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832B1 - 항균성 에센셜 오일 - Google Patents

항균성 에센셜 오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832B1
KR101765832B1 KR1020170042925A KR20170042925A KR101765832B1 KR 101765832 B1 KR101765832 B1 KR 101765832B1 KR 1020170042925 A KR1020170042925 A KR 1020170042925A KR 20170042925 A KR20170042925 A KR 20170042925A KR 101765832 B1 KR101765832 B1 KR 101765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arts
weight
essential oi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문
Original Assignee
정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문 filed Critical 정종문
Priority to KR1020170042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832B1/ko
Priority to US15/936,599 priority patent/US20180280458A1/en
Priority to US16/780,660 priority patent/US11033591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3Thymelaeaceae (Mezereum family), e.g. leatherwood or false ohelo
    • A61K36/835Aquila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26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C11B9/003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the ring containing less than six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2Recovery or refining of essential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9/027Recovery of volatiles by distillation or strip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침향나무 추출물 30 내지 70중량부; 동백기름 30 내지 70중량부; 황칠나무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어성초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함초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감초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우방차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대추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백작약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및 편백나무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를 포함하는 항균성 에센셜 오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향나무, 침향, 동백기름, 황칠나무, 마치현, 어성초, 삼백초, 함초, 감초,우 방차, 대추, 백작약, 편백나무 등 주원료의 각 장점이 잘 융합되어 발산하는 특유의 천연향이 들국화 향처럼 편안하고, 산야의 부드러운 향기를 발산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고, 항균성을 제공하여 아토피성 피부염과 여드름 등에 관한 개선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항균성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s with antibacterial substance}
본 발명은 항균성 에센셜 오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향나무, 침향, 황칠나무 및/또는 마치현 등으로부터 휘발성 아로마성분(Simple volatile aromatic compounds)을 추출하여 동백기름과 혼합한 항균성 에센셜 오일에 관한 것이다.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은 알콜, 알데하이드, 에스테르, 캐톤, 옥사이드 등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가진 휘발성 유기화합물로서 식물에서 얻어지는 것인데, 주로 채취되는 부위에 따라, 잎에서 얻어지는 것(유칼립스, 페퍼민트), 꽃에서 얻어지는 것(라벤더, 장미), 가지에서 얻어지는 것(쥬니퍼), 줄기에서 얻어지는 것(샌드우드), 뿌리에서 얻어지는 것(베티베르트, 칼라머스)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특히, 아로마 에센셜 오일은 건강에 도움을 주는 향이 나는 식물, 즉 허브의 특정부분(뿌리, 꽃, 잎, 줄기, 열매 등)에서 추출한 화학물질과 호르몬 성분으로 우리 인체에 여러 화학물질과 호르몬이 필수 불가결하듯 식물이 가진 생명의 힘도 여기서 나온다고 할 수 있는데, 인체에 사용 가능한 오일은 약 300여종 이상이 있으며, 그 중 약 60여종의 오일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 에센셜 오일은 항감염작용, 항히스타민작용, 항알러지작용 등을 가지고 있고, 이들의 구성비율에 따라 독특한 치료효과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케톤이 다량 함유되면 상처치유의 효과가 우수하며 알콜이 많이 포함되면 항박테리아 효과가 월등하다.
