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947B1 -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947B1
KR102024947B1 KR1020130131769A KR20130131769A KR102024947B1 KR 102024947 B1 KR102024947 B1 KR 102024947B1 KR 1020130131769 A KR1020130131769 A KR 1020130131769A KR 20130131769 A KR20130131769 A KR 20130131769A KR 102024947 B1 KR102024947 B1 KR 102024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octyl gallate
salts
composition
polyethylene 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0234A (ko
Inventor
황승진
진무현
이상화
박선규
길소연
이중길
최치호
김의중
박승환
반재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식회사 제노포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식회사 제노포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131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9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0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01N31/16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with two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same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방부제 조성물, 항균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를 항균 상승 효과의 목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균들에 대한 폭넓은 항균활성 스펙트럼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화장품, 의약, 생활용품, 농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살균, 항균, 방부목적으로 유용하게 이용가능하다.

Description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COMPOSITION CONTAINING OCTYL GALLATE}
본 발명은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방부제 조성물, 항균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교통의 발달로 전 세계적인 이동이 활발하고 이로 인해 사람의 이동을 따라 여러가지 전염성 질환이나 신규 질환이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그동안 무분별한 항균 물질의 사용으로 여러 미생물들이 내성을 가지게 되어 인류를 위협하고 있다. 특히, 부패성의 제품(예를 들면 화장품, 의약품 혹은 식품)의 보존을 위해서 신체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는 미생물에 대한 직접적인 미용적 개선 혹은 치료요법을 위한 항균성을 가지는 물질의 수요가 계속해 존재한다.
농약은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생장 조절제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바이러스나 미생물에 의한 작물 피해의 경우 살균제를 사용하여 방제한다. 농업 분야에서 값싸고 강력한 인공 합성된 항균물질들이 과도하게 사용됨으로써 우리 식탁을 위협하게 되었다. 인체에 직접 사용하는 생활용품에도 다양한 항균물질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 값이 싼 화학성분들이 사용되고 있다. 불행하게도 이렇게 사용되고 있는 항균물질들 대부분은 장기간 사용 시 인체에 해로울 수 있음이 과학적으로 밝혀지고 있다.
우리 생활주변에서 널리 이용되는 식품, 의약품, 생활용품, 화장품 등의 많은 제품에는 내부물성의 변화를 방지하고, 일정기간 동안의 보존을 위해서 인체 사용이 허가된 항균물질인 방부제가 첨가되어 있다. 특히, 화장품은 손으로 떠서 사용하거나 인체와의 접촉이 잦은 제품의 특성상 외부로부터 미생물의 유입이 가능하고 이러한 미생물에 의하여 제품의 품질이 변할 수 있다. 특히, 눈가에 사용하는 제품의 오염은 눈병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며, 1920년대 미국에서는 미생물에 의해 오염된 마스카라를 사용한 소비자가 실명한 사례가 있었다. 이에 따라, 미생물에 의한 상기 제품들의 오염을 방지하여 소비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제품의 품질을 보존하는 기술이 꾸준히 개발되어 왔다.
한편, 상기 방부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천연에서 산출된 물질도 있으나 거의 대부분 화학적으로 합성한 인공물질들이 이용되고 있다. 기존 방부제로서 가장 안전하며 생활용품, 화장품, 의약품에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파라벤류의 방부제들조차 피부 알러지(Andrea Counti et al., Contact Dermatitis, 1997, 37;35-36)와 환경호르몬으로서의 가능성(Edwin et al.,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1998, 153;12-19) 및 내성균 유발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방부제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활성 물질들의 경우 대부분 색취, 안정성 저하, 좁은 항균스펙트럼, 제형상 문제 등으로 인해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편백 추출물인 히노키티올(hinokitiol)과 목련추출물인 마그놀롤(magnolol), 자몽추출물인 DF-100등 극히 일부만 상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합성 화학 항균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유래 항균 물질의 필요성이 극대화되고 있다. 특히, 항균제의 가장 큰 단점인 부작용을 줄이고 동시에 폭넓은 항균 스펙트럼, 제형상 안정성 등을 보유한 천연 항균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 사용중인 항균물질들과의 혼합 사용으로 전체적인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성분의 절대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옥틸 갈레이트를 사용하여 항균력 상승효과를 발휘하는 조합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방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옥틸 갈레이트(Octyl gallate)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옥틸 갈레이트 및 보존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보존제는 1,2-알칸 다이올(1,2-alkane diol)인 것일 수 있다. 즉, 옥틸 갈레이트 및 1,2-알칸 다이올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옥틸 갈레이트는 Octyl 3, 4, 5-trihydroxybenzoate의 IUPAC 이름, C15H22O5의 화학식과 282.33의 분자량을 갖는 물질일 수 있으며, 화학합성 방법 또는 효소를 이용한 방법으로 생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옥틸 갈레이트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50 %(w/v),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w/v),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w/v)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옥틸 갈레이트는 보존제와 함께 사용 시 상승작용을 일으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은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며 옥틸 갈레이트와 혼합하여 사용될 때 항균 효과 면에서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상승 효과(Synergic effect)를 갖는 모든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옥틸 갈레이트 및 보존제 혼합물에 포함되는 보존제는 옥틸 갈레이트와 혼합 사용 시 상승효과를 갖는 보존제를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으나, 특히 1,2-알칸 다이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2-알칸 다이올은 1,2-프로판다이올, 1,2-펜탄다이올, 1,2-헥산다이올, 1,2- 옥탄다이올 및 1,2-데케인다이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와 보존제 혼합물이 유기물질의 보존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추가 보존제를 추가하여 더욱 월등한 보존성(항균력)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가 보존제는 추가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보존성이 단독 포함한 경우보다 상승적으로(synergic) 증가된 조성물로서, 상기 추가 보존제는 벤조산, 그 에스터 및 염, 프로피온산 및 그 염, 살리실산 및 그 염, 2,4-헥산산(소르빈산) 및 그 염, 포름알데히드 및 파라포름알데히드, 2-히드록시비페닐 에테르 및 그 염, 2-아연 술피드피리딘-N-옥시드, 무기 술파이트 및 비술파이트, 요오드 산 나트륨, 클로로브타노람, 4-에틸수은-(II)5-아미노-1, 3-비스(2-히드록시) 벤조산, 그 염 및 에스터, 데하이드로아세트산(dehydratcetic acid), 포름산, 1,6-비스(4-아미디노-2-브로모페녹시)-n-헥산 및 그 염, 에틸수은-(II)-티오 살리실산의 나트륨염, 페닐 수은 및 그 염, 10-운데실렌 산 및 그 염, 5-아미노-1,3-비스(2-에틸헥실)-5-메틸-헥사히드로 피리미딘, 5-브로모-5-니트로 1,3-다이옥산, 2-브로모-2-니트로-1,3-프로판다이올, 2,4-디클로로벤질알코올, N-(4-클로로페닐)-N'-(3,4-디클로로페닐)-요소, 4-클로로-m-크레졸,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4-클로로-3,5-디메틸 페놀, 1,1'-메틸렌-비스(3-(1-히드록시메틸-2,4-디옥시이미다졸리딘-5-일)요소)폴리-(헥사메틸렌지그아니드) 염산, 2-페녹시 에탄올, 헥사메틸렌테트라민, 1-(3-클로로 알릴)-3,5,7-트리아자-1-아조니아-아다만탄-염화물, 1(4-클로로 페녹시)-1(1 H-이미다졸-1-일)-3,3-디메틸-2-부타논, 1,3-비스-(히드록시-메틸)-5,5-디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벤질알코올, 오크트피록스, 1,2-디브로모2,4-디시아노부탄, 2,2'-메틸렌-비스(6-브로모-4-클로로-페놀), 브로모-클로로펜, 염화 마그네슘 및 질산 마그네슘과의 5-클로로-2-메틸-3(2 H)-이소티아졸리논 및 2-메틸-3(2 H) 이소티아졸리논의 혼합물, 2-벤질-4-클로로페놀, 2-클로로아세트아미드, 클로로헥시딘, 클로로헥시딘 아세테이트, 클로로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클로로헥시딘 염산, 1-페녹시-프로판-2-올, N-알킬(C12-C22) 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및 염화물, 4,4-디메틸-1,3-옥사졸리딘, N-히드록시메틸-N-(1,3-지(히드록시메틸)-2,5-디옥소이미다졸리딘-4-일)-N'-히드록시-메틸요소, 1,6-비스(4-아미디노 페녹시)-n-헥산 및 그 염, 글루타르알데하이드5-에틸-1-아자3,7-디옥사비사이클로(3.3.0) 옥탄, 3-(4-크롤 페녹시)-1,2-프로판다이올, 히아민(hyamine), 알킬-(C8-C18)-디메틸-벤질-암모늄-염화물, 알킬-(C8-C18)-디메틸-벤질 암모늄 브로마이드, 알킬-(C8-C18)-디메틸-벤질 암모늄 사카리네이트, 벤질헤미호르말, 3-요우드2-프로피닐-부틸카르바메이트, 및 나트륨 히드록시메틸 아미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특히 1,2-디브로모 2,4-디시아노부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옥틸 갈레이트 및 보존제(1,2-헥산다이올) 혼합물의 경우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항균 활성 상승지수(SI; Synergy indes)가 0.11인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혼합물의 항균 활성이 상승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표 2 및 표 7).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옥틸 갈레이트 및 보존제(1,2-헥산다이올) 혼합물에 추가 보존제(Euxyl K400; 1,2-디브로모 2,4-디시아노부탄)을 추가한 조합 혼합물의 경우 각각 사용하였을 때보다 항균 활성 상승지수(SI)가 0.066인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조합 혼합물의 항균 활성이 상승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표 9 및 표 10).
