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1639A -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 Google Patents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1639A
KR20020041639A KR1020000071310A KR20000071310A KR20020041639A KR 20020041639 A KR20020041639 A KR 20020041639A KR 1020000071310 A KR1020000071310 A KR 1020000071310A KR 20000071310 A KR20000071310 A KR 20000071310A KR 20020041639 A KR20020041639 A KR 20020041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hangover
composition
lico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2561B1 (ko
Inventor
김승호
김형진
한경연
Original Assignee
복성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복성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복성해
Priority to KR10-2000-0071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561B1/ko
Publication of KR20020041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6Eucommiaceae (Eucommia family), e.g. hardy rubb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4Ebenaceae (Ebony family), e.g. persim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두충, 홍삼, 결명자 및 황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40 ∼ 80 중량%, 어성초, 대황, 갈근 및 유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5 ∼ 40 중량%, 삼백초, 신선초, 감나무잎 및 대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5 ∼ 40 중량%, 감초, 쑥, 및 녹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5 ∼ 15 중량%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장 보호효과가 우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숙취해소 작용이 우수하고 간독성 보호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은 복용이 용이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여 음주전·후의 숙취해소 및 간장 보호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Compositions effective for removing hangover which contains natural herb tea extracts and health supplementing foods containing the same as an effe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두충, 홍삼, 결명자 및 황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40 ∼ 80 중량%, 어성초, 대황, 갈근 및 유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5 ∼ 40 중량%, 삼백초, 신선초, 감나무잎 및 대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5 ∼ 40 중량%, 감초, 쑥, 및 녹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5 ∼ 15 중량%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장 보호효과가 우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일상생활속에 스트레스의 요인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생활 주변의 스트레스를 벗어나고 싶은 욕구는 현대인 모두가 갖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고 단지 누적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수면, 과식, 운동, 흡연 및 그 외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그 중의 한가지 방법으로 음주를 하게 된다.
회식과 접대가 잦고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들에게 음주는 필수적인 것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음주기회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연이은 음주후 음주로 인한 부작용인 머리가 무겁고 아프거나 속이 쓰리는 등의 숙취현상 (hangover)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숙취현상은 간세포에 축적된 에탄올 (ethanol)이나 아세트알데히드 (acealdehyde)의 독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이들 물질이 간세포에 장기간 축적되어 독작용이 지속되면 피로감, 복부 팽만감, 구토 등의 증세를 일으키게 된다.
정상적인 에틸알콜 (ethylalcohol) 대사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에틸알콜이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관중에 들어가 간장으로 옮겨지게 된다. 간세포에는 알콜 탈수소효소 (alcohol dehydrogenase, ADH)가 있어 알콜을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시키고, 상기 아세트알데히드는 간세포에 있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 (acetaldehyde dehydrogenase)에 의해 초산으로 분해되어 전신의 근육이나 지방조직으로 옮겨져 최종적으로는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에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저농도이더라도 산화를 개시하는 II형과 아세트알데히드가 고농도로 되지 않으면 작용을 하지 않는 I형이 있으나, 동양인은 일반적으로 II형 아세트알데히드효소가 결핍 또는 부족하기 때문에 아세트알데히드의 산화가 느리고, 따라서 산화되지 못한 아세트알데히드 및/또는 에틸알콜의 독작용에 의하여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방해받아 다양한 숙취현상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음주후의 숙취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생약제제 또는 인공제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제조한 드링크류가 다수 개발되었다.
한편, 에탄올은 술의 주성분으로 신체적, 정신적으로 인체에 미치는 효과가광범위하고 매우 다양하여 그 대사과정과 독성 발현 특성에 대한 연구가 오랫동안 폭넓게 진행되어 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섭취된 에탄올은 소장 및 소화관을 통해서 흡수되어 섭취 후 20 내지 120분 사이에 최고 혈중농도에 도달하게 되고 이와 같이 흡수된 에탄올은 간을 비롯한 모든 장기에서 대사되는데, 이 중 약 10% 정도는 호흡을 통하여 또는 소변 및 땀으로 배설되고 나머지 대부분은 간에서 분해된다.
