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887B1 -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 또는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 또는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887B1
KR101949887B1 KR1020170103115A KR20170103115A KR101949887B1 KR 101949887 B1 KR101949887 B1 KR 101949887B1 KR 1020170103115 A KR1020170103115 A KR 1020170103115A KR 20170103115 A KR20170103115 A KR 20170103115A KR 101949887 B1 KR101949887 B1 KR 101949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composition
sea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준
이동헌
김성훈
최나영
손명수
김명승
한창훈
문혜희
곽웅권
정수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Priority to KR1020170103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4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Y10S514/893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해소 또는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태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톳 추출물, 모자반 추출물, 돌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혼합한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 효과가 우수하며,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약학 또는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 또는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 or preventing or treating alcoholic liver disease comprising a complex extract of seaweed and complex extract of plant}
본 발명은 해조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해조류 복합추출물은 감태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톳 추출물, 모자반 추출물, 돌미역 추출물을 포함하고, 이외에 황칠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혼합한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술에 관대한 문화로 인하여 음주 인구가 매우 많다. 많은 양의 알코올을 섭취하면 간 기능 장애 등 건강을 잃을 수 있어서 국민 건강 문제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이 크다. 음주로 인한 사회 경제적 손실 비용은 GDP의 2.86%인 약 14조 9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어 사회경제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숙취해소 음료는 술자리가 잦은 직장인들과 음주 전후 건강을 챙기려는 사람들의 증가로 슈퍼나 편의점에서 바로 섭취할 수 있는 간편함과 편의성 때문에 숙취해소 음료 시장의 규모가 2006년 700억 원에서 2014년도에는 2500억 원 규모로 급성장하였다.
현재까지 알코올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으로 몇몇 의약품이 보고되고 있으나 이는 화학적 합성제제로 독성 및 부작용이 나타남으로 인해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질을 이용하려는 추세에 있으며 최근 헛개나무, 참나물, 갈근, 대나무, 콩나물, 솔잎, 민들레즙, 강황, 마름 등 천연물질의 숙취해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본의 대표적인 숙취해소용 원료로는 ‘우콘(강황)’으로 카레의 원료인 울금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숙취해소용 음료는 ‘우콘파워드링크’가 판매 1위 제품으로 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우콘파워드링크’는 일본의 하우스웰니스푸드가 만든 숙취해소 드링크로 울금의 주성분인 커큐민이 30 ㎎ 함유돼 강력한 항산화 작용은 물론 비타민 B6, 비타민C, 비타민E, 이노시톨, 나이아신 등이 함유되어 있어 음주 후의 피로를 회복시켜주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한편, 국내등록특허 제1725261호에는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 분해 효능과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으나, 해조류에는 풀가사리, 불등가사리, 진두발 및 홑파래로 이루어진 군을 구성성분으로 하고 있고, 헛개나무, 갈근, 갈화, 산수유, 오미자, 감초, 복분자 및 대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한방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주로 헛개나무에 의한 효과를 보조하는 기술적 구성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농촌진흥청에서는 국내등록특허 제1740502호에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과 국내등록특허 제1708250호에 '어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보호용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주로 천연식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고 숙취해소 효과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의약 또는 식품에 비하여 동일함량으로 대비할 때 현저성을 보이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0386086호에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다시마, 미역, 불등이, 모자반, 톳, 우무가사리, 진포로 구성된 해조류의 추출물을 포함하나, 숙취해소 효과에 대한 실시예가 기재되어 있지 않았다. 국내등록특허 제0999312호에는 '해조류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톳, 미역, 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하나, 대추, 오가피, 허깨열매 및 둥굴레를 유사한 비율로 함께 포함하여 해조류에 의한 효능이라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찾기 위해 연구하던 중 해조류의 조합에 의한 복합추출물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감태, 우뭇가사리, 톳, 모자반, 돌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약학적 및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태, 우뭇가사리, 톳, 모자반, 돌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또는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및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숙취해소,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다.
도 1은 NAD+ 및 NADH의 흡광도이다.
도 2는 체내 알코올 분해 과정이다.
도 3은 각 시료의 농도별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측정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도 4는 각 시료의 농도별 ADH 활성 효과를 나타낸다.
도 5는 각 시료의 농도별 ALDH 활성 효과를 나타낸다.
도 6은 Sol에 대한 알코올이 투여된 마우스의 활동성을 나타낸다.
도 7은 Gran에 대한 알코올이 투여된 마우스의 활동성을 나타낸다.
도 8은 Conc에 대한 알코올이 투여된 마우스의 활동성을 나타낸다.
도 9는 808에 대한 알코올이 투여된 마우스의 활동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각 시료에 대한 알코올이 투여된 마우스의 활동성을 나타낸다.
도 11은 각 시료를 처리한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각 시료를 처리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각 시료에 따른 유전자 발현 증감 정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 또는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 또는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감태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톳 추출물, 모자반 추출물 및 돌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한다.
상기 감태 (Ecklonia cava)는 갈조식물 다시마목 미역과의 해조류로,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후코이단과 플로로탄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성분들은 항산화, 항암, 항염, 노화억제 및 고혈압억제 등에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우뭇가사리 (Gelidium amansii)는 우뭇가사리과에 속하는 홍조류로, 단백질 4.2%, 지방 0.2%, 탄수화물 18.5%, 섬유질 3.0%, 무기질 3.8%를 함유한다. 식용, 약용, 연구용, 공업용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식용 첨가물로서 영양적으로 많은 양의 탄수화물을 지니고 있고, 철분과 칼슘을 상당량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A가 특히 많다.
