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065A -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막실라리아 추출물, 및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막실라리아 추출물, 및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065A
KR20180056065A KR1020160153816A KR20160153816A KR20180056065A KR 20180056065 A KR20180056065 A KR 20180056065A KR 1020160153816 A KR1020160153816 A KR 1020160153816A KR 20160153816 A KR20160153816 A KR 20160153816A KR 20180056065 A KR20180056065 A KR 20180056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extract
mixed solvent
silalia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1606B1 (ko
Inventor
권오근
백윤수
박부희
박필만
안혜련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60153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60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항산화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갖는 막실라리아 추출물, 및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막실라리아 추출물, 및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Maxillaria tenuifolia extracts,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항산화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갖는 막실라리아 추출물, 및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신체 부위로, 인체를 보호하는 1차적인 방어벽 구실을 한다. 그러나, 과도한 자외선이나 오염물질, 스트레스 등에 노출되면 홍반, 부종, 가려움 등의 피부 자극 및 염증 반응이 유발된다. 이러한 피부 트러블은 미관상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염증 반응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이 부수적으로 색소 침착을 일으키고, 피부 탄력섬유의 붕괴를 촉진시켜 피부 주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 손상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자유 라디칼은 세포를 파괴하거나 피부 진피층의 결합조직을 절단하거나 교차 결합을 일으켜 주름형성, 피부암, 세포 살상, 류마티즘성 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여드름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킨다. 상기 자유 라디칼은 백혈구의 식작용, 미토콘드리아에서의 ATP 생산과정 중 전자 전달계, 미엘로퍼 옥사이드(Myeloper Oxide, MPO)의 작용, 자외선, 담배, 정상적인 대사 과정, 스트레스, 공해 물질, 및 세균 등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백혈구의 식작용이란 세포체가 이물질 또는 박테리아 등을 자기 체내에 받아들여서 이것을 분해, 무해화하는 작용을 의미한다.
물론 인체에는 항산화 물질(라디칼 소거제)인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superoxide dismutase, SOD), 카탈라아제, 비타민 E, 비타민 C, 및 유비퀴놀(uviquinol) 등이 있지만, 나이, 공해, 자외선, 스트레스에 의해 항산화 체계가 무력화되고, 자유 라디칼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 상기 증가된 자유 라디칼은 진피의 결합조직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아루론산을 파괴하여 피부의 일정 부위 침하 현상(주름)을 일으키며, 또한, 세포막의 지질 부분을 산화시켜 세포의 파괴 현상이 발생되어 피부염, 여드름, 피부암과 같은 질병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자유 라디칼은 멜라닌 형성과정 중 자발적인 산화반응(도파퀴논→멜라닌)에 관여하여 기미, 주근깨 등의 원인 및 주름생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멜라닌은 흑갈색 색소로서 피부색을 결정하고, 자외선을 흡수하여 자외선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유해산소나 자유 라디칼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피부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자외선 및 유해물질 등에 의해 멜라닌이 과잉 형성될 경우, 기미, 잡티를 형성하게 되어 피부 미용에 악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피부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미용적 관점 및 의학적 관점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자유라디칼과 멜라닌에 의한 피부 트러블 개선을 위한 라디칼 소거능 및 멜라닌 생성 억제능이 우수하고, 부작용이 없는 천연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해서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항산화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갖는 막실라리아 추출물, 및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하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한 혼합 용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매로 막실라리아를 추출하여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항산화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갖는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3 측면은,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4 측면은,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의하면, 막실라리아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산화작용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품 및 의약품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나타내므로, 이를 통해 화장품 및 의약 분야에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의 (a) 및 (b)는 각각, 실시예에 따른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세포 생존력 및 멜라닌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들)”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막실라리아(Maxillaria tenuifolia)는 코코넛향이 진하게 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코코넛 난 (coconut orchid)' 이라고도 한다. 멕시코, 니카라과, 코스타리카 등지의 해발 1,500m 정도까지의 저지대에 주로 서식한다. 꽃은 봄에서 여름 사이에 피우고 화기는 한 달가량 되며, 50% 이상의 높은 습도를 좋아하고 비교적 내구력이 강한 난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그리스어로 노란색을 의미하는 플라부스(flavus)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플라본(flavone)을 기본 구조로 갖는 식물 색소를 일컫는다. 비타민 P(투과성 비타민) 또는 비타민 C2(비타민 C의 상승제)라고도 한다. 동물에는 비교적 적고 식물의 잎, 꽃, 뿌리, 열매, 및 줄기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플라보노이드는 페닐기 2개가 C3사슬을 매개하여 결합한 C6-C3-C6형 탄소골격구조이며, 이것이 여러 당류와 에테르 결합을 통해 글루코시드의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가열하여 당이 분리되면 색깔이 더욱 진해지는데, 감자, 고구마, 옥수수의 경우가 그 예이다.