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118B1 - 아이소부탄을 유용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이소부탄을 유용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118B1
KR102523118B1 KR1020220098817A KR20220098817A KR102523118B1 KR 102523118 B1 KR102523118 B1 KR 102523118B1 KR 1020220098817 A KR1020220098817 A KR 1020220098817A KR 20220098817 A KR20220098817 A KR 20220098817A KR 102523118 B1 KR102523118 B1 KR 102523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air
hair care
care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진
Original Assignee
김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진 filed Critical 김수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소부탄을 유용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멘톨과 같은 천연 재료를 사용하여 염색이나 펌 등의 헤어시술에 사용되는 화학제에 의한 모발 손상 등의 부작용을 완화시킬 수 있다.
특히, 멘톨을 통해 비듬 및 가려움 증상을 완화하여 두피에 청량감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아이소부탄, 클림바졸 및 살리실릭애씨드를 포함하여 두피의 각질 및 비듬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이소부탄을 유용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Hair care composition containing isobutane}
본 발명은 아이소부탄을 유용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외부환경에서 유래하는 다양한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일차 방어막이다. 또한, 생체 활성을 유지하기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체내 수분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주는 방어막이기도 하다. 인체는 대부분의 시간을 불가피하게 상대적으로 건조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부, 특히 각질층에는 수분을 저장하고 증발을 막는 다양한 물질들이 있어 체내 수분 유지에 매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모발은 대부분 단백질과 젤라틴으로 구성되는데, 모발의 손상이나 탈모는 노화에 의한 자연적인 현상 외에도 최근에는 유전적 요인, 유해 환경, 각종 스트레스 등 후천적 영향에 의해 연령이나 성별을 가리지 않고 급증하고 있다.
또한, 두피 표면에서 자연히 떨어져 나오는 각질에 지방이나 먼지가 묻어서 생기는 비듬은 염증을 수반하지 않으면서 두피에 각질이 과하게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상적인 두피 상태로서, 이러한 비듬 현상의 심화는 두피의 혈행 불량에 의해 모근에 충분한 영양이 공급되지 않아 비강성 탈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피부 표면의 과도한 각질 형성은 각질 세포의 탈락과정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효소들이나 각질 세포 자체 혹은 각질 세포 간 지질의 병적인 상태에서 동반되지만, 특별히 병적 상태가 아닌 정상인의 피부에서도 피부의 보습 상태 변화나 세안제 사용 등으로 인한 각질층 내 pH 변화, 자외선이나 기타 물리적 손상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한편, 탄산온천에 몸을 담그면 피부가 유연해지고 몸속부터 개운해지는 것을 느끼게 되는데, 이는 탄산수에서 발생하는 탄산 기포가 피부 위에서 미세하게 움직여 모공에 쌓인 노폐물을 쉽게 배출시키고, 탄산 기포가 체내로 흡수되면서 모세혈관이 확장되고 혈액량이 증가해 산소 전달이 빨라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탄산은 포함된 탄산가스에 의해 약산성을 띠며, 탄산가스가 피부 장벽층 넘어 체내로 흡수되면서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모공에 쌓인 노폐물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아이소부탄을 이용하는 경우, 버블 형성으로 인해 두피에 쌓여 있는 비듬이나 각질을 제거하고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의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40638호 (2018.04.20)에는,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사용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1~0.05%(v/v), 1,2-헥산다이올(Hexanediol) 1.0~5.0%(v/v), 점증제 0.1~0.5%(v/v), 클림바졸(climbazole) 0.005~0.05%(v/v),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0.1~0.8%(v/v), 에탄올(ethanol) 1.0~30.0%(v/v), 멘톨(menthol) 0.01~0.2%(v/v),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5~1.0%(v/v), 향료 0.005~0.05%(v/v), 아이소부탄(isobutane) 10.0~80.0%(v/v)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 조성물 총량 대비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1~0.05%(v/v), 1,2-헥산다이올(Hexanediol) 1.0~5.0%(v/v)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용액을 혼합 및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용해된 수상용액에 조성물 총량 대비 0.1~0.5%(v/v) 점증제를 첨가한 후 용해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용해된 용액에 조성물 총량 대비 클림바졸(climbazole) 0.005~0.05%(v/v),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0.1~0.8%(v/v), 에탄올(ethanol) 1.0~30.0%(v/v), 멘톨(menthol) 0.01~0.2%(v/v),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5~1.0%(v/v), 향료 0.005~0.05%(v/v) 및 아이소부탄(isobutane) 10.0~80.0%(v/v)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1~0.05%(v/v), 1,2-헥산다이올(Hexanediol) 