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675A -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675A
KR20070000675A KR1020050056216A KR20050056216A KR20070000675A KR 20070000675 A KR20070000675 A KR 20070000675A KR 1020050056216 A KR1020050056216 A KR 1020050056216A KR 20050056216 A KR20050056216 A KR 20050056216A KR 20070000675 A KR20070000675 A KR 20070000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ung bean
acne
horse riding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아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056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0675A/ko
Publication of KR20070000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6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항염증 효과 및 항여드름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에 자극 또는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는 안전한 물질인,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항여드름제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녹두, 백급, 승마, 여드름, 염증      

Description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COMPOSITION CONTAINING MUNG BEAN EXTRACT, BLETILLAE TUBER EXTRACT AND BLACK COHOSH EXTRACT AND USE THEREOF}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지분비 억제 효과, 항염증 효과 및 항여드름 효과가 우수한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여드름은 주로 사춘기 남녀에 발생하며, 면포(comedone), 구진(papule), 농포(pustule), 낭종, 또는 결절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피지선의 만성 염증성 질환을 일컫는다. 여드름의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못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배제한다면 세 가지의 중요한 원인이 여드름 발병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지금까지의 연구 보고를 통하여 정설로서 인정되고 있다.
첫째는 과잉으로 분비되는 피지로, 피지 형성은 남성호르몬의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이 남성 호르몬의 비정상적 증가 또는 이와 관련된 여러 기전을 통하여 피지선은 기능이 항진되고 그 결과 과잉의 피지를 생성하게 된다. 둘째는 모낭의 과각화로 인한 모공의 폐쇄를 들 수 있다. 생성된 피지는 피부밖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어야 하지만 모낭의 과각화로 인하여 모공이 막혀 피지의 원활한 배출이 억제되고 그 결과 모낭내에 피지가 정체되어 미세면포를 형성하게 된다. 세번째는 여드름 균(Propionibacterium acnes)으로 인한 것으로, 이는 여드름 병변 악화의 중요한 원인이다. 즉, 피지선내에 여드름 균의 증식이 많아지면 여드름 균에 의해 피지를 구성하고 있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가 자유 지방산(free fatty acid)으로 전환되어서 자극원으로 작용하거나, 면포유발성(comedogenic) 물질로 작용하여 여드름 생성을 촉진시킨다. 또한 더욱 진행되어 염증반응까지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까지 여드름 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평가도 상기와 같은 작용 기전을 이용하여 피지분비 조절, 과각화 억제, 그리고 여드름 균에 대한 살균력 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수행되고 있다.
여드름을 치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살리실산이나 비타민A 유도체인 레티노익산 제제를 사용하여 모공의 각질 제거함으로써 피지 분비를 원활하게 하는 방법이 있으며, 또는 벤조일 퍼옥사이드제제를 사용하여 피부 각질 제거와 강력한 항균작용을 통해서 치료를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살리실산은 치료효과가 미비하고, 피부 발적, 부종 또는 피부 기피증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레티노익산은 과각화 억제 효과는 있으나 접촉성 피부염, 홍반, 피부건조 및 박리현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벤조일 퍼옥사이드는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상처 또는 심한 홍반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한 제제 이외에, 최근에 아젤라익 산(Azelaic Acid)이 소개되어 있으나, 약물 부작용 감소 효과는 있으나, 기존 치료제 제품에 비하여 탁월한 임상효과는 보고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항염증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피지 분비를 억제시켜 여드름 치유 효과가 있는 항여드름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피부 자극 물질의 자극성을 완화시키며, 항염증 및 항여드름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여드름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하고 장시간 사용시 피부 자극을 유도하지 않는 생약 추출물을 연구하던 중, 녹두, 백급 및 승마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이 피부에 안정하면서도, 피지 분비를 억제하고 항염증 효과 및 여드름 치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항여드름 효과를 갖는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녹두는 파세올러스 라디아투스(Phaseolus radoatus L.)의 종자를 의미하며, 백급은 주란, 대암풀이라고도 불리우는 블레틸라 스트리아타(Bletilla striata)의 덩이줄기를 의미하며, 승마는 키미시푸가 헤라글레이폴리아(Cimicifuga foetida)의 뿌리를 의미한다. 상기 녹두, 백급 및 승마는 각각 한약재 또는 식품으로 이용되어, 용이하게 구입가능하다.