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845A - 알러지 및 아토피성 질환에 효능을 가진 질려자 주정추출물(eett?70) - Google Patents

알러지 및 아토피성 질환에 효능을 가진 질려자 주정추출물(eett?70)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845A
KR20120064845A KR1020100126079A KR20100126079A KR20120064845A KR 20120064845 A KR20120064845 A KR 20120064845A KR 1020100126079 A KR1020100126079 A KR 1020100126079A KR 20100126079 A KR20100126079 A KR 20100126079A KR 20120064845 A KR20120064845 A KR 20120064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thyl acetate
fraction
allergy
contro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욱
이승헌
박호재
정준만
송지연
Original Assignee
박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재 filed Critical 박호재
Priority to KR1020100126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4845A/ko
Publication of KR20120064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려자의 C1~C4 저급알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콜 또는 상기 알콜 수용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소양 조성물과 질려자를 C1~C4 저급알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콜 또는 상기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조추출물에 물,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가한 후 분획하여 얻은 하나 이상의 용매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소양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소양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알러지 및 아토피성 질환에 효능을 가진 질려자 주정추출물(EETT?70){EETT-70, alcohol extract of TRIBULI FRUCTUS having activity of anti-allergy and anti-atopy}
본 발명은 항소양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질려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소양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소양은 소양감(搔痒感, 가려움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며, 소양감이란 피부 질환에서 가장 흔히 관찰되는 자각 증상으로 피부를 문지르고 싶은 충동을 일으키는 감각으로서, 돌발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습진성 피부염 등 대부분의 염증성 피부질환에서 나타난다. 작열감(burming), 벌레가 무는 감(biting), 벌레가 기어 다니는 느낌이 드는 의주감(formication)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때로는 아무런 이유 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항문과 생식기는 소양감을 느끼기 쉬운 부위이다. 소양감은 전신질환과 함께 나타나기도 하는데, 동반되는 전신 질환으로는 당뇨병, 담도폐쇄성 질환, 신부전증, 갑상선기능부전, 월경, 폐경 등의 내분비 이상, Hodgkin 병, 균상식육종, 림프육종, 철겹핍성빈혈 등이 있으며 침범된 부위와 환자의 감수성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다.
소양증을 치료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제의 전신 투여 또는 국소 도포가 염증이나 만성적으로 두꺼워진 피부의 가려움증에 혈관 수축 작용, 항증식 작용, 면역억제 작용, 항염증 작용의 4가지 기본적인 특성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전신적인 스테로이드제의 복용은 아토피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등의 만성 피부 질환에서는 의존성이 발생하여 장기 투여로 인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는 항히스타민제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히스타민 수용체는 H1과 H2 수용체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히스타민은 주로 혈관 확장과 두드러기 형성에 관여하며, 가려움증은 이 중 H1 수용체와 관계가 있다. 기존의 1세대 H1 항히스타민제가 뇌혈관 장벽을 통과하여 진정 작용이 심하며, 항콜린성 활성도가 높아 구강의 건조증, 변비, 시야의 초점이 흐려지는 부작용이 있어 사용에 제한이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시대 조류에 따라 천연자원을 가공 처리하여 신약과 건강기능성 제품을 개발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고 있으며, 천연물을 바탕으로 한 건강기능제품의 개발은 새로운 국제시장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세계적 추세이다.
