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9225A -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9225A
KR20060099225A KR1020050020537A KR20050020537A KR20060099225A KR 20060099225 A KR20060099225 A KR 20060099225A KR 1020050020537 A KR1020050020537 A KR 1020050020537A KR 20050020537 A KR20050020537 A KR 20050020537A KR 20060099225 A KR20060099225 A KR 20060099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extract
cosmetic
extract
inflammatory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김정아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020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9225A/ko
Publication of KR20060099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22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2Aftershav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제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고 세포 독성이 없어 피부에 안전하며,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하는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제공한다.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화장료, 항염증

Description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제 및 이의 용도{COMPOSITION CONTAINING HOVENIA DULCIS FRUIT EXTRACT HAVING ANTI-INFLAMMATORY EFFECT AND USE THEREOF}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제 및 이의 용도 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염증 및 항자극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화장료는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의 미화 및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이지만, 조성으로 피부 보호 목적과는 상이한 성분들이 제품 형성을 위해 불가피하게 포함된다. 이러한 성분들의 예로는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색소 및 효능 또는 효과를 부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성분들이 있다. 그러나 이들 성분은 피부에 염증, 뾰루지 또는 부종과 같은 각종 부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ibach ,H. I., Contact Dermatitis, 6, 369-404, 1980). 또한, 체내에서 배출되는 피지 및 땀과, 화장품에 함유된 지방산, 고급 알코올 및 단백질 등은 피부 상재균에 의해 독성이 강한 물질로 분해되어, 피부 염증이 유발될 수 있으며, 자외선에 의해서도 피부 염증이 유발될 수 있다.
염증 반응은 붉어짐(feeling of redness), 따끔거림(prickling feeling), 화끈거림(burning, hotness), 팽윤(swelling) 및 조직의 변화의 5 가지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주위의 해로운 환경, 즉 세균과 같은 외부 이물질의 침입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려는 생리적인 반응의 일환이다. 염증 현상으로, 여러 종류의 다형핵 백혈구(PMNs)와 면역 물질이 증가되고, 세포들은 염증성 세포 산물인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분해효소와 사이토카인(Cytokine) 등을 분비함으로써 치료 및 방어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작용은 인접해 있는 조직 세포와 비세포 성분들에 해로운 손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적절한 조건 하에서는 염증 초기 상태가 지난 후 정상 기능을 되찾게 되지만, 염증을 자극하는 자극제가 없어지지 않거나 계속해서 만들어질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만성 염증이 일어나게 되어 더욱 더 심각한 조직의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염증 생성 과정의 핵심 물질은,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포스포리파아제 A2(phospholipase A2, PLA2)에 의해 세포막 지질로부터 전환된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다. 아라키돈산은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이하 "COX"로 약칭) 또는 리폭시게나아제(lipooxygenase)의 2 가지 경로를 거쳐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류(prostaglandins)와 류코트리엔류(leukotrienes)를 대사하여 다양한 염증 반응을 매개한다(Thomas. R., Rev. Physiol. Biochem. Pharmacol., 100, 1984).
최근, 피부 자극 및 염증의 생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 P(Substance P) 등의 신경 펩타이드나, 자극에 의해 조직이나 혈장에서 활성화되는 브라디키닌과 같은 키닌(kinins) 등에 의해, 또는 COX 경로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사이토카인 및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이하 "PGE2"로 약칭) 등이 부종 형성과 혈관 확장에 관여하여 염증과 통증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항염제로서는 물질 P를 비롯한 신경 펩타이드 길항제, 브라디키닌 길항제, COX 억제제 등이 제시되어 왔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항염제는 피부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나, 제품에 포함시킬 때의 안정성 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안고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자극이 없는 안전한 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피부 자극 물질의 자극성을 완화시키며,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 로 포함하는 항염증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항염증 효과를 갖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및 상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가엽활엽교목으로 호깨나무, 볼개나무, 지구자, 백석목라고 불리워진다. 한의학에서는 소갈병과 다섯가지 치질을 치료하며 주독과 쇠못의 독을 해독한다고 되어 있으며 주취, 번열, 구갈,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고 나와있다(의방유취, 당본초, 협서중초약, 본초최요).