즉,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 및 보존제의 혼합물(a)의 장점과 이에 적어도 1종 이상의 추가 보존제(b)를 추가한 조합 혼합물의 장점은 실시예 1(옥틸 갈레이트와 보존제의 상승 효과) 및 실시예 3(옥틸 갈레이트/보존제 혼합물과 추가 보존제의 상승 효과)에 근거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옥틸 갈레이트와 보존제의 함유를 통하여 보존성이 더욱 상승되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화장료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항균 조성물 또는 방부제 조성물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세균, 진균 또는 효모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브레비박테륨 에피더미스, 코리네박테리움 키세로시스, 스파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 및 에피데르모피톤 후로코슴에 대하여 옥틸 갈레이트 또는 보존제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증가된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일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브레비박테륨 에피더미스 ATCC 35514, 코리네박테리움 키세로시스 ACCC 771, 스파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ATCC 12228,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ATCC11829,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 CBS 26379 및 에피데르모피톤 후로코슴 CBS 55384에 옥틸 갈레이트 또는 보존제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증가된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균"은 균에 저항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세균이나 곰팡이, 효도 등과 같은 미생물의 작용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모든 기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세균"은 박테리아에 속하는 생물로서, 생명체들 중에 가장 많이 번성한 종으로 대부분 병원성 균이며 원핵생물의 특징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나, 핵막이나 미토콘드리아, 엽록체와 같은 구조는 가지고 있지 않다. 크기는 0.5 μm 부터 0.5 mm 까지 다양하다. 상기 세균에는 예를 들어, 브레비박테륨 에피더미스, 코리네박테리움 키세로시스, 스파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 및 에피데르모피톤 후로코슴이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브레비박테륨 에피더미스 ATCC 35514, 코리네박테리움 키세로시스 ACCC 771, 스파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ATCC 12228,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ATCC11829,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 CBS 26379 및 에피데르모피톤 후로코슴 CBS 55384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진균"은 곰팡이, 효모, 버섯을 포함한 72, 000종 이상의 균종으로 구성되는 미생물군을 총칭하며, 핵막이 있는 진핵생물에 속하고,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등의 세포 소기관이 발달해 있으며, 키틴, 글루칸 등으로 구성된 세포벽이 있다. 대부분은 세포성인 균사를 형성하여 신장, 발육하고 유성생식 및 무성생식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번식체로 포자를 형성하지만 일부 균종은 단세포성 증식을 한다. 주로 부생균으로서 자연계의 유기분해에 관여하지만, 일부는 동식물에 기생 또는 공생한다. 상기 진균에는 예를 들어,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효모"는 곰팡이, 버섯 무리이지만 균사가 없고, 광합성능이나 운동능도 가지지 않는 단세포 생물을 총칭하며, 가장 간단한 형태의 진핵생물로 인간의 세포 주기와 비슷한 세포주기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효모에는 예를 들어, 사카로마이세스 속, 피치아 속, 캔디다 속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 및 보존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브레비박테륨 에피더미스 ATCC 35514, 코리네박테리움 키세로시스 ACCC 771, 스파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ATCC 12228,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ATCC11829,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 CBS 26379 및 에피데르모피톤 후로코슴 CBS 55384를 대상으로 상승작용적인 항균 활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1,2-알칸 다이올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이 주로 동물의 유기체(animal organisms) 혹은 그 중의 바람직하지 않은 미생물의 생장의 억제를 위해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항균 혹은 항진균활성 화합물과의 조합도 경우에 따라서는 유리할 수 있다. 이것에 관해서 적합한 활성화합물로는 큰 군의 통상의 항생물질이 가능하며, 그 중에서도 겨드랑 밑취, 족취 혹은 비듬에 대해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화장품에 관련하는 제품, 예를 들면 트리크로산, 크리바조르, 오크톡시글리세롤, 오크트피록스(1-히드록시-4-메틸-6-(2,4, 4-트리메틸펜틸)-2(1 H)-피리돈, 2-아미노 에탄올), 키토산, 파르네솔, 글리세롤 모노 라우레이트 혹은 상기 물질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1,2-알칸 다이올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은 체취를 억제하기 위해서 발한 억제 활성화합물(제한제)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발한 억제 활성화합물은 특히 알루미늄염, 예를 들면 염화알루미늄, 알루미늄 클로로 하이드레이트, 나이트 레이트, 설페이트, 아세테이트 등이다. 그러나, 추가로 아연, 마그네슘 및 지르코늄 화합물의 사용도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는 알루미늄염과 다소 효과는 크지 않지만 적지만 알루미늄/지르코늄염 조합물이 화장품 및 피부과학적 제한제 중에서 효과를 증명했다. 이와 같이 피부에 보다 좋고 허용되지만 그만큼 유효가 아닌 일부 중화된 알루미늄 히드록시 염화물도 적합하다. 알루미늄염에 가세하고, 예를 들면 a) 땀샘의 표면 폐쇄증을 일으키는 포름알데히드, 글루타르알데하이드, 천연 및 합성 탄닌제(tanning agents) 및 삼염화초산과 같은 단백질-응결물질, b) 말초 신경 날줄을 차단하는 것으로써 땀샘의 교감신경 공급을 차단하는 국소마취제(그 중에서도, 예를 들면 리도카인, 프릴로카인 혹은 이러한 물질의 혼합물의 희석 용액), c) 땀 분비 감소에 가세하고, 더욱 악취의 흡수제로서 일하는 X, A 혹은 Y형의 제올라이트, 및 d) 다한, 병리학적으로 증가한 땀 분비의 증례에도 사용되고 그 작용이 땀 분비에 관여하는 전달물질의 아세틸콜린의 방출의 비가역적 차단에 근거하는 보툴리누스독소(박테리아의 클로스트리듐·보트리눔의 독소)와 같은 물질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이 표면(예를 들면 인간 혹은 동물의 신체의)의 항균 처리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금속) 킬레이트와의 조합이 경우에 따라서는 유리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금속) 킬레이트로는 α-히드록시 지방산, 파이틴산, 락토레린, α-하이드록시산, 예를 들면 특히, 시트르산, 유산 및 사과산, 및 후민산, 쓸개즙 산, 쓸개즙 추출물, 빌리루빈, 빌리버딘 혹은 EDTA, EGTA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옥틸 갈레이트 및 보존제(1,2-알칸 다이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활성 효과를 갖는 각종 조성물은 예를 들면,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고체상 등 어떠한 제형으로도 응용될 수 있으며, 그 용도도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신, 피부, 구강, 모발 등 인체관련 세정제 등 각종 화장료 조성물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유효 성분으로서의 옥틸 갈레이트 및/또는 보존제 이외에 추가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항균활성을 가진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옥틸 갈레이트 및 보존제(1,2-알칸 다이올)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항균 성분으로 옥틸 갈레이트 및 보존제(1,2-알칸 다이올)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옥틸 갈레이트 및 보존제 혼합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옥틸 갈레이트 및 보존제 혼합물을 화장료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혼합물은 그대로 첨가되거나 다른 화장료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 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옥틸 갈레이트 및 보존제 혼합물의 양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 내지 50 %(w/v),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w/v),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w/v)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을 미용적 및/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화장품 및 피부과학적 제품에 포함되어 통상의 방법으로 피부 및/혹은 모발에 적량 적용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의 용도를 갖는 화장품 및 화장료 조성물은 구체적인 장점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1종의 UVB 필터 및/혹은 적어도 1종의 무기 색소를 함유한다. 예를 들면,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여러 가지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그것들은 예를 들면, 용액, water-in-oil(W/O) 형 혹은 oil-in-water(O/W) 형의 에멀젼 또는 예를 들면 water-in-oil-in- water(W/O/W) 형의 다중 에멀젼, 겔제, 히드로분산물, 고체 스틱 또는 에어졸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옥틸 갈레이트와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UV광선을 흡수하는 물질과 유리하게 조합하여 자외선에 대해서 모발 및/혹은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이 증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에서 옥틸 갈레이트와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의 조성은 조성물의 총중량에 근거해 0.01%(w/w)~40%(w/w), 바람직하게는 0.1%(w/w)~10%(w/w), 특히 1.0~5.0%(w/w)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UVB 필터 물질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유용성 혹은 수용성일 수 있다. 유리한 유용성 UVB 필터는 예를 들면, 3-벤질리덴캄퍼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3-(4-메틸벤질리덴) 강심제-, 3-벤질리덴캄퍼, 4-아미노벤젠산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4-(디메틸아미노) 벤조산2-에틸헥실, 4-(디메틸아미노) 벤조산 아밀, 계피산의 에스터, 바람직하게는, 4-메톡시 계피산2-에틸헥실, 4-메톡시 계피산 이소 펜틸, 살리실산의 에스터, 바람직하게는 살리실산2-에틸헥실, 살리실산4-이소프로필 벤질, 살리실산 호모 멘틸, 벤조페논의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 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 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 페논, 벤잘말론산의 에스터, 바람직하게는 4-메톡시벤자르마론산(2-에틸헥실), 2,4,6-
트리아니리노(p-칼보-2'-에틸-1'-헥실옥시)-1,3,5-트리아진이다. 유리한 수용성 UVB 필터는, 예를 들면 2-페닐 벤즈이미다졸-5-설폰산의 염, 염르로써 나트륨, 포타슘 혹은 트리에탄올암모늄염 및 설폰, 벤조페논의 설폰산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 페논-5-설폰산 및 그 염, 3-벤질리덴캄퍼의 설폰산 유도체, 예를들면 4-(2-옥소-3-보르니리덴메틸) 벤젠 설폰산, 2-메틸-5-(2-옥소-3-보르니리덴메틸) 설폰산 및 그 염, 1,4-지(2-옥소-10-설포-3-보르니리덴메틸)-벤젠 및 그 염(10-술파토 화합물, 예를 들면 나트륨, 포타슘 혹은 트리에탄올암모늄염) 혹은 벤젠-1,4-지(2-옥소-3-보르니리덴메틸10-설폰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은 이러한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화장품 보조제, 따라서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향유, 발포를 억제하는 물질, 착색제, 착색 작용을 가지는 색소, 증점제, 세정력 물질, 유화제, 가소화 물질, 가습 및/혹은 보습 물질, 지방, 기름, 왁스, 화장료 조성물의 그 외의 통상의 성분(예를 들면 알코올, 폴리올, 폴리머, 기포 안정제, 전해질, 유기 용매 혹은 실리콘 유도체)와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피부의 국소의 예방 혹은 미용적 처치를 위한 옥틸 갈레이트의 상승 작용 목표 활성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고함량 처리된 물질은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로서, 조성물은 1종 혹은 복수의 동물 및/혹은 식물의 처치용 지방 및 기름, 예를 들면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정제 대두유, 야자유, 참기름, 평지씨 기름, 아몬드유, 르치샤유, 달맞이꽃유, 코코넛유, 시아버터, 죠죠바유, 밀향경유, 우지, 수유 및 지방 및 혹은 경우에 따라서는 한층 더 가공 성분, 예를 들면 8 ~ 30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지방 알코올을 함유한다. 여기서 지방 알코올은 포화 혹은 불포화로 직쇄 혹은 분지 사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칸올, 데세놀, 오크 테너, 도데카놀, 드데세노르, 오타지에노르, 데카지에노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티으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과의 조합이 바람직하고 조합의 물질은 세라마이드, 여기서 세라마이드는 각질 층의 보수능을 분명하게 개선하는 N-아실 스핑고신(스핑고신의 지방산 아마이드) 혹은 이러한 지방의 합성 유사체(이른바 유사-세라마이드)이고; 인지질, 예를 들면 대두 레시틴, 알 레시틴 및 세팔린; 바셀린, 파라핀 및 실리콘오일, 후자는 특히 디알킬- 및 알킬 아릴-실록산, 예를 들면 다이메타이콘 및 메틸 페닐 폴리실록산 및 그러한 알콕실화 및 제4급화 유도체를 포함한다.
