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965A - 생맥산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맥산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965A
KR20110087965A KR1020100007652A KR20100007652A KR20110087965A KR 20110087965 A KR20110087965 A KR 20110087965A KR 1020100007652 A KR1020100007652 A KR 1020100007652A KR 20100007652 A KR20100007652 A KR 20100007652A KR 20110087965 A KR20110087965 A KR 20110087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aw
tofu
group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한
박갑주
Original Assignee
권혁한
박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한, 박갑주 filed Critical 권혁한
Priority to KR1020100007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7965A/ko
Priority to JP2010082069A priority patent/JP5762693B2/ja
Publication of KR20110087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1Decor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맥산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 피로효과, 알코올 분해효과, 혈중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농도를 낮추는 효과, 간기능 활성효과 및 항산화효과를 갖는 생맥산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맥문동, 오미자, 황기, 홍삼 및 호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증류수를 가하여 가열한 후 거즈로 여과하여 원심분리기에서 5000~8000×g의 속도로 10~30분간 원심분리하여 추출하는 공지의 생맥산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생맥산 추출물은 2~5시간 동안 95~130℃의 온도로 약탕기에서 가열하여 농축액으로 만든 후 추출하며, 상기 생맥산 추출물의 구성성분인 맥문동:오미자:황기:홍삼:호박의 중량비는 10:10:8:1~2:7~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산 추출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생맥산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및 그 제조방법{SAENGMAEKSAN EXTRACT, SAENGMAEKSAN BEAN CURD USING SAENGMAEKSAN EXTRACT AND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생맥산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 피로효과, 알코올 분해효과, 혈중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농도를 낮추는 효과, 간기능 활성효과 및 항산화효과를 갖는 생맥산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맥산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에서 사용한 한약재는 생맥산이라고 알려져 있는 약재로써 동의보감을 비롯한 전통의학서에 보혈, 양혈하며, 폐음허(肺陰許)로 인한 권태무력(捲怠無力)ㆍ호흡곤란ㆍ현기증ㆍ해수ㆍ열감(熱感) 등의 치료 기능을 갖는 대표적인 처방으로 기록된 약으로 이의 구성약재는 맥문동, 오미자, 황기, 홍삼 및 호박이다. 상기와 같은 약재가 혼합된 생맥산(生脈散)은 내외상판혹론(內外傷辦惑論)에 따르면 맥문동(麥門冬) 12g, 인삼 6g, 오미자(五味子) 5g으로 구성된 것으로 적응증(適應症)은 폐음허(肺陰許)로 인한 권태무력(捲怠無力)ㆍ호흡곤란ㆍ현기증ㆍ해수ㆍ열감(熱感) 등에 사용되고 효능은 익기생진(益氣生津)하고 렴음지한(斂陰止汗)하는 효능이 있다. 주치는 기음부족(氣陰不足)으로 인한 체권기단나언(體倦氣短懶言), 구갈다한(口渴多汗), 인건설조(咽乾舌燥),하고 맥(脈)이 허약(虛弱)한 증상(症狀)과 구해(久咳)에 의한 상폐(傷肺)로 기음(氣陰)이 양상(兩傷)되어 나타나는 건해다기(乾咳短氣), 자해(自咳) 등의 증상(症狀)을 치료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생맥산에 호박을 가미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두부응고제로 사용하여 생맥산 두부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생맥산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에서 두부응고제로 사용된 생맥산 추출물의 주요 구성분인 맥문동을 비롯한 한약재는 경동시장에서 구입하였고 맥문동, 오미자, 황기, 홍삼, 호박의 학명 및 주치, 적응증은 하기와 같다. 맥문동 (麥門冬)은 백합과(덤불란科)에 속하며 학명은 치계초(治階草) Ophiopogon japonicus KER-GAWLER[소엽맥문동(小葉麥門冬)]이며 괴근(槐根)의 건조품으로써 포도당, 점액질, 소량의 β-시토스테롤, 비타민 A 모양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윤조생진(潤燥生津), 화담지해(化痰止咳)하다고 알려져 있다. 기원은 백합과 식물인 지계초의 괴근을 건조한 것으로 효능은 양음윤조(養陰潤燥), 생진지해(生津止咳)하고 주치(主治)는 폐조건해(肺燥乾咳), 토혈(吐血), 객혈(喀血), 폐 (肺), 폐옹(肺癰), 열건구조(咽乾口燥), 허로번열(虛勞煩熱) 등에 사용되며, 약리 실험에서 강심작용, 이뇨작용, 가래삭힘작용, 기침멎이작용, 영양작용, 억균작용 등이 밝혀졌다.
오미자(五味子)는 오미자과에 속하며 학명이 북오미자(北五味子)(Schizandra chinensis BALL.)이며 성숙과실의 건조품으로 시트랄(citral) 등의 정유, 스치잔드린(schizandrin), 비타민 A 모양의 물질, 비타민 C, 유기산, 에테르 추출물(抽出物)에 각종 약리(藥理)가 인정되어 있다. 렴폐자신(斂肺滋腎), 생진렴두, 삽정지사(澁精止瀉)하며 중추신경계흥분(中樞神經系興奮), 진해담(鎭咳 痰), 자궁흥분(子宮興奮), 항균(抗菌), 트랜스아미나제(Transaminase) 강하작용(降下作用)이 인정되고 폐신양허(肺腎陽虛)에 사용된다. 본 품은 오미(五味)를 고루 갖추고 있는데, 특히 산(酸)·미(味)가 탁월하므로 소모된 폐기(肺氣)를 수렴(收斂)하여 익기생진(益氣生津)하고, 아울러 익신기(益腎氣)하여 진원(眞元)을 고섭(固攝)한다. 그 성질이 따뜻하되 건조하지 않아 폐신(肺腎)의 음허(陰虛)와 양허(陽虛)를 막론하고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폐허(肺虛)로 인한 천해(喘咳), 자한(自汗), 도한(盜汗), 신허(腎虛)로 인한 골정(骨精), 구사불지(久瀉不止)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며, 약리실험에서 중추신경계통흥분작용, 피로회복촉진작용, 심혈관계 기능 회복 작용, 혈압조절작용, 위액 분비 조절 작용, 혈당량 낮춤 작용, 글리코겐 증진 작용 등이 밝혀졌다.
본 발명자들은 인삼보다 효능이 우수한 홍삼을 사용하여 생맥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최근 홍삼에 대한 화학적인 조성과 함께 사포닌을 비롯한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홍삼은 수삼의 표피를 벗기지 않은 상태로 세척하여 증숙과 건조 과정 동안, 홍삼 자체에 함유된 효소에 의해 소화된 전분이 분해하여 생성된 맥아당, 포도당 및 과당 등의 환원당과 홍삼 자체에 함유된 아미노산이 비효소적 갈변화인 마이얄 반응을 진행하여 갈변한 것을 말한다.
증숙과 건조과정을 통해 변화되는 주요한 성분은 사포닌계와 비사포닌계인 폴리아세틸렌, 산성 다당체, 아미노산 등이다. 사포닌계 성분을 보면 백삼에 22종이었던 것이 홍삼에서 30종으로 증가하고, 홍삼과 백삼에 모두 존재하는 사포닌은 18종이며, 홍삼에만 특이하게 존재하는 사포닌은 12종으로, 동일한 수삼원료로 제조한 홍삼과 백삼의 미량 사포닌 함량을 보면 백삼보다 홍삼에서 함량이 높다.
홍삼의 주요 효능으로는 항암활성 및 암전이 억제, 혈당강하작용, 항피로, 항스트레스 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AIDS 바이러스 증식억제, 항다이옥신 및 성기능을 개선시킨다는 보고도 있다.
황기(黃耆)는 콩과에 속하며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황기)의 뿌리의 건조품으로 엽산, 코린(corin), 아미노산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보기승양 (補氣升陽), 탁독배농(托毒排膿)하다. 본품은 기허(氣虛)를 치료하는 요약(要藥)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허불함(氣虛不陷)인 경우에 사용하면 보기승양(補氣升陽)하고, 표허불고(表虛不固)인 경우에 사용하면 고표지한(固表止汗)하며, 기혈부족(氣血不足)에 사용하면 익기생혈(益氣生血)하며, 기허부종(氣虛不腫)에 사용하면 온양이수(溫陽利水)하고, 기허혈비(氣虛血痺)에 사용하면 온경화혈(溫經和血)한다. 호로(葫蘆)는 박과에 속하며 Lagenaria siceraria(MOLINA.) STANDL.(밤나무꽃)의 과실(호롱박)로써 포도당, 펜토산 등을 함유하고 있고 이수(利水), 해열(解熱, 거습소종( 濕消腫)에 사용하며, 약리실험에서 강장작용, 면역기능조절작용, 강심작용, 이뇨작용, 혈압낮춤작용, 항염증작용 등이 밝혀졌다.
호박은 박과에 속하며 학명으로는 Cucurbita spp이고, 동의보감에 보면 호박은 맛이 달고, 오장을 편하게 하고, 눈을 밝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널리 알려진 효능으로는 출산 뒤 부기를 빼주고, 당뇨병과 불면증에 효과가 있다. 늙은 호박은 잘 익을수록 당분이 늘어나 단맛이 증가하는데 호박이 가지고 있는 당분은 소화 흡수가 잘되기 때문에 위장이 약한 사람이나 회복기의 환자에게 아주 좋고, 성인병, 부종, 설사, 기침, 감기, 야맹증, 중풍예방에 좋으며, 호박에 많이 들어있는 카로틴은 체내에 들어가면 비타민 A의 효력을 나타내는데 비타민 A는 점막을 튼튼하게 하여 감기에 대한 저항력을 길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미네랄과 비타민 B, 비타민 C도 풍부해 신진대사와 면역력을 좋게 하고 몸을 따뜻하게 해주므로 냉증이 있는 여성에게 좋고, 황색의 야채에는 항산화 물질인 베타카로틴이 들어 있어 폐암, 식도암, 위암, 방광암, 후두암, 전립선암 등 여러 종류의 암을 예방하는데 늙은 호박에 이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장내 바이러스와 발암물질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은 맥문동, 오미자, 황기, 홍삼, 호박 등의 한약재를 복합하여 추출한 생맥산 추출물이 젖산가수분해효소로 항 피로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혈중알코올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알코올 분해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생맥산 추출물로 응고시킨 두부가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증 등 심혈관계 질환 유발의 주요인자로 작용하는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농도를 낮추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장기 투여하였을 때 간기능 장애의 회복기능 및 각종 성인병과 노화를 방지하는 항산화 작용이 생맥산 추출물을 단독으로 투여했을 때보다 현저히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이와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약품과 기능성 물질 개발에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로부터 위의 약재, 또는 기능성 물질을 개발할 수 있으며 신규의 항 피로효과와 알코올 분해효과 및 항 고지혈증 효과, 간기능활성증진 및 항산화제로서 개발할 수 있는 생맥산 추출물,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및 그 제조방법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맥문동, 오미자, 황기, 홍삼 및 호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증류수를 가하여 가열한 후 거즈로 여과하여 원심분리기에서 5000~8000×g의 속도로 10~30분간 원심분리하여 추출하는 공지의 생맥산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생맥산 추출물은 2~5시간 동안 95~130℃의 온도로 약탕기에서 가열하여 농축액으로 만든 후 추출하며,
상기 생맥산 추출물의 구성성분인 맥문동:오미자:황기:홍삼:호박의 중량비는 10:10:8:1~2:7~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산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맥문동, 오미자, 황기, 홍삼 및 호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증류수를 가하여 가열한 후 거즈로 여과하여 원심분리기에서 5000~8000×g의 속도로 10~3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생맥산 추출물을 추출한 후 두유액에 혼합하여 제조하는 공지의 생맥산 두부에 있어서, 상기 생맥산 추출물은 2~5시간 동안 95~130℃의 온도로 약탕기에서 가열하여 농축액으로 만든 후 추출하며,
그 구성성분인 맥문동:오미자:황기:홍삼:호박의 중량비가 10:10:8:1~2:7~8인 상기 생맥산 농축 추출물을, 콩으로 이루어진 10%(v/v) 두유액 95~97%(v/v)에 3~5%(v/v)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산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맥문동, 오미자, 황기, 홍삼 및 호박을 각각 100g, 100g, 80g, 10~20g, 및 70~80g 혼합하고, 그 혼합물에 증류수 1850㎖를 첨가하여 3시간 동안 95~130℃의 온도로 약탕기에서 추출한 후 가제로 1차 여과하고, 8000×g의 속도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생맥산 추출물을 제조하고, 10%(v/v) 두유액을 제조하여 40분간 끊인 다음, 85~90℃까지 냉각한 두유액에 상기 생맥산 추출물을 5%(v/v) 첨가하여 두부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산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맥문동, 오미자, 황기, 홍삼, 호박 등의 한약재를 복합하여 추출한 생맥산 추출물이 젖산가수분해로 항 피로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혈중알코올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알코올 분해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생맥산 추출물로 응고시킨 두부가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증 등 심혈관계 질환 유발의 주요인자로 작용하는 혈중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농도를 낮추는 것을 알 수 있고, 장기 투여하였을 때 간기능 장애의 회복기능 및 각종 성인병과 노화를 방지하는 항산화작용이 생맥산 추출물을 단독으로 투여하였을 때보다 현저히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약품과 기능성물질 개발에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질로부터 위의 약재, 또는 기능성 물질을 개발할 수 있으며 신규의 항피로효과와 알코올 분해효과 및 항고지혈증 효과, 간기능활성증진, 항산화제로서 개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실험동물 Sprague-Dawley(수컷)의 시료 투여 후 4주 동안의 성장과 체중변화량을 측정한 평균체중 증가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험동물 Sprague-Dawley(수컷)의 시료 투여 후 4주 동안의 성장과 체중변화량을 측정한 총 체중 변화량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생맥산 추출물의 체내 젖산가수분해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생맥산 추출물의 체내 알코올 분해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혈장 내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혈장 내 콜레스테롤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일반두부 투여군(T1), 생맥산 두부 투여군(T2) 및 생맥산 추출물 투여군(T3)의 간 보호활성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4주 간 시료 투여 후 혈장 AST 수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일반두부 투여군(T1), 생맥산 두부 투여군(T2) 및 생맥산 추출물 투여군(T3)의 간 보호활성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4주 간 시료 투여 후 혈장 ALT 수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생맥산 두부의 항산화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생맥산 추출물은 맥문동, 오미자, 황기, 홍삼 및 호박을 각각 100g, 100g, 80g, 10~20g, 및 70~80g 혼합하여 총 370g에 증류수 1850㎖을 첨가하여 3시간 동안 120℃의 온도로 약탕기(대웅약탕기)에서 추출한 후 거즈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하고 8,000×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생맥산 추출물을 구비하였다.
상기 생맥산 추출물의 구성성분인 맥문동:오미자:황기:홍삼:호박의 중량비는 10:10:8:1~2:7~8가 바람직하며, 그 비율은 반복적인 배합 실험 및 관능평가를 통하여 수득한 가장 최적의 배합이다.
또한, 생맥산 추출물을 이용한 상맥산 두부는 상기에서 추출된 생맥산 추출물을 4℃에 보관하여 두부응고제로 준비하였고, 공지된 10%(v/v) 두유액에 두부응고제로써 상기 생맥산 추출물을 3~5%(v/v) 첨가하고, 양성대조군으로 20% 염화마그네슘 용액 2%(v/v)를 첨가하여 두부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생맥산 두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10%(v/v) 두유액을 제조한 후 잘 저으면서 상기 시료를 40분간 끊였다. 이때 기포가 발생하면 4∼5방울의 콩기름을 첨가하였다. 상기 끊인 두유액을 거즈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두유(soybean milk)와 커드(bean curd refuse)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두유를 85~90℃까지 냉각한 후 50㎖의 두유를 비커에 분주하였다. 비커에 두부응고제로써 상기에서 생맥산 추출물을 각각 3~5%(v/v) 첨가하여 혼합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20% 염화마그네슘 용액 2%(v/v)를 첨가하였으며, 음성대조군으로는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상기 두부응고제를 첨가한 시료를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하여 두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험동물 및 실험군의 분류
실험동물은 체중이 100±10g인 Sprague Dawley종의 4주된 웅성 흰쥐를 대한 실험 동물센터에서 구입하여 다시 4주간 건국대학의 동물 사육실에서 적응시켰다. 4주간 적응시키는 동안에 사육실의 온도와 습도는 각각 22 ±2℃, 55 ±5%로 항온 항습을 유지하였다. 식이는 고형사료(삼양사 제품)와 물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4주간 적응시킨 체중이 350g(8주령) 전후의 흰쥐 7마리를 한 군으로 하여 정상대조군(Normal Control),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 및 실험군(Test 군)으로 분류하였다. 음성대조군은 알코올과 물을, 양성대조군은 시판되고 있는 J사의 숙취해소제(숙취해소 및 간기능회복 기능)와 알코올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험군은 알코올과 시판되고 있는 P사의 일반두부를 투여한 T1군(이하 T1으로 표기), 알코올과 생맥산 두부를 투여한 T2군(이하 T2로 표기), 알코올과 생맥산 추출물(맥문동 + 홍삼 + 오미자 + 황기 + 호박)을 투여한 T3군(이하 T3로 표기)으로 설정하였다. 이때 식이는 고형 사료(삼양사 제품)를 자유 공급하였고 알코올은 쥐 한 마리 당 5g/kg.bw/day를 섭취하도록 계산하여 매일 음용수에 희석하여 공급하였다. 각 군의 처리는 표 1과 같다.
군 조성

