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904A -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904A
KR20200058904A KR1020180143593A KR20180143593A KR20200058904A KR 20200058904 A KR20200058904 A KR 20200058904A KR 1020180143593 A KR1020180143593 A KR 1020180143593A KR 20180143593 A KR20180143593 A KR 20180143593A KR 20200058904 A KR20200058904 A KR 20200058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ermentation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시권
이보희
이판호
윤영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랜드올네이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랜드올네이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랜드올네이처
Priority to KR1020180143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8904A/ko
Publication of KR20200058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90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상기 오갈피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상기 오갈피나무 추출물 및 오갈피나무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오갈피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추출물 또는 발효물은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여 항노화 목적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extract or fermented product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상기 오갈피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상기 오갈피나무 추출물 및 오갈피나무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노화는 피부의 색깔 또는 탄력의 변화 등으로 나타나게 되며, 이는 내재적 요인에 의해 자연히 발생하는 내인성 노화와, 외부의 요인에 의해 일어나는 외인성 노화로 구분된다. 내인성 노화는 주로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이는 피부 세포 및 조직의 구조적 변화를 결정한다. 한편, 외인성 노화의 주된 요인은 영양 부족, 피로, 스트레스 및 자외선 등 환경적 또는 생리적 요인이 대표적이며, 이는 내인성 노화와 달리 예방 및 관리가 가능한 요인에 해당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피부 미용과 관련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미백과 탄력 증진, 자외선 차단 등 피부 관리 목적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 또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피부의 색깔 또는 밝기는 피부 내 멜라닌(melanin)의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되는데, 멜라닌은 티로시나제(tyrosinase) 가 촉매로 작용하여 티로신(tyrosine)이 도파(DOPA) 및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순차적으로 전환되고, 이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콜라겐(collagen)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유지 및 세포접착의 지탱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노화 및 자외선 조사 등 요인에 의해 감소하게 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최근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목적의 소재에 관한 연구는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합성의 억제하는 물질, 멜라닌 생성(melanogenesis) 기전에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 또는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에 대해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미백 및 주름 개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 알부틴(arbutin),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또는 레티노산(retinoic acid),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 등이 각각 알려져 있으나, 이들은 피부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에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는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낙엽관목으로서, 높이는 3-4m에 달하고 뿌리 근처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사방으로 퍼진다. 한방에서는 약재로 쓰여왔으며, 주요 약리 활성으로는 동통, 요통, 퇴행성 관절 증후군에 대한 활성 등이 알려져 있으나,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자외선 차단에 관한 활성은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피부 안전성이 확보되면서도 실질적으로 항노화 목적을 달성 가능한 소재를 찾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강원 자생식물인 오갈피나무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이 천연 소재로서 생체에 적용시 안전하면서도,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자외선 차단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공개특허 10-2015-0083622 A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오갈피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또는 자외선 차단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오갈피나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갈피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오갈피나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효모 발효, 유산균 발효, 비피더스균 발효 또는 곰팡이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갈피나무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삼(Salvia miltiorrhiza), 참취(Aster scaber), 땃두릅(Oplopanax Elatus) 및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단삼, 참취, 땃두릅 및 오갈피나무 각각의 추출물을 발효시킨 발효물의 조합일 수 있으며, 단삼, 참취, 땃두릅 및 오갈피나무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의 미생물 발효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갈피나무, 선복화, 종대황, 맥문동씨, 곰피, 연꽃 및 차가버섯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강원 자생식물인 오갈피나무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이 천연 소재로서 생체에 적용시 안전하면서도,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자외선 차단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항노화 목적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등에 활용하고자 한 기술사상에 기초한 것으로, 오갈피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물이 갖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자외선 차단 활성을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최초로 규명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는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낙엽관목으로서, 높이는 3-4m에 달하고 뿌리 근처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사방으로 퍼진다. 