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747B1 -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747B1
KR101368747B1 KR1020110129534A KR20110129534A KR101368747B1 KR 101368747 B1 KR101368747 B1 KR 101368747B1 KR 1020110129534 A KR1020110129534 A KR 1020110129534A KR 20110129534 A KR20110129534 A KR 20110129534A KR 101368747 B1 KR101368747 B1 KR 101368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ncentrate
hangov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3162A (ko
Inventor
김진이
Original Assignee
(주)태영에프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영에프앤아이 filed Critical (주)태영에프앤아이
Priority to KR1020110129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7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6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콜의 흡수를 저해하는 한편 대사를 촉진시켜 음주 직후의 체내 알콜 농도를 저하시킬 뿐 아니라 알콜 분해 및 숙취 해소 효과가 우수한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홍삼의 알코올 추출물을 농축한 홍삼농축액; 배, 사과, 모과, 유자 및 망고의 물 추출물을 농축한 과일혼합농축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Beverage composition for treating hangover}
본 발명은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콜의 흡수를 저해하는 한편 대사를 촉진시켜 음주 직후의 체내 알콜 농도를 저하시킬 뿐 아니라 알콜 분해 및 숙취 해소 효과가 우수한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회식과 접대가 잦고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들에게 음주 기회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알코올은 뇌의 억제중추를 마비시켜 섭취 시 외관상 흥분한 상태를 보여주는데, 의식과 동작을 억제하고 수면 및 마취 효과가 현대인들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주요한 기호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정상적인 알코올 대사과정에서 알코올이 체내로 유입되면 물에 잘 녹는 알코올의 특성에 의해 위장관에서 흡수되어 혈류를 통해 뇌와 간을 포함한 신체 각 조직에 분포된다. 간세포에는 알콜 탈수소화 효소(알콜 분해 효소)가 있어 알콜을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시키고, 아세트알데히드는 간세포에 있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화 효소에 의해 초산으로 분해되어 전신의 근육이나 지방조직으로 옮겨진 후, 최종적으로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된다. 간에서 대사되지 않은 알코올은 혈중에 남아있다가 호흡기, 피부 또는 소변으로 배출된다. 알코올은 섭취량이나 혈중 농도에 관계없이 매 시간당 일정량만 대사되며, 알코올의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역가나 농도는 각 개인의 유전적인 정도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각 개인의 성별, 연령, 체중, 영양상태 및 신체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한편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화 효소에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저농도이더라도 산화를 개시하는 Ⅱ형과 아세트알데히드가 고농도로 되지 않으면 작용을 하지 않은 Ⅰ형이 있다. 동양인은 일반적으로 Ⅱ형 아세트알데히드효소가 결핍 또는 부족하기 때문에 아세트알데히드의 산화가 느리며 산화되지 아니한 아세트알데히드 및/또는 알코올의 독성에 의하여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방해받아 여러 숙취 현상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이 음주는 일시적으로 두근거림, 두통, 갈증, 멀미, 위장장애, 설사 등의 숙취현상을 유발하며, 중독증으로 발전할 수도 있고, 뇌 등의 중추신경계 뿐 아니라 소화기관 및 간 등의 대사기관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최근 들어, 알코올 및 알코올 대사물의 독성을 경감시키거나 독성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에 의해 알코올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질들에 대한 연구와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천연식품이나 한약재료로부터 추출한 성분을 함유한 다양한 건강보조식품을 포함하여 다양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들이 제안되었다.
