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467A - 과민성 방광 및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과민성 방광 및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467A
KR20150083467A KR1020140002768A KR20140002768A KR20150083467A KR 20150083467 A KR20150083467 A KR 20150083467A KR 1020140002768 A KR1020140002768 A KR 1020140002768A KR 20140002768 A KR20140002768 A KR 20140002768A KR 20150083467 A KR20150083467 A KR 20150083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der
weight
parts
inflamma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9944B1 (ko
Inventor
배웅진
하유신
김세웅
황성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황성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황성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002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944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민성 방광 및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과민성 방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과민성 방광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은 배뇨 기능 개선 효과, 방광 조직의 염증 완화 효과 및 방광 내 SOD(Super Oxide Dismutase) 활성 증가 효과가 있어, 통증성 방광 증후군/간질성 방광염(PBS/IC)을 포함한 방광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과민성 방광 및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overavtive bladder and cystitis}
본 발명은 과민성 방광 및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과민성 방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과민성 방광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증성 방광 증후군/간질성 방광염(PBS/IC)은 세균의 감염이나 요로결석 등의 뚜렷한 병리학적인 원인 없이 방광과 그 주변에 통증을 야기하는 것으로서 대부분 빈뇨와 급뇨를 동반한다. PBS/IC의 근본적인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자가면역 기전, 밝혀지지 않은 세균 또는 바이러스 감염, 방광 내벽의 손상, 소변 내 독성 물질 및 신경성 감염을 포함하는 다양한 메커니즘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방광 벽에 비만 세포 침투가 PBS/IC의 중요한 특징으로 알려졌으며, 염증 반응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PBS/IC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PBS/IC 치료와 관련된 염증 반응을 제어하는 데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PBS/IC에 효과적인 치료법이 거의 없기 때문에 환자들은 대체의학(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치료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으며, PBS/IC 치료에 관한 CAM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PBS/IC 환자들에게 생리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기능성 식품 또는 기능성 화합물들이 유행하기 시작했으나, 이들의 치료 효과 또는 치료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다.
한편, 공진단은 녹용 (cervi parvum Cornu), 산수유 (Corni Fructus), 당귀 (Angelica gigantis Radix) 및 사향 (musk)을 포함하는 약초 처방으로서, 피로 회복 및 항노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진단은 다양한 신경병증 치료를 위한 대체 의학 요법으로 사용되었으나, 방광염에 대한 효능은 밝혀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만성방광 및 방광의 염증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는 혼합 생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산수유(Corni Fructus), 당귀(Angelica gigantis Radix), 구기자(Lycii Fructus), 녹용(Cervi parvum cornu), 홍삼(Ginseng Radix Rubra) 및 계피(Cassiae cortkex)를 포함하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산수유 20~30 중량부, 당귀 20~30 중량부, 구기자 20~30 중량부, 녹용 5~15 중량부, 홍삼 5~15 중량부, 계피 2~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약초의 열수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은 배뇨 기능 개선 효과, 방광 조직의 염증 완화 효과 및 방광 내 항산화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산수유(Corni Fructus), 당귀(Angelica gigantis Radix), 구기자(Lycii Fructus), 녹용(Cervi parvum cornu), 홍삼(Ginseng Radix Rubra) 및 계피(Cassiae cortkex)를 포함하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수유(Corni Fructus), 당귀(Angelica gigantis Radix), 구기자(Lycii Fructus), 녹용(Cervi parvum cornu), 홍삼(Ginseng Radix Rubra) 및 계피(Cassiae cortkex)를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약초를 혼합하여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복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약초를 혼합하는 단계는 산수유 20~30 중량부, 당귀 20~30 중량부, 구기자 20~30 중량부, 녹용 5~15 중량부, 홍삼 5~15 중량부, 계피 2~8 중량부를 포함하여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 단계는 정제수로 열수 추출하거나, C1~C4의 저급 알코올 용매 또는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n-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탄화수소 용매로 추출할 수 있고, 40 ~ 100℃에서 1 ~ 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에탄올로 60 ~ 100℃에서 3 ~ 6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 단계 이후에 상기 열수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물을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은 배뇨 기능 개선 효과, 방광 조직의 염증 완화 효과 및 방광 내 항산화 효능이 있어, 통증성 방광 증후군/간질성 방광염(PBS/IC)을 포함한 방광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방관내압측정(CMG) 동안 배뇨 기능의 변화를 나타내는 추적 데이터이다. (A는 대조군, B는 HCl에 의한 방광염을 유도한 실험군, C는 HC군에 WSY-1075를 투여한 실험군이며, 각각 n=8이다.)