실험번호(No.)
처리
No.1 (정상 대조군) 7 비-알코올
No.2 (음성 대조군) 7 알코올 + 물
No.3 (양성 대조군) 7 알코올 + 숙취해소제
No.4 (실험군1-T1) 7 알코올 + 일반두부
No.5 (실험군2-T2) 7 알코올 + 생맥산두부
No.6 (실험군3-T3) 7 알코올 + 생맥산추출물*
*생맥산 추출물: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 홍삼(Panax ginseng C.A. Meyer) + 호박(Cucurbita spp.)
실험예 2: 시료의 제조 및 투여
생맥산 추출물은 맥문동, 오미자, 황기, 홍삼 및 호박을 혼합하여 증류수를 첨가하여 가열 추출한 생맥산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일반두부는 시중에서 구입하였고, 생맥산 두부는 10% 두유액에 두유액 양의 3~5%만큼의 생맥산추출물로 실험실에서 직접 두부를 응고시켰다.
일반두부와 생맥산 두부는 60㎏ 성인이 하루 두부 250g을 섭취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350g 흰쥐에 맞는 양을 계산하였고 생맥산 추출물은 60㎏ 성인이 하루 한약재를 100g 섭취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역시 350g 흰쥐에 맞는 양을 계산하여 구강 투여하였다.
사육 마지막 날 동물을 밤새 16시간 절식시키고 에틸에테르로 약하게 마취시킨 상태에서 복부를 절개하고 주사기를 이용하여 후대정맥에서 3∼4㎖ 혈액을 채취한다. EDTA 튜브에 넣어 혈액이 응고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젖산탈수소효소(lactate dehydrogenase : LDH)분석과 혈중 알코올농도 측정,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기전이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 AST), 알라닌아미노기전이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 ALT),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TG), 말론디알레히드(malone dialdehyde : MDA) 분석에 사용하였다. 채혈 직후 간과 신장을 적출하여, 즉시 냉각된 생리식염수로 세척하고 여과지로 표면의 물기를 제거한 다음 중량을 측정하였다.
체중은 약물 투여한 날부터 부검하기 전날까지 4주 동안 일주일에 한번씩 같은 시간에 측정하였다. 장기의 중량은 부검 후에 실험동물의 후대정맥을 찾아서 채혈한 후 간, 신장을 각각 적출하고 그 중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3: 성장과 체중변화량 및 장기중량변화
피롤라(pirola)와 리에베르(lieber) 등[참조: Piola RC and Lieber CS. Energy wastage in rats given drugs that induce microsomalenzymes. J Nutr 105: 1544-1548, 1975]은 쥐에게 알코올을 섭취시켰을 때 체중증가가 저하되었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한 바 있고, 이들의 또 다른 연구[참조: Piola RC and Lieber CS. The energy cost of the metabolism of drugs, including ethanol, Phamacology 7: 185, 1972]에 의하면 사람이 전체 에너지 중 50%를 당질 대신 알코올로 섭취하였을 때 체중이 감소되었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알코올 섭취로 인해 산소의 소비가 증가되고 대사율이 증가되며 세포 내 마이크로솜에서 알코올 산화기구의 ATP 생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참조: Gruchow HW, Sobocinski KA, Barboriak JJ and Scheller JG. 알코올consumption, nutrient intake and relative body weight among U.S. adults. Am J Clin Nutr 42: 289-595, 1985]
본 발명의 결과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실험동물 Sprague-Dawley(수컷)의 시료 투여 후 4주 동안의 성장과 체중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표 2,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즉, 알코올을 투여한 음성대조군이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체중변화량을 나타내었고 일반두부를 투여한 T1군과 생맥산 두부를 투여한 T2군 및 생맥산 추출물을 투여한 T3군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체중이 정상대조군에 가까운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고 특히 생맥산 두부를 투여한 T2군에서 현저한 체중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일반두부를 투여한 T1군은 음성대조군과 비슷한 체중변화량을 보임으로써 알코올 섭취로 인한 체중감소를 거의 회복하지 못하였음을 나타낸다.
실험예 4: 장기의 중량
에탄올을 장기적으로 섭취하면 지방간 및 간장의 섬유화로 간이 비대해지게 된다[참조: Han, B. H., M.H. Park, L.K.Woo and Y.N. Han. (1979) Studies on the anti-oxidant components of Korea Ginseng, Korea Biochem. J . , 12 : 33]. 간의 중량은 알코올 섭취에 의해 간 조직 내에 지질이 축적됨으로써 알코올을 섭취시킨 모든 군에서 증가 되었다는 연구보고 [참조: Levy, R.I., Bonnel, M. and Ernst, N.D. (1976)J. Am. Dieter. Assoc. , 58 : 406∼417. 및 Lieber,C.S., Don P. Jones. and M. DeCarli. (1965) Am. J. Clin. Nutr ., 44(6) : 1009]와 본 실험 결과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표 2에 나타난 결과를 보면 알코올을 장기 투여한 음성대조군은 알코올을 투여하지 않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대체중간비율(실험동물 체중 100g 당 간중량 %)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지방간 및 간장의 섬유화가 진행되었음 알 수 있었고 따라서 알코올을 장기 투여하면 간이 비대해진다는 위의 보고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그에 반해 생맥산 두부나 생맥산 추출물을 투여한 T2군과 T3군은 대체중간비율이 정상대조군에 가까운 회복세를 나타내어 장기간의 알코올 투여로 인한 지방간 및 간장의 섬유화에 치료 및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중신장비율(실험동물의 체중 100g 당 신장중량 %)은 모든 실험군이 음성대조군에 유의성(p<0.5)을 보였고 정상대조군에 가까운 수치를 보여 알코올 섭취로 인해 손상된 신장의 회복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특히 T2군과 T3군이 회복효과를 보였고 양성대조군과 T1군 역시 T2군이나 T3군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다소 감소된 수치를 나타내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총체중 증대와 간 및 신장의 중량비율


