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980A -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 Google Patents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980A
KR20150050980A KR1020130132306A KR20130132306A KR20150050980A KR 20150050980 A KR20150050980 A KR 20150050980A KR 1020130132306 A KR1020130132306 A KR 1020130132306A KR 20130132306 A KR20130132306 A KR 20130132306A KR 20150050980 A KR20150050980 A KR 20150050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inflammatory
withania somnifera
cherry
winter che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인
강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132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0980A/ko
Publication of KR20150050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9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는 우수한 시클로옥시게나제 저해 및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고, 기존의 항염제에 비해서 세포독성 및 피부 안전성에서 매우 우수하였다.

Description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Cosmetic composition and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Withania somnifera for anti-inflammatory}
본 발명은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미화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이지만 화장품 조성물을 자세하게 살펴보면 피부 보호 목적과는 상이한 성분들이 제품 형성에 불가결한 존재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색소 및 기타 효능,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쓰이는 여러 가지 성분들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염증, 뾰루지, 부종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ibach, H. I., Contact Dermatitis, 6; (1980) 369-404). 또한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피지 성분, 땀 성분 및 화장품 성분 중의 지방산, 고급 알콜, 단백질 등이 피부상에 존재하는 피부 상재균들에 의해 독성이 강한 물질로 분해되어 이들에 의해 피부 염증이 유발될 수도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능성 화장품이 개발되면서 AHA(알파 하이드로시산), 레티놀, 알부틴 등의 성분을 포함한 제품들 즉, 피부에 다소의 부작용이 있더라도 각종 기능을 가진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이 시판되고 있다.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플루페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 계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등이 있고, 그 외 알란토인, 아즈엔, 하이드로코티존, 감초산 및 그 유도체(β-글리칠레친산, 글리칠레친산 유도체) 등이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광정무부, 신화장품학, 남산당, p162, 1993). 그러나 스테로이드계 물질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안고 있어서 그 사용량이 제한되고 있으며(김창종, 병태심리학, 한림상사, p61-69, 1988), 인도메타신은 화장료에는 사용할 수 없고, 감초산 및 그 유도체는 안정화시키기 어렵거나 용해도가 좋지 않아 실제 제품 적용 시 농도의 제한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항염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피부에도 안전하고,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로 제형화도 용이한 천연식물 소재를 발굴하고, 이를 포함한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는 인도의 인삼, 독 구즈베리, 겨울 벚꽃 등으로 불리는 것으로, 인도나 라자스탄, 네팔 등의 건조지역에서 자라며 대체로 뿌리를 약용 목적으로 사용하는 아유르베다 (Ayurvedic) 허브이다. 아유르베다 의학에서는 가벼운 수면장애를 해소 및 스트레스 해소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윈터체리의 주요 활성성분으로는 알칼로이드(alkaloids), 이소펠레티에린(isopelletierine), 아나페린(anaferine), 글리코위타놀라이드(glycowithanolide, sitoindoside IX and X) 및 위타페린(withaferine)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의 항산화 기능, 진정 작용, 면역조절작용, 활성작용이 연구되고 있다(L.-C. Mishra et al., scientific basis for the therapeutic use of withania somnifera: a review, 5, 334-346, 2000).
본 발명자들은 항염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도 안전하고,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로 제형화도 용이한 천연식물 소재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 추출물이 항염 효과가 뛰어나면서 특이취가 적고, 피부에 안전한 성분임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윈터체리 추출물의 우수한 시클로옥시게나제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으며(실시예 1), 대표적인 항염물질인 인도메타신과 비교하여 약 91% 정도의 염증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또한, 세포독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실시예 3), 동물 및 인체에 대한 피부 자극성을 확인한 결과 매우 안전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5).
본 발명에 따른 윈터체리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윈터체리 추출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추출용매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와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디클로로메탄 등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윈터체리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극성이 다른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다시 분획한 분획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극성이 다른 용매는 에테르, 벤젠, 헥산일 수 있다.
상기 분획 시 용매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여, 각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 또는 상기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분획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감압 농축기, 일 예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일 예로 동결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증"이란, 세포나 조직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방어 목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경, 혈관, 임파관, 체액 반응, 세포 반응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통증, 부종, 발적, 발열 등을 일으켜 기능장애를 유발하는 것을 통칭한다. 상기 염증으로 인한 질환은 각종 피부염, 알레르기, 전신성 홍반성 낭창,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췌장염 및 신장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알레르기는 과민증(anaphylaxis), 알러지성 비염(allergic rhinitis), 천식(asthma), 알러지성 결막염, 알러지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urticaria),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및 약품 알러지를 포함한다.
