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1770A -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1770A
KR20150091770A KR1020140012400A KR20140012400A KR20150091770A KR 20150091770 A KR20150091770 A KR 20150091770A KR 1020140012400 A KR1020140012400 A KR 1020140012400A KR 20140012400 A KR20140012400 A KR 20140012400A KR 20150091770 A KR20150091770 A KR 20150091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composition
fat
tr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동영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2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1770A/ko
Publication of KR2015009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5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옥덩굴 추출물은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저해하고, 지방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며, 지방대사물질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비만의 치료, 개선 및 예방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세포 독성이 없고, 천연물질로부터 유래된 것이므로 부작용도 문제되지 아니하여 비만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해 널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CONTAINING CAULERPA OKAMURAI}
본 발명은 비만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구체적으로 천연물 유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경제수준 향상에 의한 영양과잉, 환경오염, 운동부족, 스트레스 증가 등에 따른 각종 생활습관병 및 만성퇴행성질환의 만연이 우리 사회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중, 최근에 가장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질병이 비만이다.
비만은 일반적으로 음식물로 섭취한 에너지(energy intake)가 신체활동 등으로 소비한 에너지(energy expenditure)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잉여의 에너지가 체내에 지방세포(adipocyte)의 양적, 수적 증가를 일으켜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정신적 요인 또는 식사습관 및 운동부족 등의 생활습관 등에 의하여 인체 내 에너지 밸런스가 무너져 생기는 질환을 의미한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벌써 비만을 치료해야 할 질병으로 인식하여 세계적인 영양문제로 다루어 왔다(World Health Organization(1998)). 현재, 비만 환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최근 세계보건기구는 전 세계 성인 가운데 10억 명 이상이 과체중이고, 이들 가운데 최소한 3억 명이 비만에 속한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또한,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우리나라 2007년 국민 건강 영양 조사 자료에 따르면,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25 이상인 비만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여 국민 건강이 매우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보건복지부(2007)).
상기 비만은 특히 다른 질병에 비해 유병률과 사망률이 높으며, 다양한 성인병의 합병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비만환자는 정상체중인 사람에 비하여, 간병경증의 질환의 경우 2배, 뇌혈관질환의 경우 1.6배 및 관상동맥질환의 경우 1.8배 정도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현재, 식이요법, 운동요법 및 이뇨제, 설사제 등을 포함한 약물요법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나, 영양불균형, 면역력 저하 및 우울증 등 부작용의 발생에 의해 일시적이고 한정적으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비만과 관련하여, 지방화(Adipogensis)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지방화란 지방전구세포로부터 지방세포가 분화되어 지방을 축적하게 되는 과정을 말하며, 상기 지방화는 비만, 당뇨병, 지방간 및 관상 심장질환 등 대사성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지방세포는 단순히 에너지 저장고 역할 뿐만 아니라 내분비 기관으로서 아디포사이토카인(adipocytokine)이라는 단백질성 호르몬을 분비하여 체내 에너지 항상성 유지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과다한 지방세포의 분화와 불균형적인 에너지 대사는 지방세포의 비정상적인 유전자 발현과 신호전달 체계 이상을 초래하여 아디포사이토카인(adipocytokine)의 분비 이상을 야기시킬 수 있다.
상기 아디포사이토카인(adipocytokine)의 종류로 렙틴(leptin), 아디포넥틴(adiponectin),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interleukin-6(IL-6), 레시스틴(resistin)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일 예로, 식욕 조절 단백질인 렙틴은 식욕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고, 상기 아디포넥틴은 지방세포의 분화 과정 중 발현이 증가되어 간과 근육조직의 인슐린 민감도를 높이고 지방산 산화를 증가시키며, 상기 렙틴이 생성이 되지 않거나 제 기능을 하지 못할 경우 비만이 유발될 수 있고, 상기 아디포넥틴의 발현양 감소와 비만 유발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지방세포에서는 지방분해(lipolysis)와 지방합성(lipogenesis)을 통하여 지질대사가 일어나고, 상기 지방 합성 시, 상기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가 증식과 분화과정을 거쳐 성숙한 지방세포로 분화되어 궁극적으로 세포 내에 지방 방울(lipid droplet)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을 유도하는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s)로는 ADD1/SREBP1c(adipocyte determination and differentiation dependent factor 1/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1c),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 및 C/EBP(CCAAT enhancer binding protein)가 보고되어 있다.
상기 전사인자는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 각기 다른 시점에서 발현이 유도되며, 서로 상호작용을 통하여 지방세포 특이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고 지방대사의 활성화와 지방세포 분화를 점진적으로 유도해 나간다.
