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731A -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731A
KR20130127731A KR1020120051475A KR20120051475A KR20130127731A KR 20130127731 A KR20130127731 A KR 20130127731A KR 1020120051475 A KR1020120051475 A KR 1020120051475A KR 20120051475 A KR20120051475 A KR 20120051475A KR 20130127731 A KR20130127731 A KR 20130127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dandelion
barley
extract
skin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6202B1 (ko
Inventor
임윤묵
권희정
박종석
노영창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51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202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수화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탄력 및 수분 공급과 동시에 항균성을 가지는 천연물인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질환 특히, 여드름 예방 및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이들을 포함하는 수화겔은 겔 강도 및 함수율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피부에 흡착될 수 있는 각종 공해물질의 제거에도 탁월하므로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mongolian dandelion and barley for the provention or treatment of skin disease}
본 발명은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수화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에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존재한다. 이들 미생물들은 각종 피부 질환을 야기시킨다. 피부에서 화농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을 비롯하여 피부 상재균으로서는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epidermis),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 지성피부염균(난형 파티로스포룸균, Pityovale) 등이 있으며 이 균들은 피부 상에서 분비된 피지나 땀을 분해시켜 냄새를 발생시키며 이와 더불어 분해 산물들은 피부에 자극을 주고 염증을 발생시킨다. 특히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은 지방산 분해효소인 리파아제(lipase)를 이용하여 피지를 분해시켜서 유리지방산을 생성시킨다. 이들 유리지방산은 피부에 자극을 줄뿐만 아니라 여드름에서 볼 수 있는 붉은 발진인 구진, 농포, 결절 등의 염증성 병변을 유발시킨다.
피부 사상균(dermatophytes)은 모발 및 피부의 각질층에 침범하여 표재성 진균증을 일으킨다. 표재성 진균증을 일으키는 피부 사상균으로는 소아포균(Microsporum), 백선균(Trichophyton) 및 표피균(Epidermophyton)이 있으며 이균들은 백선증을 나타낸다. 그리고 칸디다균(Candida albicans)은 피부 칸디다증 및 만성 피부점막 칸디다증을 일으킨다. 이들 진균들은 피부의 각질 조직에 진균이 기생하여 번식함으로써 병변을 일으키는 표재성 진균증을 나타낸다. 기타 피부 및 피하 조직에 발생하는 육아종성 병변을 일으키는 원인균은 스포로트리코시스 병원균(Sporotrix schenckii)이 있다.
이러한 미생물들에 의해 발생하는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살리실산이나 비타민 A 유도체인 레티노익산 제제를 사용해 모공의 각질 제거를 통하여 피지 분비를 원활하게 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가지게 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특허문헌 1 내지 6), 또는 벤조일퍼옥사이드 제제를 사용하여 피부 각질 제거와 강력한 항균 작용을 통하여 치료를 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특허문헌 7 내지 8).
그러나 살리실산 제제의 경우 미비한 치료 효과뿐만 아니라 피부 발적, 부종 또는 피부 기피증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레티노익산 제제의 경우 과각화 억제를 통한 효과는 있으나, 접촉성 피부염, 홍반, 피부 건조 및 박리현상 등이 일어날 수 있고 또한 벤조일 퍼옥사이드 제제에서는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을 일으켜 상처를 남기고, 심한 홍반이 생기는 등의 여러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질환 병원균 특히 여드름 치료를 목적으로 항생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항생제를 이용하여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해서 레티노이드와 경구 항생제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여드름을 치료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비특허문헌 1), 항생제인 미노사이클린을 통하여 여드름을 치료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특허문헌 9).
