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899A - 간 보호 및 지질대사 향상용 11에스 단백질 두부 및배아두부 - Google Patents

간 보호 및 지질대사 향상용 11에스 단백질 두부 및배아두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899A
KR20060031899A KR1020040080862A KR20040080862A KR20060031899A KR 20060031899 A KR20060031899 A KR 20060031899A KR 1020040080862 A KR1020040080862 A KR 1020040080862A KR 20040080862 A KR20040080862 A KR 20040080862A KR 20060031899 A KR20060031899 A KR 20060031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fu
protein
alcohol
embryo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환
박갑주
김강성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080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1899A/ko
Publication of KR20060031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14Vegetable proteins
    • A23J3/16Vegetable proteins from soybe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70Germinated pulse products, e.g. from soy bean spr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18Coagul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1S 단백질 가루에 가미 호박 생맥산을 첨가하여 응고시켜 제조한 11S 단백질 두부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보호, 알콜에 유발된 간질환 개선 및 지질대사 향상용 11S 단백질 두부 및 배아 파우더에 가미 호박 생맥산을 첨가하여 응고시켜 제조한 배아 두부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보호, 알콜에 유발된 간질환 개선 및 지질대사 향상용 배아 두부에 관한 것이다.
간 보호, 지질대사 향상, 11에스 단백질 두부, 배아두부

Description

간 보호 및 지질대사 향상용 11에스 단백질 두부 및 배아두부{11S Protein Tofu and Soybean Embryo Tofu 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Cell Damage of Rat}
도 1은 본 발명에서 실험동물 체중의 총 변화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매주 실험동물 체중 증가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평균 식이 섭취(7주 : 1주의 알코올 적응기간과 6주의 처리기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실험동물의 체중 비율로서 간의 무게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알코올을 섭취한 실험동물에서 혈청 AST의 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알코올을 섭취한 실험동물에서 혈청 ALT의 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알코올을 섭취한 실험동물에서 혈청 LDH의 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알코올을 섭취한 실험동물에서 혈청 총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알코올을 섭취한 실험동물에서 혈청 총 지질의 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간 보호 및 지질대사 향상용 11S 단백질 두부 및 배아두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1S 단백질 가루에 가미 호박 생맥산을 첨가하여 응고시켜 제조한 11S 단백질 두부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보호, 알콜에 유발된 간질환 개선 및 지질대사 향상용 11S 단백질 두부 및 배아 파우더에 가미 호박 생맥산을 첨가하여 응고시켜 제조한 배아 두부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보호, 알콜에 유발된 간질환 개선 및 지질대사 향상용 배아 두부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은 적당히 마시면 신체의 피로감과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고 소화액의 분비를 자극하여 식욕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최근에 적당량의 알코올 섭취가 HDL-콜레스테롤 농도 상승과 관련하여 동맥경화증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기도 했었다. 그러나, 지나친 음주는 간, 심장 그리고 췌장과 같은 내부 장기에 손상을 입히고 마침내 알코올 중독으로까지 악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단시간 동안의 과도한 알코올의 섭취는 알데히드의 축적, 고혈압, 빈맥과 쇼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과도한 알콜의 섭취는 간 내에서의 지질 산화나 소포체에서 약물대사의 활성을 방해하기도 한다.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 시에는 적응성을 유도하여 알코올 및 약물의 대사가 증가되고 지단백의 생성이 가속화되어 간세포의 손상을 가져오게 한다. 즉, 섭취하는 알코올의 양, 섭 취기간 등에 따라 간의 손상 정도가 달라지는 것이다.
알코올은 소장의 상층 부분에서 빠르게 흡수된다. 알코올 성분을 많이 함유한 혈액은 정맥과 소화관의 모세혈관을 통해 간으로, 거의 매일 간세포에 영향을 미치게 한다고 보고 되었다. 우리 신체 내에 있는 간세포는 충분한 양의 알코올 탈수소효소를 방출하여 적당한 비율로 알코올을 산화시킨다. 신체 기능의 손상과 알코올 섭취로 인한 손상은 주로 두 가지 방법으로 작용한다. 첫째는 신체의 식이 섭취에 관한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함으로써 야기되는 영양결핍 현상이며 두 번째는 특히 중추적으로 간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독성의 영향으로 야기되는 장기의 병변으로 나타난다.
간은 인체에 있어 가장 큰 내부 장기이다. 간의 기능은 생명과도 직접적으로 연관되고 인체의 대사 활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필수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 간은 순환하는 혈액을 여과시키고, 독성의 물질들을 제거하고 파괴시키기도 한다. 또한 담즙을 생산함으로써 지방을 소화시켜주며 흡수하기 유리하게 용해성으로 정제시켜주기도 한다. 간은 필수적인 영양분인 콜레스테롤을 합성시키고, 당분을 대사로 변화시키거나 저장하고, 비타민을 저장하고 간이나 다른 신체 안에서 이용하기 위해 단백질을 축적시킨다. 간은 또한 배설하기 위해 대사물의 부산물을 요소로 전환시킨다. 게다가, 간은 혈액 응고의 대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행히도, 간의 기능은 일생동안 중요한 장기의 기능이 지속될 수 있게 소생시키기도 한다. 신체에 있어 간의 정상적인 기능은 연구의 대상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 간세포는 다양한 세포이하의 구획에서 각각 정해진 에탄올 대사에 있어 세 가지 경 로를 포함 하는데: (i) 시토솔(cytosol) 또는 세포의 용해될 수 있는 단편에 있어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경로, (ii) 소포체에 위치한 마이크로솜(microsomal) 에탄올의 산화 경로, (iii) 퍼옥시좀(peroxisome)에 위치한 카탈라제(catalase) 경로와 같은 3가지이다. 이러한 각각의 경로들은 특이한 대사와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 독성의 대사산물의 생성에 있어 세 가지 경로의 결과물들의 독성의 장애물을 합성시킨다.
알코올의 섭취는 간에 직접적으로 유독할 뿐만 아니라, 영양 결핍의 증상도 나타난다. 비록 에탄올에 에너지가 충분하지만, 장기간의 하루 동안에 섭취한 2,000 칼로리 이상의 알코올은 체중을 증가시키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 또한, 알코올이 탄수화물 및 칼로리로 대체되거나 실험동물의 체중이 감소된다는 것은 식이를 섭취하는 것보다 알코올을 섭취하면서 에너지를 빼앗기는 효과를 나타낸다. 알코올은 직접적으로 간에 유독하다. 이러한 직접적인 간세포의 손상은 알콜성 간질환으로 나타나며 유리기에 의한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유리기의 공격에 의한 일반적인 결과는 지질 과산화(peroxidation)의 현상에 의한 간세포막의 연속적인 퇴화를 가져온다. 만성적인 알코올의 섭취는 흰 쥐에서의 지질 과산화(peroxidation)가 간의 손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유도된다.