동물 및/혹은 식물의 가수분해 단백질도 또한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에 첨가할 수 있다. 이것에 관하여, 특히 엘라스틴, 콜라겐, 케라틴, 유즙단백, 대두단백질, 오토 단백질, 완두단백질, 아몬드 단백질 및 밀 단백질 화분 혹은 대응하는 가수분해 단백질, 그러나 지방산과의 축합 생성물, 및 더욱 자세하게는 제4급화 가수분해 단백질이 유리하고, 여기서 식물의 가수분해 단백질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혹은 화장품 조성물이 물약 혹은 로션인 한, 사용되는 용매는 물 혹은 수용액; 지방유, 지방, 왁스 및 다른 천연 및 합성 지방 물질, 바람직하게는 저 탄소수를 가지는 알코올, 예를 들면 아이소프로판올, 프로필린글리콜 혹은 글리세롤과의 지방산 에스터, 또는 저탄소수를 가지는 알칸 산과도 같은 지방알코올의 에스터; 저탄소수를 가지는 알코올, 다이올 혹은 폴리올 및 그러한 에테르,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프로필린글리콜, 글리세롤, 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에틸 혹은 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린글리콜 모노메틸, 에틸 혹은 모노부틸에테르, 다이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혹은 에틸에테르 및 유사 제품일 수 있다. 특히 상기의 용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산화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어 여기서 미용적 및/혹은 피부과학적 적용에 적절한 것도 거기에 통상의 모든 산화방지제를`사용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유리하게는, 매우 낮은 허용 용량에 있어서의, 아미노산(예를 들면 글리신, 히스티딘, 티로신) 및 그러한 유도체, 이미다졸(예를 들면 우로카닌 산) 및 그러한 유도체, D, L-카르노신, D-카르노신, L-카르노신 및 그러한 유도체(예를 들면 안세린)와 같은 펩타이드, 카로티노이드, 카로틴(예를 들면 α-카로틴, β-카로틴, 리코펜) 및 그러한 유도체, 리포산 및 그 유도체(예를 들면 다이하이드로리포산), 아우로치오글루코스, 프로필티오유라실 및 다른 티올(예를 들면 티오레독신, 글루타티온, 시스테인, 시스틴, 시스타민 및, 그러한 글리코실, N-아세틸, 메틸, 에틸, 프로필기, 아밀, 부틸 및 라우릴, 팔미토일, γ-리노레일, 콜레스테릴 및 글리세릴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 티오디프로피온 산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온 산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온 산 및 그 유도체(에스터, 에테르, 펩타이드, 지방, 뉴클레오티드, 뉴클레오시드 및 소금) 및 설폭시 이민 화합물(예를 들면 브티오닌·설폭시 이민, 호모시스테인·설폭시 이민, 브티오닌·설폰, 펜터, 헥사- 및 헵타-티오닌·설폭시 이민), 및 더욱, (금속) 킬레이트 형성 제(예를 들면 α-히드록시 지방산, 팔미틴 산, 파이틴산, 락토페린), α-하이드록시산(예를 들면 시트르산, 유산, 사과산), 후민산, 쓸개즙 산, 쓸개즙 추출 물건, 빌리루빈, 빌리버딘, EDTA, EGTA 및 그러한 유도체, 불포화 지방산 및 그러한 유도체(예를 들면 γ-리놀렌산, 리놀레산, 올레산), 엽산 및 그 유도체, 유비퀴논 및 유비키노르 및 그러한 유도체, 비타민 C 및 유도체(예를 들면, 팔미틴 산 아스콜빌, 인산 아스콜빌 Mg, 아세트산 아스콜빌), 토코페롤 및 그러한 유도체(예를 들면 아세트산 비타민 E), 비타민 A 및 그 유도체(팔미틴 산비타민 A) 및 더욱 벤조인 수지의 벤조산 코니페릴, 루틴 산 및 그 유도체, 펠라산 및 그 유도체, 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노르디히드로 구아이악 산, 노르디히드로그아야레틴산, 히드록시 부티로페논, 요산 및 그 유도체, 만노스 및 그 유도체, 아연 및 그 유도체(예를 들면 ZnO, ZnSO4), 셀레늄 및 그 유도체(예를 들면 셀레늄·메티오닌), 스틸벤 및 그러한 유도체(예를 들면 산화 스틸벤, 트랜스-산화 스틸벤) 및 더욱, 상기의 유효 화합물의 유도체(염, 에스터, 에테르, 당, 뉴클레오티드, 뉴클레오시드, 펩타이드 및 지방)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및 비타민 전구체를 함유할 수 있어 화장품 및/혹은 피부과학적 적용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고 거기에 통상의 모든 비타민 및 비타민 전구체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토코페롤, 비타민 A, 니코틴산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B 복합체의 비타민, 특히 바이오틴, 및 비타민 C, 판트테니르알코올 및 그 유도체, 특히 판트테니르알코올의 에스터 및 에테르, 및 양이온의 판트테니르알코올의 유도체, 예를 들면 판트테니르알코올트리아세테이트, 판트테니르알코올모노에틸에이텔 및 아세테이트 및 양이온의 판트테니르알코올 유도체와 같은 비타민 및 비타민 전구체가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 및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작용 화합물 및/또는 발적 및/혹은 가려움을 경감하는 활성화 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것에 관한, 화장품 및/혹은 피부 과학적 적용에 적절한 것도 있고 그것들에 통상의, 모든 항염증 작용 화합물 및 발적 및/혹은 가려움을 경감하는 활성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항염증작용 화합물 및 발적 및/혹은 가려움을 경감하는 활성화합물은 유리하게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형태의 스테로이드성 항염증 물질, 예를 들면 하이드로코티손, 덱사메타손, 덱사메타손 포스페이트, 메틸프레드니솔론 혹은 코르티손이어, 여기서 한층 더 스테로이드 성 항염제를 추가하는 것으로써 리스트를 확대할 수 있다. 비스테로이드성항염증제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옥시캠(예를 들면 피록시캄 혹은 테노키시캄), 살리실레이트(예를 들면 아스피린, 지사르시드(Disalcid), 솔 퓨린 혹은 펜드서르), 아세트산 유도체(예를 들면 디클로페낙, 펜크로페낙크, 인도메타신, 술린닥, 톨메틴 혹은 크리다낙크), 페나메이트(예를 들면 메페나믹크, 메크로페나믹크, 후르페나믹크 혹은 니후르믹크), 프로피온산 유도체(예를 들면 이브로펜, 나프록센, 베녹사프로펜) 또는 피라졸(예를 들면 페닐부타존, 옥시페닐브타존, 페브라강 혹은 아자프로파존)을 예로서 여기에 올릴 수 있다. 혹은 천연의 항 염증 물질 및 발적 및/혹은 가려움을 경감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식물 추출물, 특히 현저하게 활성인 식물 추출물 및 식물 추출물로부터 단리된 고도의 순수한 활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카밀레, 알로에, 코미호라종(Commiphora species), Rubia 종, 버드나무, 윌로우 허브 및 오토보리로부터의 추출물, 화분 및 활성 물질 및 순수 물질(예를 들면, 특히 비사보롤, 아피게닌-7-글루코시드, 보스웨릭크산(boswellic acid), 피토스테롤, 그리치르리진, 글라부리딘진 혹은 리코카르콘 A(licochalkon A)가 특히 바람직하다. 옥틸 갈레이트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제물은 2종 이상의 항염증작용 화합물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톤 개선 작용을 가지는 활성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것에 관한, 화장품 및/혹은 피부과학적 적용에 적절한 것도 있고 그것들에 통상의 모든 피부 톤 개선 활성화합물을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다. 유리한 피부 톤 개선 활성화합물은 코지산, 히드로퀴논, 알부틴, 아스코르빈산, 마그네슘 아스콜빌 포스페이트, 감초 뿌리 추출물 및 글라브리딘 혹은 리코칼톤(licochalkon) A의 성분, 루멕스(Rumex) 및 라무러스(Ramulus) 종으로 부터의 추출물, 피너스(Pinus)로부터의 추출물 및 특히 피부 톤 개선 스틸벤 유도체를 함유하는 포도 종(Vitis species)으로부터의 추출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 및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썬탠 작용을 가지는 활성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것에 관해서는, 화장품 및/혹은 피부과학적 적용에 적절한 것도 있고 그것들에 통상의 모든 피부 썬탠 활성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DHA;1, 3-디히드록시-2-프로파논)을 예로서 들 수 있다. DHA는 모노머 혹은 다이머 형태의 어느 것도 존재할 수 있으며 결정 형태에 있어서는 다이머의 비율이 우세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또 모노-, 디 및 올리고당, 예를 들면 포도당, 갈락토스, 과당, 만노스, 과당 및 유당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은 완전한 식물의 추출에 의해 조제되지만, 개개의 경우에, 더욱 꽃 및/혹은 잎, 목재, 식물의 수피 혹은 독점적으로 조제되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식물 추출 물건에 관해서는 알로에, 해마멜리스(Hamamelis), 알게(algae), 오크 수피, 윌로우허브(willow-herb), 쐐기풀, 데드네틀(dead nettles), 호프, 카모마일, 밀포일(milfoil), 아르니카(arnica), 금잔화, 우엉의 뿌리, 버독뿌리(burdock root), 산사나무, 호톤(hawthorn), 린덴 블로섬(linden blossom), 아몬드, 소나무 잎(pine needles), 호스체스트넛(horsechestnut), 샌달우드(sandalwood), 주니퍼(juniper), 코코넛, 망고, 살구, 오렌지, 레몬, 라임, 그레이프 프루츠, 사과, 녹차, 그레이프 프루츠의 종자, 밀, 오트, 보리, 보리, 샐비어잎, 타임, 바질, 로즈메리, 버치(birch), 말로우(mallow), 타네트케바나(bitter-crass), 버드나무 수피, 레스타로(restharrow), 콜츠푸트(coltsfoot), 알테아(althaea), 한국 인삼 및 생강의 추출물이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중에서는, 알로에, 카모마일, 알게(algae), 로즈메리, 금잔화, 한국 인삼, 오이, 샐비어잎, 쐐기풀, 린덴 블로섬(linden blossom), 아르니카 및 해마메리스(Hamamelis)로부터의 추출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2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식물 추출물의 조제에 사용할 수 있는 추출제는 특히 물, 알코올 및 그러한 혼합물일 수 있다. 알코올 중에서는,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에탄올 및 아이소프로판올) 그러나 다가 알코올(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 글리콜)이 이것에 관해서,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유일한 추출제로서 그리고 더욱 물과 혼합해 사용이 바람직하다. 식물 추출물은 순수 형태에도 있고 또 희석 형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특히 결정 혹은 미세 결정 고체, 예를 들면 무기 미세 색소가 조제물중에 받아들여지는 경우에, 음이온, 양이온, 비이온 및/혹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유기의 비극성 물질을 수중에 용해 할 수 있는 양친매성 물질이다. 이것에 관한, 계면활성제 분자의 친수성 부분은 통상, 극성 관능기, 예를 들면, -COO-, -OSO3 2 -, -SO3 -이지만, 한편, 소수성 부분은 대체로, 비극성 탄화수소기이다. 계면활성제는 분자의 친수성 부분의 성질 및 가전에 따라서 개괄적으로 분류되며, 음이온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계면활성제인 4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통상, 관능기로서 카르복실산, 황산 혹은 설폰산기를 함유한다. 수용액중에서는, 그것들은 산성 혹은 중성 용매에서 음성 유기 이온을 형성한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실질적으로 독점적으로 제4급 암모늄기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수용액 중에서, 그것들은 산성 혹은 중성 용매에서 양성 유기 이온을 형성한다. 양성계면활성제는 음이온 및 양이온기의 양쪽 모두를 포함해, 수용액 중에서 pH치에 따라 음이온 혹은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같이 작용한다. 강산 용매 안에서는 그것들은 양성의 전하를 갖고, 알칼리성 용매 안에서는, 음성의 전하를 가진다. 그에 대해, 중성 pH영역에서는 그것들은 양이온성이다. 폴리에테르 쇠사슬은 비이온계면활성제가 전형적이다. 비이온계면활성제는 수성 용매에서 이온을 형성하지 않는다.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아실 아미노산 및 이들의 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소듐 아실글루타메이트, 디-TEA-팔미토일 아스팔테이트 및 소듐 카프릴/카프링르타메이트인 아실 글루탐산염; 예를 들면, 팔미토일 가수분해 유즙단백질, 소듐 코코 일-가수분해 대두 단백질 및 소듐/칼륨 코코일-가수분해 콜라겐인 아실 펩타이드; 예를 들면, 미린스토일 사르코신, TEA-라우로일 사코시네이트, 소듐 라우로일 사코시네이트 및 소듐 코코일 사코시네이트인 사코시네이트; 예를 들면, 나트륨 라우로일 타우레이트 및 나트륨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인 타우린 산염; 아실락틸레이트, 라우로일 락틸레이트, 카프로 락틸레이트 또는 아라니네이트일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카르복실산 및 유도체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라우린산,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마그네슘아르카노라트 및 운데실렌 산아연; 예를 들면, 칼슘스테아로이르라크치라트, 라우리스- 6시트레이트 및 나트륨 PEG-4 라우라미드카르복실레이트인 에스테르카르복실 산; 예를 들면, 나트륨 라우리스- 13카르복실레이트 및 나트륨 PEG-6 코코아미드카르복실레이트인 에테르-카르복실산; 또는 예를 들면, DEA-오레스 10포스페이트 및 지라우레스 4포스페이트인 인산 에스테르 및 염일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설폰산 및 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예를 들면, 소듐/암모늄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인 아실이세티오네이트; 알킬아릴설포네이트; 예를 들면, 소듐 코코넛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페이트, 소듐 C12-14올레핀-설포네이트인 알킬설포네이트; 소듐 라우릴 설포 아세테이트 및 마그네슘 PEG-3 코코아미드설페이트; 또는 예를 들면, 디옥틸나트륨 설포석시네이트, 2나트륨 라우리스-설포석시네이트, 2나트륨 라우릴 설포석시네이트 및 2나트륨 운데실렌 아마이드 MEA-설포석시네이트인 설포석시네이트일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황산에스테르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나트륨, 암모늄, 마그네슘, 미라(MIRA), TIPA 라우리스 설페이트, 나트륨미레스설페이트 및 나트륨 C12-13팰리스 설페이트인 알킬에테르설페이트; 또는 예를 들면, 나트륨, 암모늄 및 TEA 라우릴 설페이트인 것인 알킬설페이트일 수 있다.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 아민, 알킬 이미다졸, 에톡실화 아민, 제4급 계면활성제 (RNH2CH2CH2COO-(pH=7에 대해), RNHCH2CH2COO-B+(pH=12에 대해) B+=임의의 양이온, 예를 들면 Na+ ) 및 제4급 에스터일 수 있다.
