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737B1 -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737B1
KR101654737B1 KR1020160000732A KR20160000732A KR101654737B1 KR 101654737 B1 KR101654737 B1 KR 101654737B1 KR 1020160000732 A KR1020160000732 A KR 1020160000732A KR 20160000732 A KR20160000732 A KR 20160000732A KR 101654737 B1 KR101654737 B1 KR 101654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tangerine
wat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혁
Original Assignee
임창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혁 filed Critical 임창혁
Priority to KR1020160000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737B1/ko
Priority to PCT/KR2016/011068 priority patent/WO2017119574A1/ko

Links

Classifications

    • A23L1/300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05
    • A23L1/08
    • A23L1/212
    • A23L1/2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지각, 지실, 탱자청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체내에 존재하는 포름알데히드, 포름산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촉진하고, 위장 또는 간장 보호 효과와 음주에 따른 세포독성을 줄이고 숙취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A composition having extracts of trifoliate orange for release of hangov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확 시기에 따른 하나 이상의 탱자 추출액을 포함함으로써 음주로 인한 숙취(hangover) 증상을 예방 또는 해소할 수 있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알코올 소비는 세계 최고의 수준이며, 간암이나 간경화로 인한 사망이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이 되는 등 음주로 인한 사회경제적 및 보건학적 폐해는 엄청나며 이는 증가 추세에 있다.
과다한 알코올 섭취는 갈증, 피로감, 졸음, 두통, 어지러움, 오심, 구토, 무력감, 복부팽만감, 위장관 불쾌감 등의 숙취현상(hangover)을 유발하며, 만성적으로는 간질환, 위염, 췌장염, 고혈압, 중풍, 식도염, 당뇨병, 심장병 등 많은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알코올, 더 정확하게 에탄올을 섭취할 경우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관으로 들어가 간으로 옮겨지게 된다. 에탄올은 알코올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로 전환되고, 이는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작용에 의해 아세테이트(Acetate)로 전환되어 순환계를 통해 간세포 밖으로 배설되어진다.
숙취 현상은 인체 내에 축적된 에탄올의 최초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wift R et al., Alcohol Health Res World. 1998;22(1):54-60).
한편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에탄올보다 메탄올이 숙취의 원인이라는 분석도 있다(Addiction Biology(2005, 10, 351-355)). 간에서 일어나는 체내 분해과정에서 메탄올이 포름알데히드를 거쳐 포름산(개미산)으로 변화하는데 이 포름알데히드와 개미산의 독성으로 인해 숙취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숙취를 해소하기 위해서 콩나물, 북어 등을 이용한 음식물이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숙취 해소를 위한 많은 기능성 음료 또는 조성물들이 시판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91653에는 호박산, 푸마르산, 글루타민산나트륨 등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72561호에는 천연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이 개시되어 있는 등 다양한 천연소재 추출물에 의한 숙취 해소제 특허들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에도 불구하고, 혈중 메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격감시켜, 숙취 해소능이 더욱 증진된 기능성 조성물에 대한 개발은 요원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91653 (2009년 08월 2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72561 (2003년 02월 24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확 시기에 따른 하나 이상의 탱자 추출액을 포함함으로써 숙취(hangover) 증상의 원인인 포름알데히드, 포름산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촉진할 수 있는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a) 물에 지각, 지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탱자를 투입하고 교반 및 가열하는 추출액 제조 단계; 및
b) 상기 추출액을 희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a) 물에 탱자청을 포함하는 탱자를 투입하고 교반 및 가열하는 추출액 제조 단계; 및
b) 상기 추출액을 희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a) 물에 지각, 지실 및 탱자청을 포함하는 탱자를 투입하고 교반 및 가열하는 추출액 제조 단계; 및
b) 상기 추출액을 희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탱자는 지각, 지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지각 50 내지 70 중량% 및 지실 3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자가 지각, 지실 및 탱자청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지각 40 내지 60 중량%, 지실 10 내지 30 중량% 및 탱자청 2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단계는 물 100 중량부에 탱자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80 내지 100℃에서 1 내지 60분간 가열하여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b) 단계는 추출액과 물을 1 : 0.5 내지 2 부피비로 혼합하여 희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에 탱자 이외에 감초, 갈근, 녹두, 적소두, 산사, 맥아, 천궁, 창출, 결명자, 사인 및 박하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약초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b) 단계에 꿀, 과당, 향미료, 과일추출액, 식물추출액, 겔화제 및 산화방지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탱자 