우선,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는 핵수용체에 속하며, 지방세포 특이적인 fatty acid binding protein인 aP2뿐 만 아니라 다른 많은 유전자들의 발현을 유도한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 연구에서는 레트로바이러스를 이용하여 지방전구세포가 아닌 섬유아세포에 PPAR-γ를 과발현시킨 경우, 일반적인 섬유아세포에서도 지방세포 분화가 일어난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C/EBP(CCAAT enhancer binding protein)는 basic-leucine zipper motif를 가진 전사인자 가운데 하나로, 지방세포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초기에는 C/EBP β 또는 C/EBP δ의 발현이 증가하고, 분화 후기 부분에는 C/EBP α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C/EBP α는 지방세포의 end-product gene의 대부분이 유도되기 바로 직전에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C/EBP α를 3T3-L1 지방전구세포에 과발현시킨 경우, 지방세포 분화가 촉진되었고, C/EBP α의 antisense mRNA를 처리하게 되면 분화가 억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C/EBP α가 homozygous하게 결손된 쥐의 경우, 백색지방과 갈색지방의 지방(lipid) 축적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ADD1/SREBP1c(adipocyte determination and differentiation dependent factor 1/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1c)는 bHLH(basic helix-loop-helix) family의 전사인자 중 하나이다. ADD1/SREBP1c는 갈색지방에서 가장 많이 발현되며, 간, 백색지방, 신장의 순서로 많이 발현된다. ADD1/SREBP1c의 mRNA 발현 양은 다른 지방세포화인자(adipogenic marker)인 PPAR-γ와 같이 지방세포 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한다. 일 예로, 3T3-L1 지방전구세포에 ADD1/SREBP1c를 과발현시키는 경우, 대조군에 비해 지방(lipid)의 축적과 지방세포화인자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상기 전사인자들에 의해 유도되는 지방세포의 분화는 confluence, hormonal induction, clonal expansion, growth arrest 및 terminal differentiation의 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지방전구세포는 confluence 상태가 되면 세포주기가 G0/G1 시기가 되어 growth arrest가 일어난다. 이후, 적당한 분화 자극과 C/EBPβ와 C/EBPδ의 발현에 의해 한 번 혹은 두 번의 세포분열이 일어나는 clonal expansion 단계에 들어간다. 이어 PPAR-γ와 C/EBP α의 발현을 통하여 지방전구세포는 완전한 분화의 형태를 보이기 직전의 단계인 growth arrest의 시기로 접어들게 된다. 마지막 단계인 terminal differentiation은 수 일에서 수 주의 시간이 걸리고, 지속적인 growth arrest가 일어나면 성숙된 지방세포의 특징이 점차 나타나게 된다.
구체적으로, 분화 초기에 섬유아세포와 유사했던 지방전구세포는 형태적으로 둥글게(morphological rounding-up)되고, lipoprotein lipase 등의 mRNA가 발현되기 시작하며, 전사인자인 C/EBP β, C/EBP δ의 transient induction이 일어난다. 이후, PPAR-γ와 C/EBP α가 발현되어 실제로 지방세포의 표현형을 결정짓는 대부분의 유전자들을 조절하거나 그 발현을 활성화 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지질 방울들이 세포질로 나타나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지고 또 합쳐지면서 하나 혹은 몇 개의 큰 방울(droplet)이 된다.
상기 비만을 해소하고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비만치료기전으로는 식욕의 조절, 지방의 소화 및 흡수 방해, 에너지 소비의 증가, 지질대사의 조절 등이 있다.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비만 치료제로는 세로토닌(serotonin)과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콜레스테롤(cholesterol) 및 중성지방(triglyceride)의 가수분해를 방해하며 산화되지 않은 지방을 변으로 배설시키도록 돕는 약물인 올리스타트(orlistat, XenicalR)등이 있다.
그러나, 세르토닌의 경우 혈압을 높여 심혈관계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주의하여 사용해야 하고, 올리스타트의 경우 소화기 장애, 지방변, 배변실금, 지용성 비타민 흡수 방해 등을 유도한다고 보고되고 있는 등 기존의 비만 치료제의 경우에는 상당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천연물 중에서 비만세포의 성장 및 분화를 억제하여, 지방조직의 과다나 지방대사 이상으로 유발되는 비만에 대한 항비만 효과는 높고 부작용은 미약한 비만 치료 약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R10-1148978B KR10-2008-0114454A KR10-1174702B KR10-0990260B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약학조성물 또는 의약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식품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식품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은 옥덩굴(Caulerpa okamur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추출된 것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은 옥덩굴(Caulerpa okamur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식품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일 수 있다.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추출된 것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유효성분이란 조성물, 구체적으로 의약 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에 있어서 항비만 효과를 제공하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고 투약이 쉬운 천연물질 중 지방세포 생성과 지방 내 지질 방울의 생성을 억제하여, 항비만 효과를 갖는 소재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우리나라 진도에서 채취 가능한 옥덩굴(Caulerpa okamurai)이 항비만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상기 옥덩굴과 동일 속 식물이나 다른 해조류와 비교한 결과, 특히 동일 속 식물인 일본 오키나와에서 주로 채취되는 바다포도(Caulerpa lentillifera) 추출물에 비하여 옥덩굴 추출물이 항비만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보다 구체적으로 옥덩굴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지방세포의 지방세포능이 감소되고,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분화 유도 전사인자가 감소된 반면, 바다포도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오히려 지방세포의 지방세포 생성량이 증가되고,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분화 유도 전사인자가 증가되어, 상기 옥덩굴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여, 이로부터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옥덩굴(Caulerpa okamur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옥덩굴(Caulerpa okamurai)는 우리나라의 남해안, 주로 제주에서 많이 자라는 옥덩굴과의 녹조식물에 속하는 짙은 녹색의 해조류로이다. 상기 옥덩굴은 모래가 덮인 조간대의 바위 위나 조수 웅덩이에서 자란다. 상기 옥덩굴은 원주상, 구체적으로 가느다란 대롱모양의 기는줄기와 바로 선 줄기를 가지고, 그 하부에서 분지하는 사상근을 내어 암반에 착생하며, 곧게 서는 가지는 단조 또는 분지하며 15 cm 정도 자라고, 곧게 서는 가지의 가장자리에서 각 방면으로 2 mm 내지 5 mm 길이의 혹 모양의 작은 가지가 밀생한다. 작은 가지에는 짧은 자루가 있다. 예로부터 제주도에서는 식용으로 사용되거도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옥덩굴의 에탄올 추출물은 같은 속에 속하는 식물인 바다포도(Caulerpa lentillifera) 추출물과 비교하여, 지방생성 억제 및 지방세포 분화 유도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켜, 지방화를 억제하고, 실제로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항비만 효과의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본 발명의 옥덩굴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와 벤젠,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50% 내지 99%의 에탄올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옥덩굴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 구체적으로 해조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순물을 제거한 옥덩굴에 추출용매를 가하고 추출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추출과정은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가압추출법 또는 초음파 분쇄 추출법일 수 있다.
