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130A -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130A
KR20190041130A KR1020170132203A KR20170132203A KR20190041130A KR 20190041130 A KR20190041130 A KR 20190041130A KR 1020170132203 A KR1020170132203 A KR 1020170132203A KR 20170132203 A KR20170132203 A KR 20170132203A KR 20190041130 A KR20190041130 A KR 20190041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extract
angelica
pseudomonas aeruginosa
angelica gi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9178B1 (ko
Inventor
김정욱
조영수
안희영
박규림
Original Assignee
(주)자연과 효소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연과 효소,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자연과 효소
Priority to KR1020170132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1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참당귀, 보다 상세하게는 평창산 참당귀의 홍국균 발효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NO 생성량을 증가시켜 면역활성을 유도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식품, 면역증진을 위한 동물용 사료 또는 면역질환 치료제의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Immune-enhancing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Angelica gigas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참당귀, 특히 평창산 참당귀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외부의 병원체 침입이 일어나면 이를 식별하고 제거하는 면역작용을 통하여 몸을 보호하며 항상성을 유지하는 생체방어 반응을 일으킨다. 피부, 소화관, 호흡기 등을 통해 침입한 유해물질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방어체계로 외부 자극물질을 제거하는 대식 작용을 하거나, 상처에 발생한 심각한 염증을 줄이는 작용을 통해 항상성 유지 활동을 한다. 체내 병원균의 유입으로 인해 활성화되었던 염증 반응을 포함한 모든 면역작용은 병원균의 제거가 이루어지고 나면 정상의 상태로 돌아오게 되지만 면역 조절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면역 반응이 정상인 사람에 비해 현저히 높거나 낮게 발생한다. 면역기능이 결핍되거나 저하된 상태를 ‘면역부전’이라고 하며 이 상태에서는 면역반응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여 감염을 일으키게 된다. 반대로 '면역과민반응'은 일부의 면역반응이 과하게 발생하여 면역체계가 불균형을 이루게되고, 결과적으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면역계는 자연저항, 비특이성 면역체계 및 특이성 면역체계로 구분할 수 있다. 자연저항(1차 방어선)이란 미생물을 위시한 모든 침입자들을 그들의 종류에 관계없이 막아내는 해부생리학적 요소들을 말하며, 비특이적 면역(2차 방어선)은 자연저항을 돌파하여 체내로 들어온 침입자들을 제거하는 식세포로 구성된 방어체계를, 그리고 특이성 면역계(3차 방어선)는 림프구들로 구성된 면역체계이며, 이중 특이성 면역계는 기억능 그리고 자기와 비자기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고도로 발달한 면역체계이다.
대식세포(Macrophage)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세포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cytokine)과 일산화산소(NO)를 생성하여 면역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식세포는 항원을 제시하거나(antigen-presenting), 종양을 없애거나(tumoricidal), 미생물 세포를 죽이는(microbicidal) 세포로서, 세포매개(cell-mediated) 또는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조절세포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생산되는 NO는 비특이적 숙주방어기작인 대식작용, 그리고 세균 및 암세포의 증식억제활성을 보인다. 특히 대식세포에서 리포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 사이토카인, TNF-α와 같은 자극에 의해 발현되는 iNOS는 장시간 동안 다량의 NO를 생산하여, NFκB 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의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 O2 -),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와 같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및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산은 비특이적 면역에 있어서 중요한 세포독성 및 세포활성 억제 기작이다. 따라서 안전한 천연화합물과 대식세포에서의 ROS 및 NO의 생성의 상관관계에 관련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한편,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며,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산지나 골짜기가 생육의 적지로, 토심이 깊고 물빠짐이 좋으면서 수분유지가 잘되는 산간 고랭지에서 재배하는 것이 당귀 생육에 유리하다. 참당귀(A. gigas Nakai)의 생태적 특성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경북 산간지대나 강원 평창, 태백 등의 지역이 주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동일한 품종이라도 재배지역과 방법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져 각각의 지역별 참당귀의 성분과 약리적 효과는 상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당귀의 효능으로 항암, 주름개선, 조직재생, 미백, 항산화 및 간질환 개선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당귀에는 쿠마린(coumarine)계의 데커신(decursin), 노다케네틴(nodakenetin), 움벨리페론(umbelliferon),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주요 성분인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의 함량은 부위 또는 추출 방법에 따라서 달라진다. 이와 같이 참당귀는 여러 가지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고, 다양한 효능이 있어 고부가가치 식품으로서 개발 가치가 상당히 높다.
