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861A -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우수한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 Google Patents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우수한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861A
KR20110053861A KR1020090110554A KR20090110554A KR20110053861A KR 20110053861 A KR20110053861 A KR 20110053861A KR 1020090110554 A KR1020090110554 A KR 1020090110554A KR 20090110554 A KR20090110554 A KR 20090110554A KR 20110053861 A KR20110053861 A KR 20110053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oe vera
extract
concentrate
sprout
aller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2056B1 (ko
Inventor
조태형
도선길
신은주
장혜인
김진완
안계환
양승원
임진희
김동선
남정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양
Priority to KR1020090110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056B1/ko
Priority to CA2780225A priority patent/CA2780225A1/en
Priority to MX2012005609A priority patent/MX357554B/es
Priority to PCT/KR2010/008086 priority patent/WO2011059292A2/ko
Priority to US13/509,704 priority patent/US20120328721A1/en
Publication of KR20110053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4Decongestants or antiallerg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세포증식 촉진용, 항산화용 및 항알러지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또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알로에 베라 새순,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항알러지

Description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우수한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Baby Aloe vera concentrate or extract having excellent effects of promotion of skin cell proliferation, antioxidant and anti-allergy}
본 발명은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세포증식 촉진용, 항산화용 및 항알러지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또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알로에(Aloe vera)는 백합과(Liliaceae) 알로에 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다년생 상록 다육질 초본으로 분류되어 있다. 잎은 반원기둥 모양으로 어긋나고 뿌리와 줄기에 달리며, 잎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 모양의 가시가 있고 밑 부분은 넓어서 줄기를 감싸며 로제트 모양으로 퍼져있으며 잎 뒷면은 둥글고 앞면은 약간 들어가 있다.
예로부터 외국의 민간약초로서 오랫동안 이용되어 왔으며 알로에를 최초로 치료용으로 사용한 기록은 기원전 2100년경 수메리아 의사가 기록한 석판 (Clay Tablet)에 나타나 있으며 중국의 개보본초, 우리나라의 동의보감 및 대한약전에도 사용기록이 있다. 화상, 피부질환 등의 치료목적(J. E. Crewe, M.D., Aloe in the Treatment of Burn and Scalds, Minnesota Medicine, 22, 538~539 (1985), Biltz J. J., smith, J.W. and Gerard. J. R., Aloe vera gel in peptic ulcer theraphy : preliminary report. J. Am. Osteop. Assoc. 62, 731~735 (1963), Lee, L. M., Haggers, J. P., Robson, M. C. and Hahstrom, W. J., The therapeutic efficacy of Aloe vera cream in themal injuries : Two case report., J. Am. Anim. Hosp. Assoc., 16, 768~777 (1980))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건강식품뿐 아니라 화장품에도 그 사용영역이 확대되어 있다.
알로에의 주요성분으로는 알로인(aloin), 알로에-에모딘(aloe-emodin), 알로에닌(aloenin), 알로에신(aloesin) 등 안트라퀴논(anthraquinone)류가 많이 보고되어 왔으며 고분자 다당체, 당단백질, 아미노산 및 미네랄 등이 밝혀져 있다. 그 약리효과로는 진통, 항알러지, 항균, 강장작용, 항염작용, 항종양작용, 혈당강하, 카드뮴 독성 완화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특히, 피부 세포재생, 상처치유,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면역 세포 보호, 피부보습효과 등이 보고되어, 피부 상처 개선 및 피부보호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 화장품에 이용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효능 및 성분에 대한 연구는 2년 내지 3년 이상 성장한 성체 알로에 잎을 중심으로 연구된 결과이며, 어린 알로에 즉, 알로에 베라 새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알로에 베라는 종자 번식, 새순의 옮겨 심기, 성체 알로에 잎의 꺾꽂이로 번식이 가능한데, 특히 번식을 위하여 성체 알로에의 주위에 왕성하게 새순을 자라게 하며, 이러한 새순을 옮겨 심는 것이 가장 보편적인 번식 방법이다. 그러나 새순의 일부만이 성체 알로에를 얻기 위해 옮겨 심어지게 되고 대부분의 새순은 성체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제거되는데, 제거된 새순은 일반적으로 버려지고 상업적으로 활용한 경우는 없으며 이에 대한 효능 및 성분 함량 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식물의 새순과 어린 식물은 식물의 줄기세포라고 할 수 있는 미분화세포(Blastocyte)가 많으며, 세포증식이 활발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식물의 성장(세포증식)을 촉진 하기 위한 식물성장호르몬의 생산 및 분비와 빠른 세포증식 및 분화를 위한 세포구성성분(Building block)의 생성이 왕성하며, 구조 단백질 및 기능 단백질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연약한 어린 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자기 방어 시스템이 성체에 비하여 우수하여 항산화 단백질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산화 작용은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과정으로써, 체내의 활성 산소는 일반적인 세포 대사과정에서 생성되고 대표적인 원인 물질에는 과산화수소(H2O2)가 있으며 세포를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노화의 주요한 원인으로 여겨진다. 세포 내에는 과산화 수소를 산소와 물로 전환시켜 손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카탈라아제(catalase) 및 과산화억제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등이 있으나, 그러한 전환이 100%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남은 과산화수소가 세포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항산화제가 널리 사용된다.