본 발명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헛개나무나 이의 이명인 호깨나무, 볼개나무, 지구자, 백석목의 열매를 정제수,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 것으로, 상기 유기용매는 1,3-부틸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2종이상 사용할 수 있다.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상기 용매로 추출한 후 여과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 있으며, 감압농축 및/또는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추출시, 헛개나무 열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매를 10 내지 10000 중량부로 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으며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안전한 추출물로, COX-2 경로를 통한 염증 유발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인 PGE2의 생성을 억제하는 항염증 활성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항염증제로 사용가능하다. 상기 항염증제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만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도 있으나, 제형 및 사용방법에 따라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효성분의 함량은 0.001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유효성분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효과적인 효능을 위해선 다량의 투여가 필요할 수 있으며, 30 중량% 초과하는 경우 사용량에 비해 효능이 일정할 수 있어 비경제적일 수 있다. 그러나 항염증제의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좋다. 상기 혼합가능한 부형제로는, 글리세린, 전분, 유당, 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살리실산, 다히아드로초산 및 생리식염수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염증제는 경구 또는 비경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비경구 예컨대 경피 투여가 바람직하다. 항염증제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OTION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침제(INFUSIONS), 정제(TABLETS), 주사제(INJECTIONS), 캅셀제(CAPSULES) 및 환제(PILLS)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염증제의 투여량은 사용목적, 부위, 방법,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병용되는 약물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으며, 예컨대 1일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0.01 ㎎/㎏(체중) 내지 500 ㎎/㎏(체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염증제는 약제 또는 화장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또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항염증 효과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필수적으로 함유되는 자극성분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지므로,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0.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제형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그외 성분의 함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료 조성물내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함량이 0.001% 미만인 경우 화장료 조성물에서 실질적인 항염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30 중량% 초과하는 경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향취를 마스킹(masking)하기 어렵고, 원가 상승에 따른 효능 대비 비경제적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이외에,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가능한 모든 종류의 성분, 예컨대 부형제, 희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두발용 화장품, 두피용 화장품, 면도용 화장품 또는 구강용 화장품의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초화장품의 예로는 크림,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으며,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아이새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등이 있으며, 바디 화장품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선스크린 크림, 선 오일 등이 있으며, 두발용 화장품으로는 샴푸, 린스,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무쓰, 헤어 리퀴드, 포마드, 헤어 칼라제, 헤어 블릿치제, 칼라 린스가 있으며, 두피용 화장품으로는 헤어 토닉, 스칼프 트리트먼트가 있으며, 면도용 화장품으로는 애프터셰이브로션, 셰이빙 크림 등이 있으며, 구강용 화장품으로는 치약, 마우스 워셔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헛개나무 열매 1 ㎏ 당 1, 3-부틸렌글리콜 5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6일간 추출하였고, 추출물은 0.5 ㎛ 크기의 필터로 1 차 여과하여, 최종 생약 추출물 3.5 kg을 수득하였다(회수율 60.2%).
실험예 1: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검증
1-1. COX-2 효소 기작을 통한 항염증 효과 검증
생약 추출물의 COX-2 활성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실시하였다(Jeffrey, K. H., Anglea, S. W., Zoe, S., and Rhia C. M. 1997, Analytical Biochemistry, 271, 18-28).
