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104B1 - 꽃매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꽃매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104B1
KR101873104B1 KR1020160115297A KR20160115297A KR101873104B1 KR 101873104 B1 KR101873104 B1 KR 101873104B1 KR 1020160115297 A KR1020160115297 A KR 1020160115297A KR 20160115297 A KR20160115297 A KR 20160115297A KR 101873104 B1 KR101873104 B1 KR 101873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composition
flower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7969A (ko
Inventor
이상한
손형우
정채경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5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104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매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억제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홍반 억제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피부노화 억제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내 콜라겐의 분해 및 감소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피부 노화를 억제 및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꽃매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Lycorma delicatula for Anti Skin-Aging}
본 발명은 꽃매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억제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는 모든 생명체가 겪는 반응으로, 수명, 생존과 직결되어 있는 요소이다. 노화에 관련된 가장 기본적이고, 근원적인 원인으로는 free radical에 따른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이다. 세포 내에는 다양한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이 존재하며, 이를 억제하기 위해 SOD (superoxide dismutase)의 효소들이 작용하여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 장기적으로는 세포의 노화를 방지한다.
최근 연구 결과로, 2013년 Harvard Medical School의 David A. Sinclair 연구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NAD+는 NADPH의 효소반응을 증대시키고, 세포 수준에서의 에너지 대사 효율을 증대시켜 노화에 관련된 주요인자인 SIRT1의 활성을 증대시키는 등 노화에 대한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Cell 155, 16241638, 2013).
한편, 피부노화는 근본적으로는 위와 같은 영향에 의해 노화가 조절되지만, 다른 신체 조직과는 달리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특성이 있다. 특히 시각적으로 노화가 일어난 정도를 주름이나 피부의 탄력 등으로 평가될 수 있고, 현대인의 사회활동에 외적인 요소가 크게 작용하므로 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피부의 노화 반응은 일반적으로 자연노화에 의한 세포단위에서의 노화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photoageing)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피부노화의 결과로는 주름생성 및 피부의 탄력성 감소로 인한 외관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특히, 자외선 자극에 의한 피부노화는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증대시켜 만성적인 노화를 일으킬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의한 직접적인 콜라겐 분해 및 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활성 증가로 인한 콜라겐 분해를 야기시켜 피부노화에는 자외선과 같은 외적인 요소가 주요하게 작용한다.
한편, 곤충은 뛰어난 환경 적응력으로 인해 전세계에 광범위하게 서식하고 있으며 그 종 다양성 또한 매우 풍부하다. 과거에는 곤충을 해충이라고 인식하여 기피하였으나, 최근 곤충을 유용한 생물자원으로 인식하고 활용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증가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 곤충 자원의 탐색, 보전을 통한 생물자원 확보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이러한 곤충 자원으로는, 누에, 동충하초, 반모, 백강잠, 거미, 선태(매미 허물) 등이 주목되고 있다.
상기 곤충 자원 중 하나인 선태(Cryptotympana coreana 또는 Oncotympana coreana)는 전국 각지에 서식하는 매미과(Cicadidae) 곤충(예를 들면, Cryptotympana coreana KatoOncotympana coreana Kato)의 새끼벌레가 땅 속에서 나와 성충(成蟲)으로 될 때, 벗은 허물을 말린 것을 의미한다. 상기 벗은 허물을 모아 흙을 씻어 버리고 햇볕에 말린 다음 다리를 떼버린 후 폐경(肺經)·간경(肝經) 등의 증상에 약재로 활용하며,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꽃매미(Lycorma delicatula)는 노린재목 꽃매미과에 속하는 아열대성 곤충으로, 매미아목에 속하지만 매미보다는 뛰는 방식이나 생활방식 등이 매미충 종류에 가깝다. 꽃매미라는 이름 외에도, '주홍날개꽃매미', '중국매미'라는 가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주로 중화인민공화국 남부와 동남아시아 일대를 주요 서식지로 하였으나, 국내에는 2006년 무렵 유입되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고, 2010년 기준 전국적으로 8,378 ha의 발생면적으로 퍼져나갔으며, 특히 포도농가에 주로 서식하면서 그을음병 등을 일으켜 피해를 주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발생예방, 약제방제, 방제기술 등을 진행하였으나, 여전히 매년 꽃매미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인 바,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꽃매미의 활용 방안을 위해 예의 연구하던 중, 꽃매미의 추출물에 피부노화 관련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꽃매미 추출물로부터 피부노화 억제 및 개선 관련 효과를 확인하여,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꽃매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억제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홍반 