상기 염증은 생체 내에서 다양한 생화학적 현상에 의해 발생되며, 특히,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을 생합성하는데 관련된 효소인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와 L-아르기닌(L-arginin)으로부터 니트릭옥사이드(nitric oxide, NO)를 생성시키는 효소인 니트릭옥사이드 신타제(nitric oxide synthase, NOS)는 염증 반응을 매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PG)"은 몸속에서 합성되는 일종의 생리활성 호르몬으로서,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프로스타글란딘은 PG1, PG2, PG3로 3종류가 있으며, PG1과 PG3는 염증을 억제하고, PG2는 염증을 유발시킨다. 상기 프로스타글란딘은 아라키돈산을 전구체로 하여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를 통해 생합성 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는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의 제1단계를 촉매하는 효소로서, 아라키돈산에 2분자의 산소를 도입하여, PG2를 합성하며, 프로스타글란딘 엔도페록시드 신타아제라고도 불린다. 한편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도 2종류의 이소형태가 존재하는데 시클로옥시게나제-1(Cyclooxygenase-1; COX-1)는 세포 내에 항상 존재하여 세포보호 작용에 필요한 프로스타글란딘(PGs)을 합성하는 작용을 하는 반면 COX-2는 염증 반응 시 세포내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염증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니트릭옥사이드(nitric oxide, NO)"는 각종 싸이토카인이나 외부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iNOS(induced NOS)에 의해 발생되며, 세포독성이나 각종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만성염증은 iNOS 활성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Appleton L.et al Adv. Phamacol., 35. 27-28.1996).
본 발명에 따른 윈터체리 추출물은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 저해 활성을 가짐으로써, 특히,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류의 생합성을 매개로 한 염증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는 유효량의 윈터체리 추출물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항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옆?이라 함은 충분한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 저해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양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윈터체리 추출물의 유효량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기 윈터체리 추출물을 0.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항염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조성물의 목적, 제품화되는 형태 및 적용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공지된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이나, 항염 효과를 증강하는 성분을 1종 이상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추가적인 항염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항염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당업계에 공지된 항염 성분으로서, 비스테로이드계로 이부프로펜(ibuprofen), 플루페나믹산(flufenamic acid) 및 인도메타신(indomethacin), 스테로이드계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및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그 외 알란토인, 아즈엔, 하이드로코티존, 감초산 또는 이의 유도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항염 성분은 상기 나열한 성분 외에도 이들과 동등한 효과를 나타내는 이들의 유사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지의 항염 성분으로서,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다프네틴(Daphnetin), 글리시리진(Glycyrrhizin), 케르세틴(Quercetin),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마데카식산(Madecassic acid), 카마줄렌(Chamazulene), 바이칼레인(Bicalein), 에모딘(Emodin), 아스타잔틴(Astaxanthin), 노르베르게닌(norbergenin), 4-O-메틸호노키올(4-O-methylhonokiol), 폴리다틴(polydatin), 페룰산(ferulic acid), 2-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2-methoxycinnamaldehyde), 2,4-다이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2,4-dihydroxyacetophenone), 터피넨-4-올(terpinen-4-ol) 및 그 유도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항염 성분은 상기 나열한 성분 외에도 이들과 동등한 효과를 나타내는 이들의 유사체 및 식물 추출물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추가된 성분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함량 범위는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의 활성, 피부 안전성,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는 통상의 방법을 통해 제형화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로의 제형화시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화장품으로 제형화시에는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와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형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예로 들면,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시-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상기 윈터체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시-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의 윈터체리 추출물을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에 사용되는 안정화제, 용해제, 비타민, 안료 또는 향료 등의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및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화장품학 분야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 추출물은 우수한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 저해 및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고, 기존의 항염제에 비해서 세포독성 및 피부 안전성에서 매우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 및 제조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 저해효과
본 발명에서는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를 Pel-Freeze사의 양 저정낭(sheep seminal vesicle)으로부터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는 상기 양 저정낭을 분쇄 후 3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한 후, 상등액을 10000rpm에서 1 시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분리하고 트리스 완충액 (0.1M, pH 8.0)에 녹여 제조되었다.
