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66773A1 -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국소 지방 분해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국소 지방 분해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66773A1
WO2020166773A1 PCT/KR2019/009930 KR2019009930W WO2020166773A1 WO 2020166773 A1 WO2020166773 A1 WO 2020166773A1 KR 2019009930 W KR2019009930 W KR 2019009930W WO 2020166773 A1 WO2020166773 A1 WO 20201667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dipose tissue
administered
fat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99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양웅모
김미혜
Original Assignee
(주)보인바이오컨버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인바이오컨버젼스 filed Critical (주)보인바이오컨버젼스
Priority to CN201980080935.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194973A/zh
Publication of WO20201667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667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8Araceae (Arum family), e.g. caladium, calla lily or skunk cabbage
    • A61K36/8888Pin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fat de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lex extract of Astragalus, Pogongyeong and Banha as an active ingredient.
  • adipocytes there are about 20 billion adipocytes in the human body, which are responsible for accumulating or releasing energy in mammalian living bodies.
  • adipocytes there is a complex control principle for the accumulation and release of energy, and when the supply of energy is far greater than the demand, it is stored as triglycerides in adipocytes, and when energy is depleted, glycerol and It is used by breaking down into free fatty acids.
  • the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reaches 1m in height and has fine hairs in its entirety, and the leaf is a radix 1 lobular biplane consisting of 6-11 pairs of lobules. Flowers bloom in July and August, 15 ⁇ 18 mm long, light yellow, and form inflorescences with several flowers alternately on the long flower stalk.
  • the roots are mainly used as medicinal materials, and in animal experiments, the excitatory and diuretic effect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were also remarkable, and when a large amount of powder was administered to rats, the occurrence of nephritis was suppressed, and the occurrence of proteinuria and cholesterolemia was also delayed. ,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was also recognized. In addition, it is widely used for uterine drainage, gastric drainage, dehydration, and uterine bleeding, and is reported to improve physical strength and increase the tension of the whole body muscles.
  • Pogongyoung is a dried medicinal herb of asteraceae dandelion (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or a plant of the genus,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bacterial action, immune function enhancement, bile secretion, liver function protection, and diuretic action.
  • the shape is long fusiform root and several leaves that are split into long oval wings on the root hea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eaves is yellow-green or gray-green, and the roots are light brown or dark brown, and some have flowers and fruits. .
  • Pinellia ternata Breednbach is a tuber with completely removed main skin , slightly pressed spherical or irregular spherical shape, 0.7-2.5cm in diameter and 0.7-1.5cm in height.
  • the outer surface is white to grayish white, and the stem marks remain concave on the upper side, and the root marks of the beard are densely covered with small dots.
  • the quality is faithful and difficult to cut.
  • the cross-section is white, has a powdery nature, has little odor, and the taste is light at first and a little mucous, but it is very painful afterwards.
  •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fat de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site extract of Astragalus, Pogongyoung and Banha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fat de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site extract of Astragalus, Pogongyeong and Banha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topically.
  • th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in an injection formulation.
  • th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into subcutaneous adipose tissue.
  •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with water, an organic solvent, or a mixture thereof, and the organic solvent may be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butanol, acetone, ether, benzene, chloroform, It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 acetate, methylene chloride, hexane and cyclohexane.
  • the composition may be to reduce the size of adipocytes.
  • the composition may be to reduce the expression of the fat-generating factor PPAR-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 PPAR-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 the composition may be one to increase the expression of fat decomposition factor ATGL (adipose triglyceride lipase) or HSL (hormone-sensitive lipase).
  • ATGL fat decomposition factor
  • HSL hormone-sensitive lipase
  • the composition may reduce the expression of glycosynthesis factor PEPCK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 PEPCK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 the composite of Astragalus, Pogongyeong and Banh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osite of Astragalus, Pogongyeong and Banh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to a local area as an injection formulation, it reduces the expression of adipose-producing factor in local adipose tissue, increases the expression of adipose-degrading factor, and increases the glycosynthesis factor (Glyconeogenesis). By reducing the express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size of adipocytes in local adipose tissue and reducing the amount of local fat, so that it can be usefully used to remove fat in the local area.
  • FIG. 1 is a morphological (upper panel) and histological of inguinal adipose tissue after administration of a compound (Formula) or physiological saline (Vehicle) by local injection to the inguinal adipose tissue of a rat in which obesity was induced due to the high fat diet intake. (Bottom panel) It is the result of observing the change (red circle indicates the injection site of the compound).
  • Figure 3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diameter and size of fat cells in the inguinal adipose tissue after administration of a compound (Formula) or physiological saline (Vehicle) by local injection to the inguinal adipose tissue of the rat in which obesity is induced due to the high fat diet intake. Results (left panel) and their relative ratios (right panel) are shown ( ** p ⁇ 0.01 and *** p ⁇ 0.001: compared to the Vehicle group).
  • FIG. 4 shows the expression level of PPAR- ⁇ in the inguinal adipose tissue after topical injection of a compound (Formula) or physiological saline (Vehicle) into the inguinal adipose tissue of the rat in which obesity was induced due to the high fat diet intake.
  • FIG. 5 shows the expression levels of ATGL and HSL in the inguinal adipose tissue after administration of a compound (Formula) or physiological saline (Vehicle) by local injection to the inguinal adipose tissue of the rat in which obesity was induced due to the high fat diet intake.
  • Figure 7 shows astragalus (A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Pogongyeong (TP,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Banha (PT, Pinellia ternata Why Why), complexes (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Pogongyeong (TP,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complexes (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TP Formula) or physiological saline (Vehicle) was administered by local injection, and the histological changes in the inguinal adipose tissue were observed.
  • A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 TP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 Banha PT, Pinellia ternata Whyburgbach
  • complexes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 Pogongyeong TP, Taraxacum platycarpum H. Dahl
  • Figure 8 shows astragalus (A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Pogongyeong (TP,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Banha (PT, Pinellia ternata Why Why), complexes (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Pogongyeong (TP,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complexes (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TP Formula) or physiological saline (Vehicle) was administered by local injection, and the expression level of PPAR- ⁇ in the inguinal adipose tissue was measured through Western blotting.
  • A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 TP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 Banha PT, Pinellia ternata Whyburgbach
  • complexes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 Pogongyeong TP, Taraxa
  • Figure 9 shows astragalus (A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Pogongyeong (TP,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Banha (PT, Pinellia ternata Whynbach), complex (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Pogongyeong (TP), complex ( Pinellia ternata Whynbach) Formula) or physiological saline (Vehicle) was administered by local injection, and then the expression levels of ATGL (A, left panel) and HSL (B, right panel) in the inguinal adipose tissue were measured through western blotting.