상기 분획용매는 물,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추출법으로 제조한 추출물, 구체적으로 조추출액에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한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헥산일 수 있다. 상기 분획과정은 구체적으로 상기 조추출액에 헥산, 플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을 순서로 가한 후에, 층 분리한 헥산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순차적으로 수득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추출 또는 분획과정을 수행한 이후, 감압 여과 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득한 추출물은 사용시까지 급속 냉동 냉장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상기 용매 추출 공정 후에 여과 공정, 농축 공정 및/또는 건조 공정을 선택적으로 또는 중복하여 추가 수행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여과공정은 여과지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농축공정은 감압농축 등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공정은 열풍건조 또는 냉동건조 등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비만은 체내에 지방세포(adipocyte)가 양적, 수적 증가로 인해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고, 이러한 지방세포의 양적, 수적 증가는 지방화 즉,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방의 축적에 의하여 발생한다.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세포의 지방 생성을 억제하여 지방 축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만을 치료,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구체적으로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의 유효성분일 수 있다.
상기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은 상기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상기 옥덩굴 추출물에 항비만 효과가 있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더욱 포함할 수 있고, 이외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추가성분 즉, 약제학적으로 허용되거나 영양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식물에 대응하는 생물군으로 주로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섭취하고, 소화기관, 배설기관 및 호흡기관이 분화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옥덩굴 추출물이 약제로 사용되거나, 의약 또는 약학적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와 혼합하거나 희석제로 희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키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루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성분들은 상기 유효성분 즉, 옥덩굴 추출물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유효성분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01 중량%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질환 및 이의 중증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성분의 함량은 상기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20 중량% 범위에서 추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약제화하는 경우,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유효성분 즉, 옥덩굴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과립제, 산제, 시럽제, 액제, 현탁제, 정제, 주사제, 주정제, 카타플라스마제(cataplasma), 캅셀제,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등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할 때, 0.0001 mg/kg 내지 1000 mg/kg으로, 보다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0.01 mg/kg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공지의 비만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갖는 화합물 또는 천연물에 대한 추출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효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5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조성물은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식품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조성물, 구체적으로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성식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건강기능성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발명의 식품은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등),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채소류 음료, 발효음료류, 두유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건강기능성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성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중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성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성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건강기능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g일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옥덩굴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00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성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성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옥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g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g 내지 12 g일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옥덩굴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중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옥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이나 과당 등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 등과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 등일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타우마틴이나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향미제 또는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과 같은 합성 향미제일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g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g 내지 12 g일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중량%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g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g 내지 1 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옥덩굴 추출물은 항비만효과, 구체적으로 같은 속의 다른 해조류인 바다포도와 달리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및 지방세포의 지방 생성 억제능이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본 