억제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꽃매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억제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꽃매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홍반 억제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꽃매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억제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서, 상기 꽃매미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피부노화는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Photoagin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내 콜라겐의 분해 및 감소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꽃매미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탄소수 3 내지 6의 다가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홍반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노화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천연물인 꽃매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부작용이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꽃매미 추출물은 자외선 등 스트레스 자극으로 인한 피부상의 홍반을 동반한 손상을 개선하고, 피부 내 콜라겐의 분해 및 감소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의한 피부 상피조직의 두께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피부노화를 억제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꽃매미 추출물은, 의약용, 의약부외용, 화장료용, 향장소재용, 기능성 바이오 소재용 및 기능성 식품소재용 등 다양한 방면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4주간의 자외선 조사에 따른 피부의 손상과, 꽃매미 도포에 따른 이의 개선을 비교하기 위한 마우스 피부 외관의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하단 사진은 도 1의 개선을 보다 쉽게 비교하기 위하여 홍반이 유도된 부위, 즉, 사진 내의 붉은색을 나타내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비교한 사진이다.
도 2는 4주간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 손상 및 염증반응 등에 의해 두꺼워진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꽃매미 추출물의 도포에 따른 이의 개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4주간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 손상에 따른 마우스 등 피부 내의 콜라겐이 감소되는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꽃매미 추출물 도포에 따른 이의 개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4주간 자외선 조사 유무에 따른 피부 조직 내의 IL-1β의 양을 ELIS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4주간 자외선 조사 유무에 따른 피부 내의 SIRTs 및 MMPs 유전자 발현을 RT-PCR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4주간 자외선 조사 유무에 따른 피부 상태를 조직 염색 방법으로 확인한 사진을 나타낸 도면으로, (A)는 H&E (Hematoxylin and Eosin) 염색방법을 통해 염색한 상피 조직의 사진이고, (B)는 Masson’s trichrome 염색 방법을 통해 염색한 상피 조직의 사진이며, (C)는 MMP-1 antibody에 의해 조직염색된 상피 조직의 사진이고, (D)는 IL-1β antibody에 의해 조직염색된 상피 조직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농가의 피해를 주어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꽃매미의 활용방안을 찾기 위해 예의 연구하던 중, 꽃매미 추출물을 대상으로 피부노화 관련 전임상적 평가방법을 수행한 결과, 피부노화 억제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꽃매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억제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홍반 억제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에서 꽃매미 추출물은 0.01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꽃매미 (Lycorma delicatula)는 한국, 중국, 일본 등의 아시아 국가에서 대량 생산하는 품목이며, 농가에서 쉽게 재배 가능하다. 그러나, 꽃매미 추출물이 피부노화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어디에도 공지되어 있지 않다. 상기 꽃매미 추출물은 피부에 도포하는 것으로도 높은 피부노화 활성을 나타내므로, 다양한 제재에 활용이 가능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상기 꽃매미 추출물은 꽃매미 전체를 건조한 후 추출할 수 있으나, 상기 꽃매미를 부위별로 분리하여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노화는 외부환경에서 주는 피부에 유해한 각종 스트레스 자극에 의한 피부노화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Photoag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용어 '광노화(Photoaging)'는 외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현상으로, 가장 대표적인 인자로는 자외선이 있다. 이 자외선은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화와 기질 단백질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등의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가져오고, 이러한 메커니즘의 반복은 외관상으로도 확연한 피부노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꽃매미 추출물은 종래에 사용 되어진 어떠한 용매로도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탄소수 3 내지 6의 다가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용매를 이용한 추출방법으로는 통상적인 식물의 추출방법 예를 들면, 열수 추출, 환류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초임계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분쇄 또는 파쇄에 의한 분말을 상기한 추출용매 중에 침적하여 50 ~ 100℃ 온도로 24 ~ 72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꽃매미 추출물은 추가적으로 종래의 계통적 분획방법에 의해 