간에서의 에탄올 분해는 산화반응을 통한 아세트알데히드로의 전환이 주된 대사가 된다. 이는 상기한 알코올 탈수소효소, 마이크로좀 에탄올 산화계 (microsomal ethanol-oxidizing system, MEOS) 및 카탈라제 (catalase) 등 3가지의 반응 효소계에 의해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 Ebihara et al.,Agri. Biol. Chem., 52, 1311, 1988). 이와 같은 에탄올의 분해기작 뿐 아니라 독성학적 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졌는데, 에탄올의 독성은 신경학적 측면에서 관찰될 뿐만 아니라 유전학적으로도 영향을 끼친다는 보고가 있다 (J. Caballeria, et al.,Life Sci., 41, 1021-1727, 1986). 최근 들어, 에탄올의 독성을 경감시키거나 독성의 발현을 저해할 수 있는 많은 물질에 대한 연구와 실험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천연식품이나 한약재료로부터 추출한 성분을 함유한 다양한 건강보조식품이 이와 관련되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김정한 등,한국농화학회지, 38(6), 549-553, 1995).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주로 담석 용해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콜린산류를 이용한 조성물이 시판되고 있는데, 이러한 콜린산류에는 이담작용, 간장해독, 간혈류 개선작용, 지방의 흡수 촉진작용 및 미세담도를 통한 노폐물 배설작용을 갖고 있어 만성 간질환의 간기능 개선, 간기능 장애에 의한 전신권태, 소화불량, 식욕부진, 육체 피로 등에 효능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우루소데옥시콜린산 (Ursodeoxycholic acid); 담석용해제로 시판되고 있으며, 지방간 치료에 효과가 있어 경구로 투여한 경우 간기능개선 및 간지방량의 감소가 보고되어 있는 (일본공개특허공보 平4-235918 참조) 타우로우루소데옥시콜린산 (Tauroursodeoxycholic acid); 담석용해제로 시판되고 있는 체노데옥시콜린산 (Chenodeoxycholic acid); 및 디하이드로콜린산 (Dehydrocholic acid) 등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기 콜린산류를 이용한 조성물은 스트레스에 의한 부신무게의 증가 및 비장의 위축 예방, 부신의 아스코르빈산 함량변화 억제 및 혈액생화학적 변화의 억제 등 스트레스로 인해 유발되는 일반적인 증상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을 뿐으로 숙취를 해소하거나 간장을 보호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한약제 또는 민간요법제로서 숙취해소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인삼, 가시오가피 등의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각종 제제형태의 의약품들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 인삼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양강장 드링크제는 다수 시판되어 있는 실정이고, 기타 꿀, 비타민 등의 각종 성분들도 적당량의 함량으로 조성하여 자양강장제로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인삼, 가시오가피 (Brekhman, I.I.,Pharmacological investigation of glycosides from Gingseng andEleutherococcus,Lloydia, Vol. 32, No. 1, pp. 46-51, 1969), 오씨뭄 (Ocimum sanctum Linn), 티노스포라 (Tinosporamalabarica)(Sen, P., Maiti, PC and Ray, A. Mechanism of anti-stress activity of Linn, eugenol and in experimentalanimals,Indian J. Exp. Biol., 30, 592-596, 1992) 등의 생약과 멜라토닌 등의 생체물질이 숙취해소 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긴 하지만, 음주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변화들 중에서 일부 항목에만 효과가 있거나 약효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종래 동양에서 한방제제로 이용되어 온 생약 추출물을 단순히 이용하는 점에서 큰 특징적인 기술을 찾아볼 수가 없고, 대개가 자양강장제나 공지의 효능을 단순히 이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을 뿐 이었다.
또한, 숙취제거 및 혈중 알콜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제제의 연구가 그동안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뚜렸한 성과가 있는 제제는 없었다. 과거에는 조악한 형태의 식물엑기스 발효액을 단순히 제제화한 제품들이 선보여 왔으나, 기존의 식물엑기스 발효액만을 이용하여 만든 제제들은 오랫동안 방치하면 침전물이 생성되는 일이 자주 발생할 뿐만 아니라, 특이한 냄새로 인하여 복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특히 이들 식물엑기스 발효액에 비타민류, 무기물, 아미노산 등을 첨가하여 음료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경시변화에 따른 제품의 유효성, 안정성 및 각종 세균의 멸균과정에서 초래되는 제품의 안정성 등에 관한 문제점이 야기되며, 불용성 침전물이 생성되고, 맛이나 색깔이 변색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보통이어서 제제화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최근에 콩나물을 주원료한 식물엑기스를 함유한 제품이나 미배아와 대두추출물을 함유한 제품이 소개되고는 있으나, 이들 역시 제제의 안정성면에서 여전히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음이 사실이다. 이와 같이 음주후의 숙취제거를 위하여 각종 생약제가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숙취제거를 위한 생약제를 포함하는 각종의 드링크제가 시판되고 있으며, 이러한 드링크제는 음주후에는 단독으로, 또한 음주전에는 고알콜 함량의 주류에 첨가하여 음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생약제를 함유하는 드링크제는 전신권태, 복부팽만감, 구토 또는 복통 등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을 뿐 아니라, 일부 드링크제는 고가의 생약제를 사용함으로써 고가로 판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실정에서, 현대사회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음주로 인한 숙취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바람직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생약성분의 추출물을 적절히 배합하여 숙취에 대한 예방이나 치료효과가 우수하고 간장 보호효과가 뛰어난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음주로 인한 숙취해소 전반에 대해 우수한 약효를 가지면서 종래에 복합적으로 이용된 바 없는 새로운 조성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약제가 아닌 민간요법에 의한 약용식물 중에서 두충, 어성초, 삼백 및 감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발하였고 상기 조성물이 음주로 인한 숙취해소에 광범위한 약효를 나타내어 간장 보호 및 치료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해독작용 및 간장 보호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복용이 용이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여 음주 전·후의 숙취해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동물의 혈중 알콜농도를 무처리군과 비교한 결과이고,
A : 무처리군
B: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군
도 2는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자외선 흡광도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동물의 간 조직에서의 LDH 분비량을 무처리군과 비교한 결과이다.