25㎍ 헤모글로빈을 트리스 완충용액(0.1M, pH 8.0) 100mL에 넣고 1.1mM 아라키돈산이 되도록 기질을 만든 후, 상기 기질에10,000 unit의 시클로옥시게나제 10 ㎕를 넣는다. 여기에 윈터체리 추출물을 각각 0.1%, 1%, 10%씩 첨가한 후, 측정기(Yellow Spring Instrument company. Model 53 oxygen monitor)로 초기 산소 소모량을 측정하여 시클로옥시게나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윈터체리 추출물(%, w/w) 저해율(%)
0.1 34±4
1 57±3
10 130±7
n=3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 추출물 10% 함량에서 시클로옥시게나제에 대해 음성 대조군 대비 약 130%의 저해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항염 효과 시험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이용한 평가법(A. Crummey, G. P. Harper, E. A. Boyle and F. R. Mangan. Inhibition of arachidonic acid-induced ear edema as a model for assessing topical anti-inflammatory compound. Agents and Actions 1987: 20: 69-76)을 이용하여, 항염 효과를 알아보았다.
마우스(hairless mouse) 28마리를 7마리씩 한 세트로 하여 총 4세트로 만들고, 마우스의 양쪽 귀를 에탄올로 깨끗이 세척한 후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한다. 윈터체리 추출물을 각각 0.1%, 1.0% 함유한 시료를 도포한 시료군과 인도메타신(indomethacin) 1.0%를 함유한 시료를 도포한 비교군 그리고 에탄올을 도포한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마우스의 우측 귀에는 아라키돈산을 2㎎/ear 도포하여, 염증을 유발하였으며, 좌측 귀에는 시료 자체에 의한 염증 유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에탄올을 도포하였다. 한 시간 후, 에탄올과 아라키돈산이 각각 도포된 양측 귀에 상기 시료군은 윈터체리 추출물을 각각 0.1%, 1.0%씩 함유한 시료를, 상기 비교군은 인도메타신 1.0%를 함유한 시료를, 상기 대조군은 에탄올을 1일 1회 20㎕씩 4일간 지속적으로 마우스의 양쪽 귀에 도포하였다. 양쪽 귀의 부종(edema) 정도는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양쪽 귀에 대하여 각각 3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대조군(에탄올) 및 비교군(인도메타신)에 대한 시료의 부종 억제율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시 료 농도(%) 귀 두께(㎛) 억제율(%) 비교군 대비 억제율
시료처리 전 시료 처리 후
시료군
윈터체리 추출물
0.1 323 487 36.2 76%
1.0 322 464 43.2 91%
비교군 인도메타신 1.0 325 452 47.4
대조군 에탄올 2㎎/ear 321 602
억제율(%) = (A-B) / A × 100
A : 대조군 귀의 평균 두께 변화
(아라키돈산 처리 귀의 두께 - 비처리 귀의 두께)
B : 시료 도포군 귀의 평균 두께 변화
(시료 처리 귀의 두께 - 비처리 귀의 두께)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윈터체리 추출물은 1% 함량에서43.2%의 높은 염증 억제율을 보였다. 이러한 수치는 의약품 성분으로서 항염효과가 매우 우수한 물질인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대비 약 91% 정도의 우수한 항염효과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한편, 부종 증가율로 유의차 검증 시, 윈터체리 추출물은 아라키돈산과 99%의 유의차를 갖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인체에 대한 1차 자극성 시험(Human patch test)
건강한 성인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036, 1991)에 따라 인체에 대한 1 차 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윈터체리 추출물 1.0%, 소디움라우릴셀페이트 1.0% 및 에탄올 10%를 함유한 시료, 소디움라우릴셀페이트 1.0%와 에탄올 10%를 함유한 시료 그리고 에탄올 10%를 시료로 하여 윈터체리 추출물의 인체 자극성을 평가하였다. 핀 쳄버(Finn Chamber)에 상기 시료들을 각각 20㎕씩 적하시킨 후, 이것을 시험 부위인 인체의 등에 얹어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이어서 24시간 동안 첩포한 후, 첩포를 제거하였다. 첩포를 제거한 후 4시간이 경과한 다음 시험 부위의 피부 반응을 다음 기준에 따라 판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판정 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자극도=[{(±)수 × 1} + {(+)수 × 2} + {(++) 수 × 3}] / 피시험자 수
시료 피검자수 판정 결과 자극도
++ ±
윈터체리 추출물(1%),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1%), 에탄올(10%) 50 - - 5 45 0.10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1%) 50 2 8 12 28 0.68
에탄올(10%) 50 - - 10 40 0.20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윈터체리 추출물은 소디움 라우릴설페이트와 에탄올의 자극을 크게 완화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전술한 항염효과 실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윈터체리 추출물의 뛰어난 염증완화 효과에 기인된 것이라고 생각되며, 이를 통해, 윈터체리 추출물이 피부에 안전한 성분임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예(제형예)를 제시하나 하기 제조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하기 조성에 따라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예 1 내지 6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
화장수
원료명 중량 %(w/w)
글리세린 5.0
디프로필렌글리콜 3.0
히아루론산 0.5
폴리옥시에틸렌 0.1
경화피마자유 0.1
폴리에틸렌 올레일에틸에탄올 5.0
방부제 0.15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윈터체리 추출물 0.1
정제수 to 100
[제조예 2]
에센스
원료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밀납 0.5
스쿠알란 5.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0.2
카르복시폴리머 0.22
트리에탄올아민 0.25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윈터체리 추출물 7.0
정제수 to 100
[제조예 3]
로션
원료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8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밀납 0.5
스테아린산 0.5
유동파라핀 7.0
스쿠알란 5.0
마카데미아오일 3.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2.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4.0
베타인 4.0
카르복시폴리머 0.12
트리에탄올아민 0.15
방부제 0.25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윈터체리 추출물 5.0
정제수 to 100
[제조예 4]
크림
원료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3.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5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 1.5
밀납 0.5
유동파라핀 8.0