사람의 표피 조직에서 분리한 섬유아세포를 수 차례 계대 배양한 후, 96-웰 플레이트에 웰당 1 x 105 개씩 넣고 24 시간 배양하였다. FBS가 포함되지 않은 GIBCO 사의 DMEM 배지로 교체하여 2 시간 배양한 다음, 실시예 1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하기 표 1의 농도로 배지에 투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아라키돈산 및 인도메타신(indomethacin)을 각각 50,10 mM로 사용하였다. 1 시간 배양한 후, 자극원으로 칼슘 이오노포어 A23187(Calcium ionophore A23187)과 아라키돈산을 각각 50 mM 농도로 처리하고 37 ℃에서 5 분간 두었다. 이후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do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를 최종 농도 0.25%로 10 분간 처리하여 세포를 용혈시키고, 상층액을 적당량 취하여 PGE2의 양을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을 이용하여 정량함으로써 생약추출물의 프로스타글란딘 억제 효과를 판단하고 하기 계산식 1로 억제율을 구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시료 농도 PGE2(pg/웰) PGE2 증가 억제율(%)
음성대조군 - 21 - -
양성대조군 (+아라키돈산) 50 uM 240 219 -
양성대조군 (+인도메타신_ 10 uM 35 14 93.61
실시예 1 0.01% 158 137 37.44
0.1% 100 79 63.93
0.5% 158 137 37.44
(계산식 1)
억제율 = (시료 도포군의 PGE2 증가 - 양성대조군의 PGE2 증가) / 양성대조군의 PGE2 증가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0.1 % 처리시 63.93 %의 프로스타글란딘(PGE2)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이 COX-2 효소 기작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하는 것이다.
1-2. 아라키돈산을 이용한 항염증 효과 평가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이용한 평가법(A. Crummey, G. P. Harper, E. A. Boyle and F. R. Mangan. Agents and Actions, 1987, 20: 69-76)을 실시하였다.
마우스(hairless mouse) 35 마리를 각 7 마리씩 나누고, 시료 적용 전 양쪽 귀를 에탄올로 깨끗이 세척한 후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추출물을 0.5 % 또는 1.0 % 처리하고, 비교군으로 인도메타신(indomethacin) 1.0%를 처리하고, 대조군으로 아라키돈산을 각각 처리하였다. 실시예 1 처리군과 인도메타신 처리군은 시료 20 ㎕를, 대조군은 에탄올 20 ㎕를 1 일 1 회씩 4 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였다. 마지막 도포후, 1시간 경과시 좌측에는 에탄올을, 우측 귀에는 아라키돈산을 2 ㎎/ear씩 도포하고, 도포 1 시간 후 귀의 부종(edema) 정도를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양쪽 귀에 대하여 3 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좌측 귀는 시료 자체에 의한 염증 유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측정결과는 하기 계산식 2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2)
억제율(%)=(A-B)/A x 100
A: 대조군 귀의 평균 두께 변화(아라키돈산 처리 귀의 두께-아라키돈산 비처리 귀의 두께)
B: 시료 도포군 귀의 평균 두께 변화(시료 처리 귀의 두께-시료 비처리 귀의 두께)
시료 농도 귀두께 억제율(%)
시료 처리 전 시료 처리 후
실시예 1 1.0 354 517 32.08
인도메타신 1.0 351 484 40.42
아라키돈산 2 mg/ear 330 570
표 2에서, 실시예 1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아라키돈산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반응을 약 32.08%로 억제시킴을 알 수 있다. 이는 의약품 성분으로서 항염 효과가 매우 우수한 물질인 인도메타신의 40.42%와 유사한 정도이다.