한편, 발효는 미생물의 효소작용을 이용하여 식품 내 성분을 분해 또는 변화시켜 특유의 최종 산물을 만들어내는 현상을 이용한 가공기술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술이며, 발효 과정을 통해 독성물질 파괴, 소화 증진 효과 및 필수 비타민 등이 생성되어 영양학적 가치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식용 가능한 유용한 균으로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등을 가수분해하는 가수분해효소 및 기타 효소를 생성한다. 경제 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서구화에 의해 제품의 기능성, 기호성 등의 질적 소비를 추구하는 건강지향적 소비패턴으로 인하여 소비자들은 발효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가 첨가된 제품을 선호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의 개선에 도움되는 홍국 제품을 건강기능식품 품목으로 지정하고 있어, 홍국균을 이용한 시장의 활성화가 기대되며, 홍국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활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홍국을 소재로 한 건강지향관련 기능성 식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홍국균을 이용하여 발효를 함으로써, 참당귀의 기능적 효능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며, 산지별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참당귀의 산지에 따른 효능분석 연구를 통해 효능이 우수한 발효 참당귀를 이용한 제품의 개발이 가능하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2017-0073058호에는 숙지황, 백작약, 천궁 및 당귀를 혼합하여 추출한 후, 발효하여 제조한 발효사물탕의 항산화 및 면역 효능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참당귀, 특히 평창산 참당귀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이 대식세포의 면역활성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창산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창산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창산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참당귀, 보다 상세하게는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NO 생성량을 증가시켜 면역활성을 유도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식품, 면역증진을 위한 동물용 사료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산지별 참당귀 및 참당귀 발효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BHT는 부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으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SA는 산청산 참당귀 추출물, PA는 평창산 참당귀 추출물, JA는 제천산 참당귀 추출물, FSA는 산청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 FPA는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 및 FJA는 제천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 처리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산지별 참당귀 및 참당귀 발효 추출물의 세포 독성(A) 및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능(B)을 확인한 결과이다. LPS를 처리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였으며, SA는 산청산 참당귀 추출물, PA는 평창산 참당귀 추출물, JA는 제천산 참당귀 추출물, FSA는 산청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 FPA는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 및 FJA는 제천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 처리군이다.
본 발명은 평창산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은 참당귀를 홍국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나스커스 푸르푸레우스(Monascus purpureus)를 이용하여 발효한 후 추출하는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은
1) 찹쌀, 설탕 및 음건하여 분쇄한 평창산 참당귀 분말이 포함된 배지에 홍국균을 접종시켜 배양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배양된 홍국균과 음건하여 분쇄한 평창산 참당귀 분말을 혼합하여 평창산 참당귀를 발효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발효된 평창산 참당귀에 물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0.5~2%(w/v)의 찹쌀, 0.5~2%(w/v)의 설탕 및 0.05~0.2%(w/v)의 음건하여 분쇄한 평창산 참당귀 분말이 포함된 배지에 모나스커스 푸르푸레우스(Monascus purpureus)를 접종시켜 25~35℃에서 2~4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배양된 모나스커스 푸르푸레우스와 음건하여 분쇄한 평창산 참당귀 분말을 0.5~2:0.5~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5~35℃에서 2~12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발효된 평창산 참당귀 1 중량부에 대하여 5~15 중량부의 물을 첨가한 후 35~4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는 과정을 2~4회 반복하여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 1%(w/v)의 찹쌀, 1%(w/v)의 설탕 및 0.1%(w/v)의 음건하여 분쇄한 평창산 참당귀 분말이 포함된 배지에 모나스커스 푸르푸레우스(Monascus purpureus)를 접종시켜 30℃에서 3일 동안 120rpm에서 배양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배양된 모나스커스 푸르푸레우스와 음건하여 분쇄한 평창산 참당귀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30℃에서 3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발효된 평창산 참당귀 1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한 후 37℃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또는 음료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평창산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발효 추출물은 발효하지 않은 평창산 참당귀 추출물에 비해 증진된 항산화 활성을 가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장기간 섭취하는 경우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평창산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료와 함께 배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통상적인 사료 조성물에 첨가하여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 외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통상적인 사료 조성물과 본 발명의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이 혼합된 기능성 사료 조성물의 제조 시, 본 발명의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은 총 사료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3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0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사료 조성물의 상기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식품 조성물의 유효 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지속적인 면역 증진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인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가축 또는 가금을 대상으로 한다. 상기 가축 또는 가금은 소, 돼지, 닭, 말, 양, 당나귀, 노새, 멧돼지, 토끼, 메추라기, 집오리, 장닭, 투계용 닭, 비둘기, 칠면조, 개, 고양이, 원숭이, 햄스터, 생쥐, 래트, 구관조, 앵무새, 잉꼬, 카나리아 등이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정 내에서 사육 가능한 인간 이외의 포유동물 또는 조류이면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의 대상이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평창산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면역질환은 감기, 천식, 폐렴,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알러지, 류마티스 관절염, 알츠하이머병, 자가면역성 갑상선 질환, 염증성 장질환, 재생불량성 빈혈, 홍반성 루푸스 또는 건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에 및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제조예 1. 산지별 참당귀 추출물 및 참당귀 발효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한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산청(Sancheong), 평창(Pyeongchang), 제천(Jecheon)에서 재배되고 있는 참당귀를 각각 산청한방약초(SanCheong, Korea), 약재파는 청년들(Jecheon, Korea) 및 제천 한방마을(Seoul, Korea)에서 구입하여 음건한 후, 분쇄하였다.
