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494B1 -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494B1
KR102301494B1 KR1020200137253A KR20200137253A KR102301494B1 KR 102301494 B1 KR102301494 B1 KR 102301494B1 KR 1020200137253 A KR1020200137253 A KR 1020200137253A KR 20200137253 A KR20200137253 A KR 20200137253A KR 102301494 B1 KR102301494 B1 KR 102301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disinfectan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귀
Original Assignee
김민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귀 filed Critical 김민귀
Priority to KR1020200137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otan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독은 물론,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Disinfectant capable of moisturizing and supplying nutri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독은 물론,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뒤 전 세계로 확산되는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호흡기 감염 질환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2020년 대유행에 따라 개인 위생을 위한 마스크, 손 소독제 등과 같은 개인 위생을 위한 제품들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손 소독제는 손 세정제 또는 핸드 새니타이저라고도 하며, 물로 손을 씻는 것을 대신하는 대용제를 총칭할 뿐만 아니라, 사용 후 물로 손을 씻는 대용제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화학물질로 된 분사형, 즉 액체형 소독제나 젤 형태 소족제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기존 손 소독제는 주요 성분을 주로 에탄올로 이루어져 있어 에탄올이 증발하면서 손이 건조해지고 냄새가 지독한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해결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10-2115133 한국공개특허 10-2017-003615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고려하여 종래 기술들에서 야기되는 여러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소독은 물론,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탄올, 정제수, 글리세린,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트라이에탄올아민,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자몽씨오일, 에틸헥실글리세린, 유칼립투스오일, 티트리잎오일, 1,2-헥산다이올, 알로에베라잎추출물, 부틸렌글라이콜, 병풀추출물, 호장근뿌리추출물, 황금추출물, 녹차추출물, 스페인감초뿌리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및 마트리카리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가 제공된다.
이때,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은 55 내지 65 중량부, 정제수는 27 내지 37 중량부, 글리세린은 1 내지 5 중량부,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1 내지 5 중량부, 트라이에탄올아민 0.05 내지 0.2 중량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는 0.05 내지 0.2 중량부, 자몽씨오일은 0.01 내지 0.1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은 0.01 내지 0.1 중량부, 유칼립투스오일은 0.01 내지 0.05 중량부, 티트리잎오일는 0.01 내지 0.05 중량부, 1,2-헥산다이올은 0.001 내지 0.003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추출물은 0.0005 내지 0.002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은 0.0003 내지 0.0007 중량부, 병풀추출물은 0.00003 내지 0.0007 중량부, 호장근뿌리추출물은 0.00001 내지 0.00003, 황금추출물은 0.00001 내지 0.00003, 녹차추출물은 0.000005 내지 0.00002 중량부, 스페인감초뿌리추출물은 0.000005 내지 0.00002 중량부, 로즈마리잎추출물은 0.000005-0.00002 중량부, 마트리카리아꽃 추출물은 0.000005 내지 0.00002 중량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제는 손 소독제 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천연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에탄올, 정제수, 글리세린,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트라이에탄올아민,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자몽씨오일, 에틸헥실글리세린, 유칼립투스오일, 티트리잎오일 및 1,2-헥산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천연 추추물은 알로에베라잎추출물, 병풀추출물, 호장근뿌리추출물, 황금추출물, 녹차추출물, 스페인감초뿌리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및 마트리카리아꽃 추출물인,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은 55 내지 65 중량부, 정제수는 27 내지 37 중량부, 글리세린은 1 내지 5 중량부,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1 내지 5 중량부, 트라이에탄올아민 0.05 내지 0.2 중량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는 0.05 내지 0.2 중량부, 자몽씨오일은 0.01 내지 0.1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은 0.01 내지 0.1 중량부, 유칼립투스오일은 0.01 내지 0.05 중량부, 티트리잎오일는 0.01 내지 0.05 중량부, 1,2-헥산다이올은 0.001 내지 0.003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추출물은 0.0005 내지 0.002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은 0.0003 내지 0.0007 중량부, 병풀추출물은 0.00003 내지 0.0007 중량부, 호장근뿌리추출물은 0.00001 내지 0.00003, 황금추출물은 0.00001 내지 0.00003, 녹차추출물은 0.000005 내지 0.00002 중량부, 스페인감초뿌리추출물은 0.000005 내지 0.00002 중량부, 로즈마리잎추출물은 0.000005-0.00002 중량부, 마트리카리아꽃 추출물은 0.000005 내지 0.00002 중량부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보승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소독제는 소독은 물론, 보습과 영양 공급이 동시에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탄올, 정제수, 글리세린,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트라이에탄올아민,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자몽씨오일, 에틸헥실글리세린, 유칼립투스오일, 티트리잎오일, 1,2-헥산다이올, 알로에베라잎추출물, 부틸렌글라이콜, 병풀추출물, 호장근뿌리추출물, 황금추출물, 녹차추출물, 스페인감초뿌리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및 마트리카리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가 제공된다.