알코올이 간 손상을 유래하는 일반적인 세 가지 현상으로 지방간과, 간염, 간 경변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대략 90~100% 정도의 심각한 알코올 중독자들은 간의 비대함을 50% 이상의 알코올 중독자에서는 간염을 15~30% 정도의 알코올 중독자에서는 간 경변이 나타난다고 보고 되어 있다. 지방간이란 간염과 달리 간세포 자 체의 염증이나 파괴가 아니고 간세포 속에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축적된 지방자체는 간세포에는 큰 독성이 없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고 간 기능이 정상이거나 조금 저하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나타난다. 지방간이 심해져서 간세포속의 지방덩어리가 커지면 핵을 포함한 간세포의 기능이 저하된다. 즉 세포 속의 축적된 지방으로 인하여 간세포 사이에 있는 미세혈관과 임파선을 압박하여 간 내의 혈액과 임파액의 순환에 장애가 생기게 되며, 그 결과 간세포는 산소와 영양공급을 적절히 받을 수 없어 간 기능이 저하된다. 알콜성 간 경변은 알코올에 유래된 간 손상의 가장 심각한 형태라고 본다. 미국에서 26,000명의 사망자 중 40~90 퍼센트가 알코올과 관련된 간 경변으로 나타났다. 간 경변은 간 활동의 원동력인 간세포가 사멸하고 섬유성 결합조직이 증식하면서 광범위한 섬유화가 일어나고 간 기능부전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이것은 오랫동안 염증으로 시달려 온 간세포가 병과 싸우는 사이 무수히 죽고 오그라들고 다시 재건되어 매듭이 지어지고 실타래를 포개어 놓은 것 같은 섬유화의 과정을 겪는 등, 수없이 많은 변화가 겹쳐 울퉁불퉁 쭈그러지는 현상이다. 간경변증은 흔히 만성간염이 낫지 않을 경우 오래되면 발생하는 병으로 알고 있다. 간염의 경우는 간의 염증이 소멸되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으나 간경변증은 일단 섬유화로서 흠 또는 흉터의 생성이 생기기 때문에 원래대로의 정상 간으로 돌아갈 수가 없다. 또한, 많은 합병증을 가져오거나 일부 에서는 간염으로 발전하여 사망하게 되므로 무엇보다도 간염에 걸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지방간이나 간염은 정상 간으로 회복될 수 있지만, 간경변증이 되면 간이 굳어 버리므로 정상복원 될 수 없다. 연구가들은 알코 올에 유도된 결과들로 인한 심각한 질병들을 기초적인 절차와 치료 가능한 방법으로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
대두의 기원은 4,000~5,000년 전 중국으로부터 유래되었다고 보고 되어 있다. 그리고 1700년대 유럽으로 소개되었다고 보고 되어 있다. 그러나, 나쁜 기후, 토양 조건 때문에 유럽에서의 대두 경작은 제한되어 있다고 보고 된다. 대두는 주로 씨앗으로부터 경작되고, 극동지방에서 대두는 두부, 두유 등과 같은 전통적인 음식으로도 만들어지는 반면, 서부지방에서는 기름이나 지방이 제거된 사료대용으로 만들어진다고 보고 된다. 이것은 주로 동물의 사료로 쓰인다. 대두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섬유소와 칼슘 그리고 음식에 영양학적으로 균형 잡힌 좋은 재료로 쓰인다. 고단백질 함유량과 균형 잡힌 아미노산의 구성물은 대두 단백질의 중요한 근원이고 고기와 유제품의 대체물로도 쓰인다. 대두는 인간이 섭취하는 식품에서 1% 미만으로 사용되고 있고 그 나머지는 동물의 사료로서 쓰이고 있다. 후에는, 채소의 단백질의 요구가 기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대두 단백질이 혈액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켜준다는 보고가 나옴에 따라 서부지역에서는 대두 식품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영양학적, 경제적,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콩류는 미래의 연구에 중요한 초첨으로 부상되고 있다. 대두 단백질은 두 개의 자엽에서 발견되며 알부민 (10%), 수분, 그리고 글로불린 (90%)으로 분리된다. 대두 글로불린은 2S (15%), 7S (34%), 11S (41.9%) 및 15S (9.1%)의 4가지 구획으로 나누어진다. 11S 구획은 순수한 단백질 글리신으로 나타난다. 글리신과 베타-콘글리신(β-conglycinin)은 대두 단백질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 알파 및 베타-콘글리신(α- and γ-conglycinin) 과 함께 단백질 기능의 근원으로 작용하는 저장 단백질로서 형성되어 있다.
고콜레스테롤혈증에서 대두 단백질에 대한 연구는 LDL 수용기의 작용 활성으로 인해 콜레스테롤의 감소를 가져온다는 가설이 제기되어왔다. LDL 수용기는 콜레스테롤혈증을 조절하는 세포 기작을 생성하고, 혈액 순환에 있어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억제하며, 정상적인 기능으로 회복시켜 준다고 보고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대두 단백질이 간을 알코올에 유도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와 지방간과 간의 섬유증의 발전으로 유도되는 해로운 조건으로부터 보호함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대두 인지질로 식이 보충은 간 질환과 알코올 중독 또는 만성적인 영양 비경구투여의 환자에서 리놀레익산(linoleic acid) (LA) 결핍 위험을 감소시킨다. 인지질은 대부분 LA를 포함시키고 지방산은 세포막 형성에 필수적이다. LA는 우선적으로 음식으로부터 얻어 진다. 적은 양으로는 간에서 합성되어지기도 한다. 간 기능이 위태로우면 LA가 결핍되어 있다는 증거이다. 게다가 73.9%의 대두 인지질인 콜린(choline) 산물은 간 질환, 만성적인 간염, 또는 영양 결핍으로 인한 기능장애, 복통으로 인한 식욕 장애와 같은 증후군을 감소시킨다. 대두에 기초한 구성성분은 잠재적으로 건강에 다양하게 이익을 가져다주는데 기여하고 더욱이 장기간 알코올 섭취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독성을 약화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11S 단백질 두부와 대두 배아 두부의 잠재적으로 이로운 효과를 조사함에 기초하고 있다. 게다가 일반적인 이로운 영양학적 요소들로서 대두의 다양한 구성성분들의 이로운 효과를 조사하고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를 적절하게 낮춰주고, 간세포막을 보호하며, 영양 결핍의 개선과 간세포의 섬유증을 저해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 본 발명을 수행하고자 한 다.