하지만 항생제의 사용은 이의 항생제 오용과 남용에 따라 많은 병원균이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항생제의 수명 또한 짧아지고 있는 문제가 있다.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과 병행하여 중요한 점은 항생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피부 미생물의 발란스가 무너진다는 사실이다. 그람 음성균은 피부와 같이 건조한 조건에 잘 적응하는 그람 양성균과의 경쟁에서 생존하지 못하기 때문에, 항생제로 피부의 그람 양성균을 제거하면 병원성이 강한 그람 음성균이 늘어나기 시작한다. 따라서 항생제를 대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국내에서 피부과에서 사용하고 있는 여드름용 항생제 남용에 따른 내성균은 향후 소아 및 사춘기 세대의 건강에 위협적인 인자가 될 수 있다.
국화과(Compositae)의 여러 해살이 풀인 민들레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포공영(浦公英)이란 한약재명으로 알려져 있다. 민들레는 해독과 이뇨 작용이 있다. 또한 히드록시시나믹 산(hydroxycinnamic acid)와 같은 페놀류(phenolic) 화합물과 비타민 C, 토코페롤(tocopherol) 등 비타민류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뿌리에는 타락사스테롤(taraxasterol), β-시토시테롤(β-sitosterol) 등 많은 식물성 스테로이드 화합물과 클로로겐산(chlorogenicacid), 카페산(caffeic acid) 등의 페놀류(phenolic)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2 내지 3).
한편, 피부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하기 위해서 수화겔 또한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수화겔은 습윤 상태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화상치료 또는 피부 재생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로서 상기 수화겔이 대개 60 % 이상의 수분을 함유하여야만 상기 목적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수화겔은 체액을 잘 흡수하며, 박테리아로부터 감염을 막을 수 있으며, 상처 또는 피부에 탈부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고, 투명성과 산소 투과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약물 제어가 가능하고, 취급이 용이하여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질환을 일으키는 피부 상재균의 생성을 억제하여 악취를 예방함과 동시에 항균효과를 갖는 활성 성분 연구하던 중,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이 이상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고, 나아가, 방사선 가교 기술을 이용하여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수화겔이 높은 함수율을 가지고 있어 피부를 유연하고 생기있게 가꾸어주는 동시에 피부 상재균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뛰어난 항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US 4,514,385 US 4,355,028 EP 0,052,705 FR-A 2,581,542 FR-A 2,607,498 US 4,877,805 KR 1995-0016705 US 6,117,843 US 2006/0293290
May-Jun. et al,. Skinmed. 4,(2005). 138. Akashi. T, et al., Phytochemistry. 36, 303. Katrin. S, et al., J. Ethno. 107, 303.
본 발명의 목적은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알콜을 포함하는 혼합 수용액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알콜을 포함하는 혼합 수용액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민들레 및 보리를 이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혼합 추출물에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알콜을 용해시켜 혼합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제조된 혼합 수용액을 형틀에 부어 수화겔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
형성된 수화겔을 동결 및 해동시키는 단계(단계 4); 및
해동된 수화겔을 방사선 조사하여 가교 및 멸균시키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제5항의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탄력 및 수분 공급과 동시에 항균성을 가지는 천연물인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질환 특히, 여드름 예방 및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이들을 포함하는 수화겔은 겔 강도 및 함수율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피부에 흡착될 수 있는 각종 공해물질의 제거에도 탁월하므로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1의 각 추출물별 시험균주(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에 대한 생육저지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2의 각 수화겔별 시험균주(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에 대한 생육저지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3의 각 수화겔별 함수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4의 각 추출물을 함유한 수화겔의 시간별 추출물 방출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은 민들레와 보리, 각각의 건조물을 물 또는 알콜을 이용하여 추출하며, 추출된 단독 추출물은 중량비 1 대 1 비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때, 민들레는 식물 전체를 이용할 수 있고, 꽃잎, 잎, 줄기 또는 뿌리를 각각 이용할 수 있으며, 생육단계 중 모든 시기가 사용 가능하다.