실험예 2: 안전성 시험
2-1. 세포 독성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로서 1차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실시예 1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독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세포는 V79-4세포(차이니스 햄스터, 폐조직 섬유 아세포의 연속 세포주)를 사용하였고, MTT 분석법(참고문헌: Mossman T. (1983).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65, 55-63)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시료 IC50(%,W/V)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LS) 0.005
스쿠알란 0.05
실시예 1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6.5
IC50(Inhibitory Concentration 50): 50%의 세포를 사멸시키는 농도
표 3에서, 실시예 1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6.5의 IC50 을 나타내었다. 이는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에 비하여 약 1000 배 이상 낮으며, 안전성이 우수한 물질인 스쿠알란보다 약 100배 이상 낮은 것으로, 세포 안정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2-2. 알러지
운반 매개물로 아세톤:올리브 오일(4:1)을 이용한 실험법을 통하여, 실시예 1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알러지 유발정도를 평가하였다(참고문헌: Kimber I(1990) J. Appl. Toxicol., 10(3), 173-180).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20%, 40% 및 60% 용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마우스(Balb/c)의 양쪽 귀에 50 ㎕씩 3 일간 발라주었다. 마우스로부터 이개임파절(auricular lymph node)을 분리하고, 분쇄하여 단일세포 상태로 제조한 후, 방사성 동위원소(3H-티미딘)를 첨가하여 24 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방사성 동위원소에 의한 방사능을 측정하여 세포 증폭도(cpm)를 확인하였다. 증폭도는 시료의 cpm 값을 대조군의 cpm 값으로 나눈 값으로, 이는 대조군에 비한 시료군의 임파구 증폭정도를 나타내며, 시료의 증폭정도가 3 이상일 때, 농도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일 때, 증폭도 값이 3 이하지만 최종 농도에서 임파절의 부종이 심할 때 알러젠(allergen)으로 판단한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시료 림프절 세포(107 세포/㎖) cpm(평균) 증폭도
아세톤:올리브 오일(4:1) 1.89 1440 운반매개물
실시예 1, 20% 2.01 1607 1.1
실시예 1, 40% 1.71 1197 0.8
실시에 1, 60% 1.88 1014 0.7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최고 증폭도(S.I.)가 3 이하로,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자극성 시험
3-1. 폐쇄 첩포 시험(human patch test)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1.0%,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1.0%, 에탄올 10% 수용액 시료를 제작하고 인체 첩포 시험을 통해 인체에 대한 1 차 자극시험을 수행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The Cosmetic, Toilit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036, 1991)에 따라 실시하였다. 즉, 핀 챔버(Finn Chamber)에 상기 시료를 20 ㎕를 적하한 후, 이를 인체의 등에 얹어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24 시간 동안 첩포한 후 첩포를 제거하고, 다시 4 시간 경과한 다음 시험 부위의 피부 반응을 하기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고, 하기 계산식 2를 통하여 환산하였다.
(판정 기준)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계산식 2)
자극도=[{(+)수 x 1} + {(+)수 x 2} + {(++)수 x 3}] / 피시험자 수
시료 피검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실시예 1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50 - - 2 48 0.04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1%) 50 2 8 11 29 0.66
에탄올(10%) 50 - - 10 40 0.20
상기 표 5는 폐쇄 첩포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및 에탄올을 포함하는 시료는 자극도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즉,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인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및 에탄올 각각의 자극도를 현저히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2: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수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w/w)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히아루론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폴리에틸렌올레일에틸 에탄올 방부제 향료 색소 실시예 1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정제수 5.0 3.0 0.5 0.1 0.1 5.0 0.15 적량 적량 0.001 100이 되도록 첨가
실시예 3: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에센스
하기 표 7의 조성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w/w)
세토스테아릴알콜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밀납 스쿠알란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디메틸실록산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카르복시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방부제 향료 색소 실시예 1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정제수 1.0 1.0 0.5 5.0 3.0 0.3 0.5 8.0 4.0 0.2 0.22 0.25 적량 적량 적량 0.01 100이 되도록 첨가
실시예 4: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션
하기 표 8의 조성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w/w)
세토스테아릴알콜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밀납 스테아린산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마카데미아 오일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디메틸실록산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베타인 카르복시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방부제 향료 색소 실시예 1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정제수 0.8 1.0 0.5 0.5 7.0 5.0 3.0 2.0 0.3 0.5 1.2 4.0 4.0 4.0 0.12 0.15 0.25 적량 적량 5.0 100이 되도록 첨가
실시예 5: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
하기 표 8의 조성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w/w)
세토스테아릴알콜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밀납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정제 호호바유 디메틸실록산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베타인 잔탄검 트리에탄올아민 방부제 향료 색소 실시예 1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정제수 3.0 1.5 1.5 0.5 8.0 7.0 4.0 4.0 0.3 1.0 1.2 6.0 4.0 4.0 0.06 0.10 0.25 적량 적량 10.0 100이 되도록 첨가