한편, 질려자()는 대한민국의 대표적 약용식물로, 백질려(
Figure pat00002
)로도 불리며, 질려과(납가새과; Zygophyllaceae)에 속한 1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인 납가새(Tribulus terrestris L.)의 성숙한 열매를 건조한 것이다. 약리학적 연구 보고로는 질려자의 일정한 강압 및 이뇨작용과 전초의 추출물은 지해(止咳), 거담(祛痰), 평천(平喘)의 작용이 있는데 그 중에서 지해작용이 비교적 좋다는 보고가 있고, 수침액(水浸液), 에탄올, 수침출액 및 30% 에탄올 침출액의 실험에서는 마취동물의 혈압을 강하시키는 작용이 있다는 보고 등은 있으나 질려자 저급 알콜 추출물의 소양증(搔痒症)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항소양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질려자(
Figure pat00003
)의 C1~C4 저급알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콜 또는 상기 알콜 수용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소양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질려자(
Figure pat00004
)는 일명 백질려로, 질려과(납가새과; Zygophyllaceae)에 속한 1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인 납가새(Tribulus terrestris)의 성숙한 열매를 건조한 것일 수 있으며, 자연에서 채취하거나 재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콜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은 주정(酒精)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항소양은 소양증 또는 소양감 등의 억제, 개선, 예방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 또는 습진성 피부염 중에서 선택된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 또는 습진성 피부염 중에서 선택된 질병 또는 증상의 개선 또는 예방용일 수 있으며,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 또는 습진성 피부염 중에서 선택된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질려자(
Figure pat00005
)를 C1~C4 저급알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콜 또는 상기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조추출물에 물,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가한 후 분획하여 얻은 하나 이상의 용매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소양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알콜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은 주정일 수 있다.
상기 용매분획물은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일 수 있으며,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질려자(
Figure pat00006
)를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조추출물에 물을 넣어 현탁시킨 후 헥산을 첨가하여 헥산층과 물층으로 분획한 후, 헥산층을 제거하고 남은 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층과 물층으로 분획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항소양은 소양증 또는 소양감 등의 억제, 개선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 또는 습진성 피부염 중에서 선택된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 또는 습진성 피부염 중에서 선택된 질병 또는 증상의 개선 또는 예방용일 수 있으며,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 또는 습진성 피부염 중에서 선택된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 중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9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0.1 중량% 미만에서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염려가 있고, 90 중량%초과에서 효과가 더 이상 커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항소양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을 필요로 하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소양법을 제공한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본 발명의 조성물, 용도, 방법에서 언급된 내용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조성물 중 포함되는 유효성분과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유효성분을 약학적, 식품학적 및/또는 미용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배합하여 제제화하여 투여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또한, 마그네슘, 탈크 등 윤활제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주사가능한 액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비강세척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주사가능한 액제, 현탁제, 유제는 물, 비수성용제나 현탁용제와 유효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일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 젤라틴 등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과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시 피하주사, 정맥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로 투여가능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및 활성 화합물의 서방출형 제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 등을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용도 및 방법에 있어서, 유효성분 기준으로 성인 기준 1~200 mg/kg의 용량으로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가능하다. 다만,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며, 담체와 함께 건조한 후 캡슐화하거나 기타 정제, 과립, 분말, 음료, 죽 등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상기 기재한 것 외에도 모든 식품 형태로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며, 적당한 담체를 이용하여 로션제, 크림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 할 수 있으며, 상기 기재한 것 외에도 모든 화장품 형태로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소로 투여될 수 있다. 국소투여는 피부 및/또는 모발에 대한 유효성분(및 조성물)의 직접적인 적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국소용 조성물은 용액, 로숀, 납고, 크림, 연고, 리포좀, 스프레이, 젤, 포움(foam), 롤러스틱(roller stick), 또는 피부과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그 밖의 모든 제형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클린싱(cleansing) 비누 또는 바아(bar)를 구성하는 고체제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에 대해서 수성, 알콜성 또는 수성-알콜성 용액의 형태, 크림, 젤, 에멀젼, 무스, 에어로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모발 보호 조성물 특히 샴푸, 모발-셋팅 로숀, 트리팅 로숀, 스타일링 크림 또는 젤, 염색 조성물, 모발 상실을 방지하기 위한 로숀 또는 젤 등일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을 첨가하여 제제화할 수 있으며, 제제화에 관한 내용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등의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소양에 효과적이다.
도 1은 질려자 에탄올 추출물 분획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질려자 에탄올 추출물의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질려자 에탄올 추출물의 히스타민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질려자 에탄올 추출물의 substance P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질려자 분획물의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질려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7은 질려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히스타민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8은 질려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substance P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나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제조예에서 별도 언급이 없는 한, 시약은 Sigma-Aldrich Chemical C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질려자 저급 알콜 추출물의 항소양 효과 확인
1-1. 추출물 준비
질려자(
Figure pat00007
)(납가새(Tribulus terrestris)의 성숙한 열매를 건조한 것, 대구 약령시장, 대구, 대한민국)를 증류수로 2회 세척한 후 70%에탄올을 질려자의 10배 부피로 가한 후 3회 초음파 추출하였다. 추출이 완료된 후 여과지{와트만(No. 1)}로 여과하고, 이를 회전식 진공 증류기(model FD-5N; Eyela, Tokyo)로 감압 농축하여 얻은 점조상의 추출물을 동결건조기(Eyela, model FDU-2000, 일본)로 동결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수율은 7.96%이었다. 상기 추출물을 EETT-70으로 명명하였다.
