인디언 페니워트(Indian pennywort), 북미에서는 센텔라 레판다(Centella repanda), 그리고 마다가스카에서는 탈라페트라카(Talapetraka)라고도 알려져 있는 센텔라 아시아티카는 다형태 허브(polymorphous herb)이며 움벨리페라에(Umbelliferae) (아피아세아에(Apiaceae)) 과에 속하고, 특히 하이드로코틸레(Hydrocotyle) 아과에 속한다. 이것은 열대지방 전반에 걸쳐 야생에서 자라며, 해발 고도 약 600 내지 1200 미터의 습하고 그늘진 지역을 선호한다. 센텔라 아시아티카는 3가지 변종, 즉 타이피카(Typica), 아비시니카(Abyssinica) 및 플로리다나(Floridana)를 갖는다. 이 허브는 그의 치유, 진정, 진통, 항우울, 항바이러스 및 항미생물 성질에 대해 알려져 있으며 이를 위해 사용된다. 이 허브의 생물학적 활성은 허브 내에 트라이테르펜 분자가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센텔라 아시아티카의 적합한 추출물은 스위스 바젤 소재의 바이엘 컨슈머 헬스케어(Bayer Consumer HealthCare)로부터 TECA로 입수가능하다.
"시에게스벡키아 오리엔탈리스의 추출물"은 세더마(Sederma)(미국 뉴저지주 에디슨 소재의 크로다 인터내셔널 그룹(Croda International Group))로부터 입수가능한 다루토사이드(Darutoside)를 포함하는, 식물 시에게스벡키아 오리엔탈리스의 임의의 다양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적합한 콜라겐-촉진 펩타이드에는 하기가 포함된다: 세더마 (미국 뉴저지주 에디슨 소재의 크로다 인터내셔널 그룹)로부터 매트릭실(MATRIXYL)로 입수가능한,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 특히 Pal-Lys-Thr-Thr-Lys-Ser-OH를 포함하는 마트리킨(matrikine) 펩타이드 (즉, 세포외 기질 단백질 - 콜라겐, 엘라스틴, 또는 프로테오글리칸 - 의 분해로부터 유도된 펩타이드);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몽고메리빌 소재의 포토메덱스(Photomedex)로부터 프로사이트(PROCYTE)로 입수가능한 GHK 구리 펩타이드; 세더마 (미국 뉴저지주 에디슨 소재의 크로다 인터내셔널 그룹)로부터 바이오포엡티드(Biopoeptide) CL로 구매가능한 팔미토일 GHK 펩타이드; 바이오미메틱 테트라펩타이드, 예를 들어 캐나다 퀘백주 소재의 유니펙스(Unipex)로부터 크로놀린 트라이 펩타이드(Chronoline Tri Peptide)로 입수가능한 것들; 및 스위스 바젤 소재의 디에스엠(DSM)으로부터 신-콜(Syn-Coll)로 입수가능한 팔미토일 트라이-펩타이드.
우르솔산은 펜타사이클릭 트라이테르펜산, 프루놀(Prunol), 말롤(Malol), 우르손(Urson), 베타우르솔산 및 3-베타-하이드록시-우르스-12-엔-28-오익 산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로부터 구매가능하다.
화학적으로 [6-[[3,4-다이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5-(3,4,5-트라이하이드록시-6-메틸옥산-2-일)옥시옥산-2-일]옥시메틸]-3,4,5-트라이하이드록시옥산-2-일] 10,11-다이하이드록시-9-(하이드록시메틸)-1,2,6a,6b,9,12a-헥사메틸-2,3,4,5,6,6a,7,8,8a,10,11,12,13,14b-테트라데카하이드로-1H-피센-4a-카르복실레이트)로도 알려져 있는 아시아티코사이드는, 예를 들어 프랑스 쌩-오엔 93400 불러바드 빅토르 휴고 69 소재의 바이엘 상테 파밀리에 디비젼 세덱스(
Figure pct00001
)로부터 구매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용으로 유효한 양의 하나 이상의 콜라겐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활성제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0%의 콜라겐 촉진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5%의 콜라겐 촉진제,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2%의 콜라겐 촉진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피부 라이트닝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피부 라이트닝 활성제의 예에는 타이로시나아제 억제제, 멜라닌 분해제, PAR-2 길항제를 포함하는 멜라노좀 이동 억제제, 박피제(exfoliant), 썬스크린, 레티노이드, 항산화제, 트라넥삼산, 트라넥삼산 세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피부 표백제, 리놀레산,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다이소듐 염, 카모밀라(Chamomilla) 추출물, 알란토인, 불투명화제, 활석 및 실리카, 아연 염 등, 및 문헌[Solano et al. Pigment Cell Res. 19 (550-571)] 및 문헌[Ando et al. Int J Mol Sci 11 (2566-2575)]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른 제제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타이로시나아제 억제제의 예에는 비타민 C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E 및 그의 유도체, 코직산, 아르뷰틴, 레소르시놀, 하이드로퀴논, 플라본, 예를 들어 감초(Licorice) 플라보노이드, 감초 뿌리 추출물, 뽕나무(Mulberry) 뿌리 추출물, 디오스코레아 코포시타(Dioscorea Coposita) 뿌리 추출물, 삭시프라가(Saxifraga) 추출물 등, 엘라그산, 살리실레이트 및 유도체, 글루코사민 및 유도체, 풀러렌, 히노키티올, 다이오익산, 아세틸 글루코사민, 5,5'-다이프로필-바이페닐-2,2'-다이올 (마그노리그난(Magnolignan)), 4-(4-하이드록시페닐)-2-부탄올 (4-HPB),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타민 C 유도체의 예에는 아스코르브산 및 염,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사이드, 소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및 비타민 C가 풍부한 천연 추출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타민 E 유도체의 예에는 알파-토코페롤, 베타, 토코페롤, 감마-토코페롤, 델타-토코페롤, 알파-토코트라이엔올, 베타-토코트라이엔올, 감마-토코트라이엔올, 델타-토코트라이엔올 및 이들의 혼합물,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토코페롤 포스페이트 및 비타민 E 유도체가 풍부한 천연 추출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레소르시놀 유도체의 예에는 레소르시놀, 4-치환된 레소르시놀, 예를 들어 4-알킬레소르시놀, 예컨대 4-부티레소르시놀 (루시놀), 4-헥실레소르시놀 (시노베아(Synovea) HR, 시테온(Sytheon)), 페닐에틸 레소르시놀 (심화이트(Symwhite), 심라이즈), 1-(2,4-다이하이드록시페닐)-3-(2,4-다이메톡시-3-메틸페닐)-프로판 (니비톨, 우니겐(Unigen)) 등 및 레소르시놀이 풍부한 천연 추출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살리실레이트의 예에는 4-메톡시 포타슘 살리실레이트, 살리실산, 아세틸살리실산, 4-메톡시살리실산 및 이들의 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타이로시나아제 억제제에는 4-치환된 레소르시놀, 비타민 C 유도체, 또는 비타민 E 유도체가 포함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타이로시나아제 억제제에는 페닐에틸 레소르시놀, 4-헥실 레소르시놀, 또는 아스코르빌-2-글루코사이드가 포함된다.
적합한 멜라닌 분해제의 예에는 과산화물 및 효소, 예를 들어 퍼옥시다아제 및 리그니나아제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멜라닌 억제제에는 과산화물 또는 리그니나아제가 포함된다.
적합한 멜라노좀 이동 억제제의 예에는 PAR-2 길항제, 예를 들어 대두 트립신 억제제 또는 바우만-버크(Bowman-Birk) 억제제, 비타민 B3 및 유도체, 예를 들어 나이아신아미드, 에센셜 소이(essential soy), 홀 소이(whole soy), 대두 추출물이 포함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멜라노좀 이동 억제제에는 대두 추출물 또는 나이아신아미드가 포함된다.
박피제의 예에는 알파-하이드록시산, 예를 들어 락트산, 글리콜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또는 임의의 전술한 것들의 임의의 조합, 베타-하이드록시산, 예를 들어 살리실산, 폴리하이드록시산, 예를 들어 락토비온산 및 글루콘산, 및 기계적 박피, 예를 들어 미세박피(microdermabrasion)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박피제에는 글리콜산 또는 살리실산이 포함된다.
썬스크린의 예에는 아보벤존 (파르솔 1789), 비스다이설리졸 다이소듐 (네오 헬리오판 AP), 다이에틸아미노 하이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우비눌 A 플러스), 에캄술 (멕소릴 SX),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4-아미노벤조산 (PABA), 시녹세이트, 에틸헥실 트라이아존 (우비눌 T 150), 호모살레이트, 4-메틸벤질리덴 캠퍼 (파르솔 5000),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티녹세이트), 옥틸 살리실레이트 (옥티살레이트), 파디메이트 O (에스칼롤 507), 페닐벤즈이미다졸 설폰산 (엔설리졸), 폴리실리콘-15 (파르솔 SLX), 트롤라민 살리실레이트, 베모트라이지놀 (티노소르브 S), 벤조페논 1―12, 다이옥시벤존, 드로메트라이졸 트라이실록산 (멕소릴 XL), 이스코트라이지놀 (우바소르브 HEB), 옥토크릴렌, 옥시벤존 (에우솔렉스 4360), 설리소벤존, 비소크트라이졸 (티노소르브 M),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레티노이드의 예에는 레티놀 (비타민 A 알코올), 레티날 (비타민 A 알데히드),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 레티닐 리놀레에이트, 레티노산, 레티닐 팔미테이트, 아이소트레티노인, 타자로텐, 벡사로텐, 아다팔렌(Adapalene),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레티노이드는 레티놀, 레티날,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 레티닐 리놀레에이트,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레티노이드는 레티놀이다.