상기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의 추출시 추출 용매는 물,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로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초임계 추출, 아임계 추출, 고온 추출, 고압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온하며 환류 추출 또는 상온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의 추출 회수는 1-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 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초음파 추출 방법으로 1 회 내지 5 회 추출될 수 있다. 추출 시 온도는 1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50 내지 8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시간은 1 시간 내지 2 일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시간 내지 30 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추출 후에는 감압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감압 농축은 진공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상온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학적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제화할 수 있고, 민들레 및 보리 추출물,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알콜 혼합물 성분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과 혼합하여 통상의 약학적 제제, 예를 들면 액제, 시럽제, 캡슐제, 과립제, 분말, 연고, 에멀젼, 겔, 크림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이를 여러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량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 1일 0.0001-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아토피, 여드름, 종기, 피부염, 알레르기염 등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민들레 및 보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으로서의 제형으로는 민들레, 보리 혼합 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r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무,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화장품으로서의 구체적인 제형으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새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알콜을 포함하는 혼합 수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가교가 형성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을 제공한다.
상기 수화겔은 민들레 및 보리의 단독 추출물을 중량비 1 대 1로 혼합한 혼합 추출물,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 알콜을 포함하는 혼합 수용액에 방사능을 조사하여 가교함으로써 형성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화겔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수용액은,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 1 내지 30 중량%;
생체적합성 고분자 1 내지 50 중량%; 및
다가알콜 1 내지 20 중량%이 포함한다.
상기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의 중량비가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혼합 추출물에 의한 항균 효과가 미약하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과되는 함량 대비 항균효과 증가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처를 치료하는 약물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겔 강도를 유지할 수 없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용액을 준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다가알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점착력 및 유연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약물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겔 강도를 유지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화겔은 수분 증발 방지막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분 증발 방지막은 수분 방출을 억제함으로써 보습 작용을 유지하고, 지속적으로 민들레 및 보리의 유효성분을 전달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수분 증발 방지막은 친수성 부직포 및 통기성 폴리에틸렌 필름이 합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부직포는 상기 수화겔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통기성 폴리에틸렌 필름은 공기는 통과하지만 물은 통과하지 못하는 고분자 필름으로, 수분 증발을 막아 수화겔의 수분을 오랫동안 유지시켜 주며, 공기를 통과시켜 피부가 숨쉬는 것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친수성 부직포 및 통기성 폴리에틸렌 필름 합지는 제한되지 않으나, 시판되는 것 또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비닐이미다졸 및 폴리 N-비닐이미다졸 등의 합성 고분자 또는 카라기난, 소듐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젤라틴, 아가, 알긴산염, 폴리에틸렌글리콜, 키토산 등의 천연 고분자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고분자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폴리비닐알콜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폴리아크릴산과 카라기난의 혼합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수화겔의 강도를 적절하게 유지한다는 관점에서, 상기 폴리비닐알콜의 함량은 1 내지 50 중량%이고,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함량은 1 내지 30 중량%이며, 폴리아크릴산의 함량은 1 내지 20 중량%이며, 카라기난의 함량은 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가알콜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소르비톨, 만니톨,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 중에서 글리세린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민들레 및 보리를 이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추출물에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알콜을 용해시켜 혼합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의 혼합 수용액을 형틀에 부어 수화겔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