상기 톳 (Hizikia fusiforme)은 모자반과에 속하는 갈조류로, 뿌리는 나뭇가지 모양이고 줄기는 원주형이며 잎은 베 짜는 북 또는 방망이 모양으로, 곁가지는 엽액에 붙어서 난다. 우리나라의 중부 이남에 분포하고 특히 제주도와 서남해안에서 많이 생산되며, 칼슘, 요오드, 철 등의 무기염류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모자반 (Sargassum fulvellum)은 모자반과에 속하는 갈조류의 하나로, 연안에 나며 녹갈색으로 톳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다. 일반성분은 단백질 1.85%, 지방 0.2%, 탄수화물 5.2%, 섬유 1.5%, 무기질 5.1%이며, 이중 칼슘의 함량이 많다.
상기 돌미역은 다시마목(Laminariales) 미역과(Alariaceae)에 속하는 1년생 대형 조류로서 울릉도 청정해역 해안가 바위에서 자연 생산되며, 풍부한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칼슘, 요오드 등의 영양소가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다.
상기 황칠 ( Dendropanax morbifera LEV.)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난대성 상록교목으로, 우리나라의 남부 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 자생하며, 겨울에도 낙엽이 지지 않는 수종으로 수피에 상처를 주면 황색의 수지액이 나오는데 이것을 황칠이라고 한다. 황칠 안에 들어 있는 정유의 주성분은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이며, 그밖에 알코올, 에스테르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황칠나무는 번열 제거, 술 해독, 안질 및 황달 치료, 나병에 효과가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다는 기록도 전해지고 있다 (이시진, 본초강목, 중국문광도서, 1590).
상기 녹차 (Camellia sinensis O.Kuntge)는 경남, 전남의 남해안지역의 비교적 따뜻한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상록교목으로, 잎은 단단하고 약간 두꺼우며 표면에 광택이 있다. 콜레스테롤과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 작용을 한다.
상기 해조류 복합추출물에서 상기 감태 추출물은 30 내지 35 중량부,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은 2 내지 5 중량부, 상기 톳 추출물은 30 내지 35 중량부, 상기 모자반 추출물은 30 내지 35 중량부, 상기 돌미역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 복합추출물에서 상기 황칠 추출물은 30 내지 40 중량부, 상기 녹차 추출물은 3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 복합추출물과 상기 해조류 복합추출물의 혼합비율은 중량비 11:1 내지 80: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태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톳 추출물, 모자반 추출물 및 돌미역 추출물은 열수 추출에 의한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콜성 간 질환은 알콜성 지방간 또는 알콜성 간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태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톳 추출물, 모자반 추출물 및 돌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또는 알콜성 간 기능 손상 보호용 기능성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기능성식품은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낵류, 면류, 낙농제품, 과립, 음료수 및 영양 공급용 제품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제조
감태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톳 추출물, 모자반 추출물, 돌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하기 표 1의 제조 비율에 따라 제조하였다. 이때 식물 복합추출물은 황칠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동일한 양으로 첨가하였다.
해조류 복합추출물 (중량부) 식물 복합추출물:해조류 복
합추출물 (중량비)
감태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추출물
모자반
추출물
돌미역
추출물
조성물 1 28 8 28 28 8 6:1
조성물 2 30 5 30 30 5 6:1
조성물 3 35 2 31 30 2 6:1
조성물 4 37 1 31 30 1 6:1
조성물 5 28 8 28 28 8 11:1
조성물 6 30 5 30 30 5 11:1
조성물 7 35 2 31 30 2 11:1
조성물 8 37 1 31 30 1 11:1
조성물 9 28 8 28 28 8 67:1
조성물 10 30 5 30 30 5 67:1
조성물 11 35 2 31 30 2 67:1
조성물 12 37 1 31 30 1 67:1
조성물 13 28 8 28 28 8 80:1
조성물 14 30 5 30 30 5 80:1
조성물 15 35 2 31 30 2 80:1
조성물 16 37 1 31 30 1 80:1
조성물 17 28 8 28 28 8 85:1
조성물 18 30 5 30 30 5 85:1
조성물 19 35 2 31 30 2 85:1
조성물 20 37 1 31 30 1 85:1
< 실시예 2> 유효성분의 배합비율 선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 1 내지 20에 대하여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측정을 통해 항산화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유효성분의 배합비율을 선정하였다.
에탄올에 용해시킨 0.2 mM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용액 950 ㎖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 1 내지 20을 각각 DMSO (dimethyl sulfoxide)에 100 ㎕/㎖로 희석한 용액 50 ㎕를 가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incubation 후 517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하기 식으로 계산하였다.
항산화 활성(%) = {1-(시료 첨가군 흡광도/시료 무첨가군 흡광도)}×100 (%)
하기 표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성물 6, 7, 10, 11, 14 및 15의 항산화 활성이 대략 80% 내외로 우수하며, 그외 조성물의 경우 이에 비해 낮은 항산화 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식물 복합추출물:해조류 복합추출물의 혼합 비율이 6:1 또는 85:1일 경우 항산화 활성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조류 복합추출물은 감태 추출물 30 내지 35 중량부, 우뭇가사리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 톳 추출물 30 내지 35 중량부, 모자반 추출물 30 내지 35 중량부, 돌미역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물 복합추출물:해조류 복합추출물의 혼합 비율은 중량비 11:1 내지 80:1이 바람직하다.