총 체중 증가(g)
평균치±S.D.
체중당 간 중량 (%)
평균치±S.D.
체중당 신장 중량 (%)
평균치±S.D.
No.1 (비-알코올) 43.67±5.96 2.646±0.05 0.619±0.02
No.2 (알코올) 35.17±5.98** 2.873±0.07*** 0.652±0.03*
No.3(알코올+숙취해소제) 36.00±3.78 2.705±0.06 0.627±003*
No.4 (T1) 36.00±7.37 2.716±0.33 0.628±0.04*
No.5 (T2) 43.14±10.11* 2.620±0.12** 0.615±0.03*
No.6 (T3) 41.57±11.37* 2.624±0.13** 0.619±0.04*
(각 값은 7마리 흰쥐의 평균치±S.D.를 나타낸다. S.D.는 표준편차)
T-테스트에 의한 검증결과 P < 0.5(*), P < 0.05(**) 및 P < 0.005(***)에서 서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나타냄.
실험예 5: 생화학적 검사( LDH , 알코올농도, AST , ALT , 콜레스테롤, TG , MDA )
젖산탈수소효소(LDH)활성치는 LDH키트(Boehringer Mannheim, Germany)를 사용하여 자동 생화학 분석기(Hitachi747, Japan)로 측정하였다. 실험 전 흰쥐를 16 ~ 18시간 절식한 후에 1차 투여는 실험물질 + 20%알코올을 각각 2㎖씩 투여하고, 1시간 경과 후 2차 투여시에는 20%알코올을 2㎖씩 투여한 후 1시간 경과 후 3차 투여시에는 20%알코올 + 실험물질을 각각 2㎖씩 투여한 후, 마지막 실험물을 투여한 3시간 후에 혈액을 채취하여 상온에서 30분 정도 방치한 후 원심분리(3000xg·15분)로 혈청을 분리하여 전신피로와 관련이 큰 것으로 알려진 체내에 축적된 젖산치를 자동화학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에탄올 농도 측정은 에탄올 키트(Roche, swizerland)를 사용하여 생화학 분석기(Cobas Integra, Roche, swizerland)로 측정하였다. 실험 전 흰쥐를 16 ~ 18시간 절식한 후에 1차 투여는 실험물질 + 20% 알코올을 각각 2㎖씩 투여하고, 1시간 경과 후 2차 투여시는 20%알코올을 2㎖씩 투여한 후 1시간 경과 후 3차 투여시에는 20% 알코올 + 실험물질을 각각 2㎖씩 투여한 후, 마지막 실험물을 투여한 후 90분 후와 180분 후에 혈액을 EDTA 관에 채취하였으며, 대조군 혈액은 알코올 투여를 시작하기 30분 전에 채취하여 각각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생화학 분석기로 측정하였다.
채혈한 혈액을 30분 동안 실온에 방치한 후 3000 ×g에서 15분간 원심분리 하여 얻은 혈장의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기전이효소(AST)활성치는 AST 키트(Boehringer Mannheim,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장중의 AST의 작용으로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과 α-케토글루탐산은 옥살로아세트산(oxaloacetic acid)과 L-글루탐산으로 변화한다. 이때 생성된 옥살로아세트산은 조효소 NADH의 존재 하에 MDH의 작용으로 말레이트(malate)로 변화되고 이때 NADH가 NAD + 로 산화될 때의 흡광도 감소치를 파장 340 nm에서 자동 생화학 분석기(Hitachi 747)로 측정하였다.
알라닌아미노기전이효소(ALT)의 활성치는 ALT(Boehringer Mannheim, Germany) 키트를 사용하여 자동 생화학 분석기(Hitachi 747)로 측정하였다. 혈장중의 ALT 작용으로 L-알라닌과 α-케토글루타민산은 피루브산(pyruvic acid)과 L-글라탐산으로 변화한다. 생성된 피르브산염(pyruvate)은 조효소 NADH의 존재 하에 LDH의 작용으로 락테이트(lactate)로 변화되고 이때 NADH가 NAD + 로 산화될 때의 흡광도 감소치를 파장 340nm에서 자동 생화학 분석기(Hitachi 747)로 측정하였다.
트리글리세라이드(TG)는 글리세롤 비소거법에 의해 TG 키트 (Boehringer Mannheim, Germany)를 이용하여 자동분석기(Hitachi 747)에서 측정하였고, 콜레스테롤은 효소열량시험(enzymatic calorimetric test)에 의해 T. chol. 키트 (Boehringer Mannheim, Germany)를 사용하여 자동 분석기(Hitachi 747)로 측정하였다.
말론디알데히드(MDA)치는 MDA키트(Bioxtech LPO-586 Assay, Oxis International, Inc. America)를 이용하여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 HP8425A. Hewlette Packard.America)로 분석하였다. 체내에 생성된 활성산소가 체내지방과 결합하여 과산화 지질을 생성하며, 체내의 과산화 지질은 각종 성인병과 관련되어 인간노화의 원인물질로 작용하므로 생맥산 두부의 항 산화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과산화지질을 비색계로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 결과 측정치는 일변수 분석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T-테스트를 이용하여 p<0.5 수준에서 각 실험군 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모든 자료는 평균치±표준편차(S.D.)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6: 생맥산 추출물의 항 피로 효과
표 3과 도 3에 본 발명에 의해 추출되는 생맥산 추출물의 항 피로 효과를 나타내었다. 간기능 장해물질을 투여하여 체내에 젖산이 축적되는 수치 변화를 유도하여 생맥산 추출물 투여군과 비교하여 항 피로 효과를 평가하는데 치료물질을 섭식시킨 경우는 간기능 장애물질 섭식군과 유사하게 높은 젖산수치로 나타났으나 생맥산 추출물을 섭식시킨 동물의 젖산 수치는 거의 정상상태로 억제된 것으로 보아 생맥산 추출물이 항 피로작용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항 피로 효과