  • A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 TP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 Banha PT, Pinellia ternata Breednbach
  • complex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 Pogongyeong TP
  • Pinellia ternata Breednbach Formula
  • Figure 10 is a high-fat diet induced obesity in the inguinal adipose tissue of rats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AM), Pogongyeong (TP,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Banha (PT, Pinellia ternata Whymünbach), complex ( Formula) or physiological saline (Vehicle) was administered by local injection, and then the expression level of PERCK in the inguinal adipose tissue was measured through western blotting.
  • A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 TP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 Banha PT, Pinellia ternata Breednbach
  • Formula physiological saline
  • Vehicle physiological saline
  • the compo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obtained by extracting and separating from nature using a method for extracting and separating known in the art, and "composite extract” or “formula” as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ropriate It is an extract extracted fro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Pinellia ternata Breednbach using a solvent, for example, Astragalus, Pogongyoung and crude extract of half, polar solvent soluble extract or nonpolar Includes all solvent-soluble extracts.
  • any organic solvent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organic solvent, and water or an organic solvent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including purified water,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butanol, etc., acetone, ether, benzene ), chloroform, ethyl acetate, methylene chloride, hexane, and cyclohexan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including purified water,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butanol, etc., acetone, ether, benzene ), chloroform, ethyl acetate, methylene chloride, hexane, and cyclohexan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 any one of methods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cold precipitation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solvent extraction, steam distillation method,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elution method, and compression method may be used.
  • the desired extract may be further subjected to a conventional fractionation process, or may be purified using a conventional purification method.
  • any known method may be used.
  • the composite material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 powder state by additional processes such as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 drying or spray drying of the primary extract extracted by the hot water extraction or solvent extraction method described above.
  • the primary extract was further purified using various chromatography such as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etc. You can also get
  • the complex is a concept including all extracts, fractions, and purified products obtained in each step of extraction, fractionation or purification, and their dilutions, concentrates, or dried products.
  • administration means providing a predetermined substance to an individual or patient by any appropriate method, and parenteral administration (for example, intravenous, subcutaneous, intraperitoneal Or topically applied as an injection formulation) or oral administration, and the dosage range varies depending on the patient's weight, age, sex, health status, diet,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method, excretion rate, and severity of disease.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suspensions, liquid solutions, emulsions, syrups, etc., and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in addition to water and liquid paraffin, which are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Etc. may be included together.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formulations, suppositories,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by any device capable of moving the active substance to target cells.
  • Preferred modes of administration and formulations are intravenous injections, subcutaneous injections, intradermal injections, intramuscular injections, drop injections and the like.
  • Injectables include aqueous solvents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and ring gel solutions, vegetable oils, higher fatty acid esters (e.g., oleic acid ethyl, etc.), alcohols (e.g., ethanol, benzyl alcohol, propylene glycol, glycerin, etc.).
  • aqueous solvents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and ring gel solutions, vegetable oils, higher fatty acid esters (e.g., oleic acid ethyl, etc.), alcohols (e.g., ethanol, benzyl alcohol, propylene glycol, glycerin, etc.).
  • It can be prepared using, and stabilizer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e.g., ascorbic acid, sodium hydrogen sulfite, sodium pyrosulfite, BHA, tocopherol, EDTA, etc.), emulsifiers, buffers for pH control, and for inhibiting microbial growth
  • deterioration e.g., ascorbic acid, sodium hydrogen sulfite, sodium pyrosulfite, BHA, tocopherol, EDTA, etc.
  • emulsifiers e.g., ascorbic acid, sodium hydrogen sulfite, sodium pyrosulfite, BHA, tocopherol, EDTA, etc.
  • emulsifiers e.g., buffers for pH control, and for inhibiting microbial growth
  • Preservatives eg, phenyl mercury nitrate, thimerosal, benzalkonium chloride, phenol, cresol, benzyl alcohol, etc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spension agent, a solubilizer, a stabilizer, an isotonic agent, a preservative, an anti-adsorption agent, a surfactant, a diluent, an excipient, a pH adjuster, a painless agent, a buffering agent, and sulfur, if necessary depending on the administration method or formulation.
  • It may contain a reducing agent, antioxidant, etc. as appropriate.
  • aqueous solution for injection for example, an isotonic solution containing physiological saline, glucose or other adjuvants, such as D-sorbitol, D-mannose, D-mannitol, sodium chloride, and buffer agents, such as For example, it can be combined with a phosphate buffer solution, a sodium acetate buffer solution, a painless agent such as procaine hydrochloride, a stabilizer such as benzyl alcohol, phenol, and an antioxidant.
  • physiological saline for example, glucose or other adjuvants, such as D-sorbitol, D-mannose, D-mannitol, sodium chloride, and buffer agents, such as For example, it can be combined with a phosphate buffer solution, a sodium acetate buffer solution, a painless agent such as procaine hydrochloride, a stabilizer such as benzyl alcohol, phenol, and an antioxidant.
  • the preferred dosage of the complex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patient, the degree of disease, the form of the drug, the route and duration of administration, bu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to a local area, and the site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abdomen, chin, forearm, thigh, waist, and buttocks.
  • the local administration means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 ingredient to or around a patient's muscle or subdermal location by a non-systemic route.
  • topical administration excludes administration through systemic routes such as intravenous or oral administration.
  • the unit dose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otal amount of 0.1 mL to 500 mL, preferably 1 mL to 200 mL, and more preferably 1 mL to 100 mL.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ose administered by setting several target sites (sites, points) at regular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affected area at one time of administration, and the total amount is administration administered through such several target sites at one time. May mean the total amount of quantity.
  • the target site may be set in a range of 1 to 50, preferably 2 to 30, more preferably 3 to 10, and the like per one affected area.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ose administered to one target site to one affected area at one time of administration, and at this time, it is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total amount is calculated based on the amount for the one target site. It is possibl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in a dosage range of 0.01 to 20 mL per target site (site, point), preferably 0.01 to 10 mL, more preferably 0.1 to 1 mL. ,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or multiple times to the target site, and preferably may be administered at intervals of 1 week to 2 month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besity,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n individual a composition for decomposing fat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stragalus, Pogongyoung and Banha complex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 composition for decomposing f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r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is the type and severity of the subject, age, sex, activity of the drug, and Sensitivity, administration tim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rate of excretion, duration of treatment, factors including drugs used concurrently,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 the present inventors purchased a 5-week-old male mouse C57BL/6J with a weight of 19 to 21 g, and the day and night of a 12-hour cycle are alternated, and a room temperature of 22 ⁇ 2°C and 50 It was reared in an environment of ⁇ 5% humidity. Food and water were allowed to be freely eaten, raised for 1 week, and used for experiments after 7 days of acclimation. To induce obesity in the mice, a high fat diet (HFD), Research Diets, D12492) containing 60% fat was supplied for 6 weeks. The formula was administered a total of 12 times, 3 times a week for 4 weeks at 5 weeks after treatment with a high fat diet.