한방에서는 약재로 쓰여왔으며, 주요 약리 활성으로는 동통, 요통, 퇴행성 관절 증후군에 대한 활성 등이 알려져 있으나,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자외선 차단에 관한 활성은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상기 오갈피나무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갈피나무는 꽃, 잎, 열매, 씨앗, 뿌리 또는 줄기 등 부위에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저온 또는 가온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천연, 잡종, 변종식물로부터 제한없이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추출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은 오갈피나무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상기 오갈피나무, 오갈피나무 건조물 및 가공물 등을 상기 용매에 침지하고, 상온에서 추출하는 냉침추출법, 가열추출법, 초음파를 가하여 추출하는 초음파추출법, 환류 냉각기를 이용한 환류추출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발효”는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발효물”은 미생물의 유기물 발효에 의해 생성된 결과물을 통칭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발효물은 “발효 추출물”과 동일한 의미로 혼용될 수 있으며, 오갈피나무 또는 오갈피나무 추출물을 발효시켜 생성된 유용한 물질 자체뿐만 아니라, 발효 균주 및 발효물이 공존하는 발효 균주 배양 배지, 상기 배양 배지로부터 발효 균주를 원심분리하여 제거한 발효물, 상기 배양 배지로부터 발효 균주를 여과시킨 발효물, 상기 배양 배지로부터 발효 균주를 멸균처리하고 이를 여과시킨 발효물, 상기 발효물을 희석시킨 희석액, 상기 발효물을 건조시킨 건조물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오갈피나무 또는 오갈피나무의 추출물을 식용 가능한 미생물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발효는 효모 발효, 유산균 발효, 비피더스균 발효 또는 곰팡이 발효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생물은 사카로미세스(Saccharomyces) 속 균주(한국 특허출원 제 10-2010-0037354호), 스키조사카로미세스(Schizosaccharomyces) 속 균주(한국 특허출원 제 10-2007-0038921호),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한국 특허출원 제 10-2015-0071296호),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 균주(한국 특허출원 제 10-2007-0038920호),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 균주(한국 특허출원 제 10-2015-0170787호), 바실러스(bacillus) 속 균주(한국 특허출원 제 10-2010-0115609호),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푸자리움 베르티실리오이드(Fusariumverticillioides), 패실로미세스 바리오티(Paecilomycesvariotii), 브라키박테이움 진센지솔리(Brachybacterium ginsengisoli) 및 차가버섯(Inonnotus-obliquus), 동충하초균류(Cordyceps sinensis), 송이버섯(Tricholoma matsutake),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등의 약용 버섯류를 포함하는 균류(fung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사카로미세스 속 균주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미세스 보우라디(Saccharomyces boulardii) 또는 사카로미세스 엘립소이드(Saccharomyces ellipsoids)일 수 있고, 상기 스키조사카로미세스 속 균주는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드(Schizosaccharomyces Ellipsoids)일 수 있으며,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페르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류테리(Lactobacillus reuteri) 또는 락토바실러스 콘푸수스(Lactobacillus confusus)일 수 있으며,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Bifidobacterium animalis)일 수 있으며, 상기 페디오코커스 속 균주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또는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일 수 잇으며, 상기 바실러스 속 균주는 바실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또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오갈피나무 발효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한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오갈피나무 또는 오갈피나무 추출물을 발효시키는 배지는 사용되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미생물 배양 배지를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효모 발효의 경우 YM 배지, 유산균 발효의 경우 MRS 배지, 비피더스균 발효의 경우 BL 배지, 곰팡이 발효의 경우 YM 배지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피부 미백”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모두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오갈피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물의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확인하였고, 이는 상기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항노화 목적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용어 “주름 개선”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엘라스틴(elastin)과 콜라겐(collagen)이 피부층에 충분히 존재하는 상태를 유지하여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는 것 또한 본 발명의 주름 개선에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오갈피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물의 우수한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고, 이는 상기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항노화 목적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용어 “자외선 차단”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개체의 피부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열에너지로 분산시키거나, 자외선을 산란 또는 반사시켜 피부 침투를 막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오갈피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자외선을 흡수, 산란 또는 반사함으로써 피부 침투를 차단하고, 자외선으로부터 발생 가능한 노화, 습진, 피부염 등의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오갈피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물의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인하였고, 이는 상기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항노화 목적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오갈피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 내지 50 중량%(w/w)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피부접착용 패치, 피부접착용 겔, 파우더, 연고, 페이스트, 젤, 서스펜션, 에멀젼, 스프레이, 미용액 또는 캡슐로 제형화되는 것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오갈피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물 이외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오갈피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또는 자외선 차단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용어 오갈피나무, 추출물, 발효물,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자외선 차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단삼, 참취, 땃두릅 및 오갈피나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단삼, 참취, 땃두릅 및 오갈피나무 각각의 추출물을 발효시킨 발효물의 조합일 수 있으며, 단삼, 참취, 땃두릅 및 오갈피나무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의 미생물 발효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품”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 식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건강 기능(성)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은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이에 제한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천연물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본 발명의 식품은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자외선 차단을 통한 항노화 목적의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상기 건강식품(health food)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은 건강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경우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동일한 의미로 혼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 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 및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방부제(소르빈산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오갈피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 내지 50 중량%(w/w)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오갈피나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갈피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어 오갈피나무, 추출용매 및 추출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단삼, 참취, 땃두릅 및 오갈피나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오갈피나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효모 발효, 유산균 발효, 비피더스균 발효 또는 곰팡이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갈피나무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어 오갈피나무, 추출용매, 추출물, 발효 및 발효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단삼, 참취, 땃두릅 및 오갈피나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효모 발효, 유산균 발효, 비피더스균 발효 또는 곰팡이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복합 발효 추출물은 단삼, 참취, 땃두릅 및 오갈피나무 각각의 추출물을 발효시킨 발효물의 조합일 수 있으며, 단삼, 참취, 땃두릅 및 오갈피나무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의 미생물 발효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추출물 또는 발효물은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여 항노화 목적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갈피나무 추출물 및 발효물의 제조