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은 각각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혼합하거나, 또는 3종의 생약재를 혼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전자 또는 후자의 경우 모두 혼합비율은 0.1 내지 10: 0.1 내지 10: 0.1 중량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정제수,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1,3-부틸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2종이상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로 추출한 이후, 여과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 있으며, 감압농축 및/또는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추출시, 용매는, 추출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0000 중량부로 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은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으며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안전한 추출물로, 항염증 효과, 피부 자극 완화 효과 및 항여드름 효과를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은 항염증제 또는 항여드름제로 사용가능하며, 약제 또는 화장료제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항염증제 또는 항여드름제는 상기 3종의 추출물만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도 있으나, 제형 및 사용방법에 따라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효성분의 함량은 0.001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유효성분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효과적인 효능을 위해선 다량의 투여가 필요할 수 있으며, 30 중량% 초과하는 경우 사용량에 비해 효능이 일정할 수 있어 비경제적일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항염증제 또는 항여드름제의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좋다.  상기 혼합가능한 부형제로는, 글리세린, 전분, 유당, 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살리실산, 다히아드로초산 및 생리식염수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염증제 또는 항여드름제는 경구 또는 비경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비경구 예컨대 경피 투여가 바람직하다. 항염증제 또는 항여드름제의 제 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OTION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침제(INFUSIONS), 정제(TABLETS), 주사제(INJECTIONS), 캅셀제(CAPSULES) 및 환제(PILLS)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염증제 또는 항여드름제의 투여량은 사용목적, 부위, 방법,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병용되는 약물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으며, 예컨대 1일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0.01 ㎎/㎏(체중) 내지 500 ㎎/㎏(체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은 항염증, 항여드름 효과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필수적으로 함유되는 자극성분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지므로,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장료 조성물은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0.1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함량은 제형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그외 성분의 함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장료 조성물내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의 함량이 0.1% 미만인 경우 화장료 조성물에서 실질적인 항여드름 및 항염증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30 중량% 초과하는 경 우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의 향취를 마스킹(masking)하기 어렵고, 원가 상승에 따른 효능 대비 비경제적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를 0.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3종의 추출물 이외에,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가능한 모든 종류의 성분, 예컨대 부형제, 희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두발용 화장품, 두피용 화장품, 면도용 화장품 또는 구강용 화장품의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초화장품의 예로는 크림,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으며,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아이새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등이 있으며, 바디 화장품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선스크린 크림, 선 오일 등이 있으며, 두발용 화장품으로는 샴푸, 린스,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무쓰, 헤어 리퀴드, 포마드, 헤어 칼라제, 헤어 블릿치제, 칼라 린스가 있으며, 두피용 화장품으로는 헤어 토닉, 스칼프 트리트먼트가 있으며, 면도용 화장품으로는 애프터셰이브로션, 셰이빙 크림 등이 있으며, 구강용 화장품으로는 치약, 마우스 워셔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약 추출물 제조
녹두, 백급 및 승마를 물로 세척한 후 잘게 세절하였다. 3가지 한약재 세절물 1 kg당 부틸렌글리콜 1.5 kg 및 초순수수 3.5 kg을 첨가하여 5일간 추출한 다 음, 4℃ 에서 6일간 숙성시켰다. 추출물은 0.4㎛의 크기의 필터로 1차 여과한 후 다시 0.2㎛ 필터로 여과한 후 이를 통과한 추출물을 또다시 0.1㎛ 필터로 여과시켜 최종 생약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세포독성 시험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로서의 1차 안전성을 검증하였다. V79- 세포(차이니스 햄스터, 폐조직 섬유아세포의 연속 세포주)를 사용하였고, MTT 법(Mossman T. (1983)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65, 55-63)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시료 IC50(%,W/V)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LS) 0.005
스쿠알란 0.05
실시예 1의 생약 추출물 5.00
IC50 (Inhibitory Concentration 50): 50%의 세포를 사멸시키는 농도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생약 추출물은 IC50 가 5.00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소디움라우릴 설페이트에 비하여 1000배 이상 세포독성이 낮은 수치이며, 안전성이 우수한 스쿠알란에 비해 100배 이상 세포독성이 낮은 것으로, 실시예 1의 생약 추출물이 매우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알러지 평가
실시예 1의 생약 추출물의 알러지 유발여부를 운반 매개물로 아세톤:올리브오일(4:1)을 이용한 방법(Kimber, 1990 J. Appl. Toxicol. 10(3): 173-180)으로 확인하였다.