A : 브로모벤젠 (Bromobenzen,BB) 처리군
B :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충, 홍삼, 결명자 및 황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40 ∼ 80 중량%, 어성초, 대황, 갈근 및 유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5 ∼ 40 중량%, 삼백초, 신선초, 감나무잎 및 대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5 ∼ 40 중량%, 감초, 쑥 및 녹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5 ∼ 15 중량%로 구성된 숙취해소 및 간장 보호효과가 우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음주로 인한 숙취해소 및 간장 보호효과를 갖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음주로 인한 숙취해소 및 간장 보호효과를 갖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두충, 홍삼, 결명자 및 황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40 ∼ 80 중량%, 어성초, 대황, 갈근 및 유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5 ∼ 40 중량%, 삼백초, 신선초, 감나무잎 및 대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5 ∼ 40 중량%, 감초, 쑥 및 녹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5 ∼ 15 중량%로 구성된 숙취해소 및 간장 보호효과가 우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어성초 (魚腥草,Houttuyniae Herba)는 삼백초과의 다년생 식물인 약모밀을 말하며, 아시아의 동남부와 우리나라, 그리고 일본에서 자생하는데 특히 일본에서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민간약초요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초본의 높이는 25 ~ 30 ㎝ 정도이고 줄기는 가늘며 붉은 보라빛을 내며, 잎은 심장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다. 이 어성초의 특색은 무엇보다도 생선 비린내 냄새의 차이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농업진흥청이 발행한 어성초 식품 분석표를 근거로 살펴보면, 어성초의 잎, 줄기에는 12.8%라는 많은 양의 단백질이 함유되어 현미보다 많고 백미의 약 2배에 달한다. 미네랄은 백미의 약 25배, 현미의 10배, 칼슘은 백미의 약 20배, 현미의 2배나 많으며 철분도 월등하다. 또한, 어성초는 사열, 점질지창, 탈항을 고치고 종기, 백독, 악창, 독충의 해를 제거하는 약리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신선한 어성초를 2 ∼ 3회 수확하여 깨끗이 세척한 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어성초 추출물을 5 ∼ 4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성초의 대체 약재로서 대황, 갈근 및 유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두충 (杜沖,Eucommiae Cortex)은 중국의 두중 (杜仲)이란 사람이 먹고 허리가 나았다하여 이름한 것인데, 민간에서는 당두중이라 하여 유통되기도 한다. 또 약용되는 부분인 껍질에 실과 같은 섬유질이 있기 때문에 일명 「사면목 (絲綿木)」이라 하기도 하고 신선들이 이 약을 먹어야 득도한다고 해서 「사선 (思仙)」이라고도 한다. 두충은 중국의 사천, 호북지방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키큰나무이나 현재는 자생목은 적고, 중국 중남부 각성일대에서 널리 재배하는 중국 특산식물이다. 두충이 우리나라에 처음 전해진 것은 고려 문종 33년 (1079년)으로 문종이 자신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송나라에서 두충을 들여왔다고 전해지고 있다.
두충은 은행나무처럼 암수딴그루이며 타원형의 잎을 가지고 있다. 두충의 잎, 껍질, 줄기 모두는 항당뇨 활성, 이뇨작용, 담즙배설 촉진작용, 항피로 작용과 진통 및 소염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외에도 병충해와 세균, 박테리아에 강한 특성을 갖는다.
동의보감을 보면 두충은 성질이 평 (平)하고 따뜻하며 맛이 맵고 달다.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며, 음낭 밑이 축축하고 가려운 것과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낫게 하고, 정력과 기운을 돕고 성기가 냉 (冷)한 것과 갑자기 오는 요통에 효력이 있다. 약으로 쓸 때는 식초, 생강, 꿀, 소금물 등으로 실같은 섬유질이 끊어질 정도로 볶아야 한다고 하였으며, 임상에서 두충은 자양강장제로서 허리,척추, 무릎, 다리의 근육과 뼈가 약하여 아픈 것을 치료할 뿐 아니라 혈압을 내리며 정기를 보강하는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고혈압자의 정력감퇴를 치료하는데 특효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몇가지 약재를 배합해서 키 작은 아이들의 성장촉진제로도 활용된다. 그러나, 두충은 신장이 허약하고 열이 있을 때, 몽정과 유정이 있는 사람, 체내에 열이 많은 자와 소화불량한 사람은 전문가와 상의하여 복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두충 추출물을 40 ∼ 8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충의 대체 약재로서 홍삼, 결명자 및 황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삼백초는 후추목 (Piperales) 삼백초과 (Saurur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 삼백초과 식물은 5속 7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북미와 아시아에 분포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삼백초 속은 삼백초 (Saururus chinensisBaill)와 서양삼백초 (Saururus cernuus)가 있으며, 한국에서 자생하는 삼백초과 식물은 삼백초와 약모밀 (Houttuynia curdataThunb ; 어성초)의 2종이 보고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 식물로서, 일반 약재 시장에서는 약모밀이 삼백초로 유통되고 있는 등 구분없이 판매되고 있으나 엄연히 다른 식물이다. 