본 발명은 11S 단백질 두부와 대두 배아 두부의 간 보호 영향을 알코올을 섭취한 흰 쥐에서 11S 단백질 두부와 대두 배아 두부의 투여를 전후하여 AST와 ALT의 효소 혈청 수치를 통해 측정하였다. AST와 ALT의 혈청 수치는 알코올을 섭취시킨 음성대조군에서보다 11S 단백질 두부 또는 대두 배아 두부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두드러지게 낮게 측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고지혈증과 동맥 경화증을 유발하는데 의학적으로 중요한 총 콜레스테롤과 총 지질의 혈청 수치 또한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혈청 수치들은 알코올을 섭취시킨 음성대조군에서보다 11S 단백질 두부 또는 대두 배아 두부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두드러지게 낮게 측정되었다. 본 발명에서 실험군에 처리하는 동안 발견된 사실로서 11S 단백질 두부와 대두 배아 두부가 간-보호 작용과 알코올 섭취 후 손상과 알코올에 유발된 간 질환에서 개선되는 효과와 지질 대사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자료들은 11S 단백질 두부와 대두 배아 두부가 알코올에 유래된 손상으로부터 흰 쥐의 간세포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는 후보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장기간 알코올을 섭취시킨 흰 쥐에서의 간 세포에 미치는 영향은 11S 단백질 두부와 대두 배아 두부를 포함한 대두 단백을 섭취시켜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11S 단백질 두부와 대두 배아 두부가 알코올 섭취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흰 쥐에서의 간 세포에 보호 작용이 있는지 없는지를 조사하기 위 하여 생화학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혈장 활성의 간 효소로서 AST와 ALT가 간세포에서 긴밀한 지표로서 존재하는 것과 이 혈청효소 수치가 간세포의 손상을 반영하거나 적어도 간세포 막에서의 삼투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AST와 ALT의 수치는 알코올을 섭취시킨 군과 11S 단백질 두부 또는 대두 배아 두부를 처리한 군에서 비교했을 때 전자보다 두드러지게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지혈증과 동맥 경화증의 절제와 예방은 총 콜레스테롤과 총 지질의 혈청 수치가 측정됨으로서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혈청 수치는 알코올을 섭취시킨 군과 11S 단백질 두부 또는 대두 배아 두부를 처리한 군에서 비교했을 때 전자보다 두드러지게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의 주된 초점은 11S 단백질 두부와 대두 배아 두부 그 자체로서, 양 쪽 모두 천연적인 대두-기초 처리물로서 알코올의 비영양학적인 특성, 간세포의 손상, 고지혈증과 고콜레스테롤증의 유발을 억제하고 보호한다는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가장 긍정적인 측면으로서의 11S 단백질 두부와 대두 배아 두부의 영향은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되는 대안으로서 만성적인 알코올을 섭취한 간 손상에서의 예방과 치료를 도와준다.
본 발명은 11S 단백질 가루 100 중량부에 음용수 1,000 중량부를 첨가하여 배아액으로 만든 후 잘 저으면서 끓이는 단계; 끓인 11S 단백질 두유액을 여과한 후 배아 밀크와 배아 커드 레퓨스(curd refuse)를 분리하는 단계; 11S 단백질 두유액을 식힌 후 50 중량부의 11S 단백질 두유액을 분리한 후 가미 호박 생맥산 5 중 량부를 첨가하여 응고시키는 단계로 제조한 11S 단백질 두부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보호, 알콜에 유발된 간질환 개선 및 지질대사 향상용 11S 단백질 두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아 파우더 25 중량부에 음용수 235 중량부를 첨가하여 배아액으로 만든 후 끓이는 단계; 끓인 배아 두유액을 여과 후 배아 밀크와 배아 커드 레퓨스(curd refuse)를 분리하는 단계; 배아 밀크를 식힌 후 50 중량부의 대두 밀크를 비이커에 분리한 후 가미 호박 생맥산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응고시키는 단계로 제조된 배아 두부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보호, 알콜에 유발된 간질환 개선 및 지질대사 향상용 배아 두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11S 단백질 두부 및 대두 배아 두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0.01M의 Tris-HCl buffer(pH 8.0) : 대두(soybean)를 10 : 1의 비율로 만든 혼합물을 저온에 보관하여 침전시킨다. 상기 혼합물이 침전이 되면 침전물을 1시간 동안 마그네틱바(magnetic bar)를 이용하여 잘 혼합하고 6,0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를 한다. 원심분리 후 상기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층액을 옮겨 pH 6.4로 맞추어 0~6℃에서 3 내지 2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가 10,000×g 의 속도로 6℃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한다. 이때 상층액은 버리고 침전물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pH를 7.5~8로 맞추어 투석하여 건조시킨 후 뷰렛(Biuret) 방법을 이용하여 정량분석을 실시한다. 분리된 시료는 4℃에 보관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생맥산(SMS)은 한국전통 의학서적과 한국 전통한방 의사들의 추천에 의해 기초되어 준비했다. SMS는 한국 전통처방을 포함한 다섯 가지 약초의 혼합물로 인삼, 황기, 맥문동, 오미자, 호박을 비례적인 양으로 각각 1 (20 g), 1 (20 g), 1 (20 g), 1 (20 g) 및 1 (20 g)으로 준비한다. 음용수 1,500㎖를 가하여 2시간 30분 동안 한약 중탕기(대웅 중탕기)에서 끓인 후 400㎖로 농축시킨다. 농축시킨 한약 시료는 3MM 여과지(paper) (Chromatography 3mm paper, Whatman)로 여과한 후 4℃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11S 단백질 두부는 SMS로 응고시켜 사용하였다. 11S 단백질 가루 (100g)에 음용수 1,000㎖을 첨가하여 10% 배아액으로 만든 후 잘 저으면서 20분간 끓인다. 이때 기포가 생기면 4~5 방울의 대두유(soybean oil)를 첨가하여 저어준다. 끓인 11S 단백질 두유액을 가제(gauze)를 사용하여 필터 후 배아 밀크(milk)와 배아 커드 레퓨스(curd refuse)를 분리하였다. 11S 단백질 두유액을 92℃까지 식힌 후 50㎖의 11S 단백질 두유액을 비커에 분주한 후 가미 호박 생맥산 10%, 즉 5㎖을 첨가하여 1시간 후 각각의 시료의 사진을 찍어 응고정도를 확인하였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일반 두부 반 모 250g을 기준으로 하여 60kg의 성인 남자가 하루 섭취하는 것으로 계산하였다. 11S 단백질 두부는 4.1 g/kg 흰 쥐의 체중으로 4주간 경구 투여하였다.