분획화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저극성 유기용매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n-부탄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분획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꽃매미 추출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여과 후 농축한 엑스 형태 또는 동결 건조하여 동결건조물 형태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노화 억제물질을 스크리닝하던 중, 수 종의 천연물, 특히 꽃매미에서 추출한 물질이 피부노화 관련 효소의 억제 활성 및 피부섬유아세포 등에서 노화억제 활성을 확인하여 이를 생물학적인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자외선 유도 모델에 의한 피부노화에 따른 개선 활성을 시험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된 꽃매미는 5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한 것을 진공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상기 천연물인 꽃매미는 본 발명자가 이의 독성을 사람유래의 피부섬유아세포 배양을 통해서 평가한 결과 1 mg/ml 이상의 농도에서 독성이 없었는 바, 향장소재로의 사용 시 부작용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노화는 피부상의 홍반을 동반한 손상 등을 개선함으로써 피부노화를 억제 또는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도 1에서는, UV 조사군에서는 피부전체의 홍반을 동반한 손상이 일어났으며,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고, 자극에 의한 피부두께의 증가현상 등이 관찰된 반면에, 꽃매미 추출물 처리구에서는 상기 현상이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노화는 피부내 콜라겐의 분해 및 감소를 억제함으로써 피부노화를 억제 또는 개선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3 및 도 3에서는, 자외선 비조사구에서 198 μg/mg protein, 조사구에서 126.9 μg/mg protein로 콜라겐 양이 약 46% 감소하였으나, 꽃매미 추출물의 처리구에서는 161.6 μg/mg protein으로 약 18%의 감소로, 경감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노화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상피조직의 두께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피부노화를 억제 또는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5 및 도 6에서는, 자외선 비조사 및 조사구를 비교한 결과, 자외선 조사구에서 상피조직의 두께가 현저하게 증가 하였다. 반면에, 꽃매미 추출물의 도포에 의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 증상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꽃매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렌저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스핑고 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품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제형이 로션,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꽃매미 추출물은 홍반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인 바, 약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자외선 노출에 의해서 발생하는 홍반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상기 홍반 외에도, 광감성 선천적 가변성피부 (poikilodermal), 일광편평태선, 일광 육아종, 파종상 표재성 일광 한공각화증, 수포성 피부염, 일광 두드러기, 또는 기미 등에도 개선 효과를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홍반 억제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홍반 억제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추출물은 피부노화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꽃매미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꽃매미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꽃매미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0.01-0.20g, 바람직하게는 약 0.04-0.10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피부노화 억제 소재의 제조
본 실시예 1에서 꽃매미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2015년 7월 경북 경산시의 포도농가에서 포획한 꽃매미를 건조시켜 사용하였다. 상기 건조된 꽃매미를 10 중량%, 50% 에탄올을 90 중량%로 하여, 시험용 bottle 또는 삼각플라스크에 넣은 후 진탕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56℃ 조건으로 24시간 추출하여, 꽃매미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꽃매미 추출물은 Whatman filter paper로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외한 액상형태의 시료를 얻었고, 상기 시료를 진공동결건조기(IlShin TFD series, Seoul)를 이용하여 수분을 모두 제거함으로써, 분말 형태의 시료를 제작하였고, 이의 무게를 측정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노화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꽃매미 추출물의 피부노화 개선 활성 평가
자외선은 피부노화를 일으키는 주요 요인으로서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세포 내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노화가 일어날 뿐만 아니라, MMP-1 등의 collagenase 효소의 활성 증가 및 SIRT1 등의 항노화 관련 분자들의 발현이 줄어들게 되어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고, 주름이 쉽게 형성된다. 이에 본 실시예 2에서는 UV lamp를 이용한 UV-B를 조사하여, 마우스 등 피부의 노화를 유도한 후, 꽃매미를 이용하여 이의 억제 활성을 평가하였다.
동물실험에 관련된 모든 사항은 Guiding Principles in the Care and Use of Animals(National Research Council)와 경북대학교 실험동물 윤리위원회의 기준을 엄격히 준수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동물은 1주일 순화과정을 거친 20~22 g 체중인 마우스를 선별하여 사용하였고, C57BL/6 (수컷, 샘타코, 오산)로, 각 그룹당 5마리로 하였다. 마우스에게 살균된 음용수와 사료를 자유급이하였고, 22±1 ℃ 및 55±5 %의 습도를 유지시키면서, 12시간 간격으로 빛을 조절하였다.