생약 추출물을 아세톤:올리브오일(4:1)에 현탁하여 10%, 40% 및 60% 용액으로 각각 제조하였다. 마우스(Balb/c)의 양쪽 귀에 상기 생약 추출물 용액을 50 ㎕씩 3일간 발라준 후, 마우스의 이개임파절(Auricular lymph node)을 분리하였다. 임파절을 분쇄하여 단일세포 상태로 만들고 방사성 동위원소(3H-티미딘)를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의 증폭도(cpm)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  료 림프절 세포(107 세포/mL) cpm(평균) 증폭도
아세톤:올리브오일(4:1) 1.90 3010 운반매개물
실시예 1의 생약 추출물, 20% 2.07 3670 1.20
실시예 1의 생약 추출물, 40% 2.09 3672 1.21
실시예 1의 생약 추출물, 60% 3.28 5749 1.90
증폭도가 3 이상인 경우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실시예 1의 생약 추출물은 2 이하를 나타내어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알파-리덕타아제(5 α-reductase) 활성 억제 효과
여드름의 발병요인의 하나인 과도한 피지분비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테스토스테론은 피부 세포내의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에 의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으로 전환되며, 피지분비 세포의 활성을 증진시켜 피지 분비를 촉진시킨다(Rosenfield RL and Deplewski D.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995, 16:80s-88s). 이에 실시예 1의 생약 추출물의 5 알파-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여부를 실험하였다.
5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인산등장완충액(Phosphated Buffered Saline, PBS / pH 6.6) 30㎕에 DTT(dithiothreitol), NADPH, 방사성 동위원소가 표지된 테스토스테론(3H-1,2,4,5,6,7-testosterone) 10㎕, 5 알파-리덕타아제 효소 추출액 40㎕ 및 실시예 1의 생약 추출물 20㎕을 혼합하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HPLC와 방사선 동위원소 측정기를 병용하여, 전환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의 양을 측정하였다. 측정 값은 계산식 1에 대입하여, 5알파-리덕타아제 활성 저해율(inhibition rate(%))을 구하였다.
(계산식 1)
저해율(%) = 대조군에서의 테스토스테론의 DHT 전환율/실험군에서의 ㅌ스토스테론의 DHT 전환율 X 100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생약 추출물 농도 5% 1.0% 0.1% 0.01%
저 해 율 100% 43.5% 25.8% 11.0%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생약 추출물은 5 % 농도에서 100%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5 알파-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4: 항염증 효과
마우스 좌측귀를 대조부위, 우측귀를 시험부위로 하고, 에탄올로 귀를 깨끗하게 세척하였다. 우측귀에 실시예 1의 생약 추출물 20 ㎕(용매 에탄올 1.8mg, 생약 추출물 0.2 mg)를 1일 1회로 4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고, 마지막 도포 1시간 후에 좌측 귀에 에탄올을 우측귀에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2㎎/ear을 도포하였다. 1시간 후 귀의 부종(ear edema)정도를 마이크로미터로 3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항염증 효과는 아라키돈산 처리군을 기준으로 부종억제 정도로 판정하였다. 항염증 효과는 계산식 2로 계산하였고, 그 결과는 표4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2)
억제율(%) = (A―B) / A x 100
A: 대조군 귀의 평균두께(아라키돈산 처리 귀의 두께-비처리 귀의 두께)
B: 시료 도포군 귀의두께(시료처리 귀의 두께-비처리 귀의 두께)
시료 농도(%) 용매 귀두께(㎛) 억제율(%)
처리전 처리후
생약추출물 스테아릴 글리시레티네이트(Stearyl Glycyrretinate) 인도메타신 아라키돈산 0.3 0.3 0.3 2㎎/ear 에탄올 에탄올 에탄올 에탄올 249 244 252 254 392 405 366 431 19.2 9.0 35.6 -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생약 추출물은 19.2%의 염증억제율을 보였다. 이는 항염증 효과가 좋다고 알려진 스테아릴 글리시레티네이트에 비하여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부종 증가율로 유의차 검증시 생약 추출물은 아라키돈산과 99%의 유의수준을 보였다.