이러한 에센셜 오일을 신체에 적용시키는 방법에는 직접 피부에 바르는 방법, 분무하는 방법 그리고 코를 통해 흡입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피부를 통하는 방법이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피부를 통과한 에센셜 오일은 모세혈관에 흡수되어 전신 순환계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에센셜 오일, 특정적으로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사용방법은 램프나 가습기를 이용한 발향법이나 스팀(습식) 흡입법, 건식흡입법, 습포법, 목욕법, 마사지법, 스프레이법, 가글링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향나무, 침향, 황칠나무, 마치현 등으로부터 휘발성 아로마성분(Simple volatile aromatic compounds)을 추출하여 동백기름과 혼합함으로써, 항균성을 갖는 항균성 에센셜 오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침향나무 추출물 30 내지 70중량부;
동백기름 30 내지 70중량부;
황칠나무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어성초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함초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감초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우방차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대추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백작약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및
편백나무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를 포함하는 항균성 에센셜 오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향나무, 침향, 동백기름, 황칠나무, 마치현, 어성초, 삼백초, 함초, 감초,우 방차, 대추, 백작약, 편백나무 등 주원료의 각 장점이 잘 융합되어 발산하는 특유의 천연향이 들국화 향처럼 편안하고, 산야의 부드러운 향기를 발산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고, 항균성을 제공하여 아토피성 피부염과 여드름 등에 관한 개선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인체에 안전한 식물추출물을 숙성 배합하여 제조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안전하며 가려움증과, 피부발진 등의 알레르기성 피부나 여드름 아토피성 피부 증상에 따른 피부 트러블 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스킨이나 에센스로 제조하여 유리병, 일반 화장품류 병에 넣어 스프레이식으로 쉽게 사용하도록 하며, 구입하기 쉬운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안심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침향나무 추출물 30 내지 70중량부; 동백기름 30 내지 70중량부; 황칠나무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어성초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함초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감초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우방차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대추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백작약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및 편백나무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를 포함하는 항균성 에센셜 오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인체에 안전한 식물추출물을 숙성 배합하여 제조하며 피부자극이 없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안전하며 스킨이나 에센스로 제조하여 유리병, 일반 화장품 병에 넣어 스프레이식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화장수, 에센스 및/또는 스킨류 등의 액상 제품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특정적으로 식물 예를 들면 향나무, 침향, 황칠나무, 마치현, 어성초, 삼백초, 함초, 감초, 우방차, 대추, 백작약, 편백나무 등의 식물 추출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추출하고자 하는 대상, 예를 들면 향나무, 침향, 황칠나무, 마치현, 어성초, 삼백초, 함초, 감초, 우방차, 대추, 백작약 및/또는 편백나무 등의 식물을 45 내지 50시간 동안 65 내지 75℃의 온도범위에서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향나무 추출물은 향나무, 바람직하게는 향나무의 잎 및/또는 줄기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이다.
여기서, 상기 향나무(Juniperus chinensis)는 향기가 나는 나무로 예전부터 청향(淸香)이라 하여 정신을 맑게 하고 부정한 것을 소멸시키며, 항균작용이 있어 옛 궁중여인들의 피부관리 및 정화용으로 널리 사용해왔다.
특히, 최근 들어 상기 향나무는 공기를 깨끗하게 정화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각종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질환 및 두피관리에도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욱이, 상기 향나무에 대한 연구결과, 대표적인 여드름 원인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에서 항균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는 사실이 논문[대한피부미용학회지 제8권 제2호 (향나무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 및 각질세포 보호효과, 조선대학교 생명공학과 외)]에 잘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 특정적으로 항균성 에센셜 오일의 향나무 추출물 외 나머지 성분들의 함량은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향나무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침향나무, 특정적으로 베트남 침향나무로부터 추출된 추출물로서, 그 사용량은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30 내지 7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침향나무 추출물은 베트남 침향(아킬라리아 크라스나 Aquilaria crassna)의 주요성분으로서, 여드름,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질환, 진드기, 벌레, 모기퇴치 및 물린 곳, 환경오염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피부노화 및 아토피 등에 효과가 있는 단순 휘발성 아로마 성분(Simple volatile aromatic compounds)이다.
또한, 상기 침향나무 추출물은 꽃향기, 부드러운 허브향(풀향기), 기분 좋은 상큼한 향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백기름은 동백나무, 특정적으로 동백나무의 씨, 잎, 꽃봉우리 및/또는 과실 등에서 추출한 기름으로써, 보습효과가 좋은 올레인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고, 아토피 피부나 알레르기성 피부에 좋고, 감마리논렌산이 풍부하여 피부건조를 방지하고 가려움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동백기름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추천하기로는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30 내지 7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추출물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상록교목인 황칠나무로부터 추출한 추출물로서, 미생물이나 균을 차단할 수 있는 항산화, 항균작용은 물론 세스키테르펜 성분이 다량 들어있어서 심신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황칠나무 추출물의 사용량은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마치현 추출물은 마치현, 특정적으로 마치현 잎 등에서 추출한 추출물로서, 피부 자극과 알레르기 반응을 진정시키고, 항균, 항염 작용을 하는 약리학적 효능이 있어, 여드름 케어, 민감성 화장품 등에 주로 사용한다.