젖산농도 (U/L)
평균치±S.D. 범위(최소-최대)
시료1(정상대조군) 사료 1,059.75±409.67 432-1,562
시료2(음성대조군) 사료+간기능장해물질(알코올) 1,348.20±465.55 845-1,959
시료3(양성대조군) 사료+간기능장해물질(알코올)+
간기능치료물질(숙취해소제)
1,364.33±176.93 1,098-1,497
시료4(T3) 사료+간기능장해물질(알코올)+생맥산추출물 1,194.00±251.33 847-1,496
(각 값은 흰쥐 7마리의 평균치±S.D.를 나타낸다.)
실험예 7: 생맥산 추출물의 알코올 분해 효과
표 4와 도 4에 본 발명에 의해 추출되는 생맥산 추출물의 알코올 분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알코올을 투여한 후 1시간 30분 후의 측정치는 시료 3이 가장 낮은 값으로 나타났지만, 3시간 후에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한 결과는 생맥산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 다른 군보다 알코올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생맥산 추출물의 알코올 분해작용은 물론 숙취해소와 지방간을 예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알코올 분해 효과

알코올 농도 (%)
1시간 30분 3시간
사료 섭식 0 0
알코올(장해물질) 섭식 0.17 0.16
숙취해소제 섭식 0.15 0.14
생맥산 추출물 섭식 0.17 0.11
(각 값은 7마리 흰쥐의 평균치±S.D.를 나타낸다.)
실험예 8: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 ( TG ) 함량
표 5와 도 5에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TG) 함량을 나타내었다. 알코올만을 장기 투여한 음성대조군은 73.71±61.20 mg/dL로 정상대조군의 39.57±8.62 mg/dL에 비해 혈장 내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여 장기간의 알코올 투여로 인해 고지혈증이 유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보고된 바에 의하면 장기간의 알코올 섭취는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현저하게 높여주어 지방간을 유도하며, 특히 만성적 알코올 섭취는 지방간을 초래하여 영양불량의 주요원인이 되는데[참조: Rahimtoola SH. (1985) 콜레스테롤 and coronary heart disease.J. Am. Med. Assoc. 253 : 2094∼2095 및Castelli WP, Wilson PW, Levy D, Anderson K. (1990) Serum Lipids and risk of coronary artery disease. Athe roscl. Rev . 21 : 7∼10.] 이로 인한 음식물의 섭취감소 특히 단백질, methionine, choline, vitamin E, Se 등의 항지방간 인자들의 결핍을 초래한다[참조: Cutta, S.K., P.A. Miller, L.B. Greenberg and O.A. Levander (1983) Celenium and acute 알코올ism. Am. J. Clin. Nutr. 38 : 713∼718].
본 발명에서 결과 T1군은 30.20 ±4.71 mg/dL, T2군은 26.57 ±1.68 mg/dL, T3군은 27.29 ±6.96 mg/dL의 혈장내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을 나타내어 음성대조군과 비교할 때 T2군과 T3군이 현저히 고지혈증을 개선시키는 유의성 있는(p<0.05, p<0.01) 연구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생맥산 추출물(맥문동, 오미자, 인산, 황기, 호박)이나 또는 생맥산 두부가 매우 효과적으로 고지혈증을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9: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
표 5와 도 6에 혈장 내 콜레스테롤 함량을 나타내었다. 정상군의 95.71 ±6.86 mg/dL에 비해 음성대조군의 혈장 내 콜레스테롤 함량은 113.80 ±38.19 mg/dL로 증가하여 혈장 내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장기간의 알코올 투여로 인해 고지혈증이 유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군 중 T1군은 86.17 ±5.58 mg/dL, T2군은 85.00 ±5.76 mg/dL 및 T3군은 84.00 ±9.20 mg/dL의 수치를 나타내어 모든 실험군에서 현저히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키는 유의성 있는(p<0.05) 결과를 나타내어 뛰어난 고지혈증 개선 및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혈액 중 높은 콜레스테롤 농도가 고혈압과 동맥경화증 등 심혈관계 질환 유발의 주요인자로 작용한다는 보고[참조: Rahimtoola SH. (1985) 콜레스테롤 and coronary heart disease.J. Am. Med. Assoc. 253 : 2094∼2095; Castelli WP, Wilson PW, Levy D, Anderson K. (1990) Serum Lipids and risk of coronary artery disease. Atheroscl. Rev . 21 : 7∼10; 및 Miettinen TA. (1987) Dietary fiber and lipids.Am. J. Clin. Nutr . 45 : 1237∼1242]에 비추어 각개인의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는 약품과 기능성물질 개발에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로부터 위의 약재, 또는 기능성물질을 개발하였을 경우 그 부가가치는 막대하리라고 예상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들은 신규 천연 고지혈증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쥐의 플라스미드지질의 농도(Concentration of plasmid lipid in the rat)