피부에 추출물 도포 및 자외선 조사를 하기 위하여, 마우스 피부는 전기면도기 및 크림형 제모제(니크린, 일동제약)를 이용하여 제모한 후, 제모된 마우스의 등 피부에 시료를 도포해주었다. 시료의 도포는 마우스 1마리 당, 시료 50 μl 을 실험용 피펫으로 정량하여 도포하였고, 피부에 자극이 없는 라텍스 재질의 장갑을 이용하여 피부 전체에 골고루 도포해주었다. 도포되는 시료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꽃매미 추출물 50 μl을 이용하였고, 대조군으로는 증류수 50 중량% 및 1,3-butylene glycol 50 중량% 포함하는 용매 50 μl를 이용하였다.
자외선 조사는 UV lamp (GelDoc image Lab, Bio-rad) 제품으로 조사하였으며, 상기 제품을 이용하는 조사량은 UV meter (UV-340C, CUSTOM)으로 1.25 mW/cm2의 광량을 1분간 조사하였을 때 75 mJ/cm2 이 된다. UV-B의 자외선 최소 홍반 지수을 나타내는 MED (Minimal erythema dose)는 75 mJ/cm2 이므로, 1분 ~ 4분 조사하여 1MED ~ 4MED의 세기로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꽃매미 및 대조군을 피부에 도포하고, 30분 후 상기 자외선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는 총 4주 동안, 1주일에 5일, 1일 1회 조사하였고, 1MED 조사 3일, 2MED 조사 3일, 3MED 조사 3일 실시하고 이후는 모두 4MED 조건으로 자외선 세기를 증가시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꽃매미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UV 조사 대조군에서는 피부전체의 홍반을 동반한 손상이 일어났으며,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고, 자극에 의한 피부두께의 증가현상 등이 관찰되었으나, 꽃매미 추출물 처리구에서는 상기 현상이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자외선 조사에 의한 마우스 조직에서의 피부노화 현상 측정 및 꽃매미에 의한 이의 개선 효과 평가
3.1. 등피부 두께의 비교
UV 조사 유무에 따른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본 실시예 3에서는, UV 조사를 한 마우스에서 현저한 등피부 두께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4주간 최종적으로 시험이 끝난 피부노화 마우스 모델를 안락사 시킨 후, 등피부 조직을 분리하였고, 등피부 조직 두께의 측정은 디지매틱 두께 게이지(547-315, Mitutoyo, Japan)를 이용하여 μm 단위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도 2에 그 결과를 나타낸 것과 같이, 자외선 비조사 마우스의 경우는 평균 337 μm의 두께를 나타내었고, 자외선 조사 마우스는 611 μm로 약 1.8배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반면에 꽃매미 추출물의 처리구에서는 460 μm로 자외선 자극에 의한 두께의 증가가 약 48%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3.2. 피부 내 콜라겐 양의 비교
피부노화에서 가장 주요하게 일어나는 현상으로는 피부 내의 콜라겐이 분해되어 감소되는 현상이므로, 콜라겐 양을 확인함으로써, 피부노화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실시예 2에서 실험이 종료된 피부노화 마우스 모델의 피부를 막자사발에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피부조직을 파쇄하였고, 상기 피부조직을 pepsin-acetic acid 용액에 4℃에서 1일간 추출한 후, 원심분리로 상등액을 취한 후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정량된 시료의 단백질을 0.1 mg 으로 동일하게 이용하여 Sircol collagen assay kit (Biocolor life science)로 콜라겐 양을 분석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자외선 비조사구에서 198 μg/mg protein, 조사구에서 126.9 μg/mg protein로 콜라겐 양이 약 46% 감소하였으나, 꽃매미 추출물의 처리구에서는 161.6 μg/mg protein으로 약 18%의 감소로, 경감되었다.
3.3. 피부 조직 내 IL-1β 발현의 비교
IL-1β는 노화된 세포에서 발현양이 증가하는 cytokine 중에 하나로, 본 실시예에서도 UV 조사에 따른 피부조직 내에 IL-1β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에서 실험이 종료된 피부노화 마우스 모델의 피부를 Lipa buffer로 용해시켰고, 용해된 용액에서 단백질 양을 1 mg/ml 농도로 조절한 후, R&D 사의 ELISA kit를 이용하여 IL-1β의 양을 측정하여, 도 4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정상 피부에서는 IL-1β의 양이 25.0 μg/ml 농도로 확인되었으나, UV조사구에서는 44.9 μg/ml 농도로 약 79.6%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꽃매미 추출물의 도포군에서는 24.5 μg/ml 양으로 측정되어 정상피부와 유사한 수준의 IL-1β 발현을 보였다.