발명의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효과를 갖는 조성물은 뛰어난 비만 치료, 개선 또는 예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옥덩굴 추출물은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억제하고, 지방세포의 지방 생성 및 축적을 억제하여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체중 감소와 비만 치료, 개선 또는 예방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인공 화합물질인 기존의 비만 치료제와 달리 천연물의 추출물인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부작용 등이 문제되지 아니하고, 세포 독성도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업적으로 그 효과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덩굴 추출물과 바다포도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각 그래프의 세로축은 대조군 대비 세포 생존률(세포독성, Cell viablility, %)을 의미하고, 가로축은 아무런 시료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및 각 추출 시료의 투여량(μg/ml)을 의미하며, 도 1a는 옥덩굴 추출물(COE)의 처리 함량에 따른 세포 생존률을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바다포도 추출물(CLE)의 처리 함량에 따른 세포 생존률을 나타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추출물의 지방생성 억제효과를 확인한 사진 및 그래프로, 도 2a(옥덩굴 추출물, COE) 및 도 2b(바다포도 추출물, CLE)는 해조류 추출물의 지방생성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세포를 Oil Red O 염색시약으로 염색한 사진이고, 윗 부분은 지방세포를 염색한 결과를 확인한 사진이고, 아랫 부분은 이를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며, 각 사진 사인의 문자는 아무런 시료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및 각 추출 시료의 종류(문자)와 투여량(숫자, μg/ml)을 나타낸 것이며,
도 2c(옥덩굴 추출물, COE) 및 도 2d(바다포도 추출물, CLE)는 지방생성 억제효과를 정량적인 값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도 2a 및 도 2b의 생성된 지방구 염색에 사용된 Oil Red O 염색시약을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로 다시 용출시켜 측정한 값이고, 대조군(Control) 대비 세포 내 지방의 축적 정도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값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그래프의 세로축은 대조군 대비 Oil Red O 농도(Oil Red O content, %)을 의미하고, 가로축은 아무런 시료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및 각 추출 시료의 종류 및 투여량(μg/ml)을 의미하며, 도 2c는 옥덩굴 추출물(COE)의 처리 함량에 따른 지방구 생성 정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d는 바다포도 추출물(CLE)의 처리 함량에 따른 지방구 생성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효과를 확인한 사진 및 그래프로, 도 3a(옥덩굴 추출물, COE) 및 도 3b(바다포도 추출물, CLE)는 해조류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과정을 유도하는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s)인 PPARγ의 발현량을 확인한 사진이고, 윗 부분은 PPARγ의 발현량을 확인한 것이고, 아래 부분은 단백질 함량을 비교하기 위한 β-actin의 발현량을 확인한 것이며, 도 3a의 좌측은 대조군이고, 가운데는 옥덩굴 추출물의 50 μg/ml을 투여한 결과를 나타낸 실험군이고, 오른쪽은 옥덩굴 추출물의 250 μg/ml을 투여한 결과를 나타낸 실험군이며, 도 3b의 좌측은 대조군이고, 오른쪽은 바다포도 추출물의 250 μg/ml을 투여한 결과를 나타낸 실험군이며,
도 3c(옥덩굴 추출물, COE) 및 도 3d(바다포도 추출물, CLE)는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과정을 유도하는 전사인자인 PPARγ의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도 3a 및 도 3b에서 확인된 PPARγ의 함량을 β-actin 대비 함량으로 나타낸 그래프로, 각 그래프의 세로축은 아무런 시료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PPARγ의 함량을 의미하고, 가로축은 아무런 시료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및 각 추출 시료의 종류 및 투여량(μg/ml)을 의미하며, 도 3c는 옥덩굴 추출물(COE)의 처리 함량에 따른 PPARγ의 발현량을 나타낸 것이고, 도 3d는 바다포도 추출물(CLE)의 처리 함량에 따른 PPARγ의 발현량을 나타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덩굴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효과를 확인한 사진 및 그래프로, 도 4a(C/EBPα) 및 도 4b(SREBP-1c)는 옥덩굴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과정을 유도하는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s)인 C/EBPα 또는 SREBP-1c의 발현량을 확인한 사진이고, 윗 부분은 C/EBPα 또는 SREBP-1c의 발현량을 확인한 것이고, 아래 부분은 단백질 함량을 비교하기 위한 β-actin의 발현량을 확인한 것이며, 도 4c 및 도 4의 좌측은 대조군이고, 가운데는 옥덩굴 추출물의 50 μg/ml을 투여한 결과를 나타낸 실험군이고, 오른쪽은 옥덩굴 추출물의 250 μg/ml을 투여한 결과를 나타낸 실험군이며, 각 그래프의 세로축은 아무런 시료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C/EBPα 또는 SREBP-1c의 함량을 의미하고, 가로축은 아무런 시료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및 옥덩굴 추출물의 투여량(숫자, μg/ml)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덩굴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효과를 확인한 사진 및 그래프로, 도 5a 및 도 5b는 옥덩굴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과정을 유도하는 전사인자인 PPARγ, SREBP-1c, FAS(Fatty Acid Synthase) 또는 ACC(Acetyl-CoA carboxylase), HSL(Hormone-Sensitive Lipase)의 mRNA의 전사량을 확인한 사진이고, 아래 부분은 단백질 함량을 비교하기 위한 β-actin의 mRNA의 전사량을 확인한 것이며, 도 5c 및 도 5d는 PPARγ, SREBP-1c, FAS, ACC 또는 HSL의 mRNA의 전사량을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대비 전사량으로 표시한 그래프로, 각 그래프의 가로축은 전사인자의 종류이고, COE는 옥덩굴 추출물을 의미하며, 숫자는 투여량(μg/ml)을 의미하고, 세로축은 아무런 시료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PPARγ, SREBP-1c, FAS, ACC 또는 HSL의 함량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 제조예 : 실험재료의 준비 및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 실험 재료의 준비
제조예 1-1. 3 T3 - L1 지방전구세포의 배양
3T3-L1 지방전구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USA)으로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는 37℃의 온도조건과 95% O2 및 5% CO2를 공급하는 배양조건에서 100 Units/ml penicilin, 100 ㎍/ml streptomycin 및 10% FCS가 함유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이러한 3T3-L1 지방전구세포는 2일마다 신선한 배지로 보충하면서 계대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제조예 1-2. 3 T3 - 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 분화유도
상기 제조예 1-1에서 배양한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하여 6-well plate에 1×105 cells/well로 분주하고 100% confluent 상태가 되면 분화유도 물질인 5 ㎍/ml insulin, 1 μM DEX, 0.5 mM IBMX와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배지를 교환하여 분화를 유도였으며(0 day), 분화 유도 후 2일이 경과한 뒤, 5 ㎍/ml insulin이 포함된 DMEM(10% FBS)배지로 교환하였다. 이로부터 2일에 한번씩 DMEM(10% FBS)배지로 보충하면서 6일 후 (8 days) 실험에 이용하였다.