대두 배아는 (주) 정식품에서 판매하는 것으로서 대두로부터 분리하였다. 건조된 대두 배아는 (주) 정식품에서 2003년 9월에 구입하였다. 대두 배아 용액은 대두 배아를 정제된 물을 끓여서 준비하였다. 이 용액은 끓은 후 상온에서 한 시간 동안 식혔다.
대두 배아 두부의 응고제로 사용한 천연 응고제는 본 발명자가 개발한 가미 호박 생맥산으로 맥문동, 오미자, 황기와 호박 각각 20g 및 인삼 10g에 음용수 1,500㎖를 가하여 2시간 30분 동안 한약 중탕기(대웅 중탕기)에서 끓인 후 400㎖로 농축시킨다. 농축시킨 한약 시료는 3MM 여과지(Chromatography 3mm paper, Whatman)로 여과한 후 4℃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대두 배아는 국산 대두에서 분리한 것으로 배아 파우더 25g에 음용수 235㎖을 첨가하여 10% 배아액으로 만든 후 잘 저으면서 20분간 끓인다. 이때 기포가 생기면 4~5 방울의 대두유를 첨가하여 저어준다. 끓인 배아 두유액을 가제를 사용하여 필터 후 배아 밀크와 배아 curd refuse를 분리하였다. 배아 밀크를 92℃까지 식힌 후 50㎖의 대두 밀크(soybean milk)를 비이커에 분주한 후 가미 호박 생맥산 10%, 즉 5㎖을 첨가하여 1시간 후 각각의 시료의 사진을 찍어 응고정도를 확인하였고, 1.5㎖ 튜브 (eppendorf tube)에 시료를 옮긴 후 6,000rpm에서 5분간 원심 분리하여 그 상층액의 pH와 O.D (280nm, 600nm)를 측정하여 응고 정도를 확인하였고 이와는 별도로 배아 밀크를 92℃까지 식힌 후 250㎖의 대두밀크에 가미 호박 생맥산 25㎖을 첨가하여 생맥산 배아 두부를 만들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실험동물 체중의 총 변화량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매주 실험동물 체중 증가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평균 식이 섭취(7주 : 1주의 알코올 적응기간과 6주의 처리기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실험동물의 체중 비율로서 간의 무게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알코올을 섭취한 실험동물에서 혈청 AST의 수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알코올을 섭취한 실험동물에서 혈청 ALT의 수치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알코올을 섭취한 실험동물에서 혈청 LDH의 수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알코올을 섭취한 실험동물에서 혈청 총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에서 알코올을 섭취한 실험동물에서 혈청 총 지질의 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동물 모델과 실험군을 준비하기 위하여 실험동물 모델은 초기 체중이 200±10g인 Sprague Dawley 종(SD계 Rat)의 4주된 웅성 흰쥐를 대한 바이오링크(Daehan Biolink Co., Ltd)에서 구입하여 실험하였다. 4주간 건국대학의 동물 사육실에서 적응시켰으며 적응시킨 동안 사육실의 온도와 습도를 각각 22±2℃, 50±5%로 항온 항습을 유지하였다. 식이는 자유로운 환경에서 고형사료(삼양사)와 음용수를 섭취하도록 하였다. 4주간의 적응기간이 끝난 후 6주 간 매일 5g/㎏/day의 양의 알코올 및 실험시료를 투여하였다. 사육 마지막 날 실험동물을 overnight로 14시간 절식시킨 후 에테르(ethyl ether)로 마취시킨 후 마취상태에서 헤파린을 처리하지 않은 주사기를 이용하여 후대정맥에서 3㎖ 이상의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을 3,000rpm의 속도로 15분간 저온(4℃) 원심분리시켜 혈청을 얻었다. 이 혈청은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 혈청 SGOT), Alanine Aminotransferase(ALT : 혈청 SGPT), Lactate Dehydrogenase(LDH), Cholesterol, Total Lipid(총지질) 분석에 사용하였다. 채혈 직후 간과 신장을 적출하여, 생리 식염수로 세척하고 여과지로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여 장기 무게를 측정하였다. 장기무게 측정 후 간은 조직학적 검사를 하기 위해 적출한 다음에 간의 일부조직(1×1×1㎝)을 절편 하여 10% 중성 포르말린(formaline) 액에 고정시켰다.
실험동물의 체중은 각각의 실험군의 초기 전 주의 시작에서의 평균 비율로 계산되었다. 이 방법은 실험을 수행하는 동안 알코올을 투여하는 방법에도 계산되었다. 5주후의 기간에는 실험동물의 평균 체중이 약 330g 정도가 되었다. 6주가 된 후 본 실험을 시작하였다. 6주 동안, 알코올 수용액과 정제된 음용수는 모든 군들에서 똑같이 섭취시켰다. 모든 실험동물들은 음용수 또는 알코올 수용액을 자유로운 환경에서 섭취할 수 있게 했다. 모든 실험동물은 주사기로 각각의 실험 처리 용액 또는 유효 성분이 없는 위약을 날마다 경구 투여시켰다. 경구투여 섭식은 매일 같은 시간 때에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동물은 자유로운 섭식을 하게 했다. 식이 섭취와 음용수의 측정은 매일 수행하였고 신체 체중 측정은 주마다 실시하였다.
실험동물들은 6개 군들로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i) 음용수만 투여시킨 어떤 것도 처리하지 않은 정상군, (ii) 알코올과 음용수를 같이 섭취시킨 음성대조군, iii) 양성대조군 A(Positive Control A)와 양성대조군 B(Positive Control B)는 알코올과, 시판되고 있는 A사의 숙취 해소제(Condition : Cheil je dang Co. Ltd., Seoul) 및 알코올과, 시판되고 있는 B사의 간 질환 치료 및 혈액순환 개선제(Alcodex : GUJU pharm. Co. Ltd., Seoul & Vasoclean : CHO-A pharm. Co. Ltd., Seoul)를 투여하였다.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11S 단백질 두부 처리군과 대두 배아 두부 처리군은 알코올과 실험 처리 용액인 생맥산으로 응고시킨 11S 단백질 두부와 후자는 대두 배아를 생맥산으로 응고시켜 만든 두부를 재료로 한 실험군이다.
