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622A - 오갈피나무와 뽕나무를 이용한 항비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갈피나무와 뽕나무를 이용한 항비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622A
KR20150083622A KR1020140003381A KR20140003381A KR20150083622A KR 20150083622 A KR20150083622 A KR 20150083622A KR 1020140003381 A KR1020140003381 A KR 1020140003381A KR 20140003381 A KR20140003381 A KR 20140003381A KR 20150083622 A KR20150083622 A KR 20150083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obesity
mulberry
hf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강기운
최미승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동의나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동의나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동의나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3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3622A/ko
Publication of KR20150083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besit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갈피나무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및 녹차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로, 지방축적 억제 효과가 있고 CETP 저해 활성을 가져 체중증가를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총콜레스테롤 량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량을 줄이고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량을 높여 동맥경화증에도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갈피나무와 뽕나무를 이용한 항비만 조성물{ANTI-OBESITY COMPOSITION USING ACANTHOPANAX SESSILIFLORUS AND MULBERRY}
본 발명은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갈피나무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및 녹차잎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지방축적을 억제하고 CETP(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 저해 활성이 높아 체중증가를 억제하는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과다한 체지방을 가진 상태를 의미하는데,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5%, 여자는 체중의 30% 이상일 때, 임상적으로는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가 30.1 이상인 경우, 현재체중이 이상체중을 20% 초과하는 경우로 정의된다.
비만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에너지 대사의 이상 등이 있다. 비만의 종류에는 원인에 따라서 단순 비만과 증후성 비만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순 비만은 과식과 운동 부족이 그 원인이며, 증후성 비만은 내분비, 시상하부성, 유전, 전두엽 및 대사성 등으로 발생한다.
비만은 당뇨병 및 고지혈증 발생 가능성을 높이고, 성기능 장애, 관절염,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도 높이며, 담석증, 암 등의 발생과도 연관이 있으므로 건강을 위하여는 비만 해결이 시급한 문제이다.
비만은 식이요법과 운동의 생활습관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약물을 통하여 치료할 수도 있다. 비만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의 종류는 크게 식욕억제제와 지방의 흡수를 저해하는 약으로 나눌 수 있고, 장기간 사용이 허가된 약물은 시부트라민(sibutramine)과 오르리스타트(orlistat) 두 가지가 있다.
시부트라민은 식욕억제제의 일종으로 1년 동안 복용할 경우 평균적으로 약 5~9%의 체중을 줄여준다. 그러나 약으로 인해 두통, 구갈(심한 갈증), 불면증 및 변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혈압과 맥박수가 다소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혈압과 맥박수를 체크해야 한다.
오르리스타트는 지방분해효소의 억제제로 체내에서 지방이 소화되지 못하도록 하는 약이다. 따라서 섭취한 지방의 약 30%는 소화 및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몸 밖으로 배출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오갈피나무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녹차잎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이 지방축적을 억제하고 CETP 저해 활성이 높아 체중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2503호(2013.10.21.