삼백초는 주로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는 식물로서 현재 멸종 위기식물로 지정되어 복원사업이 진행 중이며, 경상남도 거창에서 대단위로 재배되고 충청남도 농촌진흥원에서 재배시험이 실시되는 등 삼백초의 재배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삼백초는 다년생 초본으로 뿌리줄기는 희고 옆으로 뻗으며 수염뿌리를 가지고 있다. 30 내지 90 ㎝ 정도의 키에 줄기는 곧게 서고 털이 없으며 하부는 옆으로 비스듬히 누워 있다. 잎은 어긋나고 난형 (卵形) 또는 난상피침형 (卵狀披針形)으로 끝이 뾰족하며 엽병이 존재한다. 잎은 길이가 5 내지 14 ㎝,폭이 4 내지 6 ㎝ 정도로서 다섯갈래의 맥이 있고 초여름에 줄기 윗부분의 2 내지 3 매의 잎이 하얗게 변하는 특징이 있다. 꽃은 양성이고 백색이며 길이는 10 내지 15 ㎝이며 개화기는 6 내지 8월이고 수술은 6 내지 7개, 암술은 1개, 자방은 3 내지 5개의 심피를 가지고 있다. 삼백초는 개화기 때 줄기 윗부분에 존재하는 3개의 잎이 흰색으로 변하여 삼백초라 하기도 하고, 뿌리, 잎 및 꽃 등 3곳이 희다고 하여 삼백초라 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삼백초는 중국에서 오래 전부터 민간약으로 사용되어 온 약초이다. 중약대사전 (中葯大辭典)에는 삼백초가 청리습열 (淸利濕熱), 소종 (消腫) 및 해독 (解毒)작용이 있어 수종 (水腫), 각기 (脚氣), 황달 (黃疸), 임탁 (淋濁), 대하 (帶下), 옹종 (癰腫) 및 정독 (賽毒)에 효과가 있다고 되어 있다. 청리습열 및 황달에 효과가 있는 것은 간장질환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당본초 (唐本草)에는 삼백초가 수종, 각기, 대소변의 원활한 배설, 소담파벽 (消痰破癖) 및 제적취 (除積聚)의 기능이 있다고 하였는데, 파벽과 제적취에 효과가 있다 함은 간경화와 암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소변의 원활한 배설에 효과가 있음은 전립선 비대증과 암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약학대사전 (中國藥學大辭典)에서도 삼백초는 수종, 각기, 대소변의 원활한 배설, 소담파벽 및 제적취의 기능이 있다고 하였으며, 중국의학대사전 (中國醫學大辭典)에서는 삼백초가 소담, 파벽, 제적취, 이대소변 (利大小便), 치학질 (治虐疾), 치흉격담열 (治胸膈痰熱), 치수종 (治水腫), 치각기 (治脚氣) 및 요정종 (療賽腫)의 기능이 있다고 기재 되어 있다.
그 외 본초습유 (本草拾遺), 식물명실도고 (植物名實圖考), 영남채약록 (嶺南采葯錄), 광서중약지 (廣西中葯志), 본초추진 (本草推陳) 및 호남약물지 (湖南葯物志) 등에서도 삼백초의 효용을 기록하고 있으며, 항암중약일천방 (抗癌中葯一千方)에는 삼백초가 간암에 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삼백초는 국내에서도 오래전부터 민간약으로 사용되어 왔는데, 원색천연약물대사전 (原色天然藥物大辭典)에는 삼백초가 소변불리, 수종, 임탁 (淋濁), 각기, 간염 (肝炎), 황달 및 옹종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간장질환, 배뇨기능 및 암에 유효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삼백초 추출물을 5 ∼ 4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삼백초의 대체 약재로서 신선초, 감나무잎 및 대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감초 (甘草,Glycyrrhizae Radix)는 이미 한약재료로서 익히 알려져 널리 사용되는 유용한 식물로서, 트리터펜 (triterpene)계 사포닌, 글리시리진 (glycyrrhizin), 리퀴리틴 (Liquirition), 아스파라긴 (Asparagin), 굴루타민산(Glutamic acid), 포도당 등을 함유하고 있다. 글리시리진산의 2-글루큐론 (glucuron)산 배당체로 감초의 감미 성분인 글리시리진은 약물중독, 식물중독, 체내대사물의 중독뿐만 아니라 세균 소독 등에 대한 다양한 해독작용이 있어 간에서의 해독작용을 돕는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감초 추출물을 5 ∼ 15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초의 대체 약재로서 쑥 및 녹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약재들을 사용하여 이들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제조방법은
1) 처방의 구성 약재 각각을 물과 혼합하여 열수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열수 추출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하는 단계;
3) 단계 2의 상층액을 가열농축하여 각각의 약재 추출물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약재 추출물 원액을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단계 1에서 어성초와 삼백초는 잎과 줄기부분을, 두충은 잎과 껍질부분을, 감초는 전체를 사용한다. 이들 각각의 약재를 깨끗이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5 내지 15 ㎝ 길이로 절단하여 그늘에서 건조시킨 후 파쇄하거나 그대로 사용한다.
열수 추출 단계는 약재 무게의 5배의 물과 함께 추출기에 담아 90 ∼ 100℃에서 두충 및 감초의 경우에는 5시간 내지 7시간 동안, 삼백초 및 어성초의 경우에는 하루 동안 1차 추출한 후 다시 물을 추가하고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반복하여 2차 추출을 수행하였다.
단계 2부터 얻은 추출물을 여과기를 통하여 여과시켜 찌꺼기는 버리고 상층액만을 회수하여 가열농축함으로써 각 약재의 추출물 원액을 얻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과도한 음주로 인한 숙취를 해소하고 간장을 보호하는 효과를 갖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주성분인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유효량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적인 담체 및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선택하여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조한다.