바람직한 마치현 추출물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추천하기로는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어성초 추출물은 쌍떡잎식물 후추목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어성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로서, 피부염증, 아토피 등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어성초 추출물의 사용량은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함초 추출물은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인 함초로부터 추출한 추출물로서, 먹는 화장품이라고 할 만큼 피부미용에 좋고 미네랄과 비타민이 풍부해서 피로회복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함초 추출물의 사용량은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감초 추출물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인 감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로서, 해독 및 소염작용 좋고, 여드름, 아토피, 습진, 두드러기 등과 같은 피부질환 개선에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감초 추출물의 사용량은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우방차 추출물은 국화과에 속한 우엉의 성숙한 종자를 건조한 우방자라는 식물로 만든 차에서 추출한 추출물로서, 혈압조절, 항암효과, 해독작용, 구취제거, 혈당을 낮추는데도 좋고, 기미개선, 주름개선 등의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우방차 추출물은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대추 추출물은 대추나무 열매로부터 추출한 추출물로서, 피부에 컨디셔닝을 부여하여 활력 있는 피부 관리에 도움을 주고, 피부 보습 및 건강한 피부관리에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대추 추출물은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백작약 추출물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인 백작약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로서, 노화방지의 기능을 보이고 피부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백작약 추출물은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추출물은 겉씨식물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인 편백나무로부터 추출된 추출물로서, 피톤치드라는 천연 항균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살균 작용이 뛰어나고, 내수성이 강해 물에 닿으면 고유의 향이 진하게 퍼져 잡냄새도 없애주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편백나무 추출물은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좋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향기를 부가하여 사용자의 사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향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향수로는 라벤더, 로즈마리, 오레가노, 베르가못, 야로우, 바질, 민트, 세이지 또는 레몬밤, 제스민, 보리지, 아니카, 스파티움, 클라리세이지, 페퍼민트 등의 허브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항균성 에센셜 오일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01 내지 3중량부의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산화방지제는 아민계, 비스페놀계, 모노페놀계 및 유황계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2 . 2 - M e t h y l e n e b i s ( 4 - m e t h y l - 6 - t - b u t y l p h e n o l )], 2.6-디-t-부틸-4-메틸페놀(2.6-di -t-Butyl-4-methylpheno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항균성 에센셜 오일에 발생할 수 있는 세균 등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살리실산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사용량은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01 내지 2중량부가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피부 도포시 얇은 보호막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충격을 완화하고 유해한 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며, 피부의 온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스테아르산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사용량은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01 내지 2중량부를 추천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자외선을 흡수하기 위하여 파라아미노벤조산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사용량은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01 내지 2중량부가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홍자단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홍자단(Cotoneaster horizontalis Decne)은 장미과 개야광나무속에 속하며 아시아, 북아메리카, 유럽 등 온대지방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추출방법은 본 발명의 각각의 추출물의 추출방법과 동일하며, 그 사용량은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가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자가면역질환 또는 염증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비바리 비단망사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비바리 비단망사(Martensia bibarii)는 홍조류 비단풀목에 속하는 종으로 남해안, 제주도의 해역에서 분포하는 해조류로서 추출방법은 본 발명의 각각의 추출물의 추출방법과 동일하며, 그 사용량은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가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피부 보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20중량부의 히아루론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아루론산은 생체 구성 물질로서, 피부 보습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미백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알부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부틴은 월귤나무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물질로 미백에 효과가 좋은 성분이며, 멜라닌 생성 억제 성분인 하이드로퀴논과 유사한 화학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스킨이나 에센스로 제조하여 유리병, 일반 화장품류 병에 넣어 스프레이식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오일을 구성하는 각각의 추출물을 정화수, 특정적으로 증류수로 적당량, 바람직하게는 에센셜 오일과 증류수를 1:9 내지 9:1의 중량비율로 희석한 후 20 내지 24℃의 온도범위에서 6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일주일 숙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춘기 여드름, 거칠어진 피부, 피부노화예방, 아토피의 완화 및 상쾌감 제공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나,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관련 열을 감소시켜 주고, 진드기, 모기 등 잡벌레에 물린 곳의 통증완화 및 퇴치에 도움을 주고, 항균/항산화작용으로 거칠어진 피부완화 및 윤택에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추출물 제조
향나무, 침향나무, 황칠나무 추출물, 마치현, 어성초, 함초, 감초, 우방차, 대추, 백작약, 또는 편백나무 추출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먼저, 추출하고자 하는 대상, 즉, 향나무, 침향나무, 황칠나무 추출물, 마치현, 어성초, 함초, 감초, 우방차, 대추, 백작약, 또는 편백나무를 깨끗이 씻어 준비하였다.