제조예 2. 옥덩굴 추출물의 제조
해조류 즉, 옥덩굴 시료는 전라남도 진도군 금갑해수욕장에서 직접 채취한 옥덩굴을 20℃ 내지 30℃의 온도조건 및 통풍이 가능한 조건에서 3일간 자연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바다포도 시료는 일본 오키나와 지역에서 채취된 바다포도를 상품화시킨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해조류 추출물 즉, 옥덩굴 추출물(COE) 또는 바다포도 추출물(CLE)은 각각 옥덩굴 분쇄물 또는 바다포도 분쇄물 20 g을 추출용기에 넣고, 15℃의 정수기 물로 약 2시간 동안 담그어 놓아 염분을 제거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염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후, 100% 에탄올 200 mL를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각 추출액을 종이여과지(Whatman, No.2)를 이용하여 감압여과 하였으며, 상기 여과 후 회전식 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농축하였으며, 상기 농축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70℃에서 동결건조시켜 분말화시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최종 제조된 추출물 각각은 -20℃ 보관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험예 : 옥덩굴 추출물의 비만 치료 또는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준비예에서 제조된 옥덩굴 추출물을 이용하여 비만 치료, 개선 또는 예방 효과를 확인 하기 위하여 상기 세포주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 하였다.
실험예 1. 옥덩굴 추출물의 세포독성 평가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미치는 해조류 추출물의 세포독성 또는 세포사멸을 평가하기 위해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96-well plate에 1×103 cells/well로 분주하였으며,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각 추출물(COE 또는 CLE)을 처리하고 다시 24시간 배양한 후,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12-bromide(MTT, 2 mg/ml) 용액을 각 well에 첨가하여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MTT 용액을 제거하고 DMSO(Sigma-Aldrich, USA)를 넣고 15분 경과한 후에 540 nm(Immuno Mini NJ-23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한 흡광도를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과 비교하여 상기 대조군에 대한 상대값으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옥덩굴 추출물 및 바다포도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실험한 결과,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추출물에서 500 μg/ml 농도까지는 세포사멸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실험결과에 따라, 500 μg/ml 농도까지는 세포독성이 없어 안전한 것으로, 본 실험에 사용이 가능한 농도라고 사료되어 옥덩굴 추출물과 관련하여 500 μg/ml 농도 이하에서 항비만 효과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2. 지방생성 억제효과 확인
세포 내 생성된 지방구 생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6-well plate에 1×105 cells/well로 분주된 3T3-L1 지방전구세포에 시료를 처리하고, 8일간 분화유도를 끝낸 후에 PBS로 세척하였다. 10% formalin 용액으로 30분간 고정하고 증류수로 1회 세척하였다. 0.3% Oil Red O 용액으로 1시간 처리한 후, 60% isopropanol로 1회 세척하고 현미경으로 염색된 지방구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또한, 생성된 지방구의 정량을 위해 100% isopropanol을 가하여 지방을 염색시킨 Oil Red O 염색시약을 추출한 후에 ELISA reader(Immuno Mini NJ-2300)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c 및 도 2d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유도한 대조군(Control)에서 중성지방이 붉은색으로 염색되므로 지방생성 정도가 뚜렷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옥덩굴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지방 생성이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옥덩굴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붉은색의 정도가 점점 옅어지고, 붉은색 부분도 적어지는 것이 확인되어, 옥덩굴 추출물의 지방생성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한편, 바다포도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오히려 붉은색으로 표시되는 생성된 지방 방울이 증가하고, 붉은색도 짙하게 나타나서, 바다포도 추출물의 경우 옥덩굴과 달리 지방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옥덩굴 추출물의 지방생성 억제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Oil Red O 염색시약으로 염색된 정도를 흡광도로 측정된 도 2c 및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옥덩굴 추출물의 경우에는 25 μg/ml를 첨가한 경우에도 유의적으로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흡광도 감소 효과가 확인되었고, 상기 옥덩굴 추출물의 흡광도 감소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확인된 반면, 바다포도 추출물의 경우에는 바다포도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에는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오히려 흡광도가 증가하여, 지방생성 축적 정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지방생성을 증가시키는 바다포도 추출물과 달리 옥덩굴 추출물은 지방생성을 감소 또는 억제시키는 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지방생성 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효과
옥덩굴 추출물이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과정을 유도하는 전사인자의 mRNA 전사 및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우선, 3T3-L1 지방전구세포를 2.7×105 cells/well로 60π culture dish에 분주하고 분화유도 물질과 시료 즉, 옥덩굴 추출물 또는 바다포도 추출물을 함께 넣고 분화를 유도한 후 8일째에 1 ml의 TRI REAGENT(Molecular Research Center, Inc.)과 함께 넣고 homogenation을 하여 배양을 종료시켰다.