TG(mg/dL)
평균치±S.D.
CHOL(mg/dL)
평균치±S.D.
No.1 (비-알코올) 39.57±8.62** 92.80±6.01*
No.2 (알코올) 73.71±61.20 113.80±38.19
No.3(알코올+숙취해소제) 30.14±6.73 91.57±6.30
No.4 (T1) 30.20±4.71 86.17±5.58*
No.5 (T2) 26.57±1.68**** 85.00±5.76**
No.6 (T3) 27.29±6.96*** 84.00±9.20**
(각 값은 7마리 흰쥐의 평균치±S.D.를 나타냄)
T-테스트에 의한 검증결과 P < 0.5(*), P < 0.1(**) 및 P < 0.05(***), P < 0.01(****)에서 서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나타냄.
실험예 10: 혈장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기전이효소 ( AST ), 알라닌아미노기전이효소( ALT ) 효소활성도 변화
표 6과 도 7, 도 8은 일반두부 투여군(T1)과 생맥산 두부 투여군(T2), 그리고 생맥산 추출물 투여군(T3)의 간 기능활성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4주 간 시료 투여 후 혈장 AST, ALT 수치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AST는 L-아스파르테이트 + α-케토글루타르산염에 반응하여 옥살로아세테이트(oxaloacetate) + 글루타메이트(glutamate)를 생성시키며 옥살로아세테이트(oxaloacetate)를 피루브산염(pyruvate)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에 참여하는 효소이며, ALT 는 DL-알라닌 + α-케토글루탐산염에 반응하여 피루브산염(pyruvate) + 글루타메이트(glutamate)를 생성시키는 전이 효소로 이 효소들은 그 활성 치가 증가하면 간 기능이 저하되었음을 알려주므로 간 질환 판정효소로 알려져 있다.
표 6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대조군의 혈장 중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기전이효소(AST)치는 84.43 ±47.88 U/L였으나 알코올을 장기간 투여한 음성대조군의 AST 수치는 254.57 ±463.20 U/L로 약 3배 가량의 상승을 보여 장기간의 알코올 투여로 인해 간손상이 유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T2군과 T3군은 61.00 ±3.78 U/L, 64.80 ±6.24 U/L의 AST 활성치를 나타내 음성대조군은 물론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의 70.29 ±12.60 U/L과 비교했을 때 매우 뛰어난 AST 상승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알코올과 함께 일반두부를 투여한 T1군은 78.40 ±36.77 U/L로 AST 상승 억제 효과를 나타내긴 했지만 유의성(p<0.5)을 보이지는 않았다.
표 6 및 도 8에 ALT 효소 활성치를 나타내었다. 정상군의 알라닌아미노기전이효소(ALT) 수치는 44.00 ±9.04 U/L로 나타났으며 이에 비해 음성대조군은 215.43 ±428.93 U/L으로 정상군에 비해 매우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장기간의 알코올 투여로 인한 간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T2군과 T3군은 각각 34.14 ±5.49 U/L 및 36.40 ±8.50 U/L으로 정상군보다도 유의적으로(p<0.5)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알코올과 함께 일반두부를 투여한 T1군 역시 T2군이나 T3군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37.83 ±6.57 U/L로 낮은 활성치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알코올의 장기 섭취는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기전이효소(AST) 및 알라닌아미노기전이효소(ALT)의 활성치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곧 간 기능의 활성이 감소됨을 시사해주는 것이다. 간기능이 저하될 때 간에서 제일 먼저 나타나는 임상증상의 하나가 AST, ALT 활성의 증가로 볼 수 있다[참조: Kien, C.L. and H.E. Ganther (1983) Manifestations of chronic selenium deficiency in a child receiving total parenteral nutrition. Am. J. Clin. Nutr. 37 : 319∼328. 및 Thompson, J.N. and M.L Scott (1970) Impaired lipid and Vitamin E absorption related to atrophy of the pancreas in selenium-deficient chicks. J. Nutr . 100 : 797∼809]. 특히 혈장 ALT는 간세포 변성과 괴사를 예민하게 반영하여 상승하기 때문에 특히 간 담도 질환의 유력한 지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참조: 김순호, 손한철, 이은엽, 장철훈 (1999) 최신 임상검사진단학, 계측문화사, pp. 50∼52].
본 발명에서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장기간의 알코올 섭취로 발생된 간기능 장애에 맥문동, 오미자, 황기, 홍삼, 호박 등의 한약재를 복합처방한 생맥산 추출물 뿐만 아니라 이 생맥산 두부가 상당한 회복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장기 투여하였을 때 간기능 장애의 회복기능이 생맥산 추출물을 단독으로 투여했을 때 보다 현저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혈장내 AST 및 ALT의 효소활성도

AST(U/L)
평균치±S.D.
ALT(U/L)
평균치±S.D.
No.1 (비-알코올) 84.43±47.88* 44.00±9.04*
No.2 (알코올) 254.57±463.20 215.43±428.93
No.3(알코올+숙취해소제) 70.29±12.60* 37.29±9.30*
No.4 (T1) 78.40±36.77 39.20±9.22*
No.5 (T2) 61.00±3.78* 34.14±5.49**
No.6 (T3) 64.80±6.24* 36.40±8.50*
(각 값은 7마리 흰쥐의 평균치±S.D.를 나타냄)
T-테스트에 의한 검증결과 P < 0.5(*), P < 0.05(**)에서 서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나타냄.
실험예 11: 혈장의 MDA 함량
표 7과 도 9에 말론디알데히드(MDA)함량을 나타내었다. 알코올만 투여한 음성대조군은 5.7±3.24 마이크로μ㏖로 정상대조군의 4.40±0.13에 비해 혈장내 MDA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여 장기간의 알코올 투여로 인해 과산화지질 생성이 유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보고된 바에 의하면 체내의 활성산소가 체내지방과 결합하여 과산화지질을 생성하며 체내에 형성된 과산화지질은 각종 성인병과 관련되어 노화를 촉진하는 노화의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결과 일반 두부를 투여한 T1군은 5.97±1.91μ㏖로 음성대조군과 유사한 높은 수치를 보이는 반면 생맥산 두부를 투여한 T2군은 4.82±0.45μ㏖로 유의성 있는 (P < 0.1)낮은 수치를 보여 생맥산 두부가 항 산화 및 항 노화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되었다.
흰쥐 내 말론디알데히드의 농도

MDA(umol)
평균치±S.D.
No.1 (비-알코올) 4.40±0.13
No.2 (알코올) 5.70±3.24*
No.3(알코올+숙취해소제) 4.56±60.15**
No.4 (T1:알코올+일반두부) 5.97±1.91**
No.5 (T2:알코올+생맥산두부) 4.82±0.45**
(각 값은 7마리 흰쥐의 평균치±S.D.를 나타냄)
T-테스트에 의한 검증결과 P < 0.5(*), P < 0.1(**)에서 서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나타냄.
실험예 12: 생맥산 추출물이 생체에 미치는 아급성 독성실험
생맥산 추출물이 생체에 미치는 아급성 독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은 체중이 250 ±10g인 Sprague-Dawley(SD)계의 7주된 웅성 흰쥐를 대한 실험 동물센터에서 구입하여 10일간 건국 대학의 동물사육실에서 적응시켰다. 적응시키는 동안에 사육실의 온도와 습도는 각각 22 ±2℃, 55 ±5%로 항온, 항습을 유지하였고 식이는 고형사료(삼양사)와 물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10일 간 사육실에 적응시킨 체중이 300 g 전후의 흰쥐 6마리를 한 군으로 하여 정상대조군(Normal control 군) 및 실험군(Test 군)으로 분류하였다. 정상대조군은 사료와 물을 자유 섭식토록 하였으며 매일 오전 11시 30분 2㎖의 증류수를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군 1(이하 T1로 표기)은 사료와 물을 자유 섭식토록 하였으며 매일 오전 11시 30분 생맥산 추출물 2㎖을 경구 투여하였다. 이때 식이는 삼양사의 고형사료를 자유 공급하였으며 각 군의 처리는 표 8과 같다.
군 조성