항산화 활성 (%)
조성물 1 61.2
조성물 2 62.7
조성물 3 63.1
조성물 4 67.0
조성물 5 68.9
조성물 6 78.8
조성물 7 80.2
조성물 8 70.3
조성물 9 67.5
조성물 10 81.1
조성물 11 82.3
조성물 12 65.1
조성물 13 68.4
조성물 14 80.5
조성물 15 81.6
조성물 16 70.0
조성물 17 61.4
조성물 18 66.5
조성물 19 63.1
조성물 20 61.7
< 실시예 3> 실험동물 및 사육조건
실험동물은 생후 10주령 된 웅성 BALB/c mouse를 ㈜오리엔트바이오로부터 구입하여 2주간 제주대학교 실험동물센터 (온도: 22±2℃, 습도: 50~55%, 명암주기: 12시간)에서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전 실험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모든 동물실험은 제주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 (ACUCC;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of Jeju National University)의 지침 (Approval No. 2017-0006)에 따라 수행하였다.
< 실시예 4> DPPH 항산화 효과 측정
항산화 효능 평가는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을 통해 수행하였으며, 시료는 Sol (BK 액상제제;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 7을 의미함), Gran (BK 과립제제;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 15를 의미함), Conc (BK 농축액;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 11을 의미함) 및 808 (오리나무 추출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181168호 참조)을 대상으로 하였다. 즉, 에탄올에 용해시킨 0.2 mM DPPH 용액 950 ㎖에 시료를 DMSO (dimethyl sulfoxide)에 농도별 (0, 2, 10, 40, 80, 120 ㎕/㎖)로 희석한 용액 50 ㎕를 가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incubation 후 517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하기 식으로 계산하였다.
항산화 활성(%) = {1-(시료 첨가군 흡광도/시료 무첨가군 흡광도)}×100 (%)
4가지 시료의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2, 10, 40, 80, 120 ㎕/㎖ 범위에서 항산화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도 3 참조). 항산화 활성은 특히, 80 ㎕/㎖의 농도에서 Gran은 56.48%, Conc은 50.48%이고, 120 ㎕/㎖의 농도에서 Gran은 64.59%, Conc은 59.48%의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어 항산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5> 알코올 분해효소 ( ADH )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 ( ALDH ) 활성 측정
1) 알코올 분해효소 (ADH) 활성
In vitro에서 ADH (alcohol dehydrogenase; 알코올 분해효소) 활성 측정은 ethanol quantification assay kit (Megazyme, Wicklow, Ireland)를 사용하여 Megazyme protocol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즉, 증류수 1 ㎖, buffer plus sodium azide (0.02% w/v) 0.1 ㎖, NAD+ solution 0.1 ㎖, 20% ethanol 10 ㎕를 혼합하여 4가지 시료 (Sol, Gran, Conc, 808)를 농도별 (1, 2, 4, 8, 16 ㎕/㎖)로 각각 가한 후 실온에서 2분간 incubation 한 후에 340 ㎚에서 기본흡광도 (A1)를 측정하였다. 이후 ADH 10 ㎕ (1 assay unit)를 가하여 실온에서 5분간 incubation 한 후에 340 ㎚에서 NADH 생성으로 인해 증가된 흡광도 (A2)를 측정하였다. 알코올 분해효소의 활성은 변화된 흡광도 (A2-A1)를 기반으로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활성(%)으로 나타내었다 (도 4 참조).
4가지 시료의 ADH 활성 효과를 확인한 결과, 대조군을 상대활성 100%로 나타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BK 시료들 (Sol, Gran, Conc)의 ADH 활성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성 있는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특히 Gran은 8 ㎕/㎖와 16 ㎕/㎖ 농도에서 각각 110.7%, 116.3%의 활성을 나타낸 반면, 808의 경우 8 ㎕/㎖와 16 ㎕/㎖ 농도에서 각각 92%, 91.8%로 효소 활성이 근소하게 감소하였다.
2)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 (ALDH) 활성
In vitro에서 ALDH (acetaldehyde dehydrogenase;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 활성 측정은 acetaldehyde quantification assay kit (Megazyme, Wicklow, Ireland)를 사용하여 Megazyme protocol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즉, 증류수 1 ㎖, buffer plus sodium azide (0.02% w/v) 0.1 ㎖, NAD+ solution 0.1 ㎖, 증류수에 녹인 20% acetaldehyde 10 ㎕를 혼합하여 4가지 시료 (Sol, Gran, Conc, 808)를 농도별 (1, 2, 4, 8, 16 ㎕/㎖)로 각각 가한 후 실온에서 2분간 incubation 한 후에 340 ㎚에서 기본흡광도 (A1)를 측정하였다. 이후 ALDH 25 ㎕ (1 assay unit)를 가한 후 실온에서 5분간 incubation 한 후에 340 ㎚에서 NADH 생성으로 인해 증가된 흡광도 (A2)를 측정하였다. ALDH의 활성은 변화된 흡광도 (A2-A1)를 기반으로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활성 (%)으로 나타내었다 (도 5 참조).