표 1. 실험군의 구성(Composition of Experimental Groups)
Figure 112004045991006-PAT00001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식이와 처리군의 구성을 준비하기 위하여 양성대조군 A는 제일제당에서 시판되고 있는 숙취해소제 (Condition)를 본 실험에의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투여량은 사람을 기준으로(매일 섭취량 : 75 ㎖/60 ㎏) 하여 평균 실험동물의 체중으로 계산하였을 때의 균형적인 양으로 맞추었다. 양성대조군 B는 시판되고 있는 간 질환 치료 및 혈액 순환 개선제 (Alcodex & Vasoclean)를 실험의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투여량은 사람을 기준으로 (매일 섭취량 LCS 30 ㎖/60 ㎏ + BPS 60 ㎖/60 ㎏) 하여 평균 실험동물의 체중으로 계산하였을 때의 균형적인 양으로 맞추었다. 11S 단백질 두부 처리 용액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준비하였다. 투여량은 매일 단백질 요구량으로 60 kg의 한국 성인 남자를 기준으로 하여 1 g/㎏/day으로 하였다. 대두 배아 두부 처리 용액은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준비하였다. 투여량은 매일 단백질 요구량으로 60 kg의 한국 성인 남자를 기준으로 하여 1 g/kg/day로 하였다. 실험동물에게 먹이는 식이는 시판되고 있는 삼양사에서 준비한 사료를 섭식시켰다.
실험예 1: 체중, 식이, 음용수(알코올과 음용수)의 측정
체중은 1주부터 11주 까지 매주 같은 시간에 측정하였다. 식이의 섭취량은 매일 같은 시간에 측정하였다. 음용수 또는 알코올과 음용수 또한 매일 같은 시간에 측정하였다.
실험예 2: 혈액 시료와 혈청의 준비
사육 마지막 날 실험동물을 14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에테르(ethyl ether)로 약하게 마취시켰고 마취상태에서 헤파린을 처리하지 않은 주사기와 시험관을 이용하여 후대정맥에서 3ml 이상의 혈액을 채취하여 상온에서 30분간 처리 후 3,000rpm의 속도로 15분간 저온 (4℃) 원심분리 시켜 혈청을 얻었다. 이 혈청은 AST, ALT, LDH,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총지방(Total Lipid)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3: 내부 장기의 무게 측정
채혈 직후 간을 적출하여, 즉시 냉각된 생리 식염수로 세척하고 여과지로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여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무게 측정 후 간은 조직학적 검사를 하기 위해 적출 직후에 일부(1×1×1 ㎝)를 절편 하여 10% 중성 포르말린 액에 고정시켰다.
실험예 4: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serum SGOT)
원심분리 하여 얻은 혈청의 활성치는 AST kit(Boehringer Mannheim, Germany)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원리로 측정하였다. 검체 중의 GOT 작용으로 아스파틱산(aspartic acid)과 알파-케토글루타믹산(alpha-ketoglutamic acid)은 옥살로아세틱산(oxaloacetic acid)과 L-글루티믹산(L-glutamic acid)으로 변화한다. 생성된 옥살로아세틱산은 조효소 NADH의 존재 하에 MDH 작용으로 말레이트(malate)가 생성되는데 NADH가 NAD+로 산화될 때, 340㎚의 파장에서 흡광도의 감소를 자동 생화학 분석기(Hitachi 747,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예 5: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serum SGPT)
ALT의 활성치는 ALT kit (Boehringer Mannheim, Germany)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원리로 측정하였다. 검체 중의 GPT 작용으로 L-알라민(L-alanine)과 알파-케토글루타믹산(alpha-ketoglutamic acid)은 피루빅산(pyruvic acid)과 L-글루타믹산으로 변화한다. 생성된 피루베이트(pyruvate)는 조효소 NADH의 존재 하에 LDH작용으로 락테이트(lactate)가 생성되고 NADH가 NAD+로 산화될 때, 340㎚의 파장에서 흡광도의 감소를 자동 생화학 분석기(Hitachi 747, Japan)로 측정하였다.
실험예 6: LDH (Lactate Dehydrogenase)
LDH의 활성치는 LDH kit (Boehringer Mannheim, Germany)을 사용하여 자동 생화학 분석기(Hitachi 747, Japan)로 측정하였다.
실험예 7: 총 콜레스테롤 및 총 지방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은 테스트(enzymatic colorimetric test)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원리로 측정하였다.
cholesterol esterase
Cholesterol esters ----------------------→ Cholesterol + Fatty Acids
cholesterol oxidate
Cholesterol + O2 ---------------------→ Cholest-4-en-3-one + H2O2
PO
2H2O2 + 4-aminoantipyrine + Phenol ------------→ Formation of Red
Quinone Dye
상기 원리로 R208 영동 콜레스테롤 - R 시약(영동제약, 한국)을 사용하여 자동 생화학 분석기(Hitachi 747, Japan)를 이용 콜레스테롤 양을 측정하였다. 총 지방은 Sulfo-phospho-vanillin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검체에 직접 황산을 넣어서 가열한 후, 인산 바닐린 혼합액과 반응시켜서 생기는 분홍색 파장을 540㎚에서 측정하여 농도를 구하였다. 총 지방은 총지질 측정용 시약 kit(국제시약 주식회사, 한국)을 사용하여 생화학 분석기 (Hitachi 747, Japan)로 측정하였다.
실험예 8: 통계학적 분석
모든 결과들은 평균 표준 편차로 나타내었다. 자료의 통계학적 사정은 테스 트(student's t-test)로 실험군들간 비교를 하였다.
7주간 장기간 알코올을 투여한 후 실험동물 체중의 변화는 표 2, 도 1 및 도 2에 요약되어 있다. 실험이 수행되는 동안 실험동물의 총 체중변화 증가량을 관찰하였다. 첫 3주 동안의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량에서, 정상군의 증가량은 75.32 g 그리고 음성대조군은 80.54 g으로 나타났다. 양성대조군 A와 양성대조군 B는 각각 60.70 g과 69.25 g으로 나타났다. 11S 단백질 두부 투여군과 대두 배아 두부 투여군은 각각 71.69 g과 68.62 g으로 증가되어 나타났음이 보고 되었다.