시험 No.
처리
No.1 (정상대조군) 6 사료 + 음용수 + 증류수
No.2 (시험군1-T1) 6 사료 + 음용수 + 생맥산추출물1 )
*생맥산추출물1 ):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 홍삼(Panax ginseng C.A. Meyer) + 호박(Cucurbita spp.)추출물
한약시료는 경동약재시장에서 구입한 홍삼(Panax ginseng C. A. Meyer, 충청남도 금산산),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강원도 양양산),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및 호박 (Cucurbita spp.)을 혼합하여 총 100g의 한약재에 3차 증류수 1,000㎖을 첨가하여 2시간 30분 동안 끓인 후(대웅약탕기, DWP-2000M) 거즈로 1차 여과하고, 3MM 페이퍼로 2차 여과한 후 최종 부피를 400㎖로 하여 4℃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생맥산추출물 400㎖를 사람에게 1일 투여하는 양으로 계산하여 300g의 랫트에게 28일 동안 매일 2㎖ 씩 경구투여 하였다.
시료 투여 시 일반상태 이상유무 관찰하기 위하여 매일 적어도 2회 이상 동물의 일반상태를 세밀히 관찰하였다. 일반상태로서 피부, 피모, 안·점막, 배변, 운동 및 패턴 등에 대하여 이상상태의 발현시간, 정도, 지속시간을 관찰하였고 또 서로에 대한 공격성의 증가 유무, 자해 유무, 조직의 자기융해 등을 면밀히 관찰 체크하였다. 그리고 군마다의 동물수를 항상 확인하여 실험동물의 실종을 체크하였다.
부검 후 각 장기의 이상유무 관찰하기 위하여 부검 후에는 복강 내 각 기관들의 색깔, 크기, 외형적 변화 등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상 유무를 체크하고 간장과 신장은 보존액에 보존하였다.
사망률 측정을 위하여 시료 투여 28일간 각 군의 랫트 사망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체중 측정(1회/1주일) 및 기관중량측정(부검 후)을 위하여 체중은 시료 투여 후 부검하기 전날까지 4주 동안 일주일에 한번씩 같은 시간에 측정하였으며 장기의 중량은 부검 후에 실험동물의 후대정맥을 찾아서 채혈한 후 각 군의 실험동물의 간 및 신장을 정확히 적출하고 각각의 중량을 측정하여 대체중 장기비율을 계산하였다. 섭이량 및 섭수량 측정을 위하여 시료 투여 28일간 1회/1일, 매일 동일시간에 각 군의 섭이량 및 섭수량을 측정하여 이상유무를 관찰하였다.
혈액학적 검사(Hematological values 및 CBC differentiation 측정)를 위하여 EDTA 관에 채워진 혈액은 곧바로 잘 흔들어 균등질이 되게 하고 쿨터JT(Coulter electronics Inc, USA, PN 4235846B)로 백혈구(WBC : White Blood Cell), 적혈구(RBC : Red Blood Cell), 헤모글로빈(HGB : Hemoglobin), 혈액용적백분율(HCT : Hematocrit), 혈소판(Platelet)을 측정하였다. 에탄올에 12시간 담근 후 깨끗이 세척한 슬라이드 글라스에 면봉막대로 혈액을 도말하여 공기 중에서 건조한 후 라이트스테인(Wright stain : Yong Dong pharm, Co. Kyungki, Korea)액을 10방울 떨어뜨려 3분간 고정염색하고 라이트 완충 용액(Yong Dong pharm, Co. Kyungki, Korea) 10방울로 충분히 혼합시켜 5∼6분간 염색하였다. 이때 침사가 고착하지 않도록 유의하여 검경에 불편을 최소화하였다. 이 슬라이드 글라스는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삼차증류수로 조심스럽게 수세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충분히 마른 후 오일 침지 하에서 커버슬라이드(cover slide)를 사용하지 않고 검경하였다. 메뉴얼 WBC 디퍼레샬카운터(differential counter)를 사용하여 백혈구를 종류별로 구별하면서 총 백혈구수 백개를 세어서 백분율로 분포를 측정하고 과립구(granulocytes)는 쿨터(coulter) 결과와 이중확인(double check) 하였다. 망상적혈구(reticulocyte)빈도는 모세관(capillary)을 사용하여 3차 증류수에 용해시켜 여과 후 실온에 보관중인 1% 뉴메틸렌블루(new methylene blue : sigma)를 혈액과 동량으로 잘 섞어 3∼5분 방치하고 깨끗이 준비된 슬라이드 글라스에 도말하였다. 망상적혈구 계수는 1000개의 적혈구를 계수하는 동안에 나타나는 망상적혈수의 빈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혈액생화학적 검사(총단백, 총콜레스테롤, albumin, AST, ALT, alkaline phosphatase, 총bilirubin 측정)를 위하여 EDTA 프리드 튜브(freed tube)에 채워진 혈액을 30분 동안 실온에 방치한 후 3000 ×g에서 15분간 원심분리 하여 얻은 혈청의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기전이효소(AST) 활성치는 AST 키트(Boehringer Mannheim, Germany)를 사용하여 자동생화학분석기(Hitachi 747)로 측정하였다. 알라닌아미노기전이효소(ALT)의 활성치는 ALT(Boehringer Mannheim, Germany)키트를 사용하여 자동 생화학 분석기(Hitachi 747)로 측정하였다. 총 콜레스테롤(T-Chol.)은 효소열량시험에 의하여 총 콜레스테롤키트(Boehringer Mannheim, Germany)를 사용하여 자동 생화학 분석기(Hitachi 747)로 측정하였다. 알부민(albumin)은 pH 4.2에서 BCG(Brom Cresol-Green)과 결합하여 화합물을 형성하는데 이때의 흡광도를 ALB(Boehringer Mannheim, Germany)kit을 사용하여 자동 생화학 분석기(Hitachi 747)로 측정하였다.
알칼리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 : ALP)는 IFCC 검사 원리 하에 ALP(Boehringer Mannheim, Germany) 키트를 사용하여 자동 생화학 분석기(Hitachi 747)로 측정하였다. 총 빌리루빈(Total bilirubin : T-Bil.)은 DPD법 하에 Bil-T(Boehringer Mannheim, Germany) 키트를 사용하여 자동 생화학 분석기(Hitachi 747)로 측정하였다. 총 단백질(Total protein : TP)은 뷰렛법 하에 TP(Boehringer Mannheim, Germany) 키트를 사용하여 자동 생화학 분석기(Hitachi 747)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뇨검사(pH, 뇨잠혈, 뇨단백, 뇨당, 뇨 케톤의 측정)를 하기 위하여 부검하기 전날 각 군의 실험동물을 각각 한 마리씩 에탄올로 소독된 깔짚이 깔려있지 않은 케이지에 넣고 뇨를 배출하기를 기다린 후, 배출된 뇨를 멸균된 캡 튜브에 담은 후, 지시 시험지(Serotech Korea Co. Ltd., Seoul)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실험동물의 뇨pH, 뇨단백, 뇨당, 뇨케톤 및 뇨잠혈의 정도를 검사하였다.
사육 마지막날 동물을 밤새 16시간 절식시키고 체중을 측정하였다. 체중 측정이 끝난 SD계의 랫트를 25㎝ 지름의 데시케이터에 넣고, 증류한 무수 에테르(T.J. Baker Analized ACS reagent, USA)로 3∼4분간 마취시킨 후 해부대에서 복부(ventral)가 보이도록 놓고 네다리를 압핀(thumb tag)으로 고정하였다. 알코올로 복부 전면을 소독한 후 forcep으로 복부피부를 집어서 해부가위로 정중선을 따라서 절제하고, 해부칼로 장기가 보이도록 절개하였다. 0.85% 식염수(Shinyo pure chemicals Co. LTD, Japan)로 세척하고, 장기가 마르지 않도록 충분히 식염수를 뿌려주면서 EDTA를 처리하지 않은 주사기와 시험관을 이용하여 후대정맥에서 5∼6㎖의 혈액을 채취하여 상온에서 30분 경과 후, 3000 rpm에서 15분간 저온(4℃)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얻었다. 이는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기전이효소(AST), 알라닌아미노기전이효소(ALT), 알칼리포스파타제(ALP), 총 콜레스테롤, 총 단백질, 알부민, 총 빌리루빈 분석에 사용하였다. EDTA 튜브에 혈액을 따로 채혈하여 얻은 EDTA 혈액을 이용하여 혈액학적 검사(hematological values 및 CBC differentiation 측정)에 사용하였다. 간, 신장을 차례로 절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완충 포르말린(buffered formalin)용액(40% formaldehyde 10㎖, 0.65g sodium phosphate monobasic, sigma, 0.4 g sodium phosphate dibasic, sigma/100 ㎖ T.D.W)에 고정한 후 실온에 보관하였다.
모든 실험 결과 측정치는 일변수 분석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p<0.05 수준에서 각 실험군 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모든 자료는 평균치±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시료투여 후 매일 적어도 2회 이상 실험동물의 일반상태를 세밀히 관찰하였는 바, 시료 투여기간 중 시험 물질에 기인된 특이한 이상 임상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즉, 피부, 피모, 안·점막, 배변, 운동 및 패턴 등에 대하여 이상상태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으며 상대 동물에 대한 공격성 및 자신에 대한 자해, 조직의 융해 등 이상 징후도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사육 마지막날 실험동물을 밤새 16시간 절식시키고 에테르로 3∼4분 간 마취시킨 상태에서 부검 후 정상대조군과 각각의 실험군의 심장, 폐, 간장, 신장, 비장, 부신, 위, 정소의 이상유무를 관찰하였다. 각 실험군의 장기들은 정상대조군의 장기들과 비교하여 모양 및 형태, 크기, 색깔 등에서 전혀 외형적 이상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각 장기의 빛깔 및 형태가 아주 선명한 것으로 관찰되어 투여시료에 기인한 각 장기의 이상적 특이 증상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시료 투여 후 4주 동안 정상대조군 및 생맥산 추출물을 투여한 T1군의 섭이량 및 섭수량은 일정하였으며 전혀 기복을 나타내지 않았고 정상대조군과 실험군을 망라하여 사망한 실험동물은 없었다.
실험동물 Sprague-Dawley 계 랫트(수컷)의 시료 투여 후 4주 동안의 주간 체중변화량은 정상대조군과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시료 투여 후 4주 동안의 총 체중증가량 역시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성(p<0.05)있는 차이점을 나타내지 않았다. 즉, 시료를 투여한 4주 간 실험동물의 주간 체중변화량 및 총 체중증가량은 T1이 정상군과 비슷한 수치를 보임으로써 투여시료가 체중의 증감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동물의 장기 중량 변화는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 당 간중량 %는 정상대조군에서 2.94 ±0.077의 수치를 나타내었는데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성(p<0.05)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투여시료가 실험동물의 장기 중량에 특별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실험동물의 체중 당 신장중량 % 역시 0.711 ±0.043의 수치를 보인 정상대조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성(p<0.05)있는 차 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총 체중증대와 간 및 신장의 중량비율