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방축적을 억제하고 CETP 저해 활성이 높아 체중증가를 억제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총콜레스테롤 함량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 함량은 감소시키면서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 함량은 증가시키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오갈피나무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및 녹차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오갈피나무 추출물 20 내지 50 중량%, 뽕나무 추출물 20 내지 50 중량% 및 녹차잎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위령선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등심초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또는 이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비만 조성물은 CETP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추출물들은 각 원재료를 물에 넣고 열수 추출한 후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지방축적 억제 효과가 있고 CETP 저해 활성을 가져 체중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총콜레스테롤 량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량은 감소시키면서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량은 증가시켜 동맥경화증 개선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물 또는 식품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3T3-L1 세포의 분화 과정 흐름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로 3T3-L1 세포를 분화시켰을 때 농도에 따른 Oil Red O 염색 정도를 나타내는 이미지로 상부는 육안으로 관찰된 이미지이고 하부는 현미경 이미지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 농도에 따른 분화된 3T3-L1의 지질축적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는 오갈피나무 추출물로 3T3-L1 세포를 분화시켰을 때 농도에 따른 Oil Red O 염색 정도를 나타내는 이미지로 상부는 육안으로 관찰된 이미지이고 하부는 현미경 이미지이며, 도 3b는 오갈피나무 추출물 농도에 따른 분화된 3T3-L1의 지질축적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는 녹차잎 추출물로 3T3-L1 세포를 분화시켰을 때 농도에 따른 Oil Red O 염색 정도를 나타내는 이미지로 상부는 육안으로 관찰된 이미지이고 하부는 현미경 이미지이며, 도 4b는 녹차잎 추출물 농도에 따른 분화된 3T3-L1의 지질축적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는 뽕잎 추출물로 3T3-L1 세포를 분화시켰을 때 농도에 따른 Oil Red O 염색 정도를 나타내는 이미지로 상부는 육안으로 관찰된 이미지이고 하부는 현미경 이미지이며, 도 5b는 뽕잎 추출물 농도에 따른 분화된 3T3-L1의 지질축적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 농도에 따른 CETP 활성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오갈피나무 추출물 농도에 따른 CETP 활성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녹차잎 추출물 농도에 따른 CETP 활성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뽕잎 추출물 농도에 따른 CETP 활성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식이에 따른 5개 시험군의 체중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각 시험군별 내장지방의 중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각 시험군별 간의 중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각 시험군별 총콜레스테롤 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각 시험군별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각 시험군별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오갈피나무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및 녹차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오갈피나무 추출물 20 내지 50 중량%, 뽕나무 추출물 20 내지 50 중량% 및 녹차잎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조성은 오갈피나무 추출물 30 내지 40 중량%, 뽕나무 추출물 30 내지 40 중량% 및 녹차잎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이다.
오갈피나무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낙엽관목으로, 약성은 온(溫)하고 신(辛)하며, 강장·보간신(補肝腎)·진통·거풍습(祛風濕)·활혈(活血)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주로 풍한습비통(風寒濕痺痛)·근골위약(筋骨萎弱) 및 동통·관절류머티즘·요통·퇴행성관절증후군(退行性關節症候群)·수종(水腫) 등의 증상에 쓰이고 있다.
오갈피나무의 근피와 수피가 면역강화, 항암 효과, 항스트레스 효과, 항당뇨 효과, 항방사능 효과 항바이러스 작용 및 류마토이드 관절염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
현재까지 밝혀진 오갈피의 성분은 coumarin류의 isofraxidin, 엘루테로사이드(eleutheroside) B1, steroid 및 triteroene류의 β-sitosterol, friedelin, lignan류의 sesamin, eleutheroside B, D, E, saponin류의 eleutheroside A, I, K, L, M 등이 알려져 있고(Tang et al., 1992, Springer Verlag, Heidelberg, 1-12) 이 중 eleutheroside B와 E는 가장 강력한 생리활성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i et al., 2002, Kor. J. Pharmacogn. 33(2), 88-91).
특히, eleutheroside B는 간손상에 효과가 있고 혈관 확장, 피로 회복, 항경련, 항스트레스 작용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노화 예방 및 시력/청력 개선에도 도움됨이 알려져 있다.