알코올 투여군은 정상군과 비교했을 때 체중이 감소되어 나타났다. 상기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알코올 투여군의 증가된 체중은 장기간 알코올 섭취에 의해 콜레스테롤과 지질의 축적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학계에는 이러한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는 지질 대사에 이상을 일으키며 고지혈증을 비롯하여 각종의 영양 결핍증에서 볼 수 있는 장기조직의 병리적 소견들이 보고 되어있다. 또한 장기간의 알코올 섭취는 체중감소의 원인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많은 학자들에 의해 발표 되어 왔다. 이러한 이유는 알코올 섭취로 인해 산소의 소비가 증가되고 대사율이 증가되며 세포 내 마이크로솜(microsome)에서 알코올 산화기구의 ATP 생성이 저하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Pikarr's 결과에서 볼 때, 감소된 체중은 알코올 섭취군의 결과로서 식이섭취와 고에너지 소비의 감소로 나타나는 신체 지질의 감소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정상군과 음성대조군에서의 최종 체중변화량은 각각 121.55±16.292 g과 108.60±9.334 g으로 나타났다. 양성대조군 A와 양성대조군 B의 최종 체중변화량이 각각 115.02±5.040 g, 115.25±7.873 g으로 나타난 반면, 11S 단백질 두부 투여군과 대두 배아 두부 투여군은 각각 112.22±12.860 g, 116.55±11.352 g으로 증가한 양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 결과에서도, 알코올의 해로운 영향으로 인해 알코올 섭취군이 다른 실험군들에 비해 적은 영양분을 흡수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11S 단백질 두부 투여군과 대두 배아 두부 투여군은 대두에 기초한 영양분 처리로 인한 개선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11S 단백질 두부 투여군과 대두 배아 두부 투여군 모두 알코올 섭취군에 비해 두드러지게 더 높은 체중 증가량을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발명 결과는 11S 단백질 두부 투여군과 대두 배아 두부 투여군이 양성대조군을 제외하고, 표 3과 도 3에 나타났듯이 개략적으로 동일한 양의 식이를 섭취한 사실에 뒷받침되고 있다. 평균적으로, 양성대조군 A와 B가 각각 평균적인 주당 식이섭취가 37.01±0.622 g, 36.76±0.586 g인 반면 음성대조군은 37.71±0.639 g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11S 단백질 두부 투여군과 대두 배아 두부 투여군은 식이 섭취가 각각 35.84±0.619 g, 36.55±0.574 g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평균 주당 식이 섭취가 44.09±2.140 g으로 나타난 정상군은 제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체중증가량의 득 또는 실이 음성대조군에서 다양한 양의 식이 섭취가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2 및 3의 조합된 결과로 볼 때,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해 각종의 영양 결핍증에서 볼 수 있는 소견들을 체중 감소의 원인으로 유추할 수 있다. 11S 단백질 두부 투여군과 대두 배아 투여군에서의 체중의 증가는 그 군들 각각의 처리물질로 인한 개선 효과 때문이다.
표 2. 알코올과 의약 추출물로 처리된 실험동물군의 체중 측정
Figure 112004045991006-PAT00002
Figure 112004045991006-PAT00003
Figure 112004045991006-PAT00004
표 3. 평균식이섭취(7주; 1주의 알코올 적응기간과 6주의 약물 처리기간)
Figure 112004045991006-PAT00005
실험동물의 총 체중 대 간의 무게의 비율은 표 4와 도 4에 나타내었다. 정상군,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A와 양성대조군 B는 각각 2.900±0.1244%, 3.105±0.0749%, 2.947±0.2376% 및 2.921±0.2185%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11S 단백질 두부 투여군과 대두 배아 두부 투여군의 체중 대 간 무게의 비율은 각각 2.912±0.2745%, 2.915±0.1899%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음성대조군과 비교해 볼 때 두드러지게 낮게 측정되어 나타났고 정상군과 비교적 비슷하게 측정되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한 지질의 축적은 간의 비대와 간의 섬유증의 지 표로 보이는 총 체중 대 간 무게 비율의 증가로 나타난다고 보고 되었다. 본 발명의 결과는 알코올을 섭취한 간 손상을 입은 실험동물의 총 체중 대 간 무게의 비율이 실험군에 투여한 처리보다 더 낮게 측정되고 Lee의 결과와 일관된 사실을 나타내었다.
표 4. 실험동물의 체중 비율로서 간 무게의 평균값
Figure 112004045991006-PAT00006
AST의 혈청 수치는 표 5와 도 5에 나타내었다. 정상군에서의 AST 혈청 수치는 71.67±6.593 U/L로 나타난 반면, 음성대조군에서의 혈청 수치는 87.83±10.741 U/L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자료로부터, 정상군의 AST 혈청 수치는 음성대조군의 AST 혈청 수치보다 현저히 더 낮게 측정되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에 의한 근거로서, AST 수치는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에 의한 간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알코올과 시판되고 있는 숙취해소제를 함께 섭취한 실험동물군인 양성대조군 A에서의 AST 수치가 76.50±10.232 U/L로 나타났다. 또한 알코올과 간질환 치료 및 혈액 순환 개선제를 함께 섭취한 실험동물군인 양성대조군 B에서의 AST 수치는 71.00±4.940 U/L로 나타났다. 11S 단백질 두부 투여군과 대두 배아 두부 투여군의 AST 혈청수치가 각각 75.40±8.432 U/L과 74.67±8.165 U/L로써, 음성대조군의 AST 수치보다 현저히 낮게 측정되었다. 11S 단백질 두부 투여군과 대두 배아 두부 투여군의 AST 수치는 정상군의 AST 수치와 비교했을 때 비교적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표 5와 도 6에 나타낸 ALT 효소 활성치에서는 정상군의 ALT 수치가 45.50±5.206 U/L로 나타났으며 이에 반해 음성대조군은 94.83±13.197 U/L로 정상군에 비해 매우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장기간의 알코올 투여로 인한 간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S 단백질 두부 투여군과 대두 배아 두부 투여군의 ALT 수치는 각각 43.21±6.835 U/L 과 44.50±4.848 U/L로 나타났다. 11S 단백질 두부 투여군과 대두 배아 두부 투여군의 ALT 수치는 정상군의 수치와 비슷하게 측정되었으며 유의성 역시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본 발명에서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장기간의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간 기능장애에 11S 단백질 두부와 대두 배아 두부가 손상된 간의 회복 효과를 높여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장기간 투여하였을 경우 간 기능 장애의 회복기능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표 5. 알코올을 섭취한 실험동물에서의 혈청 AST와 ALT의 수치