상기 에탄올은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를 박멸하기 위한 것으로, 증발하면서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 유해물질의 세포벽을 해체시켜 유해물질이 사멸하게 하는 방식이다. 이때, 에탄올은 전체 소독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5 내지 6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2 중량부일 수 있고,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소독 효과를 극대화시키면서 동시에 손을 건조하게 하고 특유의 불쾌한 냄새가 나는 문제를 해결할 수 효과가 있다.
한편, 정제수, 글리세린,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트라이에탄올아민,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에틸헥실글리세린, 1,2-헥산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은 알코올과 함께 사용되어 소독제의 발림성, 수분유지력 등을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무수한 실험을 통하여, 전체 소독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는 27 내지 37 중량부, 글리세린은 1 내지 5 중량부,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1 내지 5 중량부, 트라이에탄올아민 0.05 내지 0.2 중량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는 0.05 내지 0.2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은 0.01 내지 0.1 중량부, 1,2-헥산다이올은 0.01 내지 0.1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은 0.0003 내지 0.0007 이고,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32 중량부, 글리세린 3 중량부,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2.5 중량부, 트라이에탄올아민 0.1 중량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09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은 0.05 중량부, 1,2-헥산다이올은 0.002 중량부, 부틸렌그라이콜은 0.0005 중량부 일 수 있고,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알코올과 함께 소독 효과를 극대화시키면서 동시에 손을 건조하게 하고 특유의 불쾌한 냄새가 나는 문제를 해결할 수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몽씨 오일은 자몽의 씨에서 추출한 오일을 함유하는 천연 물질로, 비타민 C가 풍부하고, 자몽 특유의 호감의 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자몽에서 유래한 천연 방부제를 함유하고 있어, 물성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유칼립투스잎 오일은 시원하고 상쾌하며 편안한 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능적으로 세포 매개 면역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티트리잎 오일은 은은하고 깔끔한 향을 갖는 것으로 세균 제거, 탈취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알로에베라잎 추출물은 수분 보충 및 비타민 A와 비타민 C를 제공하며, 병풀 추출물은 피부보습과 탄력 보충을 제공한다.
한편, 호장근뿌리추출물은 미백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며, 황금 추출물은 피부 보호 작용을 한다. 아울러, 녹차추출물은 피부진정 및 수렴 작용이 가능하며, 스페인감초뿌리 추출물은 피부 염증 감소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로즈마리잎 추출물은 세균 제거 및 수분 보충 효과가 있으며, 마트리카리아꽃 추출물은 쿠마린은 함유하고 있어 피부 영양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천연 추출물을 무수한 반복실험을 통하여, 전체 소독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몽씨오일은 0.01 내지 0.1 중량부, 유칼립투스오일은 0.01 내지 0.05 중량부, 티트리잎오일은 0.01 내지 0.05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추출물은 0.0005 내지 0.002 중량부, 병풀추출물은 0.00003 내지 0.0007 중량부, 호장근뿌리추출물은 0.00001 내지 0.00003, 황금추출물은 0.00001 내지 0.00003, 녹차추출물은 0.000005 내지 0.00002 중량부, 스페인감초뿌리추출물은 0.000005 내지 0.00002 중량부, 로즈마리잎추출물은 0.000005 내지 0.00002 중량부, 마트리카리아꽃 추출물은 0.000005 내지 0.00002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자몽씨오일은 0.06 중량부, 유칼립투스오일은 0.02 중량부, 티트리잎오일은 0.01 내지 0.05 중량부, 1,2-헥산다이올은 0.001 내지 0.003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추출물은 0.001 중량부, 병풀추출물은 0.00005 중량부, 호장근뿌리추출물은 0.00002, 황금추출물은 0.00002, 녹차추출물은 0.00001 중량부, 스페인감초뿌리추출물은 0.00001 중량부, 로즈마리잎추출물은 0.00001중량부, 마트리카리아꽃 추출물은 0.0000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손이 건조해지고 냄새가 지독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소독은 물론, 보습과 영양 공급의 효과가 극대화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의 제조방법의 순서도로 도 1을 참조하면, 천연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및 혼합하는 단계(S20)을 포함한다.
