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239B1 -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239B1
KR102165239B1 KR1020180041420A KR20180041420A KR102165239B1 KR 102165239 B1 KR102165239 B1 KR 102165239B1 KR 1020180041420 A KR1020180041420 A KR 1020180041420A KR 20180041420 A KR20180041420 A KR 20180041420A KR 102165239 B1 KR102165239 B1 KR 102165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extract
composition
alcoho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270A (ko
Inventor
김좌진
박재호
정혁상
Original Assignee
김좌진
주식회사 프로셀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좌진, 주식회사 프로셀컴퍼니 filed Critical 김좌진
Priority to KR1020180041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23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61K36/634Forsyth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내 자생 천연식물 유래로 독성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간보호 효능이 있어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와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건강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간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Hepatoprotective Composition Comprising Abeliophyllum Distichum Extract}
본 발명은 국내 자생 천연식물 유래로 독성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간보호 효능이 있어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와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건강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간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섭취한 음식물들을 여러 조직에서 필요한 영양소의 형태로 적절하게 변화시키고, 조직에서 이용하고 남은 노폐물들을 처리하는 신체의 대사과정을 담당하는 인체의 중요한 장기 중의 하나이다. 구체적으로는 소화액인 담즙을 분비하고, 단백질과 탄수화물, 지방을 대사시키며, 글리코겐과 지용성 비타민 등을 저장하고, 혈액응고 인자를 합성하며, 혈액에서 노폐물과 독성물질을 제거하고, 혈액량을 조절하며 노쇠한 적혈구를 파괴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정신적 스트레스, 지방성분이 포함된 음식 또는 알콜의 과다 섭취, 바이러스의 감염, 약물이나 흡연, 공해물질 등의 유해물질에의 노출, 영양부족 등 다양한 요소가 간 기능의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간 기능의 장애는 인체가 방어 해독 작용을 하지 못해 면역 체계에 이상을 가져와 다른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간 기능의 장애는 쇠약, 저혈압, 잦은 좌상과 출혈, 진전, 감정둔마, 뇌파변화, 복강 내 체액 축적과 같은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간과 관련된 여러 질환들을 감별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생화학적 검사들을 종합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몇 가지 검사 항목들을 묶어 간 기능 검사로 통칭한다. 주요 검사로는 AST(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 ALT(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ALP(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GGT(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 빌리루빈이 있고, 이 외에도 총 단백질, 알부민, LDH(젖산탈수소효소), 암모니아 등의 항목을 더하여 검사하는 경우도 있다. 이 중, AST(GOT)와 ALT(GPT)는 간 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들로 주로 간세포가 손상을 받는 경우 혈중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혈중 AST와 ALT 수치를 간손상의 표지자로 사용할 수 있다. 급성 간세포의 손상 초기에는 간 세포 내 농도가 높은 AST가 ALT보다 더 많이 증가하지만, 24~48시간 뒤와 만성 간세포 손상시에는 반감기가 더 긴 ALT 수치가 더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알코올성 간염에서는 AST가 더욱 증가한다.
한편, 간은 완충능력이 큰 기관이므로 질환의 초기단계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통증을 느끼는 신경이 적기 때문에 상당히 악화되어서야 발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간경화나 간암은 각종 간질환이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경우 공통적으로 이르는 마지막 단계로, 간은 초기의 건강관리가 매우 중요한 기관이다. 이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간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등록특허 제10-0633851호(가열건조처리된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등록특허 제10-1106499호(헛개나무 어린가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 효과용 식품 조성물), 등록특허 제10-1702046호(장수풍뎅이 유충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항암용 조성물)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는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며 세계에서 단 1속 1종밖에 없는 식물이다. 미선나무라는 이름은 열매가 둥근 부채모양을 닯았다는 것에서 유래하며, 1919년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된 후 유럽과 일본으로 건너가 지금은 여러 나라에서 훌륭한 조경수로서 사랑을 받고 있다. 미국에서는 미선나무를 개량한 품종이 판매되고 있다. 충북 괴산, 영동, 북한산, 전북 변산반도 등 자생지가 한정되어 있어, 많은 연구가 되어 있지는 않으나, 항암제(등록특허 제10-0706131호)나 아토피 치료제(등록특허 제10-1729210호)로 효능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미선나무는 희귀종임에도 불구하고 꺾꽂이, 포기나누기, 종자 파종 등에 의해 용이하게 번식이 가능하다. 따라서 소중한 우리의 자원인 미선나무의 효능을 밝히고, 이를 적극적으로 번식시켜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등록특허 제10-0633851호 등록특허 제10-1106499호 등록특허 제10-1702046호 등록특허 제10-0706131호 등록특허 제10-1729210호