스쿠알란 7.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4.0
정제호호바유 4.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1.0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
글리세린 6.0
프로필렌글리콜 4.0
베타인 4.0
산탄검 0.06
트리에탄올아민 0.10
방부제 0.25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윈터체리 추출물 7.0
정제수 to 100
[제조예 5]
원료명 중량 %(w/w)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4.0
에탄올 1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1
카르복시폴리머 0.30
트리에탄올아민 0.3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윈터체리 추출물 1.0
정제수 to 100
[제조예 6]
연고
원료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2.0
스테아린산 1.0
밀납 4.0
스쿠알란 7.0
모노스테아린글리세린 3.0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1.0
폴리솔베이트 80 3.0
글리세린 5.0
프로필렌글리콜 4.0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윈터체리 추출물 10.0
바세린 to 100

Claims (12)

  1.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 추출물은 윈터체리를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인 항염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항염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 추출물은 윈터체리를 에탄올로 추출하고, 그 잔사를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분획하여 얻은 추출물인 항염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 추출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및 세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7.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피부 외용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 추출물은 윈터체리를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인 항염 피부 외용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항염 피부 외용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 추출물은 윈터체리를 에탄올로 추출하고, 그 잔사를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분획하여 얻은 추출물인 항염 피부 외용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항염 피부 외용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항염 피부 외용제.
KR1020130132306A 2013-11-01 2013-11-01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KR20150050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306A KR20150050980A (ko) 2013-11-01 2013-11-01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306A KR20150050980A (ko) 2013-11-01 2013-11-01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980A true KR20150050980A (ko) 2015-05-11

Family

ID=5338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306A KR20150050980A (ko) 2013-11-01 2013-11-01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09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782A (ko) 2017-01-13 2018-07-23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윈터체리뿌리, 산뽕나무 및 보이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2788A (ko) * 2017-11-09 2019-05-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윈터 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782A (ko) 2017-01-13 2018-07-23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윈터체리뿌리, 산뽕나무 및 보이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2788A (ko) * 2017-11-09 2019-05-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윈터 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0790A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56129B1 (ko) 항염증용 조성물
KR100517465B1 (ko) 아토피 피부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JPH11322630A (ja) 抗菌剤、並びにそれを含む皮膚外用剤及び皮膚洗浄剤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Bhide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polyherbal cosmetic cream
BR102014025813A2 (pt) composições compreendendo extratos de madeira de paulownia tomentosa e usos das mesmas
KR20100089409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00675A (ko)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50050980A (ko)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KR20200108207A (ko) 화장료 조성물 사용을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방법
JP5717958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並びに該セラミド産生促進剤を用いた医薬品組成物、皮膚外用剤、化粧料組成物、及び化粧料
KR102045946B1 (ko) 아실화된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KR20060099225A (ko)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제 및 이의 용도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A2916724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skin barrier and reducing acne comprising an extract of malva neglecta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1663B1 (ko) 당화된 위타놀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KR102031662B1 (ko) 스테로이드계 락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KR101524534B1 (ko)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6782962B2 (ja) Trpm8活性化剤、冷感剤、化粧料及び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