Figure 112004045991006-PAT00007
LDH는 젖산탈수효소라고도 하며, 몸 안의 당이 분해 되어 에너지로 변할 때 작용하는 효소의 하나로 여러 조직 세포 중에 함유되어 있어 세포가 파괴되면 혈중 LDH는 높아진다. 혈중 LDH는 간질환, 심장질환, 혈액질환 등에서 고활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상기 질환을 스크리닝 하는데 유용한 검사이다. 검사의 수치가 정상이거나 정상 수치보다 낮은 경우는 모두 정상으로 간주하는 반면, 표 6 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의 LDH 수치가 1189.00±197.890 U/L로 높게 나타난 수치는 간 질환이 유도되었음을 충분히 뒷받침하는 수치로 분석할 수 있다. 11S 단백질 두부 투여군과 대두 배아 두부 투여군의 LDH 수치는 각각 767.42±200.168 U/L 과 794.33±257.002 U/L로 나타나 음성대조군의 LDH 수치보다 현저히 낮게 측정되 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6. 알코올을 섭취한 실험동물에서의 혈청 LDH의 수치
Figure 112004045991006-PAT00008
표 7과 도 8에 나타난 실험 결과를 보면 혈청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에 있어서 정상군(88.00±11.331 ㎎/㎗)에 비해 그 수치가 크게 감소되지는 않았으나 11S 단백질 두부 투여군(64.21±9.603 ㎎/㎗)과 대두 배아 두부 투여군(93.67±8.165 ㎎/㎗)의 수치가 유의성 있게 감소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실험군의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낮게 나온 것은 대두 단백질이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춘다는 보고와 일치하는 것으로 실험물질이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표 7과 도 9에 나타난 실험 결과를 보면 정상군의 총 지질의 농도가 331.33 ±47.873 ㎎/㎗이고, 음성대조군의 농도는 392.67±23.534 ㎎/㎗으로 정상군에 비해 높은 수치의 총 지질 농도를 나타내었다. 11S 단백질 두부 투여군과 대두 배아 두부 투여군의 총 지질 농도는 각각 300.21±38.435 ㎎/㎗, 327.33±50.670 ㎎/㎗의 농도 수치를 나타내어 음성대조군에 비해 총 지질의 농도가 낮아 두 실험군 모두 혈액 중 총 지질의 농도를 낮추어 주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11S 단백질 두부 투여군과 대두 배아 두부 투여군의 농도가 정상군의 농도와 거의 비슷한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11S 단백질 두부 투여군이 매우 높은 유의성을 보여 그 효과가 아주 탁월하다고 할 수 있다.
표 7. 알코올을 섭취한 실험동물에서의 혈청 총콜레스테롤과 총지질의 수치
Figure 112004045991006-PAT00009
오랜 세월동안, 알코올을 섭취한 정상적으로 성장한 흰 쥐들은 알코올을 섭취한 다른 실험군의 최소 획득 체중 증가량에 의해 증명되어져 왔다. 본 발명의 실험에서 알 수 있듯이, 만성적으로 섭취한 알코올은 알코올이 탄수화물로 대체되는 영양이 불량해지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 후 실험동물은 체중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음식보다는 알코올에서 더 적은 에너지를 유도해내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자료들은 더욱이 만성적인 알코올을 섭취하고 흰 쥐들이 대두로부터 많은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1S 단백질두부로 처리한 군과 대두 배아 두부로 처리한 군은 알코올을 섭취시킨 군과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체중에서 두드러진 증가량을 나타냈다. 게다가, 이러한 증가량은 다른 알코올-섭취 군들에서보다 더 많은 증가량을 나타냈다. 상기 실험 결과는 주간 평균 식이 섭취, 모든 실험군으로서 11S 단백질 두부 처리군과 대두 배아 두부 처리군들은 의약 처리군을 제외하고 동량의 식이를 소비시켰다. 오랜 기간동안의 알코올 섭취는, 표 2와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알코올 섭취군에서 체중이 줄어드는 이유가 영양이 불량해지는 특성 때문이다. 반대로, 의약 처리군들과 실험처리군으로서 11S 단백질 두부 처리군과 대두 배아 두부 처리군은 각각의 처리들에 의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장기간의 알코올 섭취로 인하여, 지질의 축적이 간의 비대와 간의 섬유증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11S 단백질 두부를 처리한 군과 대두 배아 두부를 처리한 군에서의 흰 쥐들은 체중 대 간과 신장의 무게 비율이 단지 알코올만 섭취시킨 군에서의 흰 쥐들보다 적게 나감을 알 수 있었다. 간의 비대함은 간 기능의 악화와 즉, 알코올 중독자들의 첫 번째 단계에서 나타나는 증상 그리고 간세포로 산소와 영양분의 분배를 방해시키기도 한다. AST와 ALT 혈청 수치는 간의 비대함에 의해 증가되고, 또는 산화적인 부산물들에 노출되는 것이 간과 간세포의 사멸을 일으킨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이러한 사실들은 알코올을 섭취시킨 군에서의 AST와 ALT 증가된 수치가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간세포의 손상을 일으킨다. AST와 ALT 혈청 수치 모두 어떤 처리도 하지 않은 정상군과 같이 11S 단백질 두부 처리군과 대두 배아두부 처리군에서 두드러지게 낮게 측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사실은 실험군들의 11S 단백질 두부와 대두 배아 두부의 처리용액이 간세포 보호 작용을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LDH는 거의 모든 신체 조직에서 발견되는 효소이지만 단지 적은 양으로만 혈액에서 일반적으로 검출된다. 세포들이 손상되거나 파괴되었을 때, 세포들은 혈류를 통해 LDH를 방출시킨다. LDH는 거의 모든 신체 조직에서 나타나고, 그래서 LDH 검사가 조직이 급성 또는 만성적으로 손상되는 것과 진척되는 양상의 지표로서도 일반적인 지표로 주로 사용된다. LDH 효소는 심장 질환의 특이한 진단으로 사용되고, 빈혈증과 간 질환에 어떤 기관이 연관이 되어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게 도와주는데도 쓰인다. LDH의 증가된 수치와 LDH 효소의 변화된 비율은 일반적으로 조직의 어떤 손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11S 단백질 두부 처리군과 대두 배아 두부 처리군은 모두 LDH의 혈청 수치가 두드러지게 낮게 측정되었다.