본 발명은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국내 자생 천연식물의 효능을 밝히고, 이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간기능 검사의 지표인 AST와 ALT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선나무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미선나무의 줄기, 가지, 열매, 뿌리, 꽃, 잎 또는 캘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 및/또는 분획하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줄기, 가지, 열매, 뿌리, 꽃, 잎 또는 캘러스는 채취한 그대로의 생것이거나, 건조물이거나 냉동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인 추출을 위하여 잘게 자르거나, 분쇄 또는 마쇄 후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추출은 당업계에서 천연물의 추출에 사용되는 방법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예를 들면 별도의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착즙이나 용매를 이용한 방법으로 냉침, 열추출, 초음파추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상기 용매는 물 또는 C1~C4의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에 대한 효능을 가진 유효성분을 더욱 농축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물을 추가로 분획을 실시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추출물을 물에 용해시킨 후 석유에테르와 에틸아세테이트로 순차적으로 분획을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착즙이나 용매를 사용한 추출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은 그 자체로 사용하거나, 농축하거나,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건조방법 역시 분무건조, 열건조, 동결건조 등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용 약제로 이용하기 위하여, 약제학적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carrier), 부형제(forming agent), 희석제 등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하여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용 약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제제의 형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증상의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투여량은 0.001mg/kg·일~10g/kg·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숙취해소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바람직하게는 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과자, 주류, 초콜릿,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 독성이 없으며,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어,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을 위한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미선나무 추출물의 세포독성에 대한 평가 그래프.
이하 첨부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미선나무 추출물의 제조
미선나무의 잎, 가지, 꽃 또는 미성숙 열매의 건조시료 500g에 70%(v/v) 주정 2L를 넣고 3일간 교반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하여 약 500mL 정도로 농축하였다. 농축물에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500mL를 넣고 교반한 후 상부의 석유에테르층을 분리하여 제거하고, 다시 수층에 석유에테르 500mL을 넣고 교반 후 분리하는 과정을 2회 더 실행하여 수층을 분리하였다. 수층에 다시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500mL를 넣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취하는 과정을 총 3회 실행하여 유기층을 회수한 다음 농축·건조하여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미선나무 부위에 따른 추출물의 수율은 표 1과 같다.
Figure 112018035462508-pat00001
부위에 따라 추출물의 수율은 차이가 있었으나, 사전 검토 시 간보호에 대한 효능의 차이는 크지 않았기 때문에 하기 실시예에서는 잎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미선나무 캘러스 추출물의 제조
1 ppm의 2,4-D(2,4-Dichlorophenoxyacetic acid)가 포함된 MS 배지에 미선나무 잎을 일정 크기로 자른 후 접종하여 26℃에서 캘러스(callus)를 유도하였다. 유도된 캘러스를 1 ppm의 2,4-D와 10 ppm의 GA(gibberellic acid)가 포함된 MS배지, 30℃에서 20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였다.
계대배양된 캘러스는 수확하여 분쇄한 후 10배의 MeOH을 넣고 3일간 교반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하고 농축,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3 : 세포독성 평가
세포 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96 well plate에 RAW 264.7 세포를 5×103 cells/100μL의 농도로 분주하였다. RAW 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 은행으로부터 분양받았으며, 10% fetal bovine serum (FBS) 과 1% penicillin과 streptomycn (P/S)이 첨가되어 있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을 시용하여 37℃, 5% CO2 환경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분주된 세포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미선나무 추출물을 1, 10, 50, 100 ㎍/㎖의 농도로 가하여 24시간 처리한 후 MTS assay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도 1은 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미선나무 추출물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4 : 미선나무 추출물의 간보호 효능 평가
생후 5주령된 체중 150 g 내외의 웅성 Sprague-Dawley rat를 대한바이오 링크(충북, 음성)로부터 구입하여 동물사육 chamber에서 일정한 조건(온도: 22±2℃, 습도:50±5%, 명암: 12시간 light/dark cycle)으로 일주일간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3마리씩 정상군(무처리), 대조군(알코올만 처리), 시료 투여군(시료+알코올 처리)으로 나누었다. 실험에 앞서 사료 섭취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위장관을 통한 알코올의 흡수 방해 현상을 배제하기 위해 18시간 동안 절식시켰으며 이때 물은 제한 없이 공급하였다.
알코올은 40% 주정을 5 mL/kg씩 경구투여하였으며, 각 시료는 500 mg/kg씩 알코올 투여 30분 후 경구 투여하였다. 시료투여 1시간 후 꼬리 정맥을 통해 채혈하였으며, 4시간 후에는 diethyl ether 마취하여 복부정중선을 따라 개복하고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기질과 효소반응을 이용한 assay kit(Asan Pharmaceutical)를 사용하여 혈중 AST와 ALT 레벨을 측정하였다. 표 2와 표 3은 각각 혈중 AST와 ALT 레벨의 측정 결과이다.