알러지는 체외 이물질에 대한 과민성 면역반응이다. 대표적으로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천식, 알러지성 피부염, 알러지성 결막염, 알러지성 위장관 질환 등이 있으며, 성체 알로에의 경우 당단백 중의 하나인 알프로젠(Alprogen)은 염증매개물질인 히스타민과 류코트레인의 방출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여 알러지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성체 알로에 베라의 재배에서 부산물(부생산물)로 생성되어 버려지고 있던 알로에 베라 새순이 성체 알로에 베라와 차별화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냄을 새로이 발견하고,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세포재생 및 상처치유에 효과가 있고, 우수한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그를 함유하는 피부세포증식 촉진제, 항산화제 및 알러지 질환 또는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또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12개월 이하의 알로에 베라의 새순을 분쇄 하여 안트라퀴논류 및 기타 색소들을 제거한 후, 일반적인 농축법에 의해 농축한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감압농축, 여과농축 및 동결농축 등의 방법으로 농축한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알로에 새순 농축물을 분무건조, 동결건조, 전열 굴절식 건조 및 기타 일반적인 건조방법으로 건조시킬 수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탄소수 1-4개의 저급 케톤, 탄소수 1-4개의 저급 에스테르,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알로에 베라 새순 추출물 무게의 1 내지 20배 부피(ml)의 용매에서 추출한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추출물 또는 그 농축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열수추출, 냉침추출, 초음파추출 또는 환류냉각추출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추출물 또는 그 농축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1 내지 120℃ 온도에서 1 내지 72시간 동안 추출한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알로에 베라 새순을 한외여과막 또는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정제한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알프로젠이 1 ppm ~ 1000ppm 이상 포함된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 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세포증식 촉진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 또는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알러지 질환 또는 증상이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천식, 알러지성 피부염, 알러지성 결막염, 알러지성 위장관 질환인 상기 알로에 베라 새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 또는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세포증식 촉진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또는 알러지 관련 질환 또는 증상의 완화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은 성체 알로에 농축물 또는 추출물에 비하여SOD 활성 및 알프로젠 함량이 높고,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 섬유아세포로부터 콜라젠 합성 촉진 및 MMP-1 합성의 저해 활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사용하면,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우수한 의약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또는 화장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이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 또는 추출물에 비하여 미네랄, 필수아미노산, 조단백질, 당단백 및 식물성장호르몬 함량이 풍부함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여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이 높은 SOD 활성 및 알프로젠 함량,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 섬유아세포로부터 콜라젠 합성 촉진 및 MMP-1 합성의 저해 활성이 있는 것을 밝힘으로써, 우수한 항산화효과, 피부자극감소 효과, 피부 조직 보호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효한 약제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또는 화장품에 관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기존에 성체 알로에 베라를 위주로 이루어졌던 알로에에 대한 연구를 알로에의 재배 과정에서 버려지는 알로에 베라 새순으로 확장하여 알로에 베라 새순의 상업적 활용이 가능하게 하고, 피부 재생이나 상처치유, 항산화 작용 및 알러지에 효과가 성체 알로에 베라보다 우수함을 밝힌 데 그 의의가 있다.
알로에의 단백질 성분은 세포재생 및 상처치유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 된 바 있는데,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의 아미노산 및 조단백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낸다. 또한, 새순 및 어린식물에 풍부한 것으로 알려진 식물성장호르몬은 섬유아세포 성장촉진 및 상처치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고(Abu Sinna G.(1983) Comp Biochem Physiol C. 74(2):433-6., Robert H. Davis. Aloe vera : A scientific approach, Vantage),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은 식물성장호르몬 함량이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에 비해 높으므로,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에 비하여 세포재생 및 상처치유 효과가 우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는 표피의 80%를 이루고, 일정 기간을 주기로 증식 및 분화를 반복하며 각질층에서의 박리가 일어나는 것을 턴-오버(turn-over)라 하고, 이것이 원활하지 못하면 과각질화되거나 각질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며, 섬유아세포(fibroblast)는 세포외 기질 및 콜라겐을 합성하는 세포로서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콜라겐은 피부 진피층의 구성요소로서 탄력섬유인 엘라스틴과 함께 피부를 견고하고 밀도 있게 하고,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제(Matrix Metallo-Proteinase, MMP)-1은 피부노화 및 주름생성에 관계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세포외 기질과 기저막을 구성하는 성분을 분해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결합조직을 파괴시켜 주름 생성, 피부 탄력의 저하를 야기하고, 진피층의 콜라겐 붕괴를 촉진하며, 광노화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및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활성화시키고, MMP-1합성 억제 및 콜라겐 합성촉진에 효능이 있어, 피부세포증식 촉진작용을 할 수 있고, 특히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에 비하여 그 효능이 우수하다.
