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282B1 -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282B1
KR100947282B1 KR1020090101185A KR20090101185A KR100947282B1 KR 100947282 B1 KR100947282 B1 KR 100947282B1 KR 1020090101185 A KR1020090101185 A KR 1020090101185A KR 20090101185 A KR20090101185 A KR 20090101185A KR 100947282 B1 KR100947282 B1 KR 100947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inegar
skin
aloe vera
concen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근우
신창훈
Original Assignee
신근우
신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근우, 신창훈 filed Critical 신근우
Priority to KR102009010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2Aloeaceae [Aloe family] or Liliaceae [Lily family], e.g. aloe, veratrum, onion,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알로에 베라겔을 주성분으로 하고, 식초 및 복합황금추출물을 첨가하여 물로 세척할 필요가 없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사용이 가능한 소독제 조성물로써, 피부 자극이 없고, 친환경적이며, 세균에 대한 살균력이 매우 뛰어나면서도 알로에 베라겔 자체의 차가운 성질로 인하여 알코올을 함유한 소독제와 유사한 청량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특히 알코올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알로에 베라겔을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알코올 성분의 휘발에 따른 피부의 수분이나 영양분의 손실에 의해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보습력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며, 손, 발 등의 인체 피부 이외에도 신발장, 전화기, 어린이 장난감, 키보드, 작은 틈새 등의 다양한 세균 번식 가능성이 높은 곳에도 사용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소독제, 알로에 베라겔, 식초, 복합황금추출물, 살균력, 보습력

Description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Composition of environmental antiseptic}
본 발명은 알로에 베라겔(aloe vera gel)를 주성분으로 하고, 식초 및 복합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소독제 조성물로서, 피부 자극이 없고, 친환경적이며, 세균에 대한 살균력이 매우 뛰어나면서도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보습력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며, 손, 발 등의 인체 피부 이외에도 신발장, 전화기, 어린이 장난감, 키보드, 작은 틈새 등의 다양한 세균 번식 가능성이 높은 곳에도 사용 가능한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의 의한 질병은 통상적으로 호흡기 분비물, 콧물 등이 다른 사람의 호흡기 또는 결막을 통해 침입해서 감염된다. 보통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해 전달된다고 알려져 있는데, 바이러스는 직접 입으로 전달되기보다는 바이러스가 묻어있는 손을 입이나 코에 갖다댐으로써 감염되는 경우가 더 많다. 일단 손에 묻은 세균은 눈, 코 그리고 입, 피부 등으로 옮겨져 그 자신이 질병에 감염될 뿐 아니라 그가 만지는 음식, 물건 등에 옮겨졌다가 다른 사람에게까지 전염시키게 된다.
특히 현재에는 독감, 특히 신종플루 등이 유행함에 따라 손 세척 등의 요령을 배포하는 한편, 예방을 강화하고 있어 개인 위생이 매우 중요 시 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세척에 사용되는 비누는 세정력만이 강조되며, 병원등 위생을 유지해야 하는 곳에서 주로 사용하는 크레졸액 등은 심한 냄새는 물론, 지나친 세정력 또는 잦은 손 세정 등으로 인하여 손이 거칠어 지거나 심한 경우 피부가 손상이 되었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 조사결과, 세균은 물로만 씻었을 때는 40%, 일반비누로 씻었을 때는 20%, 알코올 계열의 손 소독제로 씻으면 99.99%가 살균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고형 비누라 하더라도 WHO의 손 위생 지침에 따라 15초간 손 씻기를 수행하면 약 90%, 30초간 손 씻기를 수행하면 99%의 균을 제거할 수 있고, 다만 고형 비누는 자체에 물기가 남아 세균이 번식함으로써 되레 손 씻는 중에 감염되거나 오염된 물로 헹구는 동안 감염될 위험이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고 기재하고 있지만, 비누의 사용 후 반듯이 물로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보다 큰 단점은 피부보습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를 물세척과 계면활성제의 작용으로 인하여 피부에 잔류해야 될 피부보습제가 제기능을 하기도 전에 씻겨져 나가는 종래기술의 단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중요하게는 물이 없는 곳에서는 세균을 피부 오 염의 세정은 곤란하였다.