뽕나무에는 Ca, Fe, K, Zn, Mg 등 무기질과 비타민 A, B, C 그리고 식물섬유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혈압강하물질로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는 γ-GABA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으로서 루틴(rutin), 퀘세틴(quercetin), 퀘르시트린(quercitrin),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뿐만 아니라, 알칼로이드(alkaloid) 성분으로서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갖는 1-deoxynojirimycin이 등 다양한 유용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뽕잎은 β-시토스테롤과 같은 식물성 스테롤과 레시틴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들은 콜레스테롤의 배설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을 저하시키는 반면,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치를 증가시키고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나타냄으로써 동맥경화 억제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혈액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혈압을 조절하는 요소가 존재하는 등 뇌졸중 위험인자를 줄일 수 있는 요인이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있어서, 위령선 추출물, 등심초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령선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덩굴식물로, 혈압강하, 평활근 흥분, 이뇨작용, 혈당하강작용, 진통,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등심초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골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이뇨작용, 지혈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있어서, 위령선 추출물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위령선 함량은 4 내지 7 중량%이다. 또한 등심초 추출물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등심초 함량은 4 내지 7 중량%이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있어서, 오갈피나무, 뽕나무, 녹차, 위령선 또는 등심초의 각 추출물은 각 원재료를 물에 넣고 열수 추출한 후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시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열수 추출시 온도는 90 내지 100℃가 바람직하다. 열수 추출시 온도가 90℃ 미만이면 각 원재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판되는 오갈피나무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녹차잎 추출물, 위령선 추출물 및 등심초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지방 생성을 억제하여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CETP 저해 활성을 갖는다. CETP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간을 통해 체외로 제거하는 유일한 기작인 콜레스테롤 역수송경로(reverse cholesterol transport pathway)에서 각 지단백질의 지질 구성을 조절하는 율속효소로서 매우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CETP는 HDL에 있는 콜레스테롤에스테르를 LDL 또는 IDL로 보내고 LDL이나 IDL에 있는 TG(Triglyceride)를 HDL로 전달하는 역활을 하므로 LDL의 콜레스테롤에스테르 양을 늘려 동맥경화를 촉진시킨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CETP 저해 활성을 가져 동맥경화, 심혈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비만 예방용 또는 개선용 약제 또는 식품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담체 및/또는 희석제 등과 혼합되어 정제, 과립, 분말, 캡슐, 액상의 용액 및 환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추출물 제조
오갈피나무(가지, 잎, 뿌리)를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오갈피나무 100㎏에 물 2000ℓ를 넣고 95~100℃에서 12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상기 열수 추출물을 진공증발건조기를 이용하여 45~50℃에서 농축시켰다. 상기 농축물을 동결건조기에서 -30~-20℃의 진공감압 하에서 동결건조시켜 오갈피나무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한 오갈피나무 추출물 제조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뽕잎 추출물 분말과 녹차잎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항비만 조성물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오갈피나무 추출물 40 중량%, 뽕잎 추출물 35 중량% 및 녹차잎 추출물 25 중량%를 혼합하여 항비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항비만 조성물을 이용하여 다음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예 1> In Vitro
1. 시험물질 조제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항비만 조성물을 멸균 증류수에 다양한 농도(1, 3, 10, 30, 100㎍/㎖)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 오갈피나무 추출물, 녹차잎 추출물, 뽕잎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2. 세포배양
전지방세포인 3T3-L1 세포의 세포 배양액으로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에 10% BS(Bovine serum), 1% P/S(Penicillin/streptomycin)를 첨가하여 사용하였으며,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80% 융합(confluent) 되면 trypsin-EDTA를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하여 6-웰플레이트(well plate)에 씨딩(seeding) 하였다. 2일 후 세포가 융합되면 배지를 바꿔주고, 2일 더 배양하여 후융합(post-confluent)하게 하였다. 세포가 후융합하게 되면 10% FBS(Fetal bovine serume)가 첨가된 DMEM 배양액에 0.5mM IBMX(3-isobutyl-1- methylxanthine), 1u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10㎍/mL 인슐린(insulin)이 첨가된 분화 배양액(differentiation media)에 시험물질 시료(샘플)를 넣어 분화를 유도하였다. 분화 2일째에는 10㎍/mL 인슐린만 포함된 배양액으로 교환하였고, 4, 6일째에는 인슐린이 함유되지 않은 배양액으로 세포를 배양하였다. 도 1에 3T3-L1 세포의 분화 과정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3. Oil Red O 염색
0.35g Oil Red O 시약을 100mL의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에 녹여 Oil Red O stock solution을 제조하였다. 상기 Oil Red O stock solution을 물과 중량비 기준으로 6:4로 혼합하여 Oil Red O working solution을 제조하였다. 분화시작일로부터 8일째 되던 날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 배양액을 PBS로 씻어낸 후 10%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를 2mL 씩 각 웰에 넣고 1시간 동안 고정시켰다.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고 증류수로 씻어낸 후 각 웰에 상기 Oil Red O working solution을 1mL 씩 넣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염색한 후 증류수로 3회 반복하여 씻어내었다. 염색이 된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후 디지털 카메라로 이미지를 찍고 100% 이소프로판올을 가하여 세포 내에 축적된 지질(lipid)을 용출시켜 96-웰플레이트에 옮긴 후 5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지질 축적(lipid accumulation) 정도를 평가하였다.