도 2는 각 실험군의 방광 절단면을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하여 나타낸 사진(200X)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산수유(Corni Fructus), 당귀(Angelica gigantis Radix), 구기자(Lycii Fructus), 녹용(Cervi parvum cornu), 홍삼(Ginseng Radix Rubra) 및 계피(Cassiae cortkex)를 포함하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탄화수소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에 가용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은 건조된 씨앗을 세절하여, 무게(㎏)의 약 1배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5배 내지 15배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30% 에탄올로, 4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의 추출온도에서 약 1 내지 6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6시간 동안 냉침,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한 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건조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한 생약 추출물을 HCl로 방광염을 유도한 래트에 투여하였을 때, 배뇨 기능을 개선하고, 방광 조직 내 염증을 완화하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키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얻어지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생약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복합 생약 추출물 (WSY-1075)의 제조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 WSY-1075는 강한 염증 조절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공진단을 개량한 것으로서, 산수유, 당귀, 구기자, 녹용, 홍삼, 계피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산수유(Corni Fructus) 25중량부, 당귀(Angelica gigantis Radix) 25중량부, 구기자(Lycii Fructus) 25중량부, 녹용(Cervi parvum cornu) 10중량부, 홍삼(Ginseng Radix Rubra) 10중량부 및 계피(Cassiae cortkex) 5중량부로 각 식물의 씨앗을 건조시켜서 혼합한 후, 중량의 10배 증류수를 가한 수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필터에 거르고 진공에서 농축한 후 감압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고,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참조예 1. 실험 동물의 준비
12주령 암컷 Sprague-Dawley 래트를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의 동물실험은 동물실험윤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CUMC-2012-0124-01)에서 승인받은 절차와 국립보건연구원(NIH)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진행되었다.
먼저 24 마리의 래트를 각각 8 마리씩 대조군(sham-operated), HCl-유도군(HC) 및 WSY-1075 처리한 HCl-유도군(HC+WT)의 3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그룹에 속한 래트는 하루에 한 번씩 총 4주(28일) 동안 증류수(대조군, HC) 또는 WSY-1075(400 mg/kg; HC+WT)를 경구투여 하였다. WSY-1075는 1 ml의 증류수에 희석시켜서 8F red Rob-Nel 카테터를 이용하여 하루에 한 번씩 경구투여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방법(Rivas et al.)을 사용하여 HCl로 래트에 방광염을 유도했으며, 22일째부터 약간의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래트의 요도 주변부를 요오드포 용액으로 세척하였고, 요도에 소독한 폴리에틸렌 카테터를 삽입하였다. HC군 및 HC+WT군에 대하여, 뇨를 흡입함으로써 방광을 비운 후 소독한 시린지로 0.4 M HCl을 0.2 ml씩 점적 주입하였으며, 이를 7일간 반복하였다. HCl은 요도를 경유하여 4분에 걸쳐서 주입되었다. 대조군(sham-operated)에는 HCl 대신 0.2 ml의 멸균 식염수를 주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요도에 카테터를 삽입하고 뇨를 흡입하는 것까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방광 내 점적 주입을 마친 후 예방적 차원의 항생제 처치로서 세파졸린(cephazolin; 7 mg/kg)을 피하주사 하였다.
참조예 2. 통계학적 분석
본 발명의 실험 결과로 나타난 모든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크루스컬-왈리스 검정(Kruskal-Wallis test)과 맬-휘트니 U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이용하고 본페로니 교정(Bonferroni correction)을 통해 통계학적 의의를 평가하였다. CMG 값의 차이, 염증 정도, 산화적 스트레스 측정값 및 사이토카인 레벨 중 교정 분석에는 스피어맨 검정(Spearman's test)이 이용되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P < 0.05 값을 유의수준으로 정했다.