숙취 해소 조성물은 음용 또는 섭취 후 체내에 빠르게 작용하여 알코올과 중간 대사 산물을 빠르게 분해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알코올과 중간 대사 산물이 완전히 분해될 때까지 그 효능이 지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소비자들이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이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효과적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숙취 해소 효과가 즉각적이고,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홍삼의 알코올 추출물을 농축한 홍삼농축액; 배, 사과, 모과, 유자 및 망고의 물 추출물을 농축한 과일혼합농축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기 실시예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홍삼농축액과 과일혼합농축액은 각각을 음용하는 경우에도 알코올 분해를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단독으로 복용하는 경우에 비해 이들 혼합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복용하는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혈중 알코올 농도가 더욱 빠르고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과일혼합농축액은 알코올 분해가 즉각적이어서 초기 혈중 알코올 농도 저감에 효과적이나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나, 홍삼농축액은 혈중 알코올 농도에 미치는 영향이 음주 직후에는 과일혼합농축액보다 낮으나, 30분 이후부터는 보다 빠르게 알코올을 분해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우, 동량을 섭취하였을 때 홍삼농축액 또는 과일혼합농축액의 복용 시에 비해 알코올분해 효과가 우수함은 물론 효과가 즉각적이며, 지속성 또한 유지되어 알코올 분해에 보다 효과적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실시예에 상세한 실험 결과는 기재하지 않았으나, 상기 홍삼농축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과일혼합농축액이 300~700중량부 함유된 조성물의 경우 시너지 효과가 가장 극대화되었다. 상기 중량비는 고형분 60%이상의 농축물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농축정도에 따라 그 비율이 변동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사전실험에 의하면, 상기 과일혼합농축액은 배 100중량부에 대하여 사과 60~80중량부, 모과 40~50중량부, 유자 30~50중량부 및 망고 10~2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생강 추출액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맛에 대한 관능성이나 숙취해소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상기 혼합비율을 벗어나는 경우 맛에 대한 관능성이 저하되며, 약간의 차이가 있은 경우 효과가 현격히 감소하지는 않으므로 한해의 작황이나 계절의 요인으로 상기 과일 중 일부의 수급이 어려운 경우 그 배합량을 조절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항시적인 수급이 어려운 과일의 경우, 별도로 과즙농축액을 제조한 후 혼합할 수도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홍삼농축액은 구기자, 감잎, 지골피, 진피, 헛개나무열매 및 인진쑥 추출물을 농축한 천연식물농축액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에 의해 숙취해소 및 알코올 분해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식물농출액은 홍삼농축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300~70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식물농축액 첨가량이 너무 많아지면 홍삼농축액과 과일혼합농축액의 상대적인 비율이 낮아지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특유의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천연식물농축액을 첨가하는 의미가 없게 된다.
상기 천연식물농축액은 구기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감잎 50~70중량부, 지골피 30~45중량부, 진피 25~40중량부, 헛개나무열매 10~15중량부, 인진쑥 3~5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홍삼농축액과 과일혼합농축액(천연식물농축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천연식물농축액도 포함)을 배합한 후 추가적으로 숙성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숙성과정을 통하여 농축액들의 맛이 어우러지며 좀더 부드러운 식감을 갖게되므로 관능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알코올 분해 효과 및 숙취해소 효과도 다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외에도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감미를 위하여 꿀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복용량은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에 따라 복용량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나 1회 5~50g을 그대로 또는 희석하여 음주 직전 또는 음주 직후에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전 실험에 의하면, 상기 복용량에 대해 혈중 알코올 농도는 실시예와 비교예 조성물의 복용량과 비례의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상기 량 이상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혈중 알코올의 분해 속도에 미치는 영향의 증가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본 조성물은 천연 식품 유래의 조성물로서 체내에 독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량을 초과하여 복용한다고 하여도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면 초기 혈중 알코올의 분해속도가 빠르고 숙취해소 효과가 현저하므로 숙취해소를 위한 음료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것으로 독성이 없고, 맛에 대한 관능조사에서도 우수한 평가를 얻어 복용이 용이하게 부담없이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혈중알콜농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실시예 :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1. 홍삼농축액의 제조
4년근 이상의 인삼을 정제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이 없도록 세척기로 수회 세척하였다. 세척한 인삼을 증숙기에 넣어 60℃에서 40분간 1차 증숙하고, 다시 90℃이하에서 2~3시간 동안 2차 증숙하였다. 증숙된 인삼은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수분 함량(w/w)이 14% 이하가 되도록 60℃에서 24~48시간 건조하여 홍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홍삼을 추출기에 넣고 추출용매로 홍삼량의 6배(v/w)의 주정 (97%)을 사용하여 70~75℃에서 24시간씩 연속하여 4회 반복 추출하였다. 홍삼추출액을 모아 여과필터(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기로 이송하고 45℃, 700-750mmHg 조건하에서 약 3-4시간동안 감압농축하여 고형분 60%이상의 홍삼농축액을 제조하였다(고형분 60%이상).
상기 홍삼농축액을 60℃이하에서 아밀라제 0.3%(w/v)를 접종하여 3시간정도 교반한 다음, 24시간 정치하였다. 24시간 후 농축액을 85℃로 승온하여 60분간 처리하는 것에 의해 효소를 불활성화 시킴과 동시에 후살균하였다.
2. 과일혼합농축액의 제조
배, 사과, 모과, 유자, 생강을 선별한 다음 수회 세척하고 모과는 1/4로 절단하였다. 생강 50g에 정제수 5L를 넣고 90℃에서 2~3시간 추출한 후 8시간 순환시켜 생강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생강추출액에 수세한 배 350g, 사과 250g, 모과 190g, 유자 145g을 넣고 70~75℃에서 8시간 500~600mmHg감압 추출한 다음, 1일 정도 70℃에서 감압 순환하였다. 이후 추출액을 여과필터(5㎛)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농축기로 이송하여 65℃에서 700-750mmHg로 약 3-4시간동안 감압농축하여 고형분 60%이상인 혼합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농축액에 망고과즙 농축액(다미에프앤에프) 45g, 과라나 추출 분말((주)트라이콤무역) 10g, 비타민C((주)삼양제넥스) 5g을 넣고 75℃에서 30분간 배합 교반하고 숙성기로 이송하여 55~60℃에서 48시간 숙성시켜 과일혼합농축액을 제조하였다(고형분 60%이상).