따라서 물이 없는 곳에서도 살균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알코올을 함유한 소독제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알코올 계열의 소독제에 관한 특허기술들을 살펴보면, 국내공개특허 제10-2001-0044514호(2001. 6. 5. 공개)60-68부피%의 에탄올 및 2-5부피%의 이소프로판올, 젤화제로서 0.1-0.3중량%의 카르보머를 함유하여 된 "고살균성 조성물"과, 국내등록특허 제10-0425943호(2004. 4. 3. 공고)로 에탄올 30 내지 8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0.01 내지 5중량%;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0.01 내지 1중량%; 프로필렌글리콜, 알로에 베라, 글리세린, 솔비톨,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및 실리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피부보습제 0.5 내지 6중량%; 및 나머지는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션타입의 피부보호 살균소독제 조성물"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알코올 계열의 소독제는 알코올을 보통 60~85%, 많게는 95%까지 함유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으로, 이러한 알코올 성분에 의해 우수한 살균 효과는 가져올 수 있으나, 구성 성분으로 보습제를 소량 첨가하였다하더라도, 알코올 성분이 휘발하면서 손이나 사용되어지는 인체의 수분과 영양분이 함께 휘발되면서 여전히 피부가 건조해지고 당기며, 푸석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경 오염의 영향에 따라 민감해진 인체의 피부가 알코올 성분에 자극을 받는 경우가 있어 민감성 피부의 소비자들은 알코올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무알코올 제품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011020호(2007. 1. 24.)로 은나노 콜로이드용액(10,000ppm)50g을 알로에 점성물 1,000g에 합성믹스하여 은나노 항균 알로에를 제조하는 "은나노 항균 알로에 제조" 가 개시되어 있으나, 은이 인체에 무해한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전문가들은 은나노에 대한 효과가 검증되지 않았고 과다하게 사용할 경우 은중독이 일어나는 등 오히려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으며, 은이 체내에 축적될 경우 화학적으로 안정되고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혈액투석을 하거나 중금속제거제를 사용해도 잘 제거되지 않게 된다고 지적하고 있는 실정으로 은나노를 사용한 항균, 살균 제품의 적극적인 제조 및 사용은 아직 신중히 고려해야 할 실정이다. 그리고 국내등록특허 제10-0870277호(2008. 11. 25. 공고)는 콜로이드 은 용액 5중량부와 콜로이드 백금 용액 5중량부, 쟁탄검 0.5중량부를 교반하여 은/백금/쟁탄검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은/백금/쟁탄검 혼합물을 에코소닉젤 25중량부, 워터젤 25중량부, 카보플 프리젤 15중량부, 젤 크림 10중량부, 알로에베라 겔 2.5중량부, 알로에젤 2.5중량부, 해초젤 5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분산시켜서 제1 분산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1 분산액에 콜라겐분말 1중량부, 글리세린 2중량부, 비타민C 0.1중량부, 비타민 E 0.1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하여 분산시켜서 제2 분산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2 분산액에 에탄올 0.6중량부, 로즈마리 에센스오일 0.5중량부, 피트니 에센스오일 0.1중량부, 페파민트 에센스오일 0.1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해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과 발의 청결을 위한 젤 의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살균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콜로이드 은 용액을 사용하고 있으며, 살균력 및 보습력을 가지고 있는 알로에 베라겔 및 알로에 젤은 그 사용량이 소량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신종플루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병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서 피부에 사용 시에는 물로 세척할 필요가 없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사용이 가능하고, 살균력이 매우 뛰어나면서도 특히 피부의 수분이나 영양분의 손실없이 충분한 보습력을 나타내며, 다양한 장소 및 도구 등에도 사용 가능한 소독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은 물로 세척할 필요가 없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사용이 가능한 소독제 조성물로 알로에 베라겔을 주성분으로 하고, 식초 및 복합황금추출물을 첨가하므로써, 피부 자극이 없고, 친환경적이며, 세균의 살균력이 매우 뛰어나면서도 알로에 베라겔 자체의 차가운 성질로 인하여 알코올을 함유한 소독제와 유사한 청량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특히 알코올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알로에 베라겔을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알코올 성분의 휘발에 따른 피부의 수분이나 영양분의 손실이 없어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보습력을 지속적으로 나 타내며, 신발장, 전화기, 어린이 장난감, 키보드, 작은 틈새 등의 다양한 세균 번식 가능성이 높은 곳에도 적용 가능한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알로에 베라겔(aloe vera gel) 95.0~99.0 중량%, 식초 0.5~2.5 중량%, 복합황금추출물 0.5~2.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알로에 베라겔(aloe vera gel)은 알로에의 껍질을 벗기고 난 속살인 알로에 베라(aloe vera)를 믹서기에 넣어 곱게 간 것을 사용하고,