제4급 계면활성제는 4개의 알킬 혹은 아릴기에 공유결합된 적어도 1개의 N원자를 포함한다. 이것이 pH값에 상관없이, 양성의 전하를 가져온다. 알킬 베타인, 알킬 아마이드 프로필기 베타인 및 알킬아미드프로필히드록시술파인이 유리하다. 사용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4급 암모늄 화합물, 특히 염화 혹은 브롬화 벤질 트리알킬-암모늄, 예를 들면, 염화벤질 디메틸 스테아릴-암모늄, 및 더욱 알킬 트리알킬 암모늄염, 예를 들면, 염화 혹은 브롬화 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 혹은 브롬화 알킬 디메틸 히드록시 에틸 암모늄, 염화 혹은 브롬화 디알킬 디메틸암모늄, 알킬 아마이드 에틸-트리메틸-암모늄 에테르설페이트, 알킬피리디늄염, 예를 들면, 염화 라우릴-혹은 세틸-피리디늄, 이미다졸린 유도체 및 산화 아민 예를 들면 알킬다이메틸아민 옥시드 혹은 알킬아미노 에틸 다이메틸아민 옥시드와 같은 양이온 특성의 화합물을 포함해서 완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세틸 트리메틸-암모늄염은 특히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양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나트륨 아실 안호 아세테이트, 2나트륨 아실 안호 디프로피오네이트, 2나트륨알킬안호지아세테오트, 나트륨 아실 안호 히드록시-프로필기 설포네이트, 2나트륨 아실 안호 디아세테이트 및 나트륨 아실 안호 프로피오네이트인 아실/디알킬에틸렌디아민; 또는 예를 들면, 아미노프로필알킬글루타미드, 알킬아미노 프로피온산, 나트륨 알킬 이미드 디 프로피오네이트 및 라우로안호카르복시그리시네이트인 N-알킬아미노산일 수 있다.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코올; 예를 들면, 코코아미드 MEA/DEA/MIPA인 알칸올 아마이드; 예를 들면, 코코아미드프로필아민옥시드인 산화 아민; 산화에틸렌, 글리세롤, 소르비탄 혹은 다른 알코올과의 카르복실산의 에스터화에 의해 형성 되는 에스터; 예를 들면, 에톡실화/프로폭실 화 알코올, 에톡실화/프로폭실 화 에스터, 에톡실화/프로폭실화 글리세롤 에스터, 에톡실화/프로폭실화 콜레스테롤, 에톡실화/프로폭실화 트리글리세라이드에스테르, 에톡실화/프로폭실화 라놀린, 에톡실화/프로폭실화 폴리실록산, 프로폭실화 POE 에테르 및, 라우릴 글루코시드, 디실 글리코시드 및 코코 글리코시드와 같은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인 에테르; 자당 에스터 및 에테르; 폴리글리세롤 에스터, 디글리세롤 에스터, 글리세롤 에스터; 또는 메틸 글루코스 에스터, 하이드록시산의 에스터일 수 있다.
1종 이상의 비이온성계면활성제와의 음이온 성 및/혹은 양성계면활성제의 편성물의 사용도 유리하다. 세정력 물질은 1,2-알칸 다이올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물중에, 조제물의 총중량에 근거해, 1 ~ 98%(w/w)의 사이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 및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혹은 화장료 조성물은 또 에멀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유상은 유리하게는 광유, 광물 왁스; 지방유, 지방, 왁스 및 다른 천연 및 합성 지방 물질, 바람직하게는 저탄소수를 가지는 알코올(예를 들면 아이소프로판올, 프로필린글리콜 혹은 글리세롤)과의 지방산의 에스터, 또는 저탄소수를 가지는 알칸산 혹은 지방산과의 지방알코올의 에스터; 벤조산 알킬; 또는 실리콘오일(예를 들면 다이메타이콘, 다이에틸 폴리실록산, 디페닐 폴리실록산) 및 그러한 혼합 형태; 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a) 3~30 C원자의 길이을 가지는 포화 및/혹은 불포화의 분지 및/혹은 직쇄 알칸카르복실산 및, 3~30 탄소원자의 길이를 가지는 포화 및/혹은 불포화의 분지 및/혹은 직쇄 알코올의 에스터, (b) 방향성 족 카르복실산 3~30 탄소원자의 길이를 가지는 포화 및/혹은 불포화의 분지 및/혹은 직쇄 알코올의 에스터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에스터 기름은 N테트라데카논산 이소프로필, 팔미틴 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린 산 이소프로필, 올레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 n-부틸, 라우린산 n-헥실, 올레산 n-디실, 스테아린 산 이소옥틸, 스테아린 산 이소 노닐, 이소노난 산이소 노닐, 팔미틴 산2-에틸헥실, 라우린산2-에틸헥실, 스테아린 산2-헥실데실, 팔미틴 산2-옥틸 도데실, 올레산 나 일, 에루스산 나 일, 오레인산에르실, 에르카산에르실 및, 이러한 에스터의 합성, 반합성 및 천연의 혼합물, 예를 들면 죠죠바유이다.
또한, 유상은 유리하게는, 분지 및 직쇄 탄화수소 및 왁스, 실리콘오일, 디알킬에테르를 포함해서 완성되는 군, 포화 혹은 불포화의 분지 혹은 직쇄 알코올 및 더욱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구체적으로는 8~24, 특히 12~18 탄소 원자의 길이를 가지는 포화 및/혹은 불포화의 분지 및/혹은 직쇄 알칸카르복실산의 트리글리세롤 에스터를 포함해서 완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유리하게는, 합성, 반합성, 및 천연유(예를 들면,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대두유, 낙화생유, 평지씨기름, 아몬드유, 야자유, 코코넛 기름, 야자의 심유등)를 포함해서 완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름 및 왁스 성분의 임의의 혼합물도 또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더욱, 유상의 단독 지방 성분으로서 왁스(예를 들면 팔미틴산 세틸)를 사용하는 것도 유리하다라고 하는 것이 있어 유상은 유리하게는, 이소 스테아린 산 2-에틸헥실, 옥틸 도데카놀, 이소노난 산이소 트리데실, 이소 에이코산, 코코아 산2-에틸헥실, 벤조산 C12-C15-알킬, 카프릴산/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지카프리리르에이텔로부터 완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벤조산 C12-C15-알킬과 이소 스테아린 산2-에틸헥실의 혼합물, 벤조산 C12-C15-알킬과 이소노난 산이소 트리데실의 혼합물 및 벤조산 C12-C15-알킬, 이소노난 산2-에틸헥실 및 이소노난 산이소 트리데실의 혼합물은 특히 유리하다. 탄화수소의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및 스쿠알렌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상은 유리하게는 더욱, 환식 혹은 선상 실리콘오일을 함유할 수도 있고 이러한 기름만으로 부터 완성될 수 있지만, 그러나, 여기서 1종 혹은 복수의 실리콘오일에 더해 다른 유상성분을 더욱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클로메티콘(예를 들면, 데카메틸 사이클로펜타실록산)은 실리콘오일로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리콘오일, 예를 들면, 운데카 메틸 사이클로 실록산, 폴리디 메틸 실록산 및 폴리(메틸-페닐 실록산)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이클로메티콘과 이소노난 산이소 트리데실의 혼합물 및 사이클로메티콘과 이소 스테아린 산2-에틸헥실의 혼합물도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옥틸 갈레이트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을 함유해, 한편 에멀젼의 형태에 있는 조제물의 수상은, 저탄소수를 가지는 알코올, 다이올 혹은 폴리올 및 더욱 그러한 에테르(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프로필린글리콜, 글리세롤, 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에틸 혹은 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린글리콜 모노메틸, 에틸 혹은 모노부틸에테르, 다이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혹은 에틸에테르) 및 유사 제품 및 더욱 저탄소수를 가지는 알코올(예를 들면,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1,2-프로판다이올글리세롤) 및 더욱 특히, 유리하게는 이산화 규소, 규산염알루미늄, 다당류 및 그러한 유도체(예를 들면, 하이알루론산, 잔탄검,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해서 완성되는 군으로부터, 그리고 특히 유리하게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각각 그것들 자체에서도 있고 조합, 이른바 카보포르(예를 들면, 타입 980, 981, 1382, 2984, 5984의 카보포르)를 포함해서 완성되는 군으로부터의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해서 완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는 1종 혹은 복수의 증점제를 포함해서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한편 에멀젼의 형태에 있는 옥틸 갈레이트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제물은 유리하게는 1종 혹은 복수의 유화제를 함유 한다. O/W 유화 제는 예를 들면 유리하게는, 예를 들면 폴리에이톡실화 혹은 폴리프로폭실화 또는 폴리에이톡실화, 한편 폴리프로폭실화된 제품, 예를 들면, 지방알코올 에톡시레이트; 에톡실화 양모 왁스 알코올; 일반식 R-O-(-CH2-CH2-O-)n-R'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테르; 일반식 R-COO-(-CH2-CH2-O-)n-H의 지방산 에톡시레이트; 일반식 R-COO-(-CH2-CH2-O-)2-R'의 에테르화 지방산 에톡시레이트; 일반식 R-COO-(-CH2-CH2-O-)n-C(O)-R'의 에스터화 지방산 에톡시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터; 에톡실화 소르비탄 에스터; 콜레스테롤 에톡시레이트; 에톡실화 트리글리세라이드; 일반식 R-COO-(-CH2-CH2-O-)n-OOH(n는5~30의 수를 나타낸다)의 알킬에테르카르본 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터; 일반식 R-O-(-CH2-CH2-O-)n-SO3-H의 알킬에테르설페이트; 일반식 R-O-(-CH2-CH(CH3)-O-)n-H의 지방알코올 프로폭시라트; 일반식 R-O-(-CH2-CH(CH3)-O-)n-R'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에테르; 프로폭실화 양모 왁스 알코올; 일반식 R-COO-(-CH2-CH(CH3)-O-)n-R'의 에스터화 지방산 프로폭시라트; 일반식 R-COO-(-CH2-CH(CH3)-O-)n-C(O)-R'의 에스터화 지방산 프로폭시라트; 일반식 R-COO-(-CH2-CH(CH3)-O-)n-H의 지방산 프로폭시라트; 프로필린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터; 프로폭실화 소르비탄 에스터; 코레스테로르프로폭시라트; 프로폭실화 트리글리세라이드; 일반식 R-O-(-CH2-CH(CH3)-O-)n-CH2-COOH의 알킬에테르카르본 산; 일반식 R-O-(-CH2-CH(CH3)-O-)n-SO3-H의 알킬에테르설페이트 및 이러한 설페이트에 기초한 산; 일반식 R-O-Xn-Ym-H의 지방알코올 에톡시레이트/프로폭시라트; 일반식 R-O-Xn-Ym-R'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에테르; 일반식 R-COO-Xn-Ym-R'의 에스터화 지방산 프로폭시라트; 및 일반식 R-COO-Xn-Ym-H의 지방산 에톡시레이트/프로폭시라트; 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폴리에이톡실화 혹은 폴리프로폭실화 혹은 폴리에이톡실화 한편, 폴리프로폭실화 O/W 유화제는 특히 유리하게는, O/W 유화제가 포화기 R 및 R'를 함유하는 한, 11~18의 HLB치, 지극히 특히 유리하게는 14.5 ~ 15.5의 HLB 수치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해서 완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O/W 유화제가 불포화기R 및/혹은 R'를 함유하든가 또는, 이소알킬 유도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유화제의 바람직한 HLB 수치는 그것보다 낮을 수도 있고 높을 가능성도 있다
지방알코올 에톡시레이트를 에톡실화 스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세틸스테아릴알코올(세테알릴알코올)을 포함해서 완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아래와 같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글리콜(13) 스테아릴 에테르(스테아레스 13),
폴리에틸렌글리콜(14) 스테아릴 에테르(스테아레스 14),
폴리에틸렌글리콜(15) 스테아릴 에테르(스테아레스 15),
폴리에틸렌글리콜(16) 스테아릴 에테르(스테아레스 16),
폴리에틸렌글리콜(17) 스테아릴 에테르(스테아레스 17),
폴리에틸렌글리콜(18) 스테아릴 에테르(스테아레스 18),
폴리에틸렌글리콜(19) 스테아릴 에테르(스테아레스 19),
폴리에틸렌글리콜(20) 스테아릴 에테르(스테아레스 20),
폴리에틸렌글리콜(12) 이소 스테아릴 에테르(이소스테아레스 12),