항산화제의 예에는 수용성 항산화제, 예를 들어 설프하이드릴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 (예를 들어, 소듐 메타바이설파이트 및 N-아세틸-시스테인, 글루타티온), 리포산 및 다이하이드로리포산, 스틸베노이드, 예를 들어 레스베라트롤 및 유도체, 락토페린, 철 및 구리 킬레이팅제 및 아스코르브산 및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예를 들어, 아스코빌-2-글루코사이드,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및 아스코르빌 폴리펩타이드)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용성 항산화제에는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레티노이드 (예를 들어, 레티놀 및 레티닐 팔미테이트), 토코페롤 (예를 들어,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토코트라이에놀 및 유비퀴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에는 플라보노이드 및 아이소플라보노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예를 들어, 제니스테인 및 다이아드제인)를 함유하는 추출물,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추출물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한 천연 추출물의 예에는 포도씨, 녹차, 홍차, 백차, 소나무 껍질, 피버퓨, 파르테놀라이드(parthenolide)-무함유 피버퓨, 귀리 추출물, 블랙베리 추출물, 코티너스 추출물, 대두 추출물, 포멜로(pomelo) 추출물, 맥아 추출물, 헤스페레딘(Hesperedin), 포도 추출물, 쇠비름속(Portulaca) 추출물, 리코칼콘, 칼콘, 2,2'-다이하이드록시 칼콘, 프리물라(Primula) 추출물, 프로폴리스 등이 포함된다.
부가적인 화장용 활성제는 임의의 적합한 양으로, 예를 들어 본 조성물의 약 0.00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 예를 들어 약 0.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예를 들어 약 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본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0.1% 내지 5%,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1% 내지 2%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용으로 유효한 양의 하나 이상의 항염증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항염증제의 예에는 치환된 레소르시놀, (E)-3-(4-메틸페닐설포닐)-2-프로펜니트릴 (예를 들어, "베이(Bay) 11-7082",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소재의 시그마-알드리치로부터 구매가능함),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미노이드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미노이드 CG, 미국 뉴저지주 피스카타웨이 소재의 사빈사 코포레이션(Sabinsa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가능함), 및 하기로부터 유래된 추출물 및 물질이 포함된다: 펠로덴드론 아무렌세 피층 추출물(Phellodendron amurense Cortex Extract; PCE), 비변성 대두 (글라이신 맥스(Glycine max)), 피버퓨 (타나세툼 파르테늄), 생강 (징기베르 오피시날레(Zingiber officinale)), 은행 (징코 빌로바(Gin㎏o biloba)), 마데카소사이드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 성분), 코티너스 (코티너스 코기그리아(Cotinus coggygria)), 머위(Butterbur) 추출물 (페타시테스 하이브리두스(Petasites hybridus)), 구기자(Goji Berry) (라이시움 바르바룸(Lycium barbarum)), 밀크 시슬(Milk Thistle) 추출물 (실리붐 마리아눔(Silybum marianum)), 인동덩굴(Honeysuckle) (로니세라 자포니카(Lonicera japonica)), 페루 발삼(Basalm of Peru) (마이록실론 페레이라에(Myroxylon pereirae)), 세이지(Sage) (살비아 오피시날리스(Salvia officinalis)), 크랜베리(Cranberry) 추출물 (바시니움 옥시코코스(Vaccinium oxycoccos)), 아마란스유(Amaranth Oil) (아마란투스 크루엔투스(Amaranthus cruentus)), 석류(Pomegranate) (푸니카 그라나툼(Punica granatum)), 예바 마테(Yerbe Mate) (일렉스 파라구아리엔시스(Ilex paraguariensis) 잎 추출물), 하얀 백합(White Lily) 꽃 추출물 (릴리움 칸디둠(Lilium candidum)), 올리브 잎 추출물 (올레아 유로파에아(Olea europaea)), 플로레틴(Phloretin) (사과 추출물), 귀리 가루 (아비나 사티바(Aveena sativa)), 리페놀(Lifenol) (홉(Hop): 후물루스 루풀루스(Humulus lupulus)) 추출물, 부그란(Bugrane) P (오노니스 스피노사(Ononis spinosa)), 리코칼콘 (감초: 글리시리자 인플라테(Glycyrrhiza inflate) 추출물 성분), 심릴리프(Symrelief) (비사볼롤, 그리고 생강 추출물),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 등.
일 실시 형태에서, 항염증제는 레소르시놀이다. 특히 적합한 치환된 레소르시놀에는 4-헥실 레소르시놀 및 4-옥틸레소르시놀, 특히 4-헥실 레소르시놀이 포함된다. 4-헥실 레소르시놀은 미국 뉴저지주 링컨 파크 소재의 시테온으로부터 시노베아 HR로 구매가능하다. 4-옥틸레소르시놀은 미국 코네티컷주 웨스트 헤이븐 소재의 씨티 케미칼 엘엘씨(City Chemical LLC)로부터 구매가능하다.
"피버퓨 추출물"이란, 발명의 명칭이 "피버퓨(타나세툼 파르테늄)로부터의 파르테놀라이드-무함유 생물활성 성분 및 이의 제조 방법"(PARTHENOLIDE FREE BIOACTIVE INGREDIENTS FROM FEVERFEW (TANACETUM PARTHENIUM)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196523호에 기술된 상세 내용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식물 "타나세툼 파르테늄"의 추출물을 의미한다. 한 가지 특히 적합한 피버퓨 추출물은 미국 뉴욕주 오시닝 소재의 인티그레이티드 보태니컬 테크놀로지스로부터 약 20% 활성 피버퓨로서 구매가능하다.
다양한 다른 물질이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킬레이트제, 연화제, 습윤제, 컨디셔너, 방부제, 불투명화제, 방향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국소 성분을 포함한다.
연화제란, (예를 들어, 윤활제로 작용하도록 피부 표면 상에 또는 각질층 내에 남아 있음으로써) 부드럽고 매끄럽고 유연한 피부 외관을 유지하도록 돕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적합한 연화제의 예에는 문헌[Chapter 35, pages 399-415 (Skin Feel Agents, by G Zocchi), Handbook of Cosmetic Science and Technology (edited by A. Barel, M. Paye and H. Maibach, Published in 2001 by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에 나타나 있는 것들이 포함되며, 바셀린, 헥실데실 스테아레이트, 및 식물 오일, 견과유, 및 식물유, 예를 들어 마카다미아 너트유, 미강유, 포도씨유, 팜유, 프림로즈유(prim rose oil), 수소화 땅콩유, 및 아보카도유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습윤제란, 피부의 상부 층의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도록 의도된 화합물 (예를 들어, 흡습성 화합물)을 의미한다. 적합한 습윤제의 예에는 문헌[Chapter 35, pages 399-415 (Skin Feel Agents, by G Zocchi), Handbook of Cosmetic Science and Technology (edited by A. Barel, M. Paye and H. Maibach, Published in 2001 by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에 나타나 있는 것들이 포함되며, 글리세린, 소르비톨 또는 트레할로스 (예를 들어, α,α- 트레할로스, β,β-트레할로스, α,β-트레할로스)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테르 (예를 들어, 트레할로스 6-포스페이트)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계면활성제란, 클렌징하도록 또는 유화시키도록 의도된 표면 활성제를 의미한다. 적합한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문헌[Chapter 37, pages 431-450 (Classification of surfactants, by L. Oldenhove de Guertechin) in Handbook of Cosmetic Science and Technology (edited by A. Barel, M. Paye and H. Maibach, Published in 2001 by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에 나타나 있는 것들이 포함되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황산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베타인, 양쪽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소듐 코코 글리시네이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킬레이팅제의 예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보호 및 보존할 수 있는 것들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킬레이팅제는 에틸렌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EDT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케미칼 컴퍼니(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상표명 "베르센(Versene) 100XL"로 구매가능한 테트라소듐 EDTA이다.
적합한 방부제에는, 예를 들어 파라벤, 4차 암모늄 화학종, 페녹시에탄올, 벤조에이트, DMDM 하이단토인, 유기산이 포함되며, 이는 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1% 또는 약 0.05% 내지 약 0.5%의 양으로 본 조성물에 존재한다.
모발에 광택과 같은 부가적인 속성을 부여하는 임의의 다양한 컨디셔너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예에는 대기압 비점이 약 220℃ 미만인 휘발성 실리콘 컨디셔닝제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휘발성 실리콘의 예에는 비배타적으로 폴리다이메틸실록산, 폴리다이메틸사이클로실록산, 헥사메틸다이실록산, 사이클로메티콘 유체, 예를 들어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Dow Corning Corporation)으로부터 상표명 "DC-345"로 구매가능한 폴리다이메틸사이클로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메티콘 유체가 포함된다. 다른 적합한 컨디셔닝제에는, 폴리쿼터늄, 양이온성 구아 등을 포함하는 양이온성 중합체가 포함된다.
