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830A -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830A
KR20190064830A KR1020170164069A KR20170164069A KR20190064830A KR 20190064830 A KR20190064830 A KR 20190064830A KR 1020170164069 A KR1020170164069 A KR 1020170164069A KR 20170164069 A KR20170164069 A KR 20170164069A KR 20190064830 A KR20190064830 A KR 20190064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oil
bamboo
so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826B1 (ko
Inventor
김효정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늘품교육문화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늘품교육문화협회 filed Critical 사단법인 늘품교육문화협회
Priority to KR1020170164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8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1/00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 C11D11/0094Process for making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e.g. slurries, pastes o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8Liquid soap, e.g. for dispensers; capsul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및 중금속에 대한 세정효과가 우수한 액상 비누에 관한 것으로 팜 오일, 코코넛 오일, 피마자 오일, 미강 오일을 혼합한 혼합오일을 80℃까지 가열하며 교반하여 오일 베이스를 제조하는 오일 베이스 제조단계, 상기 혼합오일 500중량부를 기준으로 정제수 115중량부와 수산화칼륨 115중량부를 혼합한 후 80℃까지 가열하며 교반하여 비누화 용액을 제조하는 비누화 용액 제조단계, 상기 오일 베이스 및 상기 비누화 용액을 혼합 후 겔화 상태가 될 때 까지 블랜더로 교반하여 비누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비누 페이스트 제조 단계, 상기 혼합오일 500중량부를 기준으로 정제수 115중량부와 설탕 35중량부를 혼합한 후, 80℃까지 가열하여 설탕 혼합액을 제조하는 설탕 혼합액 제조단계, 상기 비누 페이스트에 상기 설탕 혼합액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투명화 비누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투명화 비누 페이스트 제조단계, 상기 투명화 비누 페이스트를 중탕한 후 식히는 중탕단계, 상기 혼합오일 500중량부를 기준으로 향오일 1~2중량부와 대나무 숯 분말 5~10중량부를 상기 중탕단계에서 중탕된 투명화 비누 페이스트에 첨가하여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 제조단계, 상기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를 2℃~5℃사이의 온도에서 2주 내지 4주 동안 안정화시키는 안정화 단계, 상기 안정화된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를 희석액과 1:2 질량비만큼 혼합하고, 죽염 0.2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액상 대나무 비누를 제조하는 희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soap using bamboo charcoal}
본 발명은 대나무 숯 분말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세정효과가 우수한 액상비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를 구성하고 있는 분자는 기름에 잘 섞이는 친유성(親油性)이 있는 탄화수소 부분과, 물기에 잘 용해되는 친수성(親水性)이 있는 카르복시기(基)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누가 물에 잘 풀리면 비누 분자들의 친수성 부분이 물 쪽으로 향하여 배열되고, 친유성 부분은 공기를 향하여 배열된다. 그러므로 물의 표면장력이 감소되어 거품이 잘 일게 되며, 전형적인 계면활성제로서 기포성(起泡性)ㅇ에멀션화 및 큰 세정 작용을 가진다.
이러한 비누는 사용되고 있는 원료에 따라 경성비누와 연성비누로 구분되고, 용도에 따라 화장비누와 세탁비누로 구분되고 있다.
이러한 비누의 종래 제조방법은 유지나 야자유 또는 팜유 등에 포함되어진 지방산을 가성소다(NaOH) 등의 알칼리로 중화하고, 세정효과, 보습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를 첨가하고, 60 내지 120일간의 고화기간을 거쳐 숙성 완성한다. 액상비누의 경우, 가성소다(NaOH) 대신 가성가리(KaOH)를 첨가하여 만들며, 2주 정도의 숙성기간을 거치게 된다. 이와 관련된 문헌으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533331호가 개시된 적이 있었다.