Figure 112018035462508-pat00002
Figure 112018035462508-pat00003
알코올에 의한 독성화 과정에서 간 조직막에 심각한 손상을 입어 수송기능 및 막 투과성에 변화를 초래하여 세포로부터 효소들을 방출시킨다. 이에 의해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혈중 AST와 ALT가 크게 증가하였다. 미선나무 추출물과 미선나무 캘러스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AST와 ALT 레벨이 크게 감소하여 독성물질에 의한 간손상에 대해 간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캘러스 추출물은 미선나무 추출물에 비해 간보호 효과가 더욱 우수하였다.

Claims (7)

  1. 미선나무 잎을 MS 배지에 접종하여 유도한 캘러스를 물 또는 C1~C4의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미선나무의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미선나무 잎을 MS 배지에 접종하여 유도한 캘러스를 물 또는 C1~C4의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미선나무의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손상에 대한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숙취해소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콜성 간 손상에 대한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삭제
KR1020180041420A 2018-04-10 2018-04-10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KR102165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420A KR102165239B1 (ko) 2018-04-10 2018-04-10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420A KR102165239B1 (ko) 2018-04-10 2018-04-10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270A KR20190118270A (ko) 2019-10-18
KR102165239B1 true KR102165239B1 (ko) 2020-10-13

Family

ID=6846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420A KR102165239B1 (ko) 2018-04-10 2018-04-10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2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317B1 (ko) 2023-01-06 2023-07-31 주식회사 투에버 흰 전나무 추출물등을 포함하는 체내 축적 독소 및 노폐물 제거를 위한 해독작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851B1 (ko) 2004-04-22 2006-10-16 학교법인 상지학원 가열건조처리된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06131B1 (ko) 2004-11-29 2007-04-11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KR101106499B1 (ko) 2009-03-24 2012-01-20 장흥군 헛개나무 어린가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 효과용 식품 조성물
KR102271286B1 (ko) * 2014-04-14 2021-06-30 고재우 미선나무잎 음료, 차, 식품 원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9210B1 (ko) 2015-01-16 2017-04-24 ㈜엠알이노베이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아토피 개선제품 조성물
KR101702046B1 (ko) 2015-06-23 2017-02-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장수풍뎅이 유충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항암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317B1 (ko) 2023-01-06 2023-07-31 주식회사 투에버 흰 전나무 추출물등을 포함하는 체내 축적 독소 및 노폐물 제거를 위한 해독작용 조성물
KR102594018B1 (ko) 2023-01-06 2023-10-25 주식회사 투에버 흰 전나무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알코올에 의한 간 독소 축적 억제 및 제거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270A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1106499B1 (ko) 헛개나무 어린가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 효과용 식품 조성물
JP4393777B2 (ja)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用組成物
JP7471393B2 (ja) 呼吸器疾患の予防、改善又は効果がある茶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薬学組成物
Chauhan et al. Biological Actions of Opuntia Species.
Safira et al. Review on the pharmacological and health aspects of Hylocereus or Pitaya: An update
WO200700799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KR102165239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KR100762448B1 (ko) 잔대를 포함하는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
Chandran et al. Evaluation of in vivo anticancer activity of Scaevola taccada Roxb against Ehrlich ascites carcinoma in Swiss albino mice
KR20150051597A (ko) 우엉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Hassan et al. Wheat Grass (Triticum aestivum L.) Benefits Health in a Pandemic Scenario
WO2018052171A1 (ko)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 치료용 조성물과 그 추출방법
James et al. Assessment of the hepatic effects, heamatological effect and some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Ximenia americana (Leaves, stem and root) extracts
Ferreira et al. Bioactive prairie plants and aging adults: Role in health and disease
KR20190119020A (ko) 지칭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10061108A (ko) 흰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1185668A (zh) 一种新的防治艾滋病及保肝解毒制剂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Huy et al. Inhibition of calculi forming oxalate by dietary Basella rubra organs: Litholytic activity
Omoboyowa et al. Protective effect of methanol seed extract of Citrullus lanatus on paracetamol-induced hepatotoxicity in adult wistar rats
Balakrishnan Review on: Growing a glass of rich immune booster at your home: Triticum aestivum L.(wheat grass) beneficial effect on health in this pandemic scenario
Abdelrahman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ethanolic and ethyl acetate extracts of Sterculia Setigera against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hepatotoxicity in albino rats
KR101508561B1 (ko) 귀리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030089253A (ko) 면역활성 및 항암 효과 증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