실시예 2 내지 4: 제품 제조
하기 표 5의 조성으로(단위: 중량%) 실시예 2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즉, 수상 조성물과 알코올상 조성물은 각각40도에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수상 조성물에 알코올상 조성물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4000 내지 5000rpm으로 2 내지 4분간 교반하였다. 이후 중화제를 서서히 투입하여 4000 내지 5000rpm으로 다시 4 내지 5분간 교반하고, 냉각시켰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수상 정제수 농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2중량% 수용액) 합100 3.0 5.0 10.0 합100 3.0 5.0 10.0 합100 3.0 5.0 10.0
알코올상 에탄올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실시예 1의 생약추출물 향료 10.0 0.3 0.1 0.5 적량 10.0 0.3 0.1 5.0 적량 10.0 0.3 0.1 10.0 적량
중화제 트리에탄올아민 (10%중량수용액) 2.0 2.0 2.0
비교예 1
하기 표 6의 조성(단위: 중량%)으로,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구분 원료명 비교예1
수상 정제수 농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카르복시비닐폴리머(2중량% 수용액) 합100 3.0 5.0 10.0
알코올상 에탄올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실시예 1의 생약추출물 향료 10.0 0.3 0.1 - 적량
중화제 트리에탄올아민 (10%중량수용액) 2.0
실험예 5: 피지 분비 억제 효과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지 분비 억제 효과를 검증하였다.
무작위로 건강한 성인 남, 여40명을 선출하여 피지테이프(sebotape)를 이용한 피지분비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험에 사용될 부위인 이마 부위에서의 정상적인 피지분비 속도를 피지테이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동일 부위에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3주간 바른 후 피지테이프를 이용하여 피지분비 속도를 측정하였다. 피지분비 속도는 피지 테이프를 30분간 붙인 후 떼어내어 피지테이프에 분비된 피지의 양을 영상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피지 분비 억제 효과는 피지 분비 속도를 이용하여 판정하였으며, 피지분비 속도의 단위는 mg/cm2/min로 단위시간 및 단위면적당 분비되는 피지의 양을 의미한다. 그 결과는 표 7과 같다.
구 분 피지 분비 속도(mg/cm2/min) (비교예-실시예)/비교예X100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16.60 12.00 10.15 19.50 14.9% 38.5% 48.0%
상기 표 7의 결과에서, 실시예 2 내지 4의 조성물이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비하여 피지분비 속도를 현저히 감소시켜, 분비되는 피지분비량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피부 안정성 시험(폐쇄첩포실험)
건강한 성인 남, 여50명을 대상으로 등 부위에 실시예 2 내지 4 및비교예 1의 조성물을 각각 일정량(0.2g)을 24시간 첩포한 후, 핀챔버를 제거하고 4시간 경과한 다음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였다. 자극성은 하기 판정 기준에 따라 판별하였고, 하기 계산식 3으로 자극도를 구하였다. 하기 표 8는 자극도를 나타낸다.
(판정 기준)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계산식 3)
자극도 = {(+-)수x1} + {(+)수x2} + {(++)수x3} / 피시험자수
시 료 피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50 50 50 50 - - - - - - - - - 1 1 3 50 49 49 47 0.00 0.02 0.02 0.06
표 8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생약 추출물을 포함한 실시예 2 내지 4의 조성물은 피부 자극도가 매우 미미하여 피부에 안전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 우수한 피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7: 여드름 완화 효과 평가
여드름이 있는 20세에서 30세 사이의 건강한 성인 남, 여 120명에 대하여 블라인드 테스트(blind test)를 실시하였다.
피실험자들을 무작위로 30명씩 4개의 군으로 나누고, 동일한 용기에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을 담은 후 각각의 그룹에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을 1일 2회씩 2개월간 사용도록 하였다. 2개월간 적용 후 면접을 통하여, 여드름 증상의 악화 및 완화 여부에 대한 설문 조사와 육안적 소견을 종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9(단위: 명)에 나타내었다.