4. CETP 저해 활성
CETP 함량은 CETP inhibitor assay kit(Biovisio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96-웰플레이트에 160㎕의 샘플 시료를 넣은 후, Rabbit Serum 3㎕를 넣고 반응시켰다. 각 웰에 Donor Molecule 10㎕, Acceptor molucule 10㎕, 10X CETP Assay Buffer를 20㎕ 씩 넣어 37℃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형광강도는 여기파장 465nm, 측정파장 535nm에서 측정하였다.
5. 평가
1) 3T3-L1 지방 축적 억제 효과
지방 생성 억제 효과가 중성지방의 축적 정도와 관련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중성지방만을 붉은색으로 염색하는 Oil Red O 염색법을 통해 중성지방의 양을 측정하였다. 지방세포는 분화가 되면서 여러 가지 분자 생물학적 반응이 수반되며 분화되기 전에는 섬유아세포와 같은 형태의 지방 전구세포에서 분화 후에는 둥근 형태의 지방세포로 성숙된다. 3T3-L1 지방 전구세포는 성장 진행이 100%가 되면 이때부터 성장이 정지되고 지방세포로 분화가 서서히 진행되게 된다.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아무런 시료도 처리하지 않고 분화만 유도한 대조구(control)의 경우에는 세포질 내 지방구(lipid droplet)가 형성되어 가장 붉게 염색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2a에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로 처리하여 분화시켰을 때 중성지방 축적 정도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 농도에 따른 지질축적율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로 분화시켰을 때 농도(1, 3, 10, 30, 100㎍/mL)에 따라 95, 89, 88, 89, 82%의 지질축적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이 농도의존적으로 유의한 지방축적 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3a에 오갈피나무 추출물로 처리하여 분화시켰을 때 중성지방 축적 정도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오갈피나무 추출물 농도에 따른 지질축적율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오갈피나무 추출물로 분화시켰을 때 농도(1, 3, 10, 30, 100㎍/mL)에 따라 95, 94, 87, 89, 86%의 지질축적율을 나타내었다.
도 4a에 녹차잎 추출물로 처리하여 분화시켰을 때 중성지방 축적 정도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녹차잎 추출물 농도에 따른 지질축적율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녹차잎 추출물로 분화시켰을 때 농도(1, 3, 10, 30, 100㎍/mL)에 따라 92, 89, 92, 87, 72%의 지질축적율을 나타내었다.
도 5a에 뽕잎 추출물로 처리하여 분화시켰을 때 중성지방 축적 정도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뽕잎 추출물 농도에 따른 지질축적율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뽕잎 추출물로 분화시켰을 때 농도(1, 3, 10, 30, 100㎍/mL)에 따라 94, 89, 88, 86, 84%의 지질축적율을 나타내었다.
2) CETP 저해 활성
CETP는 혈중에서 지단백질의 콜레스테롤 에스터와 중성지방을 교환하는 역할을 하는 당단백질이다. 중성지방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방운송단백질인 CETP의 활성이 증가하는데 CETP 억제제는 지질대사를 조절하는 약물로 알려져있다.