폴리에틸렌글리콜(13) 이소 스테아릴 에테르(이소스테아레스 13),
폴리에틸렌글리콜(14) 이소 스테아릴 에테르(이소스테아레스 14),
폴리에틸렌글리콜(15) 이소 스테아릴 에테르(이소스테아레스 15),
폴리에틸렌글리콜(16) 이소 스테아릴 에테르(이소스테아레스 16),
폴리에틸렌글리콜(17) 이소 스테아릴 에테르(이소스테아레스 17),
폴리에틸렌글리콜(18) 이소 스테아릴 에테르(이소스테아레스 18),
폴리에틸렌글리콜(19) 이소 스테아릴 에테르(이소스테아레스 19),
폴리에틸렌글리콜(20) 이소 스테아릴 에테르(이소스테아레스 20),
폴리에틸렌글리콜(13) 세틸에테르(세테스 13),
폴리에틸렌글리콜(14) 세틸에테르(세테스 14),
폴리에틸렌글리콜(15) 세틸에테르(세테스 15)
폴리에틸렌글리콜(16) 세틸에테르(세테스 16),
폴리에틸렌글리콜(17) 세틸에테르(세테스 17),
폴리에틸렌글리콜(18) 세틸에테르(세테스 18),
폴리에틸렌글리콜(19) 세틸에테르(세테스 19),
폴리에틸렌글리콜(20) 세틸에테르(세테스 20),
폴리에틸렌글리콜(13) 이소세틸 에테르(이소세테스 13),
폴리에틸렌글리콜(14) 이소세틸 에테르(이소세테스 14),
폴리에틸렌글리콜(15) 이소세틸 에테르(이소세테스 15),
폴리에틸렌글리콜(16) 이소세틸 에테르(이소세테스 16),
폴리에틸렌글리콜(17) 이소세틸 에테르(이소세테스 17),
폴리에틸렌글리콜(18) 이소세틸 에테르(이소세테스 18),
폴리에틸렌글리콜(19) 이소세틸 에테르(이소세테스 19),
폴리에틸렌글리콜(20) 이소세틸 에테르(이소세테스 20),
폴리에틸렌글리콜(12) 올레일 에테르(오레스 12),
폴리에틸렌글리콜(13) 올레일 에테르(오레스 13),
폴리에틸렌글리콜(14) 올레일 에테르(오레스 14),
폴리에틸렌글리콜(15) 올레일 에테르(오레스 15),
폴리에틸렌글리콜(12) 라우릴 에테르(라우리스-12),
폴리에틸렌글리콜(12) 이소 라우릴 에테르(이소 라우리스-12),
폴리에틸렌글리콜(13) 세틸 스테아릴 에테르(세테아레스 13),
폴리에틸렌글리콜(14) 세틸 스테아릴 에테르(세테아레스 14),
폴리에틸렌글리콜(15) 세틸 스테아릴 에테르(세테아레스 15),
폴리에틸렌글리콜(16) 세틸 스테아릴 에테르(세테아레스 16),
폴리에틸렌글리콜(17) 세틸 스테아릴 에테르(세테아레스 17),
폴리에틸렌글리콜(18) 세틸 스테아릴 에테르(세테아레스 18),
폴리에틸렌글리콜(19) 세틸 스테아릴 에테르(세테아레스 19),
폴리에틸렌글리콜(20) 세틸 스테아릴 에테르(세테아레스 20).
지방산 에톡시레이트를 아래와 같은 군으로부터 선택할 수도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20)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1)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2)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3)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4)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5)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2) 이소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3) 이소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4) 이소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5) 이소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6) 이소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7) 이소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8) 이소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9) 이소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0) 이소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1) 이소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2) 이소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3) 이소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4) 이소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5) 이소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2) 올레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3) 올레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4) 올레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5) 올레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6) 올레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7) 올레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8) 올레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9) 올레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0) 올레에이트.
소듐 라우릴-11카르복실레이트는 에톡실화 알킬에테르카르본 산 혹은 그 염으로서 유리하게 사용할 있다. 소듐 라우릴 1~4 설페이트는 알킬에테르설페이트로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30) 콜레스테릴 에테르는 에톡실화 콜레스테롤 유도체로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25) 소야스테로르도 또한 유용하다라고 하는 것이 증명되었다. 폴리에틸렌글리콜(60) 달맞이꽃 글리세라이드는 에톡실화 트리글리세라이드로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터를, 폴리에틸렌글리콜(20)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21)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2)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3)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6) 글리세릴카프레이트/카프리네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0) 글리세릴 올레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0) 글리세릴 이소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8) 글리세릴 올레에이트/코코 에이트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소르비탄 에스터는 폴리에틸렌글리콜(20)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0) 소르비탄 물건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0) 소르비탄 물건 이소 스테어 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0)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0)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W/O 유화제로써 이하를 사용할 수 있다: 8~30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지방알코올, 8~24, 특히 12~18 탄소 원자의 길이를 가지는 포화 및/혹은 불포화의 분지 및/혹은 직쇄 알칸카르복실산의 글리세롤 에스터, 8~24, 특히 12~18의 탄소 원자의 길이를 가지는 포화 및/혹은 불포화의 분지 및/혹은 직쇄 알칸카르복실산의 디글리세롤 에스터, 8~24, 특히 12~18의 탄소 원자의 길이를 가지는 포화 및/혹은 불포화의 분지 및/혹은 직쇄 알코올의 글리세롤 에테르 8~24, 특히 12~18의 탄소 원자의 길이를 가지는 포화 및/혹은 불포화의 분지 및/혹은 직쇄 알코올의 디글리세롤 에테르 8~24, 특히 12~18 탄소 원자의 길이를 가지는 포화 및/혹은 불포화의 분지 및/혹은 직쇄 알칸카르복실산의 프로필린글리콜 에스터, 및 8~24, 특히 12~18 탄소 원자의 길이를 가지는 포화 및/혹은 불포화의 분지 및/혹은 직쇄 알칸카르복실산의 소르비탄 에스터.
특히 유리한 W/O 유화제는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이소 스테어 레이트, 글리세릴 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 디글리세릴 스테어 레이트, 디글리세릴 이소 스테어 레이트, 프로필린글리콜 스테어 레이트, 프로필린글리콜 이소 스테어 레이트, 프로필린글리콜 카프리 레이트, 프로필린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이소 스테어 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카프리 레이트, 소르비탄 이소 올레에이트, 수크로스 디스테아레이트,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아라키 질 알코올, 베헤닐알코올이소 베헤닐알코올, 셀라킬알코올, 키밀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2) 스테아릴 에테르(스테아레스-2), 글리세릴 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릴모노카프리네이트, 글리세릴 모노 카프릴레이트이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옥틸 갈레이트 및 보존제(1,2-알칸 다이올)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균활성이 요구되는 의약외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코팅제 또는 필터충진제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옥틸 갈레이트 및 보존제(1,2-알칸 다이올)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균 활성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으며 의약 용도를 갖는 유효 성분의 보조제로써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잘 알고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형화할 경우,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옥틸 갈레이트 및 상승작용 목적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를 포함할 수 있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옥틸 갈레이트 및 보존제(1,2-알칸 다이올)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균용 조성물일 수 있으며,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잘 알고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옥틸 갈레이트 및 보존제(1,2-알칸 다이올)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방부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부제 조성물일 수 있으며, 상기 방부제 조성물은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잘 알고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부제 조성물은 방부제 조성물이 함유되는 제품의 종류 및 사용목적에 따라 통상 사용하는 성분의 적당량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산, 초산나트륨계, 소르빈산계, 안식향산계, 프로피온산계를 추가할 수 있으며, 천연 Linseed Oil 비누, 봉랍 비누, 아카시아 수액 등 천연유화제로 유화를 시켜 수용성과 유성유화제로 제조하여 액상, 분말 등 자유자재로 제조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를 항균 상승 효과의 목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균들에 대한 폭넓은 항균활성 스펙트럼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화장품, 의약, 생활용품, 농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살균, 항균, 방부목적으로 유용하게 이용가능하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옥틸 레이트 와 기존 보존제 혼합물의 보존성 측정
옥틸 갈레이트를 기존 보존제과 혼합시켜 보존성의 상승 효과 여부를 확인하였다. 보존성의 시험은 유럽 약전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간략히 설명하면, 미생물의 정상 접종 후 조제물의 오염도(최종 비율), 특정 온도에서의 접종 조제물의 보존, 특정 시간 간격을 두고 용기로부터 시료를 채취하고 채취한 시료 중에서 미생물 수를 측정하였다. 실시 조건하의 정상 온도 조건에 있어 접종 조제물의 미생물 수가 유의미하게 감소되거나, 유지될 때에는 보존성은 적당하다고 보았다. 측정 실험법의 자세한 사항은 유럽 약전(ISBN 3-7692-2768-9;제3판의 2001, 제5.1.3장의 페이지 421~422)과 동일하였다.