실시예 4. 자외선 조사 피부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꽃매미 추출물에 의한 유전자 발현 분석
실시예 2에서 실험이 종료된 시점의 피부노화 마우스 모델의 등 피부 조직을 분리하여 TRIzol을 이용하여 RNA를 분리하여, 꽃매미 추출물에 의한 피부노화 개선 효과를 유전자 발현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RT-PCR로 cDNA를 합성 후, 표 1에 나타낸 SIRTs 및 MMPs 유전자의 primer를 이용하여 각각의 유전자 발현을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꽃매미 추출물의 도포에 따른 SIRTs와 MMPs 유전자 발현 조절 중 중 SIRT1의 조절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GAPDH 양 대비 band density를 정량분석한 결과, 자외선 조사에 따른 SIRT1 유전자가 정상 피부에 비해 발현량이 약 52% 감소하는 것과 비교하여, 꽃매미 추출물의 도포 그룹에서는 정상 수준에 비해 오히려 26%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rimer name Primer sequence (5'-3')
For RT-PCR
SIRT1 Forward GGTAGAGCCTGCATAGATCTTCA(서열번호 1)
Reverse TGGCAGTAATGGTCCTAACTGGG(서열번호 2)
SIRT2 Forward CCATGACCTCCCGCAGGACAGCG(서열번호 3)
Reverse GGGTCCCCAGGAAAGGGAGCCTA(서열번호 4)
SIRT4 Forward CACCCGGTCTGACGATTTGGCTT(서열번호 5)
Reverse CCGTGTTAGCTATTGCTCCTGCC(서열번호 6)
SIRT6 Forward GGGGACTGAGCCCAGGTTTGCAT(서열번호 7)
Reverse CTTCTGGGAGCCTGGGGCCCTTA(서열번호 8)
SIRT7 Forward TATCCTAGGAGGCTGGTTTGGCA(서열번호 9)
Reverse GGAGGCTTAGTTAGATTCTCCCT(서열번호 10)
Cola1 Forward ATGTCTGGGGGCAAATACGT(서열번호 11)
Reverse CGCGTCATACACTTGCTTCT(서열번호 12)
MMP-1α Forward GGCTCATGAACTGGGTCACT(서열번호 13)
Reverse ATGTGGTGTTGTTGCACCTG(서열번호 14)
MMP-3 Forward CAGGTGTGGTGTTCCTGATG(서열번호 15)
Reverse TTTCAATGGCAGAATCCACA(서열번호 16)
MMP-8 Forward AGGGCTGAAGTGAAAACAGC(서열번호 17)
Reverse TACCTTGGCCTGGTTGAAAG(서열번호 18)
MMP-9 Forward GGGTTTCTGTCCAGACCAAG(서열번호 19)
Reverse GGATGCCGTCTATGTCGTCT(서열번호 20)
MMP-13 Forward AGGCCTTCAGAAAAGCCTTC(서열번호 21)
Reverse CCCACCATAGTTTGGTCCAG(서열번호 22)
MMP-14 Forward CCGCCATGCAAAAGTTCTAT(서열번호 23)
Reverse GCCTTGATCTCAGTCCCAAA(서열번호 24)
MMP-17 Forward CAGGAGGAACTGTCCAAAGC(서열번호 25)
Reverse GGTTCCTCTTGCTCCATTTG(서열번호 26)
GAPDH Forward GCGAGACCCCACTAACATCA(서열번호 27)
Reverse GAGTTGGGATAGGGCCTCTCTT(서열번호 28)
실시예 5.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노화 마우스 모델의 면역조직학적 방법의 분석
일반적으로 피부조직의 최외각층인 상피조직은 외부로부터 스트레스나 데미지를 입게 되면 이의 피부층이 두꺼워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에 본 실시예 5에서 상기 현상이 억제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면역조직학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2에서 실험이 종료된 피부노화 마우스 모델의 등피부 조직을 분리한 후, Hematoxylin은 세포핵을 파란색으로 염색하고, eosin은 세포질을 붉은색으로 염색하여 관찰하는 H&E (Hematoxylin and Eosin) 염색방법을 통해 염색하였다. 또한 콜라겐의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Masson's trichrome 염색을 하였으며, MMP-1과 IL-1β의 antibody에 의한 조직염색으로 조직 내에서의 유전자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A: H&E, B: Masson's trichrome, C: MMP-1, D: IL-1β).