도 6에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로 처리하였을 때 농도에 따른 CETP 활성도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로 처리하였을 때 농도(1, 3, 10, 30, 100㎍/mL)에 따라 13, 13, 14, 17, 21%의 CETP 활성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이 농도의존적으로 CETP 저해 활성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7에 오갈피나무 추출물로 처리하여 분화시켰을 때 농도에 따른 CETP 활성도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오갈피나무 추출물로 처리하였을 때 농도(1, 3, 10, 30, 100㎍/mL)에 따라 12, 14, 15, 15, 13%의 CETP 활성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도 8에 녹차잎 추출물로 처리하여 분화시켰을 때 농도에 따른 CETP 활성도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녹차잎 추출물로 처리하였을 때 농도(1, 3, 10, 30, 100㎍/mL)에 따라 7, 8, 10, 6, 19%의 CETP 활성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도 9에 뽕잎 추출물로 처리하여 분화시켰을 때 농도에 따른 CETP 활성도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뽕잎 추출물로 처리하였을 때 농도(1, 3, 10, 30, 100㎍/mL)에 따라 8, 11, 11, 15, 15%의 CETP 활성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2> In Vivo
1. 시험계
계통 및 종 : C57BL/6 (수컷)
공급원 : (주)샘타코
구입시 동물 주령 및 체중범위 : 5주령, 19 g ~ 21 g
투여시 동물 주령 및 체중범위 : 11주령, 26 g ~ 29 g
2. 사육
본 시험의 환경은 온도 (22±3)℃ , 상대습도 (50±20)%, 환기횟수 (10~15) 회/시간, 조명주기 12시간 (8:00 ~ 20:00), 조도 (150~300) 룩스(lux)의 사육환경으로 설정된 동물사육실에서 사료와 음용수를 급여하여 사육하였으며, 순화 및 시험기간 동안 격리 사육하였다. 시험기간 중 동물실의 온습도는 자동 온습도 측정기에 의하여 매 30분마다 측정되었으며, 조도 등의 동물실의 환경 측정 결과, 시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는 변동은 없었다. 사육조건은 순화 및 시험기간 중 청정사육실내 플라스틱제 사육상자 [270(W) X 500(D) X 200(H)㎜]에 7마리씩 넣어 사육하였다.
사료로 정상군 식이는 D12450B(10% Kal from fat, Research Diets사), 고지방 식이는 D12492(60% kcal from fat, Research Diets사)를 사용하고 사료의 성분조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은 UV 조사된 여과수를 사용하여 자유섭취시켰다.
성분 정상식이 고지방식이
Casein, 80 mesh 200 200
L-Cystine 3 3
Com strach 315 0
Maltodextrin 10 35 125
Sucrose 350 68.8
Cellulose, BW200 50 50
Soybean oil 25 25
Lard 20 245
Mineral mix, S10026 10 10
Dicalcium phosphate 13 13
Calcium carbonate 5.5 5.5
Potassium citrate, 1 H20 16.5 16.5
Vitamin mix, V10001 10 10
Choline bitartrate 2 2
FD&C blue dye#1 0.05 0.05
3. 시험군 구성
시험군은 표 2와 같이 5개의 군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시험군 시험물질 투여량(Dose) 성별 개체수
A군 (Normal) - 0 male 6
B군 (HFD) 고지방 식이 0 male 6
C군 (HFD+G) 고지방식이+녹차잎추출물 500 mg/day male 6
D군 (HFD+S100) 고지방식이+시료 100 mg/kg B.W. male 6
E군 (HFD+S300) 고지방식이+시료 300 mg/kg B.W. male 6
4. 체중증가량 측정
표 2와 같이 시험군을 5개 군(A~E)으로 나누고, A군은 정상 식이(Normal)를, B군~E군은 고지방 식이를 9주 동안 실시하되, 5주차부터 9주차까지 C군은 녹차잎 추출물 분말((주)켐포트)이 함유된 고지방 식이(HFD+G)를, D군과 E군은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이 함유된 고지방 식이(HFD+S100, HFD+S300)를 급이하였다. 물과 식이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식이 섭취량은 매일 기록하였으며, 체중은 주 2회 측정하였다.
5. 간과 내장 지방 무게 측정
시험 종료일에 시험 개체를 해부 후, 간과 내장지방을 적출하여 생리식염수로 세척하고 수분을 제거한 후 간과 내장지방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6. 혈청 분리
시험 종료일에 시험 개체의 경추를 탈골시켜 채혈하고 채혈된 혈액을 실온에서 1시간 두었다가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시켜 혈청을 분리하였다.
7. 혈청의 효소 활성 및 지질 분석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량을 자동혈액분석기(Cholestech LDX, Alere, California, USA)로 측정하였다.
8. 통계처리
본 시험에서는 체중데이터에 대한 분산의 동질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SPSS 통계프로그램(ver 10.1)을 이용하여 F 검정을 실시하였고, 분산의 동질성이 인정되어 student t test를 실시하였다.