1-2. 실험동물의 준비
5주령 웅성 ICR 마우스(20~25g)를 오리엔트(경기도, 한국)에서 공급받아 대구한의과대학교 한방산업대학의 클린 케이지에 약 7일간 적응시켜 사용하였으며, 명암주기는 12시간씩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환경에서 부드러운 깔짚이 깔린 상자에 5마리씩 사육하였다. 사육실의 온도는 섭씨 23±2도로 유지되고, 습도는 55±10%로 하였으며 조명은 12시간 주기(인공조명, 오전 8시~오후 8시)로 하였다. 사료는 실험동물용 분말사료, 물은 상수도로 실험기간 동안 자유롭게 섭취되도록 하였다.
1-3.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 확인
실시예 1-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추출물을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실험동물에 대하여 군을 나누어 시험 1시간 전에 각각 12.5mg/kg, 25mg/kg, 50mg/kg, 100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하였다. 추출물은 10% tween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양성대조군에 대하여 terfenadine를 시험 1시간 전에 10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하였으며, 대조군에 대하여 시험 1시간 전에 10% tween을 경구투여하였다.
시험군, 양성대조군, 대조군을 경구투여 후 실험 조건과 동일한 환경의 케이지로 옮겨 30분간 적응시켰다. 이로부터 30분 뒤 Compound 48/80(50 ug/kg)을 시험군, 양성대조군, 대조군 각각에 피하주사하였다. 피하주사한 직후부터 동일한 환경의 새로운 케이지에서 10분 단위로 30분간 긁기 빈도(scratching frequency)를 카운터기로 계수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질려자 에탄올 추출물의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막대는 8~10마리 마우스에 대한 결과값의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다. P값은 일원배치 분산분석법(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시행한 후 스튜던트-뉴만-쿨스(Student-Newman-Keuls) 테스트로 구하였다. *는 P<0.05 vs 대조군을 나타낸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인 terfenadine 투여군에서는 몸을 긁는 횟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 < 0.05). 질려자 에탄올 추출물 12.5, 25, 50 및 100 mg/kg으로 투여한 군에서는 몸을 긁는 횟수 (scratching frequency)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50 mg/kg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P < 0.05). 따라서 질려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소양 효과가 뛰어나며,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 또는 습진성 피부염 중에서 선택된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1-4. 히스타민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 확인
실시예 1-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추출물을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실험동물에 대하여 군을 나누어 시험 1시간 전에 각각의 시험군에 대하여 0mg/kg, 50mg/kg, 또는 100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하였다. 추출물은 10% tween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대조군(control)에 대하여 시험 1시간 전에 10% tween을 경구투여하였다.
준비한 시험군, 대조군을 경구투여 후 실험 조건과 동일한 환경의 케이지로 옮겨 30분간 적응시켰다. 이로부터 30분 뒤 히스타민(100 ug/kg)을 시험군 각각에 피하주사하였다. 피하주사한 직후부터 동일한 환경의 새로운 케이지에서 10분 단위로 30분간 긁기 빈도(scratching frequency)를 카운터기로 계수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질려자 에탄올 추출물의 히스타민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막대는 8~10마리 마우스에 대한 결과값의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다. P값은 일원배치 분산분석법(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시행한 후 스튜던트-뉴만-쿨스(Student-Newman-Keuls) 테스트로 구하였다. *는 P<0.05 vs 히스타민-처리군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질려자 에탄올 추출물 50 및 100 mg/kg으로 투여한 군에서는 몸을 긁는 횟수 (scratching frequency)가 히스타민만 투여한 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50 mg/kg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P < 0.05). 따라서 질려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소양 효과가 뛰어나며,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 또는 습진성 피부염 중에서 선택된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1-5. Substance P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 확인
실시예 1-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추출물을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실험동물에 대하여 군을 나누어 시험 1시간 전에 각각의 시험군에 대하여 0mg/kg, 3.125mg/kg, 6.25mg/kg, 12.5mg/kg, 또는 25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하였다. 추출물은 10% tween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양성대조군에 대하여 terfenadine를 시험 1시간 전에 10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하였으며, 대조군(control)에 대하여 시험 1시간 전에 10% tween을 경구투여하였다.