상기 배양된 세포에 대해,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γ), SREBP-1c(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FAS(fatty acid synthase), ACC, HSL의 mRNA의 전사량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양을 종료시킨 후, 0.2 ml의 chloroform을 넣고 가볍게 섞어준 후, 12,000 x g(4℃)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를 하였다. 상층액과 0.5 ml isopropanol을 넣고 vortex를 하고 상온에서 10분 정도 보관 후, 12,000 x g(4℃)에서 8분 동안 원심 분리를 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하고 75% 에탄올(DEPC+에탄올(ethanol anhydrous))을 1 ml 넣고 볼텍싱한 후, 12,000 x g(4℃)에서 5분 동안 2번 반복으로 washing을 하였다. Washing이 끝나면 75% 에탄올을 제거하고 3분 동안 air dry를 한 후, DEPC(diethylpyrocarbonate) 50 ㎕를 넣고 실험에 사용할 때까지 -0℃에 보관하였다. 상기 보관중인 RNA는 nanodrop spectrometer(Sigma-Aldrich, USA)의 260 nm와 28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화하였다.
상기 수득한 RNA 300 ng을 포함한 RNA 3 ㎕, primer 각각 1 ㎕와 buffer를 이용하여 전체 부피(total volume) 30 ㎕의 반응용액을 제조한 후, DiastarTM 2X One Step RT-PCR Premix kit를 사용하여, 역전사를 수행하였다.
각 프라이머의 염기 배열은 다음 표 1과 같다.
종류 서열(5' → 3')
PPARγ Forward ACC ACT CGC ATT CCT TTG AC
Reverse CTG CGG AAA CTT CAG GAA ATG
FAS
Forward CTG CGG AAA CTT CAG GAA ATG
Reverse GGT TCG GAA TGC TAT CCA GG
SREBP-1c
Forward CAC TTC TGG AGA CAT CGC AAA C
Reverse TGG TAG ACA ACA GCC GCA TC
ACC
Forward AGG AGG ACC GCA TTT ATC GAC
Reverse TGA CCG TGG GCA CAA AGTT
HSL
Forward GCT-GGG CTG TCA AGC ACT GT
Reverse GTA ACT GGG TAG GCT GCC AT
β-actin Forward TGC CCA TCT ATG AGG GTT ACG
Reverse TAG AAG CAT TTG CGG TGC ACG
PCR 조건은 50℃에서 30분 및 95℃에서 15분 반응 시킨 후, 95℃에서 1분 동안 변성시키고, 55℃에서 1분 동안 붙인 후, 72℃에서 2분 동안 확장하는 사이클(cycle)을 30회를 수행하였다. 상기 PCR 산물은 nucleic acid staining solution(Red Safe, iNtRON, 대한민국)로 염색된 1.5% agaros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을 하였으며, β-actin은 증폭된 유전자들의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방법을 통해서 확인된 PPARγ, SREBP-1c, FAS, ACC, HSL의 mRNA의 유전자의 전사량을 도 5에 나타내었다.
또한, 지방세포 분화 전사인자인 PPARγ 및 C/EBP-α 또는 SREBP-1c 유전자의 발현량에 미치는 영향을 웨스턴 블롯팅(western blotting)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양 종류 후, 상기 배양된 세포를 PBS 용액으로 2회 세척한 후 lysis buffer(PRO-PREP protein extraction solution,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를 넣고 4℃에서 10분간 용해시켰다. 상기 용해시킨 세포를 수거하여 13,000 rpm 및 4℃의 조건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을 회수하여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각의 상등액에서 단백질 30 ㎍를 취하여 SDS loading buffer(60 mM Tris, 25% glycerol, 2% SDS, 0.5% 2-mercaptoethanol, 0.1% bromophenol blue)와 혼합 후 10% SDS polyacrylamide gel에 loading하여 전기영동하고 nitrocellulose membrane에 전이시켰다. 이후에 membrane은 5% 무지분유가 첨가된 TTBS(10 mM Tris, 100 mM NaCl, 0.1% tween 20) 용액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blocking 시켰다. TTBS 용액으로 10분간 3회 세척한 후 일차항체(PPARγ 1:500, C/EBP-α 1:500 및 SREBP-1c 1:500)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에 다시 TTBS 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그 다음에 peroxidase가 포함된 2차 항체(goat anti mouse 1:2000, goat anti rabbit 1:2000)로 1시간 동안 반응시켰고 항체의 검출은 chemiluminescent substrate 용액을 이용하여 가시화 하고 UVP(Image acquisition and analysis software, VisionworkTMLS)로 분석하였다.