9. 평가
1) 체중변화
도 10에 식이에 따른 5개 시험군의 체중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p < 0.05, **p < 0.01, ***p < 0.001 vs HFD 군). 또한, 표 3에 5개 시험군의 최초ㆍ최종 체중, 식이 섭취량, FER 값이 나타나 있다.
Starting Body
Weight (g/mouse)
Body Weight before oral administration Final Body Weight
(g/mouse)
Total Body Weight gain
(g/8Wk)
Food Intake
(g/mouse)
FER(%)
A 20.08±0.25 24.82±0.31 27.31±0.49 7.23±0.62 2.42±0.06 5.34
B 20.93±0.22 31.46±0.37 40.01±0.97 19.08±0.96 2.25±0.05 15.14
C 20.08±0.26 31.89±0.96 36.81±1.01 16.73±0.80* 2.27±0.06* 13.16**
D 20.04±0.30 30.76±1.30 35.65±1.50* 15.61±1.31* 2.20±0.06** 12.67**
E 20.16±0.28 30.96±0.97 33.54±0.99*** 13.38±0.84** 2.16±0.06*** 11.06***
Each value in the mean±SE (n=6)
*p < 0.05, **p < 0.01, ***p < 0.001 vs B군
시험물질 경구 투여 전(5주) 마우스의 체중을 살펴보면, 10%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정상 식이군(Normal) 보다 60%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고지방 식이군들(HFD, HFD+G, HFD+S100, HFD+S300)이 더 많이 체중 증가를 나타내어 비만유도가 원활하게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9주 동안 경구 투여 후 고지방 식이군들 간의 체중을 살펴보면, HFD 군의 체중증가가 가장 컸고 HFD+G 군이 그 다음이었으며 HFD+S100 군, HFD+S300 군 순이었다. 즉,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이 투여된 식이를 섭취한 HFD+S100 군과 HFD+S300 군의 체중 증가량이 가장 적었으며, 또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의 함량이 많이 투여된 HFD+S300 군이 적게 투여된 HFD+S100 군보다 체중 증가가 작았다.
하루 기준으로 1마리의 마우스가 섭취한 식이의 양을 나타내는 식이섭취량(Food intake)을 보면, 정상 식이군이 2.42g으로 다른 군에 비해 약 0.2g 정도 많은 양을 섭취했음을 알 수 있었다. 사료의 효율을 나타내는 FER 지수를 보면, HFD+S100 군과 HFD+S300 군이 다른 군에 비해 낮게 나왔는데 이는 같은 양의 식이를 섭취했을 때 가장 적은 체중 증가량을 보임을 의미한다.
2) 간과 내장 지방 중량
도 11에 각 시험군별 내장지방의 중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와 도 12에 각 시험군별 간의 중량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p < 0.05, **p < 0.01, ***p < 0.001 vs HFD 군). 일반적으로 비만은 복강 내 축적되는 지방조직의 증가로 내장 지방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간 내의 지방 축적으로 인한 간의 무게도 증가하게 된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HFD 군이 다른 군들에 비하여 내장 지방과 간 중량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HFD+S300 군의 내장 지방과 간 중량이 가장 적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이 지방조직 증가를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혈청의 콜레스테롤 농도
지단백질은 Lipropotein의 구성성분에 따라 chylomicron, VLDL, LDL, HDL로 구분되며 구성성분인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각각 다르게 존재한다. VLDL로부터 전환된 LDL은 간에서 다른 조직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LDL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으면 관상동맥의 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일 위험이 높은 반면, HDL 콜레스테롤은 말초조직 및 혈관벽에 축적된 콜레스테롤을 재분산함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의 양을 저하시키므로 동맥경화에 대한 방어효과를 한다.