ALDH 활성의 경우 대조군을 상대활성 100%로 나타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BK 시료들 (Sol, Gran, Conc)의 ALDH 활성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성 있는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Conc는 농도 8 ㎕/㎖에서 124.5%, 16 ㎕/㎖에서 126.3%의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Sol, Gran, Conc는 ADH와 ALDH의 효소 활성을 다소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6> 운동활성 (locomotor activity) 측정
행동 약리 실험으로 locomotor activity cage set (Ugo Basile, Italy)를 사용하여 마우스의 활동성을 관찰하였다. 마우스를 6개 군(군당 10마리)으로 나누어 5개 군은 ethanol을 2 ㎖/㎏ 용량으로 경구투여하고 30분이 지난 후에 물 (양성대조군) 또는 4가지 시료 (실험군; Sol, Gran, Conc, 808)를 각각 경구투여 (4 ㎖/㎏)하였으며, 음성대조군의 경우 물 4 ㎖/㎏을 30분 간격으로 경구투여하였다. 각 군의 마우스를 locomotor activity cage (54×50×37(h) cm)에 넣고 활동성을 관찰하였다. 마우스의 활동성은 activity cage 내에서 마우스가 움직이면서 일루미네이터에서 센서로 비추는 photobeam 차단 빈도수를 10분간 합산하여 720분 동안 관찰하였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만 투여한 음성대조군 (도 6 내지 도 9의 No Alcohol과 도 10의 Control을 의미함)의 경우 투여 후 400분대까지 왕성한 활동성을 나타낸 반면, 알코올 투여 후 물을 투여한 양성대조군 (도 6 내지 도 9의 Alcohol과 도 10의 Alcohol+water를 의미함)의 경우 투여 후 120분대까지 활동성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150분대에서 잠깐 활동성을 보인 후 300분대에서는 활동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으며, 그 이후는 활동성이 매우 드물게 나타났다. 반면, 알코올 투여 후 4가지 시료를 투여한 실험군 (도 6 및 도 10의 Alcohol+Sol (Sol 투여), 도 7 및 도 10의 Alcohol+Gran (Gran 투여), 도 8 및 도 10의 Alcohol+Conc (Conc 투여), 도 9의 808과 도 10의 Alcohol+808 (808 투여)을 의미함)의 경우 알코올 투여 후 물을 투여한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활동성이 현저히 증가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들 4가지 시료 투여군들은 알코올을 투여한 후 물을 투여한 양성대조군에 비해 투여 후 350분대까지 활동성이 현저히 증가함으로써 모두 정상 수준으로 회복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 실시예 7>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알코올 정량
1)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정량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acetaldehyde) 정량은 마우스를 6개 군 (군당 10마리)으로 나누어 5개 군은 ethanol을 2 ㎖/㎏ 용량으로 경구투여하고 30분이 지난 후에 물 (양성대조군) 또는 4가지 시료 (실험군; Sol, Gran, Conc, 808)를 각각 경구투여 (4 ㎖/㎏)하여 120분이 경과한 후에 마우스들을 희생시켜 복대정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정량하였다. 음성대조군의 경우 물을 30분 간격으로 경구투여 (4 ㎖/㎏)하였다. 채혈한 혈액은 상온에서 방치한 후 600×g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70℃에 보관하여 향후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측정에 사용하였다. 아세트알데히드의 정량은 acetaldehyde quantification assay kit (Megazyme, Wicklow, Ireland)를 사용하여 Megazyme protocol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즉, 분리된 혈청 (50 ㎕)에 증류수 1 ㎖, buffer plus sodium azide (0.02% w/v) 0.1 ㎖, NAD+ solution 0.1 ㎖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2분간 incubation 한 후에 340 ㎚에서 기본흡광도 (A1)를 측정하였다. 이후 ALDH solution 25 ㎕ (1 assay unit)를 추가로 가한 후 실온에서 5분간 incubation 한 후에 340 ㎚에서 NADH 생성으로 인해 증가한 흡광도 (A2)를 측정하였다.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340 ㎚에서 변화된 흡광도 (A2-A1)를 기반으로 NADH의 extinc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c) = {(V×MW)/(ε×d×v)}×ΔAacetaldehyde (g/ℓ)
V: 최종 부피 (㎖), MW: 아세트알데히드 몰질량 (g/mol), ε: 340 ㎚에서 NADH 흡광계수; 6300 (l×mol-1×cm-1), d: 광 경로 (cm), v: 시료 부피 (㎖), ΔAacetaldehyde: 흡광도 변화량 (A2-A1)
따라서,
c = {(1.275×44.05)/(6300×1.0×0.05)}×ΔAacetaldehyde (g/ℓ)
= 0.1782×ΔAacetaldehyde (g/ℓ)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정량 결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 (도 12의 Control을 의미함)의 경우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알코올 투여 후 물을 투여한 양성대조군 (도 12의 Alcohol+water를 의미함)의 경우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5.02±0.35 ㎍/㎖)를 나타내었다. 반면, 알코올 투여 후 4가지 시료 (Sol, Gran, Conc, 808)를 투여한 군의 경우 알코올 투여 후 물을 투여한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된 (p<0.0001)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나타내었다. 즉, Sol (도 12의 Alcohol+Sol을 의미함)은 3.03±0.52 ㎍/㎖, Gran (도 12의 Alcohol+Gran을 의미함)은 3.39±0.15 ㎍/㎖, Conc (도 12의 Alcohol+Conc를 의미함)는 1.54±0.13 ㎍/㎖, 808 (도 12의 Alcohol+808을 의미함)은 1.47±0.12 ㎍/㎖의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4가지 시료에 의하여 증가된 마우스의 활동성은 감소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2) 혈중 알코올 정량
혈중 알코올 농도는 ALDH 대신 ADH를 사용하여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산출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 (도 11의 Control을 의미함)의 경우 혈중 알코올 농도는 거의 나타나지 않은 반면, 알코올 투여 후 물을 투여한 양성대조군 (도 11의 Alcohol+water를 의미함)의 경우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혈중 알코올 농도 (158.73±22.94 ㎍/㎖)를 나타내었다. 반면, 알코올 투여 후 Sol 투여군 (도 11의 Alcohol+Sol을 의미함; 36.89±0.94 ㎍/㎖), Gran 투여군 (도 11의 Alcohol+Gran을 의미함; 39.69±2.71 ㎍/㎖), Conc 투여군 (도 11의 Alcohol+Conc를 의미함; 33.48±0.59 ㎍/㎖), 808 투여군 (도 11의 Alcohol+808을 의미함; 20.09±1.78 ㎍/㎖)의 경우 알코올 투여 후 물을 투여한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된 (p<0.0001)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나타내었다.
