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8374A -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노화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노화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28374A KR20150128374A KR1020140055676A KR20140055676A KR20150128374A KR 20150128374 A KR20150128374 A KR 20150128374A KR 1020140055676 A KR1020140055676 A KR 1020140055676A KR 20140055676 A KR20140055676 A KR 20140055676A KR 20150128374 A KR20150128374 A KR 201501283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n
- extract
- acid
- composition
- activiti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노화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양이온 소거능 저해활성, 과산화수소 저해활성 측정,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 저해활성 등의 항산화효과;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등의 미백활성;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콜라게나제 저해활성 등의 주름개선효과 확인 실험 등을 통하여, 항산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확인하여 미백 및 피부노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노화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Voegeli, R. 1996. Elastase and typtase determination on human skin surface. Cosmetic &Toiletries. 111, 51-58.
[문헌 2] Aroca, P., et al. 1993. Melanin biosynthesis patterns of following hormonal stimulation. J. Biol Chem 268, 25650-25655.
[문헌 3] Chin, J. E., et al. 2005.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extracts on tyrosinse gene express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84-1288.
[문헌 4] Oikarinen A, Karvonen J, Uitto J, Hannuksela M., Connective tissue alterations in skin exposed to natural and therapeutic UV-radiation. Photodermatol . 2(1), pp.15-26, Review, 1985
현대인들은 자외선, 스트레스 등의 여러 가지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 각종 피부 트러블 유발로 기미, 주근깨, 피부 색소 침착 등의 피부 노화 현상을 촉진한다(1.Voegeli, R. 1996. Elastase and typtase determination on human skin surface. Cosmetic &Toiletries. 111, 51-58.). 피부의 색소 침착은 멜라닌 색소 생합성에서 tyrosinase 효소를 비롯하여 DHICA oxidase(TRP-1)등의 L-tyrosine을 DOPA(3,4-dihydroxyphenyla-lanine)으로 DOPA에서 DOPA quinone으로 초기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Aroca, P., et al. 1993. Melanin biosynthesis patterns of following hormonal stimulation. J. Biol Chem 268, 25650-25655.). 이를 바탕으로 티로시나제(tyrosinase)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합성의 억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천연물 탐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어성초 추출물을 이용하여 티로시나제(tyrosinase)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3. Chin, J. E., et al. 2005.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extracts on tyrosinse gene express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84-1288.) 등 천연물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그 외 현재 알려져 있는 항산화 및 미백원료는 아르부틴(Arbutin), 코지산(Kojic acid),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등의 물질이 대표적이고 상백피, 닥나무, 감초 등의 식물 추출물이 널리 알려져 있다.
환경의 파괴로 인한 자외선 증가 및 각종 산화성 물질의 증가는 피부 손상과 단백질의 합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세포의 손상이나 기능 저하는 피부 탄력의 감소, 피부 주름살의 증가, 기미와 주근깨 생성 등 피부 미용에 치명적인 현상들을 유발한다. 피부 탄력성은 진피조직의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등에 의해 유지되며, 콜라겐(collagen)을 합성하는 섬유아세포(fibroblast)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Oikarinen A, Karvonen J, Uitto J, Hannuksela M., Connective tissue alterations in skin exposed to natural and therapeutic UV-radiation. Photodermatol. 2(1), pp.15-26, Review, 1985).
포도는 갈대나무목 (Rhamnales) 포도과 (Vitaceae)에 속하는 덩굴성과수로, 포도과에는 11속 700여종이 있으며 주로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자생하며 일부는 온대지방까지 분포한다. 포도는 세계 과일생산량의 약 30%를 차지하며 국내에서도 연간 생산량이 약 40만톤에 이르고 있다.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포도는 미국종 (Vitis labrusca L.), 유럽종 (Vitis vinifera L.) 및 이들 상호간의 교잡종 (Vitis labruscana L.)등 3종으로 크게 나눌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06년 이후 수많은 포도 품종을 외국으로부터 도입하여 시험재배하기 시작하였지만 구미지역에서 도입한 품종들은 모두 도태되었고, 1909년에 도입한 캠벨얼리 품종이 우리나라 환경에 가장 잘 적응하여 지금까지도 주 재배품종으로 재배되고 있다.