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활성을 지니며, 독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생체 내 산화작용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항산화"는 세포 내 대사 또는 자외선의 영향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따라 반응성이 높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또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며, 자유 라디칼 또는 활성산소종을 제거하여 이로 인한 세포의 손상이 감소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는 부적절한 멜라닌 생성 또는 멜라닌 과생성에 의한 색소침착, 피부노화 등의 피부질환을 조절하는데 있어서의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부질환으로서는 기미, 주근깨, 흑색점, 모반, 검버섯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멜라닌 생성을 조절할 수 있는 신규물질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α-MSH)이 억제 되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하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한 혼합 용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매로 막실라리아를 추출하여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에탄올, n-펜탄, 디에틸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막실라리아를 추출하는 혼합 용매에 따라 수득되는 막실라리아 추출물 유효 성분의 추출 정도 및 손실 정도가 차이 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혼합 용매를 선택해야 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은 막실라리아 에탄올 추출물 또는 막실라리아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막실라리아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은, 혼합 용매로 막실라리아를 추출하여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수득된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여과하여 추출물에 포함되는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 진공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 및, 농축된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혼합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30%의 물, 및 70%의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막실라리아 에센셜 오일을 제조하는 것은, 연속 수증기 증류 추출 장치에서 재증류한 혼합 용매로 막실라리아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막실라리아에 무수 Na2SO4를 첨가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막실라리아 에센셜 오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혼합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50%의 n-펜탄, 및 50%의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항산화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갖는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은 막실라리아 에탄올 추출물 또는 막실라리아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이 우수하여 화장료 조성물 및/또는 약학 조성물에 적용하기 적합할 수 있다.
본원의 제 3 측면은,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3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인 막실라리아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색소, 또는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제 3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 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제 4 측면은,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4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인 막실라리아 추출물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 성분을 1 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즉, 공지의 항산화 및 멜라닌 생성 억제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적인 항산화 및 멜라닌 생성 억제 성분을 포함할 경우, 본원의 제 4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항산화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성분을 추가할 경우 복합 사용에 따른 안정성 및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 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 4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담체는 완충액, 주사용 멸균수, 일반 식염수 또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 슈크로스, 히스티딘, 염, 및 폴리솔베이트 등과 같은 여러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제 4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일반 의약품 제제의 형태, 예를 들어, 임상 투여 시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막실라리아는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이원난농원에서 구입하였고, 전북 완주군 이서면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난선인장연구실에서 검정하였으며, 유전자원으로 등록하였다. 상기 막실라리아를을 70% 에탄올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막실라리아 꽃(생체) 80 g을 2 L 용기에 넣고, 2차 대사 산물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물과 에탄올 혼합용매(3:7, v/v)를 제조하여 추출용매로 추출을 진행하였다. 3 일(72 시간) 동안 교반기에서 25℃로 추출을 진행한 후, 거름종이(filter paper No.2)를 사용하여 추출액에 포함되어 있는 잔사물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진공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시료 농축을 진행하였고, 농축된 시료를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였다(수율 8.36%).
또한, 막실라리아 에센셜 오일은 연속수증기증류추출장치(Likens & Nickerson type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 extraction apparatus, SDE, Normschliff, Wertheim, Germany)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속수증기증류추출장치에서 재증류한 n-펜탄(n-pentane)과 디에틸에테르(diethylether)의 혼합용매(1:1, v/v) 200 mL를 사용하여 상압 하에서 3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추출용매에 무수 Na2SO4를 첨가하여 하룻밤 동안 방치하여 수분을 제거함에 따라 실험에 사용할 에센셜 오일을 수득하였다(수율 0.13%).
상기 막실라리아 꽃 70% 에탄올 추출물 및 에센셜 오일 시료는 난선인장연구실 보관고(-4℃)에 보관하였다.
[실험예]
1. 총페놀 함량 분석
총페놀 함량은 폴린-시오칼토의 페놀 시약(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을 이용한 발색법(singleton and rossi, 1965)을 변형하여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추출물 200μL에 증류수 2.5 mL와 200 μL의 폴린-시오칼토의 페놀 시약을 혼합 후 6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혼합한 용액에 7% Na2CO3 용액을 2 mL 첨가하였다. 총 90 분 동안 반응시킨 후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갈산(gallic acid)을 이용하여 표준곡선의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막실라리아 추출물에 대한 총페놀 함량은 mg gallic acid equivalents(GAE)·100 g- 1dry weight으로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과 에센셜 오일에서 각각 2748.36 ± 14.85 mg gallic acid equivalents(GAE)·100 g-1, 1.66 ± 0.02 mg GAE·100 g-1로 나타났다.