상기 단계 3의 수화겔을 동결 및 해동시키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단계 4의 해동된 수화겔을 방사선 조사하여 가교 및 멸균시키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계 1은 민들레 및 보리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건조된 민들레, 보리를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각각을 단독으로 추출하고 중량비 1 대 1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시 사용하는 용매는 3차 증류수 또는 에탄올이 바람직하며 유기 용매로 추출할 경우에는 추출 후, 고형분을 여과한 후 진공증발기 등을 이용하여 유기 용매 성분을 제거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추출한 혼합 추출물에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알콜을 용해시켜 혼합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로,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에 생체적합성 고분지 및 다가알콜을 용해시킨 후 80 내지 100 ℃에서 혼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계 3은 혼합 수용액을 형틀에 부어 수화겔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혼합 수용액을 형틀에 붓기 전에 수분 증발 방지막을 형틀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계 4는 수화겔을 동결 및 해동시키는 단계로서, 형틀에서 형성된 수화겔을 동결 및 해동의 온도변화를 통하여 물리적 가교를 도입하는 단계이다. 이때, 적절히 두께가 조절된 수화겔 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5 mm의 두께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4의 동결 온도 -100 내지 -15 ℃인 것이 바람직하며, -70 내지 -4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동결 온도가 -100 ℃ 미만인 경우, 동결시키는 것은 물리적 가교의 형성에 큰 차이가 없는 한편, -15 ℃ 초과 되었을 경우에는 높은 온도에서의 수화겔이 동결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계 4의 해동 온도는 5 내지 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3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해동 온도가 5 ℃ 미만인 경우, 낮은 해동 온도에서는 적당한 해동 시간을 확보할 수 없으며, 50 ℃ 초과하는 경우에는 물리적 가교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계 4의 동결 과정을 수행하는 시간은 동결 온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통상 5 분 내지 1 시간이 바람직하다. 동결 시간이 5분 미만인 경우에는 효과적인 동결이 이루어질 수 없고, 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화겔 제조공정에 있어서 불필요한 시간의 낭비만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 동결 및 해동 과정은 안정한 물리적 가교의 확보를 위해서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행 회수는 1 내지 10 회가 바람직하고, 공정의 간소화를 위해서는 1 내지 3 회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단계 5는 해동된 수화겔을 방사선 조사하여 가교 및 멸균시키는 단계로서, 방사선 조사에 의해 가교되는 수화겔은 화학적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수화겔에 존재하는 잔류 독성의 문제가 없고, 가교와 동시에 멸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단계 5의 방사선은 감마선, 자외선 및 전자선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감마선 또는 전자선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감마선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감마선은 코발트(Co)-60, 크립톤(Kr)-85, 스트론튬(Sr)-90 또는 세슘(Cs)-137 등의 방사성 동위원소로부터 방출되는 감마선을 사용하여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발트(Co)-60 방사선 동위원소로부터 방출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 4의 방사선의 조사량은 2 내지 200 kGy인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100 kGy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약, 2 kGy 미만인 경우에는 방사선 조사에 의한 생체적합성 고분자 간의 효과적인 가교 형성을 기대할 수 없고, 200 kGy인 경우에는 가교량의 증가로 인한 겔 강도의 비대로 인해 수화겔의 유연성이 저하하고, 고분자의 방사선 열화 문제가 발생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민들레 추출물 함유 수화겔은 상술한 제조방법에서 동결 및 해동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방사선 조사에 의한 가교만을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사되는 방사선의 조사선원 및 조사선량은 상술한 제조방법과 동일한 선원과 선량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민들레와 보리를 5g씩 정량하여 각각 3차 증류수(500 ml)에 넣고, 24시간 동안 80 ℃로 가열하였다. 이후, 고형분을 여과하여 각각의 단독 추출물을 얻어 1 대 1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민들레 단독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민들레(10 g)만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민들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보리 단독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보리(10 g)만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보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수분 증발 방지막이 함유된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화겔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75 ml, 75 중량%), 폴리비닐알콜(20 g, 20 중량%) 및 글리세린(5 g, 5 중량%)을 혼합하고, 120 ℃에서 40분간 오토클레이브에서 가열하여 혼합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용액을 친수성 부직포와 통기성 폴리에틸렌 필름을 합지한 수분증발 방지막의 부직포 표면에 부어 2 mm 두께로 캐스팅하였다. 상기 캐스팅한 겔을 영하 76 ℃에서 3 분간 냉동한 후 다시 상온으로 융해하여 물리적인 가교 구조를 형성하게 하였다. 가교된 겔을 포장하여 25 kGy/h로 방사선을 조사한 후 1 kGy/h를 추가 조사하여 가교 및 멸균된 수화겔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수분 증발 방지막이 함유된 민들레 단독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화겔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 대신에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 단독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화겔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수분 증발 방지막이 함유된 보리 단독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화겔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 대신에 상기 비교예 2에서 제조된 보리 단독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화겔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시험균주에 대한 살균력 측정 및 효능비교
본 발명에 따른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항균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시험균주로는 주요 피부상제균과 관련 원인균인 전배양된 스타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를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항균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천 확산법(paper disc method)을 수행하였다. 한천 확산 방법은 디스크에 시료를 점적한 후 시험균이 도포된 배지 위에 올려놓고 배양하여 형성된 성장저지환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성장저지환의 크기가 클수록 항균효과가 뛰어나다.