포도는 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하여 여러 가지 생체조절 기능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종자 (60-70%)와 과피 (30%)에 함유되어 있어 생과보다 포도씨와 과피 추출물을 이용한 포도주스 및 포도주와 같은 가공식품의 선호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폴리페놀 성분 중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flavonoid compound)은 선택식물과 모든 관속식물에 널리 분포하는 2차 대사산물로 잎, 줄기, 뿌리, 과실, 종자, 화분 등 식물체 전 부위에 함유되어있다. 포도의 3가지 주요 활성 성분으로는 anthocyanins(0.4-0.6%), procyanidines(30-60%), trans-resveratrol (5-15%)이 있으며, 최근 항암, 항산화와 관련되어 trans-resveratrol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세계적으로 포도는 포도주 생산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포도의 약85-90%정도는 생식용으로 생산되고 나머지 10-15% 정도가 주스류, 주류, 잼류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유통내고 있는 대표적인 포도 가공제품은 거의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된 포도원액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실제 소득증대 효과는 미비하다고 할 수 있다. 포도의 전정가지는 거의 잔가지이지 때문에 과수원 면적에 비해 발생하는 가지 부피가 많다. 포도의 잔가지는 대부분 파쇄 후 퇴비로 이용되거나 모아서 태워 버리고 있다.
그러나 퇴비화시 비료성분에 대한 정보가 없고 물량 면에서 유기질 퇴비를 완전 대체할 수 없기 때문에 퇴비화 보다는 방치내지 소각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미활용 농산자원의 활용 측면에서 일부 검토되었으나 아직 활용되지 못하고 대부분이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국내 생산 포도의 부가가치 향상과 경쟁력 제고를 도모하고 겨울 전정시 버려지는 전정가지를 이용한 화장품을 개발 하는데 그 목적으로, 상기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대상으로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양이온 소거능 저해활성, 과산화수소 (Hydrogen peroxide; H2O2) 저해활성 측정,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 (Superoxide anion radical; O2 -) 저해활성 등의 항산화효과; 티로시나제 (Tyrosinase) 저해활성 등의 미백활성; 엘라스타제 (Elastase) 저해활성, 콜라게나제(Collagenase) 저해활성 등의 주름개선효과 확인 실험 등을 통하여, 항산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확인하여, 항산화, 미백 및 피부주름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로 유용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노화의 치료 및 예방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노화의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포도 전정가지는 포도 가공후 폐기되는 포도 잔가지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함수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에탄올 가용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피부노화"는 주름살, 기미, 주근깨,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피부암, 바람직하게는, 주름살 또는 기미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포도로는 미국종 (Vitis labrusca L.), 유럽종 (Vitis vinifera L.) 및 이들 상호간의 교잡종 (Vitis labruscana L.), 강변포도(Vitis riparia L.), 사막포도, 돌밭포도(Vitis rupestris), 겨울포도, 동포도(Vitis berlandieri ), 산포도, 왕머루(Vitis amurensis), 까마귀머루(Vitis thunbergii), 새머루(Vitis flexuosa), 또는 머루(Vitis coignetia)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분리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건조된 포도 가공후 폐기되는 포도 잔가지인 포도 전정가지를 분쇄기로 분쇄한 후, 상기 분쇄물의 약 1배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1배 내지 15배의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함수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에탄올을 가하여 약 10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에서 약 30분 내지 50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열수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침지 추출 또는 압력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환류 냉각 추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추출물을 1회 내지 5회 원심분리, 감압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 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서 얻어지는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노화의 치료 및 예방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추출물에 대하여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양이온 소거능 저해활성, 과산화수소 (Hydrogen peroxide; H2O2) 저해활성 측정,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 (Superoxide anion radical; O2 -) 저해활성 등의 항산화효과; 티로시나제 (Tyrosinase) 저해활성 등의 미백활성; 엘라스타제 (Elastase) 저해활성, 콜라게나제(Collagenase) 저해활성 등의 주름개선효과 확인 실험 등을 통하여, 항산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확인하여 미백 및 피부노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포도는 오랫동안 