1-1. 사용 미생물 및 최초 농도
보존성 측정을 위하여 하기 미생물을 이용하였다.
A:대장균 ATCC 8739
B:녹농균 ATCC 9027
C:황색 포도상구균 ATCC 6538
D:흰색 칸디다 ATCC 10231
E:흑색 아스퍼질러스 ATCC 16404
여러 가지 실험에 대하여 상기 미생물들은 최초의 미생물 수(CFU/g; "0"값)은 240, 000~300, 000의 범위 내로 처리하였다.
1-2. 조제물 제조
보존성 측정을 위해서 (a) 상승작용을 측정할 항균 활성 혼합물과 (b) 대조군으로 대응하는 비혼합 1,2-AlkaneDiol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조제물의 조합은 하기 표 1의 조성을 가졌다.
옥틸 갈레이트 및 헥산다이올 혼합물을 함유한 에멀젼 조제물의 조성
화장품 원료(상표명 포함) 제조사 %(w/w)
- 77.6
시트르산(Citric acid) - 0.4
Dragopho S DRAGOCO 2
PCL액 DRAGOCO 3
Isodragol DRAGOCO 7
Lanette 18 Cognis 4.5
Dracoin GMS DRAGOCO 2
Dow Corning 200 fluid Dow coring 2
옥틸 갈레이트 - 1
1,2-헥산다이올 - 0.5
- 100
1-3. 보존성 실험
상기 제조한 에멀젼의 보존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해당 에멀젼에 아스퍼질러스를 접종한 후 14일의 배양하여 미생물의 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옥틸 갈레이트와 1,2-헥산다이올을 혼합시키지 않고 각각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동일한 조성의 에멀젼을 제조하여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실험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와 1,2-헥산다이올의 상승작용성 계수(SI)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옥틸 갈레이트와 1,2-헥산다이올의 1:2 혼합 에멀젼의 아스퍼질러스 미생물에 대한 상승성수치(SI)의 계산
에멀젼 1
(옥틸 갈레이트 포함)
에멀젼 2
(1,2-헥산다이올 포함)
에멀젼 3
(옥틸 갈레이트 및 1,2-헥산다이올 1:2 혼합 포함)
아스퍼질러스 14일차
(CFU/g)
28, 000 10, 000 2, 000
A : 에멀젼 1의 미생물 수 28, 000
B : 에멀젼 2의 미생물 수 10, 000
C : 에멀젼 3의 미생물 수 2, 000
D : 에멀젼 3에서 에멀젼 1의 비율 0.66(2/3)
E : 에멀젼 3에서 에멀젼 2의 비율 0.33(1/3)
SI: 상승성 수치 0.11
상승성 수치를 구하는 공식(Kull equation)은 다음과 같다.
SI = C x D / A + C x E / B
본 발명에 따른 디올 혼합물의 활성의 상승작용 목표 증강은 상기 Kull 등식 (F.C.Kull et al., ;Applied Microbiology Vol.9, p.538-541(1961);David C.Steinberg;Cosmetics & Toiletries Vol.115(No.11), p.59-62;November 2000)에 근거해 나타내 보였다. Kull의 등식은 순수 물질과 그것들로부터 조제된 활성화합물 혼합물을 그러한 항균 활성에 대한 비교를 가능하게 한다. 이 등식에 의해, 항균작용을 가지는 혼합물의 상승작용 목표 활성, 그러나 또 가능한 길항작용의 지표인, 이른바 상승작용성 계수(SI)가 결정된다. 상승효과는, 결정되는 SI치가 1 미만인 경우에 명료하다. 한편, 정확하게 1의 SI가 계산되는 경우에는, 항균작용을 가지는 2종의 물질의 순수한 더하기 효과가 존재한다. 한편, 1을 넘는 SI치의 경우에는, 길항작용 효과가 존재한다.
1-4. 보존성 실험 결과
상기 보존성 실험의 결과 정상 질량비의 옥틸 갈레이트와의 혼합물은 동일 농도로 계량된 개개의 물질보다 훨씬 큰 활성을 가지는 것이 밝혀졌다. 이것은 특히, 14일 및 28일 후 잔류한 잔류 미생물 수에 대해서 나타났다.
상기 표 2의 결과는 14일의 배양 후의 옥틸 갈레이트와 1,2-헥산다이올과의 혼합물(비율 1:2)에 의한 아스퍼질러스의 처리에 대한 SI치의 계산을 나타낸다. 0.11의 계산 SI는 옥틸 갈레이트와 1,2-헥산다이올의 1:2 혼합물이 활성화합물의 현저하고 상승작용적인 조합 물건인 것을 명백하게 나타내 보이고 있다.
1,2-펜탄다이올, 1,2-헥산다이올 및/혹은1,2-옥탄다이올과의 옥틸 갈레이트 2종 및 3종 혼합물은 여기서 특히 유효인 것이 판명되었다. 모든 5종의 시험 미생물(대장균, 녹농균, 황색 포도상구균, 칸디다 및 아스퍼질러스)의 사례에 대하여, 28일 후에는 바람직한 목표의 0치까지 집락형성단위(CFU)의 농도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즉, 상기 혼합물을 사용했을 때 이 인큐베이트 상 후에 미생물 수는 0이었으므로, 28-일의 SI치를 결정할 수 없었다(표 3 참조). 따라서, 이 구체적인 예에서는 Kull 등식을 사용할 수 없지만, 상승작용성은 0의 미생물 수에 근거해 명백하였다.
상기 표 2 및 28일간의 기간에 걸치는 아스퍼질러스에 대한 적절한 보존성의 시험, 옥틸 갈레이트(O/W 에멀젼 중 3%), 1,2-헥산다이올(O/W 에멀젼 중 3%), Octyl galalte/1,2-헥산다이올 혼합물(질량비 2:1, 용량은 같이 3%)에 대한 미생물 수의 감소의 대수 곡선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산업 제품의 보존성에 관해서 특히 문제를 일으키는 미생물의 아스퍼질러스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28일 이내에 미생물 수(단위 : 집락형성단위 수, CFU)를 0까지 감소시킬 수 있었다. 한편, 대조의 목적으로 시험된, 똑같이 3%의 용량의 각각 단독의 물질(옥틸 갈레이트, 1,2-프로판다이올, 1,2-펜탄다이올, 1,2-헥산다이올, 1,2-옥탄다이올 및 1,2-데케인다이올)은 혼합물이 보이는 미생물 감소치인 0까지는 감소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시험 계열 및 표 3에 의해, 옥틸 갈레이트에 1,2-펜탄다이올, 1,2-헥산다이올, 1,2-옥탄다이올 및 1,2-데케인다이올로부터 완성되는 군의 적어도 2종의 다른 구성으로부터 완성되는 옥틸 갈레이트와 1,2-알칸 다이올 혼합물은 상승작용적으로 증가된 활성을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28일간에 걸친 아스퍼질러스 미생물에 대한 방부력
0 일차 1 일차 2 일차 7 일차 14 일차 28 일차
헥산다이올 3% 541, 000 510, 000 510, 000 480, 000 445, 000 2, 900
옥틸갈레이트 3% 541, 000 47, 000 3, 800 3, 000 3, 000 2, 000
옥틸갈레이트 2%, 헥산다이올 1% 541, 000 40, 700 40, 000 280 240 0
실시예 2. 각종 미생물에 대한 최소 저해 농도의 결정 및 MIC 치에 근거하는 상승성 수치의 계산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와 헥산다이올 혼합물이 체취의 원인이 되는 각종 미생물의 억제에 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였다. 특히, 체취와 관련된 표피 포도상구균, 코리네박테리움 키세로시스 및 표피 브레비박테리움에 대하여 최소 저해 농도를 측정하여 혼합물에 의한 상승성 수치를 상기와 같은 공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 및 1,2-헥산다이올 혼합물의 항균작용을 DIN 58 940/ICS 및 DIN 58 944/ICS에 근거한 한천 희석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직경 9.0 cm의 샬레에 50℃으로 액체 상태로 유지된, 13.5 ml의 조제한 지 얼마 안되는 물러힌톤(Mueller-Hinton) 한천(Merck, Ref.1.054437 혹은 윌킨스찰그렌(Wilkins-Chalgren) 한천 육즙, Oxoid, Ref.CM 643, 10 g의 한천/1리터를 보충)에 여러 가지 농도의 희석 시료를 10%(V/V) = 1.5 ml로 첨가했다. 시험 미생물의 마라세지아 풀 풀(Malassezia furfur)에 대해서는, 3% 트윈80(Merck, Ref.8.22 187)을 함유하는 물러힌톤(Mueller-Hinton) 한천을 사용하였다.
각 예에 대하여, 5 ml의 시료를 증류수에 희석해 10 ml에 조제했다. 기하학 목표 계열의 형태로 조제된 상위 시험 농도의 구체적인 희석 계열을, 이 배치의 증류수에 의한 점진적 1:1 희석에 의해 조제했다.
시험 한천(1.5 ml의 시료 혹은 대응하는 희석물 + 13.5 ml의 한천)에 의한 희석에 의해 각 예에 대해 10배 희석된 최종 농도를 달성했다(각각 첫 회 농도가 50, 000 ppm에 달한다). 1종의 시험 농도 및 영양소 배지 당 2개의 한천 플레이트가 주입되었다. 각 예에 대해 2개의 한천 플레이트에 의해 이하의 대조 시험을 실시했으며, 실험 조건은 하기 표 3과 같다.