임의의 다양한 구매가능한 진주광택제 또는 불투명화제가 본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적합한 진주 광택제 또는 불투명화제의 예에는 (a) 약 16개 내지 약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과 (b)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중 어느 하나의 모노 또는 다이에스테르; (a) 약 16개 내지 약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과 (b) 화학식: HO-(JO)a-H (여기서, J는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 기이고; a는 2 또는 3임)의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모노 또는 다이에스테르; 약 16 내지 약 2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 알코올; 화학식: KCOOCH2L (여기서, K 및 L은 독립적으로 약 15 내지 약 21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함)의 지방 에스테르; 샴푸 조성물에 불용성인 무기 고형물;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부 상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방향제 조성물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재의 형태일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기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기재 및 기재 물질의 예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7452547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9/0241242호에 개시되어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기재는 와이프, 글러브, 또는 페이셜 마스크이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실시 형태는 상기에 인용된 참고 문헌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은 수불용성 기재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 형태의 경우, 수불용성 기재는, 수불용성 기재를 마스크 기재로서 사용자의 얼굴 주위에 놓기에 용이하도록, 인간 사용자의 얼굴을 덮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불용성 마스크 기재는 사용자의 입, 코, 및/또는 눈을 위한 개방부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불용성 기재는 그러한 개방부를 갖지 않을 수 있다. 개방부가 없는 그러한 구성은, 수불용성 기재를 얼굴이 아닌 피부 영역 위에 씌우고자 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또는 수불용성 기재를 와이프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수불용성 기재는 다양한 형상, 예를 들어 각진 형상(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아치형 형상, 예를 들어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기재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141014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글러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제품은 상이한 형상의 복수의 수불용성 기재를 포함한다.
필요로 하는 피부에 본 조성물을 도포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조성물은 필요한 피부에 패키지로부터 직접 도포될 수 있거나, 필요한 피부에 손으로 도포될 수 있거나, 또는 와이프 또는 마스크와 같은 기재로부터 전달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이 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점적기, 튜브, 롤러, 스프레이, 및 패치를 통해 도포될 수 있거나, 또는 욕액(bath)에 또는 달리 피부에 도포될 물 등에 첨가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제한 없이, 잔류형(leave-on) 크림, 마스크, 및/또는 세럼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 또는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더욱 추가의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가지 상이한 조성물 또는 제품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방법은 피부 장벽 기능의 개선 및 피부 수화 및 보습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피부에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와, 이어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부에, 제1 조성물과는 상이한,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은 로션, 클렌저, 마스크, 와이프, 크림, 세럼, 젤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는 클렌저, 로션, 크림, 에센스, 또는 세럼이고, 다른 것은 페이셜 마스크 또는 와이프이다. 소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는 클렌저이고, 다른 것은 로션 또는 크림이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다양한 추가, 변경 및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다른 특정 형태, 구조, 배열, 비율로 그리고 다른 요소, 물질, 및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이 구조, 배열, 비율, 물질, 및 구성요소의 많은 변경을 갖고서 사용될 수 있고, 다르게는 본 발명의 원리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환경 및 작동 요건에 맞추어 특별히 개조된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현재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측면에서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전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청구범위에서, 용어 "포함한다/포함하는"은 다른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단수형 언급은 복수형을 배제하지 않는다. 용어 부정관사("a", "an"), "제1", "제2" 등은 복수형을 배제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에서는 하기 시험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1: 시험관내 ( In vitro) 필라그린 단백질 분석
에피쿠티스 시스템(EpiKutis system) (중국 소재의 산시 바이오셀 바이오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Shaanxi BioCell Biotechnology Co. Ltd.))으로부터의 피부 표피 등가물을 하기 시험에 사용하였다. 3-D 피부 등가물 에피쿠티스 시스템은 인간 표피의 고도로 분화된 모델을 형성하도록 배양된 정상의 인간-유래 표피 케라틴세포로 이루어진다. 각각 직경이 8 mm인 바이오셀의 에피쿠티스 피부 등가물 모델을 하기 시험에 사용하였다.
시험 물질 (활성제)은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이 예는 0.001% 추출물을 갖는 배양 배지의 제조를 예시한다. 조 추출물(crude extract)을 먼저 DMSO (다이메틸 설폭사이드)를 사용하여 10% 용액으로 희석하였다. 이어서, 희석된 추출물을 세포 배양 배지에 첨가하였다. 세포 배양 배지 중 추출물의 농도가 0.001 중량%로 되고 DMSO의 양이 세포 배양 배지 중 0.1%로 되도록 추가의 DMSO를 첨가하였다.
시험에서 블랭크 대조군 배지는 0.1% DMSO를 함유하는 배양 배지였다.
수용 시에, 표피 등가물을 유지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팅하였다. 인큐베이션 후에, 등가물을 37℃에서 추가 24시간 동안 블랭크 대조군 배지 또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 배지로 처리하였다.
시험군마다 3개의 표피 등가물을 반복하였다.
크라이오스탯(cryostat) (라이카(Leica) CM3050s)을 사용하여 피부 표피 등가물의 절편 (5 μm 두께)을 잘라내고 -20℃에서 10분 동안 아세톤으로 고정시켰다. 조직 절편을 필라그린에 대한 생쥐 단클론성 항체 (1/100, 영국 케임브리지 소재의 아브캄(Abcam))와 함께 2시간 동안 인큐베이팅하여 필라그린을 검출하였다. 제조사의 사용 설명서에 따라 다코 오토스테이너(DAKO Autostainer) (다코(Dako))가 구비된 LSAB+시스템-HRP를 사용하여 스트렙타비딘/퍼옥사다아제 방법에 의해 염색 및 시각화를 수행하였다. 비특이적 표지의 대조군으로서, 일차 항체를 제외시켰다. 각각의 시편의 다수의 절편을 처리하여 대표 샘플을 확보하였다. 단백질 국재화(protein localization)를 평가하기 위하여, 공초점 레이저-주사 현미경 (올림푸스(OLYMPUS)-BX53)을 이용하였다. IOD (적분 광학 밀도)의 결과를, IPP 소프트웨어 (미국 소재의 메디카 사이버네틱스(Media Cybernetics)로부터의 이미지-프로 플러스(Image-Pro Plus))를 사용하여 필라그린 단백질의 양으로서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블랭크 대조군 대비 필라그린 촉진율을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블랭크 대조군 대비 필라그린 촉진율 = (특정 샘플의 IOD 값 ― 블랭크 대조군의 IOD 값) / 블랭크 대조군의 IOD 값 × 100%
양방 및 등분산 가설 스튜던트 T-검정을 사용하여 블랭크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통계적 차이를 결정하였고, 0.05 미만의 p-값은 유의한 차이로 간주하였다.
분석 2: 시험관내 소듐 L- 피롤리돈 카르복실레이트 ( PCA ) 분석
분석 1에서 주어진 방법을 사용하여 시험 샘플을 제조하였다. 추가의 PCA 분석을 위해 분석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 배지 또는 블랭크 대조군 배지로 피부 표피 등가물을 처리하였다. 시험군마다 3개의 표피 등가물을 반복하였다.
피부 표피 등가물을 30분 동안 초음파에 의해 500 μl 탈이온수로 추출하였다. 표피 등가물마다 2회씩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14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4 μL 아세토니트릴 및 8 μL 1M 포름산암모니아를 388 μL 상청액에 첨가하였다. RP-18 실리카젤 칼럼, 20 mM 포름산암모늄과 1% 아세토니트릴의 이동상, pH 7.8, 유량 1 mL/min을 사용하여 RP-HPLC에 의해 PCA를 분석하였다. PCA를 당량당 PCA 양으로서 시험하였다. 블랭크 대조군 대비 PCA 촉진율을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블랭크 대조군 대비 PCA 촉진율 = (특정 샘플의 당량당 PCA 양 ― 블랭크 대조군의 당량당 PCA 양) / 블랭크 대조군의 당량당 PCA 양 × 100%.
양방 및 등분산 가설 스튜던트 T-검정을 사용하여 블랭크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통계적 차이를 결정하였고, 0.05 미만의 p-값은 유의한 차이로 간주하였다.
분석 3: 시험관내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TGM1) 단백질 분석
분석 1에서 주어진 방법을 사용하여 시험 샘플을 제조하였다. 추가의 TGM1 단백질 분석을 위해 분석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 배지 또는 블랭크 대조군 배지로 피부 표피 등가물을 처리하였다. 시험군마다 3개의 표피 등가물을 반복하였다.