추출액은 지실 추출액, 지각 추출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지각, 지실, 탱자청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체내에 존재하는 포름알데히드, 포름산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촉진하고, 위장 또는 간장 보호 효과와 음주에 따른 세포독성을 줄이고 숙취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 구체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탱자’는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인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Rafinesque)의 과실로 4~5월에 개화하며 과실은 10월에 황색으로 착색되고 특유의 향기 및 강한 신맛, 쓴맛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지실(枳實)’은 상기 탱자의 어린 열매, 7~8월경 수확한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 신체에 비정상적으로 뭉쳐진 기를 분산시키며, 심한 소양증과 복부창만, 명치 통증 등을 해소하고, 급체 등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각(枳殼)’은 상기 탱자의 성숙한 열매, 즉 10월경 수확한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 효능은 지실과 거의 동일하나 기를 분산시키는 효능이 지실보다 강하지 않고 온화하며, 담과 적을 없애는 효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탱자청’은 상기 지실, 지각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탱자를 설탕에 일정비로 혼합한 후 봉인하여 숙성한 것으로, 설탕과 탱자의 혼합비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설탕 100 중량부에 대해 탱자 50 내지 150 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숙성 기간 또한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나, 6 내지 12개월간 숙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탱자의 조성에 따라 달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각, 지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탱자청만을 포함하거나, 지각, 지실 및 탱자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a) 물에 탱자를 투입하고 교반 및 가열하는 추출액 제조 단계; 및
b) 상기 추출액을 희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a) 단계와 같이 물에 탱자를 투입하고 교반 및 가열하여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탱자는 재배한 것이나 시판하고 있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말린 열매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채취한 지 7일 이내의 열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는 탱자청을 제조한 후, 탱자청 내에 포함된 열매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탱자는 지각, 지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지실의 경우 네오헤스페리딘(neohesperidin), 나린진(naringin), 로이폴린(rhoifolin)과 로니세린(lonicerin) 등의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리날로올(linalool), 캠펜(camphene) 등의 테르펜(terpene)류, 탄닌(tannin), 정유성분, 다량의 vitamin C와 다양한 종류의 유기산과 유리당을 포함하고 있으나, 지실이 성숙함에 따라 상기 성분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글루코스(glucose), 갈락토스(galactose), 프럭토스(fructose), 슈크로스(sucrose) 등의 당류로 변화하므로, 이러한 성분들이 모두 포함되도록 지각과 지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인을 알 수 없으나, 상기와 같이 지각과 지실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욱 우수한 포름알데히드 및 아세트알데히드 제거 효율을 보이고 있어, 숙취 해소에 더더욱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탱자는 지각 50 내지 70 중량% 및 지실 3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지실보다 지각을 더 많이 포함하는 이유는 지각과 지실 각각의 숙취 해소 효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으나, 지실을 많이 사용하게 되면 사람에 따라 복통과 설사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탱자는 탱자청일 수 있다. 탱자청을 사용하는 경우 탱자청에 포함된 설탕에 의해 탱자 고유의 시고 떫은맛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식감이 탱자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더 좋아질 수 있다.
또한 더 상세하게는 상기 탱자는 지각, 지실 및 탱자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지각과 지실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함과 동시에 탱자청에 포함된 설탕에 의해 식감을 개선할 수 있으며, 당류 자체가 숙취 해소에 효과적이므로 지각이나 지실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더욱 개선된 숙취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탱자가 지각, 지실 및 탱자청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지각 40 내지 60 중량%, 지실 10 내지 30 중량% 및 탱자청 2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지각, 지실, 탱자청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지실보다 지각을 더 많이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추출액 제조단계는 물 100 중량부에 탱자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물 100 중량부에 탱자 0.5 내지 2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 100 중량부에 탱자 0.8 내지 1.2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좋다. 탱자가 0.1 중량부 미만 첨가되는 경우 첨가량이 너무 적어 탱자의 약효를 충분히 발현하기 어려우며, 물의 첨가량이 많아져 장기 보관 시 변질의 우려가 있다. 또한 탱자가 5 중량부 초과 첨가하는 경우 교반 및 추출에 어려움이 있으며, 탱자 특유의 시고 떫은맛이 강해져 식감이 좋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추출액 제조 단계는 80 내지 100℃에서 1 내지 60분간 가열 및 교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동일 범위의 온도에서 20분 내지 40분간 가열 및 교반하는 것이 좋다. 1분 미만 가열하는 경우 탱자 내 유효 성분이 제대로 우러나지 않게 되며, 60분 초과 가열하는 경우 탱자 열매가 형태를 잃고 부서져 여과가 어려울 뿐 아니라 탱자 성분의 농도가 너무 강해져 원하는 맛을 내기 어렵다.