실험예 1. 방광내압측정술 (cystometrography)
4주 후에 모든 래트에 대하여 방광내압측정(CMG)을 실시하였다. 1.2 mg/kg 우레탄을 피하주사함으로써 래트를 마취시킨 후 방광을 노출시키기 위해 치골 중간을 개복하였고, 폴리에틸렌 튜브와 연결된 25G 바늘을 방광 원개(bladder dome)를 통하여 삽입하였다. 삽입된 튜브는 방광내압을 기록하고 방광 안으로 식염수를 주입할 수 있도록 3가지 방식의 밸브를 통해 압력 변환기 및 주사기 펌프(Harvard syringe pump)와 연결되어 있다. 방광을 비운 후에, 0.04 ml/분의 속도로 식염수를 주입하여 CMG를 수행하였으며, 폴리그래프(Grass 7D, Grass Institute Co., MA)를 이용하여 수축 간격 및 수축 압력을 기록하였다.
횟수, 최대 배뇨근 압력, 수축 간격, 방광 용량, 휴지기 압력 및 역치 압력을 포함하는 CMG 파라미터를 하기 표 1에 나타냈으며, 방광내압측정 동안 배뇨기능의 변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CMG 추적 데이터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방광 수축 횟수, 수축 간격 및 방광 용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HC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WSY-1075 처리에 의하여 HCl에 의해 유도된 이와 같은 변수의 감소가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 < 0.05).
[표 1]
Figure pat00001
(a는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 < 0.05)를 b는 HC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 < 0.05)를 나타냄)
실험예 2. 방광의 조직학적 평가 (염증 변화)
CMG 실험을 마친 후, 모든 래트의 방광을 절개하여 무게를 쟀다. 방광 조직을 추출하여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조직학적 평가와 산화적 스트레스 측정 실험을 하였다.
하나의 방광 조직은 20% 완충 포르말린에 96시간 동안 고정시켰고, 나머지 하나의 조직은 -80℃에서 동결시켰다. 상기 방광 조직을 파라핀에 고정한 후 4 μm 두께로 횡단면을 자르고 헤마톡실린-에오신으로 염색했다. 각각의 조직에 대한 방광 염증 평가는 가톨릭대학교 병리학과에서 맹검 방식(blinded fashion)으로 아래와 같은 4점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 0점 : 염증 또는 상피조직의 변화가 전혀 없거나, 형태학적으로 뚜렷하지 않은 경우;
- 1점 : 경비한 만성 부종, 출혈 또는 요로상피의 변화를 수반하며, 림프구 또는 단핵구가 흩어져 있고, 점막고유층(lamina propria) 내에 경미한 염증이 잠입한 경우;
- 2점 : 보통의 만성 부종, 출혈, 피브린 축적, 또는 요로상피의 변화를 수반하며, 점막고유층 내에 중간 단계의 염증이 잠입하고, 고유근육층(muscularis propria) 안으로 염증 중심의 확장된 경우;
- 3점 : 점막고유층 및 고유근육층 내에 요로상피 궤양, 심각한 만성 부종, 출혈 및 피브린 축적과 같은 눈에 띄는 증상과 관련된 심각한 염증이 잠입한 경우.
관찰 결과, 대조군에서는 눈에 띄는 백혈구 침투가 발견되지 않는 일반적인 점막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 모든 래트의 염증 점수가 0~1점을 받았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HC+WT군)에 비하여, 방광염 유도군(HC군)은 훨씬 심각한 만성 염증 및 섬유증 증상을 나타내었으며, 1점 이상의 훨씬 높은 염증 점수를 받았다 (P < 0.001). 실험군의 방광 단면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으며, 방광염 유도군(HC군)에서 점막고유층(lamina propria) 및 고유근육층(muscularis propria)에 단핵구 및 림프구가 발견(* 표시)되었으며, 점막고유층에서는 작은 섬유증(→ 표시) 및 내피세포의 노출(▶ 표시)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2B 참조). WSY-1075를 처리한 후(HC+WT군)에는, 염증 점수가 현저히 감소했으며(P < 0.001), 넓은 범위에 걸쳐서 경미한 내피세포 이상이 일부 발견되었으나, 부종 또는 점막 하 출혈은 현저하게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2C 참조).