3. 천연식물농축액의 제조
구기자, 감잎, 지골피, 진피, 헛개나무열매, 인지쑥을 선별한 후 수세하였다. 수세된 원료를 구기자 40%, 감잎 25%, 지골피 15%, 진피 13.5%, 헛개나무열매 5%, 인진쑥 1.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추출기에 넣고 총원료에 대해 8배(v/w)의 정제수를 투입한 후 75~80℃, 1,000~1500mmHg에서 8시간 감압추출하였다. 이후 상기 압력을 유지하면서 8시간 정도 70℃에서 감압 순환하고, 75~80℃에서 2~3시간 재가열한 다음 8시간 70℃에서 감압 재순환시켰다. 상기 추출액을 60℃로 냉각하고 아밀라제 0.3%(w/v)를 접종하여 3시간정도 방치한 다음, 96℃로 승온하여 효소를 불활성화 시켰다. 이후, 추출액을 40℃이하에서 24시간 정치 시켜 상등액 만을 농축기로 이송하고 65℃에서 700-750mmHg로 약 5~6시간동안 감압농축하여 고형분 45%이상의 천연식물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 (홍삼농축액 + 과일혼합농축액)
홍삼농축액 80g, 과일혼합농축액 420g을 배합기에 넣고 85℃에서 30분간 배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살균한 밀폐용기에 충진하여 5℃이하에서 보관 저장하면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 (홍삼농축액 + 과일혼합농축액 + 천연식물농축액)
조성물의 배합 시 천연식물농축액 480g을 추가로 투입하여 배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 (홍삼농축액 + 과일혼합농축액 + 천연식물농축액, 숙성과정 추가)
조성물을 배합한 후 숙성기로 이송하고 55~60℃에서 48시간 교반하여 숙성시키는 과정을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홍삼농축액)
홍삼농축액 980g을 숙성기에 넣고 55~60℃에서 48시간 교반하여 숙성시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살균한 밀폐용기에 충진하여 5℃이하에서 보관 저장하면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과일농축액)
과일혼합농축액 980g을 숙성기에 넣고 55~60℃에서 48시간 교반하여 숙성시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살균한 밀폐용기에 충진하여 5℃이하에서 보관 저장하면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
개인에 따라 알콜 분해 능력이 다른 점을 감안하여, 개인별로 일주일 간격으로 각 알코올과 함께 각 조성물을 섭취하고 음주측정을 하는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30대 중반에서 40대 초반의 중년 남성 5명과 여성 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평균 음주회수는 1주일 2회, 평균음주량은 소주(1병 360mL) 2병이었다. 실험은 매주 수요일 실시하였으며 실험 전 2일(월, 화)간은 금주하도록 하였다. 기본 시료(대조구)로는 소주(360ml, 19.5%)1병과 두부154g, 오이25g, 김치40g를 30분에 걸쳐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시식이 완료된 시점부터 음주측정기((주)센텍코리아, AL6000)를 사용하여 30분 간격으로 혈중 알코올 농도(%BAC)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표 6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조성물은 기본 시료의 섭취를 시작한 후 10분 후에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조성물 20g을 각각 30mL 물로 희석하여 음용하였으며, 시료 이외의 음식이나 음료는 금지하고 음주 측정동안 행동도 자제하도록 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조성물 대신 시판 숙취해소음료인 컨*션을 50mL를 음용시킨 후 음주측정을 실시하고 함께 표 7에 결과를 기재하였다(비교예 3).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은 초기 알코올분해 뿐 아니라 지속적인 알코올 분해가 가능하였으며, 실시예 2는 천연식물농축액의 추가에 의해 효과가 더욱 증가하였다.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숙성시킨 실시예 3의 경우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어 숙성과정에 의해 효능이 더욱 증진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효능은 초기 알코올 분해에 효과적인 비교예 1 및 초기 알코올 분해에는 효과가 떨어지나 지속적인 분해효능을 나타내는 비교예 2에 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시너지 효과에 의해 더욱 현저한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시판중인 비교예 3에 비해서도 효과가 현저하였다.