총 체중증가 (g)
평균치±S.D.
체중당 간 중량 (%)
평균치±S.D.
체중당 신장 중량 (%)
평균치±S.D.
No.1 (정상대조군) 120.17±7.84 2.94±0.077 0.711±0.043
No.2 (T1) 120.20±12.86 3.09±0.279 0.717±0.039
(각 값은 6마리 흰쥐의 평균치±S.D.를 나타냄)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 없슴 : P < 0.05
각 군(n = 6)의 실험동물로부터 채취한 뇨에 대한 일반분석(routine urinalysis)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통상 검체의 뇨의 변화는 신장, 뇨로계의 병태를 잘 반영하므로 진단 예후 판정에 유용하며 아울러 체액의 변화를 잘 반영하므로 대사 장애, 당뇨병, 간질환, 전해질의 불균형 등의 지표가 된다.
표 10에 나타난 정상대조군 및 실험군의 뇨 pH는 7.5 ∼ 8.5를 나타내 정상군과 실험군 사이에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뇨의 기준치에도 부합되어 투여시료에 기인한 뇨 pH의 특이 사항은 나타나지 않았다.
각 실험동물의 뇨단백은 검뇨의 기준치 상 negative(-) ∼ trace(±)를 나타내는 것이 정상이나 본 실험에서는 T1군 6마리 중 1마리에서 trace, 4마리에서 1 positive 1마리에서 2 positive를 나타냈으며 정상대조군에서도 6개체중 1마리에서 trace, 3 마리에서 1 positive, 1마리에서 2 positive를 나타내는 등 거의 모든 실험동물에서 뇨단백이 검출되었다. 이와 같이 정상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positive 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투여시료가 뇨단백 이상을 유발한 것으로는 판단할 수 없다. 통상 정상대조군의 뇨단백이 음성인데 반하여 시험군의 뇨단백이 양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투여약재에 기인한 사구체성 단백뇨, 세뇨관성 단백뇨, 신정 및 신후성단백뇨 등의 병적단백뇨를 의심할 수 있는데 반하여 정상대조군 및 시료투여군 모두에서 단백뇨가 검출될 시에는 운동성단백뇨, 기능성단백뇨 등의 생리적단백뇨(비병적단백뇨)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 정상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단백뇨가 검출된 것은 야행성인 랫트에서 야간에 뇨를 채취함으로 인해 활발한 운동성 생리적단백뇨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부검 후 신장에 아무런 이상징후를 발견할 수 없었던 점등도 활발한 운동으로 인해 운동성 생리적 단백뇨가 검출되었다는 판단을 뒷받침해 준다.
검체의 뇨에서 당이 검출되는 것은 당뇨병, 신성당뇨, 내분비질환, 췌장질환, 간경변, 뇌종양 등의 징후를 반영하는 것이다.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대조군 및 생맥산 추출물을 투여한 T1군 모두에서 당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연구 결과가 나타나 투여시료에 기인한 뇨당의 이상상태는 나타나지 않는다.
표 10에 정상대조군과 실험군 각 군의 뇨 케톤 측정결과를 나타내었다. 뇨 케톤은 지방산 산화 항진 여부를 진단하는 주요 지표로써 케톤체는 생체 에너지 의존도가 당질보다 지방산으로 기울 때 증가하며 이의 증가는 인슐린의 결핍을 반영한다. 따라서 검체의 뇨에서 케톤이 검출되는 것은 검체가 중증당뇨병이거나 또는 당질 섭취부족 심한 경우 기아상태에 직면해 있음을 나타낸다. 뇨 케톤에 대한 본 실험의 연구 결과에서는 정상대조군 랫트 6마리 중 2마리에서 1 positive를 나타내었으며, T1군은 1마리에서 1 positive를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이 정상대조군과 실 험군 모두에서 positive 결과가 나타난 것은 투여시료가 뇨 케톤체 이상을 유발한 것으로는 판단할 수 없다. 오히려 실험동물들이 충분한 식이를 섭취한 점과 모든 실험군에서 뇨당이 검출되지 않은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실험동물들이 섭취한 삼양사 사료의 조성(조단백 22.1% 이상, 조지방 3.5% 이상, 조섬유 5.0% 이하, 조회분 8.0% 이하 …)이 상기와 같은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정상대조군과 실험군의 랫트들이 섭취한 사료가 당질인 조섬유의 비율은 지극히 낮았고 상대적으로 조지방 및 조단백의 비율은 조섬유의 5, 6 배에 달할 정도로 높았기 때문에 뇨 케톤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사료를 바꾸어 섭식시킨 후 재 실험이 필요하다. 뇨잠혈은 요로의 이상을 진단하는 지표로 표 10에 정상대조군과 실험군 각 군의 뇨잠혈 측정결과를 나타내었다. 각 군모두에서 뇨잠혈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투여시료에 기인한 뇨잠혈의 이상상태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소변 분석
pH 단백질(U) 글루코즈(U) 케톤(U) 혈액(U)


No.1
(정상대조군)

7.5 1Positive Negative Negative Trace(±)
8.5 Trace(±) Negative 1Positive Negative
8.5 1Posi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8.5 2Positive Negative 1Positive Negative
8.5 Negative Negative Negative
8.5 1Posi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o.2
(T1)