상기 분석한 결과를 각각 도 3 내지 도 5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옥덩굴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도 3a 및 도 3c) 지방생성과 관련된 전사인자 PPARγ 함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상기 감소 정도가 투여량의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된 것이 확인된 반면, 바다포도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도 3b 및 도 3d)에는 지방생성과 관련된 전사인자인 PPARγ 함량이 오히려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지방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옥덩굴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 C/EBPα 및 SREBP-1c의 단백질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어, 상기 지방생성과 관련된 전사인자인 C/EBPα 및 SREBP-1c의 발현량 감소에 따른 지방생성 감소로 인한 항비만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d에 나타낸 바와같이, 옥덩굴 추출물을 첨가한 실험군의 경우, 지방생성과 관련된 전사인자 PPARγ, SREBP-1c, FAS 및 ACC의 유전자의 mRNA 전사량이 아무런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에 비해 유의하게 억제된 것이 확인되었고, 상기 옥덩굴 추출물의 투여량의 증가에 따라 상기 지방생성과 관련된 전사인자의 유전자의 전사량이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4. 항비만 효과 확인
옥덩굴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이용한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실험동물은 6주령(20g - 22g)의 C57BL/6J 마우스(SLC, INC., 일본) 28마리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의 사육은 고형사료(㈜삼양사, 대한민국) 및 물을 신선한 것으로 공급하였고, 12시간 간격의 빛과 어둠의 주기가 있는 실험실 환경에서 사육되었다.
상기 고형사료와 관련하여, 실험시작 3일전부터 10% 지방함유 식이를 공급한 후에 정상군, 음성대조군(Control), 옥덩굴 추출물 250 mg/kg 투여한 실험군(COE-250)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물 추출물을 250 mg/kg 투여한 비교군(GC-250)인 4그룹으로 나누었고, 실험진행과 함께 정상군은 10% 지방함유 식이, 나머지 3그룹은 45% 지방함유 식이를 공급하였다. 실험군 및 비교군의 경우, 옥덩굴 추출물 또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투여량은 250 mg/kg 용량으로 매일 같은 시간에(오전 10시) 10주 동안 경구 투여 하였으며, 상기 각각의 식이와 물은 매일 신선한 것으로 공급하였고, 동물 사육실은 온도, 습도, 채광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6주간 사육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의 체중,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은 전날 공급분에서 남은 양을 빼는 방법으로 매주 1회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의 체중은 실험 전 측정한 체중 및 실험 종료 후 측정한 체중을 의미하고, 체중 증가량(BW gain, body weight gain(g))을 실험 종료 후 측정한 체중에서 실험 전 측정한 체중을 뺀 것을 의미하며, 식이섭취량(Food intake, g/day)를 의미하며, 열량섭취량(Energy intake, Kcal/day)을 의미한다.
초기체중(g)
(Initial BW)
최종체중
(g)
(Final BW)
체중증가분
(g)
(BW gian)
식이섭취량
(g/day)
(Food intake)
열량섭취량
(Kcal/day)
(Energy intake)
정상군 21.6±0.5 26.5±0.6 4.5±0.6 2.78 ± 0.14 10.72 ± 0.54
음성
대조군
22.8±0.8 41.6±1.6 19.0±1.4 2.98 ± 0.14 14.08 ± 0.65
실험군 22.0±0.5 30.6±1.0 8.6±0.8 2.72 ± 0.09 12.85 ± 0.41
비교군 22.1±0.5 31.4±0.9 9.3±0.9 2.73 ± 0.10 12.89 ± 0.46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중 증가량의 경우, 음성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체중 증가량을 나타낸 반면, 실험군 및 비교군의 경우 정상군과 유사한 정도의 체중 증가량을 나타냈으며, 특히 옥덩굴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은 비만 예방 기능성 식품 인정 원료로, 식욕억제 또는 체지방 감소를 위해 사용되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물 추출물을 동량으로 투여한 것에 비하여도 체중 증가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식이섭취량 및 열량섭취량의 측면에서도, 음성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반면, 옥덩굴 추출물은 정상군과 거의 유사한 섭취 정도로 나타나 옥덩굴 추출물의 유의미한 식이섭취량 및 열량섭취량 억제 효과가 확인되어, 체중 감소를 위해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옥덩굴 추출물은 항비만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험동물의 지방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지방 생성 억제효과 및 지질생성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체지방 생성 억제효과는 상기 실험동물을 10주 동안 사육한 후, 실험동물을 희생시키고, 실험동물의 복부를 절개하여 부고환 주위의 지방(Epididymal fat), 신장주위 지방(Perirenal fat) 및 내장 지방 또는 후복부 지방(Visceral fat)을 절제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상기 지질생성 억제효과는 혈장지질(plasma lipid) 및 간장 지질(hepatic lipid) 상승 억제효과는 상기 희생시킨 실험동물의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분리한 다음에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혈청 중의 중성지방(triglyceride),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및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함량을 Auto Chemisry Analyzer(Beckman coulter /AU480)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간장 지질 상승 억제효과는 간 지질, 구체적으로 중성지방(hepatic triglyceride, Hepatic TG), 총 콜레스테롤(hepatic total cholesterol, Hepatic TC), 유리지방산(hepatic free fatty acid, Hepatic FFA) 및 총 지질 함량(hepatic total lipid)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혈청 중의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아산제약(한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유리지방산 함량은 Zen-Bio 회사(미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간 조직에 함유된 지질 함량은 동물 실험종료 후, 간 조직을 클로로포름과 메탄올 유기용매로 균질화시키고 생리식염수를 첨가한 다음에 유기용매 분획층을 분리하여 감압농축시켜 총지질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간 조직중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아산제약(한국), 유리지방산 함량은 Zen-Bio 회사(미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측정 결과를 도 6,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중성지방(mg/dl)
(Triglyceride)
총 콜레스테롤(mg/dl)
(Total cholesterol)
유리지방산(mM)
(Free fatty acid)
정상군 50.9 ± 10.1 75.60 ± 9.62 0.30 ± 0.02
음성
대조군
126 ± 10.5 142.9 ± 7.06 0.51 ± 0.02
실험군 92.4 ± 7.11 96.77 ± 8.94 0.39 ± 0.02
비교군 101 ± 4.4 105.7 ± 8.60 0.47 ± 0.04
중성지방
(mg/dl)
(Triglyceride)
총 콜레스테롤
(mg/dl)
(Total cholesterol)
유리지방산
(mM)