크라이오스탯 (라이카 CM3050s)을 사용하여 5 μm 두께의 피부 표피 등가물의 절편을 잘라내고 -20℃에서 10분 동안 아세톤으로 고정시켰다. 조직 절편을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에 대한 생쥐 단클론성 항체 (1/800, 영국 케임브리지 소재의 아브캄)와 함께 2시간 동안 인큐베이팅하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을 검출하였다. 제조사의 사용 설명서에 따라 다코 오토스테이너 (다코)가 구비된 LSAB+시스템-HRP를 사용하여 스트렙타비딘/퍼옥사다아제 방법에 의해 염색 및 시각화를 수행하였다. 비특이적 표지의 대조군으로서, 일차 항체를 제외시켰다. 각각의 시편의 다수의 절편을 처리하여 대표 샘플을 확보하였다. 단백질 국재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공초점 레이저-주사 현미경 (올림푸스-BX53)을 이용하였다. IOD (적분 광학 밀도)의 결과를, IPP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TGM1 단백질의 양으로서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블랭크 대조군 대비 TGM1 촉진율을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블랭크 대조군 대비 TGM1 촉진율 = (특정 샘플의 IOD 값 ― 블랭크 대조군의 IOD 값) / 블랭크 대조군의 IOD 값 × 100%
양방 및 등분산 가설 스튜던트 T-검정을 사용하여 블랭크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통계적 차이를 결정하였고, 0.05 미만의 p-값은 유의한 차이로 간주하였다.
분석 4: MTT 피부 등가물 성장 상태 평가 - 피부 대사 활성 분석
피부 등가물의 성장 상태는 구축되는 표피 및 피부 장벽의 잠재적 품질과 관련된다. 피부 대사 활성은 피부 등가물의 성장 상태에 반영된다. 이는 하기와 같이 기재된 MTT 분석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분석 1에서 주어진 방법을 사용하여 시험 샘플을 제조하였다. 추가의 MTT 분석을 위해 분석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 배지 또는 블랭크 대조군 배지로 피부 표피 등가물을 처리하였다.
시험군마다 3개의 표피 등가물을 반복하였다.
MTT 분석은,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의해서 황색 메틸티아졸릴다이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MTT)가 불용성 자색 생성물로 환원되는 것을 측정하는 비색 분석 시스템이다.
피부 표피 등가물을 MTT (3-(4,5-시메틸티아졸-2-일)-2,5-다이페닐 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시그마(sigma))로 3시간 동안 처리한 후에, 둘베코 인산염 완충 염수(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DPBS)를 사용하여 3회 세척하였다. 이어서, 등가물을 새로운 챔버로 옮기고 4℃에서 밤새 아이소프로판올과 함께 인큐베이팅하였다. 용해 후에, 조직을 찔러서 용해물을 추가로 방출시켰다. 용매 대조군으로서 아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여 570 nm의 파장에서 용해물을 측정하였다.
피부 대사 활성을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피부 대사 활성률 (%) = (특정 샘플 농도의 OD 값 - DMSO가 없는 대조군의 OD 값) / (블랭크 대조군의 OD 값 - DMSO가 없는 대조군의 OD 값) ×100. (OD: 광학 밀도).
그리고 블랭크 대조군 대비 피부 대사 활성의 촉진율을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블랭크 대조군 대비 피부 대사 활성의 촉진율 = 특정 샘플의 피부 대사 활성률 (%) - 블랭크 대조군의 피부 대사 활성률 (%).
양방 및 등분산 가설 스튜던트 T-검정을 사용하여 블랭크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통계적 차이를 결정하였고, 0.05 미만의 p-값은 유의한 차이로 간주하였다.
분석 5: 시험관내 로리크린 (LOR) 단백질 분석
분석 1에서 주어진 방법을 사용하여 시험 샘플을 제조하였다. 추가의 LOR 단백질 분석을 위해 분석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 배지 또는 블랭크 대조군 배지로 피부 표피 등가물을 처리하였다.
시험군마다 3개의 표피 등가물을 반복하였다.
크라이오스탯 (라이카 CM3050s)을 사용하여 5 μm 두께의 피부 표피 등가물의 절편을 잘라내고 -20℃에서 10분 동안 아세톤으로 고정시켰다. 조직 절편을 로리크린에 대한 생쥐 단클론성 항체 (1/250, 영국 케임브리지 소재의 아브캄)와 함께 2시간 동안 인큐베이팅하여 로리크린을 검출하였다. 제조사의 사용 설명서에 따라 다코 오토스테이너 (다코)가 구비된 LSAB+시스템-HRP를 사용하여 스트렙타비딘/퍼옥사다아제 방법에 의해 염색 및 시각화를 수행하였다. 비특이적 표지의 대조군으로서, 일차 항체를 제외시켰다. 각각의 시편의 다수의 절편을 처리하여 대표 샘플을 확보하였다. 단백질 국재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공초점 레이저-주사 현미경 (올림푸스-BX53)을 이용하였다. IOD (적분 광학 밀도)의 결과를, IPP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LOR 단백질의 양으로서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블랭크 대조군 대비 LOR 촉진율을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블랭크 대조군 대비 LOR 촉진율 = (특정 샘플의 IOD 값 ― 블랭크 대조군의 IOD 값) / 블랭크 대조군의 IOD 값 × 100%
양방 및 등분산 가설 스튜던트 T-검정을 사용하여 블랭크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통계적 차이를 결정하였고, 0.05 미만의 p-값은 유의한 차이로 간주하였다.
분석 6: SLS의 침투 분석에 의한 피부 장벽 품질 평가
고품질 피부 장벽을 갖는 피부는 외부 유해 물질이 피부 내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피부 대사 활성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더 높은 피부 대사 활성은 유해 물질의 침투가 더 적음을 의미하며 더 높은 피부 장벽 기능을 갖는 피부를 또한 나타낸다.
이 연구에서, 본 발명자들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SLS)를 유해 물질로서 사용하였다.
분석 1에서 주어진 방법을 사용하여 시험 샘플을 제조하였다. 추가의 피부 대사 활성 분석을 위해 분석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 배지 또는 블랭크 대조군 배지로 피부 표피 등가물을 처리하였다.
시험군마다 3개의 표피 등가물을 반복하였다.
6-웰 플레이트로 옮긴 후에, 등가물을 1% 트리톤(Triton) X-100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시그마)로 국소 처리하고 37±1 ℃, 5±1% CO2, 95% Hm에서 3시간 또는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DPBS로 15회 세척하였다.
표피 등가물을 MTT (3-(4,5-시메틸티아졸-2-일)-2,5-다이페닐 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시그마)로 3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 후에 둘베코 인산염 완충 염수 (DPBS)를 사용하여 등가물을 3회 세척하고, 이어서 새로운 챔버로 옮기고 4℃에서 밤새 아이소프로판올과 함께 인큐베이팅하였다. 용해 후에, 조직을 찔러서 용해물을 추가로 방출시켰다. 용매 대조군으로서 아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여 570 nm의 파장에서 용해물을 측정하였다.
피부 대사 활성률은 SLS의 침투 및 피부 장벽 기능을 반영한다. 피부 대사 활성을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피부 대사 활성률 (%) = (특정 샘플 농도의 OD 값 - DMSO가 없는 대조군의 OD 값) / (블랭크 대조군의 OD 값 - DMSO가 없는 대조군의 OD 값) ×100. (OD: 광학 밀도).
양방 및 등분산 가설 스튜던트 T-검정을 사용하여 블랭크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통계적 차이를 결정하였고, 0.05 미만의 p-값은 유의한 차이로 간주하였다.
분석 7: 유전자 발현 연구
분석 1에서 주어진 방법을 사용하여 시험 샘플을 제조하였다.
인간 케라틴세포를 6-웰 배양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37℃, 5% CO2에서 유지하였다. 40% 컨플루언스(confluence)가 달성되었을 때,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 배지 또는 블랭크 대조군 배지 (0.1% DMSO를 함유하는 배양 배지)와 함께 케라틴세포를 37℃, 5% CO2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팅하였다. 24시간의 인큐베이션 후에, 트리졸(TRIzol)(등록상표) 시약 (라이프 사이언스(Life Science))으로 전체 RNA를 추출하고, 프라임스크립트(PrimeScript)(등록상표)RT 시약 키트 퍼펙트 리얼 타임(Perfect Real Time)(타카라(TaKaRa))을 사용하여 역전사시켰다.이 연구에서의 프라이머는 LOR (젠뱅크(Genbank) 번호: NM-00427), TGM1 (젠뱅크 번호: NM_00359.2), FLG (젠뱅크 번호: NM_002016) 및 카스파아제-14 (젠뱅크 번호: NM_012114.2)를 포함하는 타카라 (중국 다롄 소재)로부터의 것이었다. SYBR 그린 리얼 타임 PCR 마스터 믹스(Green Real time PCR Master Mix)(타카라)를 사용하여 정량적 RT-PCR을 수행하였다. 반응은 CFX96 검출 시스템 (바이오-라드(BIO-RAD))에서 수행하였다. 실시간 정량적 PCR 및 2-ΔΔCt 방법을 사용하여 유전자 발현 결과를 분석하였다.
블랭크 대조군 대비 유전자 발현의 촉진율을 하기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블랭크 대조군 대비 유전자 발현의 촉진율 (%) = (특정 샘플의 유전자 발현 ― 블랭크 대조군의 유전자 발현) / 블랭크 대조군의 유전자 발현 × 100%.
양방 및 등분산 가설 스튜던트 T-검정을 사용하여 블랭크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통계적 차이를 결정하였고, 0.05 미만의 p-값은 유의한 차이로 간주하였다.