상기 식초는 초산의 함유량이 3~7 중량%인 식초를 사용하고, 또한, 상기 식초는 일반적인 양조식초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현미식초, 양파식초와, 사과식초, 감식초, 포도식초와 같은 과일식초로부터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며,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은 황금농축액 30~46 중량%, 감초농축액 25~30 중량%, 대추농축액 7~10 중량%, 황기농축액 6~8 중량%, 덱스트린 8~12 중량%, 젖산 4~5 중량%, 글리세린 4~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알로에 베라겔을 주 성분으로 하고, 식초 및 복합황금추출물을 첨가하여 물로 세척할 필요가 없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사용이 가능한 소독제 조성물로써, 피부 자극이 없고, 친환경적이며, 세균에 대한 살균력이 매우 뛰어나면서도 알로에 베라겔 자체의 차가운 성질로 인하여 알코올을 함유한 소독제와 유사한 청량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특히 알코올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알로에 베라겔을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알코올 성분의 휘발에 따른 피부의 수분이나 영양분의 손실이 없어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보습력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며, 손, 발 등의 인체 피부 이외에도 신발장, 전화기, 어린이 장난감, 키보드, 작은 틈새 등의 다양한 세균 번식 가능성이 높은 곳에도 사용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알로에 베라겔(aloe vera gel) 95.0~99.0 중량%, 식초 0.5~2.5 중량%, 복합황금추출물 0.5~2.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로에 베라겔(aloe vera gel)은 천연보습제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빠른 시간 내에 피부 깊숙히 흡수되어 건조한 피부의 보습력이 매우 뛰어나고, 세균과 곰팡이에 대한 살균력이 있고, 독소를 중화하는 알로에틴이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에 사용 시 온도를 낮추어주어 청량감을 주고, 트러블 및 여드름 피부를 진정 완화시켜주며, 썬케어와 피부재생에 도움을 주며, 화상의 진정효과 및 각질제거 필링효과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알로에 베라겔(aloe vera gel)은 우수한 살균력를 가지고, 보습력으로 피부에 아무런 자극없이 촉촉함을 유지시켜 주며, 각종 영양소를 피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95.0~99.0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량이 95.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에 사용 시 장시간의 충분한 보습력을 나타내지 못하여 피부가 건조해질 수 있으며, 또한 살균력의 충분히 발휘되지 못할 우려가 있고, 사용량이 99.0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식초 및 복합황금추출물의 함량이 세균의 살균 작용에 대한 보강 효과가 저하되어 높은 살균력을 발휘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알로에 베라겔(aloe vera gel)은 알로에의 껍질을 벗기고 난 속살인 알로에 베라(aloe vera)를 믹서기에 넣어 곱게 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초는 그 액성이 산성으로서 강력한 방부제임과 동시에 살균제의 역할을 하며, 0.5~2.5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량이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각종 세균이 제대로 살균되지 않고, 방부제의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할 우려가 있고, 사용량이 2.5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식초 고유의 향이 너무 진하여 제조된 소독제의 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피부에 사용 시에는 피부가 자극을 받아 홍반 등과 같은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식초는 초산의 함유량이 3~7 중량%인 식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식초로는 일반적인 양조식초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현미식초, 양파식초와, 사과식초, 감식초, 포도식초와 같은 과일식초 등으로부터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은 살균력 보강 및 피부의 신진대사 활성화로 세포 재생기능을 향상시켜주는 역할과 천연 방부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0.5~2.5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량이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복합황금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그 효과가 미미하고, 사용량이 2.5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초과 첨가에 따른 살균력 보강효과가 미미하다.