1.0~5.0%(v/v), 점증제 0.1~0.5%(v/v), 클림바졸(climbazole) 0.005~0.05%(v/v),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0.1~0.8%(v/v), 에탄올(ethanol) 1.0~30.0%(v/v), 멘톨(menthol) 0.01~0.2%(v/v),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5~1.0%(v/v), 향료 0.005~0.05%(v/v), 아이소부탄(isobutane) 10.0~80.0%(v/v)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헤어케어 조성물은 비듬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 상기 헤어케어는, 일 예로 모발 손상 케어, 모발 윤기 부여 및 두피 탄력 증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발 손상은, 바람직하게는 모발 염색제나 펌제 또는 자외선에 의한 모발 손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헤어케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비듬 또는 각질 개선용 또는 비강성 탈모 예방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a) 조성물 총량 대비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1~0.05%(v/v), 1,2-헥산다이올(Hexanediol) 1.0~5.0%(v/v)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용액을 혼합 및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용해된 수상용액에 조성물 총량 대비 0.1~0.5%(v/v) 점증제를 첨가한 후 용해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용해된 용액에 조성물 총량 대비 클림바졸(climbazole) 0.005~0.05%(v/v),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0.1~0.8%(v/v), 에탄올(ethanol) 1.0~30.0%(v/v), 멘톨(menthol) 0.01~0.2%(v/v),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5~1.0%(v/v), 향료 0.005~0.05%(v/v) 및 아이소부탄(isobutane) 10.0~80.0%(v/v)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멘톨과 같은 천연 재료를 사용하여 염색이나 펌 등의 헤어시술에 사용되는 화학제에 의한 모발 손상 등의 부작용을 완화시킬 수 있다.
특히, 멘톨을 통해 비듬 및 가려움 증상을 완화하여 두피에 청량감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아이소부탄, 클림바졸 및 살리실릭애씨드를 포함하여 두피의 각질 및 비듬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 헤어 스프레이 제형의 안정성 시험 기록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 헤어 스프레이 제형의 비듬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 헤어 스프레이 제형의 두피 각질 개선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 헤어 스프레이 제형의 두피 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1~0.05%(v/v), 1,2-헥산다이올(Hexanediol) 1.0~5.0%(v/v), 점증제 0.1~0.5%(v/v), 클림바졸(climbazole) 0.005~0.05%(v/v),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0.1~0.8%(v/v), 에탄올(ethanol) 1.0~30.0%(v/v), 멘톨(menthol) 0.01~0.2%(v/v),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5~1.0%(v/v), 향료 0.005~0.05%(v/v), 아이소부탄(isobutane) 10.0~80.0%(v/v)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1~0.03%(v/v), 1,2-헥산다이올(Hexanediol) 1.0~3.0%(v/v), 점증제 0.1~0.3%(v/v), 클림바졸(climbazole) 0.005~0.03%(v/v),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0.2~0.6%(v/v), 에탄올(ethanol) 10.0~30.0%(v/v), 멘톨(menthol) 0.05~0.2%(v/v),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6~1.0%(v/v), 향료 0.005~0.02%(v/v), 아이소부탄(isobutane) 50.0~70.0%(v/v)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점증제는 일 예로 잔탄검(xanthan gum), 카복시비닐폴리머(carboxyvinylpolymer), 카보머(carbomer) 및 알킬아클레이트크로스폴리머(alkyl acrylate crosspolymer)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화장료 제조를 위해 알려진 공지의 점증제라면 그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고 적용할 수 있다.
아이소부탄이 상기한 함유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고온 안정도가 미흡하고, 상기한 함유량을 초과하여 첨가되면 미끌거림이 심해져 사용감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살리실릭애씨드 및 에탄올이 상기한 함유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버블 강도가 약해 세척력이 떨어지고, 상기한 함유량을 초과하여 첨가되면 효과의 증진 정도가 미미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멘톨은 박하의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박하는 전통적인 동양의학에 의하면 청량작용, 해경(spasolysio) 효과가 있고, 산열, 해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혈관 중추에 작용, 혈관 이완 효과를 나타내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효능은 박하의 주성분인 멘톨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멘톨 특유의 강한 향 및 자극을 통해 혈액 순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살리실릭애씨드는 pH가 2~4인 유기산의 하나인 식물성 호르몬으로서 버드나무 껍질에서 처음으로 추출된 이래 항염 및 항균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대량으로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최근에는 피부 각질의 제거, 여드름 개선 및 피부염 치료 및 개선에 확용되고 있다.