여기서, 상기 향나무는 그 잎 또는 줄기를 사용하였고, 마치현은 그 잎을 사용하였다.
그 다음, 증기가 공급되는 용기에 추출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넣은 후 약 48시간 동안 약 70℃의 온도로 증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추출하고자 하는 대상물로부터 추출물을 얻는 수증기 증류법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 추출된 추출물을 냉각시켜 최종적인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추출한 향나무 추출물 100g, 침향나무 추출물 50g, 동백기름 50g, 황칠나무 추출물 25g, 마치현 추출물 25g, 어성초 추출물 25g, 함초 추출물 25g, 감초 추출물 25g, 우방차 추출물 25g, 대추 추출물 25g, 백작약 추출물 25g, 및 편백나무 추출물 25g를 혼합하여 항균성 에센셜 오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라벤더 오일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1.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살리실산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스테아르산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파라아미노벤조산 1.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한 홍자단 추출물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한 비바리 비단망사 추출물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히아루론산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알부틴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11에 따라 제조된 항균성 에센셜 오일의 항균, 항산화, 각질세포, 피부보습, 여드름, 피부정화효과 등의 사용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냈다.
여기서, 상기 항균성 에센셜 오일의 사용감은 남/녀(연령무관) 각 50명의 피부관련 체험자를 모집하여 체험을 실시한 설문 결과로 나타냈다.
항균 항산화 각질세포 피부보습 피부정화 여드름
실시예 2 매우좋음 매우좋음 좋음 좋음 좋음 좋음
실시예 3 매우좋음 매우좋음 보통 좋음 보통 좋음
실시예 4 매우좋음 매우좋음 좋음 좋음 보통 좋음
실시예 5 매우좋음 매우좋음 좋음 좋음 좋음 좋음
실시예 6 매우좋음 매우좋음 보통 좋음 보통 좋음
실시예 7 매우좋음 매우좋음 좋음 좋음 보통 좋음
실시예 8 매우좋음 매우좋음 좋음 좋음 좋음 좋음
실시예 9 매우좋음 매우좋음 보통 좋음 보통 좋음
실시예 10 매우좋음 매우좋음 보통 매우좋음 보통 좋음
실시예 11 매우좋음 매우좋음 보통 좋음 보통 좋음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에센셜 오일은 항균, 항산화, 피부보습, 여드림 등에서 이 보통 이상으로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향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침향나무 추출물 30 내지 70중량부;
    동백기름 30 내지 70중량부;
    황칠나무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어성초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함초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감초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우방차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대추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백작약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 및
    편백나무 추출물 10 내지 40중량부를 포함하는 에센셜 오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나무 추출물은 향나무의 잎 또는 줄기에서 추출한 것을 포함하는 에센셜 오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기름은 동백나무의 씨, 잎, 꽃봉우리 또는 과실에서 추출한 기름인 것을 포함하는 에센셜 오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치현 추출물은 마치현 잎에서 추출한 것을 포함하는 에센셜 오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하고자 하는 대상을 45 내지 50시간 동안 65 내지 75℃의 온도범위에서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센셜 오일.