담체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방부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는 향료, 비타민류, 항산화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본 발명의 제제로는 탕제, 환제, 정제, 캅셀제, 연질캅셀제, 액제, 산제, 과립제 등으로 제조하여 경구 복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담체 및 첨가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희석제로는 유당 (lactose monohydrate), 옥수수 전분 (cornstarch), 콩기름 (soybean oil), 미결정 셀룰로오스 (microcrystalline cellulose) 또는 만나톨 (D-mannitorl)이 좋고,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magnesium stearate) 또는 탈크 (talc)가 바람직하며,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polyvinyipyrrolidone)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HPC; hydroxypropylcellulose) 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Ca-CMC; 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전분글리콜산나트륨 (sodium starch glycolate), 폴라크릴린칼륨 (polacrylin potassium) 또는 크로스포비돈 (cross-linked polyvinylpyrrolidone) 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고,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소르비톨 (sorbitol) 또는 아스파탐 (aspartame) 중에서 선택되고,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Na-CMC;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베타-싸이크로덱스트린 (beta-cyclodextrin), 백납 (white bee's wax) 또는 산탄검 (xanthan gum) 중에서 선택되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methyl p-hydroxy benzoate, methylparaben),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propyl p-hydroxy benzoate, propylparaben) 또는 소르빈산칼륨 (potassium sorbate)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는 상기 주요성분 이외에도 보조성분으로서 비타민 B, C, E나 베타카로틴, Ca, Mg, Zn 등의 미네랄 함유 화합물이나 레시틴 등의 인지질 또는 말톨, 올리고당, 아미노산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도 비타민 C, E나 베타카로틴, 말톨 등 중에서 2 ∼ 3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하면생체 활성효과를 상승 또는 보강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이외에도 공지의 첨가제로서 미각을 돋구기 위하여 매실, 레몬향, 파인애플향 또는 허브향과 같은 천연향료나 천연과즙, 클로르필린 (Chlorophyllin), 플라보노이드 (Flvonoid) 등의 천연색소 및 감미성분인 과당, 벌꿀, 당알콜, 설탕 등과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같은 산미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학에서 목적한 숙취해소, 간장보호 및 치료효과를 얻기 위하여, 유효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체중 60 ㎏ 성인을 기준으로 1일 총량이 5 ∼ 100 mg, 바람직하게는 5 ∼ 20 mg이 되도록 임으로 수회 경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숙취해소, 간장보호 및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으로는 상기 약용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차, 젤리, 즙, 쥬스, 엑기스, 음료 등의 숙취해소, 간장보호 및 치료 등을 목적으로 하는 민간요법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해독작용 및 간장 보호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복용이 용이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여 음주 전·후의 숙취해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숙취해소용 조성물 원액의 제조
본 발명의 숙취해소 및 간장보호 효과가 뛰어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처방에 따라 구성약재들의 원액을 하기와 같이 추출하였다.
<1-1> 두충, 홍삼, 결명자 및 황연 추출물 원액의 제조
두충의 잎과 껍질을 취하여 깨끗이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10 ㎝ 길이로 절단하여 그늘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두충을 파쇄하거나 그대로 사용하여 두충 무게의 5배의 물과 함께 추출기에 담아 90 ∼ 100℃에서 5시간 내지 7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다시 물을 추가하고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반복하여 2차 추출을 수행하였다. 이를 여과기를 통하여 여과시켜 찌꺼기는 버리고 이로부터 얻은 상층액을 가열 농축하여 두충 추출물 원액을 얻었다.
아울러, 상기와 동일하게 통상의 열수 추출방법으로 홍삼, 결명자 및 황연 추출물 원액을 제조하였다.
<1-2> 감초, 쑥 및 녹차 추출물 원액의 제조
감초를 취하여 깨끗이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10 ㎝ 길이로 절단하여 그늘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두충을 파쇄하거나 그대로 사용하여 두충 무게의 5배의 물과 함께 추출기에 담아 90 ∼ 100℃에서 5시간 내지 7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다시 물을 추가하고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반복하여 2차 추출을 수행하였다. 이를 여과기를 통하여 여과시켜 찌꺼기는 버리고 이로부터 얻은 상층액을 가열농축하여 감초 추출물 원액을 얻었다.
아울러, 상기와 동일하게 통상의 열수 추출방법으로 쑥 및 녹차 추출물 원액을 제조하였다.
<1-3> 어성초, 대황, 갈근 및 유자 추출물 원액의 제조
어성초의 잎과 줄기를 취하여 깨끗이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10 ㎝ 길이로 절단하여 그늘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두충을 파쇄하거나 그대로 사용하여 두충 무게의 5배의 물과 함께 추출기에 담아 90 ∼ 100℃에서 하루동안 1차 추출한 후 다시 물을 추가하고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반복하여 2차 추출을 수행하였다. 이를 여과기를 통하여 여과시켜 찌꺼기는 버리고 이로부터 얻은 상층액을 가열 농축하여 어성초 추출물 원액을 얻었다.
아울러, 상기와 동일하게 통상의 열수 추출방법으로 대황, 갈근 및 유자 추출물 원액을 제조하였다.
<1-4> 삼백초, 신선초, 감나무잎 및 대추 추출물 원액의 제조
삼백초의 잎과 줄기를 취하여 깨끗이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10 ㎝ 길이로 절단하여 그늘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두충을 파쇄하거나 그대로 사용하여 두충 무게의 5배의 물과 함께 추출기에 담아 90 ∼ 100℃에서 하루동안 1차 추출한 후 다시 물을 추가하고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반복하여 2차 추출을 수행하였다. 이를 여과기를 통하여 여과시켜 찌꺼기는 버리고 이로부터 얻은 상층액을 가열 농축하여 삼백초 추출물 원액을 얻었다.