제조단계에서 사용하는 교반 및 가열장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교반속도 또한 물의 함량 및 온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좋다. 상기 교반속도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rpm의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a)단계를 거친 추출액의 농도는 10 내지 300 g/L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추출액 제조 단계는 경우에 따라 탱자 열매를 1차적으로 가열 및 교반한 후, 탱자 열매를 추출액으로부터 여과하고 이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다시 절단된 탱자 열매를 추출액에 투입하고 2차 가열 및 교반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탱자 열매의 절단 크기, 형태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탱자 열매의 크기에 따라 유효 성분의 추출이 용이하도록 적절하게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차 가열 시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을 한정하지는 않으나, 상기 1차 가열과 동일한 조건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추출액 제조 단계는 가열에 따른 물의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제조단계 중간에 물을 더 첨가할 수도 있다. 이때 물의 첨가량은 10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좋으며, 2회 이내로 첨가하는 것이 좋다.
추출액 제조 단계가 끝나면, 추출액을 여과하여 탱자 열매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여과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기구 또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체를 이용하여 탱자 열매를 건져내도 좋으며, 통상의 여과장치를 통해 탱자 열매를 추출액과 분리하여도 좋다.
추출액이 제조되면, 상기 b) 단계와 같이 물과 혼합하여 희석한 후 음용할 수 있다. 이때 추출액과 물의 혼합비는 1 : 0.5 내지 2 부피비,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액 1 부피비에 물 0.8 내지 1.2 부피비로 혼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부피비에서 추출액의 유효 성분을 충분히 음용하면서, 식감을 충분히 조절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출액은 보관의 용이성을 위해 가열 및 농축(중탕)하여 농축액을 제조할 수도 있다. 농축액 제조단계는 먼저 80 내지 100℃에서 2시간 동안 가열 및 농축한 후(1차 중탕), 70 내지 80℃로 냉각한다. 냉각 후에는 냉각온도를 유지하면서 8 내지 10시간 정도 농축한다(2차 중탕). 이 과정을 1회로 하여 3 내지 5회 반복하는 것이 좋다. 즉 냉각온도를 유지하여 8 내지 10시간 농축과정이 끝나면 다시 온도를 80 내지 100℃로 승온하여 2시간 동안 가열 및 농축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중탕 조건 및 냉각 조건은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탱자 농축액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온도보다 낮으면 탱자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제대로 농축되지 않으며, 상기 온도보다 높으면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상기 a) 단계에 감초, 갈근, 녹두, 적소두, 산사, 맥아, 천궁, 창출, 결명자, 사인 및 박하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약초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약초들은 모두 탱자와 잘 어울리는 것으로, 조성물의 맛과 향을 더욱 보완할 수 있다.
상기 약초는 약초 본원의 형태 또는 추출물의 형태로 첨가할 수 있으며, 제조단계 및 여과단계의 편의에 따라 크기 및 형태를 자유로이 할 수 있다. 추출물 또는 엑기스의 형태로 제조할 경우 먼저 상기 약초 총중량 1에 정제수를 3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중탕 및 냉각을 반복한다. 약초와 정제수를 혼합한 후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60 내지 120분간 약초를 익힌 후 으깨어 중탕한다(1차 중탕). 그 후 다시 동일 온도에서 60 내지 150분간 중탕한 후 고형물을 여과하여 추출액만 남기도록 한다. 여과과정은 고형물의 함량을 극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여과망의 mesh는 구체적인 수치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약초의 추출물 제조과정에서 80℃ 미만으로 중탕하는 경우 상기 약초의 성분 추출률이 낮아지게 되며, 100℃ 초과하는 경우 약초의 성분이 파괴될 우려가 있다.
상기 약초 혼합물 또는 약초 추출액 혼합물은 상기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b) 단계에 꿀, 과당, 향미료, 과일추출액, 식물추출액, 겔화제 및 산화방지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맛과 저장안정성을 보완할 수도 있다.