SOD는 인체의 활성 산소를 제거하여 활성 산소로부터 인체를 보호 하고 특히, 피부에서는 방사선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 보호 및 개선효과, 미생물에 의한 염증성 반응의 개선 등의 효과가 있고, 알로에 베라는 시금치나 간과 유사한 정도의 SOD 활성을 나타내어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Sabeh E., 1996, Isozymes of Superoxide Dismutase from Aloe Vera. Enzyme Protein 49:212-221).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은 SOD 함량이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에 비해 월등히 높으므로,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알로에의 알프로젠은 알러지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은 알프로젠 함량이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에 비해 높게 나타나 항알러지 효능이 보다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알로에 베라 새순"은 성체 알로에 베라의 밑둥에서 생겨나는(발아되는) 월령이 12개월 이하인 어린 알로에 베라, 바람직하게는 월령이 6개월 이하인 어린 알로에 베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은 수확한 알로에 베라 새순을 분쇄하고 색소들을 제거한 후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농축 방법, 예컨대 감압 농축법, 여과 농축법, 분무건조법, 동결건조법 및 전열 굴절식 건조법 등의 방법으로 농축시킨 농축물이나, 당업자가 변형할 수 있는 범위의 방법으로 농축시 킨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12개월 이하, 바람직하게는 6개월 이하의 알로에 베라의 새순을 수확하여 물로 깨끗이 세척 후 분쇄 하고, 전체 부피의 0.1 ~ 10%에 해당하는 활성탄을 첨가하여 안트라퀴논류 및 기타 색소들을 흡착시킨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활성탄을 제거한다. 이를 일반적인 농축법에 의해 농축한 후 분무건조, 동결건조, 전열 굴절식 건조 및 기타 일반적인 건조방법으로 건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공정으로 농축화 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새순 추출물은 12개월 이하, 바람직하게는 6개월 이하의 알로에 베라 새순을 깨끗이 세척한 후 분쇄한 알로에 베라 새순 분쇄물을 그 무게(g)의 약 1배 내지 20배 부피(ml)의 물, 알코올, 케톤, 에스테르, 할로겐화 탄화수소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실온 내지 100℃의 추출온도에서 약 5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열수추출, 냉침추출, 초음파추출 또는 환류냉각추출 등의 추출방법에 의해 1회 내지 5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추출물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최종 추출물 중의 용매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및 1,3-부틸렌글리콜 등), 탄소수 1-4개의 저급케톤 (예. 아세톤 등), 탄소수 1-4개의 저급 에스테르 (예.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 등),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의 함수 저급 알코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추출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또는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 등에 따른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되는 다양한 방법으로 정제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와 저급 알콜이 2:1 내지 100:1,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20:1의 비로 혼합된 혼합용매 또는 저급 에스테르, 저급 알코올 및 물이 20:1:0 내지 6:4:2의 비로 혼합된 혼합용매를 용출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12개월 이하의 알로에 베라의 새순을 분쇄 하여, 안트라퀴논류 및 기타 색소들을 제거한 후, 일반적인 농축법에 의해 농축한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분쇄한 알로에 베라 새순을 감압농축, 여과농축 및 동결농축 등의 방법으로 농축한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 는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알로에 새순 농축물을 분무건조, 동결건조, 전열 굴절식 건조 및 기타 일반적인 건조방법으로 건조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알로에 베라 새순을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탄소수 1-4개의 저급 케톤, 탄소수 1-4개의 저급 에스테르,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추출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알로에 베라 새순을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의 함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한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상기 용매를 알로에 베라 새순 분쇄물 무게(g)의 약 1배 내지 20배 부피(ml)로 사용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알로에 베라 새순을 상기 용매를 이용하여 열수추출, 냉침추출, 초음파추출 또는 환류냉각추출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알로에 베라 새순을 상기 용매를 이용하여 열수추출, 냉침추출, 초음파추출 또는 환류냉각추출의 추출방법으로 1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100℃의 추출온도에서 추출한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알로에 베라 새순을 상기 용매를 이용하여 열수추출, 냉침추출, 초음파추출 또는 환류냉각추출의 추출방법으로 1 내지 72시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8시간 동안 추출한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상기 추출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용매가 1%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용매가 0.1% 미만의 함량인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상기 추출 방법에 의한 추출물의 알프로젠 함량이 1 ppm - 1000 ppm 이상인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바람직하게는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와 저급 알코올이 2:1 내지 100:1,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20:1의 비로 혼합된 혼합용매 또는 저급 에스테르, 저급 알코올 및 물이 20:1:0 내지 6:4:2의 비로 혼합된 혼합용매를 용출제로 사용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과정에 의해 분말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알러지 관련 질환 또는 증상"에는 아나필락시성 쇽(anaphylactic shock),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천식, 알러지성 피부염, 알러지성 결막염, 알러지성 위장관 질환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방"이란 건강한 환자에게 제약 조성물과 같은 제제를 예방적으로 투여하여 본원에서 언급한 질병 및 증상의 