오갈피나무 추출물 및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오갈피나무 추출물 및 발효물의 피부 미백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오갈피나무 추출물 및 발효물은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는바, 이는 상기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항노화 목적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실시예 3: 오갈피나무 추출물 및 발효물의 주름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오갈피나무 추출물 및 발효물은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는바, 이는 상기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항노화 목적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실시예 4: 오갈피나무 추출물 및 발효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오갈피나무 추출물 및 발효물은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는바, 이는 상기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항노화 목적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사카로미세스(Saccharomyces) 속 균주, 스키조사카로미세스(Schizosaccharomyces) 속 균주,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 균주,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 균주, 바실러스(bacillus) 속 균주,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푸자리움 베르티실리오이드(Fusariumverticillioides), 패실로미세스 바리오티(Paecilomycesvariotii), 브라키박테이움 진센지솔리(Brachybacterium ginsengisoli); 및 차가버섯(Inonnotus-obliquus),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 송이버섯(Tricholoma matsutake),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의 균류(fung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균주로 발효시켜 제조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발효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 내지 50 중량%(w/w)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피부접착용 패치, 피부접착용 겔, 파우더, 연고, 서스펜션, 에멀젼, 스프레이, 미용액 또는 캡슐로 제형화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오갈피나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갈피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8.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오갈피나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효모 발효, 유산균 발효, 비피더스균 발효 또는 곰팡이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갈피나무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0180143593A 2018-11-20 2018-11-20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058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593A KR20200058904A (ko) 2018-11-20 2018-11-20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593A KR20200058904A (ko) 2018-11-20 2018-11-20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904A true KR20200058904A (ko) 2020-05-28

Family

ID=7091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593A KR20200058904A (ko) 2018-11-20 2018-11-20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89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879A (ko) * 2019-09-05 2021-03-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220031274A (ko) * 2020-09-04 2022-03-11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엘루테로사이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622A (ko) 2014-01-10 2015-07-20 농업회사법인 동의나라 주식회사 오갈피나무와 뽕나무를 이용한 항비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622A (ko) 2014-01-10 2015-07-20 농업회사법인 동의나라 주식회사 오갈피나무와 뽕나무를 이용한 항비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879A (ko) * 2019-09-05 2021-03-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220031274A (ko) * 2020-09-04 2022-03-11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엘루테로사이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342B1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791253A (zh) 作为用于提升皮肤肤色的光泽的活性剂的益生菌微生物
KR20210114893A (ko) 복숭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의약외품 조성물
KR101782307B1 (ko)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83082A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KR101914344B1 (ko) 발효보리, 발효배즙, 발효콩 및 발효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주름 개선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1024B1 (ko)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14345B1 (ko) 발효콩, 발효쌀, 발효감자, 발효인삼 및 발효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8904A (ko)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855206B1 (ko) 장뇌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72494B1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63440A (ko) 좁쌀풀(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058900A (ko) 단삼(Salvia miltiorrhiza)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14312B1 (ko) 참까막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00063439A (ko) 큰까치수염(Lysimachia clethroide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063435A (ko)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083293A (ko) 엉겅퀴 및 모링가의 온천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1775A (ko) 금꿩의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75485B1 (ko) 계혈등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8901A (ko) 참취(Aster scaber)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058903A (ko) 땃두릅(Oplopanax Elat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063436A (ko) 부챗살(Ahnfeltiopsis flabelliformi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063437A (ko) 비름(Amaranthus mangostan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063438A (ko) 비비추(Hosta longipe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