  • HFD high fat diet
  • the concentration of the compound (formula) was prepared at 15 mg/ml, and 100 ⁇ L of the prepared compound (formula) at the concentration was administered to the left inguinal fat pad of the mouse.
  • the same dose of physiological saline was administered to the right inguinal adipose tissue.
  • the right inguinal adipose tissue (physiological saline treatment group) of each mouse was set as a control group of the left inguinal adipose tissue (complex treatment group).
  • mice were sacrificed by general anesthesia with a tiletamine/zolazepam mixture (Zoletil 50, Virbac Lab, Carroscedex, France).
  • the condition of the left and right inguinal fat pads was photographed after laparotomy, and the weight of the inguinal fat tissue on the right (indicated as "Vehicle") treat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the left (indicated as "formula") treated with the formula was measured using an electronic scale (PAG214, OHAUS pioneer).
  • the measured weight of the inguinal adipose tissue was converted by calculating the control (physiological saline treatment group) as 1.
  • adipose tissue samples In order to prepare adipose tissue samples, the inguinal adipose tissue was fixed in 10% paraformaldehyde for 24 hours, and the fixative that had penetrated the tissue was sufficiently removed through a sufficient washing process. Thereafter, after dehydration in the order of alcohol concentration of 70%, 90%, 95%, and 100% to remove moisture from the tissue, a paraffin block was manufactured using xylene as a transparent agent. The completed paraffin block was cut at 5 ⁇ m intervals to make sections, followed by deparaffinization and hydration, and then stained with H&E (hematoxylin & eosin) solution.
  • H&E hematoxylin & eosin
  • the stained slide was observed at 400 magnification with an optical microscope, and the diameter of adipocytes was measured through the Image J program for size analysis of adipose tissue.
  • the measured diameter of the inguinal adipocytes was converted by calculating the control (physiological saline treatment group) as 1.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 ⁇ ), which is an adipogenesis-related gene, and ATGL (adipose triglyceride lipase) and HSL (hormone-sensitive lipase), which are lipolysis-related genes.
  • PPAR-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 ATGL adipose triglyceride lipase
  • HSL hormone-sensitive lipase
  • groin fat in 700 ⁇ L of RIPA assay buffer (50 mM Tris-HCl, 150 mM NaCl, 1% Triton X-100, 1% sodium deoxycholate, 0.1% SDS, 2 mM EDTA) containing Protease inhibitors cocktail
  • RIPA assay buffer 50 mM Tris-HCl, 150 mM NaCl, 1% Triton X-100, 1% sodium deoxycholate, 0.1% SDS, 2 mM EDTA
  • the quantified protein (30 ⁇ g) was separated by electrophoresis using SDS 12%-polyacrylamide gel, and then transferred to a nitrocellulose (NC) membrane. Thereafter, the membrane was blocked using 5% BSA (bovine serum albumin, in TBS-T), and washed three times for 15 minutes with TBS-T.
  • BSA bovine serum albumin
  • the secondary antibody with HRP is diluted in TBS-T and trea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Then, using an enhanced chemiluminesence (ECL) assay kit, LAS (Leica Microsystems, Buffalo Grove, IL, USA). ⁇ -actin was used as a loading control.
  • ECL enhanced chemiluminesence
  • the present inventors administered a compound (formula) or physiological saline to the inguinal adipose tissue of the rat in which obesity was induced due to the ingestion of a high fat diet by local injection, and then visually examined the effect of lipolysis on the compound (formula) in the inguinal adipose tissue. It was confirmed a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fa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left inguinal adipose tissue to which the compound (formula) was administered topically compared to the right inguinal adipose tissue to which the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was administered as a control (FIG. 1).
  • the present inventors performed an experiment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lipolytic effect of the complex (formula) histologically through H&E staining on the adipose tissue of the inguinal reg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ize of adipocytes in the left inguinal adipose tissue to which the formulation was topically administered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size of adipocytes in the right inguinal adipose tissue to which physiological saline was administered (FIG. 1).
  • Example 3 Results of measuring adipose tissue weight due to local injection of a compound (formula)
  • the present inventors performed an experiment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inguinal adipose tissue to determine whether the lipolysis effect on the complex (formula).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 of the left inguinal adipose tissue to which the formula was administered topically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weight of the right inguinal adipose tissue to which physiological saline was administered. Specifically, the weight of the right inguinal adipose tissue to which physiological saline was administered was measured to be 149.0 ⁇ 7.6 mg, and the weight of the left inguinal adipose tissue to which the formula was administered was measured to be 107.5 ⁇ 16.1 mg (FIG. 2).
  • the compound (formula) treatment group was about 0.73, and when the compound (formula) was administered, the weight of adipose tissue was reduced to about 27%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IG. 2 ).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firmed that when a formulation is topically administered to adipose tissue, it has an effect of decomposing adipose tissue and reducing the amount of fat in the administered local area.
  • the present inventors performed an experiment of measuring the size of adipocytes in the inguinal adipose tissue in order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lipolytic effect on the compound (formula).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ize of adipocytes in the left inguinal adipose tissue to which the formulation was topically administered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size of adipocytes in the right inguinal adipose tissue to which physiological saline was administered.
  • the diameter of adipocytes in the right inguinal adipose tissue administered with physiological saline was measured to be 32.55 ⁇ 9.17 ⁇ m
  • the diameter of the adipocytes in the left inguinal adipose tissue administered with formula was 9.17 ⁇ 2.19 ⁇ m.
  • Became Figure 3
  • the physiological saline treatment group was converted to 1
  • the formula treated group was about 0.52
  • the size of adipocytes decreased by about 48%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firmed that when a formulation is topically administered to adipose tissue, it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size of adipocytes.
  • Example 5 The result of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adipose-producing factor due to local injection of a compound (formula)
  • the present inventors performed an experiment to measure the expression level of the adipose-producing factor PPAR-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in the inguinal adipose tissue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lipolytic effect on the complex (formula).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PPAR- ⁇ in the left inguinal adipose tissue administered topically with a compound (formula)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expression level of PPAR- ⁇ in the right inguinal adipose tissue administered with physiological saline ( Fig. 4).
  • PPAR-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 the expression level of PPAR- ⁇ in the right inguinal adipose tissue administered with physiological saline is converted to 1
  • the expression level of PPAR- ⁇ in the left inguinal adipose tissue administered with a formula is 0.56 ⁇ 0.02.
  • the compound (formula) was administere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PPAR- ⁇ was reduced by about 43.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firmed that when a formulation is topically administered to adipose tissue, it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amount of fat in adipose tissue and reducing the size of adipocytes by reducing the expression of adipose synthesis-related genes.