발병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또한, 치료할 질병의 전단계에 있는 환자에게 그러한 제제를 예방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치료"란 용어는 본원에서 언급한 질병을 치료하는 것뿐만 아니라, 병용 제제 또는 제약 조성물과 같은 조합 제제를 건강한 환자에게 예방적으로 투여하여 본원에서 언급한 질병 및 증상의 발병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은 피부세포증식 촉진 및 항산화에 효과가 있고 알러지의 치료에 유용하며, 본 발명의 조합 제제는 이들 목적을 위하여 통상적인 무독성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보조제 및 전달체(vehicle)를 포함하는 투여 단위 제형의 형태로 경구적으로, (피하 주사, 정맥 주사, 근육내 주사, 흉골내 주사 또는 주입 등) 비경구적으로, 또는 직장내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의 경구용 조성물은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충진제, 가용화제 또는 유화제 및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염을 비롯한 불활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용요법에 사용되는 정제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고형 담체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형화 될 수 있다.
"제약상 허용된 담체"란 조성물, 구체적으로 의약 조성물의 활성 물질을 제외한 성분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하고,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경구용 고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고,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의 부형제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용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을 포함하고, 물, 리퀴드 파라핀 등의 희석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비경구용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를 포함하며,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류 등을 포함하고,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피부보호 및 개선, 활성산소로부터 인체 및 피부보호, 알러지증상 개선의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캅셀제는 통상의 경질캅셀에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의 입상물 또는 제피한 입상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캅셀제는 알로에 베라 새순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젤라틴 등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과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과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 개정판, p33-48, 1989).
본 발명에 의한 피부보호 및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외용의약품, 화장품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예를 들면, 연고제, 팅크제, 비누 및 통상적인 화장품, 예컨대, 크림, 마사지크림, 콜드크림, 클렌징 크림, 화장수, 밀크로션,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백분, 립스틱, 자외선 차단크림, 목욕제, 세안크림, 세안젤, 세안폼, 바디샴푸, 바디젤, 바디크림, 핸드크림 등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들을 제형화하는 경우에는 외용 의약품, 비누기제 및 화장품 제조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및 부형제, 예를 들면 유화제, 보존제, 윤활제, 희석제, 점증제, 보습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사용하여 화장품 제조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습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솔비톨, 콜라겐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 보습성분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화제로는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수소화 캐스터 오일(hydrogenated castor oi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점증제로는 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하이드록시구아닌,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쿼터늄,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 카라기난 등 포함하고, 방부제는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메틸 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및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의 제조 공정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설명하고,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및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의 조단백, 아미노산, 미네랄, 식물성장호르몬 및 알프로젠 함량, SOD활성, 각질형성세포 분화촉진 활성, 섬유아세포 증식촉진 활성, MMP-1 합성 억제능 및 콜라겐 합성 촉진 활성을 비교한 하기의 실험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의 제조
중국하이난에서 재배한 6개월 이하의 알로에 베라 새순을 수확하여 세척하고, 활성탄 컬럼을 사용하여 안트라퀴논류 및 기타 색소들을 제거하고, 여과, 감압, 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의 시료를 얻은 후, 실온에 보관하였다.
비교예 1: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의 제조
중국하이난에서 2 내지 3년 이상 재배한 성체 알로에 잎을 수확하여, 실시예1의 제조 방법에 따라 가공하였다.
실험예 1: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및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의 조단백 함량 비교
조단백함량은 건강기능식품공전 (2008-64) Ⅲ.3.3.1 조단백질 세미마이크로 킬달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은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에 비하여 조단백 함량이 약 2배 정도 높았다.
실시예1 비교예1
조단백질함량(%) 3.918 2.032
실험예 2: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및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의 아미노산 함량 비교
아미노산 함량은 건강기능식품공전 (2008-64) III. 3.3.2 아미노산 분석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 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은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에 비하여 비교 가능한 아미노산 중 이소류신의 함량만이 약간 낮았을 뿐, 그 밖의 모든 아미노산 함량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이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에 비하여 3배 이상 높았다.