분석 8: 콜라겐 생성 분석
콜라겐은 진피 내의 가장 풍부한 결합 물질이며, 이는 피부 견고성을 유지하는 주된 기능을 갖는 섬유상 단백질이다. 나이가 듦에 따라, 피부 내의 콜라겐의 양이 감소한다 (문헌[C. Castelo-Branco, M. Duran, J.
Figure pct00002
(1992)" Skin collagen changes related to age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Maturitas (1992) Oct;15(2):113-9]). UV, 흡연, 공해 및 생활 방식으로 인한 외인성 노화가 또한 콜라겐 저하를 야기한다 (문헌[L Baumann (2007)" Skin ageing and its treatment" Journal of Pathology (2007); 211: 241―251], 문헌[Jerry L. Mccullough and Kristen M. Kelly (2006)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kin Aging" Ann. N.Y. Acad. Sci. (2006) 1067: 323―331]).
인간 섬유아세포의 T-75 ㎠ 플라스크를 PBS로 2회 세척하고, 얼음 위에 놓고, 2 ml의 차가운 RIPA 용해 완충액 (중국 소재의 베요타임(Beyotime))을 첨가하였다. 스크레이핑하여 세포를 수집하고, 상청액을 12000 r/min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인간 섬유아세포를 6-웰 배양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37℃, 5% CO2에서 유지하였다. 약 50% 컨플루언스가 달성되었을 때,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 배지 또는 블랭크 대조군 배지 (0.1% DMSO를 함유하는 배양 배지)와 함께 인간 섬유아세포를 37℃, 5% CO2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팅하였다. 24시간의 인큐베이션 후에, 전체 콜라겐을 추출하였다.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바이신코닌산 단백질 분석(Bicinchoninic Acid Protein Assay) (미국 캘리포니아주 허큘리스 소재의 바이오-라드 래보러토리즈(Bio-Rad Laboratories))을 사용하여 단백질 농도를 결정하였다.
면역블롯 분석을 위해, 10% Tris-HCl 젤을 사용하여 40 ㎍의 단백질을 SDS-PAGE로 처리하였다.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오스 막 상으로 옮기고, 5% 분유로 2시간 동안 블로킹하고, 이어서 4℃에서 밤새 인큐베이팅된 일차 항체로 프로빙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일차 항체는 단클론성 항-콜라겐 I (1:500, 영국 케임브리지 소재의 아브캄) 또는 단클론성 항-엘라스틴 (1:200, 영국 케임브리지 소재의 아브캄)이었다. 막을 적절한 일차 항체로 프로빙한 후에, 2시간 동안 인큐베이팅된 이차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아제-접합 항체 (1:1000, 중국 소재의 베요타임)로 프로빙하였다. DAB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아제 칼라 디벨롭먼트 키트(Horseradish Peroxidase Color Development Kit) (중국 소재의 베요타임)의 설명서에 따라 단백질 수준을 검출하였다. IPP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단백질 밴드의 디지털 분석에 의해 단백질의 양을 IOD (적분 광학 밀도)로서 계산하였다. 데이터는 β-액틴에 대해 정규화된 단백질의 상대 밀도로서 표시한다. 그리고 블랭크 대조군 대비 콜라겐 개선율을 하기 식과 같이 계산하였다:
블랭크 대조군 대비 콜라겐 개선율 = (특정 샘플의 IOD ― 블랭크 대조군의 IOD) / 블랭크 대조군의 IOD × 100%.
양방 및 등분산 가설 스튜던트 T-검정을 사용하여 블랭크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통계적 차이를 결정하였고, 0.05 미만의 p-값은 유의한 차이로 간주하였다.
분석 9: 사이토카인에 대한 ELISA 분석
케라틴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2×104/㎠의 농도로 플레이팅하였다. 플레이팅 효율이 웰당 약 45%를 달성하였을 때,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 배지 또는 블랭크 대조군 배지 (0.1% DMSO를 함유하는 배양 배지)와 함께 케라틴세포를 37℃, 5% CO2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팅하였다. 24시간 인큐베이션 후에, 상청액을 수집하였고 T0 시점에 대해 제공하였다. 한편, 세포를 300 mJ/㎠의 UVB 방사선에 노출시켰다. 대조군 세포는 쉐이빙하였으나(shaved) UV에 노출시키지 않았다. 24시간 후에, 상청액을 수집하였고 T24 시점으로서 제공하였다. ELISA 분석 (인비트로겐 리미티드(Invitrogen Ltd), IL1α: 카탈로그 KAC1191, TNFα 키트: 카탈로그 KHC3011, IL8 키트: 카탈로그 KHC0081, IL6 키트: 카탈로그 KHC0061)을 사용하여 사이토카인 수준을 결정하였다.
UVB 노출에 의해 손상된 블랭크 대조군 등가물 대비 UVB에 의해 유도되는 사이토카인의 억제율 (%)을 하기 식과 같이 계산하였다:
UVB 노출에 의해 손상된 블랭크 대조군 등가물 대비 UVB에 의해 유도되는 사이토카인의 억제율 (%) = (블랭크 대조군의 T24 ― 특정 샘플의 T24) / (블랭크 대조군의 T24 ― 블랭크 대조군의 T0) × 100%.
양방 및 등분산 가설 스튜던트 T-검정을 사용하여 블랭크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통계적 차이를 결정하였고, 0.05 미만의 p-값은 유의한 차이로 간주하였다.
하기 실시예들은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제조 및 효능을 예시한다.
실시예 1: 잎으로부터의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 (E1)의 제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식물을 중국에서 수집하였다. 종 확인은 육안상의 형태학적 특징(gros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에 기초하였다 (문헌[Flora of China Editorial Committee. Flora Reipublicae Popularis Sinicae. Beijing: Science Press, 1998, 48: 53]). 식물로부터 흙 및 부스러기를 제거하고 지상부와 뿌리로 분리하였다. 대략 1000 g의 잎을 블렌더에서 5000 mL의 95% 에탄올/물과 함께 균질화하였고; 이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끊임없이 움직이는 상태로 유지하였다. 이어서, 생성된 현탁액을 40℃를 초과하지 않는 회전식 증발기를 사용하여 저압 하에서 여과 및 건조시켰다. 여과 후, 남아 있는 원재료를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시 추출하였다. 두 추출 모두로부터 합한 건조 덩어리를 조 추출물로 지정하였으며, 이는 27.0%의 수율로 대략 270 g이었다 (E1).
90:10로부터 0:100로의 A (물+ 0.1% 포름산):B (아세토니트릴)의 구배 용리를 사용하여,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의 특징적인 HPLC 지문을 292 nm에서 얻을 수 있다. 데하이드로미리세틴을 HPLC-MS에 의해 확인하였고 HPLC-DAD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추출물 중 데하이드로미리세틴의 함량은 약 85.0%이다.
실시예 2: 꽃으로부터의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 (E2)의 제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식물을 중국에서 수집하였다. 종 확인은 육안상의 형태학적 특징에 기초하였다 (문헌[Flora of China Editorial Committee. Flora Reipublicae Popularis Sinicae. Beijing: Science Press, 1998, 39: 65]). 식물로부터 흙 및 부스러기를 제거하고 지상부와 뿌리로 분리하였다. 대략 2000 g의 꽃을 블렌더에서 12,000 mL의 95% 에탄올/물과 함께 균질화하였고; 이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끊임없이 움직이는 상태로 유지하였다. 이어서, 생성된 현탁액을 40℃를 초과하지 않는 회전식 증발기를 사용하여 저압 하에서 여과 및 건조시켰다. 여과 후, 남아 있는 원재료를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시 추출하였다. 두 추출 모두로부터 합한 건조 덩어리를 조 추출물로 지정하였으며, 이는 7.2%의 수율로 대략 144 g이었다 (E2).
90:10로부터 0:100로의 A (물+ 0.1% 포름산):B (아세토니트릴)의 구배 용리를 사용하여,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특징적인 HPLC 지문을 348 nm에서 얻을 수 있다. 퀘르시트린을 HPLC-MS에 의해 확인하였고 HPLC-DAD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중 퀘르시트린의 함량은 약 7.74%이다.
실시예 3: 필라그린 단백질 촉진율의 결정
상기에 기재된 분석 1의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물 E1, 추출물 E2, 및 1:1의 이들 둘의 조합 (0.001% E1 + 0.001% E2)을 필라그린 단백질 수준에 대해 시험하였다. 조 추출물을 DMSO (다이메틸 설폭사이드)를 사용하여 10% 용액으로 희석하였다. 이어서, 희석된 추출물을 세포 배양 배지에 첨가하였다. 세포 배양 배지 중 추출물의 농도가 0.001 중량%로 되고 DMSO의 양이 세포 배양 배지 중 0.1%로 되도록 추가의 DMSO를 첨가하였다. 블랭크 대조군은 세포 배양 배지 중 중량 기준으로 0.1% DMSO 용매였다.
그 결과가 하기 표 1에 주어져 있다.