도 6(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자외선 비조사 및 조사구를 비교한 결과, 자외선 조사구에서 상피조직의 두께가 현저하게 증가 하였으나, 꽃매미 추출물의 도포에 의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 증상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6(B)에서는 Masson's trichrome 염색에 의한 파란색의 염색된 콜라겐 분포를 확인한 결과, 붉은색으로 염색된 상피층 바로 안쪽의 콜라겐이 자외선 조사구에서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꽃매미 추출물의 도포에 의한 효과로 그 증상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6(C)와 도6(D)는 각각의 antibody에 반응하여 염색된 부분은 옅은 갈색을 띄는 것을 확인하였다. UV 조사에 의한 피부조직의 MMP-1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 도 6(C)와 같이 epidermis 부위 전반에 걸쳐 유도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꽃매미 추출물을 처리한 그룹의 조직에서는 UV 비조사 그룹과 유사하게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D)에서 UV조사 그룹의 조직 중 epidermis 최외각 부위에 옅은 염색이 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꽃매미 추출물을 처리한 그룹에서는 epidermis 부위에서도 IL-1β positive area가 나타나지 않았다.
< 제형예 1> 토너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토너제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낸 조성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 1.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폴리옥시에칠렌(60) 경화 피마자유 0.5
폴리솔페비트80 0.5
에탄올 10.0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 제형예 2> 로션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로션제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낸 조성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 1.0
글리세린 7.0
부틸렌글라이콜 3.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폴리솔페비트60 0.5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
스쿠알란 3.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쉬어버터 2.0
스테아릴 알코올 0.5
스테아린산 0.5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2
아르기닌 0.2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 제형예 3> 크림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제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낸 조성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 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2.0
폴리솔베이트60 0.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피토스쿠알란 5.0
호호바 오일 3.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0
알로에 버터 3.0
밀납 1.0
스테아릴 알코올 0.5
베헤릴 알코올 0.5
스테아린산 0.5
글리세린 7.0
부틸렌 글리콜 5.0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2
아르기닌 0.3
디메치콘 0.5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꽃매미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 모델에서 피부노화 억제 및 개선 활성이 뛰어나 화장품 및 약학적 소재 등의 용도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Lycorma delicatula for Anti Skin-Aging <130> MP16-419 <160> 2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T1 Forward Primer <400> 1 ggtagagcct gcatagatct tca 23 <210> 2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T1 Reverse Primer <400> 2 tggcagtaat ggtcctaact ggg 23 <210> 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T2 Forward Primer <400> 3 ccatgacctc ccgcaggaca gcg 23 <210> 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T2 Reverse Primer <400> 4 gggtccccag gaaagggagc cta 23 <210> 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T4 Forward Primer <400> 5 cacccggtct gacgatttgg ctt 23 <210> 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T4 Reverse Primer <400> 6 ccgtgttagc tattgctcct gcc 23 <210> 7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T6 Forward Primer <400> 7 ggggactgag cccaggtttg cat 23 <210> 8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T6 Reverse Primer <400> 8 cttctgggag cctggggccc tta 23 <210> 9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T7 Forward Primer <400> 9 tatcctagga ggctggtttg gca 23 <210> 10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T7 Reverse Primer <400> 10 ggaggcttag ttagattctc cct 23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ola1 Forward Primer <400> 11 atgtctgggg gcaaatacgt 20 <210> 1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ola1 Reverse Primer <400> 12 cgcgtcatac acttgcttct 20 <210> 1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P-1a Forward Primer <400> 13 ggctcatgaa ctgggtcact 20 <210> 1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P-1a Reverse Primer <400> 14 atgtggtgtt gttgcacctg 20 <210> 1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P-3 Forward Primer <400> 15 caggtgtggt gttcctgatg 20 <210> 1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P-3 Reverse Primer <400> 16 tttcaatggc agaatccaca 20 <210> 1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P-8 Forward Primer <400> 17 agggctgaag tgaaaacagc 20 <210> 1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P-8 Reverse Primer <400> 18 taccttggcc tggttgaaag 20 <210> 1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P-9 Forward Primer <400> 19 gggtttctgt ccagaccaag 20 <210> 2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P-9 Reverse Primer <400> 20 ggatgccgtc tatgtcgtct 20 <210> 2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P-13 Forward Primer <400> 21 aggccttcag aaaagccttc 20 <210> 2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P-13 Reverse Primer <400> 22 cccaccatag tttggtccag 20 <210> 2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P-14 Forward Primer <400> 23 ccgccatgca aaagttctat 20 <210> 2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P-14 Reverse Primer <400> 24 gccttgatct cagtcccaaa 20 <210> 2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P-17 Forward Primer <400> 25 caggaggaac tgtccaaagc 20 <210> 2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P-17 Reverse Primer <400> 26 ggttcctctt gctccatttg 20 <210> 2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orward Primer <400> 27 gcgagacccc actaacatca 20 <210> 28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everse Primer <400> 28 gagttgggat agggcctctc tt 22