샘플명 조건 접종여부
K1 15.0ml 물러힌톤(Mueller-Hinton) agar 비접종
K2 13.5ml 물러힌톤(Mueller-Hinton) agar + 1.5ml 증류수 접종
K3 13.5ml 물러힌톤(Mueller-Hinton) agar + 1.5ml 증류수 접종
K4 15.0ml 물러힌톤(Mueller-Hinton) agar 접종
K5 15.0ml 물러힌톤(Mueller-Hinton) agar + 3% 트윈 80 비접종
K6 13.5ml 물러힌톤(Mueller-Hinton) agar + 3% 트윈 80 + 1.5ml 증류수 비접종
K7 13.5ml 물러힌톤(Mueller-Hinton) agar + 3% 트윈 80 + 1.5ml 증류수 접종
K8 15.0ml 물러힌톤(Mueller-Hinton) agar + 3% 트윈 80 접종
K9 15.0ml 윌킨스찰그렌(Wilkins-Chalgren) agar 비접종
K10 13.5ml 윌킨스찰그렌(Wilkins-Chalgren) agar + 1.5ml 증류수 비접종
K11 13.5ml 윌킨스찰그렌(Wilkins-Chalgren) agar + 1.5ml 증류수 접종
K12 15.0ml 윌킨스찰그렌(Wilkins-Chalgren) agar + 1.5ml 증류수 접종
고체화 및 마른 후(37℃으로 약 1시간), 시험 플레이트를 각 예에 대하여, 아래 표의 시험 미생물 현탁액 1μl에 의해 점형태로 접종했다. 순도를 교정해, 분류하기 위해서 호기에 생장 하는 박테리아(브레비박테륨 에피더미스, 코리네박테리움 키세로시스, 스파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를 Columbia 혈액한천배지(BioMerieux, Ref.430049) 위에서 배양했다. 곰팡이의 흑색 아스퍼질러스, 효모균의 흰색 칸디다 및 2종의 피부 진균류의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 및 에피데르모피톤 후로코슴을 Sabouraud 한천(BioMerieux, Ref.43555) 위에서 배양했다. 마라세지아 풀풀을 탈 억제제(3% 트윈 80:1%; 레시틴:0.3%; 히스티딘:0.1%; Merck, Ref.1.18368의 첨가)를 포함한 Sabourad HLT 한천 위에서 배양했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를 Schaedler 한천(BioMerieux, Ref.43273) 위에서 배양했다. 시험 미생물의 한층 더 자세한 것은 하기 표 5에 정리하였다.
검정균 및 균 수
검정균 스트레인 번호 CFU/mL
브레비박테륨 에피더미스 ATCC 35514 28, 000, 000
코리네박테리움 키세로시스 ACCC 7711 21, 000, 000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ATCC 11829 200, 000, 000
스파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ATCC 12228 22, 000, 000
마라세지아 풀풀 DSM 6171 30, 000, 000
에피데르모피톤 후로코슴 CBS 55384 21, 000, 000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 CBS 26379 33, 000, 000
호기에 생장하는 박테리아 미생물의 시험 세균 현탁물의 조제는 36℃로 관련 시험균의 몇개의 개개의 콜로니를 접종 된 물러힌톤(Mueller-Hinton) broth(Merck, Ref.1.10293)의 인큐베이트에 의해 실시했다. 명백한 혼탁을 얻은 후에, 멸균 영양소 broth를 그 혼탁도가 맥파랜드(McFarland) 표준 0.5( 약 1.5×108CFU/ml)에 상당하는 양으로 현탁액에 첨가했다.
다른 시험균 현탁액의 조제에 대해서는, 시험주를 상기의 고체 영양소 배지 위에서 배양해, 멸균 면봉을 사용해 수확해, 현탁액의 혼탁도가 맥파랜드(McFarland) 표준 0.5에 상당하는 물러힌톤(Mueller-Hinton) borth에 희석했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를 제외하는 모든 시험균 현탁액을 멸균 broth로 재차 1:10에 희석해, 그 균 수를 스피랄메터(Spiralometer)를 사용하는 표면법에 의해 측정했다.
접종된 플레이트를 하기 표 6에 나타낸 조건하에서 배양하여 평가했다. MIC(최소 저해 농도)는, 현미경적으로 생장을 볼 수 없는 활성화합물의 최저농도라고 보았다. 크기가 작아 거의 인정할 수 없는 생장 혹은 작은 개개의 콜로니를 보이는 경우에는 저해 농도라고 평가했다.
접종 및 배양
검정균 Strain 생장 조건 영양배지 배양조건
브레비박테륨 에피더미스 ATCC 35514 호기 물러힌톤(Mueller-Hinton) agar 18h, 36℃
코리네박테리움 키세로시스 ACCC 7711 호기 물러힌톤(Mueller-Hinton) agar 18h, 36℃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ATCC 11829 혐기 윌킨스찰그렌(Wilkins-Chalgren) agar 72h, 30℃
스파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ATCC 12228 호기 물러힌톤(Mueller-Hinton) agar 18h, 36℃
마라세지아 풀풀 DSM 6171 호기 물러힌톤(Mueller-Hinton) agar +
3% 트윈 80
72h, 30℃
에피데르모피톤 후로코슴 CBS 55384 호기 물러힌톤(Mueller-Hinton) agar 18h, 36℃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 CBS 26379 호기 물러힌톤(Mueller-Hinton) agar 72h, 30℃
상기 조건에 따른 실험의 결과에 대하여, 옥틸 갈레이트, 1,2-헥산다이올, 및 옥틸 갈레이트/1,2-헥산다이올 = 2:1의 2종의 혼합물의 MIC치를 일반적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옥틸 갈레이트(OTG)와 1,2-헥산다이올(HD)의 혼합물에 대한 MIC
검정균 Strain OTG 처리시 MIC HD 처리시 MIC OTG-HD(2:1) 혼합물 처리시 MIC OTG-HD(2:1) 혼합물 처리시 SI
스파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ATCC 12228 25000 12500 6250 0.55
코리네박테리움 키세로시스 ACCC 771 12500 6250 6250 0.66
브레비박테륨 에피더미스 ATCC 35514 25000 3125 6250 0.83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ATCC 11829 25000 6250 3125 0.25
마라세지아 풀풀 DSM 6171 12500 50000 50000 2.97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 CBS 26379 6300 1562 1562 0.49
에피데르모피톤 후로코슴 CBS 55384 6250 3125 1562 0.32
상기 표 7에 나타낸 결과에 의해, 옥틸 갈레이트 및 1,2-헥산다이올에 대해서, 2종의 2:1 혼합물이 항균 활성의 상승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브레비박테륨 에피더미스, 코리네박테리움 키세로시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 및 에피데르모피톤 후로코슴과 같은 미생물은 대응하는 개개의 물질과 직접 비교하면, 옥틸 갈레이트 및 1,2-헥산다이올 혼합물에 의해 명확하게 활성이 억제된다.
MIC치에 근거하여 쿨(Kull) 등식을 통해 계산된 상승작용성 계수도 상기 표 7에 나타내었다. SI치는 옥틸 갈레이트/1,2-헥산다이올의 혼합물이 상승작용적으로 증강된 작용을 가져, 보존제로서의 그 뛰어난 활성에 가세해(실시예 1 참조) 더욱 바람직하게는, 체취의 억제에(SI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 0.55; SI 코리네박테리움 키세로시스 : 0.66 ; SI 브레비박테륨 에피더미스: 0.83), 여드름의 억제에(SI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0.25) 그리고 트리코피톤 및 에피데르모피톤종에 의해 일으켜지는 피부 및 진균증의 억제에(SI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 0.49; SI 에피데르모피톤 후로코슴:0.32)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명백하게 나타내 보이고 있다. 다만, 마라세지아 풀풀에 대해서는, 옥틸 갈레이트/1,2-헥산다이올 혼합물에 대한 상승작용 목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SI마라세지아 풀풀: 2.97, 즉 길항작용 효과).
실시예 3. 옥틸 레이트 혼합물과 추가 보존제 혼합에 의한 보존성 측정
옥틸 갈레이트의 상승작용 목표 혼합물(a)과 추가 보존제(b)의 혼합물에 의한 보존성을 유럽 약국방에 따라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3-1. 사용 미생물 및 최초 농도
보존성 측정을 위하여 하기 미생물을 이용하였다.
A:대장균 ATCC 8739
B:녹농균 ATCC 9027
C:황색 포도상구균 ATCC 6538
D:흰색 칸디다 ATCC 10231
E:흑색 아스퍼질러스 ATCC 16404
여러 가지 실험에 대하여 상기 미생물들은 최초의 미생물 수(CFU/g; "0"값)은 280, 000~320, 000의 범위 내로 처리하였다.
3-2. 조제물 제조
보존성 측정을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 혼합물(a) 및 추가 보존제(b)를 포함하는 상승작용 후보 조합 혼합물을 함유하는 에멀전을 제조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대조군으로 상기 옥틸 갈레이트 혼합물(a) 및 추가 보존제(b)를 각각 단독으로 포함하는 에멀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조제물의 조합은 하기 표 8의 조성을 가졌다.
옥틸 갈레이트 혼합물 및 추가 보존제를 함유한 에멀젼 조제물의 조성
화장품 원료(상표명 포함) 제조사 에멀젼 A
0.1% Euxyl K400
에멀젼 B
0.5% 옥틸 갈레이트, 0.5% 1,2-헥산다이올
에멀젼 C
0.05% Euxyl K400, 0.25% 옥틸 갈레이트, 0.25% 헥산다이올
옥틸 갈레이트 - 0 0.5 0.25
헥산다이올 DRAGOCO 0 0.5 0.25
Euxyl K 400 Schulke/Mayr 0.1 0 0.05
K sorbate Ringe + Kuhlmann 0 0 0
Pehenoxyethanol 0 0 0
Paraben mixture - 0 0 0
Water - 79.25 78.35 78.75
Citric acid, 10% - 0.15 0.15 0.2
Dragophos S DRAGOCO 2 2 2
PCL liquid DRAGOCO 3 3 3
Isodragol DRAGOCO 7 7 7
Lanette 18 COGNIS 4.5 4.5 4.5
Dracorin GMS 2/008474 2 2 2
Dow Corning 200 fl Dow Corning 2 2 2
Total - 100 100 100
상기 표 8에서는, 0.05%의 Euxyl K400(1,2-디브로모2,4-디시아노부탄(20%) 및 2-페녹시 에탄올(80%)의 혼합물), 0.25%의 옥틸 갈레이트 및 0.25%의 1,2-헥산다이올로부터 완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에 대한 에멀젼 조제물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에멀젼 안의 옥틸 갈레이트 혼합물 및 추가 보존제 Euxyl K400의 총 농도의 변화는, 동일 조제물이 항상 총계로 100 중량부를 포함해서 완성되도록 수분 함량을 증가 혹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정되었다
3-3. 보존성 실험
상기 제조한 에멀젼의 보존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해당 에멀젼에 아스퍼질러스를 접종한 후 28일간 배양하여 잔류한 흑색 아스퍼질러스 미생물 수를 측정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1,2-헥산다이올 혼합물과 추가 보존제의 상승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동일한 조성의 에멀젼과 Octyl gallte/1,2-헥산다이올/EuxylK400을 포함하는 에멀젼에 대하여 보존성 부하실험을 진행하였다(표 9).
3가지 조합의 에멀젼의 항균력 상승 효과의 평가 결과
에멀젼 날자 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 칸디다 아스퍼질러스
에멀젼 A 0 300, 000 320, 000 310, 000 310, 000 280, 000
1 200 0 0 <100 220, 000
2 <100 0 0 <100 140, 000
7 0 0 0 0 200, 000
14 0 0 0 0 160, 000
28 0 0 0 0 32, 000
에멀젼 B 0 300, 000 320, 000 310, 000 310, 000 280, 000
1 0 0 0 3, 200 180, 000
2 0 0 0 200 160, 000
7 0 0 0 0 180, 000
14 0 0 0 0 120, 000
28 0 0 0 0 60, 000
에멀젼 C 0 300, 000 320, 000 310, 000 310, 000 280, 000
1 <100 <100 <100 <100 20, 000
2 0 0 0 0 12, 000
7 0 0 0 0 8, 000
14 0 0 0 0 8, 000
28 0 0 0 0 2, 800
상기 실험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1,2-헥산다이올 혼합물과 EuxylK400의 상승작용성 계수(SI)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10과 같다.