[표 2]
Figure pat00002

실험예 3. 사이토카인 분석
본 발명의 WSY-1075가 방광염으로 인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인터루킨(IL)-6, IL-8 및 TNF-α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ELISA 분석을 수행하였다. 래트를 희생시키기 전에 가슴벽을 통해 심장에 구멍을 뚫어서 혈액을 수거하였다. 혈액 시료를 3,000 rpm,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으며, 분석 동안 혈장은 -80℃에 보관하였다. 사이토카인의 농도는 면역분석 ELISA 키트 (R&D Systems, Minneapolis, MN)의 프로토콜에 따라 30분 간 5분마다 450 nm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HC군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 < 0.05), HC군에 비하여 HC+WT군에서 사이토카인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P < 0.05).
실험예 4. 산화적 스트레스 측정
450 nm 분광광도계에서 과산화물(Superoxide)로 매개되는 나이트로블루 테트라졸륨(nitroblue tetrazolium) 환원 속도의 감소를 관찰하면서, SOD Assay Kit-WST (Dojindo)를 이용하여 방광 조직에서 SOD 활성(CuZn SOD 및 Mn SOD)을 측정하였다. 또한 종래 알려진 이중 가열 방법(Draper and Hadley, 1990)으로 자유 라디컬에 의한 과산화 환원물로부터 MDA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 방법은 532-nm 파장에서 최대 흡광도를 생성하는 원리에 기초한 것으로서, 이 방법의 최종 산물은 티오바르비툴산(TBA, thiobarbituric acid)을 포함하는 지방산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HC군에서 SOD 레벨이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P = 0.035), HC군에 비하여 HC+WT군에서 SOD가 증가하였다(P = 0.04).
MDA 레벨은 대조군(0.18±0.04 μmol/mg protein)에 비하여 HC군(1.14±0.18 μmol/mg protein)의 모든 래트 방광 조직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 = 0.002), WSY-1075 처리를 한 HC+WT군(0.73±0.05 μmol/mg protein)에서 MDA 레벨이 현저히 감소하였다(P = 0.007).

Claims (15)

  1. 산수유(Corni Fructus), 당귀(Angelica gigantis Radix), 구기자(Lycii Fructus), 녹용(Cervi parvum cornu), 홍삼(Ginseng Radix Rubra) 및 계피(Cassiae cortkex)를 포함하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산수유 20~30 중량부, 당귀 20~30 중량부, 구기자 20~30 중량부, 녹용 5~15 중량부, 홍삼 5~15 중량부, 계피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산수유, 당귀, 구기자, 녹용, 홍삼 또는 계피의 씨앗 열수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배뇨 기능 개선 효과 및 방광 조직의 염증 완화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방광 내 항산화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6. 산수유(Corni Fructus), 당귀(Angelica gigantis Radix), 구기자(Lycii Fructus), 녹용(Cervi parvum cornu), 홍삼(Ginseng Radix Rubra) 및 계피(Cassiae cortkex)를 포함하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산수유 20~30 중량부, 당귀 20~30 중량부, 구기자 20~30 중량부, 녹용 5~15 중량부, 홍삼 5~15 중량부, 계피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산수유, 당귀, 구기자, 녹용, 홍삼 또는 계피의 씨앗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배뇨 기능 개선 효과 및 방광 조직의 염증 완화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10.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방광 내 항산화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11. 산수유(Corni Fructus), 당귀(Angelica gigantis Radix), 구기자(Lycii Fructus), 녹용(Cervi parvum cornu), 홍삼(Ginseng Radix Rubra) 및 계피(Cassiae cortkex)를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약초를 혼합하여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복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약초를 혼합하는 단계는 산수유 20~30 중량부, 당귀 20~30 중량부, 구기자 20~30 중량부, 녹용 5~15 중량부, 홍삼 5~15 중량부, 계피 2~8 중량부를 포함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복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방법.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 단계는 40 ~ 100℃에서 1 ~ 6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복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방법.