[표 1]
Figure pct00003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면,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의 도포는 피부의 필라그린 단백질을 촉진하는 데 상승작용적 효과가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그러므로,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은 피부 수화를 개선하고 피부 장벽 구조를 강화하며, 따라서 손상 피부 문제와 관련된 피부 염증을 일으키는 외부 항원 침투에 대한 피부의 방어를 개선하고 내부 수분 손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실시예 4: 소듐 L- 피롤리돈 카르복실레이트 ( PCA ) 촉진율의 측정
상기에 기재된 분석 2의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물 E1, 추출물 E2, 및 1:1, 3:1, 7:1, 1:7 중량비의 이들 둘의 조합을 소듐 L-피롤리돈 카르복실레이트 (PCA) 수준에 대해 시험하였다. 각각의 샘플을 3회 시험하였다.
그 결과가 하기 표 2에 주어져 있다.
[표 2]
Figure pct00004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 나타난 결과에 기초하면,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의 국소 도포는 피부의 필라그린 단백질 및 피부의 천연 보습 인자 (NMF)의 생성을 촉진하는 데 상승작용적 효과가 있으며, 그에 의해 피부 장벽 완전성을 개선하고 피부의 수분 결합 능력을 개선하며, 따라서 필라그린의 감소로 인한 피부 염증을 감소시키고 피부 수화를 개선하고 피부 건조를 경감시킨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면,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의 도포는 PCA를 개선할 수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그리고,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의 도포는 피부의 PCA 생성을 촉진하는 데 상승작용적 효과가 있으며, 조합비는 12.5% 내지 87.5% (1:7 내지 7:1)이다. 경피 침투를 고려할 때,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의 총 농도는 낮게는 0.0005% (W/W)로부터 최대 30% (W/W)까지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실시예 5: 피부 등가물 성장 상태 평가 - 피부 대사 활성 분석
상기 분석 4에 주어져 있는 MTT 시험에 의해 E1, E2, 및 E1과 E2의 조합에 대한 피부 대사 활성 잠재력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가 하기 표 3에 주어져 있다.
[표 3]
Figure pct00005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을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에 첨가하는 것은 피부 대사 활성을 현저하게 개선하며 이는 현저하게 더 높은 품질의 피부 장벽을 생성하는 잠재력을 갖는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실시예 6: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TGM1) 촉진율의 결정
상기에 기재된 분석 3의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물 E1, 추출물 E2, 및 두 추출물의 조합을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TGM1) 수준에 대해 시험하였다.
그 결과가 하기 표 4에 주어져 있다.
[표 4]
Figure pct00006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면,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의 도포는 피부의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단백질을 촉진하는 데 상승작용적 효과가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그러므로,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은 피부 수화를 개선하고 피부 장벽 구조를 강화하며, 따라서 손상 피부 문제와 관련된 피부 염증을 일으키는 외부 항원 침투에 대한 피부의 방어를 개선하고 내부 수분 손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상승작용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실시예 7: 로리크린 (LOR) 촉진율의 결정
상기에 기재된 분석 5의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물 E1, 추출물 E2, 및 두 추출물의 조합을 로리크린 (LOR) 수준에 대해 시험하였다. 그 결과가 하기 표 5에 주어져 있다.
[표 5]
Figure pct00007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면,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의 도포는 피부의 로리크린 단백질을 촉진하는 데 상승작용적 효과가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그러므로,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은 노화된 피부의 LOR 단백질을 개선하는 데 상승작용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또한, 피부 수화를 개선하고 피부 장벽 구조를 강화하며, 따라서 손상 피부 문제와 관련된 피부 염증을 일으키는 외부 항원 침투에 대한 피부의 방어를 개선하고 내부 수분 손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실시예 8: 유전자 발현에 대한 영향
상기 분석 7에 언급된 분석을 사용하여, 추출물 E1, 추출물 E2, 및 두 추출물의 조합을 유전자 발현에 대한 그들의 영향에 대해 시험하였다. 분석된 유전자는 로리크린 (LOR),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TGM1), 필라그린 (FLG) 및 카스파아제 14 (CASP14)였다.
그 결과가 하기 표 6에 주어져 있다.
[표 6]
Figure pct00008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면,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의 도포는 FLG, 카스파아제-14 및 TGM1의 유전자 발현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그러므로,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은 피부 수화를 개선하고 피부 장벽 구조를 강화하며, 따라서 손상 피부 문제와 관련된 피부 염증을 일으키는 외부 항원 침투에 대한 피부의 방어를 개선하고 내부 수분 손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상승작용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면,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의 도포는 LOR의 유전자 발현을 개선할 수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그러므로,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은 노화된 피부의 LOR 단백질을 개선하는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또한, 피부 완전성을 개선하고 피부 장벽 구조를 강화하며, 따라서 손상 피부 문제와 관련된 피부 염증을 일으키는 피부 내로의 외부 항원 침투에 대한 피부의 방어를 개선하고 내부 수분 손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실시예 9: 표피 등가물 모델에서의 SLS의 침투 분석에 의한 피부 장벽 기능의 결정
E1, E2, 및 E1과 E2의 조합에 대한 피부 장벽 기능 평가를 상기 분석 6에 나타나 있는 SLS의 침투 분석에 의해 수행하였다. 피부 대사 활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가 하기 표 7에 주어져 있다.
[표 7]
Figure pct00009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면,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본 발명의 조합의 도포는 피부 대사 활성을 감소시키는 피부 내로의 유해 물질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탄탄한 피부 장벽을 생성할 수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그러므로,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은 피부 완전성을 증가시키고 피부 장벽 구조를 강화하고 피부 수화를 개선하고 피부 장벽 구조를 강화하며, 따라서 손상 피부 문제와 관련된 피부 염증을 일으키는 외부 항원 침투에 대한 피부의 방어를 개선하고 내부 수분 손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및 실시예 9로부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은 피부의 수화 정도를 증가시키고, 각질층의 구조를 개선하고, 피부 장벽 구조를 강화하고, 피부 내로의 외부 항원의 침투를 감소시켜 피부 세포 손상을 예방하고, 또한 내부 수분 손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으로 예상될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은 내인성 자극 및 외인성 자극에 대한 방어를 개선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피부 알레르기 및 염증, 그리고 다른 산화 관련 손상 피부 문제를 예방한다.
실시예 10: 콜라겐 생성의 결정
상기에 기재된 분석 8의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물 E1, 추출물 E2, 및 두 추출물의 조합을 콜라겐 생성에 대한 그들의 영향에 대해 시험하였다.
그 결과가 하기 표 8에 주어져 있다.
[표 8]
Figure pct00010
상기 실시예 10으로부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본 발명의 조합은 콜라겐의 생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으며, 따라서 노화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상승작용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1: UVB에 의해 유도되는 사이토카인의 억제에 대한 항염증 분석
상기에 기재된 분석 9의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물 E1, 추출물 E2 및 두 추출물의 조합을 UVB에 의해 유도되는 사이토카인의 억제에 대한 항염증에 대한 그들의 영향에 대해 시험하였다. 그 결과가 하기 표 9에 주어져 있다.
[표 9]
Figure pct00011
상기 실시예 11로부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은 UVB 노출에 의해 유도되는 사이토카인의 억제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항염증에 대해 상승작용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2: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케어 조성물을 표 10에 나타낸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표 10]
Figure pct00012
표 10에 나타낸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물을 공정 용기에 첨가하였다. 혼합을 시작하고,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첨가하고,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온도가 85℃에 도달할 때까지, 열을 가하고 혼합을 계속하였다. 이어서, 85℃에서 혼합을 계속하면서 글리세린을 첨가하였다. 제나민 BTLF 및 테고 아미드 S18을 첨가하였고, 브리즈 721 및 라네트 C18 98-100 MY, 사보놀 82, 및 다우 코팅 AP 8087도 첨가하였다. 조성물을 85℃에서 추가 10 내지 15분 동안 혼합하였다. 이어서, 조성물을 열로부터 이동시켜, 계속 혼합하고 냉각하였다. 40℃에서,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잎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꽃의 추출물을 벤질 알코올, 다우 코닝 345 유체 및 다우 코닝 CB 9111과 함께 혼합물에 첨가하고 물을 적당량으로 첨가하고 계속 혼합하고 30 내지 35℃로 냉각하였다. 이어서, 조성물을 패키징 내에 충전하였다.
실시예 13: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케어 조성물을 표 11에 나타낸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표 11]
Figure pct00013
표 10에 나타낸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물을 공정 용기에 첨가하고, 온도를 85℃로 설정하였다. 혼합을 시작하고, 글리세린을 첨가하고,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우세오물 GMS-165 및 바셀린을 첨가하고 미글리올 812, 다우 코닝 9041 실리콘, 및 아이소프로필 팔미네이트를 첨가하였다. 조성물을 85℃에서 추가 10 내지 15분 동안 혼합하였다. 이어서, 조성물을 열로부터 이동시키고, 냉각하였다. 40℃에서, 벤질 알코올 및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잎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꽃의 추출물을 첨가하고 물을 적당량으로 첨가하고 계속 혼합하고 30 내지 35℃로 냉각하였다. 이어서, 조성물을 패키징 내에 충전하였다.