8 mm 크기의 디스크를 3 개를 준비하여 각각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민들레 및 보리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보리 추출물(0.2 g)을 점적한 후, 이를 스타필로코코스아우레우스 균을 배양한 배지 위에 올려놓고 배양기에 방치하였다. 이와 대조를 이루이기 위한 대조군으로 비어있는 디스크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배지에 형성된 성장저지환을 측정하고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예 2에 따른 보리 추출물의 성장저지환 지름은 0 mm, 비교예 1에 따른 민들레 추출물의 성장저지환 지름은 19 mm, 실시예 1에 따른 민들레 및 보리 추출물의 성장저지환 지름은 24 mm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민들레 추출물은 항균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보리 추출물은 항균효과는 없으나, 민들레와의 혼합 추출물의 경우, 항균효과가 약 26% 이상 상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민들레 및 보리 추출물은 피부에 수분 공급을 할 뿐만 아니라 항균 및 항염 효과가 뛰어나므로 아토피, 여드름, 종기, 피부염, 알레르기염 등의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2>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화겔의 시험균주에 대한 살균력 측정 및 효능비교
본 발명에 따른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의 항균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른 추출물 대신에 실시예 2 및 비교예 3 내지 4에 따른 수화겔을 사용하고, 원인균으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대신에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odermidis)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예 4의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화겔의 성장저지환 지름은 0 mm, 비교예 2의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화겔의 성장저지환 지름은 13 mm, 실시예 3의 민들레 및 보리 추출물을 포함한 수화겔의 성장저지환 지름은 26 mm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실시예 2에 따른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화겔의 항균효과가 비교예 3에 따른 민들레 단독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화겔의 항균효과보다 200 % 증가 됨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보리 추출물이 민들레의 항균효과를 현저히 상승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민들레 및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화겔은 피부에 흡착될 수 있는 각종 공해물질의 제거에도 탁월하고, 피부에 수분 공급을 할 뿐만 아니라 항균력을 가지는 민들레 추출물을 이용하였을 때보다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상당히 뛰어나므로 아토피, 여드름, 종기, 피부염, 알레르기염 등의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3> 혼합 추출물를 포함하는 수화겔의 함수율 비교
본 발명에 따른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의 수분공급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조된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사용하여 25 kGy로 방사선을 조사하여 제조한 수화겔을 가로, 세로 크기가 2 × 2 cm가 되도록 절단한 후, 증류수에 시간별로 침지시켜 수화겔을 팽윤시켰다. 이후, 셀룰로오스 종이로 수화겔 표면의 물을 닦은 다음 팽윤된 겔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기 수화겔의 함수율(Dgree of swelling)은 하기 수학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측정된 값을 상기 식을 이용하여 함수율을 계산하였으며,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함수율의 변화는 대조군 수화겔<비교예 3의 수화겔<비교예 4의 수화겔<실시예 2의 수화겔 순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한 혼합 수화겔은 민들레 및 보리 혼합에 의한 흡수율 상승작용으로 인해 민들레 단독보다 2배 이상의 높은 함수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기존에 알려져 있는 수화겔 자체 특성인 함수율과 비교해 보았을 때에도,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3배 이상 (1시간 이내)의 높은 함수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민들레 및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화겔은 피부에 흡착될 수 있는 각종 공해물질의 제거에도 탁월하고, 항균 및 항염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함수율이 높아 수분 공급을 통한 피부탄력 및 피부재생 효과가 뛰어나므로, 아토피, 여드름, 종기, 피부염, 알레르기염 등의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4>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화겔의 추출물의 방출량 평가
본 발명에 따른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를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물의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민들레 추출물의 방출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약물투과 시험용 확신장치(PermeGear V6A Stirrer, (주)다일과학교역)의 수용상을 pH 7.4의 인산 완충용액으로 채워 32 ± 0.5 ℃로 유지시키고, 실시예 2 및 비교예 3에서 제조한 수화겔을 공여셀 크기에 맞게 절단하여 적용한 다음 10, 20, 30분, 1, 2, 3, 4, 5 및 6시간 마다 각각 1 ml씩 취하여 자외선분광 광도계로 방출된 약물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약물방출량을 측정하였고,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3에서 제조된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화겔은 