아울러, 상기와 동일하게 통상의 열수 추출방법으로 신선초, 감나무잎 및 대추 추출물 원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 내지 <1-4>에서 얻어진 각각의 생약제 추출물 원액을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1>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구성 약재를 두충 추출물 원액 40 중량%, 어성초 추출물 원액 40 중량%, 삼백초 추출물 원액 15 중량%, 감초 추출물 원액 5 중량%로 배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2>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구성 약재를 두충 추출물 원액 45 중량%, 어성초 추출물 원액 30 중량%, 삼백초 추출물 원액 20 중량%, 감초 추출물 원액 5 중량%로 배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3>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구성 약재를 두충 추출물 원액 55 중량%, 어성초 추출물 원액 20 중량%, 삼백초 추출물 원액 20 중량%, 감초 추출물 원액 5 중량%로 배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4>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구성 약재를 두충 추출물 원액 60 중량%, 어성초 추출물 원액 20 중량%, 삼백초 추출물 원액 10 중량%, 감초 추출물 원액 10 중량%로 배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5>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구성 약재를 두충 추출물 원액 75 중량%, 어성초 추출물 원액 5 중량%, 삼백초 추출물 원액 5 중량%, 감초 추출물 원액 15 중량%로 배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6>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구성 약재를 두충 추출물 원액 40 중량%, 대황 추출물원액 40 중량%, 감나무잎 추출물 원액 15 중량%, 감초 추출물 원액 5 중량%로 배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7>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구성 약재를 홍삼 추출물 원액 40 중량%, 유자 추출물 원액 40 중량%, 신선초 추출물 원액 15 중량%, 감초 추출물 원액 5 중량%로 배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8>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구성 약재를 황연 추출물 원액 40 중량%, 갈근 추출물 원액 40 중량%, 감나무잎 추출물 원액 15 중량%, 쑥 추출물 원액 5 중량%로 배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9>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구성 약재를 두충 추출물 원액 40 중량%, 유자 추출물 원액 40 중량%, 대추 추출물 원액 15 중량%, 감초 추출물 원액 5 중량%로 배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10>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구성 약재를 두충 추출물 원액 40 중량%, 갈근 추출물원액 40 중량%, 신선초 추출물 원액 15 중량%, 감초 추출물 원액 5 중량%로 배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2-1> 내지 <2-10>의 조성비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남녀 각각 5명씩 10명을 랜덤 샘플링하여 상기 조성물에 대한 색과 풍미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표 1>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관능검사 결과
구분 <2-1> 조성물 <2-2> 조성물 <2-3> 조성물 <2-4> 조성물 <2-5> 조성물 <2-6> 조성물 <2-7> 조성물 <2-8> 조성물 <2-9> 조성물 <2-10> 조성물
색깔 흑황색 흑황색 흑황색 흑황색 흑황색 흑황색 흑황색 흑황색 흑황색 흑황색
풍미 달고 씀 달고 씀 단맛 단맛 단맛 단맛 단맛 달고 씀 단맛 단맛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모두 흑황색의 색깔을 나타내었고 두충 및 감초 추출물 원액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단맛이 증가함을 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숙취해소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숙취해소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알콜을 섭취한 실험동물에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여 혈중 알콜농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6주령의 마우스 (BALB/c, 생명공학연구소, 실험동물센터 구입) 각 처리구당 5마리씩 선별하여 음용수만 제공하고 24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40% 에탄올을 스테인레스 스틸 존데 (길이, 10 ㎝)를 사용하여 강제 경구 투여하였다. 40% 에탄올을 마우스당 10 ㎖/㎏을 경구투여하고 1시간째에 대조구에는 물만 10 ㎖/㎏을 투여하였고 실험구에는 상기 실시예 <2-1> 내지 <2-10>에서 제조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10 ㎖/㎏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투여 후 4시간째에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채혈하였고 혈중 알콜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알콜농도 측정용 킷트 (시그마사, 미국, 337A)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혈중 알콜농도를 100%로 환산했을 경우 상기 실시예 <2-1> 내지 <2-10>의 모든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투여된 실험군의 혈중 알콜농도가 50% 이하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알콜 분해능이 우수하여 숙취해소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자외선 스펙트럼 분석
상기 실시예 <2-1> 내지 <2-10>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기 (Beckmann, DU-7, 미국)로 UV 200 ㎚ 내지 450 ㎚ 파장에서 흡광도를 분석한 결과,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296 ㎚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동결 건조시킨 후 펩티드성 물질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한 결과,상기 조성물에는 펩티드성 물질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2).