Figure 112011096779790-pat00001
Figure 112011096779790-pat00002
Figure 112011096779790-pat00003
Figure 112011096779790-pat00004
Figure 112011096779790-pat00005
Figure 112011096779790-pat00006
Figure 112011096779790-pat00007
실험예 2 : 관능평가
실험예 1의 실험 대상에 대하여 조성물의 맛과 숙취해소 효과에 대한 관능평가를 병행하였다. 맛과 숙취해소 효과는 7점 척도법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숙취해소 효과에 대해서는 다음날 음주에 따라 나타나는 두통 및 갈증의 정도를 비교하고 그 평균값을 기재하였다. 1점은 두통 또는 갈증의 정도가 매우 심하고 쓴맛이 강하여 음용이 거북함을 나타내며, 7점은 두통 또는 갈증이 없고 맛이 좋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경우 두통과 갈증에 대한 숙취해소 효과가 현저하였으며, 맛에 대한 관능평가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었다.
Figure 112011096779790-pat00008

Claims (6)

  1. 홍삼의 알코올 추출물을 농축한 홍삼농축액과
    배, 사과, 모과, 유자 및 망고의 물 추출물을 농축한 과일혼합농축액을 함유하며,
    상기 과일혼합농축액은,
    A) 생강 중량의 100배의 물을 넣고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얻어진 생강 추출액에 배 100중량부에 대해 사과 60~80 중량부, 모과 40~50중량부, 유자 30~50중량부 및 망고 10~20중량부를 넣고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구기자, 감잎, 지골피, 진피, 헛개나무열매 및 인진쑥 추출물을 농축한 천연식물농축액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농축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과일혼합농축액이 400~600중량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액들을 배합한 후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농축액은 구기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감잎 50~70중량부, 지골피 30~45중량부, 진피 25~40중량부, 헛개나무열매 10~15중량부, 인진쑥 3~5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KR1020110129534A 2011-12-06 2011-12-06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KR101368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534A KR101368747B1 (ko) 2011-12-06 2011-12-06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534A KR101368747B1 (ko) 2011-12-06 2011-12-06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162A KR20130063162A (ko) 2013-06-14
KR101368747B1 true KR101368747B1 (ko) 2014-03-13

Family

ID=4886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534A KR101368747B1 (ko) 2011-12-06 2011-12-06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7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574A1 (ko) * 2016-01-05 2017-07-13 임창혁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004B1 (ko) * 2018-12-06 2020-08-31 울릉산채영농조합 헛개나무열매 진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539A (ko) * 2000-03-22 2001-10-26 천승태 숙취완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771525B1 (ko) 2006-04-10 2007-10-30 주식회사 당바이오텍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20100105808A (ko) * 2009-03-21 2010-09-30 권기복 홍삼 및 과일 추출액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110069297A (ko) * 2009-12-17 2011-06-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망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539A (ko) * 2000-03-22 2001-10-26 천승태 숙취완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771525B1 (ko) 2006-04-10 2007-10-30 주식회사 당바이오텍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20100105808A (ko) * 2009-03-21 2010-09-30 권기복 홍삼 및 과일 추출액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110069297A (ko) * 2009-12-17 2011-06-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망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574A1 (ko) * 2016-01-05 2017-07-13 임창혁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162A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8648B (zh) 一种果汁饮料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902539B1 (ko) 전복엑기스를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539864B1 (ko) 숙취해소 음료
CN101993810A (zh) 一种保健香醋的配方
CN102715614A (zh) 一种含有黑大蒜的新饮料
KR101461165B1 (ko)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JP4486096B2 (ja) 宿酔解消及び肝機能回復に効果がある天然茶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68747B1 (ko)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CN105029553A (zh) 一种果汁蛋钙中药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456193B1 (ko) L-테아닌을 포함하는 수면 개선용 차
US20100247670A1 (en) Red Grape Dry Composition and Health Tea
CN103815086A (zh) 一种灵芝保健茶的制备方法
CN113016901A (zh) 一种玫瑰红茶及其制备方法
KR101149354B1 (ko) 기능성 다슬기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3552A (ko)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596418B1 (ko) 장어를 주원료로 한 피로회복 및 면역력 개선용 기능성식품 제조방법
KR20160050560A (ko) 생마늘 식초 및 이 제조 방법
KR102226327B1 (ko) 개복숭아 액상차의 제조방법
WO2019090976A1 (zh) 一种菊芋胶囊及其制备方法
CN107494835A (zh) 一种辣木红茶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428520B1 (ko) 홍삼농축액, 당귀추출물, 클로렐라 및 소엽추출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CN107455519A (zh) 一种辣木红茶饮料及其制备方法
KR20040069097A (ko) 차가 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KR20170001491A (ko) 동과를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