클림바졸은 비듬 관리에 효과적인 이미다졸 계열 항진균제로써, 각질세포막 단백질을 증가시켜 비듬으로 약해진 두피 장벽 강화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이소부탄을 이용하여 두피의 각질 및 비듬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모발의 윤기 및 탄력 개선을 통해 모발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듬 원인균에 관한 항균활성을 보유하고, 비듬, 각질 및 가려움증의 개선, 두피 탄력 및 윤기를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한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헤어케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비듬 또는 각질 개선용 또는 비강성 탈모 예방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 상기 헤어케어는, 일 예로 모발 손상 케어, 모발 윤기 부여 및 두피 탄력 증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발 손상은, 바람직하게는 모발 염색제나 펌제 또는 자외선에 의한 모발 손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두피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일 예로, 헤어 컨디셔너, 샴푸, 헤어토닉, 헤어 에센스 또는 두피에 사용하는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또는 폼부스터 형태로 피부에 적용될 수도 있고, 고체 형태 또는 반고체 형태로 피부에 적용될 수도 있다. 다만, 반드시 이와 같은 제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한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그 어떤 형태의 제형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폼부스터(foam booster)는 거품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 계면활성제에 의해 생성되는 거품은 피지나 유분에 대하여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약하게 형성된다. 이때, 폼부스터에 의해 비교적 느슨한 구조로된 작은 거품을 밀집된 구조의 거품으로 변형시켜, 피지나 오일상에서의 세정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기포력을 향상시켜, 사용질감과 세정효과를 강화한다. 즉, 폼부스터는 계면 활성제의 거품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페이셜 클렌징, 면도크림, 샤워젤 및 헤어케어에 주로 이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조성물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다.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를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드라가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a) 조성물 총량 대비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1~0.05%(v/v), 1,2-헥산다이올(Hexanediol) 1.0~5.0%(v/v)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용액을 혼합 및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용해된 수상용액에 조성물 총량 대비 0.1~0.5%(v/v) 점증제를 첨가한 후 용해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용해된 용액에 조성물 총량 대비 클림바졸(climbazole) 0.005~0.05%(v/v),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0.1~0.8%(v/v), 에탄올(ethanol) 1.0~30.0%(v/v), 멘톨(menthol) 0.01~0.2%(v/v),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5~1.0%(v/v), 향료 0.005~0.05%(v/v) 및 아이소부탄(isobutane) 10.0~80.0%(v/v)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용해 및/또는 혼합은 가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에 적용할 수 있는 가온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65~75℃, 상기 (b) 단계에 적용할 수 있는 가온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70~80℃, 상기 (c) 단계에 적용할 수 있는 가온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60~9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헤어케어 조성물에 대한 설명은 상기에 자세히 기재한바, 불필요한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내지 4: 본 발명의 헤어케어 조성물의 제조]
수상성분을 메인 믹서에 투입하고 70℃로 가온하여 믹서로 혼합 및 용해시킨 후 점증제 성분을 메인믹서에 추가 투입하고 75℃로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메인 믹서의 온도를 75~80℃로 유지하면서 컨셉 및 부향성분을 추가하여 헤어케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수상과 점증제의 조건을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컨셉원료의 함량을 상이하게 하여 제형의 안정도 및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헤어케어 조성물의 제조공정 배합비율은 표 1에 나타내었다.
성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함량(중량%)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1,2-헥산다이올 2.0 2.0 2.0 2.0 2.0
점증제 잔탄검 0.2 0.2 0.2 0.2 0.2
컨셉 클림바졸 0.01 0.01 0.01 0.01
살리실릭애씨드 0.2 0.2 0.4 0.4
에탄올 1.0 10.0 15.0 20.0 20.0
멘톨 0.01 0.1 0.1 0.1
아이소부탄 60.0 20.0 40.0 60.0 70.0
부향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8 0.8 0.8 0.8 0.8
향료 0.01 0.01 0.01 0.01 0.01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헤어케어 조성물의 성상 및 물리적 특성의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헤어케어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및 성상,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헤어케어 조성물의 성상 및 물리적 특성은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케어 조성물의 안정성 시험 기록서를 나타낸 사진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분리 현상 × × ×
사용감 우수 우수 우수 미끌거림
버블 강도
제형 안정화 고온 안정도 미흡 고온 안정도 미흡 우수 우수
실험 결과, 실시예 1 및 2는 버블 분리 현상은 없었으나, 고온 안정도가 미흡하며 버블이 약하게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4는 버블 강도는 우수하나, 미끌거림이 심해 사용감이 좋지 못하였다.