상기 꿀(Apis cerana Fabricius)은 꿀벌이 여러 식물의 꽃으로부터 수집한 화밀과 화분을 그들의 식량으로 전환하여 저장한 것으로, 2개의 단당류, 즉 글루코스(glucose)와 프락토스(fructose), 탄수화물, 무기질, 식물성 색소, 효소 및 화분 등을 함유하는 단맛의 점성질 액체를 말한다. 꿀은 성질이 평하고 독이 없으며, 오장을 편안하게 하고 기를 도우며 독을 푸는 효과가 있어 항균, 조형, 지형, 해독, 지통, 상처수렴작용 등에 효과가 있으며, 천식, 변비, 적리, 궤양, 외상, 피부염, 빈혈, 신경쇠약, 고혈압, 심장병 및 만성 질병을 다스린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꿀은 과당을 함유하고 있어 그 자체로도 숙취 해소에 도움을 주며, 탱자 추출물의 효능을 보강하고, 제조되는 탱자 추출물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박테리아 및 세균을 죽이는 방부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꿀은 아카시아꿀, 싸리꿀, 복분자꿀, 잡화꿀, 오디꿀, 밤꿀, 벚꽃꿀, 때죽꿀 등 꽃에 따라 생산되는 꿀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생청(生淸), 화청(火淸), 목청(木淸), 석청(石淸) 등 채집 장소 및 제조방법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꿀은 상기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5 중량부 미만 첨가하는 경우 꿀의 효능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으며, 20 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제조되는 탱자 추출물의 감미가 강해져 맛이 변할 수 있다.
상기 과당은 혈액 내 알코올의 농도를 대폭 감소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며, 탱자 특유의 시고 떫은맛을 중화하여 식감을 좋게 한다.
향미료로서 바람직하게는 타우마틴(Thaumatin),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Rebaudioside A), 글리시르히진(Glycyrrhizin) 등의 천연향미료 및 사카린, 아스파탐 등의 합성향미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일추출물 및 식물추출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하지 않으며, 기호 및 제품의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겔화제로 바람직하게는 젤라틴(gelatine), 한천, 펙틴(pectin), 콜라겐(collagen), 카제인(casein) 등의 단백질 또는 구아검(guar gum), 아라비아검(arabic gum) 등의 증점 다당류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 바람직하게는 비타민C, 토코페롤, 레시틴 등의 천연산화방지제와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BHT), 아스코르빌파르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등의 합성산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첨가제는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첨가제는 단독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상기 추출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지실 추출액, 지각 추출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의 시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알코올 분해효소의 활성 측정)
알코올분해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의 활성 측정은 50 mM sodium pyrophosphate, 95%(v/v)ethanol, 15mM NAD에 효소액과 시료를 가하고 효소 작용으로 생성된 NADH를 UV/Vis spectrophotometer(UV-1201, Shimadzu Co, Japan)를 사용하여 3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알데히드 분해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활성 측정은 증류수, 1M tris HCl buffer, 20mM β-nicotinamise adenine dinucleotide, 100mM acetaldehyde, 3M potassium chloride, 1M mercaptoethanol, 100mM tri HCl Buffer with 0.02%(w/v) bovine serum albumin에 효소액과 시료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UV/Vis spectrophotometer(UV-1201,Shimadzu Co,Japan)를 사용하여 3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알코올 분해 농도)
25 내지 35세의 연령 분포를 가지는 성인 남성 20명을 10인씩 각 2군으로 나누어 각각 시판되는 소주(알코올 농도 19.5도)를 5㎖/㎏의 양으로 섭취하였다. 다음으로 음주 1시간 경과 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2㎖/㎏의 양으로 섭취하였다. 그리고 조성물 섭취 후 15분, 30분, 1시간, 3시간 이후 호흡 측정기(Etinose)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양을 측정하여 평균치를 계산하였다. 실험군 및 대조군은 각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음용한 후 음주하였다.