실시예1 (%) 비교예1 (%)
leucine 0.073 0.034
lysine 0.107 0.031
methionine 0.006 0.005
valine 0.100 0.045
isoleucine 0.062 0.069
threonine 0.073 0.043
tryptophane 0.025 0.026
histidine 0.026 0.026
phenylalanine 0.030 0.030
glysine 0.093 0.045
alanine 0.186 0.142
asparagine 0.087 0.088
aspartic acid 0.390 0.040
glutamine 0.564 0.565
serine 0.115 0.063
tyrosine 0.045 0.042
cysteine 0.002 0.001
Total 1.852 1.295
실험예 3 : 미네랄 함량 비교
건강기능식품공전 (2008-64) III. 3.2 미네랄분석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 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은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에 비하여 30% 이상 높은 미네랄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1 (%) 비교예1 (%)
Ba 0.01 0.01
B 0.01 0.01
Ca 2.84 3.47
K 9.14 5.11
Mg 1.24 1.02
Mn 0.06 0.04
Na 0.53 0.97
P 0.40 0.30
Si 0.02 0.03
Zn 0.01 0.02
Total 14.26 10.98
실험예4 : 식물성장호르몬 함량 비교
식물성장호르몬인 인돌 아세트산(Indol acetic acid, IAA) 의 함량은 Phytodetek IAA test kit (Phytodetek. Co. Ltd.)를 이용하여 경쟁(Competitive) ELISA를 실시하여 정량 분석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의 IAA 함량이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 분말보다 약 60%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1 비교예1
IAA 2125.4 1332.7
실험예 5: 알프로젠 함량 비교
실시예1과 비교예1 각각 20g을 175ml 추출 버퍼(Extraction buffer)에 녹인 후 25 %의 암모늄 설페이트(Amonium sulfate)로 석출한 후 이를 담수화(desalting)하여 시료를 얻고 농축하였다. 시료 0.5㎍을 SDS-PAGE에 전기영동 시킨 후 항알프로젠 항체(Anti-Alprogen Ab) 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랏팅(western blotting)을 실시함으로써 알프로젠 함량을 확인 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은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에 비하여 알프로젠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1 비교예1
알프로젠 1.678 1.337
실험예 6: SOD 활성 비교
SOD 활성은 건강기능식품공전(2004) 제101-103면의 SOD시험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의 SOD활성은 그램(g)당 9600.1 units로 측정되어, 그램(g)당 1361.71 units로 측정된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에 비하여 7배 이상으로 월등히 높은 SOD활성을 보였다.
실시예1 비교예1
SOD(unit/g) 9600.1 1361.71
실험예 7: 각질형성세포 분화촉진활성 비교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시 생성되는 CE(Cornified Envelop)양을 흡광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특허출원 제10-2005-0076551호 참조).
사람의 각질형성세포 일차 배양체(primary culture)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부착시킨 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각각의 배양액에 1ppm 농도로 처리하고, 세포가 바닥 면적의 70~80 % 정도 자랄 때까지 5일간 배양하였다. 저칼슘(0.03mM) 처리군과 고칼슘(1.2mM) 처리군을 각각 음성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상기 배양한 세포를 수확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뒤 2% SDS(sodium dodecyl sulfate)와 20mM 농도의 DTT(Dithiothreitol)를 함유한 10mM 농도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 7.4) 1ml를 가하여 소니케이션 (sonication) 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세포 분화정도 평가의 기준으로 삼았다.
그 결과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은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40% 높은 각질형성세포 분화능을 나타내었고, 성체 알로에 베라 추축물에 비하여도 약 27% 높은 각질형성세포 분화능을 보였다.
시험물질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분화능 (%)
저칼슘(0.03mM) 용액
(음성 대조군)
100
실시예1 140
비교예1 110
고칼슘(1.2mM) 용액
(양성 대조군)
213
실험예 8: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및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의 섬유아세포 증식촉진활성 비교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및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의 세포성장촉진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 (Human Skin fibroblast)를 배양하여 문헌에 기재된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reduction test] 법 (A. A. Van de Loosdrecht, E. Nennie, G. J. Ossenkoppele, and R. H. Beelen, Langenhuijsen MM. J. Immunol. Methods, 141(1), pp.15, 1991)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함으로써, 각 시료의 섬유아세포증식의 촉진활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은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에 비하여 실험한 모든 농도에서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특히 10 ㎍/㎖ 농도의 경우 시료를 미처리한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증식이 44.32% 촉진되었다.