< 실시예 8> 유전자 발현의 증감 분석
RNA sequence analysis를 활용하여 간 조직 내 유전자의 증감을 관찰하였다. 마우스를 6개 군 (군당 10마리)으로 나누어 5개 군에 ethanol을 2 ㎖/㎏ 용량으로 경구투여하고 30분이 지난 후에 물 (양성대조군) 또는 4가지 시료 (실험군; Sol, Gran, Conc, 808)를 각각 경구투여 (4 ㎖/㎏)하여 120분이 경과한 후에 마우스들을 희생시켜 간 조직을 채취하였으며, 음성대조군의 경우 물을 30분 간격으로 0.2 ㎖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다. 채취한 마우스의 간 조직은 드라이아이스에 보관하여 ㈜이바이오젠에 RNA sequence analysis 검사를 의뢰하였다. 유전정보를 기반으로 한 RNA sequence analysis는 3만 2천개의 마우스 유전자 라이브러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유전자의 증감 분석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3은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 normalized data의 분포를 보여주며, 가로축은 대조군, 세로축은 실험군의 normalized data (log2) 값을 나타낸다. 적색 선과 녹색 선은 각각 2배 기준 증가/감소를 나타낸다. Scatter plot 상에서 알코올 투여 후 물을 투여한 양성대조군 (도 13의 술-물을 의미함)은 음성대조군 (도 13의 물-물을 의미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유전자의 증감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에 알코올 투여 후 Conc를 투여한 군 (도 13의 술-BK를 의미함)은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유전자의 증감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술에 의하여 증감된 간세포의 유전자들이 BK의 숙취해소 효능에 의하여 정상 수준으로 회복됨에 기인한다. 도 13에서 1과 2는 각각 Sol 및 Gran을 투여한 군들로, 부검 전 실수로 에테르 마취를 실시하여 scatter plot에서 무수히 많은 유전자들의 현격한 증감이 관찰되었으며, 이로 인해 이후의 결과는 Sol 및 Gran을 제외한 Conc 투여군에 대해서만 나타내었다.
Gene Ontology 분석 결과, 양성대조군 (하기 표 3 및 표 4의 술-물을 의미함)의 경우 음성대조군 (하기 표 3 및 표 4의 물-물을 의미함)에 비하여 immune response 관련 유전자 및 inflammatory 관련 유전자 발현의 증가가 각각 30개 및 17개에 달하였다. 반면에 발현이 감소한 유전자의 수는 각각 1개에 불과하였다. 이는 간세포 내에서 술에 의하여 면역 및 염증에 관한 각종 반응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알코올 투여 후 Conc를 투여한 군 (하기 표 3 및 표 4의 술-BK를 의미함)의 경우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immune response 관련 유전자 및 inflammatory 관련 유전자 발현의 증가가 각각 4개 및 6개에 불과하였으며, 발현이 감소한 유전자의 수는 각각 6개 및 4개에 달하였다. 이는 간세포 내에서 술에 의하여 증가된 면역 및 염증 반응들이 BK에 의하여 진정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하기 표 3은 술에 의하여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BK에 의하여 대조군 수준으로 발현이 감소된 immune response 관련 유전자를 나타낸다. 양성대조군의 경우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Prg2 gene 등 30개의 immune response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가됨 (2배 이상)을 관찰하였다 (하기 표 3 참조). 또한 Orm3 등 17개의 inflammatory response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가됨 (2배 이상)을 관찰하였다 (하기 표 4 참조). 이는 간세포 내에서 술에 의하여 면역 및 염증에 관한 각종 반응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알코올 투여 후 Conc를 투여한 군의 경우 이들 immune 및 inflammatory response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이 음성대조군 수준으로 낮아짐을 관찰하였다. 이는 간세포 내에서 술에 의하여 증가된 면역 및 염증 반응들이 BK에 의하여 진정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Gene symbol 술-물/물-물 술-808/물-물 술-BK/물-물
1 Prg2 5.425 0.878 1.098
2 Ppbp 5.395 0.970 1.454
3 Lcn2 5.081 1.766 1.463
4 Gbp2 4.933 1.325 0.925
5 Gbp8 4.698 2.123 3.024
6 S100a8 4.446 0.977 1.468
7 Cd8a 3.788 0.966 1.165
8 Elane 3.737 1.119 1.237
9 Ltf 3.467 1.654 1.727
10 Cxcl9 3.403 0.794 1.141
11 Naip5 3.364 1.925 2.420
12 Gbp4 3.289 1.956 1.860
13 Tgtp2 3.269 0.939 0.763
14 Cd7 3.017 1.062 0.953
15 S100a9 2.898 0.815 0.975
16 Il2ra 2.889 0.687 1.316
17 Cd27 2.886 1.903 1.910
18 Rag1 2.817 1.165 1.137
19 Marco 2.723 1.201 1.044
20 Igkv6-29 2.391 1.775 1.388
21 H2-Ea-ps 2.333 0.652 0.611
22 Cd74 2.327 0.897 0.655
23 Cd4 2.306 0.919 1.025
24 Gbp7 2.076 1.024 1.055
25 H2-Aa 2.076 0.756 1.021
26 Cxcl13 2.063 1.040 1.151
27 Thbs1 2.059 1.132 1.419
28 H2-Ab1 2.048 0.839 0.820
29 Themis 2.046 0.970 1.154
30 Igkv3-10 2.013 1.446 1.074
하기 표 4는 술에 의하여 발현이 증가 되었으나 BK에 의하여 대조군 수준으로 발현이 감소된 inflammatory response 관련 유전자를 나타낸다.
  Gene symbol 술-물/물-물 술-808/물-물 술-BK/물-물
1 Orm3 12.446 1.671 2.801
2 Chil3 11.677 1.591 2.009
3 Orm2 10.399 1.043 1.543
4 Saa2 7.091 2.373 2.210
5 Saa1 6.169 2.451 2.334
6 Ppbp 5.395 0.970 1.454
7 S100a8 4.446 0.977 1.468
8 Saa3 4.390 0.923 0.983
9 Elane 3.737 1.119 1.237
10 Cxcl9 3.403 0.794 1.141
11 Naip5 3.364 1.925 2.420
12 S100a9 2.898 0.815 0.975
13 Il2ra 2.889 0.687 1.316