Claims (15)

  1. 꽃매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매미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탄력 증진은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Photoaging)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내 콜라겐의 분해 및 감소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매미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탄소수 3 내지 6의 다가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꽃매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탄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꽃매미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탄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탄력 증진은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Photoaging)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탄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내 콜라겐의 분해 및 감소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탄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꽃매미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탄소수 3 내지 6의 다가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탄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60115297A 2016-09-07 2016-09-07 꽃매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1873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297A KR101873104B1 (ko) 2016-09-07 2016-09-07 꽃매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297A KR101873104B1 (ko) 2016-09-07 2016-09-07 꽃매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969A KR20180027969A (ko) 2018-03-15
KR101873104B1 true KR101873104B1 (ko) 2018-06-29

Family

ID=6166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297A KR101873104B1 (ko) 2016-09-07 2016-09-07 꽃매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1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570B1 (ko) 2008-02-12 2010-12-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꾀꼬리큰버섯(Hygrophoropsis aurantiaca) 균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방지용 조성물
CN103816228A (zh) 2014-03-05 2014-05-28 陶春梅 一种治疗结膜干燥症的方剂及制备方法
KR101512631B1 (ko) * 2013-06-03 2015-04-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꽃매미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 알레르기성 염증에 활성을 가진 향장 및 약학적 조성물
CN104922411A (zh) 2015-07-08 2015-09-23 安徽老同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带状疮疹的膏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570B1 (ko) 2008-02-12 2010-12-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꾀꼬리큰버섯(Hygrophoropsis aurantiaca) 균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방지용 조성물
KR101512631B1 (ko) * 2013-06-03 2015-04-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꽃매미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 알레르기성 염증에 활성을 가진 향장 및 약학적 조성물
CN103816228A (zh) 2014-03-05 2014-05-28 陶春梅 一种治疗结膜干燥症的方剂及制备方法
CN104922411A (zh) 2015-07-08 2015-09-23 安徽老同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带状疮疹的膏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969A (ko)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944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13892B1 (ko) 단삼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에 유용한 유효 성분인 탄시논 i 및 탄시논 iia을 다향 함유한 정제물을 생산하는 제조방법
KR101800161B1 (ko)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263547B1 (ko) 녹차씨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4773B1 (ko) 낙엽송 부산물로부터 다량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정제 방법 및 이 유효성분을 함유한 조성물
KR101996732B1 (ko)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오메기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8108B1 (ko)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43219B1 (ko) 울릉도 특산 나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60121074A (ko) 만형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피부노화 방지용 조성물
KR101191724B1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685121B1 (ko) 발효 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101873104B1 (ko) 꽃매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2144677B1 (ko) 그린볼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염증용,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73244B1 (ko) 발아 오미자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염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646347B1 (ko) 솔방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498201B1 (ko) 몽우리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687254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매듭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408170B1 (ko) 아이소프로컬큐메놀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627924B1 (ko) 시린직산, 바닐릭산 및 에피카테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08169B1 (ko) 오카닌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20130073040A (ko) 지칭개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헤미스텝신(Hemistepsin) A 또는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498200B1 (ko) 띠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20150128374A (ko)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노화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