이때, 천연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10)는 알로에베라잎추출물, 병풍추출물, 호장근뿌리추출물, 황금추출물, 녹차추출물, 스페인감초뿌리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및 마트리카리아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한편 이렇게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에탄올, 정제수, 글리세린,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트라이에탄올아민,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자몽씨오일, 에틸헥실글리세린, 유칼립투스오일, 티트리잎오일 및 1,2-헥산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과 혼합하여,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의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실시예 1
알로에베라잎추출물, 병풍추출물, 호장근뿌리추출물, 황금추출물, 녹차추출물, 스페인감초뿌리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및 마트리카리아꽃 추출물을 준비한 후,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은 55 내지 65 중량부, 정제수는 27 내지 37 중량부, 글리세린은 1 내지 5 중량부,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1 내지 5 중량부, 트라이에탄올아민 0.05 내지 0.2 중량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는 0.05 내지 0.2 중량부, 자몽씨오일은 0.01 내지 0.1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은 0.01 내지 0.1 중량부, 유칼립투스오일은 0.01 내지 0.05 중량부, 티트리잎오일는 0.01 내지 0.05 중량부, 1,2-헥산다이올은 0.001 내지 0.003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추출물은 0.0005 내지 0.002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은 0.0003 내지 0.0007 중량부, 병풍추출물은 0.00003 내지 0.0007 중량부, 호장근뿌리추출물은 0.00001 내지 0.00003, 황금추출물은 0.00001 내지 0.00003, 녹차추출물은 0.000005 내지 0.00002 중량부, 스페인감초뿌리추출물은 0.000005 내지 0.00002 중량부, 로즈마리잎추출물은 0.000005-0.00002 중량부, 마트리카리아꽃 추출물은 0.000005 내지 0.00002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하여 손 소독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3M 사의 쓰리엠새니타이저 베이직겔 62% 제품을 구매하여 준비하였다.
비교예 2
퓨렐 손 소독제 62% 제품을 구매하여 준비하였다.
평가예 1 - 보습 효과 측정 평가
피부보습능 측정은 피부의 수분을 코메오미터(Comeometer CM 820, Courage & Khazaka)로 측정하였다. 측정원리는 피부의 가장 윗층에 있는 수분 함량을 나타내는 표피의 능력 측정에 기초하였다. 낮은 값은 건조에 해당하고 높은 값은 잘 수화된 피부를 나타낸다. 수화 상태는 상태는 실험이 수행되는 동안 방안의 기후 조건에 크게 좌우되므로 실험실의 온도와 습도를 각각 20~22℃, 30~35%로 조절하였다. 피검사자 10명에 각각 실시예 1, 비교예 1, 2의 손소독제를 손 안과 밖에 고르게 비벼 발랐다. 이후, 손 등의 정확한 측정부위(2X2㎠)를 5분 간격으로 측정하여 결과를 표 1에 도시하였다.
표 1은 시간별 Comeometer를 측정한 결과로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손 소독제를 바른 직후부터 빠르게 손이 건조해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손 소독제는 알코올이 증발하여도 높은 수준의 보습력이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구분 1(min) 5(min) 10(min) 15(min) 20(min)
실시예 1 85.30 85.10 84.90 84.70 84.60
비교예 1 71.60 70.30 69.70 69.30 69.20
비교예 2 72.40 71.30 71.00 70.90 70.80
평가예 2- 살균력 측정 평가
시험균주를 액체배지(LB)에 37℃에서 24시간 배양하여 배양된 균체를 생리식염수로 희석하고, 손에 0.5㎖의 시험균주 희석액(1×107 CFU/㎖)을 도포하여 양 손으로 골고루 바르고, 1분 후 1㎖의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시료를 각각 손에 도포하였다. 30초, 60초, 2분 후에 종이 디스크(paperdisc)를 0.5㎖의 생리식염수에 현탁한다. 현탁액 0.05~0.2㎖을 LB 플레이트에 도말하여 37℃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콜로니를 계수하여 살균력을 관찰하였다. 대조구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표 2는 상기 살균력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손 소독제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유사한 살균력을 나타내고 있어, 손 소독 효과가 감소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30초 60초 2분
균체수(CUF/㎖) 균체수(CUF/㎖) 균체수(CUF/㎖)
대조구(증류수) 2.9 × 105 2.3 × 105 9.6 × 104
비교예 1 4.0 × 102 2.0 × 102 2.0 × 102
비교예 2 4.0 × 102 2.0 × 102 2.0 × 102
실시예 1 4.0 × 102 2.0 × 102 2.0 × 102
평가예 3 - 기호도 평가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비교예 1, 2를 블라인드 테스트를 통해 사용한 후, 가장 선호하는 제품을 고르도록 하였다. 그 결과 10명 모두 본원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손 소독제를 선택하였으며,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른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서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6)

  1. 에탄올, 정제수, 글리세린,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트라이에탄올아민,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자몽씨오일, 에틸헥실글리세린, 유칼립투스오일, 티트리잎오일, 1,2-헥산다이올, 알로에베라잎추출물, 부틸렌글라이콜, 병풀추출물, 호장근뿌리추출물, 황금추출물, 녹차추출물, 스페인감초뿌리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및 마트리카리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로,