  • the present inventors conducted an experiment to measure the expression level of adipose triglyceride lipase (ATGL), which is a fat-degrading factor, in adipose tissue in the inguinal region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lipolytic effect on the complex (formula).
  • ATGL adipose triglyceride lipase
  • the present inventors performed an experiment to measure the expression level of a lipolytic factor HSL (hormone-sensitive lipase) in the inguinal adipose tissue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lipolytic effect on the complex (formula).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HSL in the left inguinal adipose tissue administered topically with the compound (formul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expression level of HSL in the right inguinal adipose tissue administered with physiological saline (FIG. 5 ).
  • HSL hormone-sensitive lipase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firmed that when a formulation is topically administered to adipose tissue,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amount of fat in adipose tissue and reducing the size of adipocytes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a lipolysis-related gene.
  • Example 7 Results of measurement of the expression level of Glyconeogenesis factor due to local injection of a compound (formula)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Glyconeogenesis in groin adipose tissu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lipolysis effect on the formula
  •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expression level of the factor PEPCK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 PEPCK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firmed that when a compound (formula) is topically administered to adipose tissue, it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amount of fat in adipose tissue and reducing the size of adipocytes by reducing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Glyconeogenesis.
  • Example 8 Comparison results of adipocyte size due to local injection of a single extract of a compound (formula) and Astragalus, Pogongyeong, and Banha
  • the present inventors used H&E staining in the inguinal adipose tissue to confirm histological changes and fat cell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size. As a result, when compared with the adipocyte size of the control group (Vehicle) injected with physiological saline in mice fed a fat diet, the size of the adipose tissue was reduced when a single extract of Astragalus, Pogongyeong or Banha was administered ( Fig. 7).
  • Example 9 Comparison of the expression levels of adipose-producing factors due to local injection of a single extract of a compound (formula) and Astragalus, Pogongyeong, and Banha
  • the present inventors investigated the fat-producing factor PPAR-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in the inguinal adipose tissue. receptor gamma) expression levels were compared.
  • Example 10 Results of comparison of expression levels of lipolytic factors due to local injection of a single extract of a compound (formula) and Astragalus, Pogongyeong, and Banha
  • Example 11 Comparison of the expression levels of Glyconeogenesis factors by local injection of a single extract of a compound (formula) and Astragalus, Pogongyeong, and Banha
  • the present inventors determined the expression level of glyconeogenesis factor PEPCK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in the inguinal adipose tissu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lipolytic effect on the complex (formula) has a remarkable synergic effect than the effect on each single extract. Comparative experiments were performed.
  • PEPCK glyconeogenesis factor
  • PEPCK of the control group (Vehicle) injected with physiological saline in mice fed a fat diet
  • the expression level was slightly increased, and PEPCK in adipose tissue administered with Pogongyoung or Banha extrac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level was decreased (FIG. 10).
  • the amount of PEPCK expression in adipose tissue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each single extract in the case of administration of Astragalus, Pogongyeong and Banha's formula (FIG. 10).
  • the compound (formula) compared to each single extract, PEPCK in adipose tissu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remarkable synergistic effect on the reduction of the expression lev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기, 포공영 및 반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복합 추출물을 국소 부위에 주사제 제형으로 투여한 경우 국소 지방조직에서 지방 생성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지방 분해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당합성인자(Glyconeogenesis)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국소 지방조직의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국소 지방의 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국소 부위의 지방을 제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국소 지방 분해용 조성물
본 발명은 황기, 포공영 및 반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 내에는 약 200억 개나 되는 지방세포(adipocytes)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는 포유류의 생체 내에서 에너지를 축적하거나 방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지방세포 내에는 에너지의 축적과 방출에 대한 복잡한 조절 원리가 존재하며, 에너지의 수요보다 공급이 월등히 많은 경우 지방세포 내에 중성지방(triglycerides)으로 저장되었다가 에너지가 고갈되었을 때 다시 글리세롤(glycerol)과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s)으로 분해되어 사용된다.
현대인들은 에너지 섭취가 과다한 반면, 육체적 활동이 적어서 지방세포가 다량 축적되었고, 특히 앉아서 생활을 많이 하다 보니 복부 또는 하체 등 국소적인 부위에 지방이 몰리는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지방분해, 특히 국소 지방분해 작용이 탁월한 물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전체에 잔털이 있으며, 잎은 6∼11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1회우상복엽이다. 꽃은 7, 8월에 피고, 길이 15 ∼ 18 ㎜로서 연한 황색이며, 긴 꽃대에 여러 개의 꽃이 어긋나며 피는 꽃차례를 이룬다. 주로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며, 동물실험에서는 중추신경계통의 흥분작용과 이뇨작용도 현저하였으며, 흰쥐에게 대량의 분말을 투여하였을 때에는 신염의 발생을 억제 시키고, 단백뇨와 콜레스테롤혈증의 발생도 지연시켰으며, 혈압강하작용도 인정되었다. 또한, 자궁하수·위하수·탈홍·자궁출혈에도 널리 이용되며, 체력을 항진시켜 주고 전신 근육의 긴장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포공영은 국화과의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또는 동속 식물의 전초를 말린 약재로서, 억균작용, 면역기능강화, 담즙분비작용, 간기능보호작용, 이뇨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생김새는 긴 방추형의 뿌리와 근두부에 긴 타원형의 날개 모양으로 갈라진 잎이 여러 개 붙어 있고, 잎의 바깥 면은 황록색이나 회녹색이고, 뿌리는 엷은 갈색이나 흑갈색이며 꽃과 열매가 달려 있는 것도 있다.
반하(Pinellia ternata Breitenbach)는 주피를 완전히 제거한 덩이줄기로 약간 눌려져 있는 구형이거나 불규칙한 구형이며, 지름 0.7~2.5cm, 높이 0.7~1.5cm이다. 바깥 면은 흰색 내지 회황백색이고 위쪽에는 줄기 자국이 오목하게 남아 있으며 그 주변은 수염뿌리자국이 작은 점으로 촘촘하게 덮고 있다. 질은 충실하고 자르기 어렵다. 횡단면은 흰색이고 가루의 성질을 띄고, 냄새가 거의 없으며 맛은 처음에는 담담하고 약간 점액성이지만 후에 몹시 아리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황기, 포공영 및 반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기, 포공영 및 반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국소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사제(injection) 제형으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하 지방조직 내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의해 추출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및 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 생성인자인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 분해인자인 ATGL(adipose triglyceride lipase) 또는 HSL(hormone-sensitive lipase)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당합성(Glyconeogenesis)인자인 PEPCK(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황기, 포공영 및 반하의 복합물을 국소 부위에 주사제 제형으로 투여한 경우 국소 지방조직에서 지방 생성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지방 분해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당합성인자(Glyconeogenesis)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국소 지방조직의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국소 지방의 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국소 부위의 지방을 제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해 비만이 유발된 쥐의 서혜부 지방조직에 복합물(Formula) 또는 생리식염수(Vehicle)를 국소 주사로 투여한 후, 서혜부 지방조직의 형태학적(위쪽 패널) 및 조직학적(아래쪽 패널) 변화를 관찰한 결과이다 (빨간색 원은 복합물을 주입한 부위를 표시한 것임).