그리고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은 황금농축액 30~46 중량%, 감초농축액 25~30 중량%, 대추농축액 7~10 중량%, 황기농축액 6~8 중량%, 덱스트린 8~12 중량%, 젖산 4~5 중량%, 글리세린 4~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의 황금농축액, 감초농축액, 대추농축액 및 황기농축액은 각각 원료 약재를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들 성분들을 각 성분을 최적의 조건에서 각각 추출하여 농축한 후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각 농축액을 제조하기 위한 추출 용매로서 바람직하게는 물, 무수 또는 함수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1종 또는 그 이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추출 용매의 양은 원료 약재의 5~30배의 부피량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각 농축액은 다양한 추출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이들 용매 또는 용매의 혼합물 등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고, 원료 약재에 대하여 기존에 알려진 여러 가지 방법들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원료 약재의 농축액을 제조하기 위해 추출 및 농축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0~37℃에서 용매에 1~15 일간 침적시켜 추출하거나 또는 용매를 가해 50~100℃에서, 3~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고, 감압농축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최종 농축액 중의 용매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미만인 것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황금농축액, 감초농축액, 대추농축액 및 황기농축액은 각각 62 °Bx로 농축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통상적으로 시중에 유통, 판매되고 있는 황금농축액, 감초농축액, 대추농축액, 황기농축액, 덱스트린, 젖산,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복합황금추출물을 0.5~2.5 중량%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에서 황금농축액 및 감초농축액은 항균 및 살균작용, 해독작용, 소염작용이 뛰어나 열을 내리며, 상처의 치유가 빠르고, 땀띠, 피부염증, 아토피성 피부염와 같은 알레르기 피부질환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역할 및 천연 방부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 살균력을 보강하고, 소독제 조성물에 방부 효과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되며, 황금농축액은 30~46 중량%, 감초농축액은 25~3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사용량이 사용범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살균력 보강의 효과 및 방부 효과가 미미하고, 사용량이 사용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에 사용 시 자극을 줄 우려가 있다.
상기에서 대추농축액은 피부에 사용 시 보습 및 항균 효과가 있어 소독제 조성물의 보습 및 항균력 보강을 위해 사용하며, 7~1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량이 7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보습 및 항균력 보강의 효과가 미미하며, 사용량이 10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초과 사용에 따른 효과 상승이 미미하다.
상기에서 황기농축액은 여드름 피부, 아토피 피부에 사용 시 여드름 방지 및 항아토피 성능에 의해 피부 트러블의 악화를 예방하고, 가려움증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며, 6~8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량이 6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황기농축액의 사용 효과가 미미하고, 사용량이 8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초과 사용에 따른 효과 상승이 미미하다.
상기에서 덱스트린은 피부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8~12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량이 8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 안정화 효과가 미미하고, 사용량이 12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초과 사용에 따른 효과 상승이 미미하다.