(관능평가)
25 내지 35세의 연령 분포를 가지는 성인 50명을 관능검사 요원으로 선정하여 음료 관능적 감각을 익힌 후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으며, 채점 기준은 매우 나쁘다(1), 나쁘다(2), 보통이다(3), 좋다(4) 그리고 매우 좋다(5)로 평가하였다. 또한 검사 항목은 향, 맛, 입안의 질감 및 전체적인 선호도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물 100 중량부에 대해 약재상가에서 구한 탱자 지각(10월 수확) 1 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입하였다. 그리고 90℃의 열을 가하면서 30분간 가열 및 교반하였다. 그리고 가열이 끝난 탱자를 다시 건져내어 6 조각으로 절단한 후 다시 추출액에 첨가하고 동일 온도에서 30분간 가열하였다. 가열이 끝난 추출액은 여과하여 탱자를 걸러내고, 상온으로 식혔다. 그리고 추출액에 물을 1 : 1 부피비로 혼합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지각 대신 지실(8월 수확)을 동일 중량부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먼저 지각 100 중량부에 설탕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빈 병에 투입하였다. 그리고 입구를 천으로 덮은 후 뚜껑으로 봉인하고 6개월간 숙성하여 탱자청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탱자청에서 지각만을 꺼내어 실시예 1과 같이 물 100 중량부에 대해 1 중량부 투입하고, 이외의 제조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탱자로 지각과 지실을 각각 60 : 40 중량%로 혼합한 것을1 중량부 첨가하였으며,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에서 지각과 지실을 각각 40 : 60 중량%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90℃ 물 100 중량부에 지각 분말 1 중량부를 혼합한 후, 추가적인 가열 없이 30초간 교반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에서 지각 대신 지실 분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를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16000620403-pat00001
[표 2]
Figure 112016000620403-pat00002
상기 표 1 및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숙취해소 조성물은 알코올 분해효소의 활동을 촉진하여 체내 메탄올 및 에탄올을 빠르게 분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지각과 지실을 각각 60 : 40 중량%로 혼합한 실시예 4는 다른 실시예에 비해 더욱 우수한 알코올 분해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실시예 5와 같이 지실의 함량이 과도하게 첨가되는 경우 알코올 분해능은 다른 실시예와 비슷하나 관능검사에서 선호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2)

  1. a1) 물 100 중량부에 지각 50 내지 70 중량% 및 지실 30 내지 50 중량%을 포함하는 탱자 0.8 내지 1.2 중량부를 투입하고 80 내지 100℃에서 20분 내지 40분간 10 내지 60 rpm의 속도로 교반 및 가열하는 1차 추출액 제조 단계;
    a2) 상기 추출액에서 탱자를 여과한 후, 이를 절단하는 단계;
    a3) 상기 절단된 탱자를 추출액에 투입하고 80 내지 100℃에서 20분 내지 40분간 10 내지 60 rpm의 속도로 교반 및 가열하여 10 내지 300 g/L의 농도를 가지는 2차 추출액 제조 단계;
    b) 상기 추출액을 물과 1 : 0.8 내지 1.2 부피비로 혼합하여 희석하는 단계;
    c) 상기 추출액을 80 내지 100℃로 가열하여 1차 중탕하는 단계;
    d) 상기 1차 중탕한 추출액을 70 내지 80℃로 냉각하는 단계;
    e) 70 내지 80℃에서 8 내지 10시간 농축하는 단계; 및
    f) 상기 c) 내지 e) 단계를 3 내지 5회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방법.
  2. 삭제
  3. a1) 물 100 중량부에 지각 40 내지 60 중량%, 지실 10 내지 30 중량% 및 탱자청 20 내지 30 중량%을 포함하는 탱자 0.8 내지 1.2 중량부를 투입하고 80 내지 100℃에서 20분 내지 40분간 10 내지 60 rpm의 속도로 교반 및 가열하는 1차 추출액 제조 단계;
    a2) 상기 추출액에서 탱자를 여과한 후, 이를 절단하는 단계;
    a3) 상기 절단된 탱자를 추출액에 투입하고 80 내지 100℃에서 20분 내지 40분간 10 내지 60 rpm의 속도로 교반 및 가열하여 10 내지 300 g/L의 농도를 가지는 2차 추출액 제조 단계;
    b) 상기 추출액을 물과 1 : 0.8 내지 1.2 부피비로 혼합하여 희석하는 단계;
    c) 상기 추출액을 80 내지 100℃로 가열하여 1차 중탕하는 단계;
    d) 상기 1차 중탕한 추출액을 70 내지 80℃로 냉각하는 단계;
    e) 70 내지 80℃에서 8 내지 10시간 농축하는 단계; 및
    f) 상기 c) 내지 e) 단계를 3 내지 5회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는 감초, 갈근, 녹두, 적소두, 산사, 맥아, 천궁, 창출, 결명자, 사인 및 박하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약초를 더 포함하는 것인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꿀, 과당, 향미료, 과일추출액, 식물추출액, 겔화제 및 산화방지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방법.