2.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AlCl3 용액을 이용한 발색법(Zhishen et al., 1999)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추출물 0.5 mL에 증류수 3.2 mL을 첨가한 후 5% NaNO2 용액 0.15 mL을 더하여 5 분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10% AlCl3 용액 0.15 mL을 첨가하여 다시 1 분간 반응시킨 후, 1 M NaOH를 넣고 혼합하여 곧바로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카테킨(catechin)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표준곡선을 이용하였고, 막실라리아 추출물에 대한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g catechin equivalents(CAE)·100 g- 1dry weight로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과 에센셜 오일에서 각각 165.21 ± 1.24 mg CAE·100 g-1, 0 mg CAE·100 g-1로 나타났다.
Samples Total phenolics contents
(mg GAE / 100 g )
Total flavonoids contents
(mg CAE/ 100 g )
Maxillaria tenuifolia 70% EtOH ext 2748.36 ± 14.85a 165.21 ± 1.24a
Maxillaria tenuifolia essential oil 1.66 ± 0.02c NDc
GAE : gallic acid equivalent
CE : catechin equivalent
Each value is the mean ± SD (n = 3)
3.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분석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은 Brand-Williams et al.(1995)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80%(v/v) 수용성 메탄올을 사용하여 100 μM의 DPPH 라디칼 용액을 제조한 후에, 이 DPPH 라디칼 용액을 80%(v/v) 수용성 메탄올을 이용하여 517 nm에서 0.650 ± 0.020의 흡광도로 희석하였다. 각 시료 50 μL와 DPPH 라디칼 용액 2.95 mL을 첨가하여 23℃에서 30 분간 빛이 차단된 장소에서 반응시킨 후 DPPH 라디칼 감소량을 517 nm에서 측정하였다. 상기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통한 막실라리아 추출물 함량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mg VCE·100 g-1dry weight로 나타내었다.
4.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분석
ABTS 라디칼을 ABTS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Kim et al., 2003). 1.0 mM AAPH에 2.5 mM ABTS와 PBS 용액 100 mL를 섞어서 70℃ 항온수조에서 30 분간 반응시켜 ABTS 라디칼 용액을 만들고 완충용액인 PBS 용액을 이용하여 734 nm에서 0.650 ± 0.020의 흡광도로 ABTS 라디칼 용액을 희석하였다. ABTS 라디칼 용액 980 μL와 시료 20 μL를 10 분간 반응 후 37℃에서 734 nm에서 흡광도 감소를 측정하였다. 상기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통한 막실라리아 추출물 함량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mg vitamin C equivalents(VCE)·100 g- 1dry weight로 나타내었다.
5. ORAC 라디칼 소거 활성 분석
과산화 라디칼(peroxy radical)의 생성과 소멸에 의한 형광 감소율을 측정하는 Huang et al.(2002)의 방법을 사용하여 ORAC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막실라리아 추출물 시료 및 비타민 C 표준용액의 제조에는 인산 완충액(phosphate buffer)(75 mM K2HPO4, 75 mM KH2PO4)를 사용하였다. 96 well에 시료 또는 표준용액 25 μL와 81.6 nM 형광 용액 150 μL를 혼합하고 37℃에서 3 분간 교반한(shaking) 후, 10 분간 배양(incubation)시켰다. 이 혼합용액에 153 mM의 AAPH 25 μL를 첨가한 뒤 형광광도계(microplate reader, Tecan infinite M200, San Jose, CA, USA)로 90 분간 매 분마다 측정하였다. 상기 형광광도계의 여기(excitation)는 485 nm, 방출(emission)은 520 nm로 설정하였다. 비타민 C의 곡선하면적(area under the curve)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막실라리아 추출물 항산화 활성은 mg VCE·100 g-1fresh weight로 나타내었다.