한편, 최근 들어 미세먼지 및 황사에 의한 대기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으며, 미세먼지 및 황사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 및 중금속이 외출 시 피부 표면에 흡착되어 피부표면에 잔여하게 된다. 특히, 미세먼지(PM10) 및 황사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의 평균 입자크기는 10um로 머리카락 지름(50~70um)보다 작은 수준이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외출 시 피부 모공 속까지 흡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오염물질이 제거되지 않고 피부표면 및 모공에 계속 잔여하게 되는 경우, 피부 면역력 저하에 따른 피부 트러블, 아토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 모공 속까지 흡착되어 있는 오염물질(미세먼지 및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세정력이 우수한 비누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사항이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공에 흡착되어 잔여하고 있는 미세먼지 및 중금속에 대한 세정효과가 우수한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천연 추출물만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피부에 자극이 덜한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방법은 팜 오일, 코코넛 오일, 피마자 오일, 미강 오일을 혼합한 혼합오일을 80℃까지 가열하며 교반하여 오일 베이스를 제조하는 오일 베이스 제조단계, 상기 혼합오일 500중량부를 기준으로 정제수 115중량부와 수산화칼륨 115중량부를 혼합한 후 80℃까지 가열하며 교반하여 비누화 용액을 제조하는 비누화 용액 제조단계, 상기 오일 베이스 및 상기 비누화 용액을 혼합 후 겔화 상태가 될 때 까지 블랜더로 교반하여 비누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비누 페이스트 제조 단계, 상기 혼합오일 500중량부를 기준으로 정제수 115중량부와 설탕 35중량부를 혼합한 후, 80℃까지 가열하여 설탕 혼합액을 제조하는 설탕 혼합액 제조단계, 상기 비누 페이스트에 상기 설탕 혼합액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투명화 비누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투명화 비누 페이스트 제조단계, 상기 투명화 비누 페이스트를 중탕한 후 식히는 중탕단계, 상기 혼합오일 500중량부를 기준으로 향오일 1~2중량부와 대나무 숯 분말 5~10중량부를 상기 중탕단계에서 중탕된 투명화 비누 페이스트에 첨가하여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 제조단계, 상기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를 2℃~5℃사이의 온도에서 2주 내지 4주 동안 안정화시키는 안정화 단계, 상기 안정화된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를 희석액과 1:2 질량비만큼 혼합하고, 죽염 0.2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액상 대나무 비누를 제조하는 희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미강 오일은 건조시킨 대나무 잎을 침출시킨 인퓨즈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혼합오일 500중량부는 팜 오일 90중량부, 코코넛 오일 180중량부, 피마자 오일 100중량부, 미강 오일 130중량부가 혼합되어 있으며, 상기 희석단계는 감식초 0.2중량부 내지 0.5중량부가 더 첨가되며, 상기 희석액은 정제수 또는 정제수와 em발효액이 1:1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대나무 숯 분말은 입자크기가 10~50nm인 분말과 100~150nm인 분말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희석단계를 거친 액상 대나무 비누에 마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입자를 첨가하는 기능성 부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방법은 액상 비누 제조 시, 대나무 숯 분말을 첨가하여 미세먼지 및 중금속에 대한 세정효과가 우수한 액상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천연오일 및 대나무 숯과 같은 천연 추출물만 활용하고 있어, 일반 비누에 비해 피부에 자극이 덜하며, 환경 친화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 방법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방법은 오일 베이스 제조단계(S100), 비누화 용액 제조단계(S200), 비누 페이스트 제조단계(S300), 설탕 혼합액 제조단계(S400), 비누 페이스트 제조단계(S500), 중탕단계(S600),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 제조단계(S700), 안정화단계(S800) 및 희석단계(S900)를 포함한다.