구 분 효과 있음 약간 효과 있음 모르겠다 효과 없음
실시예 2 3/10 2/10 4/10 1/10
실시예 3 5/10 2/10 3/10 0/10
실시예 4 6/10 2/10 2/10 0/10
비교예 1 0/10 1/10 5/10 4/10
표 9에서, 실시예 2 내지 4의 조성물은 여드름 완화 효과를 인정할 수 있는 "효과 있음"과 "약간 효과 있음"이 50 내지 80%를 차지하였으나, 생약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1은 약 10 % 정도에 불과하였다. 즉, 상기 결과로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이 현저한 여드름 완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 물은 항염증 효과 및 항여드름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에 자극 또는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는 안전한 물질로서,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다.

Claims (8)

  1.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은 녹두, 백금 및 승마를 물, 1,3-부틸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것인 항염증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의 혼합비율은 0.1 내지 10: 0.1 내지 10: 0.1 중량비인 항염증제.
  4.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여드름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은 녹두, 백금 및 승마를 물, 1,3-부틸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것인 항여드름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의 혼합비율은 0.1 내지 10: 0.1 내지 10: 0.1 중량비인 항여드름제.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항염증제 또는 제4항 내지제6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항여드름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0.1 내지 30.0 중량%인 것인 조성물.
KR1020050056216A 2005-06-28 2005-06-28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70000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216A KR20070000675A (ko) 2005-06-28 2005-06-28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216A KR20070000675A (ko) 2005-06-28 2005-06-28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675A true KR20070000675A (ko) 2007-01-03

Family

ID=37868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216A KR20070000675A (ko) 2005-06-28 2005-06-28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067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6751A3 (de) * 2007-09-19 2009-06-04 Bionorica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sammensetzung zur topischen verwendung
CN101642256A (zh) * 2009-06-18 2010-02-10 杭州六易科技有限公司 一种去痘美容牛奶的制作方法
CN105288191A (zh) * 2015-11-18 2016-02-03 宿录贞 一种治疗乳房肿块的药艾条
CN105769977A (zh) * 2016-04-01 2016-07-20 广州环亚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污染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088936A (ko) * 2019-01-15 2020-07-24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녹두 씨앗 추출물 등을 이용한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6751A3 (de) * 2007-09-19 2009-06-04 Bionorica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sammensetzung zur topischen verwendung
CN101642256A (zh) * 2009-06-18 2010-02-10 杭州六易科技有限公司 一种去痘美容牛奶的制作方法
CN101642256B (zh) * 2009-06-18 2013-04-17 杭州六易科技有限公司 一种去痘美容牛奶的制作方法
CN105288191A (zh) * 2015-11-18 2016-02-03 宿录贞 一种治疗乳房肿块的药艾条
CN105769977A (zh) * 2016-04-01 2016-07-20 广州环亚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污染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088936A (ko) * 2019-01-15 2020-07-24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녹두 씨앗 추출물 등을 이용한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081B1 (ko)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KR101017709B1 (ko) 인삼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비듬 생성 억제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6921440B2 (ja) アザミ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メラニン生成促進用組成物
KR101015702B1 (ko)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KR20090123856A (ko) 신규한 화장품 및/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들의 용도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29927B1 (ko) 잠사 추출물 또는 누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KR20070000675A (ko)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H0987188A (ja) 皮膚外用剤及び浴用剤
KR20130088665A (ko) 생강 초임계 추출물 및 발효 미나리 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JP6255154B2 (ja) 皮膚外用剤
KR101186925B1 (ko) 오디 추출물과 율무 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KR20060099225A (ko)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제 및 이의 용도
KR20150050980A (ko)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KR20060096130A (ko) 해동피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로 구성된 항염증 조성물
KR102031662B1 (ko) 스테로이드계 락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KR102031663B1 (ko) 당화된 위타놀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KR102431820B1 (ko) 당유자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799340B2 (ja) ヒドロキシチロソール、皮膚外用剤への応用
JPH09263526A (ja) イヌカタヒバ有機溶媒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および医薬組成物
KR101680012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
KR20150057014A (ko) 강황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