시험군, 양성대조군, 대조군을 경구투여 후 실험 조건과 동일한 환경의 케이지로 옮겨 30분간 적응시켰다. 이로부터 30분 뒤 substance P(100 nmol/부위)를 시험군, 양성대조군 각각에 피하주사하였다. 피하주사한 직후부터 동일한 환경의 새로운 케이지에서 10분 단위로 30분간 긁기 빈도(scratching frequency)를 카운터기로 계수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질려자 에탄올 추출물의 substance P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막대는 8~10마리 마우스에 대한 결과값의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다. P값은 일원배치 분산분석법(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시행한 후 스튜던트-뉴만-쿨스(Student-Newman-Keuls) 테스트로 구하였다. *는 P<0.05 vs substance P-처리군을 나타낸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인 terfenadine 투여군(Ter)에서는 몸을 긁는 횟수가 substance P만 투여한 군(SP)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 < 0.05). 질려자 에탄올 추출물 6.25, 12.5 및 25 mg/kg으로 투여한 군에서는 몸을 긁는 횟수 (scratching frequency)가 substance P만 투여한 군(SP)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12.5 mg/kg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P < 0.05). 따라서 질려자 에탄올 추출물은 항소양 효과가 뛰어나며,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 또는 습진성 피부염 중에서 선택된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질려자 분획물의 항소양 효과 확인
2-1. 분획물 준비
분획과정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동결건조물을 분획깔대기에서 증류수(중량기준으로 동결건조물의 10 배 량)에 분산시키고, n-헥산(부피기준으로 동결건조물 분산된 증류수의 1 배 량)을 첨가하고 10분간 진탕 후 120분 정치하여 n-헥산층과 수층으로 분획한 후 이를 2회 반복하여 헥산층을 얻었고, 상기 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부피기준으로 수층의 1 배 량)를 첨가하고 10분간 진탕 후 120분 정치하여 에틸아세테이트와 수층으로 분획한 후 이를 3회 반복하여 에틸아세테이트층을 얻었고, 상기 수층에 n-부탄올(부피기준으로 수층의 1배 량)을 첨가하고 10분간 진탕 후 120분 정치하여 부탄올층과 수층을 분획한 후 이를 3회 반복하여 부탄올층을 얻었다. 또한 부탄올층을 제거한 수층을 얻었다.
상기 각 분획을 각각 회전식 진공 증류기(model FD-5N; Eyela, Tokyo)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기(Eyela, model FDU-2000, 일본)로 동결건조하여 헥산분획물(수율 0.25%),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수율 9.7%), 부탄올 분획물(수율 7.9%), 물 분획물(수율 36.3%)을 얻었다. 그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EETT-70-EA으로 명명하였다.
2-2. 실험동물의 준비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2-3.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 확인
실시예 2-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분획물 중 헥산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헥산분획물, 물 분획물을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실험동물에 대하여 군을 나누어 시험 1시간 전에 각각 10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하였다. 또한, 군을 나누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각각 0.6, 1.2, 2.5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하였다. 분획물은 10% tween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양성대조군에 대하여 terfenadine를 시험 1시간 전에 10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하였으며, 대조군(control)에 대하여 시험 1시간 전에 10% tween을 경구투여하였다.