도 13에 각 시험군별 총콜레스테롤 량과 도 14에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량 및, 도 15에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량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p < 0.05, **p < 0.01, ***p < 0.001 vs HFD 군). 비만과 같은 대사성 질환의 경우, 지질 분해 억제 효과의 감소에 따라 유리지방산의 과도한 혈액 내 유입이 나타나게 되어, 총콜레스테롤 및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본 실험에서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량은 HFD+G 군과 HFD+S100 군, HFD+S300 군이 HFD 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세포내 축적된 콜레스테롤을 제거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켜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개선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HFD+S100 군과 HFD+S300 군에서 HFD 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동맥경화와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촉진하는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비만지수가 높을수록 혈중 농도가 높아지는데, HFD+S100군과 HFD+S300 군에서 HFD 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더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총콜레스테롤 량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량을 낮추고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량을 높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비만 및 동맥경화증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예가 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하기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5)

  1. 오갈피나무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및 녹차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오갈피나무 추출물 20 내지 50 중량%, 뽕나무 추출물 20 내지 50 중량% 및 녹차잎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위령선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등심초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또는 이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비만 조성물은 CETP(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추출물들은 각 원재료를 물에 넣고 열수 추출한 후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항비만 조성물.
KR1020140003381A 2014-01-10 2014-01-10 오갈피나무와 뽕나무를 이용한 항비만 조성물 KR20150083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381A KR20150083622A (ko) 2014-01-10 2014-01-10 오갈피나무와 뽕나무를 이용한 항비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381A KR20150083622A (ko) 2014-01-10 2014-01-10 오갈피나무와 뽕나무를 이용한 항비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622A true KR20150083622A (ko) 2015-07-20

Family

ID=5387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381A KR20150083622A (ko) 2014-01-10 2014-01-10 오갈피나무와 뽕나무를 이용한 항비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362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162A (ko)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우리엘바이오 천연약재를 이용한 발효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KR20200053344A (ko) 2018-11-08 2020-05-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펙티넥스를 처리한 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00058904A (ko)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뉴랜드올네이처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10019051A (ko) 2021-02-10 2021-02-1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펙티넥스를 처리한 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162A (ko)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우리엘바이오 천연약재를 이용한 발효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KR20200053344A (ko) 2018-11-08 2020-05-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펙티넥스를 처리한 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00058904A (ko)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뉴랜드올네이처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10019051A (ko) 2021-02-10 2021-02-1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펙티넥스를 처리한 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80951A1 (en) Composition from sphaeranthus indicus and garcinia mangostana for the control of metabolic syndrome
CN101175416A (zh) 从营养方面改善葡萄糖控制和胰岛素作用的方法和组合物
KR20170023391A (ko) 검정콩잎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놀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Castillo et al. Effects of Phaseolus vulgaris extract on lipolytic activity and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into mature adipocytes: A strategy to prevent obesity
KR20150083622A (ko) 오갈피나무와 뽕나무를 이용한 항비만 조성물
KR20110087965A (ko) 생맥산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및 그 제조방법
TW201609123A (zh) 五層龍屬組成物、藉由其投藥之治療方法及其製備方法
US20130102554A1 (en)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obesity using wheat bran extract or active ingredient isolated therefrom
CN101953862A (zh) 五加属植物提取物、其制备方法及其用途
KR101451754B1 (ko) 지골피와 속단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대사 질환 예방 및 골 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WO2015190872A1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363245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leaves of vaccinium bracteatum
KR101491771B1 (ko) 흰점박이꽃무지 현탁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888871B1 (ko) 차전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namonu et al. Effects of Hibiscus Sabdariffa calyces aqueous extract on serum cholesterol, body weight and liver biomarkers of Rattus Novergicus
Chacrabati et al. Fenugreek (Trigonella foenum-graecum) extract improves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in high sugar diet fed mice.
US20180193401A1 (en)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complex
KR101303306B1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385191B1 (ko) 치커리 추출물의 근육 손상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용도
CN106822095A (zh) 一种防治脂肪肝和肥胖的药物及其在制药中的应用
KR20200120549A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101781468B1 (ko) 항고지혈 효과를 나타내는 창맥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40295011A1 (en) Composition Containing Triticum Aestivum Lamarck Leaf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Djétouan et al. The Effect Of Ivory Coast Garcinia Kola Heckel (Guttiferae) Seeds on Hyperlipidemia, Hyperglycemia and Obesity in Wistar Rats
KR20150091770A (ko)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