14 Cd27 2.886 1.903 1.910
15 Orm1 2.553 0.700 1.160
16 Cxcl13 2.063 1.040 1.151
17 Thbs1 2.059 1.132 1.419
하기 표 5는 ADH 유전자 발현의 증감을 나타낸다. ADH 유전자 발현의 경우 전반적으로 큰 변화는 없었으나, 알코올 투여 후 Conc를 투여한 군 (하기 표 5의 술-BK를 의미함)의 경우 Adh4 유전자의 발현이 음성대조군 (하기 표 5의 물-물을 의미함)에 비하여 1.153배, 양성대조군 (하기 표 5의 술-물을 의미함)에 비하여 1.257배 증가하였다. 따라서 BK에 의하여 증가된 Adh4 유전자 발현은 ADH 효소활성 증가 및 혈중 알코올농도 감소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Gene Symbol Fold change
술-BK/물-물 술-808/물-물 술-물/물-물 술-BK/술-물
Adh7 0.782 0.903 1.176 0.665
Adhfe1 0.991 0.782 0.982 1.009
Adh1 0.993 0.959 0.987 1.006
Adh5 1.011 0.853 0.945 1.070
Adh4 1.153 0.693 0.917 1.257
하기 표 6은 ALDH 유전자 발현의 증감을 나타낸다. ALDH 유전자 발현의 경우 전반적으로 큰 변화는 없었으나, 알코올 투여 후 Conc를 투여한 군 (하기 표 6의 술-BK를 의미함)의 경우 Aldh3b2 유전자의 발현이 음성대조군 (하기 표 6의 물-물을 의미함)에 비하여 1.829배, 양성대조군 (하기 표 6의 술-물을 의미함)에 비하여 1.517배 증가하였다. 따라서 BK에 의하여 증가된 Aldh3b2 유전자 발현은 ALDH 효소활성 증가 및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감소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Gene Symbol Fold change
술-BK/물-물 술-808/물-물 술-물/물-물 술-BK/술-물
Aldh3a2 0.929 1.126 0.771 1.205
Aldh2 0.958 0.971 0.861 1.113
Aldh16a1 0.980 1.055 0.889 1.102
Adhfe1 0.991 0.782 0.982 1.009
Aldh9a1 1.002 0.988 0.794 1.262
Aldh4a1 1.005 0.884 0.912 1.102
Aldh7a1 1.007 0.934 1.015 0.992
Aldh3b1 1.011 0.826 0.939 1.077
Aldh1l2 1.020 1.386 1.781 0.573
Aldh1a7 1.032 0.626 1.035 0.997
Aldh1a3 1.077 0.864 1.211 0.889
Aldh1a1 1.102 0.917 0.955 1.154
Aldh3b3 1.167 0.999 1.068 1.093
Aldh1b1 1.232 1.045 1.377 0.895
Aldh1l1 1.265 1.006 1.291 0.980
Aldh3a1 1.337 1.831 1.205 1.110
Aldh1a2 1.436 1.944 1.291 1.112
Aldh3b2 1.829 1.019 1.206 1.517
하기 표 7은 Cytochrome p-450 유전자 발현의 증감을 나타낸다. Cytochrome p-450 유전자 발현의 증감은 전반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알코올 투여 후 Conc를 투여한 군 (하기 표 7의 술-BK를 의미함)의 경우 Cyp2d34 및 Cyp2d23 유전자의 발현이 음성대조군 (하기 표 7의 물-물을 의미함)에 비하여 각각 1.841배 및 2.567배 증가하였으며, 양성대조군 (하기 표 7의 술-물을 의미함)에 비하여 각각 2.109배 및 2.166배 증가하였다. 이는 간세포 내에서 BK에 의한 해독작용이 Cytochrome p-450 발현을 통하여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반면 Cyp2b9 및 Cyp17a1 유전자의 발현은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0.336배 및 0.865배 감소하였으며.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0.414배 및 0.410배 감소하였다. 향후 Cyp2b9 및 Cyp17a1의 기능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Gene Symbol Fold change
술-BK/물-물 술-808/물-물 술-물/물-물 술-BK/술-물
Cyp2b9 0.336 0.539 0.811 0.414
Cyp11b1 0.610 1.440 0.914 0.667
Cyp2a4 0.617 0.853 0.652 0.946
Cyp2ab1 0.664 1.086 0.750 0.885
Cyp2c55 0.689 0.543 1.094 0.630
Cyp11a1 0.690 1.239 0.916 0.753
Cyp2c68 0.763 0.763 0.703 1.085
Cyp7b1 0.766 0.767 0.704 1.088
Cyp2w1 0.777 0.872 0.800 0.971
Cyp2g1 0.793 0.607 0.576 1.377
Cyp2c67 0.807 0.708 0.638 1.265
Cyp2b19 0.807 0.852 0.879 0.918
Cyp2c40 0.812 0.615 0.687 1.182
Cyp3a44 0.818 0.470 0.575 1.423
Cyp2c69 0.833 0.978 0.669 1.245
Cyp17a1 0.865 1.202 2.108 0.410
Cyp2d40 0.896 0.962 0.873 1.026
Cyp39a1 0.898 1.170 1.492 0.602
Cyp2a5 0.924 1.038 0.984 0.939
Cyp2c65 0.928 1.321 1.221 0.760
Cyp2c29 0.937 0.872 0.909 1.031
Cyp3a41a 0.938 0.961 0.786 1.193
Cyp2c50 0.945 0.900 0.854 1.107
Cyp2c37 0.966 1.041 1.059 0.912
Cyp46a1 0.969 1.258 0.780 1.242
Cyp2d9 0.970 0.983 0.881 1.101
Cyp2c54 0.970 1.002 0.814 1.192
Cyp1a1 0.974 0.608 0.858 1.135
Cyp2u1 0.981 0.625 0.878 1.117
Cyp2c70 0.988 0.780 1.007 0.981
Cyp2d26 0.994 1.119 0.946 1.051
Cyp2e1 0.998 1.083 0.965 1.034
Cyp2a12 1.043 0.946 0.924 1.129
Cyp27a1 1.043 1.113 1.177 0.886
Cyp2f2 1.053 0.907 1.065 0.989
Cyp2b13 1.055 0.802 1.087 0.971
Cyp2d10 1.066 1.108 0.873 1.221
Cyp19a1 1.070 1.032 1.035 1.034
Cyp3a11 1.080 0.988 0.908 1.189
Cyp2c44 1.105 0.616 0.842 1.312
Cyp3a13 1.114 1.230 1.202 0.927
Cyp2c66 1.154 1.046 0.958 1.205
Cyp2a22 1.160 1.063 1.030 1.126
Cyp2t4 1.162 1.082 1.051 1.106
Cyp2d22 1.179 1.139 1.171 1.007
Cyp2c38 1.188 1.534 1.144 1.038
Cyp2d11 1.188 1.655 1.779 0.668
Cyp3a16 1.202 1.053 0.670 1.794
Cyp2r1 1.222 0.374 1.014 1.205