생약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들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으며, 피부 첩포 시험에서 무자극 시료임이 입증되었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미백 및 피부노화 치료효과를 갖는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 중량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양이온 소거능 저해활성, 과산화수소 (Hydrogen peroxide; H2O2) 저해활성 측정,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 (Superoxide anion radical; O2 -) 저해활성 등의 항산화효과; 티로시나제 (Tyrosinase) 저해활성 등의 미백활성; 엘라스타제 (Elastase) 저해활성, 콜라게나제(Collagenase) 저해활성 등의 주름개선효과 확인 실험 등을 통하여, 항산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확인하여 미백 및 피부노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도 1은 HPLC에 의한 표준용액 (A) 및 시료 추출물 (B) 중 트랜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의 대표적인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전자공여능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여기에서, GPSE는 실시예 시료이며, BHA 는 Butylated hydroxyanisole (양성대조군)을 의미함),
도 3는 ABTS 양이온 라디칼 탈색화법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여기에서, GPSE는 실시예 시료이며, BHA 는 Butylated hydroxyanisole (양성대조군)을 의미함),
도 4는 과산화수소 (H2O2) 소거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여기에서, GPSE는 실시예 시료이며, BHA 는 Butylated hydroxyanisole (양성대조군)을 의미함),
도 5는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 (O2 -) 소거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여기에서, GPSE는 실시예 시료이며, BHA 는 Butylated hydroxyanisole (양성대조군)을 의미함),
도 6는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여기에서, GPSE는 실시예 시료이며, 아부틴(Arbutin)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함),
도 7는 엘라스타제 억제 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여기에서, GPSE는 실시예 시료이며, UA는 우르솔릭산(Ursolic acid, 양성대조군)을 의미함),
도 8는 콜라게나제 억제 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여기에서, GPSE는 실시예 시료이며, EGCG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Epigallocatechin gallate, 양성대조군)을 의미함).
도 2는 전자공여능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여기에서, GPSE는 실시예 시료이며, BHA 는 Butylated hydroxyanisole (양성대조군)을 의미함),
도 3는 ABTS 양이온 라디칼 탈색화법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여기에서, GPSE는 실시예 시료이며, BHA 는 Butylated hydroxyanisole (양성대조군)을 의미함),
도 4는 과산화수소 (H2O2) 소거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여기에서, GPSE는 실시예 시료이며, BHA 는 Butylated hydroxyanisole (양성대조군)을 의미함),
도 5는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 (O2 -) 소거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여기에서, GPSE는 실시예 시료이며, BHA 는 Butylated hydroxyanisole (양성대조군)을 의미함),
도 6는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여기에서, GPSE는 실시예 시료이며, 아부틴(Arbutin)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함),
도 7는 엘라스타제 억제 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여기에서, GPSE는 실시예 시료이며, UA는 우르솔릭산(Ursolic acid, 양성대조군)을 의미함),
도 8는 콜라게나제 억제 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여기에서, GPSE는 실시예 시료이며, EGCG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Epigallocatechin gallate, 양성대조군)을 의미함).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료 제조
본 실험에 사용된 포도 전정가지는 경상북도 경산시 유곡동 일대에서 재배된 켐벨얼리의 전정가지를 사용하였다. 시료 1 Kg에 80% 에탄올을 10배수로 첨가하여 60℃, 90분동안 추출한 후 추출액은 No. 2 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여액을 진공회전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하고, 동결건조 하여 83.06g에탄올 추출물(이하, GPSE라 함)을 수득하고, -20℃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성분분석(trans-resveratrol 분석)
실시예 추출물 중 트랜스-레스베라트롤 (trans-resveratrol)의 성분분석을 위하여 HPLC 분석은 Agilent 1200 series를 사용하였다. 컬럼은 Phenomenex Gemini NX18 (3.0×150mm, 5um pore size)을 사용하였으며 0.6ml/min의 유속으로 325 nm에서 40분간 측정하였다. 용매조건은 표 1과 같다.
Gradient condition | ||
Time(min) | 0.1% Formic acid (%) | Acetonitrile (%) |
0 | 80 | 20 |
5 | 80 | 20 |
12 | 70 | 30 |
20 | 40 | 60 |
25 | 40 | 60 |
30 | 20 | 80 |
35 | 20 | 80 |
40 | 80 | 20 |
본 실험 결과, 블랭크(Blank) 시료에 대하여 standard solution 중 성분별 검량선 확인결과, 직선성(linearity, r2≥0.99)는 유의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에 의한 성분 확인한 결과, 트랜스-레스베라트롤은 피크 머무름 시간(peak retention time; RT)가 약 16.1분으로 나타났으며(도 1) 전처리 시료에 대한 표준성분의 함량은 614.05ug/g으로 정량되었다.