실시예 14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케어 조성물을 표 12에 나타낸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표 12]
Figure pct00014
표 12에 나타낸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잎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꽃의 추출물을 칭량하고 실온에서 프리믹스(premix) 1로서 하이드롤라이트 5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글리세린 및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75℃로 상(Phase) A를 형성하였다. 몬타노브 L 및 핀솔브 TN을 혼합하여 75℃로 상 B를 형성하였다. 연속하여 혼합하면서 상 B를 상 A에 매우 천천히 첨가하였다. 균일한 에멀전이 형성될 때까지 15분 동안 혼합을 계속하였다. 고속으로 연속하여 혼합하면서 아리스토플렉스를 에멀전에 첨가하여 진한, 덩어리가 없는, 균질한 제형을 얻었다. 혼합물을 32℃로 냉각하고 프리믹스 1을 32℃에서 첨가하여 균일한 혼합물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5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케어 조성물을 표 13에 나타낸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표 13]
Figure pct00015
표 13에 나타낸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핀솔브 TN을 깨끗한 유리 비커에 첨가함으로써 오일상을 제조하였다. 교반을 시작하고, 용기를 55 내지 60℃로 가열하였다. 오일상이 55 ℃ 이상에 도달하였을 때, 브리즈 72 및 브리즈 721을 첨가하였다. 오일상이 55 내지 60℃에 도달하였을 때, 오일상을 그 온도에서 유지하고 15분 동안 (또는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이어서, 혼합하면서 온도를 55 내지 60℃에서 유지하였다. 물 및 페물렌 TR-1을 깨끗한 유리 비커에 첨가하여 수상을 제조하였다. 교반을 시작하고, 용기를 55 내지 60℃로 가열하였다. 다이소듐 EDTA를 첨가하였다. 55 내지 60℃에서, 성분들을 15분 동안 또는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이어서, 혼합하면서 온도를 55 내지 60℃에서 유지하였다. 교반을 증가시키면서 오일상을 수상에 첨가하였고, 이어서 10 내지 20분 동안 고속으로 혼합하였다. 50℃ 이하에서, 다우 코닝 9041 실리콘을 첨가하였다. 40℃ 이하에서, 페노닙 XB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들을 10분 동안 또는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였다 (목표 pH는 6.0이었다). 이어서, 조성물을 10분 동안 또는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잎의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꽃의 추출물을 칭량하고 글리세린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것을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이어서, 물을 적당량으로 첨가하고, 이어서, 조성물을 10분 동안 혼합하였다.
본 발명을 이의 특정 실시 형태를 참고하여 상기에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많은 변화, 변경 및 변동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넓은 범주 내에 있는 모든 이러한 변화, 변경 및 변동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40)

  1.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Ampelopsis grossedentata)의 추출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Albizia julibrissin)의 추출물 및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국소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들은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n-부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물, 및 이들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극성 용매들을 사용하여 제조된 극성 추출물들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대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의 중량비는 1:10 내지 10:1인,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극성 추출물은 잎 추출물인,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극성 추출물은 꽃 추출물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킬레이팅제, 연화제, 습윤제, 컨디셔너, 방부제, 불투명화제, 방향제,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로션, 크림, 세럼, 젤, 스틱, 스프레이, 연고, 리퀴드 워시(liquid wash), 비누 바(soap bar), 샴푸, 헤어 컨디셔너, 페이스트, 폼(foam), 파우더(powder), 무스, 면도 크림, 하이드로젤, 필름-형성 제품, 와이프(wipe) 상의 유체, 페이셜 마스크(facial mask) 상의 유체,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형태의 피부 케어 조성물인,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극성 추출물은 에탄올로 추출함으로써 제조되는,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극성 추출물은 에탄올로 추출함으로써 제조되는, 조성물.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 0.01% 내지 약 2%의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극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 0.01% 내지 약 2%의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극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대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의 중량비는 1:7 내지 7:1인,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대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의 중량비는 1:5 내지 5:1인,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대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의 중량비는 1:1인,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과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조합의 총량은 상기 조성물의 약 0.000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인,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의 양은 상기 조성물의 약 0.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이고,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양은 상기 조성물의 약 0.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인,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의 양은 상기 조성물의 약 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이고,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양은 상기 조성물의 약 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인,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의 양은 상기 조성물의 약 0.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이고,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양은 상기 조성물의 약 0.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인, 조성물.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의 양은 상기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이고,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의 양은 상기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인, 조성물.
  20.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피부에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 및 국소 담체를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들은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n-부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물, 및 이들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극성 추출물인,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대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의 중량비는 1:10 내지 10:1인,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극성 추출물은 잎 추출물인,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극성 추출물은 꽃 추출물인,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 방법.
  25. 피부를 보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피부에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극성 추출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극성 추출물 및 국소 담체를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를 보습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들은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n-부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물, 및 이들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극성 추출물인, 피부를 보습하는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대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의 중량비는 1:10 내지 10:1인, 피부를 보습하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극성 추출물은 잎 추출물인, 피부를 보습하는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극성 추출물은 꽃 추출물인, 피부를 보습하는 방법.
  30. 피부 염증의 감소를 필요로 하는 피부에서 염증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염증을 나타내는 피부에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 및 국소 담체를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을 감소시키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들은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n-부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물, 및 이들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극성 추출물인, 염증을 감소시키는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대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의 중량비는 1:10 내지 10:1인, 염증을 감소시키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극성 추출물은 잎 추출물인, 염증을 감소시키는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극성 추출물은 꽃 추출물인, 염증을 감소시키는 방법.
  35. 피부에서 노화 징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노화 징후를 나타내는 피부에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 및 국소 담체를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의 유효량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화 징후를 감소시키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노화 징후는 피부 견고성(firmness)의 개선, 피부 결의 개선, 피부에서의 주름살 출현의 개선, 피부에서의 외부 공격(external aggression)의 치료,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노화 징후를 감소시키는 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들은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n-부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물, 및 이들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극성 용매들을 사용하여 제조된 극성 추출물들인, 노화 징후를 감소시키는 방법.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추출물 대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추출물의 중량비는 1:10 내지 10:1인, 노화 징후를 감소시키는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의 극성 추출물은 잎 추출물인, 노화 징후를 감소시키는 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알비지아 율리브리신의 극성 추출물은 꽃 추출물인, 노화 징후를 감소시키는 방법.
KR1020187007083A 2015-08-14 2016-08-11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사용 방법 KR201800406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500612.1A CN106691902B (zh) 2015-08-14 2015-08-14 包含显齿蛇葡萄和合欢提取物的组合物和使用方法
CN201510500612.1 2015-08-14
US14/863,573 US9827188B2 (en) 2015-08-14 2015-09-24 Compositions comprising ampelopsis grossedentata and albizia julibrissin extracts
US14/863,629 2015-09-24
US14/863,573 2015-09-24
US14/863,600 US20170042789A1 (en) 2015-08-14 2015-09-24 Methods of treating skin barrier using compositions including ampelopsis grossedentata and albizia julibrissin extracts