상기에서 젖산은 피부 표면의 천연 보습인자(NMF)성분의 하나이기도 한 것으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보습력을 보강하며, 방부 효과도 가지고 있어 소독제 조성물의 방부제 역할을 하기 위해 사용하며, 4~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량이 4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에 수분 공급 및 보습력 보강의 효과가 미미하여 부패될 우려가 있고, 사용량이 5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 자극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상기에서 글리세린은 피부의 습기가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습효과를 가지고 있어 보습제의 역할을 하며, 4~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량이 4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의 보습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사용량이 5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글리세린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피부가 끈적거리게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로션타입, 스프레이타입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 범위는 손, 발 등의 피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신발장, 전화기, 어린이 장난감, 키보드, 작은 틈새 등의 다양한 세균 번식 가능성이 높은 곳에 적용하여 사용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알로에 베라겔을 주성분으로 하여 손, 발 등의 인체 피부에 사용 시 세균에 대한 살균력이 매우 우수함과 동시에 특히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보습력을 지속적으로 나타내고, 또한 다양한 세균 번식 가능성이 높은 곳에도 적용 가능하여 그 활용도가 매우 높은 소독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들면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친환경 살균제 조성물 제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아래과 같은 구성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알로에 베라겔(aloe vera gel) 95.0 중량%, 식초 2.5 중량%, 복합황금추출물 2.5 중량%를 혼합하여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은 황금농축액 30 중량%, 감초농축액 30 중량%, 대추농축액 10 중량%, 황기농축액 8 중량%, 덱스트린 12 중량%, 젖산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알로에 베라겔(aloe vera gel) 97.0 중량%, 식초 1.5 중량%, 복합황금추출물 1.5 중량%를 혼합하여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은 황금농축액 38 중량%, 감초농축액 27 중량%, 대추농축액 8 중량%, 황기농축액 7 중량%, 덱스트린 10 중량%, 젖산 5 중량%, 글리 세린 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알로에 베라겔(aloe vera gel) 99.0 중량%, 식초 0.5 중량%, 복합황금추출물 0.5 중량%를 혼합하여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은 황금농축액 46 중량%, 감초농축액 25 중량%, 대추농축액 7 중량%, 황기농축액 6 중량%, 덱스트린 8 중량%, 젖산 4 중량%, 글리세린 4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알로에 베라겔(aloe vera gel) 94.0 중량%, 식초 6.0 중량%를 혼합하여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알로에 베라겔(aloe vera gel) 99.5 중량%, 복합황금추출물 0.5 중량%를 혼합하여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은 황금농축액 46 중량%, 감초농축액 25 중량%, 대추농축액 7 중량%, 황기농축액 6 중량%, 덱스트린 8 중량%, 젖산 4 중량%, 글리세린 4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에탄올 65.0 중량%, 알로에 베라겔(aloe vera gel) 34.0 중량%, 식초 0.5 중량%, 복합황금추출물 0.5 중량%를 혼합하여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은 황금농축액 30 중량%, 감초농축액 30 중량%, 대추농축액 10 중량%, 황기농축액 8 중량%, 덱스트린 12 중량%, 젖산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단, 여기서 알로에 베라겔(aloe vera gel)은 알로에의 껍질을 벗기고 난 속살인 알로에 베라(aloe vera)를 믹서기에 넣어 곱게 간 것을 사용하여 로션타입의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의 성능 평가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소독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살균력 및 보습력을 평가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살균력 E. coli (CFU/mL) 초기 7.4×105 7.4×105 7.4×105 7.4×105 7.4×105 7.4×105
5분±10초 1.4×103 1.3×103 1.1×103 3.7×103 1.8×104 3.0×103
감소율(%) 99.8 99.8 99.9 99.5 97.6 99.6
S.aureus (CFU/mL) 초기 3.7×105 3.7×105 3.7×105 3.7×105 3.7×105 3.7×105
5분±10초 1.5×103 1.4×103 1.3×103 3.7×103 1.0×104 2.2×103
감소율(%) 99.5 99.6 99.6 99.0 97.3 99.4
보습력 ×
청량감
피부 자극 ×
1) 살균력 : 시험균주로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25922)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을 액체배지에 배양시킨 후 배양된 세균을 희석하여 초기 세균수가 105~106 CFU/mL이 되도록 조절한 것을 각각 사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험 시료 20 mL에 균액 0.2 mL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실온에서 5분±10초 간 방치한 다음 세균수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실험하였다.
2) 보습력 및 청량감 : 성인 남·녀 20명 중에서 남·녀 각 5명씩 10명으로 2개조로 나뉘어 실시예와 비교예를 10회/일(日)로 15일간 손에 사용하도록 한 뒤 피부의 보습상태를 관능적으로 평가하였다.