추출물을 모두 방출하는데 약 6 시간이 소요되는 반면에,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화겔은 혼합 추출물을 1 시간 이내에 모두 방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단시간에 고농도의 유효성분을 방출함으로써,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민들레 및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화겔은 피부에 흡착될 수 있는 각종 공해물질의 제거에도 탁월할 뿐만 아니라 단시간에 고농도의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필요한 유효성분을 방출함으로써, 짧은 시간 내의 항균 및 항염 효과가 뛰어나므로, 아토피, 여드름, 종기, 피부염, 알레르기염 등의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 5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 5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캅셀제의 제조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 5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 50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5. 액제의 제조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 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 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체를 제조한다.
1-6. 피부 외용제의 제조
카프린/카프릴 트리글리세리드 10.0 중량부
액상 파라핀 10.0 중량부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6.0 중량부
옥틸도데세스-25 9.0 중량부
세칠에칠헥사노에이트 10.0 중량부
스쿠알란 1.0 중량부
살리실산 1.0 중량부
글리세린 15.0 중량부
솔비톨 10.0 중량부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 적량
정제수 나머지
통상의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피부 외용제를 제조한다.
< 제제예 2> 화장료 제제의 제조
2-1. 화장수의 제조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 분말 1.0 중량%
글리세린 3.0 중량%
부틸렌글리콜 2.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2.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1.0 중량%
에탄올 10.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중량%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상기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의 분말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감압증류하여 제조하였다. 정제수에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방부제를 순서대로 반응용기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를 60℃ 정도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이 후, 향료를 반응용기에 투입하여 용해한 후 정제수에 도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혼합추출물, 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색소를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시킨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2-2. 영양세럼의 제조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의 분말 1.0 중량%
잔탄검 0.02 중량%
부틸렌글리콜 10.0 중량%
소이빈포스포리피드 10.0 중량%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1 중량%
소디움히아루로네이트 5.0 중량%
정제수 잔량
상기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의 분말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감압증류하여 제조하였다. 반응용기에 잔탄검, 부틸렌글리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를 혼합 교반 하면서 40 ~ 4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소이빈포스포리피드, 소디움히아루로네이트, 정제수를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 하면서 35 ℃까지 냉각하고 혼합 추출물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영양 세럼을 제조하였다.

Claims (16)

  1. 민들레 및 보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질환은 아토피, 여드름, 종기, 피부염, 알레르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민들레 및 보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질환은 아토피, 여드름, 종기, 피부염, 알레르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알콜을 포함하는 혼합 수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가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수용액은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 1 내지 30 중량%;
    생체적합성 고분자 1 내지 50 중량%; 및
    다가알콜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겔은 수분 증발 방지막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증발 방지막은 폴리에틸렌 필름 및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비닐이미다졸 및 폴리 N-비닐이미다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고분자, 및 카라기난, 소듐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젤라틴, 아가, 알긴산염,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콜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소르비톨, 만니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화겔.