농축물 세포생존률 (%)
실시예1 (1 ㎍/㎖) 105.12
실시예1 (5 ㎍/㎖) 121.23
실시예1 (10 ㎍/㎖) 144.32
비교예1 (1 ㎍/㎖) 101.25
비교예1 (5 ㎍/㎖) 105.74
비교예1 (10 ㎍/㎖) 113.94
실험예 9: MMP -1 합성 억제능 비교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의 MMP-1의 유전자 발현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RNA의 발현 변화를 측정하였다. 트리졸 (Tizol, invitrogen, USA)을 사용하여 구아니디움 티오시아네이트-페놀-클로로포름 추출 방법 (Guanidium thiocyanate-phenol- chloroform extraction)으로 RNA를 추출하고, RT-PCR을 실시하기 위하여 올인원 역전사 중합 반응 키트 (All-in-one RT-PCR kit, SuperBio, Korea)를 이용하여 역전사 중합반응을 실시하고 하기 표 9의 MMP-1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50℃에서 30분간 역전사 후 96℃에서 3분간 역전사 효소를 불활성화, 94℃ 1분, 48℃ 1분, 72℃ 1분간 25 사이클)을 수행하였으며, 액틴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MMP-1 프라이머
센스 5'-TGGGAGCAAACACATCTGA-3'
안티센스 5'-ATCACTTCTCCCCGAATCGT-3'
그 결과, 하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MMP-1 발현을 53.5% 저해하였고,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에 비해서도 약 30% 정도의 추가적인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MMP-1 mRNA 발현 저해 효과
MMP -1 발현정도 (%, 액틴에 대해 보정한 값)
대조군 100
비교예1 75.5
실시예1 46.5
실험예 10: 콜라겐합성 촉진활성 비교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의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콜라겐 mRNA 발현을 측정하였다. 조건을 94℃ 1분, 62℃ 1분, 72℃ 1분, 30사이클로 하고, 표 11의 콜라겐 프라이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RT-PCR을 실시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섬유아 세포의 활성을 도와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켜주는 비타민 C를 사용하였다.
콜라겐 프라이머
센스 5'-CTGGCAAAGAAGGCGGCAAA -3'
안티센스 5'-CTCACCACGATCACCACTCT -3'
그 결과 하기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을 100 및 200㎍/㎖ 처리하였을 때, 무처리한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31.56% 및 53.96% 증가된 타입 I 콜라겐 발현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성체 알로에 베라 농축물에 비하여 각각 약 23% 및 26% 증가된 수치이고 양성 대조군과도 증가율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타입 I(type I) 콜라겐 mRNA 발현량
타입 I( Type I) 콜라겐 발현량 (%)
100 ㎍/㎖ 200 ㎍/㎖
비교예1 108.59 127.59
실시예1 131.56 153.96
대조군
(vitamin C 100 ㎍/㎖)
131.1 156.3
무처리군 100 100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제는 본 발명을 예시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화장수
트윈20 (Tween 20) 1중량%를 60℃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향료를 투입 교반하여, 글리세린 3중량%, 부틸렌글리콜 2중량%, 프로필렌글리콜 2중량% 및 방부제를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킨 정제수 80중량%에 투입하였다. 마지막으로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2중량% 및 에탄올 10중량%를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표제의 제품을 얻었다.
제제예 2. 밀크로션
시토스테롤 1.5중량%, 폴리글리세린 2-올레이트 1.5중량%, 세라마이드 1중량%, 세테아레스-4(ceteareth-4) 1중량% 및 콜레스테롤 1.5중량%를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고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2중량%와 디세틸포스페이트 0.4중량%, 농글리세린 4.0중량%, 선플라워 오일 10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중량%, 산탄검 0.3중량% 및 방부제를 통상의 방법으로 가열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정제수 76.5중량%를 가한 후 균질화기에서 유화시키고 나서 적당량의 향료를 가하고 다시 교반 혼합하여 표제의 제품을 얻었다.
제제예 3. 영양에센스
시토스테롤 1.7중량%, 폴리글리세린 2-올레이트 1.5중량%, 세라마이드 0.7중량%, 세테아레스-4(ceteareth-4) 1.2중량% 및 콜레스테롤 1.5중량%를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고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5중량%와 디세틸포스페이트 0.4중량%, 농글리세린 5.0중량%, 선플라워 오일 15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중량%, 산탄검 0.2중량% 및 방부제를 통상의 방법으로 가열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정제수 67.6중량%를 가한 후 균질화기에서 유화시키고 나서 적당량의 향료를 가하고 다시 교반 혼합하여 표제의 제품을 얻었다.
제제예 4. 건강기능식품 액상제품
교반탱크에 정제수 50 중량%를 투입한 후 온도 상승 및 교반 시키면서 카라겔 0.34 중량% 를 첨가하여 내용물의 온도가 95℃±3℃가 될 때까지 가온 하면서 완전히 용해시킨다. 용해시킨 후 내용물의 온도가 80±2℃가 유지되도록 하여 1차 원료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1-5 중량%, 프락토올리고당 6 중량%, 소르빈산칼 륨 0.1 중량%]를 차례대로 투입하면서 교반기를 가동 시켜 균질하게 용해시킨다.