  11. 제 1항 또는 제 3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로,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지실 추출액 및 지각 추출액을 포함하는 것인 숙취해소용 조성물.
  12. 삭제
KR1020160000732A 2016-01-05 2016-01-05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4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732A KR101654737B1 (ko) 2016-01-05 2016-01-05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6/011068 WO2017119574A1 (ko) 2016-01-05 2016-10-04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732A KR101654737B1 (ko) 2016-01-05 2016-01-05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737B1 true KR101654737B1 (ko) 2016-09-06

Family

ID=5694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732A KR101654737B1 (ko) 2016-01-05 2016-01-05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4737B1 (ko)
WO (1) WO20171195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7671A (zh) * 2017-12-15 2018-04-20 柳州飞升鹏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解酒的果酱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9943A (zh) * 2020-09-14 2020-11-13 湖南雨泉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新型葛根全粉解酒茶及其制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867A (ko) * 1993-09-22 1995-04-15 성우경 숙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제 조성물
KR20020074905A (ko) * 2001-03-22 2002-10-04 정장현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KR100372561B1 (ko) 2000-11-28 2003-02-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0443572B1 (ko) * 2002-05-29 2004-08-09 광양청매실농원영농조합법인 매실 농축액 제조방법
KR20090091653A (ko) 2008-02-25 2009-08-28 주식회사 기영약품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747B1 (ko) * 2011-12-06 2014-03-13 (주)태영에프앤아이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KR20150039628A (ko) * 2013-10-02 2015-04-13 김동영 씨앗을 주재료로 한 음료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음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867A (ko) * 1993-09-22 1995-04-15 성우경 숙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제 조성물
KR100372561B1 (ko) 2000-11-28 2003-02-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20020074905A (ko) * 2001-03-22 2002-10-04 정장현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KR100443572B1 (ko) * 2002-05-29 2004-08-09 광양청매실농원영농조합법인 매실 농축액 제조방법
KR20090091653A (ko) 2008-02-25 2009-08-28 주식회사 기영약품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탱자의 효능, 탱자차, 탱자 먹는법, 탱자나무, 탱자차 만드는법, 지실 파는곳(네이버블로그, 2014.11.27.), 인터넷: <URL: http://blog.naver.com/7412k/220193424708>* *
탱자의 효능, 탱자차, 탱자 먹는법, 탱자나무, 탱자차 만드는법, 지실 파는곳(네이버블로그, 2014.11.27.), 인터넷: <URL: http://blog.naver.com/7412k/22019342470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7671A (zh) * 2017-12-15 2018-04-20 柳州飞升鹏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解酒的果酱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9574A1 (ko)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539B1 (ko) 전복엑기스를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4589212B2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食品及びその製造法
KR100524659B1 (ko) 헛개나무 열매 또는 초목의 추출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음료
KR101726741B1 (ko)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 숙취해소용 환
KR20140103622A (ko) 양파껍질을 이용한 기능성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차
CN106579202A (zh) 一种含白茶的凤梨西番莲低糖果酱及其制作方法
KR101654737B1 (ko)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A2590849A1 (en) Alcohol metabolism enhancing agent and alcoholic beverage
KR100981188B1 (ko) 칡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3276B1 (ko) 땅콩새싹 추출물의 농축액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음료
KR100721705B1 (ko) 구기자차의 제조방법
JP2007060972A (ja) 褐変が抑制された茶飲料の製造方法
KR101904448B1 (ko) 곡물, 감미료, 칼슘, 먹물, 해초 및 생선을 살균배합으로 응고 없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20095595A (ko) 팻튠 양파 자몽 음료의 제조방법
KR100437724B1 (ko) 가루녹차를 이용한 과립차 제조방법
KR100813338B1 (ko) 미나리를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용 음료의 제조방법
CN107581538A (zh) 一种五香橄榄果干的加工方法
CN106900960A (zh) 包含工作模式和休息模式的功能型糖果组合及制备方法
KR101402194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개똥쑥 어린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100577069B1 (ko) 천연꿀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100890A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90113721A (ko) 스테비아를 포함하는 양파껍질 효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0366B1 (ko) 카테킨을 함유하는 블렌시아 살미언티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카테킨을 함유하는 블렌시아 살미언티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고농도 카테킨 과립차 및 이를 포함하는 체내 활성산소 제거, 비만조절 및 체지방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414793B1 (ko)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파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파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