  14.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복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한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방광 또는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복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140002768A 2014-01-09 2014-01-09 과민성 방광 및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549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768A KR101549944B1 (ko) 2014-01-09 2014-01-09 과민성 방광 및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768A KR101549944B1 (ko) 2014-01-09 2014-01-09 과민성 방광 및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467A true KR20150083467A (ko) 2015-07-20
KR101549944B1 KR101549944B1 (ko) 2015-09-04

Family

ID=5387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768A KR101549944B1 (ko) 2014-01-09 2014-01-09 과민성 방광 및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94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0580A (ko) * 2015-08-12 2017-02-23 주식회사 케미메디 방광 섬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WO2017164707A1 (ko) * 2016-03-24 2017-09-28 주식회사 케미메디 전립선 비대증에서 기인한 방광출구폐색에 의해 2차적인 방광 변성으로 유발된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90032897A (ko) 2017-09-20 2019-03-28 박태준 친환경 전통한지 마스크
KR102093517B1 (ko) 2019-05-21 2020-03-25 채영도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KR102222516B1 (ko) 2020-03-05 2021-03-04 김정일 휴대용 여과마스크
KR20220069251A (ko) 2020-11-20 2022-05-27 신남식 윈도 마스크
KR20220116614A (ko) 2021-02-15 2022-08-23 신남식 윈도우 두 겹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102B1 (ko) 2012-11-12 2014-01-07 손기정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성 방광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0580A (ko) * 2015-08-12 2017-02-23 주식회사 케미메디 방광 섬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WO2017164707A1 (ko) * 2016-03-24 2017-09-28 주식회사 케미메디 전립선 비대증에서 기인한 방광출구폐색에 의해 2차적인 방광 변성으로 유발된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90032897A (ko) 2017-09-20 2019-03-28 박태준 친환경 전통한지 마스크
KR102093517B1 (ko) 2019-05-21 2020-03-25 채영도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KR102222516B1 (ko) 2020-03-05 2021-03-04 김정일 휴대용 여과마스크
KR20220069251A (ko) 2020-11-20 2022-05-27 신남식 윈도 마스크
KR20220116614A (ko) 2021-02-15 2022-08-23 신남식 윈도우 두 겹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944B1 (ko) 2015-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944B1 (ko) 과민성 방광 및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271054B1 (ko) 단삼, 백출, 저령, 백복령, 반하, 황련 및 대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145248B1 (ko) 신생혈관형성 억제용 한약 조성물
Geng et al.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ect of Ganoderma lucidum on kidney injuries and diseases
Hayasaka et al. Traditional Japanese herbal (kampo) medicines and treatment of ocular diseases: a review
CN111870568B (zh) 一种抗敏止痒植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KR100601390B1 (ko) 혼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
WO2021249402A1 (zh) 无细胞脂肪提取液对巨噬细胞极化调节与疾病治疗的作用
WO2022028375A1 (zh) 无细胞脂肪提取液对肺部疾病的治疗用途
US2021034645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urple corn extrac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in disease
CN114732863A (zh) 一种治疗肾病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KR101334264B1 (ko) 거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4712351B (zh) 钩藤碱在制备治疗炎症性肠炎药物中的应用
CN115844933B (zh) 忧遁草总黄酮在制备抗心力衰竭药物中的应用
WO2022194094A1 (zh) 无细胞脂肪提取物用于治疗脊髓损伤
KR100207293B1 (ko) 황백피와 마타리 식물의 혼합 수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제 조성물
CN116407582B (zh) 治疗ra及其多脏器并发症的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Oomen et al. Gastroprotective effects of Triticum aestivum Linn., extract on ethanol-induced gastric ulcer in Wistar rats
KR101967318B1 (ko) 삼백초의 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Th-1 매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303790B (zh) 刺山柑或刺山柑提取物的医药用途
KR100841408B1 (ko)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패혈증 및 패혈증성쇼크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20064845A (ko) 알러지 및 아토피성 질환에 효능을 가진 질려자 주정추출물(eett?70)
WO2023153815A1 (ko) 상백피 및 후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
WO2022100400A1 (zh) 无细胞脂肪提取液对非酒精性脂肪肝炎的治疗用途
JP2012530691A (ja) シミラセマートaを単離するため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