한편, 실시예 3은 성상이 안정화되었으며, 고온에서 안정하고 버블 강도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실험예 2: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의 비듬균 억제 효능 평가]
1. 피티로스포름 오발레에 대한 항균력 평가
실시예 3의 헤어케어 조성물을 비듬균 성장용 액체배지에 각각 5, 1, 0.5, 0.1, 0.05 및 0.01 중량%로 첨가하고, 비듬균인 피티로스포룸 오벨레(Pityrosporum ovale)를 접종하여 2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최소 미생물 억제 농도(MIC)와 최소 미생물 사멸농도(MBC, 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를 구하였다.
2. 비듬 감소율 측정
비듬이 비교적 많은 남녀 10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샴푸를 각각 1개월 동안 사용하게 하였다. 시험 개시 전에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3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샴푸로 2일에 한 번씩 세발하고 시험 종료 후 3일간에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때, 누적된 비듬의 채취는 피시험자들의 두피를 숙련된 시험자로 하여금 시료 5g 정도를 사용하여 세척하게 한 다음, 약 2 내지 3L의 물로 씻어내게 한 후 씻어낸 물을 800 마이크로 공극크기의 여과체로 걸러 여과체위의 비듬의 건조중량을 측정하였고, 다음의 식에 의해 비듬 감소율을 구하였다.
Figure 112022082850449-pat00001
3. 비듬방지 효과 및 가려움증 감소효과 평가
평소 가려움을 많이 느끼는 남녀를 무작위로 10명 선정하여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샴푸를 각 제품당 2일에 1회씩 8주간 사용하게 한 후, 면접을 통하여 비듬방지 효과 및 가려움증 감소효과를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토록 하였다.
4. 실험 결과
상기한 실험의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 헤어 스프레이 제형의 비듬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MIC(%) 0.003 이하 0.1~0.5 0.1~0.5 0.01~0.05
MBC(%) 0.001 이하 0.5~1.0 0.05~0.1 0.1~0.5
비듬 감소율(%) 18.2 19.5 54.3 32.5
비듬방지효과 2.3 3.7 7.2 3.2
가려움증 감소 효과 1.8 2.6 8.5 4.2
실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 모두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에 대한 항균력을 보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3의 비듬 감소율, 비듬방지효과 및 가려움증 감소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가장 성상이 우수하고, 비듬 개선/방지 및 가려움증 감소 효능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난 실시예 3을 이용하여 하기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3: 실시예 3 조성물의 두피 각질 개선 효능 평가]
실시예 3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샴푸의 사용 전후 두피 각질 개선 정도를 각질 채집을 위한 특수 호일과 화상 분석장비를 이용하여 측정 및 분석하였다.
시험 부위의 시료 사용 전과 후에 특수필름인 코니오픽스(Corneofix)를 이용하여 각질을 채집 후, 피부측정장치인 비지오스캔(Visioscan)을 이용하여 각질 지수를 분석하고, 각질 개선율을 다음과 같이 산출하였다.
Figure 112022082850449-pat00002
실험 결과, 실시예 3의 샴푸를 1회 사용한 시험 부위는 두피 각질 지수(Cesquamation index)가 시료 사용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감소하여 두피 각질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도 3).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 헤어 스프레이 제형의 두피 각질 개선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실험예 4: 실시예 3 조성물의 두피 탄력 개선 효능 평가]
실시예 3의 샴푸를 사용한 후, 시험 부위 두피 탄력 개선 정도를 Cutometer®(2㎜ probe)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시료가 나타내는 두피 탄력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측정 지표는 생물학적 탄력(Biological Elasticity)을 나타내는 R7 수치를 통해 탄력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Cutometer®는 흡입강을 이용하여 피부의 점탄성(viscoelastic property)을 통해 피부의 신장력(distensibility), 탄력성(elasticity)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이다.
이를 위하여, 총 4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21명의 연구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실시예 3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샴푸를 1회 사용한 시험부위는 사용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정(P<0.05)으로 두피 탄력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도 4).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 헤어 스프레이 제형의 두피 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조성물이 두피 탄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험예 5: 실시예 3의 헤어케어 조성물의 즉각적 모발 윤기 개선 효능 평가]
총 21명의 연구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시예 3의 조성물을 포함한 샴푸의 사용 전후 모발 윤기 개선 정도를 Glossymeter를 이용하여 총 윤기지수(Gloss Value)를 측정 및 분석하고, 즉각적 모발 윤기 개선 효능을 평가하고,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Glossymeter는 표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측정하여 모발 표면의 윤기(광택도)를 확인하는 장비로서, 측정 표면에 60°의 입사각으로 조사한 빛을 입사각과 동일한 반사각 60°에 배치된 센서와, 표면 바로 위에 배치된 센서로 모발 표면에서 반사된 빛의 양과 산란된 빛의 양을 측정하는 장비이다.