시험군, 양성대조군, 대조군을 경구투여 후 실험 조건과 동일한 환경의 케이지로 옮겨 30분간 적응시켰다. 이로부터 30분 뒤 Compound 48/80(50 ug/kg)을 시험군, 양성대조군, 대조군 각각에 피하주사하였다. 피하주사한 직후부터 동일한 환경의 새로운 케이지에서 10분 단위로 30분간 긁기 빈도(scratching frequency)를 카운터기로 계수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와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질려자 분획물의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고, 도 6은 질려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막대는 8~10마리 마우스에 대한 결과값의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다. P값은 일원배치 분산분석법(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시행한 후 스튜던트-뉴만-쿨스(Student-Newman-Keuls) 테스트로 구하였다. *는 P<0.05 vs 대조군을 나타낸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인 terfenadine 투여군에서는 몸을 긁는 횟수가 Compound 48/50만을 투여한 대조군(control)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 < 0.05). 질려자 분획물 중 질려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대조군에 비하여 몸을 긁는 횟수 (scratching frequency)가 특히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 < 0.05).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질려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2.5mg/kg 투여군에서 특히 대조군에 비해 몸을 긁는 횟수(scratching frequency)가 특히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 < 0.05). 따라서 질려자 분획물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항소양 효과가 뛰어나며,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 또는 습진성 피부염 중에서 선택된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2-4. 히스타민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 확인
실시예 2-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실시예 2-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실험동물에 대하여 군을 나누어 시험 1시간 전에 각각의 시험군에 대하여 0.6mg/kg, 1.2mg/kg, 또는 2.5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하였다. 추출물은 10% tween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양성대조군에 대하여 terfenadine를 시험 1시간 전에 10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하였으며, 대조군(control)에 대하여 시험 1시간 전에 10% tween을 경구투여하였다.
준비한 시험군, 양성대조군, 대조군을 경구투여 후 실험 조건과 동일한 환경의 케이지로 옮겨 30분간 적응시켰다. 이로부터 30분 뒤 히스타민(100 ug/kg)을 시험군, 양성대조군, 대조군 각각에 피하주사하였다. 피하주사한 직후부터 동일한 환경의 새로운 케이지에서 10분 단위로 30분간 긁기 빈도(scratching frequency)를 카운터기로 계수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은 질려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히스타민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막대는 8~10마리 마우스에 대한 결과값의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다. P값은 일원배치 분산분석법(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시행한 후 스튜던트-뉴만-쿨스(Student-Newman-Keuls) 테스트로 구하였다. *는 P<0.05 vs 대조군을 나타낸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인 terfenadine 투여군에서는 몸을 긁는 횟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 < 0.05). 질려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2.5mg/kg으로 투여한 군에서는 몸을 긁는 횟수 (scratching frequency)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 < 0.05). 따라서 질려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소양 효과가 뛰어나며,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 또는 습진성 피부염 중에서 선택된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2-5. Substance P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 확인
실시예 2-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실시예 2-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실험동물에 대하여 군을 나누어 시험 1시간 전에 각각의 시험군에 대하여 0.6mg/kg, 1.2mg/kg, 또는 2.5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하였다. 추출물은 10% tween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양성대조군에 대하여 terfenadine를 시험 1시간 전에 10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하였으며, 대조군(control)에 대하여 시험 1시간 전에 10% tween을 경구투여하였다.
시험군, 양성대조군, 대조군을 경구투여 후 실험 조건과 동일한 환경의 케이지로 옮겨 30분간 적응시켰다. 이로부터 30분 뒤 substance P(100 nmol/부위)를 시험군, 양성대조군, 대조군 각각에 피하주사하였다. 피하주사한 직후부터 동일한 환경의 새로운 케이지에서 10분 단위로 30분간 긁기 빈도(scratching frequency)를 카운터기로 계수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은 질려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substance P에 의해 유도된 국소 소양증 모델에서 항소양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막대는 8~10마리 마우스에 대한 결과값의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다. P값은 일원배치 분산분석법(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시행한 후 스튜던트-뉴만-쿨스(Student-Newman-Keuls) 테스트로 구하였다. *는 P<0.05 vs 대조군을 나타낸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인 terfenadine 투여군에서는 몸을 긁는 횟수가 대조군(control)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 < 0.05). 질려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2.5 mg/kg으로 투여한 군에서는 몸을 긁는 횟수 (scratching frequency)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 < 0.05). 따라서 질려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항소양 효과가 뛰어나며,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 또는 습진성 피부염 중에서 선택된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1> 약학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질려자 에탄올 추출물 100mg, 옥수수 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2> 약학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질려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mg, 옥수수 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1> 식품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질려자 에탄올 추출물(4중량 %), 액상과당(0.5중량%), 올리고당(2중량%), 설탕(2중량%), 및 식염(0.5중량%)에 물을 추가하여 잔량을 맞춘 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2> 식품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질려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4중량 %), 액상과당(0.5중량%), 올리고당(2중량%), 설탕(2중량%), 및 식염(0.5중량%)에 물을 추가하여 잔량을 맞춘 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1> 화장품 조성물 제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질려자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수(스킨로션)를 하기 표의 함량으로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1-1 추출물 1.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글리콜 2.0
4 프로필렌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6 에탄올 10.0
7 방부제 0.4
8 향료 0.01
9 정제수 잔량
상기 표 중 9번 원료에 2, 3, 4, 7번 원료를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5번 원료를 섭씨 60도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8번 원료를 투입하여 용해한 후 상기 용해물에 투입하였다. 마지막으로 1, 6번 원료를 상기 용해물에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숙성시켜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2> 화장품 조성물 제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질려자 에탄올 추출물 대신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질려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질려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함유한 화장수(스킨로션)를 제조하였다.