용해 후 내용물의 온도를 75±5℃로 냉각시킨 후 2차 원료녹차추출물분말0.03중량%, 감초분말0.1 중량%, 매실농축액0.5 중량%, 구연산(무수) 0.05 중량%를 넣은 후 75±5℃에서 30분간 교반 혼합하여 표제의 제품을 얻었다.
제제예 5. 건강기능식품 분말, 과립제품
유동층과립기에 칭량한 원료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28 중량%, 자일리톨 25 중량%, 프락토올리고당분말23 중량%, 산탄검0.1 중량%, 알파콘 0.1 중량%, 이노시톨 0.5 중량%, 발효대두추출분말0.05 중량%, 쌀배아추출물 0.1 중량%, 옥수수전분 0.2 중량%, 비타민-C 0.5 중량%, 자당지방산에스테르0.1 중량%를 투입하여 10분 동안 혼합 후 유동층 과립기의 자동시스템에 의하여 과립을 실시하여 표제의 제품을 얻었다.
제제예 6. 건강기능식품 정제제품
혼합기에 원료[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30.0 중량%, 파인플로우10.0 중량%, 덱스트린30.0중량%, 프락토올리고당 20.0 중량%, 유산균 분말 8.94 중량%, 비타민-C 1.0중량%, 사과향분말 0.05 중량%] 투입한 후 1차혼합하고 유동제 (자당 지방 산 에스테르 0.01 중량%)를 넣어 10분간 2차 혼합 하여 균일하게 혼합 후 타정기로 타정하여 표제의 제품을 얻었다.
제제예 7. 건강기능식품 캅셀제품
배합 탱크에 대두유 60.0 중량%, 레시틴 2.0 중량%, 밀납 1.0 중량% 을 배합 비 율에 따라 넣은 후70±5℃로 가온하여 유화시키면서 혼합한 후 40±5℃ 정도로 냉각한 다음 평량한 원료[알로에 베라 새순 혼합물 30 중량%, 콘드로이친황산염 7 중량%, 녹색입홍합분말 2.0 중량%]를 순서대로 투입한 후 1시간 정도 혼합기를 사용하여 균질하게 혼합 한 후 70-80℃로 가온 하여 교반하면서 용해한다. 용해가 끝난 뒤 통상 조건에서 탈포한 후 표제의 제품을 얻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알로에 베라 새순 추출물 및 성체 알로에 베라 추출물의 알프로젠 함량을 도시한 것이다 (웨스턴 블랏팅).

Claims (9)

  1.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이 감압농축, 여과농축 또는 동결농축 방법으로 농축된 농축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 베라 새순 추출물이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탄소수 1-4개의 저급 케톤, 탄소수 1-4개의 저급 에스테르,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 추출물.
  4. 제1항에 있어서, 알프로젠이 1ppm - 1000ppm 이상 포함된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물 또는 추출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세포증식 촉진용, 항산화용, 또는 알러지 질환 또는 증 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 질환 또는 증상이 아나필락시성 쇽(anaphylactic shock),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천식, 알러지성 피부염, 알러지성 결막염, 알러지성 위장관 질환인 의약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화장품.
KR1020090110554A 2009-11-16 2009-11-16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우수한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KR101702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554A KR101702056B1 (ko) 2009-11-16 2009-11-16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우수한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CA2780225A CA2780225A1 (en) 2009-11-16 2010-11-16 Aloe vera sprout concentrate or extract having superior skin cell promotion, antioxidant, and anti-allergy effects
MX2012005609A MX357554B (es) 2009-11-16 2010-11-16 Concentrado o extracto de brote de aloe vera que tiene efectos superiores de promoción de célula de la piel, antioxidantes y anti-alergia.