<실시예 6>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급성경구투여 독성실험 및 간장 보호효과 측정
6주령의 특정병원부재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군당 2 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숙취해소 조성물 중에서 <2-1> 내지 <2-10>의 조성물을 0.5% 메틸셀룰로즈 용액에 현탁하여 1 g/㎏/15 ㎖의 용량으로 2회 경구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의 숙취해소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군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현미경적 소견을 비교한 결과, 간장, 비장, 신장, 뇌, 피부, 생식기계, 위장, 대장, 심장, 폐장 등 실질 장기 등에서 본 발명의 숙취해소 조성물이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 실험된 본 발명의 숙취해소 조성물은 모두 랫트에서 10 ㎖/㎏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7> 간 조직에서 LDH 분비량 측정
간 조직에서의 독성 효과를 측정하기위하여 체중 250 g 정도의 정상 5주령스프라그-돌리계 렛트 (male, 생명공학연구소, 실험동물센터 구입)의 간장 (liver)을 떼어내어 이로부터 얻어진 슬라이스 (slice)를 웨이마우스 MB 배양액 (Waymouth MB medium, GIBCO BRL, Life technologies, U.S.A.) 1.5 ㎖에 담가 1시간 정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상기 실시예 <2-1> 내지 <2-10>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처리한 새로운 배양액으로 교환하였다. 배양액을 교환하고 개스가 잘 나오는지 점검하면서 6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층액 1 ㎖과 간장 조직 슬라이스를 각각 분리하여 LDH 킷트를 이용하여 시료 내 LDH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간 독성에 대한 간장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에서 LDH의 분비가 적을수록 간장이 보호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 결과, 실시예 <2-1> 내지 <2-10>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처리된 배양액에서 배양된 간 조직에서 분비되는 LDH의 양은 미리 브로모벤젠 (Bromobenzene, BB)으로 처리하여 간 독성을 유발시킨 후 이를 해독시키기 위하여 분비되는 LDH의 양에 비하여 약 29%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간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3).
상기 결과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간장 보호효과 뿐만아니라 숙취해소 능력까지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천연생약제인두충, 어성초, 삼백초 및 감초 등의 유효성분에 의해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숙취해소 작용이 우수하고 간독성 보호효과가 뛰어나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은 복용이 용이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여 음주전·후의 숙취해소 및 간장 보호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두충, 홍삼, 결명자 및 황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40 ∼ 80 중량%, 어성초, 대황, 갈근 및 유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5 ∼ 40 중량%, 삼백초, 신선초, 감나무잎 및 대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5 ∼ 40 중량%, 감초, 쑥 및 녹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5 ∼ 15 중량%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장 보호효과가 우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두충 추출물 40 ∼ 80 중량%, 어성초 추출물 5 ∼ 40 중량%, 삼백초 추출물 5 ∼ 40 중량%, 감초 추출물 5 ∼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두충 추출물 40 ∼ 80 중량%, 대황 추출물 20 ∼ 40 중량%, 감나무잎 추출물 10 ∼ 20 중량%, 감초 추출물 5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홍삼 추출물 40 ∼ 60 중량%, 유자 추출물 20 ∼ 40 중량%, 신선초 추출물 10 ∼ 20 중량%, 감초 추출물 5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황연 추출물 40 ∼ 60 중량%, 갈근 추출물 20 ∼ 40 중량%, 감나무잎 추출물 10 ∼ 20 중량%, 쑥 추출물 5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두충 추출물 40 ∼ 60 중량%, 유자 추출물 20 ∼ 40 중량%, 대추 추출물 10 ∼ 20 중량%, 감초 추출물 5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두충 추출물 40 ∼ 60 중량%, 갈근 추출물 20 ∼ 40 중량%, 신선초 추출물 10 ∼ 20 중량%, 감초 추출물 5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8. 1) 처방의 구성 약재 각각을 물과 혼합하여 열수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열수 추출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하는 단계;
    3) 단계 2의 상층액을 가열농축하여 각각의 약재 추출물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약재 추출물 원액을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단계 1의 물은 약재 무게의 5배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단계 1의 열수 추출은 90 ∼ 10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 1항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숙취해소 및 간장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약학적 조성물.
  12. 제 11항의 약학적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장보호제.
  13. 제 1항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숙취해소 및 간장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보조식품.