실험예
1. 항산화 효과 확인
1-1. 전자
공여능
(
electron
donating
ability
) 측정
상기 실시예 시료의 전자공여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26, 1199-1120.)
각 시료용액 100 ul에 0.2 mM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50 ul 가하고 차광 상태에서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의 측정은 일종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써 환원력이 클수록 강력한 항산화제가 된다는 것에 착안하여 DPPH의 환원 정도를 기준으로 측정물질의 환원력과 항산화력을 가늠하게 된다. 지질과산화의 연쇄반응에 관여하여 free radical의 전자를 공여하여 산화를 억제시키는 DPPH 전자공여능 실험해서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1~100 ug/ml 농도로 조절, 첨가하여 측정한 결과, 도 2에서와 같이 나타내었다.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 50 ug/ml에서는 91.75%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대조군으로 사용한 Butylated hydroxyanisole (Sigma B1253, BHA) 의 91.85%와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포도 전정가지가 높은 전자공여능을 가지고 있으며 전정가지의 화합물이 자유라디칼을 환원시키거나 상쇄시키는 능력을 수행하여 기능성화장품에 적용하였을 때 자유 라디칼에 의한 노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1-2.
ABTS
라디칼
양이온
소거능
저해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시료의 ABTS 라디칼 양이온 탈색화(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법에 의한 항산화 효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Roterta, R., P. Nicoletta, P. Anna, P. Ananth, Y. Min and R.E. Catherine.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Radic . Biol . Med . 26, 1231-1237.)
이 실험에서, ABTS+ radical cation은 7 mM ABTS(Sigma A1888) 와 2.4 mM potassium persulfate (K2S2O8, Sigma P5592))을 1:1로 혼합하여 암실에서 실온으로 24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사용 전에 ABTS+ 용액을 에탄올에 희석하여 734nm에서 흡광도 값이 0.706 ± 0.001이 되게 하여 사용하였다.
ABTS radical cation 소거능은 2,2-azino-bis(3-ethyl-ben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ABTS)와 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으로 ABTS+radical이 생성되면 특유의 색인 청록색을 띄게 되며 hydrogen danating antioxidant와 chain breaking antioxidant 모두를 측정할 수 있다.
ABTS 라디칼 양이온 (radical cation) 소거능은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ABTS)와 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으로 ABTS+ radical이 생성되면 특유의 색인 청록색을 띄게 되는데, 시료를 첨가함에 따라 연한녹색으로 탈색화(decolorization)되는 것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hydrogen donating antioxidant와 chain breaking antioxidant 모두를 측정 할 수 있는 방식을 이용하여 포도 전정가지의 ABTS radical cation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도 3와 같이 1ug/ml의 농도에서 50.35%의 화성을 나타냈으며, 25 ug/ml 에서는 96.15%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대조군인 BHA와 비교해서도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어 앞의 DPPH 효과와 같이 생각한다면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산업화 적용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3.
Hydrogen
peroxides
소거능측정
상기 실시예 시료의 Hydrogen peroxides 소거능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Hydrogen peroxides assay 방법을 변형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Jayaprakasha, G. K., R. L. Jaganmohan, and K. K. Sakariah. 2004. Antioxidant activities of flavidin in different in vitro moder systems. Bioorganic & Medicinal Chem.12, 5141-5146.)
40 mM Hydrogen peroxide (Sigma 216763) 의 용액은 PBS (pH 7.4) 으로 희석한다. 0.5 ml의 다양한 농도의 시료를 0.5 ml의 PBS에 희석한 Hydrogen peroxide 용액을 첨가한다. 37℃에서 10분간 반응한 후 2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Hydrogen peroxide 저해활성 측정은 항산화제가 hydrogen peroxide와 같은 prooxidants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능력을 측정하는 가장 유용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Hydrogen peroxide는 약한 산화제로 효소의 필수기인 thiol group을 산화시켜 일부 효소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hydrogen peroxide는 반응성이 있는 non-radical 물질로 생체막을 직접적으로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hydrogen peroxide는 생체막을 통과하면 다양한 반응을 통해서 반응성이 큰 singlet oxygen 및 hydroxyl radical로 전환되어 지질과산화 또는 세포내에서 독성을 유발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포도전정가지 추출물의 hydrogen peroxide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50u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인 ascorbic acid보다 2배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항산화제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1-4.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활성
상기 실시예 시료의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Siddguraju와 Becker의 방법을 변형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Fridovich, I Quantitative aspects of the production of superoxide anion radical by milk xanthin oxidase. J. Biol. Chem. 1970;245: 4053-4057.)