8.0 2Posi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8.5 1Positive Negative 1Positive Negative
8.5 1Posi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8.5 Trace(±) Negative Negative Negative
8.5 1Posi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8.5 1Posi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4주간 실험물질 투여 후 혈액학적 검사(hematological values 및 CBC differentiation 측정)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생맥산 추출물을 투여한 T1군의 RBC, WBC, HCT, HGB, PLT, Reticulocyte, WBC diff. count 수치를 T-테스트에 의해 통계 처리한 결과, 각각의 실험군에서 미미한 차이를 나타냈지만 정상군의 그것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내는 군은 전혀 없었다. 따라서 투여시료에 기인한 혈액학적 독성은 전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혈액학적 결과
No.1 (정상대조군) No.2 (T1)
RBC 7.86±0.13 7.78±0.66
WBC 9.97±1.57 9.42±2.79
BCT 47.80±3.19 46.20±4.40
HGB 15.28±0.17 14.80±1.27
PLT 1072±188.71 1033.40±75.67
망상적혈구 3.26±0.25 3.23±0.29
뉴트로필 Stab. - -
뉴트로필 Seq. 8.60±3.38 8.00±0.71
림프구 88.20±5.56 88.20±2.32
단구 3.20±2.18 3.60±1.50
호산구(Eosinophil) - -
호염기구(Basophil) - -
정적아구
(Normoblast)
- -
아세포(Blast) - -
(각 값은 6마리 흰쥐의 평균치±S.D.를 나타냄)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 없슴 : P < 0.05
적혈구수(RBC)(104/mm3); 백혈구수(WBC)(103/mm3); 혈액용적백분율(HCT)(%); 헤모글로빈(HGB) (g/dL); 혈소판(PLT)(103/mm3)
표 12에 4주간 실험물질 투여 후 혈액 생화학적 검사를 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T1군의 TP, 알부민, T-Bil, ALP, AST, ALT, T-Chol. 수치를 통계 처리한 결과, 각각의 실험군에서 미미한 차이를 나타냈지만 정상군의 그것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내는 군은 전혀 없었다. 따라서 투여시료에 기인한 혈액생화학적 독성은 전혀 나타나지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화학적 수치
No.1 (정상대조군) No.2 (T1)
TP 6.27±0.23 6.35±0.13
알부민 3.75±0.14 3.82±0.09
T-Bil. 0.1±0.00 0.1±0.00
ALP 95.00±5.77 100.80±4.79
AST 111.33±35.42 104.17±24.45
ALT 40.33±6.07 39.83±3.48
T-Chol 75.67±4.82 75.83±13.58
(각 값은 6마리 흰쥐의 평균치±S.D.를 나타냄)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 없슴 : P < 0.05
TP, 총 단백질(mg/dL); ALP, 알칼리포스포타제(U/L); ASP(U/L); ALT(U/L); T-Chol, 총 콜레스테롤(U/L); T-Bil, 총 빌리루빈(mg/dL)

Claims (5)

  1. 맥문동, 오미자, 황기, 홍삼 및 호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증류수를 가하여 가열한 후 거즈로 여과하여 원심분리기에서 5000~8000×g의 속도로 10~30분간 원심분리하여 추출하는 공지의 생맥산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생맥산 추출물은 2~5시간 동안 95~130℃의 온도로 약탕기에서 가열하여 농축액으로 만든 후 추출하며,
    상기 생맥산 추출물의 구성성분인 맥문동:오미자:황기:홍삼:호박의 중량비는 10:10:8:1~2:7~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산 추출물.
  2. 맥문동, 오미자, 황기, 홍삼 및 호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증류수를 가하여 가열한 후 거즈로 여과하여 원심분리기에서 5000~8000×g의 속도로 10~3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생맥산 추출물을 추출한 후 두유액에 혼합하여 제조하는 공지의 생맥산 두부에 있어서,
    상기 생맥산 추출물은 2~5시간 동안 95~130℃의 온도로 약탕기에서 가열하여 농축액으로 만든 후 추출하며,
    그 구성성분인 맥문동:오미자:황기:홍삼:호박의 중량비가 10:10:8:1~2:7~8인 상기 생맥산 농축 추출물을, 콩으로 이루어진 10%(v/v) 두유액 95~97%(v/v)에 3~5%(v/v)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산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3. 맥문동, 오미자, 황기, 홍삼 및 호박을 각각 100g, 100g, 80g, 10~20g, 및 70~80g 혼합하고, 그 혼합물에 증류수 1850㎖를 첨가하여 3시간 동안 120℃의 온도로 약탕기에서 추출한 후 가제로 1차 여과하고, 8000×g의 속도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생맥산 추출물을 제조하고, 10%(v/v) 두유액을 제조하여 40분간 끊인 다음, 여과 분리한 두유를 85~90℃까지 냉각한 두유액에 상기 생맥산 추출물을 5%(v/v) 첨가하여 두부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산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120℃의 온도로 약탕기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산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의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생맥산 추출물을 두유액에 3~5%(v/v) 첨가하여 두부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산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의 제조방법.
KR1020100007652A 2010-01-28 2010-01-28 생맥산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7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652A KR20110087965A (ko) 2010-01-28 2010-01-28 생맥산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및 그 제조방법
JP2010082069A JP5762693B2 (ja) 2010-01-28 2010-03-31 生脈散エキスを利用した生脈散豆腐の製造方法(preparingmethodofsaengmaeksanbeancurdusingsaengmaeksanextr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652A KR20110087965A (ko) 2010-01-28 2010-01-28 생맥산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965A true KR20110087965A (ko) 2011-08-03

Family

ID=4458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652A KR20110087965A (ko) 2010-01-28 2010-01-28 생맥산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762693B2 (ko)
KR (1) KR201100879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3918A (zh) * 2016-05-05 2017-11-14 兰州大学 一种中药组合物醇提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109543A (ko) * 2019-03-13 2020-09-23 김동윤 천연 간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방 두부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4460B (zh) * 2012-03-31 2013-10-30 陈欣 治疗心肌梗塞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211027A (zh) * 2013-03-30 2013-07-24 马鞍山市黄池食品(集团)有限公司 一种辅助降血压豆浆及其制作方法
CN104274783A (zh) * 2014-10-27 2015-01-14 杨伟东 一种治疗咳嗽的中药
CN104491413A (zh) * 2014-12-31 2015-04-08 广西半宙天龙制药有限公司 清肺止咳片
CN104740054B (zh) * 2015-04-12 2017-09-01 黑龙江中医药大学 一种防治心肌缺血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4906378A (zh) * 2015-06-21 2015-09-16 臧海阳 一种治疗肺热咳嗽的中药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022B1 (ko) * 2001-01-22 2004-08-04 주식회사 바이오빅스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응고제로한 기능성 두부 및 그 제조방법
KR100454414B1 (ko) * 2001-06-25 2004-10-26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산소를 이용한 개량 홍삼의 제조 방법
KR20040084542A (ko) * 2003-03-28 2004-10-06 주식회사 바이오빅스 간기능 활성증진 및 항고혈장지질용 생맥산 두부
KR20060031899A (ko) * 2004-10-11 2006-04-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간 보호 및 지질대사 향상용 11에스 단백질 두부 및배아두부
KR20080098193A (ko) * 2007-05-04 2008-11-07 박갑주 생맥산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3918A (zh) * 2016-05-05 2017-11-14 兰州大学 一种中药组合物醇提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109543A (ko) * 2019-03-13 2020-09-23 김동윤 천연 간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방 두부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62693B2 (ja) 2015-08-12
JP2011157340A (ja)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7965A (ko) 생맥산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및 그 제조방법
Ghasi et al. Assessment of the medical benefit in the folkloric use of Bryophyllum Pinnatum leaf among the Igbos of Nigeria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Panunto et al. Acute and chronic toxicity studies of the water extract from dried fruits of Terminalia chebula Rezt. in rats
KR20020041639A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US20210046003A1 (en) Health drink composition for preventing liver damage caused by alcohol while providing excellent hangover relief
KR100552398B1 (ko)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Emelike et al. Acute and sub-acute toxicity studies on Combretum dolichopetalum Engl. & Diels leaves.
KR100853829B1 (ko) 고혈압 예방 및 지질대사 개선용 기능성 간장 및 그 제조방법
Yarmohammadi et al.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pomegranate extract on antioxidant markers in women postmenopausal with type 2 diabetes
KR101371143B1 (ko)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890796B1 (ko)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US20060051436A1 (en) Composition for controlling excessive calorie intake-induced disorder, food product for controlling excessive calorie intake-induced disorder, skin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for controlling excessive calorie intake-induced disorder, and controlling agent for excessive calorie intake-induced disorder
Emelike et al. Biochemical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aqueous extract of Hibiscus sabdariffa on Wistar albino rats
KR20140137289A (ko)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080098193A (ko) 생맥산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KR100952188B1 (ko) 당화혈색소 강하용 건강 보조 식품
CN106579392A (zh) 一种缓解延迟性肌肉酸痛的组合物
Nnamonu et al. Effects of Hibiscus Sabdariffa calyces aqueous extract on serum cholesterol, body weight and liver biomarkers of Rattus Novergicus
KR20140016863A (ko) 식물 재료의 항피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및 제품
KR20140137288A (ko) 고량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511364B1 (ko) 복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2266729B1 (ko) 매괴화와 육계를 함유하는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040084542A (ko) 간기능 활성증진 및 항고혈장지질용 생맥산 두부
KR20100001635A (ko) 항당뇨 기능성 가시파래추출물,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기능성식이식품 및 가시파래의 사용방법
KR100868261B1 (ko) 근력 향상 활성을 갖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114

Effective date: 2013030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410

Effective date: 201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