도 2은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해 비만이 유발된 쥐의 서혜부 지방조직에 복합물(Formula) 또는 생리식염수(Vehicle)를 국소 주사로 투여한 후, 서혜부 지방조직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왼쪽 패널) 및 이의 상대적 비율로 환산한 결과(오른쪽 패널)이다 (** p < 0.01 및 *** p < 0.001: Vehicle 그룹과 비교한 경우).
도 3는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해 비만이 유발된 쥐의 서혜부 지방조직에 복합물(Formula) 또는 생리식염수(Vehicle)를 국소 주사로 투여한 후,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지방세포의 지름 크기를 측정한 결과(왼쪽 패널) 및 이의 상대적 비율로 환산한 결과(오른쪽 패널)이다 (** p < 0.01 및 *** p < 0.001: Vehicle 그룹과 비교한 경우).
도 4는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해 비만이 유발된 쥐의 서혜부 지방조직에 복합물(Formula) 또는 생리식염수(Vehicle)를 국소 주사로 투여한 후,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PPAR-γ의 발현량을 웨스턴블럿팅을 통해 측정한 결과(위쪽 패널) 및 이의 상대적 강도를 비교한 결과(아래쪽 패널)이다 (*** p < 0.001: Vehicle 그룹과 비교한 경우).
도 5는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해 비만이 유발된 쥐의 서혜부 지방조직에 복합물(Formula) 또는 생리식염수(Vehicle)를 국소 주사로 투여한 후,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ATGL 및 HSL의 발현량을 웨스턴블럿팅을 통해 측정한 결과(위쪽 패널) 및 이의 상대적 강도를 비교한 결과(아래쪽 패널)이다 (* p < 0.05 및 *** p < 0.001: Vehicle 그룹과 비교한 경우).
도 6은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해 비만이 유발된 쥐의 서혜부 지방조직에 복합물(Formula) 또는 생리식염수(Vehicle)를 국소 주사로 투여한 후,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PEPCK의 발현량을 웨스턴블럿팅을 통해 측정한 결과(위쪽 패널) 및 이의 상대적 강도를 비교한 결과(아래쪽 패널)이다 (* p < 0.05: Vehicle 그룹과 비교한 경우).
도 7은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해 비만이 유발된 쥐의 서혜부 지방조직에 황기(A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포공영(TP,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반하(PT, Pinellia ternata Breitenbach), 복합물(Formula) 또는 생리식염수(Vehicle)를 국소 주사로 투여한 후, 서혜부 지방조직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8은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해 비만이 유발된 쥐의 서혜부 지방조직에 황기(A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포공영(TP,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반하(PT, Pinellia ternata Breitenbach), 복합물(Formula) 또는 생리식염수(Vehicle)를 국소 주사로 투여한 후,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PPAR-γ의 발현량을 웨스턴블럿팅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9는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해 비만이 유발된 쥐의 서혜부 지방조직에 황기(A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포공영(TP,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반하(PT, Pinellia ternata Breitenbach), 복합물(Formula) 또는 생리식염수(Vehicle)를 국소 주사로 투여한 후,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ATGL(A, 왼쪽 패널) 및 HSL(B, 오른쪽 패널)의 발현량을 웨스턴블럿팅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10은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해 비만이 유발된 쥐의 서혜부 지방조직에 황기(A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포공영(TP,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반하(PT, Pinellia ternata Breitenbach), 복합물(Formula) 또는 생리식염수(Vehicle)를 국소 주사로 투여한 후,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PERCK의 발현량을 웨스턴블럿팅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복합 추출물" 또는 "복합물(Formula)"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반하(Pinellia ternata Breitenbach)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이며, 예를 들어, 황기, 포공영 및 반하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황기, 포공영 및 반하의 복합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복합물의 제조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복합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복합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물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 또는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 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주사 제형으로 적용)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다양한 부형제, 예컨대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투여방식 및 제제는 정맥 주사제, 피하 주사제, 피내주사제, 근육 주사제, 점적 주사제 등이다. 주사제는 생리식염액, 링겔액 등의 수성 용제, 식물유,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예, 올레인산에칠 등), 알코올 류(예, 에탄올,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등의 비수성 용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변질 방지를 위한 안정화제(예, 아스코르빈산,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BHA, 토코페롤, EDTA 등), 유화제, pH 조절을 위한 완충제, 미생물 발육을 저지하기 위한 보존제 (예, 질산페닐수은, 치메로살, 염화벤잘코늄, 페놀, 크레솔, 벤질알코올 등) 등의 약학적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그 투여방법이나 제형에 따라 필요한 경우, 현탁제, 용해보조제, 안정화제, 등장화제, 보존제, 흡착방지제, 계면활성화제, 희석제, 부형제, pH 조정제, 무통화제, 완충제, 함황(含硫)환원제, 산화방지제 등을 적절히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멸균수, 생리식염수, 관용의 완충제(인산, 구연산, 그 밖의 유기산 등), 안정제, 염, 산화방지제(아스코르브산 등), 계면활성제, 현탁제, 등장화제, 또는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사용의 수용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생리식염수, 포도당이나 그 외의 보조약을 포함한 등장용액, 예를 들면 D-소르비톨, D-만노스, D-만니톨, 염화 나트륨을 들 수 있으며, 또한, 완충제, 예를 들면 인산염 완충액, 초산나트륨 완충액, 무통화제, 예를 들면 염산 프로카인, 안정제, 예를 들면 벤질 알코올, 페놀, 산화 방지제와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된 복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의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국소 부위에 투여될 수 있고, 그 부위가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복부, 턱밑, 팔뚝, 허벅지, 허리, 엉덩이 부위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국소 투여(local administration)는 약제학적 성분을 비전신적 경로에 의해서 환자의 근육 또는 피하 위치(subdermal location)에, 또는 그 주변에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국소적 투여는 정맥 또는 구강 투여와 같은 전신적 경로를 통한 투여는 배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단위 용량은 환부에 대하여 총량 0.1 mL 내지 500 mL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mL 내지 20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 mL 내지 100 mL 범위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1회 투여시에, 환부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여러 표적 부위(site, point)를 설정하여 투여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총량은 1회에 이러한 여러 표적부위를 통해 투여되는 투여량의 총량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표적 부위는 1개의 환부에 대하여 1 내지 50개, 바람직하게 2 내지 30개, 더욱 바람직하게 3 내지 10개의 범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회 투여시에 하나의 환부에 하나의 표적부위에 대하여 투여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며, 이때 총량은 상기 하나의 표적부위에 대한 양을 기준으로 산정됨은 당업자에게 자명히 이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표적 부위(site, point) 당 0.01 내지 20 mL의 투여 용량 범위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01 내지 10 mL, 더욱 바람직하게 0.1 내지 1 mL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표적부위에 한번 또는 다회 투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주에서 최대 2개월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황기, 포공영 및 반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지방 분해용 조성물은 치료적 유효량 또는 약학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재료 및 방법
1.1. 복합물(formula)의 준비
본 발명에 사용된 황기, 포공영 및 반하는 정도생약국(Seoul, Korea)에서 구입하였다. 상기 황기, 포공영 및 반하는 각각 추출한 후, 그 액을 여과 및 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얻어진 복합물(formula)의 동결건조품 표본(Voucher specimen: #LLC23-2017)은 -20℃로 보관하였다.