Samples Antioxidant capacity (mg VCE / 100 g )
DPPH ABTS ORAC
Maxillaria tenuifolia 70% EtOH ext 4100.26 ± 21.95a 5025.24 ± 39.52a 4394.27 ± 14.11a
Maxillaria tenuifolia essential oil 0.83 ± 0.06c 2.97 ± 0.09c 6.65 ± 0.11c
VCE : vitamin C equivalent
Each value is the mean ± SD (n = 3)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ABTS, 및 ORAC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4100.26 ± 21.95 mg vitamin C equivalents(VCE)·100 g-1, 5025.24 ± 39.52 mg VCE·100 g-1, 및 4394.27 ± 14.11 mg VCE·100 g- 1으로 나타났고, 에센셜 오일에서 각각 0.83 ± 0.06 mg VCE·100 g-1, 2.97 ± 0.09 mg VCE·100 g-1, 및 6.65 ± 0.11 mg VCE·100 g- 1으로 나타났다.
6. 멜라닌 생성 억제능 측정
B16F1 cells를 5×105cells/mL로 6-well plate에 분주하고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α-MSH,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40ng/mL가 포함된 DMEM 배지에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trypsin을 처리하여 세포를 회수한 후 회수한 세포에 1 N NaOH(10% DMSO 포함)를 첨가하여 60℃에서 30분 방치하여 멜라닌을 녹였다. 이 용액을 microplate reader로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 함량을 구하였다.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막실라리아 추출물은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31.2-250mg/mL)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한 혼합 용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매로 막실라리아를 추출하여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에탄올, n-펜탄, 디에틸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은 막실라리아 에탄올 추출물 또는 막실라리아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것인,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막실라리아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은,
    혼합 용매로 막실라리아를 추출하여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수득된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여과하여 추출물에 포함되는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
    진공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 및,
    농축된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매는 30%의 물, 및 70%의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인,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막실라리아 에센셜 오일을 제조하는 것은,
    연속 수증기 증류 추출 장치에서 재증류한 혼합 용매로 막실라리아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막실라리아에 무수 Na2SO4를 첨가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막실라리아 에센셜 오일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매는 50%의 n-펜탄, 및 50%의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하는 것인,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막실라리아 추출물.
  9. 제 8 항에 따른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 8 항에 따른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160153816A 2016-11-18 2016-11-18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막실라리아 추출물, 및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1931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16A KR101931606B1 (ko) 2016-11-18 2016-11-18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막실라리아 추출물, 및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16A KR101931606B1 (ko) 2016-11-18 2016-11-18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막실라리아 추출물, 및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065A true KR20180056065A (ko) 2018-05-28
KR101931606B1 KR101931606B1 (ko) 2018-12-21

Family

ID=6245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816A KR101931606B1 (ko) 2016-11-18 2016-11-18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막실라리아 추출물, 및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6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7244A (zh) * 2021-10-14 2022-01-07 深圳市兰科植物保护研究中心 一种健康香烟香料的制备方法及用途
CN116236539A (zh) * 2021-12-07 2023-06-09 赖立民 腋唇兰复合萃取物、含此之组成物及其应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7244A (zh) * 2021-10-14 2022-01-07 深圳市兰科植物保护研究中心 一种健康香烟香料的制备方法及用途
CN113897244B (zh) * 2021-10-14 2023-10-27 深圳市兰科植物保护研究中心 一种香烟香料的制备方法及用途
CN116236539A (zh) * 2021-12-07 2023-06-09 赖立民 腋唇兰复合萃取物、含此之组成物及其应用
TWI815236B (zh) * 2021-12-07 2023-09-11 芸蘭國際股份有限公司 腋唇蘭複合萃取物、含此之組成物及其應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606B1 (ko)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874B1 (ko) 노근, 함초 및,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286133B1 (ko) 강화사자발쑥과 감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 항균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JP2019510029A (ja) 植物抽出物を含む局所用組成物
KR101915655B1 (ko) 드래곤블러드수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1606B1 (ko)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막실라리아 추출물, 및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04215B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KR101857282B1 (ko) 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9211B1 (ko) 녹차 추출물, 울금 추출물, 후박추출물 및 독활 추출물의 나노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25901B1 (ko) 지면패랭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050237B1 (ko)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20190136231A (ko) 항균 및 지시기능을 가진 물티슈 조성물
KR102400090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5467B1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945868B1 (ko) 풍란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풍란 추출물, 및 상기 풍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0562077B1 (ko) 피부보호, 피부 트러블 방지, 피부 유해균 성장억제, 여드름 예방 및 항균특성을 가지는 석류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석류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항균조성물
KR101537293B1 (ko) 포제 처리된 감국 또는 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7512B1 (ko) 옥수수수염 추출물 또는 메이신을 포함하는 피부 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2316415B1 (ko) 남천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16407B1 (ko) 남천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01494B1 (ko)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5244B1 (ko)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04124A (ko) 로얄제리 및 비즈왁스 추출물이 함유된 항산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28074B1 (ko) 꿩의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999885B1 (ko)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