  11. 민들레 및 보리를 이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추출물에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알콜을 용해시켜 혼합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의 혼합 수용액을 형틀에 부어 수화겔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
    상기 단계 3의 수화겔을 동결 및 해동시키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단계 4의 해동된 수화겔을 방사선 조사하여 가교 및 멸균시키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제5항의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혼합 수용액을 형틀에 붓기 전에 수분 증발 방지막을 형틀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의 동결 온도는 -100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의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의 해동 온도는 5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의 제조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의 방사선은 감마선, 자외선 및 전자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의 제조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의 방사선의 조사량은 2 내지 200 kG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수화겔의 제조방법.
KR1020120051475A 2012-05-15 2012-05-15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76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475A KR101376202B1 (ko) 2012-05-15 2012-05-15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475A KR101376202B1 (ko) 2012-05-15 2012-05-15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731A true KR20130127731A (ko) 2013-11-25
KR101376202B1 KR101376202B1 (ko) 2014-03-26

Family

ID=4985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475A KR101376202B1 (ko) 2012-05-15 2012-05-15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2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1041A (zh) * 2014-11-14 2015-02-25 东华大学 高效壳聚糖基碱性阴离子交换复合膜及其制备和应用
CN104510827A (zh) * 2015-01-14 2015-04-15 黄琴 一种治疗痤疮的中药
KR102534261B1 (ko) * 2023-02-27 2023-05-30 주식회사 바이오코스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006B1 (ko) 2019-11-11 2020-06-09 주식회사 래디안 서양민들레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233B1 (ko) * 2003-12-26 2006-04-26 주식회사 알로에마임 피부 보습 및 항자극 효과를 가지는 식물 혼합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17700B1 (ko) * 2006-03-15 2008-03-2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콩과 보리로부터 루나신 펩타이드(lunasinpeptide)의 분리, 정제 및 피부노화방지, 항암,알러지 예방과 치료 및 고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성
KR100771397B1 (ko) 2006-06-08 2007-10-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민들레 추출물 또는이로부터 분리된 루테올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7047A (ko) * 2010-06-16 2011-12-22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개민들레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성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1041A (zh) * 2014-11-14 2015-02-25 东华大学 高效壳聚糖基碱性阴离子交换复合膜及其制备和应用
CN104510827A (zh) * 2015-01-14 2015-04-15 黄琴 一种治疗痤疮的中药
KR102534261B1 (ko) * 2023-02-27 2023-05-30 주식회사 바이오코스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6202B1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9169B2 (en) Oregano or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CN109288691A (zh) 一种石墨烯面膜及其制备方法
Wieczynska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cytotoxic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different extracts of propolis from the west Pomeranian region in Poland
JP2693859B2 (ja) 尋常性▲ざ▼瘡用皮膚外用剤
KR101780863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76202B1 (ko)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3230354A (zh) 一种止汗祛臭组合物
CN101410100A (zh) 利用木酚素类化合物治疗痤疮的方法及含有该化合物的组合物
KR101636817B1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피부 외용제 및 꽃범의 꼬리 추출물의 추출 방법
CN103494737A (zh) 一种以姜花作为抗衰老护肤因子的化妆品制剂及制备方法
CA2976583A1 (en) Immunologically active plant mixture and use thereof for prophylaxis and in a method for treating efflorescence
KR101418366B1 (ko)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40646B1 (ko) 벌노랑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64141B1 (ko) 봉선화 추출물, 메트로니다졸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무좀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50331B1 (ko)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60041302A (ko) 하이드로졸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JP2024517225A (ja) 皮膚症状を治療するためのマヌカオイルおよびパルマローザオイルを含有する局所用組成物
KR100536550B1 (ko)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CN103736139B (zh) 一种天然抗菌防腐剂及其制作工艺及卫生用品
Qadir et al. Phytoconstituents‐loaded nanomedicines for the management of acne
KR101575722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균, 항염 조성물
KR101363028B1 (ko) 레몬밤, 베르가못, 박하잎, 한련초 및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용 조성물
JP2021169414A (ja) 歯肉組織内部の歯周病菌に対する歯周病菌抑制剤
CN107669586B (zh) 一种纯天然腋下除味膏及其制备方法和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