먼저, 오일 베이스 제조단계(S100)는 여러 가지 천연 오일들이 혼합된 혼합오일을 고온에서 혼합하여 오일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혼합 오일은 혼합 오일 500중량부에 대해, 팜 오일 90중량부, 코코넛 오일 180중량부, 피마자 오일 100중량부, 미강 오일 130중량부가 혼합된 오일이며, 80℃까지 가열한 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팜 오일은 비누가 조밀한 거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팜 오일이 90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 수 있고, 9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형성된 거품이 조밀하지 않고 엉성하게 형성되므로 90중량부 만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코코넛 오일은 비누의 세정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코코넛 오일이 18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비누의 세정력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180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과한 세정에 의해 피부가 건조해지므로 코코넛 오일은 180중량부 만큼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마자 오일은 비누의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피마자 오일이 10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비누가 탁해지고, 100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비누가 물러져 사용감이 떨어지므로 피마자 오일은 100중량부 만큼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강 오일은 비누에 피부보습, 노화방지 등 기능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13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피부 보습 및 노화방지의 효과가 미미하고, 130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다른 오일들의 기능(세정력, 거품성, 보습 효과)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미강 오일은 130 중량부 만큼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혼합 오일의 성분 및 혼합비는 비누의 세정력, 거품성 및 보습효과 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값으로 반복적인 실험에 의해 도출된 값이다.
한편, 미강 오일은 건조시킨 대나무 잎을 침출시킨 인퓨즈 오일일 수 있다. 대나무 잎에는 피부의 보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대나무 잎을 미강 오일에 침출시키고, 이를 활용하여 비누를 제조하면 액상 비누의 보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비누화 용액(S200)을 제조하는 단계는 정제수와 수산화칼륨(가성가리)의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며, 이때 정제수 및 수산화칼륨은 혼합 오일 500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115중량부씩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115 중량부는 혼합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오일들의 비누화 값을 참고로 오일 베이스의 비누화 시, 필요한 수산화칼륨의 양을 계산한 값이다. 이때, 비누화 용액도 오일 베이스와 마찬가지로 혼합 후 80℃까지 가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오일 베이스 및 비누 페이스트를 혼합하는 비누 페이스트 제조 단(S300)계를 거친다. 이때, 오일 베이스 및 비누 페이스트는 혼합하여 블랜더로 교반하되, 겔화 상태 즉, 트레이스 상태까지 교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이스란 비누화 반응이 진행된 비누 페이스트 상태를 말한다. 오일과 가성소다(가성가리)를 섞으면 비누화 반응에 의해 페이스트의 밀도가 점점 증가하게 되고, 페이스트 표면에 블랜더 자국 또는 반죽자국이 생기는데, 이러한 페이스트의 상태를 트레이스라고 한다.
다음으로, 설탕 혼합액(S400)을 제조한다. 설탕 혼합액은 혼합 오일 500중량부를 기준으로 정제수 115중량부와 설탕 35중량부를 혼합한 후 80℃까지 가열하여 제조한다. 이때, 설탕 혼합액은 비누를 투명하게 하며, 비누의 보습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그 후 비누 페이스트에 설탕 혼합액을 첨가 후 교반하여 투명화 비누 페이스트(S500)를 제조한다. 그 후 투명화 비누 페이스트는 중탕 후 식히는 과정(S600)을 거친다.
식혀진 투명화 비누 페이스트에 향오일 및 대나무 숯 분말을 첨가하여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를 제조한다(S700). 이때, 향오일 및 대나무 숯 분말은 혼합오일 500중량부를 기준으로 1~2중량부, 5~10중량부 만큼 첨가된다. 향오일은 비누에 향기를 부여하며, 대나무 숯 분말은 미세먼지 및 중금속에 대한 세정효과를 향상시킨다. 대나무 숯은 일반 숯에 비해 다공질이다. 즉, 비표면적이 매우 넓어 미세 먼지 및 중금속에 대한 흡착능력일 일반 숯(참숯)에 비해 우수하며, 이러한 대나무 숯을 활용하여 비누를 제조하면 미세먼지 및 중금속의 세정효과가 우수한 액상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는 2℃~5℃사이의 온도에서 2주 내지 4주동안 안정화시킨 후(S800), 희석액과 혼합하여 사용된다(S900). 이때,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는 희석액과 1:2의 질량비 즉,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희석액의 비가 1/2가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된다.