Claims (9)

  1. 질려자의 C1~C4 저급알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콜 또는 상기 알콜 수용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소양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은 에탄올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 또는 습진성 피부염 중에서 선택된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
  5. 질려자를 C1~C4 저급알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알콜 또는 상기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조추출물에 물,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가한 후 분획하여 얻은 하나 이상의 용매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소양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질려자를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조추출물에 물을 넣어 현탁시킨 후 헥산을 첨가하여 헥산층과 물층으로 분획한 후, 헥산층을 제거하고 남은 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층과 물층으로 분획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인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 또는 습진성 피부염 중에서 선택된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인 조성물.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100126079A 2010-12-10 2010-12-10 알러지 및 아토피성 질환에 효능을 가진 질려자 주정추출물(eett?70) KR20120064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079A KR20120064845A (ko) 2010-12-10 2010-12-10 알러지 및 아토피성 질환에 효능을 가진 질려자 주정추출물(eett?7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079A KR20120064845A (ko) 2010-12-10 2010-12-10 알러지 및 아토피성 질환에 효능을 가진 질려자 주정추출물(eett?7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845A true KR20120064845A (ko) 2012-06-20

Family

ID=4668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079A KR20120064845A (ko) 2010-12-10 2010-12-10 알러지 및 아토피성 질환에 효능을 가진 질려자 주정추출물(eett?70)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48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070B1 (ko) 2015-12-07 2016-08-29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질려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볼륨 증진 또는 주름, 탄력 개선용 조성물
EA026930B1 (ru) * 2014-12-25 2017-05-31 Азербайджански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иосцинина из якорцев стелющихс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26930B1 (ru) * 2014-12-25 2017-05-31 Азербайджански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иосцинина из якорцев стелющихся
KR101652070B1 (ko) 2015-12-07 2016-08-29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질려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볼륨 증진 또는 주름, 탄력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4156B2 (ja) 深部体温上昇剤
US9669043B2 (en) Synergi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serotonin reuptake inhibition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KR101898688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549944B1 (ko) 과민성 방광 및 방광의 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10053861A (ko)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우수한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KR20100117074A (ko) 캡시쿰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6982A (ko)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H09208484A (ja)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KR101270736B1 (ko)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KR20120064845A (ko) 알러지 및 아토피성 질환에 효능을 가진 질려자 주정추출물(eett?70)
KR101731859B1 (ko)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 체중 감소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46412B1 (ko) 탱자나무 속 식물 및/또는 치자 속 식물의 과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EP3995143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comprising snake venom
KR102343245B1 (ko) 감국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0531B1 (ko) Agkistrodon piscivorous piscivorous로부터 유래된 뱀독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14058A (ko) 천식 또는 아토피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40031131A (ko) 애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치료용 조성물
KR102030127B1 (ko) 운데칸 또는 운데칸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1334264B1 (ko) 거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58429B1 (ko) 감피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340534B1 (ko) Naja melanoleuca로부터 유래된 뱀독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40315A (ko) 천식 또는 아토피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