- ○ : 보습력이 아주 좋아 촉촉함이 지속됨.(청량감이 매우 우수/피부자극 없음)
- △ : 보습력이 보통임.(청량감이 보통임/아주 약간의 피부자극 있음)
- × : 보습력이 나빠 사용 후 30분 이내에 피부가 건조하고 당김현상이 발생.(청량감이 거의 없음/피부 자극으로 약간의 트러블 발생)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알로에 베라겔, 식초 및 복합황금추출물을 사용 범위 내로 사용하여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한 것으로서, 대장균 및 황색포도상구균 시험 균주의 세균 수 감소율이 매우 높아 살균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는데, 도 1a 내지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소독제 조성물로 살균력을 시험한 사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보습력 또한 매우 우수하고, 알로에 베라겔의 찬 성질에 의해 사용 후 통상적으로 알코올을 사용하는 소독제의 사용 시 알코올 성분이 휘발하여 피부에 청량감을 제공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유사한 청량감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예 1은 알로에 베라겔을 사용 범위 미만으로 첨가하고, 식초를 사용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하며, 복합황금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므로써, 살균력은 실시예와 비슷하나, 보습력은 실시예에 비해 약간 저조하였으며, 과량의 식초의 사용으로 인해 소독제의 향이 좋지 못하다는 지적이 있었으며, 피부 자극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비교예 1은 알로에 베라겔을 사용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하고, 복합황금추출물을 사용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하며, 식초 첨가하지 않고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므로써, 보습력, 청량감이 우수하고, 피부자극이 없었으나, 살균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 식초를 사용하지 않으므로써, 살균력이 실시예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3은 소독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알코올을 첨가하고, 알로에 베라겔을 사용 범위 미만으로 첨가한 것으로써, 살균력은 실시예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알코올 성분이 휘발하면서 우수한 청량감은 제공하지만, 민감한 피부를 가진 평가자에서 약간의 피부 자극이 나타났으며, 피부의 수분과 영양분이 손실되고, 알로에 베라겔의 함량이 부족하여 충분한 보습력을 나타내지 못하여 피부가 건조하고 당기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은 피부에 사용 시 피부 자극이 없고, 친환경적이며, 세균에 대한 살균력이 매우 뛰어나면서도 종래의 알코올을 함유한 소독제와 유사한 청량감을 제공하고, 특히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보습력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며, 필요에 따라 로션타입, 스프레이 타입 등으로 제조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손, 발 등의 인체 피부 이외에도 신발장, 전화기, 어린이 장난감, 키보드, 작은 틈새 등의 다양한 세균 번식 가능성이 높은 곳에도 적용 가능하여 그 활용도가 매우 높은 소독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을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고,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의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25922)에 대한 초기 및 5분±10초 후의 살균력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에 대한 초기 및 5분±10초 후의 살균력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Claims (5)

  1. 알로에 베라겔(aloe vera gel) 95.0~99.0 중량%, 초산의 함유량이 3~7 중량%인 식초 0.5~2.5 중량% 및,
    황금농축액 30~46 중량%, 감초농축액 25~30 중량%, 대추농축액 7~10 중량%, 황기농축액 6~8 중량%, 덱스트린 8~12 중량%, 젖산 4~5 중량%, 글리세린 4~5 중량%를 포함하는 복합황금추출물 0.5~2.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 베라겔(aloe vera gel)은 알로에의 껍질을 벗기고 난 속살인 알로에 베라(aloe vera)를 믹서기에 넣어 곱게 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초는 일반적인 양조식초 또는 현미식초, 양파식초와, 사과식초, 감식초, 포도식초로 이루어진 과일식초로부터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
  5. 삭제
KR1020090101185A 2009-10-23 2009-10-23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 KR100947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185A KR100947282B1 (ko) 2009-10-23 2009-10-23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185A KR100947282B1 (ko) 2009-10-23 2009-10-23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282B1 true KR100947282B1 (ko) 2010-03-16

Family

ID=42183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185A KR100947282B1 (ko) 2009-10-23 2009-10-23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28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882A (ko) * 2012-09-10 2014-03-19 명을식 칫솔 세정액