Cyp11b2 1.273 1.278 1.025 1.242
Cyp2c39 1.277 1.230 1.808 0.706
Cyp2b10 1.282 1.907 1.785 0.718
Cyp7a1 1.327 0.547 1.119 1.186
Cyp11a1 1.361 1.372 1.129 1.205
Cyp2s1 1.417 1.099 0.954 1.485
Cyp2d12 1.632 1.246 1.203 1.357
Cyp8b1 1.674 1.619 1.396 1.199
Cyp2d34 1.841 1.034 0.873 2.109
Cyp2b23 2.567 0.881 1.185 2.166
이상,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ol : BK solution (실시예 1의 조성물 7)
Gran : BK granule (실시예 1의 조성물 15)
Conc : BK Concentrate (실시예 1의 조성물 11)
808 : 오리나무 추출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181168호)

Claims (10)

  1. 감태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톳 추출물, 모자반 추출물 및 돌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또는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복합추출물의 100중량부에서 상기 감태 추출물은 30 내지 35 중량부,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은 2 내지 5 중량부, 상기 톳 추출물은 30 내지 35 중량부, 상기 모자반 추출물은 30 내지 35 중량부, 상기 돌미역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복합추출물과 상기 해조류 복합추출물의 혼합비율은 중량비 11:1 내지 8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태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톳 추출물, 모자반 추출물 및 돌미역 추출물은 열수 추출에 의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성 간 질환은 알콜성 지방간 또는 알콜성 간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감태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톳 추출물, 모자반 추출물 및 돌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또는 알콜성 간 기능 손상 보호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복합추출물의 100중량부에서 상기 감태 추출물은 30 내지 35 중량부,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은 2 내지 5 중량부, 상기 톳 추출물은 30 내지 35 중량부, 상기 모자반 추출물은 30 내지 35 중량부, 상기 돌미역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식품 조성물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식품은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낵류, 면류, 낙농제품, 과립, 음료수 및 영양 공급용 제품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식품 조성물
KR1020170103115A 2017-08-14 2017-08-14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 또는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49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115A KR101949887B1 (ko) 2017-08-14 2017-08-14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 또는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115A KR101949887B1 (ko) 2017-08-14 2017-08-14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 또는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887B1 true KR101949887B1 (ko) 2019-02-19

Family

ID=6552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115A KR101949887B1 (ko) 2017-08-14 2017-08-14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 또는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8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725A (ko) 2020-12-09 2022-06-1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또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20090638A (ko) 2020-12-22 2022-06-30 (주)닥터티제이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또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30016437A (ko) 2021-07-26 2023-02-02 김인자 연줄기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KR20230096255A (ko) 2021-12-23 2023-06-30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약용식물 추출물 및 해조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또는 통풍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639A (ko) * 2000-11-28 2002-06-03 복성해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20050035003A (ko) * 2003-10-11 2005-04-15 주식회사 벤스랩 숙취 해소 및 흡연폐해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WO2008029136A1 (en) * 2006-09-05 2008-03-13 Ultra Biotech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cancer treatment based on combinational use of conventional or plant-derived anticancer agents and geranium oil or compounds thereof
KR20140104313A (ko) * 2013-02-20 2014-08-28 최규원 꾸찌뽕 등과 우피등을 이용 발표되지 않은 융합 원소까지 얻는 약초물과 씹히는 묵과 묵아이스크림 약재물 2가지 환 제조방법
KR20150061762A (ko) * 2013-11-28 2015-06-05 롯데제과주식회사 항우식 효능을 갖는 구강용 조성물