1.2. 고지방식이 동물모델 및 국소 주사 방법
본 발명자들은 고지방식이 동물모델을 준비하기 위하여, 체중 19∼21 g인 5주령 수컷 마우스 C57BL/6J를 구매하여, 12시간의 주기의 낮과 밤이 교대되며 22 ± 2℃의 실내온도와 50 ± 5%의 습도의 환경에서 사육하였다. 먹이와 물은 자유롭게 먹도록 하였고, 1주일간 사육하며 7일간의 적응기를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마우스의 비만 유도를 위해 60% 지방(fat)을 함유한 고지방식이(high fat diet: HFD), Research Diets, D12492)를 6주간 공급하였다. 복합물(formula)은 고지방식이를 처리한 후 5주째에 4주간 1주일에 3회씩 총 12번을 투여하였다. 복합물(formula)의 농도는 15mg/ml로 준비하였고, 상기 농도로 준비된 복합물(formula) 100 μL를 마우스의 좌측 서혜부 지방조직(Inguinal fat pad)에 투여하였다. 또한, 우측 서혜부 지방조직에는 동일 용량의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다. 각 마우스의 우측 서혜부 지방조직(생리식염수 처리군)은 좌측 서혜부 지방조직(복합물 처리군)의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1.3. 서혜부 지방조직의 무게 측정
실험 종료 후, 마우스는 tiletamine/zolazepam 혼합액(Zoletil 50, Virbac Lab, Carroscedex, France)으로 전신 마취하여 희생시켰다. 개복 후 좌우 서혜부 지방조직(inguinal fat pad)의 상태를 촬영하였으며, 대조군이 처리된 우측("Vehicle"로 표시됨)과 복합물(formula)이 처리된 좌측("formula"로 표시됨) 서혜부 지방조직의 무게를 전자저울(PAG214, OHAUS pioneer)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서혜부 지방조직의 무게는 대조군(생리식염수 처리군)을 1로 계산하여 환산되었다.
1.4. 서혜부 지방조직의 조직학적 평가
지방조직 표본을 제작하기 위해 서혜부 지방조직을 10% paraformaldehyde에서 24시간 동안 고정하고, 충분한 수세(washing) 과정을 통해 조직에 침투되어 있는 고정액을 충분히 제거하였다. 이후, 알코올 70%, 90%, 95%, 100% 농도순으로 탈수(dehydration) 과정을 거쳐 조직의 수분을 제거 한 후, xylene을 투명제로 하여 파라핀 블록(paraffin block)을 제작하였다. 완성된 파라핀 블록은 5 μm 간격으로 박절(microtome cutting)하여 절편을 만든 후, 탈 파라핀(deparaffinization)과 함수(hydration) 과정을 거친 후, H&E(hematoxylin & eosin) 용액으로 염색을 실시하였다. 염색된 슬라이드는 광학 현미경으로 400 배율에서 관찰되었으며, 지방조직의 크기 분석을 위하여 Image J program을 통하여 지방세포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서혜부 지방세포의 지름은 대조군(생리식염수 처리군)을 1로 계산하여 환산되었다.
1.5.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지방 합성인자의 발현량 측정
본 발명자들은 지방 합성 과정 중, 지방생성(adipogenesis) 관련 유전자인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지방분해(lipolysis) 관련 유전자인 ATGL(adipose triglyceride lipase)와 HSL(hormone-sensitive lipase), 당합성(glyconeogenesis) 관련 유전자인 PEPCK(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의 발현을 분석하기 위하여, 마우스 서혜부 지방조직으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여 웨스턴블럿팅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Protease inhibitors cocktail이 포함된 RIPA assay buffer (50 mM Tris-HCl, 150 mM NaCl, 1% Triton X-100, 1% sodium deoxycholate, 0.1% SDS, 2 mM EDTA) 700 μL에 서혜부 지방 50 mg을 넣어 분쇄한 후, 얻어진 단백질의 양을 Bradford method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정량된 단백질(30 μg)은 SDS 12%-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을 통해 단백질을 분리 후, NC(nitrocellulose) 멤브레인으로 이동시켰다. 이후, 멤브레인은 5% BSA (bovine serum albumin, in TBS-T)를 이용하여 블러킹시키고, TBS-T로 15분간 3번 세척하였다. 1차 항체를 처리하여 4℃에서 overnight binding시킨 후, HRP가 붙어있는 2차 항체를 TBS-T에 희석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한 후, ECL(enhanced chemiluminesence) assay kit를 이용하여 LAS(Leica Microsystems, Buffalo Grove, IL, USA)로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β-actin은 loading control로 사용되었다.
실시예 2. 복합물(formula)의 국소 주사로 인한 지방분해 효능의 형태학적 평가
본 발명자들은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하여 비만이 유발된 쥐의 서혜부 지방조직에 복합물(formula) 또는 생리식염수를 국소 주사로 투여한 후, 서혜부 지방조직에서 복합물(formula)에 대한 지방분해 효과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복합물(formula)이 국소 투여된 좌측 서혜부 지방조직은 대조군인 생리식염수가 투여된 우측 서혜부 지방조직에 비해 지방의 양이 확연히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1).
또한, 본 발명자들은 서혜부의 지방조직에 대하여 H&E 염색을 통하여 조직학적으로 복합물(formula)에 대한 지방분해 효과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복합물(formula)이 국소 투여된 좌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지방세포의 크기가 생리식염수가 투여된 우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지방세포의 크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1).