    상기 소독제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은 55 내지 65 중량부, 정제수는 27 내지 37 중량부, 글리세린은 1 내지 5 중량부,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1 내지 5 중량부, 트라이에탄올아민 0.05 내지 0.2 중량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는 0.05 내지 0.2 중량부, 자몽씨오일은 0.01 내지 0.1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은 0.01 내지 0.1 중량부, 유칼립투스오일은 0.01 내지 0.05 중량부, 티트리잎오일은 0.01 내지 0.05 중량부, 1,2-헥산다이올은 0.001 내지 0.003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추출물은 0.0005 내지 0.002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은 0.0003 내지 0.0007 중량부, 병풀추출물은 0.00003 내지 0.0007 중량부, 호장근뿌리추출물은 0.00001 내지 0.00003, 황금추출물은 0.00001 내지 0.00003, 녹차추출물은 0.000005 내지 0.00002 중량부, 스페인감초뿌리추출물은 0.000005 내지 0.00002 중량부, 로즈마리잎추출물은 0.000005-0.00002 중량부, 마트리카리아꽃 추출물은 0.000005 내지 0.00002 중량부인,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37253A 2020-10-22 2020-10-22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1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253A KR102301494B1 (ko) 2020-10-22 2020-10-22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253A KR102301494B1 (ko) 2020-10-22 2020-10-22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494B1 true KR102301494B1 (ko) 2021-09-14

Family

ID=77774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253A KR102301494B1 (ko) 2020-10-22 2020-10-22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4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7110A (ko) * 2009-10-27 2009-12-09 한국식품연구원 녹차 추출물 함유 알코올성 살균소독제
KR100947282B1 (ko) * 2009-10-23 2010-03-16 신근우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
KR20120063036A (ko) * 2010-12-07 2012-06-15 전라남도 천연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세정제제조방법 및 그 손세정제조성물.
KR20170036151A (ko) 2015-09-23 2017-04-03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진균활성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KR102115133B1 (ko) 2020-03-11 2020-05-25 윤영복 전염병 방지용 손 소독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282B1 (ko) * 2009-10-23 2010-03-16 신근우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
KR20090127110A (ko) * 2009-10-27 2009-12-09 한국식품연구원 녹차 추출물 함유 알코올성 살균소독제
KR20120063036A (ko) * 2010-12-07 2012-06-15 전라남도 천연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세정제제조방법 및 그 손세정제조성물.
KR20170036151A (ko) 2015-09-23 2017-04-03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진균활성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KR102115133B1 (ko) 2020-03-11 2020-05-25 윤영복 전염병 방지용 손 소독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오드쏠 아로마 핸드크린겔 향균과 은은한 향이 매력적인 요 아이’, https://blog.naver.com/pinelemon/222121507907 (2020.1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58869B (zh) 一种抑菌湿巾液、湿巾及其制备方法
KR101618162B1 (ko) 건강 기능성 천연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향료 조성물
US8808761B2 (e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rose extrac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KR101765832B1 (ko) 항균성 에센셜 오일
KR101694707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데오도란트 조성물
WO2018137500A1 (zh) 一种植物组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CN106266685A (zh) 一种复方精油及其制备方法
KR20160076816A (ko) 천연 방부 조성물
KR20190080011A (ko) 천연 추출 성분을 함유하는 모기 기피제 조성물
CN110637839A (zh) 具有安神助眠作用的茉莉花驱蚊剂及其制备方法
CN109260054A (zh) 一种植物防蚊止痒膏及其制备方法
CN106137801A (zh) 一种植物精油香膏及其制备方法
US20100197544A1 (en) Rinseless body wash composition
KR20120009554A (ko)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1494B1 (ko)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714674A (zh) 一种中药挥发油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613663A (zh) 一种皮肤修护组合物、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20210072966A (ko) 나노캡슐화된 센텔라 추출물과 칼라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또는 피부염증 개선용 나노캡슐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1650565B1 (ko)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KR101898060B1 (ko) 가습기 살균제용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수용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27462B1 (ko) 연교, 하고초, 산사, 목통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천연방부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1606B1 (ko)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막실라리아 추출물, 및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20200064622A (ko) 박하, 오레가노, 생강 및 계피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취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1615B1 (ko) 항균용 세정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