KR1020170042925A 2017-04-03 2017-04-03 항균성 에센셜 오일 KR101765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925A KR101765832B1 (ko) 2017-04-03 2017-04-03 항균성 에센셜 오일
US15/936,599 US20180280458A1 (en) 2017-04-03 2018-03-27 Antibacterial essential oil
US16/780,660 US11033591B2 (en) 2017-04-03 2020-02-03 Antibacterial essential 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925A KR101765832B1 (ko) 2017-04-03 2017-04-03 항균성 에센셜 오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832B1 true KR101765832B1 (ko) 2017-08-10

Family

ID=5965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925A KR101765832B1 (ko) 2017-04-03 2017-04-03 항균성 에센셜 오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180280458A1 (ko)
KR (1) KR1017658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9868A (zh) * 2017-09-30 2018-01-26 三江县善茶轩工艺品有限公司 茶籽油的超临界萃取工艺
CN107641555A (zh) * 2017-09-30 2018-01-30 三江县善茶轩工艺品有限公司 野茶籽油的制作方法
KR101896252B1 (ko) * 2018-04-05 2018-09-07 오형호 해조류를 포함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CN114129493A (zh) * 2021-12-08 2022-03-04 云南中科昆植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天麻免洗抑菌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20112593A (ko) * 2021-02-04 2022-08-11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눈향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병 세균의 생장 억제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3585A (zh) * 2019-10-29 2020-02-25 胡晓晖 一种基于沉香的中药包的制备方法、设备及中药包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002B1 (ko) 2013-05-07 2015-05-04 박상홍 아토피증상 완화 및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9868A (zh) * 2017-09-30 2018-01-26 三江县善茶轩工艺品有限公司 茶籽油的超临界萃取工艺
CN107641555A (zh) * 2017-09-30 2018-01-30 三江县善茶轩工艺品有限公司 野茶籽油的制作方法
KR101896252B1 (ko) * 2018-04-05 2018-09-07 오형호 해조류를 포함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KR20220112593A (ko) * 2021-02-04 2022-08-11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눈향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병 세균의 생장 억제용 조성물
KR102511159B1 (ko) * 2021-02-04 2023-03-17 대한민국 눈향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병 세균의 생장 억제용 조성물
CN114129493A (zh) * 2021-12-08 2022-03-04 云南中科昆植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天麻免洗抑菌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129493B (zh) * 2021-12-08 2023-08-11 云南中科昆植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天麻免洗抑菌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33591B2 (en) 2021-06-15
US20200171111A1 (en) 2020-06-04
US20180280458A1 (en)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832B1 (ko) 항균성 에센셜 오일
KR101618162B1 (ko) 건강 기능성 천연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향료 조성물
JP2008534675A (ja) 天然抽出物、ナノシルバー、および天然エッセンシャルオイルを含有する抗菌剤組成物
CN105055244A (zh) 有机天然植物防腐剂
KR20180078564A (ko) 피부 진정 및 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JP4723738B2 (ja) デオドラント剤
KR102366247B1 (ko) 물티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265147A (zh) 一种含天然植物精油的花露水及其制备方法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555354B1 (ko) 발효식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CN108452060B (zh) 复方精油组合物、其应用以及缓解抑郁的产品
KR102413123B1 (ko) 구취제거용 조성물
KR20120009554A (ko)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7979B1 (ko) 편백나무 추출액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729921B1 (ko) 천연 정유 및 천연 하이드로졸을 포함하는 아로마테라피 미스트 조성물
KR101976415B1 (ko) 이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또는 피부염증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282642B1 (ko) 5가지 방향성 식물과 5가지 생약소재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8060B1 (ko) 가습기 살균제용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수용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860939B (zh) 健胸调理复方精油
KR20150006243A (ko)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KR20150141078A (ko) 노인 악취 제거 조성물
KR101598194B1 (ko) 헤어 및 바디용 다기능 소취 화장료 조성물
KR10176912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3744B1 (ko) 유자 추출물 및 아로마 복합 하이드로졸을 포함하는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635440B (zh) 复方精油组合物、其应用以及缓解压力的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