  14. 제 13항에 있어서, 건강보조식품은 차, 젤리, 즙, 쥬스, 엑기스, 음료, 기호식품 및 간장보호 및 치료용 민간요법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2000-0071310A 2000-11-28 2000-11-28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0372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310A KR100372561B1 (ko) 2000-11-28 2000-11-28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310A KR100372561B1 (ko) 2000-11-28 2000-11-28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639A true KR20020041639A (ko) 2002-06-03
KR100372561B1 KR100372561B1 (ko) 2003-02-15

Family

ID=1970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310A KR100372561B1 (ko) 2000-11-28 2000-11-28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561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589A (ko) * 2002-04-18 2002-06-19 유연실 기능성(機能性)음식의 조리방법
KR20020060671A (ko) * 2002-07-02 2002-07-18 이혜복 폐질환 예방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KR100441630B1 (ko) * 2001-03-20 2004-07-27 오성천 녹용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양갱조성물
KR100441629B1 (ko) * 2001-03-20 2004-07-27 오성천 생약성분 추출액을 함유하는 기능성양갱조성물
KR100472098B1 (ko) * 2002-11-15 2005-03-11 김항종 흑삼과 흑미삼을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0504351B1 (ko) * 2002-10-18 2005-07-27 (주)바이오뉴트리젠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KR100555683B1 (ko) * 2003-01-27 2006-03-03 조만수 생약 제재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616122B1 (ko) * 2002-11-20 2006-08-25 박갑주 간기능활성 및 항고지혈증 조성물
KR100781648B1 (ko) * 2006-08-03 2007-12-05 유홍렬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913243B1 (ko) * 2007-10-29 2009-08-24 박오하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KR101012351B1 (ko) * 2009-04-24 2011-02-09 전대우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숯액자
KR101150885B1 (ko) * 2009-10-09 2012-05-30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숙취해소용 홍삼, 용아초, 미배아대두 추출물 및 참기름 혼합조성물
KR101949887B1 (ko) * 2017-08-14 2019-02-19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 또는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158B1 (ko) * 2001-03-06 2003-11-15 조진원 인체내의 유독 성분을 제거하는 생약 추출물 및 제조방법
KR100638573B1 (ko) 2004-05-28 2006-10-26 극동에치팜 주식회사 흡연으로 인해 유발되는 인체내의 유독성분을 제거하는 생약 조성물
WO2010082785A2 (ko) * 2009-01-16 2010-07-22 한올제약주식회사 경구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02620B1 (ko) * 2013-12-03 2017-02-03 주식회사 에이치씨바이오텍 어성초, 무화과, 유자를 함유한 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45268A (ko) 2015-06-10 2016-12-20 김영기 신선초 및 과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706017B1 (ko) 2015-07-31 2017-02-13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기능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KR20170015842A (ko) 2015-07-31 2017-02-09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654737B1 (ko) 2016-01-05 2016-09-06 임창혁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2701B1 (ko) * 2017-05-22 2018-10-02 전라남도(농업기술원장)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31147A (ko)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웰파인 곰취추출물과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및 개선 기능성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53830B1 (ko) 2019-09-30 2020-09-09 주식회사 웰파인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곰취-아로니아 복합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KR20210045966A (ko) 2021-04-14 2021-04-27 주식회사 웰파인 곰취와 아로니아 복합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976B1 (ko) * 1990-07-19 1993-04-16 전병수 로터리 엔진
KR950007867A (ko) * 1993-09-22 1995-04-15 성우경 숙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제 조성물
KR19980061433A (ko) * 1996-12-31 1998-10-07 백운화 숙취에 효과가 있는 한약재를 원료로 한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00037814A (ko) * 1998-12-02 2000-07-05 최수부 생약재를 함유한 건강식품
KR20000056560A (ko) * 1999-02-20 2000-09-15 최수성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66984A (ko) * 1999-04-22 2000-11-15 안상태 숙취해소 및 뇨산대사 장애를 해소시킬수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04146B1 (ko) * 1999-11-22 2003-11-01 보광어성초영농조합법인 어성초, 삼백초, 쑥 및 신선초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375048B1 (ko) * 1999-12-16 2003-03-08 이강만 숙취 억제 건강음료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630B1 (ko) * 2001-03-20 2004-07-27 오성천 녹용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양갱조성물
KR100441629B1 (ko) * 2001-03-20 2004-07-27 오성천 생약성분 추출액을 함유하는 기능성양갱조성물
KR20020045589A (ko) * 2002-04-18 2002-06-19 유연실 기능성(機能性)음식의 조리방법
KR20020060671A (ko) * 2002-07-02 2002-07-18 이혜복 폐질환 예방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KR100504351B1 (ko) * 2002-10-18 2005-07-27 (주)바이오뉴트리젠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KR100472098B1 (ko) * 2002-11-15 2005-03-11 김항종 흑삼과 흑미삼을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0616122B1 (ko) * 2002-11-20 2006-08-25 박갑주 간기능활성 및 항고지혈증 조성물
KR100555683B1 (ko) * 2003-01-27 2006-03-03 조만수 생약 제재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781648B1 (ko) * 2006-08-03 2007-12-05 유홍렬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913243B1 (ko) * 2007-10-29 2009-08-24 박오하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KR101012351B1 (ko) * 2009-04-24 2011-02-09 전대우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숯액자
KR101150885B1 (ko) * 2009-10-09 2012-05-30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숙취해소용 홍삼, 용아초, 미배아대두 추출물 및 참기름 혼합조성물
KR101949887B1 (ko) * 2017-08-14 2019-02-19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 또는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2561B1 (ko) 200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404979B1 (ko)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Panda Handbook on medicinal herbs with uses: medicinal plant farming, most profitable medicinal plants in India, medicinal plants farming in India, plants used in herbalism, medicinal herbs you can grow, medicinal herbs and their uses, medicinal herbs, herbal & medicinal plants, growing medicinal herb, most profitable medicinal herbs growing with small investment, herbal medicine herbs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180037693A (ko) 폐질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JP2002275077A (ja) リパーゼ阻害剤
JP2003192605A (ja) リパーゼ阻害剤
KR100552398B1 (ko)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Sharangi et al. Stevia: Medicinal Miracles and therapeutic magic
KR20150040392A (ko)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KR101930277B1 (ko) 숙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961356B1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91914B1 (ko) 식물생약제 조성물의 추출액으로된 다이어트용 기능성식품의 제법
KR101195109B1 (ko) 당뇨병 예방에 효과적인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46787B1 (ko) 숙취해소용 음료수 조성물
KR20210050034A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A2606732C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angover
Roy et al. Herbs Used In Peptic Ulcer: A Review.
WO2018052171A1 (ko)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 치료용 조성물과 그 추출방법
KR102165239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2050554B1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4673220B2 (ja) 消化器疾患のためのハーブ組成物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