한편, 희석액은 정제수 또는 정제수와 em발효액의 혼합액일 수 있으며, 정제수와 em발효액의 혼합액인 경우 정제수와 em발효액이 1:1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희석액에 em발효액을 첨가하면 비누의 세정력이 향상되며 비누에 살균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와 희석액을 혼합할 때, 죽염이 첨가될 수 있으며 죽염은 혼합 오일 500중량부를 기준으로 0.2중량부 내지 0.5중량부 만큼 첨가될 수 있다. 죽염이 첨가된 대나무 액상 비누는 살균효과가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와 희석액을 혼합할 때, 감식초가 첨가될 수 있으며, 감식초는 혼합 오일 500중량부를 기준으로 0.2중량부 내지 0.5중량부 만큼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식초가 첨가된 대나무 액상 비누는 비누의 살균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에 첨가되는 대나무 숯 분말은 입자크기가 10~50nm인 분말과 100~150nm인 분말이 혼합되어있다. 이는 비누의 미세먼지 흡착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입자크기가 작은 대나무 숯 분말과 입자크기가 큰 대나무 숯 분말을 혼합하여 다양한 크기의 미세먼지를 흡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 비누 제조 방법은 기능성 부여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부여 단계는 희석단계를 거친 액상 대나무 비누에는 마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입자가 첨가되는 단계이다. 이는, 낮은 온도에서도 피부 세정 시, 느껴지는 차가움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발열입자는 금속산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황화물, 금속 염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금속 입자 외주면에 실리카가 코팅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에 따른 액상비누는 거품을 생성하기 위해 마찰시킬 시, 발열 입자에 의해 열이 방출되므로 온도가 낮은 곳 또는 차가운 물로 세정 시, 차가움을 느끼지 않고 피부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5)

  1. 팜 오일, 코코넛 오일, 피마자 오일, 미강 오일을 혼합한 혼합오일을 80℃까지 가열하며 교반하여 오일 베이스를 제조하는 오일 베이스 제조단계;
    상기 혼합오일 500중량부를 기준으로 정제수 115중량부와 수산화칼륨 115중량부를 혼합한 후 80℃까지 가열하며 교반하여 비누화 용액을 제조하는 비누화 용액 제조단계;
    상기 오일 베이스 및 상기 비누화 용액을 혼합 후 겔화 상태가 될 때 까지 블랜더로 교반하여 비누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비누 페이스트 제조 단계;
    상기 혼합오일 500중량부를 기준으로 정제수 115중량부와 설탕 35중량부를 혼합한 후, 80℃까지 가열하여 설탕 혼합액을 제조하는 설탕 혼합액 제조단계;
    상기 비누 페이스트에 상기 설탕 혼합액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투명화 비누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투명화 비누 페이스트 제조단계;
    상기 투명화 비누 페이스트를 중탕한 후 식히는 중탕단계;
    상기 혼합오일 500중량부를 기준으로 향오일 1~2중량부와 대나무 숯 분말 5~10중량부를 상기 중탕단계에서 중탕된 투명화 비누 페이스트에 첨가하여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 제조단계;
    상기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를 2℃~5℃사이의 온도에서 2주 내지 4주 동안 안정화시키는 안정화 단계;
    상기 안정화된 대나무 비누 페이스트를 희석액과 1:2 질량비만큼 혼합하고, 죽염 0.2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액상 대나무 비누를 제조하는 희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강 오일은 건조시킨 대나무 잎을 침출시킨 인퓨즈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 비누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오일 500중량부는 팜 오일 90중량부, 코코넛 오일 180중량부, 피마자 오일 100중량부, 미강 오일 130중량부가 혼합되어 있으며,
    상기 희석단계는 감식초 0.2중량부 내지 0.5중량부가 더 첨가되며,
    상기 희석액은 정제수 또는 정제수와 em발효액이 1:1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 비누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숯 분말은 입자크기가 10~50nm인 분말과 100~150nm인 분말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 비누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단계를 거친 액상 대나무 비누에 마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입자를 첨가하는 기능성 부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 방법.