실시예 6: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
하기 표 10의 조성으로 젤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w/w)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카르복시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방부제 향료 색소 실시예 1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정제수 4.0 4.0 10 0.1 0.30 0.30 적량 적량 적량 20.0 100이 되도록 첨가
실시예 7: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연고
하기 표 11의 조성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w/w)
세토스테아릴알콜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 밀납 스쿠알란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폴리솔베이트 80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향료 색소 실시예 1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바세린 2.0 2.0 1.0 4.0 7.0 3.0 1.0 3,0 5.0 4.0 적량 적량 30.0 100이 되도록 첨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으며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안전한 추출물로, COX-2 경로를 통한 염증 유발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인 PGE2의 생성을 억제하는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다. 이에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항염증제로 사용가능하며, 특히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여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고 동시에 항염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제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0.001 내지 30.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항염증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물, 1,3-부틸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것인 항염증제.
  4. 제 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항염증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두발용 화장품, 두피용 화장품, 면도용 화장품 또는 구강용 화장품인 것인 조성물.
KR1020050020537A 2005-03-11 2005-03-11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제 및 이의 용도 KR20060099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537A KR20060099225A (ko) 2005-03-11 2005-03-11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제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537A KR20060099225A (ko) 2005-03-11 2005-03-11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제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225A true KR20060099225A (ko) 2006-09-19

Family

ID=3763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537A KR20060099225A (ko) 2005-03-11 2005-03-11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922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2989A1 (ko) * 2014-05-27 2015-12-03 윤종성 결명자 추출물 및 지구병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6159583A3 (ko) * 2015-03-27 2016-12-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200069116A (ko) * 2018-12-06 2020-06-16 한국화학연구원 헛개나무 뿌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20119961A (ko) * 2021-02-22 2022-08-30 주식회사 네이처팩토리 마디풀, 탱자나무 열매 및 헛개나무 열매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2989A1 (ko) * 2014-05-27 2015-12-03 윤종성 결명자 추출물 및 지구병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6159583A3 (ko) * 2015-03-27 2016-12-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200069116A (ko) * 2018-12-06 2020-06-16 한국화학연구원 헛개나무 뿌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20119961A (ko) * 2021-02-22 2022-08-30 주식회사 네이처팩토리 마디풀, 탱자나무 열매 및 헛개나무 열매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946B1 (ko)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KR100881884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H10279491A (ja) インターロイキン4産生抑制剤
JPH0873342A (ja) 覆盆子抽出物含有皮膚外用剤または浴用剤
KR101220903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056129B1 (ko) 항염증용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060099225A (ko)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제 및 이의 용도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H0987188A (ja) 皮膚外用剤及び浴用剤
KR20190012324A (ko) 피부 염증성 질환 치료용 다시마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070000675A (ko)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90079468A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극완화 또는 항소양효능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980A (ko)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JP6782962B2 (ja) Trpm8活性化剤、冷感剤、化粧料及び口腔用組成物
KR20150050982A (ko) 아실화된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KR101680012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
KR102031663B1 (ko) 당화된 위타놀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KR102650364B1 (ko) 석산(꽃무릇)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아토피, 항주름 및 보습 증진용 조성물
KR20050121397A (ko) 피부자극 완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갖는 천문동 추출물 및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050118820A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KR101679978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
KR20040067042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조성물
KR100769580B1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 dna 손상 방지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