(Free fatty acid)
총 지질 함량
(mg/g liver)
(Total lipid)
정상군 2.13 ± 0.20 17.11 ± 3.04 11.17 ± 0.47 50.2 ± 4.2
음성
대조군
10.2 ± 0.88 85.23 ± 4.73 21.29 ± 1.91 135 ± 8.1
실험군 7.99 ± 0.62 64.97 ± 3.07 15.34 ± 1.09 111 ± 7.01
비교군 8.14 ± 0.70 61.79 ± 7.60 18.53 ± 1.80 118 ± 3.4
상기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부고환 주위의 지방(Epididymal fat), 신장주위 지방(Perirenal fat) 및 내장 지방 또는 후복부 지방(Visceral fat)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높은 증가량을 나타낸 반면, 실험군과 비교군은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증가량이 나타나, 지방 조직의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옥덩굴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은 비만 예방 기능성 식품 인정 원료로, 식욕억제 또는 체지방 감소를 위해 사용되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물 추출물을 동량으로 투여한 것에 비하여도 지방 조직의 증가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청 중의 총 중성지방 함량, 총 콜레스테롤 함량 및 유리 지방산 함량과 간 조직에서의 간 지질, 구체적으로 중성지방 함량, 총 콜레스테롤 함량, 유리지방산 함량 및 총 지질 함량에서 음성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함량이 나타나 정상군에 비하여 높은 증가량을 나타낸 반면, 실험군과 비교군은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증가량이 나타나, 지방 조직의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옥덩굴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은 비만 예방 기능성 식품 인정 원료로, 식욕억제 또는 체지방 감소를 위해 사용되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물 추출물을 동량으로 투여한 것에 비하여도 혈청 중의 지질 함량 및 간 조직에서의 간 지질 함량의 증가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결과로부터 옥덩굴 추출물은 동속의 식물인 지방생성을 촉진시킨 바다포도 추출물과 달리 지방세포의 지방생성 정도를 현저히 억제시키고, 지방생성과 관련된 전사인자의 발현 및 전사를 현저히 감소시켜,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지방생성 및 축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항비만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어,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비만을 치료, 개선 또는 예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옥덩굴(Caulerpa okamur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추출된 것인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된 것인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4. 옥덩굴(Caulerpa okamur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추출된 것인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조성물은 건강기능성식품인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KR1020140012400A 2014-02-04 2014-02-04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50091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400A KR20150091770A (ko) 2014-02-04 2014-02-04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400A KR20150091770A (ko) 2014-02-04 2014-02-04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770A true KR20150091770A (ko) 2015-08-12

Family

ID=54056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400A KR20150091770A (ko) 2014-02-04 2014-02-04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17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370A (ko) * 2019-02-12 2020-08-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콜레르파 라세모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 조성물
KR20210098620A (ko) * 2020-02-03 2021-08-11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370A (ko) * 2019-02-12 2020-08-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콜레르파 라세모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 조성물
KR20210098620A (ko) * 2020-02-03 2021-08-11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3073A (ko)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651907B1 (ko) 갈색거저리 유충의 추출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02131A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00122333A (ko) 콩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당뇨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30102554A1 (en)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obesity using wheat bran extract or active ingredient isolated therefrom
KR20150091770A (ko)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090113554A (ko) 토별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비만 또는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57329B1 (ko) 해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60163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576269B1 (ko)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60094313A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814257B1 (ko) 큰천남성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110078237A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90103665A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2696677B1 (ko)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16724B1 (ko) 오미자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56835B1 (ko) 어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2043056B1 (ko)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698536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100579B1 (ko) 빅벨리해마 알칼레이즈 가수분해물의 분획물 또는 그 유효 펩타이드를 이용한 근육 성장 또는 운동 능력 개선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64511A (ko) 미역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46258A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91631B1 (ko)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240041586A (ko) 천연식물 혼합추출물 발효액(npme)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