0.1 M phosphate buffer (pH 7.4), 0.24 mM nitroblue tetrazolium (NBT), 0.4 M xanthine이 함유된 반응혼합물과 각각의 농도의 시료에 0.049 U/ml Xanthine oxidase(Sigma X4875)를 첨가하여 37℃ 에서 20분간 반응시킨다. 1N HCl을 이용하여 반응 정지 한 후 4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활성산소는 생물학적 반응에서 세포내 효소 또는 대부분의 전자 운반과정에서 만들어지며 안정되지 못하여 강한 활성을 가진다. 활성산소는 분자나 이온과 다르게 1개 이상의 짝 없는 전자를 갖는 화학물질로서 여러 가지 물질대사를 영위하는데 이용되지만 자외선, 생화학적 반응 등으로 1O2, 2-, OH, hydrogenperoxide 등 free radical의 생산이 과잉 되면 생체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내어 여러 가지 질환의 발생기전에 관여한다고 한다. Superoxide anion radical 실험에서는 BHA를 대조물질로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앞의 3가지 항산화 활성 실험결과와 같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 사용한 BHA의 경우 50ug/ml 에서 8.68%의 효과를 나타낸 반면 포도전정가지 추출물은 10ug/ml의 농도에서 20.23%, 50ug/ml 농도에서 59.42%의 Superoxide anion radical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미백 활성 실험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들의 티로시나제 (Tyrosinase) 저해활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Yagi 등[10]의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Yagi A, Kanbara T and Morinobu N.(1986)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a Media. 3981, 517-519]
반응구는 1/15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80 ul에 0.025 M L-DOPA(Sigma D9628)를 녹인 기질액 40 ul와 시료용액 40 ul의 혼합액에 mushroom tyrosinase(Sigma T3824)(125 U/ml)를 첨가하여 37℃에서 3분간 반응시켜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생성에 있어서 핵심효소는 tyrosinase 이다. 이 효소는tyrosine으로부터 시작되는 멜라닌 생합성 과정중, tyrosine에서 DOPA, DOPA 에서 DOPA quinine, 그리고 DHI로부터 eumelanin으로의 전환을 촉매하는데 관여한다. 포도전정가지가 이러한 미백에 관여하는 tyrosinase를 저해함으로서 미백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25, 50, 100 ug/ml 의 농도에서는 15.3%, 28.9%, 55.6% 로 대조군으로 사용된 arbutin (Sigma A4256)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도 6).
실험예
3. 주름 개선 효능 실험
3-1.
엘라스타제
(
Elastase
) 저해활성 측정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들의 엘라스타제 (Elastase) 저해활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카넬 (Cannell) 등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Cannell RJP, Kellan SJ, Owsianks AM and Walker JM. (1988) Results of a large scale scre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ia. 54(1), 10-14]
0.4 M Tris-HCl buffer (pH 8.6)을 50 ul, 농도별 추출물을 50 ul, 50 mM Tris-HCl buffer (pH 8.6)에 0.6 U/ml이 되도록 희석한 enzyme (Sigma E1250, ex-porcine pancreas)을 50 ul을 넣고 37℃ 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substrate (Sigma S4760, methoxysuccinyl-L-Ala-L-Val-5-nitroanilide)를 100 ul를 넣은 후 37℃에서 30분간 반응 시킨 후 다시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자외선 및 활성산소 등에 의해 유발되어 피부 진피층에 존재하는 matrix-metalloproteinases (MMPs)는 피부노화, 특히 주름생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MMPs를 이루는 주요성분으로는 collagenase, gelatinase 및 elastase 등이 있으며, 자외선과 같은 내·외적 스트레스로 인하여 탄력성, 윤택성이 감소하고 과다 발현된 엘라스타제에 의하여 elastin의 그물망 구조가 깨지게 되면 피부가 처지고 주름이 생기므로 피부의 탄력감소 및 주름생성에 있어서 엘라스타제 의 활성 감소는 매우 중요하다.