KR20160138926A (ko) * 2015-05-26 2016-12-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639A (ko) * 2000-11-28 2002-06-03 복성해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20050035003A (ko) * 2003-10-11 2005-04-15 주식회사 벤스랩 숙취 해소 및 흡연폐해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WO2008029136A1 (en) * 2006-09-05 2008-03-13 Ultra Biotech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cancer treatment based on combinational use of conventional or plant-derived anticancer agents and geranium oil or compounds thereof
KR20140104313A (ko) * 2013-02-20 2014-08-28 최규원 꾸찌뽕 등과 우피등을 이용 발표되지 않은 융합 원소까지 얻는 약초물과 씹히는 묵과 묵아이스크림 약재물 2가지 환 제조방법
KR20150061762A (ko) * 2013-11-28 2015-06-05 롯데제과주식회사 항우식 효능을 갖는 구강용 조성물
KR20160138926A (ko) * 2015-05-26 2016-12-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725A (ko) 2020-12-09 2022-06-1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또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20090638A (ko) 2020-12-22 2022-06-30 (주)닥터티제이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또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30016437A (ko) 2021-07-26 2023-02-02 김인자 연줄기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KR20230096255A (ko) 2021-12-23 2023-06-30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약용식물 추출물 및 해조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또는 통풍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887B1 (ko)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 또는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ordjazi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ucoidan extracted from two species of brown seaweeds (Sargassum ilicifolium and Sargassum angustifolium) around Qeshm Island
EP2444480A1 (en) Method for fermentation and cultivation, fermented plant extract, fermented plant extract powder,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fermented plant
Sanjeewa et al. Edible brown seaweeds: a review
KR100787633B1 (ko) 간 기능 개선과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WO2020073869A1 (zh) 盐肤木果实或其提取物的用途
US20110052732A1 (en) Mineral absorption accelerator and iron deficiency anemia improver of food composition
Wen et al. Immunoregenerative effects of the bionically cultured Sanghuang mushrooms (Inonotus sanghuagn) on the immunodeficient mice
Piovezan-Borges et al. Antioxidant potential of yerba mate (Ilex paraguariensis St. Hil.) extracts in Saccharomyces cerevisae deficient in oxidant defense genes
KR100848515B1 (ko) 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화장품
CN102552335A (zh) 一种中药保健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Murray et al. Phlorotannins and macroalgal polyphenols: Potential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s and role in health promotion
KR101413328B1 (ko) 미역귀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원료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KR20180098888A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
KR20190041130A (ko)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1045279B1 (ko) 비만억제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의 조성물
KR100838705B1 (ko) 버섯 균사체 배양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CN115252681A (zh) 一种预防异育银鲫越冬综合征中草药组合物及其制备和应用
KR101509220B1 (ko) 커피박 발효물을 이용한 면역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672098B1 (ko) 발효 쌀뜨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982816B1 (ko) 함초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73683B1 (ko) 목본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Hermanto et al. Nipah (Nypa fruticans Wurmb.) fruit as a potential natural antioxidant source
Hamwenye Identification and cultivation of Ganoderma mushroom species in Namibia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phenolics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their infu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