실시예 3. 복합물(formula)의 국소 주사로 인한 지방조직 무게 측정 결과
본 발명자들은 복합물(formula)에 대한 지방분해 효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혜부 지방조직의 무게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복합물(formula)이 국소 투여된 좌측 서혜부 지방조직의 무게는 생리식염수가 투여된 우측 서혜부 지방조직의 무게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생리식염수가 투여된 우측 서혜부 지방조직의 무게는 149.0 ± 7.6 mg으로 측정되었고, 복합물(formula)이 투여된 좌측 서혜부 지방조직의 무게는 107.5 ± 16.1 mg으로 측정되었다 (도 2). 생리식염수 처리군을 1로 환산할 경우 복합물(formula) 처리군은 약 0.73으로서, 복합물(formula)이 투여된 경우 지방조직의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약 27%로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2).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복합물(formula)을 지방조직에 국소 투여한 경우 지방조직을 분해하여 투여된 국소 부위에서의 지방의 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복합물(formula)의 국소 주사로 인한 지방세포의 크기 측정 결과
본 발명자들은 복합물(formula)에 대한 지방분해 효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지방세포의 크기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복합물(formula)이 국소 투여된 좌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지방세포의 크기는 생리식염수가 투여된 우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지방세포의 크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생리식염수가 투여된 우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지방세포의 지름은 32.55 ± 9.17 μm로 측정되었고, 복합물(formula)이 투여된 좌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지방세포의 지름는 9.17 ± 2.19 μm로 측정되었다 (도 3). 생리식염수 처리군을 1로 환산할 경우 복합물(formula) 처리군은 약 0.52으로서, 복합물(formula)이 투여된 경우 지방세포의 크기는 대조군에 비해 약 48% 정도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복합물(formula)을 지방조직에 국소 투여한 경우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복합물(formula)의 국소 주사로 인한 지방 생성인자의 발현량 측정 결과
본 발명자들은 복합물(formula)에 대한 지방분해 효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혜부 지방조직에서 지방 생성인자인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복합물(formula)이 국소 투여된 좌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PPAR-γ의 발현량은 생리식염수가 투여된 우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PPAR-γ의 발현량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4). 구체적으로, 생리식염수가 투여된 우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PPAR-γ의 발현량을 1로 환산할 경우 복합물(formula)이 투여된 좌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PPAR-γ의 발현량은 0.56 ± 0.02로서, 복합물(formula)이 투여된 경우 PPAR-γ의 발현량이 대조군에 비해 약 43.1% 정도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복합물(formula)을 지방조직에 국소 투여한 경우 지방 합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지방조직에서의 지방의 양을 감소시키고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복합물(formula)의 국소 주사로 인한 지방 분해인자의 발현량 측정 결과
본 발명자들은 복합물(formula)에 대한 지방분해 효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혜부 지방조직에서 지방 분해인자인 ATGL(adipose triglyceride lipase)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복합물(formula)이 국소 투여된 좌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ATGL의 발현량은 생리식염수가 투여된 우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ATGL의 발현량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5). 구체적으로, 생리식염수가 투여된 우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ATGL의 발현량을 1로 환산할 경우 복합물(formula)이 투여된 좌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ATGL의 발현량은 3.12 ± 1.01로서, 복합물(formula)이 투여된 경우 ATGL의 발현량이 대조군에 비해 약 212.1% 정도로 현저히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복합물(formula)에 대한 지방분해 효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혜부 지방조직에서 지방 분해인자인 HSL(hormone-sensitive lipase)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복합물(formula)이 국소 투여된 좌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HSL의 발현량은 생리식염수가 투여된 우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HSL의 발현량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5). 구체적으로, 생리식염수가 투여된 우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HSL의 발현량을 1로 환산할 경우 복합물(formula)이 투여된 좌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HSL의 발현량은 2.57 ± 0.72로서, 복합물(formula)이 투여된 경우 HSL의 발현량이 대조군에 비해 약 156.5% 정도로 현저히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복합물(formula)을 지방조직에 국소 투여한 경우 지방 분해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지방조직에서의 지방의 양을 감소시키고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복합물(formula)의 국소 주사로 인한 Glyconeogenesis 인자의 발현량 측정 결과
본 발명자들은 복합물(formula)에 대한 지방분해 효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혜부 지방조직에서 Glyconeogenesis 인자인 PEPCK(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복합물(formula)이 국소 투여된 좌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PEPCK의 발현량은 생리식염수가 투여된 우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PEPCK의 발현량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6). 구체적으로, 생리식염수가 투여된 우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PEPCK의 발현량을 1로 환산할 경우 복합물(formula)이 투여된 좌측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PEPCK의 발현량은 0.59 ± 0.01로서, 복합물(formula)이 투여된 경우 PEPCK의 발현량이 대조군에 비해 약 41.3% 정도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복합물(formula)을 지방조직에 국소 투여한 경우 Glyconeogenesis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지방조직에서의 지방의 양을 감소시키고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복합물(formula) 및 황기, 포공영, 반하의 단일 추출물의 국소 주사로 인한 지방세포 크기의 비교 결과
본 발명자들은 복합물(formula)에 대한 지방분해 효과가 각 단일 추출물에 대한 효과보다 현저한 상승 효과(synergic effect)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혜부 지방조직에서의 H&E 염색을 통하여 조직학적 변화 및 지방세포의 크기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지방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생리식염수를 주사한 대조군(Vehicle)의 지방세포 크기와 비교하였을 때, 황기, 포공영 또는 반하의 단일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지방조직의 크기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 7). 그런데, 황기, 포공영 및 반하의 복합물(formula)을 투여한 경우에는 각 단일 추출물에 비해 지방조직의 크기가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7). 이로써, 복합물(formula)은 각 단일 추출물에 비해 지방조직 크기의 감소에 대한 현저한 상승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복합물(formula) 및 황기, 포공영, 반하의 단일 추출물의 국소 주사로 인한 지방 생성인자의 발현량 비교 결과
본 발명자들은 복합물(formula)에 대한 지방분해 효과가 각 단일 추출물에 대한 효과보다 현저한 상승 효과(synergic effect)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혜부 지방조직에서 지방 생성인자인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의 발현량을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생리식염수를 주사한 대조군(Vehicle)의 PPAR-γ 발현량과 비교하였을 때, 포공영 추출물을 투여한 지방조직에서의 PPAR-γ 발현량은 거의 변화되지 않았고, 황기 또는 반하 추출물을 투여한 지방조직에서의 PPAR-γ 발현량은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8). 그런데, 황기, 포공영 및 반하의 복합물(formula)을 투여한 경우에는 각 단일 추출물에 비해 지방조직에서의 PPAR-γ 발현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8). 이로써, 복합물(formula)은 각 단일 추출물에 비해 지방조직에서의 PPAR-γ 발현량의 감소에 대한 현저한 상승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복합물(formula) 및 황기, 포공영, 반하의 단일 추출물의 국소 주사로 인한 지방 분해인자의 발현량 비교 결과