엘라스틴(Elastin)을 가수분해하는 엘라스타제는 피부 주름과 연관성이 있는 효소로서 포도전정가지 추출물이 엘라스타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포도전정가지 추출물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효소활성을 억제하였으나, 대조군으로 사용한 우루솔릭산 (ursolic acid, Sigma U6753)와 비교하여 2.3~3.7배의 낮은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다 (도 7).
3-2.
콜라게나제
(
Collagenase
) 저해활성 측정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들의 콜라게나제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W등(1963)의 방법 등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즉 반응구는 0.1M Tris-HCl buffer (pH 7.5)에 4mM CaCl2를 첨가하여, 4-phenylazobenzyloxycarbonyl -Pro-Leu-Gly-Pro-D-Arg(Sigma P8383, 0.3mg/mL)를 녹인 기질액 0.25mL 및 시료용액 0.1mL의 혼합액에 collagenase(Sigma C0130, 0.2mg/mL) 0.15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6% citric acid 0.5mL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 ethyl acetate 1.5mL을 첨가하여 3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콜라게나제는 결합조직의 탄력을 나타내며 진피층의 90%을 구성하고 피부의 주름과 보습 기능을 갖고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생합성이 감소하는 대표적인 물질이다. Collagene을 분해하는 효소는 그 종류가 다양하며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것이 콜라게나제이다. 포도전정가지 추출물의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25 ug/ml의 농도에서 66.1%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도 8). 대조군으로 사용된 epigallocatechingallate (Sigma E4143, EGCG)와 유사한 억제율을 나타낸 바 포도전정가지 추출물의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 작용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포도전정가지 추출물의 주름개선 제품으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시사하여 준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크림, 맛사지크림, 로션, 스킨로션, 에센스, 팩, 클렌징폼의 제형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크림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제형예
2.
맛사지크림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용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제형예
3. 로션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제형예
4. 스킨로션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제형예
5. 에센스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제형예
6. 팩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제형예
7.
클렌징폼
조성물
수상과 오일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 검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Claims (6)
-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노화의 치료 및 예방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함수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노화는 주름살, 기미, 주근깨,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피부암인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노화의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5676A KR20150128374A (ko) | 2014-05-09 | 2014-05-09 |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노화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5676A KR20150128374A (ko) | 2014-05-09 | 2014-05-09 |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노화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8374A true KR20150128374A (ko) | 2015-11-18 |
Family
ID=5483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5676A KR20150128374A (ko) | 2014-05-09 | 2014-05-09 |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노화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2837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7002B1 (ko) * | 2019-05-27 | 2020-09-17 |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 암펠로시수스 폴리티르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2014
- 2014-05-09 KR KR1020140055676A patent/KR2015012837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7002B1 (ko) * | 2019-05-27 | 2020-09-17 |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 암펠로시수스 폴리티르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3892B1 (ko) | 단삼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에 유용한 유효 성분인 탄시논 i 및 탄시논 iia을 다향 함유한 정제물을 생산하는 제조방법 | |
KR100755427B1 (ko) |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 |
KR101800161B1 (ko) |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 |
KR102121944B1 (ko) |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954773B1 (ko) | 낙엽송 부산물로부터 다량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정제 방법 및 이 유효성분을 함유한 조성물 | |
KR101406110B1 (ko) | 흑생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미백 개선용 조성물 | |
KR101243219B1 (ko) | 울릉도 특산 나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 |
KR100780893B1 (ko) | 뜰보리수 과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 |
KR102076656B1 (ko) | 락토바실러스 속 복합균주를 활용한 청보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293007B1 (ko) | 대추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 |
KR101191724B1 (ko) |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 |
KR101458013B1 (ko) | 미성숙 잣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685121B1 (ko) | 발효 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 |
KR101912996B1 (ko) |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829831B1 (ko) |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KR101646347B1 (ko) | 솔방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
KR101267765B1 (ko) | 항산화 효과를 갖는 하고초 pse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541842B1 (ko) | 발효 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 |
KR20150128374A (ko) |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노화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
KR20180063910A (ko) | 피부 미백 기능성을 가진 얌빈 추출물 | |
KR101873244B1 (ko) | 발아 오미자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염 조성물 | |
KR101230588B1 (ko) |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
KR101965032B1 (ko) | 물레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210063048A (ko) | 아롱 부챗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학적 조성물 | |
KR101687254B1 (ko) |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매듭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