KR20190064830A (ko) * 2017-12-01 2019-06-11 사단법인 늘품교육문화협회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 방법
KR102203168B1 (ko) 2020-08-19 2021-01-15 주식회사 바이오뷰텍 고 에탄올 함유 수중유적형 유화겔크림의 제조방법
KR102248790B1 (ko) * 2020-11-16 2021-05-06 (주)씨앤엘디 향균 지속성이 향상된 외용 소독제 조성물 및 그 생산 공정
KR102301494B1 (ko) * 2020-10-22 2021-09-14 김민귀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71570A (ko) 2020-11-24 2022-05-31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375A (ko) * 2001-03-28 2002-10-11 (주)바이오랩 아토피성 피부에 유용한 화장품
KR100760698B1 (ko) * 2007-07-20 2007-10-04 신근우 액상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20080097974A (ko) * 2008-10-14 2008-11-06 송은경 액세제
KR20090091970A (ko) * 2008-02-26 2009-08-31 신근우 생약성분이 가미된 인체 세정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375A (ko) * 2001-03-28 2002-10-11 (주)바이오랩 아토피성 피부에 유용한 화장품
KR100760698B1 (ko) * 2007-07-20 2007-10-04 신근우 액상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20090091970A (ko) * 2008-02-26 2009-08-31 신근우 생약성분이 가미된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20080097974A (ko) * 2008-10-14 2008-11-06 송은경 액세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882A (ko) * 2012-09-10 2014-03-19 명을식 칫솔 세정액
KR20190064830A (ko) * 2017-12-01 2019-06-11 사단법인 늘품교육문화협회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 방법
KR101994826B1 (ko) * 2017-12-01 2019-09-30 김효정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 방법
KR102203168B1 (ko) 2020-08-19 2021-01-15 주식회사 바이오뷰텍 고 에탄올 함유 수중유적형 유화겔크림의 제조방법
KR102301494B1 (ko) * 2020-10-22 2021-09-14 김민귀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8790B1 (ko) * 2020-11-16 2021-05-06 (주)씨앤엘디 향균 지속성이 향상된 외용 소독제 조성물 및 그 생산 공정
KR20220071570A (ko) 2020-11-24 2022-05-31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45491A1 (en) Surface sanitizer
KR100947282B1 (ko)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
US10456437B1 (en) Antibacterial wet wipe for skin care
JP2008534675A (ja) 天然抽出物、ナノシルバー、および天然エッセンシャルオイルを含有する抗菌剤組成物
US20150264935A1 (en) Semi-Fluidic Composition for Lubricating, Moisture Retaining, Disinfecting, Sterilizing and Method Using the Same
JP2003113013A (ja) 植物性抗菌防腐剤
KR101653886B1 (ko) 천연 방부 조성물
CN103230354B (zh) 一种止汗祛臭组合物
KR102366247B1 (ko) 물티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6087569A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tarchonanthus camphoratus
US20140030203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containing essential oils
KR20170021573A (ko)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40524A (ko) 대나무 원단에 피부자극이 없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물티슈제조 방법
CN111297730A (zh) 长效无害免洗不易燃高分子乙醇消毒剂
JPS63159302A (ja) 殺菌・消毒剤
CN104435607A (zh) 一种中草药皮肤黏膜消毒液
KR101898060B1 (ko) 가습기 살균제용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수용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21688B1 (ko) 치자꽃 추출물, 펠라고니움 그라베올렌스 추출물, 살비아 오피시날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노화방지용 항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6074343A (zh) 一种百里酚纳米粒子免洗洗手液及其制备方法
KR20170100245A (ko) 편백나무 및 황칠나무 수증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9498535A (zh) 抑菌组合物、抑菌免洗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180267B1 (ko) 캐모마일을 함유하는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KR101121615B1 (ko) 항균용 세정제 조성물
CN103230386B (zh) 一种免洗皮肤手微乳消毒液制剂及其制备方法
KR20210100495A (ko)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증강용 친환경 손소독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