옥틸 갈레이트/1,2-헥산다이올 혼합물과 EuxylK400의 상승작용성 계수(SI)
에멀젼 1
-옥틸 갈레이트 0.5% + 1,2 헥산다이올 0.5%
에멀젼 2
-Euxyl K400 0.1%
에멀젼 3
-옥틸 갈레이트 0.25% + 1,2 헥산다이올 0.25% + Euxyl K400 0.05%
아스퍼질러스 28일차
(CFU/g)
60, 000 32, 000 2, 800
A: 에멀젼 1의 미생물 수 60, 000
B: 에멀젼 2의 미생물 수 32, 000
C: 에멀젼 3의 미생물 수 2, 800
D: 에멀젼 3에서 에멀젼 1의 비율 0.5
E: C에서 B 성분의 비율 0.5
SI: 상승성 수치 Synergy Index 0.066
상승성 수치를 구하는 공식(Kull equation; SI = C x D / A + C x E / B)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3-4. 보존성 실험 결과
상기 흑색 아스퍼질러스를 접종한 후 28일 후 잔류한 잔류 미생물 수를 측정한 보존성 실험 결과, 옥틸 갈레이트와 1,2-헥산다이올 혼합물 자체 뿐만 아니라 추가 보존제와의 혼합물도 동일 농도의 개개 물질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활성의 상승 효과를 가지는 것이 발견되었다.
표 8에서 볼 수 있듯이, 산업 제품의 보존에 특히 문제가 되는 흑색 아스퍼질러스 미생물에 대하여, 에멀젼 C를 사용하는 것으로써 28일간 미생물 수를 2, 800 CFU/g까지 감소시킬 수 있었다. 한편, 1% 용량으로 실험된 에멀젼 A 및 0.1%의 용량으로 실험된 에멀젼 B는 아스퍼질러스 균에 대하여 에멀젼 C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 결과는 (a) 옥틸 갈레이트에 1,2-프로판다이올, 1,2-펜탄다이올, 1,2-헥산다이올, 1,2-옥탄다이올 또는 1,2-데케인다이올을 추가하여 완성되는 군의 적어도 2 종의 다른 성분 및 (b) 추가 보존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항균력 측면에서 상승작용성이 더욱 월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상기 표 10의 결과는 옥틸 갈레이트, 1,2-헥산다이올 및 EuxylK400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에멀젼에 아스퍼질러스를 접종하고 28일간 배양기간 동안 또는 28일 배양 후의 미생물 수를 측정하여 항균력에 관한 SI 수치를 계산한 결과이다. SI 수치 0.066은 옥틸 갈레이트/1,2-헥산다이올 혼합물과 EuxylK400의 상승작용을 명백하게 나타내고 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옥틸 갈레이트를 항균 상승 효과의 목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균들에 대한 폭넓은 항균활성 스펙트럼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화장품, 의약, 생활용품, 농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살균, 항균, 방부목적으로 유용하게 이용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옥틸 갈레이트(octyl gallate) 및 1,2-알칸 다이올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틸 갈레이트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50 %(w/v)의 양으로 포함되는 항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2-알칸 다이올은 1,2-프로판다이올, 1,2-펜탄다이올, 1,2-헥산다이올, 1,2-옥탄다이올 및 1,2-데케인다이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인 항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추가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보존성이 단독 포함한 경우보다 상승적으로(synergic) 증가된 항균용 조성물로서, 상기 추가 보존제는 벤조산, 그 에스터 및 염, 프로피온산 및 그 염, 살리실산 및 그 염, 2,4-헥산산(소르빈산) 및 그 염, 포름알데히드 및 파라포름알데히드, 2-히드록시비페닐 에테르 및 그 염, 2-아연 술피드피리딘-N-옥시드, 무기 술파이트 및 비술파이트, 요오드 산 나트륨, 클로로브타노람, 4-에틸수은-(II)5-아미노-1,3-비스(2-히드록시) 벤조산, 그 염 및 에스터, 데하이드로아세트산(dehydratcetic acid), 포름산, 1,6-비스(4-아미디노-2-브로모페녹시)-n-헥산 및 그 염, 에틸수은-(II)-티오 살리실산의 나트륨염, 페닐 수은 및 그 염, 10-운데실렌 산 및 그 염, 5-아미노-1,3-비스(2-에틸헥실)-5-메틸-헥사히드로 피리미딘, 5-브로모-5-니 로 1,3-다이옥산, 2-브로모-2-니트로-1,3-프로판다이올, 2,4-디클로로벤질알코올, N-(4-클로로페닐)-N'-(3,4-디클로로페닐)-요소, 4-클로로-m-크레졸,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4-클로로-3,5-디메틸 페놀, 1,1'-메틸렌-비스(3-(1-히드록시메틸-2,4-디옥시이미다졸리딘-5-일)요소)폴리-(헥사메틸렌지그아니드) 염산, 2-페녹시 에탄올, 헥사메틸렌테트라민, 1-(3-클로로 알릴)-3,5,7-트리아자-1-아조니아-아다만탄-염화물, 1(4-클로로 페녹시)-1(1 H-이미다졸-1-일)-3,3-디메틸-2-부타논, 1,3-비스-(히드록시-메틸)-5,5-디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벤질알코올, 오크트피록스, 1,2-디브로모2,4-디시아노부탄, 2,2'-메틸렌-비스(6-브로모-4-클로로-페놀), 브로모-클로로펜, 염화 마그네슘 및 질산 마그네슘과의 5-클로로-2-메틸-3(2 H)-이소티아졸리논 및 2-메틸-3(2 H) 이소티아졸리논의 혼합물, 2-벤질-4-클로로페놀, 2-클로로아세트아미드, 클로로헥시딘, 클로로헥시딘 아세테이트, 클로로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클로로헥시딘 염산, 1-페녹시-프로판-2-올, N-알킬(C12-C22) 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및 염화물, 4,4-디메틸-1,3-옥사졸리딘, N-히드록시메틸-N-(1,3-지(히드록시메틸)-2,5-디옥소이미다졸리딘-4-일)-N'-히드록시-메틸요소, 1,6-비스(4-아미디노 페녹시)-n-헥산 및 그 염, 글루타르알데하이드5-에틸-1-아자3,7-디옥사비사이클로(3.3.0) 옥탄, 3-(4-크롤 페녹시)-1,2-프로판다이올, 히아민(hyamine), 알킬-(C8-C18)-디메틸-벤질-암모늄-염화물, 알킬-(C8-C18)-디메틸-벤질 암모늄 브로마이드, 알킬-(C8-C18)-디메틸-벤질 암모늄 사카리네이트, 벤질헤미호르말, 3-요우드2-프로피닐-부틸카르바메이트 및 나트륨 히드록시메틸 아미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인, 항균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또는 방부제 조성물로 이용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0130131769A 2013-10-31 2013-10-31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24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769A KR102024947B1 (ko) 2013-10-31 2013-10-31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769A KR102024947B1 (ko) 2013-10-31 2013-10-31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234A KR20150050234A (ko) 2015-05-08
KR102024947B1 true KR102024947B1 (ko) 2019-09-24

Family

ID=5338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769A KR102024947B1 (ko) 2013-10-31 2013-10-31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9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3359A (zh) * 2019-04-18 2019-07-30 浙江工商大学 一种生物天然保鲜剂的制备方法和应用
KR20230101482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엑티브온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485B1 (ko) 2016-06-27 2023-11-06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항산화 조성물
KR102059043B1 (ko) 2018-11-21 2019-12-24 주식회사 에이조스바이오 방부제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6036A (ja) * 2002-02-19 2005-09-02 シムライズ・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ジツト・ゲゼルシヤフト 1,2−アルカンジオールの相乗的混合物
JP5232656B2 (ja) * 2006-12-28 2013-07-10 株式会社マイクロバイオテック アルキルガレート薬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763B1 (ko) * 1991-05-27 1993-09-15 주식회사 태평양화학 화장료 조성물
US9610350B2 (en) * 2009-08-17 2017-04-04 Arch Personal Care Products, L.P. Broad spectrum preservation blen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6036A (ja) * 2002-02-19 2005-09-02 シムライズ・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ジツト・ゲゼルシヤフト 1,2−アルカンジオールの相乗的混合物
JP5232656B2 (ja) * 2006-12-28 2013-07-10 株式会社マイクロバイオテック アルキルガレート薬剤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3359A (zh) * 2019-04-18 2019-07-30 浙江工商大学 一种生物天然保鲜剂的制备方法和应用
KR20230101482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엑티브온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234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2231B2 (ja) 1,2−アルカンジオールの相乗的混合物
KR102043869B1 (ko) 상승적으로 작용하는 3원 항미생물 혼합물
ES2675045T3 (es) Preparaciones activas sinérgicas que comprenden 1,2-decanodiol y además compuestos activos antimicrobianos
CN113518614A (zh) 脂肪酸酯及其组合物的抗菌活性
KR102024947B1 (ko)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12958B1 (ko) 폴리글리세린-3을 함유하는 항균 또는 보존용 조성물
KR101779131B1 (ko)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JP6906274B2 (ja) 外用組成物、眼科用組成物、抗菌剤、及び抗菌方法
KR20190143616A (ko) 폴리(부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보존제 조성물
JP3774219B2 (ja) 防腐殺菌剤並びに該防腐殺菌剤を配合した化粧品、医薬品及び食品
KR101788179B1 (ko) 방부력이 우수한 저자극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60163B1 (ko)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01257B1 (ko) 에틸헥실갈레이트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JP2004300143A (ja) 防腐殺菌剤並びに該防腐殺菌剤を配合した化粧料、医薬品及び食品
EP2717837B1 (de) Wirkstoffkombinationen aus -polylysin (epsilon-polylysin) und einem oder mehreren aromatischen estern, aldehyden und/oder alkoholen
JP2023516454A (ja) 改善された溶解度を有する、4-ヒドロキシフェノンを含むアベナンスラミド組成物
JP2022118037A (ja) 抗菌用皮膚外用剤
JP6009291B2 (ja) 抗菌剤及び皮膚外用剤
DE102011077063A1 (de) Wirkstoffkombinationen aus å-Polylysin (Epsilon-Polylysin) und einem oder mehrerenaromatischen Alkoholen
DE102011077077A1 (de) Wirkstoffkombinationen aus Epsilon-Polylysin und einem odermehreren Terpenen
DE102011077055A1 (de) Wirkstoffkombinationen aus å-Polylysin (Epsilon-Polylysin) und einem oder mehreren aromatischen Estern
WO2013092417A2 (de) Wirkstoffkombinationen aus einer oder mehreren alkylethern des glycerins und einer oder mehreren physiologisch unbedenklichen hydroxamsäuren sowi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solche wirkstoffkombinationen enthaltend
KR20140086040A (ko) 아연 피리치온 및 요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