US14/863,629 US10004677B2 (en) 2015-08-14 2015-09-24 Methods of reducing skin inflammation using compositions comprising Ampelopsis grossedentata and Albizia julibrissin extracts
US14/863,660 2015-09-24
US14/863,660 US9925136B2 (en) 2015-08-14 2015-09-24 Methods of reducing signs of skin aging using compositions comprising ampelopsis grossedentata and albizia julibrissin extracts
US14/863,600 2015-09-24
PCT/US2016/046559 WO2017030898A1 (en) 2015-08-14 2016-08-11 Compositions including ampelopsis grossedentata and albizia julibrissin extracts and methods of 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638A true KR20180040638A (ko) 2018-04-20

Family

ID=5799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083A KR20180040638A (ko) 2015-08-14 2016-08-11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4) US20170042789A1 (ko)
EP (1) EP3334501B1 (ko)
JP (1) JP6847919B2 (ko)
KR (1) KR20180040638A (ko)
CN (1) CN106691902B (ko)
AU (1) AU2016307932B2 (ko)
CA (1) CA2995207A1 (ko)
HK (1) HK1255220A1 (ko)
MA (1) MA42607A (ko)
MX (1) MX370624B (ko)
RU (1) RU2731561C2 (ko)
WO (1) WO201703089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777B1 (ko) 2020-12-02 2021-05-0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천태오약, 자귀나무 및 밤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3118B1 (ko) 2022-07-15 2023-04-19 김수진 아이소부탄을 유용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4722A1 (en) * 2014-07-22 2016-01-28 Signum Nutralogix, Inc. Natural extracts for modulating pp2a methylation, and providing antioxidant and anti infalammatory activity
KR101875188B1 (ko) * 2017-10-23 2018-07-06 쓰리나이츠인베스트먼트주식회사 등차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75191B1 (ko) * 2017-10-23 2018-07-06 쓰리나이츠인베스트먼트주식회사 등차를 이용한 구강용 조성물
KR101875190B1 (ko) * 2017-10-23 2018-07-06 쓰리나이츠인베스트먼트주식회사 등차를 이용한 세제 조성물
CN108653014A (zh) * 2018-06-28 2018-10-16 广东工业大学 一种美白淡斑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09717351B (zh) * 2018-12-28 2022-07-05 广东工业大学 一种显齿蛇葡萄素与金属离子复合乳液抑菌剂及制备方法和应用
WO2020247961A1 (en) * 2019-06-07 2020-12-10 Advanced Delivery Lab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wellness
CN110227094B (zh) * 2019-07-19 2022-03-29 江苏省中国科学院植物研究所 合欢花水提取物在制备防治妇科炎症性疾病外用药物中的应用
CN111228178A (zh) * 2020-03-05 2020-06-05 无限极(中国)有限公司 一种皮肤屏障功能蛋白促进剂及其应用
CN111803416A (zh) * 2020-07-17 2020-10-23 堇色生物科技(中山)有限责任公司 一种含有显齿蛇葡萄的抗衰老面霜及其制备方法
CN111789782A (zh) * 2020-07-22 2020-10-20 上海瑞凡德尔商贸有限公司 一种防晒口红及其制备方法
CN111991297A (zh) * 2020-09-15 2020-11-27 广州莱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衰祛皱组合物及其制备方法及其应用
CN113144054B (zh) * 2021-03-19 2022-04-08 云南中医药大学 一种治疗湿疹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5067534B (zh) * 2022-07-11 2023-07-07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烟用藤茶提取物的制备方法
CN115501149A (zh) * 2022-09-27 2022-12-23 广州丝芬化妆品有限公司 一种抗氧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87A (zh) 1993-11-29 1995-06-07 陕西省临潼县华清池实业公司 中草药温泉浴液的制备及使用方法
JP4057170B2 (ja) 1998-11-16 2008-03-05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1009783A (ja) 1999-06-23 2001-01-16 Brother Ind Ltd カッティングプロッタ
JP4768097B2 (ja) 1999-09-30 2011-09-07 丸善製薬株式会社 活性酸素消去剤、血小板凝集抑制剤、皮膚化粧料および浴用剤
JP2002038790A (ja) 2000-07-25 2002-02-06 Denso Corp トランク閉じ込め防止装置
JP5201771B2 (ja) 2001-04-06 2013-06-05 丸善製薬株式会社 テストステロン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アンドロゲン受容体結合阻害剤、抗男性ホルモン剤及び養毛化粧料。
JP2002370962A (ja) * 2001-06-13 2002-12-24 Maruzen Pharmaceut Co Ltd 美白用化粧料および皮膚老化防止・改善用化粧料
JP2003192566A (ja) 2001-12-27 2003-07-09 Nonogawa Shoji Kk 化粧料
US7442391B2 (en) 2002-01-25 2008-10-28 Integrated Botanical Technologies, Llc Bioactive botanical cosmetic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JP2004120658A (ja) 2002-09-30 2004-04-15 Kyocera Corp 圧電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62852A (ja) 2003-03-03 2004-09-24 Kanebo Ltd 化粧料
JP2005139070A (ja) * 2003-11-04 2005-06-02 Kanebo Cosmetics Inc 皮膚化粧料
JP2005145900A (ja) 2003-11-17 2005-06-09 Tsumura & Co 育毛剤組成物及び痒み抑制剤
JP5276270B2 (ja) 2004-01-12 2013-08-28 アクゾ ノーベル サーフェイス ケミストリ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ツバキ科植物に由来する生理活性組成物ならびにそれらを生成および使用するための工程
US7452547B2 (en) 2004-03-31 2008-11-18 Johnson&Johnson Consumer Co., Inc. Product for treating the skin comprising a polyamine microcapsule wall and a skin lightening agent
CN100337661C (zh) * 2004-06-04 2007-09-19 澳美制药厂有限公司 蛇葡萄属植物及其提取物在制备药物和保健品中的应用
US20060141014A1 (en) 2004-12-28 2006-06-29 Eknoian Michael W Skin treatment articles and methods
JP2007204414A (ja) 2006-02-01 2007-08-16 Jukobi Kk 化粧料組成物及びニキビ改善用化粧料
ES2625848T3 (es) 2006-02-21 2017-07-20 Isp Investment Inc Ingredientes activos de matricaria (tanacetum parthenium) libres de partenolida y proceso para su producción
CN100370013C (zh) 2006-04-19 2008-02-20 柳元成 金龟银鱼保健酒
CN1977926B (zh) 2006-11-30 2010-06-30 荆树汉 藤茶在制备具有促进创面伤口快速愈合功效药物中的应用
JP2008290970A (ja) 2007-05-24 2008-12-04 Mandom Corp サンバーンセル形成抑制剤および該抑制剤を含有してなるサンケア剤用組成物
US20090241242A1 (en) 2008-03-31 2009-10-01 Heidi Beatty Facial mask
JP5253862B2 (ja) * 2008-03-31 2013-07-31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メラニン産性抑制剤・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CN101336987B (zh) 2008-08-12 2012-04-25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枳椇总黄酮的制备方法
KR101451989B1 (ko) 2008-10-13 2014-10-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US8557311B2 (en) 2008-11-12 2013-10-15 DRACO Natural Products Gynostemma extract surfactant/cleaning agent/emulsifier/foaming agen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CN101422538A (zh) 2008-12-04 2009-05-06 焦臻 一种治疗白癜风药物的配方及制备工艺
JP5797372B2 (ja) 2009-03-31 2015-10-21 丸善製薬株式会社 血小板凝集抑制剤、幹細胞増殖因子(SCF)mRNA発現抑制剤、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1(MMP−1)活性阻害剤、及び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14(MMP−14)活性阻害剤
CN102038675B (zh) 2009-10-23 2012-12-26 任启生 蛇葡萄素在制备痤疮脓肿、疮疡溃烂、痔疮的药物中的应用
US9421236B2 (en) * 2010-12-17 2016-08-23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ompositions comprising Lilium siberia extracts and uses thereof
CN102100656A (zh) 2011-01-25 2011-06-22 荆树汉 由藤茶与紫草组成的中草药功能洗发露
CN102772587A (zh) 2011-05-13 2012-11-14 贵州省生物研究所 一种具有止咳、化痰功能的制剂及其制备方法
CN102771594A (zh) 2011-05-13 2012-11-14 贵州省生物研究所 一种抗菌、消炎、镇痛的藤茶制剂及其制备方法
FR2980362B1 (fr) * 2011-09-27 2013-10-04 Sederma Sa Nouvelle utilisation cosmetique d'un extrait d'albizia julibrissin et composition topique correspondante
CN102552092B (zh) 2012-02-22 2013-01-30 福建农林大学 一种藤茶面膜胶囊及其制备方法
CN102716401B (zh) 2012-07-17 2013-09-18 盛春正 一种治疗皮肤病的中草药组合物
JP6108594B2 (ja) * 2012-11-06 2017-04-05 株式会社ミルボン シャンプー
CN103860987A (zh) 2012-12-18 2014-06-18 青岛中仁药业有限公司 盾纤毛虫杀虫剂配方
CN102973471B (zh) 2012-12-31 2014-07-23 韩山师范学院 一种含天然植物活性成分的抗衰老防晒霜及其制备方法
CN103405731A (zh) 2013-06-27 2013-11-27 刘清 一种治疗烫伤、烧伤的外用药膏及其制备方法
CN103860978B (zh) 2014-03-31 2016-04-13 薛伟 一种治疗褥疮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305404A (zh) * 2014-09-25 2015-01-28 徐九山 一种葛根保健茶饮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777B1 (ko) 2020-12-02 2021-05-0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천태오약, 자귀나무 및 밤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3118B1 (ko) 2022-07-15 2023-04-19 김수진 아이소부탄을 유용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42789A1 (en) 2017-02-16
CN106691902B (zh) 2021-04-20
MA42607A (fr) 2018-06-20
US20170042788A1 (en) 2017-02-16
RU2018108841A (ru) 2019-09-16
CN106691902A (zh) 2017-05-24
RU2731561C2 (ru) 2020-09-04
MX370624B (es) 2019-12-18
US9827188B2 (en) 2017-11-28
CA2995207A1 (en) 2017-02-23
JP6847919B2 (ja) 2021-03-24
RU2018108841A3 (ko) 2020-01-20
EP3334501B1 (en) 2024-01-24
AU2016307932A1 (en) 2018-03-08
US20170042958A1 (en) 2017-02-16
US20170042790A1 (en) 2017-02-16
HK1255220A1 (zh) 2019-08-09
EP3334501A1 (en) 2018-06-20
JP2018525397A (ja) 2018-09-06
US9925136B2 (en) 2018-03-27
AU2016307932B2 (en) 2021-08-19
WO2017030898A1 (en) 2017-02-23
MX2018001842A (es) 2018-09-06
US10004677B2 (en) 201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07932B2 (en) Compositions including Ampelopsis grossedentata and Albizia julibrissin extracts and methods of use
US9168279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n and/or Paulownia extracts and uses thereof
AU2011292069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n and/or Paulownia extracts and uses thereof
US10406096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ts of Bursera simaruba
KR20150044817A (ko) 파울로우니아 토멘토사 목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9173913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a tomentosa wood extracts and uses thereof
US9168207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a tomentosa wood extracts and uses thereof
US9962326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a tomentosa wood extracts and uses thereof
US9168219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a tomentosa wood extracts and uses thereof
US9387349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a tomentosa wood extracts and us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