구분 N (검정용) 추정 증위수 Wilcoxon 통계량 P -value
시험 부위 21 0.29 231.00 <0.001
실험 결과, 실시예 3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샴푸를 1회 사용한 시험부위는 시료 사용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총 윤기 지수(Gloss value)가 증가하였다.
이에, 실시예 3의 조성물이 즉각적 모발 윤기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Claims (6)

  1.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1~0.03 중량%, 1,2-헥산다이올(Hexanediol) 1.0~3.0 중량%, 점증제 0.1~0.3 중량%, 클림바졸(climbazole) 0.005~0.03 중량%,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0.4~0.6 중량%, 에탄올(ethanol) 20.0~30.0 중량%, 멘톨(menthol) 0.05~0.2 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6~1.0 중량%, 향료 0.005~0.02 중량%, 아이소부탄(isobutane) 50.0~60.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케어 조성물은,
    비듬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케어는,
    모발 손상 케어, 모발 윤기 부여 및 두피 탄력 증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손상은,
    모발 염색제나 펌제 또는 자외선에 의한 모발 손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케어 조성물은,
    비듬 또는 각질 개선용 또는 비강성 탈모 예방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6. (a) 조성물 총량 대비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1~0.03 중량%, 1,2-헥산다이올(Hexanediol) 1.0~3.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용액을 혼합 및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용해된 수상용액에 조성물 총량 대비 0.1~0.3 중량%의 점증제를 첨가한 후 용해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용해된 용액에 조성물 총량 대비 클림바졸(climbazole) 0.005~0.03 중량%,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0.4~0.6 중량%, 에탄올(ethanol) 20.0~30.0 중량%, 멘톨(menthol) 0.05~0.2 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6~1.0 중량%, 향료 0.005~0.02 중량% 및 아이소부탄(isobutane) 50.0~60.0 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20098817A 2022-07-15 2022-08-08 아이소부탄을 유용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KR102523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742 2022-07-15
KR20220087742 2022-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118B1 true KR102523118B1 (ko) 2023-04-19

Family

ID=8614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817A KR102523118B1 (ko) 2022-07-15 2022-08-08 아이소부탄을 유용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1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638A (ko) 2015-08-14 2018-04-20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인코포레이티드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사용 방법
US20180325791A1 (en) * 2017-05-12 2018-1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with scalp health agents with increased deposition
KR20180124449A (ko) * 2017-05-12 2018-11-21 (주)화니핀코리아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638A (ko) 2015-08-14 2018-04-20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인코포레이티드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사용 방법
US20180325791A1 (en) * 2017-05-12 2018-1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with scalp health agents with increased deposition
KR20180124449A (ko) * 2017-05-12 2018-11-21 (주)화니핀코리아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4991B2 (ja) 皮膚化粧料及びシワ改善剤
CN107998028A (zh) 一种沐浴露及其制备方法
CN107982135A (zh) 一种洗发水及其制备方法
CN110573136B (zh) 用于改善头发保湿力的化妆品组合物
KR20160141297A (ko) 피부 탄력에 효과를 갖는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1599B1 (ko) 해양 식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981696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CN111012693B (zh) 一种多效头皮护理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KR20090054777A (ko) 피부의 pΗ 조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N112370393B (zh) 一种洗发慕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020043339A (ko) 매실의 다알코올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523118B1 (ko) 아이소부탄을 유용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CN113853195A (zh) 皮肤治疗组合物和防腐体系
JP4579564B2 (ja) シワ改善剤
KR100738434B1 (ko) 피롤리디닐 디아미노피리미딘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EP2747739B1 (fr) Compositions dermo-cosmétiques à base d&#39;une association synergique d&#39;argent colloïdal et d&#39;acide désoxyribonucléique
KR20230140853A (ko) 아세틸 헥사펩타이드-8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케어 조성물
JP2008169196A (ja) 皮膚外用剤
CN110755349A (zh) 一种蒜素焕耀素颜霜及其制备方法
CN111388360A (zh) 一种泡澡精油及其制备方法
Ganpat et al. Formulate and Evaluate Aloe-Vera Face Wash
ES2367134T3 (es) Utilización de un éster de sorbitán oxialquilenado como agente calmante del cuero cabelludo.
KR20160020038A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7267830A (ja) 育毛・養毛剤
CN115869231B (zh) 一种无防腐剂沐浴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