KR1020170164069A 2017-12-01 2017-12-01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 방법 KR101994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069A KR101994826B1 (ko) 2017-12-01 2017-12-01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069A KR101994826B1 (ko) 2017-12-01 2017-12-01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830A true KR20190064830A (ko) 2019-06-11
KR101994826B1 KR101994826B1 (ko) 2019-09-30

Family

ID=6684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069A KR101994826B1 (ko) 2017-12-01 2017-12-01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8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407A (ko) 2019-08-23 2021-03-04 제너럴바이오(주) 액상비누의 제조방법
KR20210026481A (ko) 2019-08-30 2021-03-10 제너럴바이오(주) 천연소재의 액상비누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880A (ko) * 1992-07-15 1994-02-16 최근선 죽염을 함유하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KR100947282B1 (ko) * 2009-10-23 2010-03-16 신근우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
KR20120118278A (ko) * 2011-04-18 2012-10-26 반주현 모유비누 제조방법
KR101242736B1 (ko) * 2012-06-22 2013-03-12 고은주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생약숙성탕액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6259A (ko) * 2015-03-02 2016-09-12 장은총 기능성 천연비누의 제조방법
KR20170107168A (ko) * 2016-03-15 2017-09-25 주식회사 아미니 천연비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880A (ko) * 1992-07-15 1994-02-16 최근선 죽염을 함유하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KR100947282B1 (ko) * 2009-10-23 2010-03-16 신근우 친환경 소독제 조성물
KR20120118278A (ko) * 2011-04-18 2012-10-26 반주현 모유비누 제조방법
KR101242736B1 (ko) * 2012-06-22 2013-03-12 고은주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생약숙성탕액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6259A (ko) * 2015-03-02 2016-09-12 장은총 기능성 천연비누의 제조방법
KR20170107168A (ko) * 2016-03-15 2017-09-25 주식회사 아미니 천연비누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407A (ko) 2019-08-23 2021-03-04 제너럴바이오(주) 액상비누의 제조방법
KR20210026481A (ko) 2019-08-30 2021-03-10 제너럴바이오(주) 천연소재의 액상비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826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6650B2 (ja) シリカエアロゲル粉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6343C (zh) 具有吸附性的多孔聚甲基倍半硅氧烷
WO2012057086A1 (ja) エアロゲ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311929B2 (ja) 球状シリカ系粒子および該シリカ系粒子を含有してなる化粧料
KR20190064830A (ko) 대나무 숯을 활용한 액상비누 제조 방법
JP6597064B2 (ja) エアロゲル複合体
JPS5857476B2 (ja) 水性のクリ−ニング及びコンデイシヨニング組成物
CN103797106B (zh) 磨砂肥皂的制造方法及磨砂肥皂
TW201641544A (zh) 氣凝膠顆粒及其製備方法
WO2020178056A1 (en) A soap bar with improved perfume impact and deposition of actives
EP0163398A1 (en) Improved silicone foam control agent
JP2007161915A (ja) カプセル粒子含有液体洗浄剤組成物
KR101705447B1 (ko) 친환경 발포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7146A (ko) 친환경 세제 조성물
CN111329785A (zh) 一种发射远红外线的磨砂洗手液及其制备方法
JP5902849B2 (ja) スクラブ石けん
JP4740373B2 (ja) スクラブ石けん
CN110127676A (zh) 疏水性氧化石墨烯气凝胶及其生产方法
JPWO2016052723A1 (ja) 多孔質シリカ系粒子、及び該多孔質シリカ系粒子を含む洗浄用化粧料
JP2009185139A (ja) 透明ジェル状石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79589A (ja) 球状シリコーン微粒子の製造方法
JP2008189703A (ja) スクラブ石けんの製造方法及びスクラブ石けん
KR20140035610A (ko) 액상 비누 제조방법
JP2012206951A (ja) 洗浄用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JP2017178698A (ja) 多孔質シリカ系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洗浄用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