실험적인 처리군으로서 11S 단백질 두부 처리군과 대두 배아 두부 처리군에서의 혈청에서 발견된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어떤 처리하지 않은 정상군과 같은 수치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어떤 처리도 하지 않은 정상군과 11S 단백질 두부 처리군과 대두 배아 두부 처리군과 알코올을 섭취시킨 군을 비교해서 볼 때, 총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두드러진 차이에서 알 수 있듯이 실험적인 처리용액은 알코올 섭취군에서의 개선된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사실들은 다른 연구에서도 발견되는데 대두 단백질이 어떤 대상에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11S 단백질 두부 처리군과 대두 배아 두부 처리군에서의 총 지질 수치는 양쪽 처리군 모두에서 알코올 섭취시킨 흰 쥐들에서 그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러한 사실은 콜레스테롤과 지질의 높은 수치가 동맥경화증과 수반된 심장 혈관의 질환들을 일으키는 주 원인 요소로서 나타난다.
본 발명에서의 간 세포-보호작용과 고콜레스테롤 작용이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를 직면한 11S 단백질 두부와 대두 배아 두부 그 자체에서, 영양학적인 연구 분야로서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11S 단백질 두부와 대두 배아 두부는 간보호 작용과 알코올 섭취 후 손상과 알코올에 유발된 간질환에서 개선되는 효과를 지니며 지질 대사를 향상시키고 알코올에 유래된 손상으로부터 간세포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도움을 줄 수 것으로서 식품산업 및 의료 약학 산업상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1S 단백질 가루 100 중량부에 음용수 1,000 중량부를 첨가하여 배아액으로 만든 후 잘 저으면서 끓이는 단계; 끓인 11S 단백질 두유액을 여과한 후 배아 밀크와 배아 커드 레퓨스(curd refuse)를 분리하는 단계; 11S 단백질 두유액을 식힌 후 50 중량부의 11S 단백질 두유액을 분리한 후 가미 호박 생맥산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응고시키는 단계로 제조한 11S 단백질 두부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보호, 알콜에 유발된 간질환 개선 및 지질대사 향상용 11S 단백질 두부.
배아 파우더 25 중량부에 음용수 235 중량부를 첨가하여 배아액으로 만든 후 끓이는 단계; 끓인 배아 두유액을 여과 후 배아 밀크와 배아 커드 레퓨스(curd refuse)를 분리하는 단계; 배아 밀크를 식힌 후 50 중량부의 대두 밀크를 비이커에 분리한 후 가미 호박 생맥산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응고시키는 단계로 제조된 배아 두부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보호, 알콜에 유발된 간질환 개선 및 지질대사 향상용 배아 두부.
KR1020040080862A 2004-10-11 2004-10-11 간 보호 및 지질대사 향상용 11에스 단백질 두부 및배아두부 KR20060031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862A KR20060031899A (ko) 2004-10-11 2004-10-11 간 보호 및 지질대사 향상용 11에스 단백질 두부 및배아두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862A KR20060031899A (ko) 2004-10-11 2004-10-11 간 보호 및 지질대사 향상용 11에스 단백질 두부 및배아두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899A true KR20060031899A (ko) 2006-04-14

Family

ID=3714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862A KR20060031899A (ko) 2004-10-11 2004-10-11 간 보호 및 지질대사 향상용 11에스 단백질 두부 및배아두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189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7340A (ja) * 2010-01-28 2011-08-18 Hyuk Han Kwon 生脈散エキスとそのエキスを利用した生脈散豆腐およびその製造方法(saengmaeksanextract、saengmaeksanbeancurdusingsaengmaeksanextractandpreparingmethodofthesame)
KR101240045B1 (ko) * 2005-04-15 2013-03-06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대두배아 함유 두유 및 두부의 제조방법
KR20190064329A (ko) * 2017-11-30 2019-06-10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간보호를 위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045B1 (ko) * 2005-04-15 2013-03-06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대두배아 함유 두유 및 두부의 제조방법
JP2011157340A (ja) * 2010-01-28 2011-08-18 Hyuk Han Kwon 生脈散エキスとそのエキスを利用した生脈散豆腐およびその製造方法(saengmaeksanextract、saengmaeksanbeancurdusingsaengmaeksanextractandpreparingmethodofthesame)
KR20190064329A (ko) * 2017-11-30 2019-06-10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간보호를 위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kosi et al. Effect of pumpkin seed (Cucurbita pepo) protein isolate on the activity levels of certain plasma enzymes in CCl4‐induced liver injury in low‐protein fed rats
JP5762693B2 (ja) 生脈散エキスを利用した生脈散豆腐の製造方法(preparingmethodofsaengmaeksanbeancurdusingsaengmaeksanextract)
KR101919839B1 (ko)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Uchendu et al. Hypolipidaemic and renoprotective effects of Glycine max (soy bean) against lipid profile and renal biochemical alterations in hypercholesterolemic rat
KR100561286B1 (ko) 건조효모, 천연물 추출분말 및 영양성분 혼합분말을함유하여 성장발육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CN109170916A (zh) 一种强身健体食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20092082A (ko) 자양강장제 조성물
KR20090087671A (ko) 두충을 이용한 고혈압 억제 음료 개발
KR20010091416A (ko) 비만개선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의약조성물 및특수영양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식품
KR20060031899A (ko) 간 보호 및 지질대사 향상용 11에스 단백질 두부 및배아두부
KR20110121246A (ko) 비만개선 다이어트용 웰빙 한방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511364B1 (ko) 복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CN105995980B (zh) 一种具有体重管理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496622B1 (ko) 비만 억제를 위한 알콜 발효 식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100656241B1 (ko) 고지혈증 및 혈소판 응집에 대해 억제작용을 갖는대두발효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조성물
KR20070002445A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66852B1 (ko) 비타민나무잎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내 지질 개선 조성물
KR20080098193A (ko) 생맥산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KR100475628B1 (ko) 해삼을 주재로한 보건 식품의 제조방법
KR100616122B1 (ko) 간기능활성 및 항고지혈증 조성물
CN110812383A (zh) 具有抑制脂肪形成及抗氧化活性的组合物及其用途
KR100892063B1 (ko) 간 보호 효능을 가진 재첩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البسيوني et al. Impact of leaves and flower from Alfalfa and Dandelion to Improve Liver Function and preparing Some Food Products
Bakr et al. Olive and Turmeric Oils: Nutraceutical Effectiveness against Paracetamol-Induced Hepatotoxicity in Experimental Rats
KR20040084542A (ko) 간기능 활성증진 및 항고혈장지질용 생맥산 두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