PCT/KR2010/008086 WO2011059292A2 (ko) 2009-11-16 2010-11-16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우수한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US13/509,704 US20120328721A1 (en) 2009-11-16 2010-11-16 Aloe vera sprout concentrate or extract having superior skin cell growth promotion, antioxidant, and anti-allergy effe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554A KR101702056B1 (ko) 2009-11-16 2009-11-16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우수한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861A true KR20110053861A (ko) 2011-05-24
KR101702056B1 KR101702056B1 (ko) 2017-02-03

Family

ID=4399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554A KR101702056B1 (ko) 2009-11-16 2009-11-16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우수한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328721A1 (ko)
KR (1) KR101702056B1 (ko)
CA (1) CA2780225A1 (ko)
MX (1) MX357554B (ko)
WO (1) WO2011059292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9685A (zh) * 2015-01-07 2015-04-08 浙江泰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通肠润便的芦荟保健胶囊
KR101520934B1 (ko) * 2013-12-30 2015-05-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능이 강화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150104754A (ko) * 2014-03-06 2015-09-16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아스파라거스목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0623896A (zh) * 2019-09-30 2019-12-31 北京爸爸的选择科技有限公司 一种保湿、抗敏型的婴儿身体乳及其制备方法
KR102181596B1 (ko) * 2020-04-09 2020-11-20 주식회사 다올글로벌 알로에, 레몬 및 청귤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산화, 보습 활성을 갖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US10912956B2 (en) 2016-03-23 2021-02-09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580B1 (ko) * 2013-11-08 2020-05-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단농화유체를 이용한 고분자 복합체
CN111904911B (zh) * 2020-08-25 2023-04-07 云南省药物研究所 一种含三七的植物抗氧化组合物及其应用
CN113018504A (zh) * 2021-03-11 2021-06-25 华沃生物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抗过敏鼻部液体敷料及其制备方法
CN113134053A (zh) * 2021-03-30 2021-07-20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芦荟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7059A (ko) * 1995-04-19 1996-11-19 이연호 항알러지 조성물
KR20070039406A (ko) * 2005-03-18 2007-04-12 주식회사 유니젠 천연물 유래 아이소오리엔틴을 포함하는 히스타민 억제용약학 조성물
KR100771829B1 (ko) * 2006-06-19 2007-10-30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유해 환경에서 유래되는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효능을 갖는 식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JP2009039087A (ja) * 2007-08-13 2009-02-26 Plant Genome Center Co Ltd γ‐アミノ酪酸が富化した植物スプラウ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6318A (en) * 1991-12-09 1993-11-30 Royale Renaissance, Inc. Skin therapeutic mixture containing cold-processsed aloe vera extract, with yellow sap and aloin removed
KR0156623B1 (ko) * 1994-12-27 1998-11-16 이연호 상피세포 손상 치료용 조성물
US6713095B2 (en) * 2002-04-04 2004-03-30 Aloe Vera Of America, Inc. Product and process for stabilizing aloe vera gel
KR20060074038A (ko) * 2004-12-27 2006-07-03 주식회사 나우코스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MX2009012210A (es) * 2007-05-11 2010-01-26 Aloebiotics Res Labs Inc Preparacion de aloe para el mejoramiento de la pi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7059A (ko) * 1995-04-19 1996-11-19 이연호 항알러지 조성물
KR20070039406A (ko) * 2005-03-18 2007-04-12 주식회사 유니젠 천연물 유래 아이소오리엔틴을 포함하는 히스타민 억제용약학 조성물
KR100771829B1 (ko) * 2006-06-19 2007-10-30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유해 환경에서 유래되는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효능을 갖는 식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JP2009039087A (ja) * 2007-08-13 2009-02-26 Plant Genome Center Co Ltd γ‐アミノ酪酸が富化した植物スプラウトの製造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934B1 (ko) * 2013-12-30 2015-05-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능이 강화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150104754A (ko) * 2014-03-06 2015-09-16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아스파라거스목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4489685A (zh) * 2015-01-07 2015-04-08 浙江泰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通肠润便的芦荟保健胶囊
US10912956B2 (en) 2016-03-23 2021-02-09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11344751B2 (en) 2016-03-23 2022-05-31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11918833B2 (en) 2016-03-23 2024-03-05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CN110623896A (zh) * 2019-09-30 2019-12-31 北京爸爸的选择科技有限公司 一种保湿、抗敏型的婴儿身体乳及其制备方法
KR102181596B1 (ko) * 2020-04-09 2020-11-20 주식회사 다올글로벌 알로에, 레몬 및 청귤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산화, 보습 활성을 갖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9292A2 (ko) 2011-05-19
US20120328721A1 (en) 2012-12-27
KR101702056B1 (ko) 2017-02-03
WO2011059292A3 (ko) 2011-11-03
MX2012005609A (es) 2012-06-14
MX357554B (es) 2018-07-13
CA2780225A1 (en)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056B1 (ko)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우수한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KR102222877B1 (ko) 불멸화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풍부 배양액 및 장미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KR20130142696A (ko) 흰점박이꽃무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4015430A (ja) 深部体温上昇剤
KR101367423B1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16659A (ko) 천심련추출물 또는 안드로그라폴라이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70736B1 (ko)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KR20190064714A (ko) 레몬머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JP2020502172A (ja) 漢方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化粧料組成物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33073B1 (ko) 세리신, 사상자 추출물 및 겨우살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101986629B1 (ko)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가려움용 조성물
KR20200080556A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2144566B1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41968A (ko)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의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00850B1 (ko) 소맥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면역반응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0757B1 (ko)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1593A (ko) 심비디움(cymbidium) 추출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접촉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090056778A (ko)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알러지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170021607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20138835A1 (ko) 회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79978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