본 발명자들은 복합물(formula)에 대한 지방분해 효과가 각 단일 추출물에 대한 효과보다 현저한 상승 효과(synergic effect)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혜부 지방조직에서 지방 생성인자인 ATGL(adipose triglyceride lipase) 및 HSL(hormone-sensitive lipase)의 발현량을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생리식염수를 주사한 대조군(Vehicle)의 ATGL 발현량과 비교하였을 때, 황기 추출물을 투여한 지방조직에서의 ATGL 발현량은 약간 감소되었고, 포공영 또는 반하 추출물을 투여한 지방조직에서의 ATGL 발현량은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9A). 그런데, 황기, 포공영 및 반하의 복합물(formula)을 투여한 경우에는 각 단일 추출물에 비해 지방조직에서의 ATGL 발현량이 현저하게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9A). 이로써, 복합물(formula)은 각 단일 추출물에 비해 지방조직에서의 ATGL 발현량의 증가에 대한 현저한 상승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생리식염수를 주사한 대조군(Vehicle)의 HSL 발현량과 비교하였을 때, 황기, 포공영 또는 반하 추출물을 투여한 지방조직에서의 HSL 발현량은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9B). 그런데, 황기, 포공영 및 반하의 복합물(formula)을 투여한 경우에는 각 단일 추출물에 비해 지방조직에서의 HSL 발현량이 현저하게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9B). 이로써, 복합물(formula)은 각 단일 추출물에 비해 지방조직에서의 HSL 발현량의 증가에 대한 현저한 상승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복합물(formula) 및 황기, 포공영, 반하의 단일 추출물의 국소 주사로 인한 Glyconeogenesis 인자의 발현량 비교 결과
본 발명자들은 복합물(formula)에 대한 지방분해 효과가 각 단일 추출물에 대한 효과보다 현저한 상승 효과(synergic effect)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혜부 지방조직에서 Glyconeogenesis 인자인 PEPCK(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의 발현량을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생리식염수를 주사한 대조군(Vehicle)의 PEPCK 발현량과 비교하였을 때, 황기 추출물을 투여한 지방조직에서의 PEPCK 발현량은 약간 증가되었고, 포공영 또는 반하 추출물을 투여한 지방조직에서의 PEPCK 발현량은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10). 그런데, 황기, 포공영 및 반하의 복합물(formula)을 투여한 경우에는 각 단일 추출물에 비해 지방조직에서의 PEPCK 발현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10). 이로써, 복합물(formula)은 각 단일 추출물에 비해 지방조직에서의 PEPCK 발현량의 감소에 대한 현저한 상승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황기, 포공영 및 반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국소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사제(injection) 제형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하 지방조직 내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의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및 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TGL(adipose triglyceride lipase) 또는 HSL(hormone-sensitive lipase)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EPCK(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양의 제 1항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을 분해하는 방법.
PCT/KR2019/009930 2019-02-12 2019-08-08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국소 지방 분해용 조성물 WO202016677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80935.6A CN113194973A (zh) 2019-02-12 2019-08-08 包含生药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分解局部脂肪的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025 2019-02-12
KR1020190016025A KR102199536B1 (ko) 2019-02-12 2019-02-12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국소 지방 분해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66773A1 true WO2020166773A1 (ko) 2020-08-20

Family

ID=7204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9930 WO2020166773A1 (ko) 2019-02-12 2019-08-08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국소 지방 분해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99536B1 (ko)
CN (1) CN113194973A (ko)
WO (1) WO20201667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8371A (zh) * 2021-05-14 2021-08-13 王知斌 一种黄芪蒲公英提取物及其制备方法及其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608B1 (ko) * 2000-01-03 2002-09-30 김형민 알레르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03923A (ko) * 2002-07-04 2004-01-13 (주)바이오자임 인터내셔날 체지방 감소에 효과적인 기능성 영양보충용 식품 및 그제조 방법
KR100786122B1 (ko) * 2006-11-17 2007-12-21 주식회사 휴온스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30973A (ko) * 2009-09-18 2011-03-2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황기, 복령 및 적소두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18295A (ko) * 2016-08-12 2018-02-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047C (zh) * 2002-01-18 2004-07-28 北京大学 一种具有减肥降脂作用的组合物
KR101545706B1 (ko) 2013-05-10 2015-08-26 주식회사 아미팜 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237131A (zh) * 2016-08-02 2016-12-21 马佳 降脂减肥的蒲公英口服液制备方法及其口服液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608B1 (ko) * 2000-01-03 2002-09-30 김형민 알레르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03923A (ko) * 2002-07-04 2004-01-13 (주)바이오자임 인터내셔날 체지방 감소에 효과적인 기능성 영양보충용 식품 및 그제조 방법
KR100786122B1 (ko) * 2006-11-17 2007-12-21 주식회사 휴온스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30973A (ko) * 2009-09-18 2011-03-2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황기, 복령 및 적소두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18295A (ko) * 2016-08-12 2018-02-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201A (ko) 2020-08-20
KR102199536B1 (ko) 2021-01-07
CN113194973A (zh)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572B1 (ko) 주사 또는 홍안 관련 피부 질환의 치료를 위한, 베르베린 또는 그의 유사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WO2016167527A1 (ko) 백미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시나프산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백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e et al. Anti-allerg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akkenolide B isolated from Petasites japonicus leaves
WO2015002393A1 (ko) 감귤 미성숙과 추출물, 또는 시네프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22071643A1 (ko) 에델바이스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새로운 조성물
WO2013089449A1 (ko)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rk et al. Gardenia jasminoides extract without crocin improved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via suppression of Th2-related cytokines in Dfe-induced NC/Nga mice
KR20150083467A (ko) 과민성 방광 및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20166773A1 (ko)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국소 지방 분해용 조성물
WO2018056676A1 (ko)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17116092A1 (ko) 디오스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11108907A2 (ko)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증 및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
WO2019143145A1 (ko) 레졸빈 d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염증 치료용 조성물
KR102231324B1 (ko) 포공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
KR102163181B1 (ko) 반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
WO2018194261A1 (ko) 4&#39;-o-메틸알피눔 이소플라본의 치료적 용도
WO2014051296A1 (ko) 청미래덩굴의 뿌리줄기인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을 위한 약학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조성물
US6365197B1 (e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Oenostacin from Oenothera biennis
WO2010085123A2 (en) Composition applicable to skin and capable of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enlarging blood vessels
WO2020004696A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조성물
WO202023595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fraction of melissa officinalis leaf extract
WO2023022272A1 (ko) 쐐기풀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211396A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4096720A1 (ko)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008594A1 (ko) 용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152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52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