발효 균주인 모나스커스 푸르푸레우스(Monascus purpureus KCCM12002, M. purpureus)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구입하였다. M. purpureus는 1%(w/v)의 찹쌀, 1%(w/v)의 설탕(sucrose) 및 각 산지별 당귀분말 0.1%(w/v)가 포함되어 있는 배지에 접종시켜 배양하였다. 배양은 30℃에서 72시간 동안 120rpm의 조건하에 진행하였다.
배양한 M. purpureus는 각 산지별 참당귀 분말에 1:1의 중량비로 접종하여, 30℃에서 12일 동안 발효시켰으며, 발효 3일(72시간) 경과 후 발효물의 성상 및 함량과 12일 발효 후의 성상 및 함량 변화의 차가 미미하여, 최종적으로는 3일 동안 발효시킨 발효물을 이용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산지별 참당귀 및 발효된 산지별 참당귀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각각의 참당귀 100g씩을 취해, 참당귀 1 중량부당 10 중량부의 정제수를 가한 후 37℃ 항온수조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였다. 추출액은 Adventec 110㎜ 2 여과지(Toyo 2A; Toyo Roshi, Tokyo, Japan)로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실시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산지별 참당귀 추출물 및 참당귀 발효 추출물의 당도, pH 및 총 산도 변화
산지별 참당귀 및 참당귀 발효 추출물의 당도는 제조예 1의 시료 300㎕를 취하여 당도계(Hand refractormeter, Kruss, Germany)를 사용하여 ºBrix(%)로 측정하였다. pH는 제조예 1의 시료 100㎖를 취하여 pH 미터(SevenCompactTM pH/Ion S220, Mettler-Toledo AG, Switzerlan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총 산도는 제조예 1의 시료 5㎖에 0.1N NaOH 용액으로 pH 8.3이 될 때까지 적정하고,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아세트산(acetic acid)의 양으로써 표시하였다.
[식 1]
총 산도(w/v, %)=(0.006×V×F)/S×100
V는 0.1N NaOH 소비량(㎖), F는 0.1N NaOH의 팩터(factor) 및 S는 검체량(㎖)을 의미한다.
그 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청(이하 SA), 평창(이하 PA) 및 제천산(이하 JA) 참당귀의 당도 함량은 각각 4.0, 4.0 및 3.6ºBrix로 나타났으며, 발효 산청(이하 FSA), 발효 평창(이하 FPA) 및 발효 제천산(이하 FJA) 참당귀의 당도 함량은 각각 5.0, 4.6 및 4.4ºBrix로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pH 또한 발효에 의해 발효 전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SA와 PA의 산도는 각각 0.88 및 0.79%로 나타났으며, 발효에 의해 각각 0.69 및 0.69%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나, JA와 FJA의 산도는 각각 0.55 및 0.56%로 발효로 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시료 ºBrix pH 총 산도(%)
산청산 참당귀
(SA)
4.0±0.12a 4.24±0.02a 0.88±0.00a
평창산 참당귀
(PA)
4.0±0.06a 4.24±0.01a 0.79±0.02b
제천산 참당귀
(JA)
3.6±0.12b 4.52±0.02b 0.55±0.00c
발효 산청산 참당귀
(FSA)
5.0±0.00c 4.78±0.01c 0.69±0.01d
발효 평창산 참당귀
(FPA)
4.6±0.00d 4.98±0.01d 0.69±0.00d
발효 제천산 참당귀
(FJA)
4.4±0.12d 4.92±0.01e 0.56±0.00c
열 내의 a,b,c,d 및 e는 서로 유의한 차가 있음을 나타내며, p<0.05임을 의미한다.
실시예 2. 산지별 참당귀 추출물 및 참당귀 발효 추출물의 데커신 (decursin)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 decursinol angelate ) 함량 변화
제조예 1의 산지별 참당귀 추출물 및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HPLC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표물질인 데커신(decursin)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를 각각 12.25, 25.00, 50.00, 100.00, 500.00㎍/㎖의 농도로 메탄올에 희석한 후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산지별 참당귀 및 발효 참당귀 추출물을 1.00%(v/v)의 농도로 희석하여, 상기 시료를 HPLC(HPLC pump (Waters 1525, Waters, U.S.A), HPLC UV/Visible detector (Waters 2489, Waters,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컬럼은 YMC-Triart C18 (250×4.6mm l.D., 5㎛)을 사용하였고, 용매 A는 HPLC용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용매 B는 HPLC용 물(water)을 사용하여 구배(gradient)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조건은 컬럼 오븐 온도 30℃, 이동상의 속도 1㎖/분, 분석 파장은 329nm로 용매 구배(gradient)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시간별 용매 조성 및 유속은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시간(분) 유속(㎖/분) 용매 A(아세토니트릴, %(v/v)) 용매 B(HPLC용 물, %(v/v))
0 1.0 50 50
10 1.0 50 50
11 1.0 70 30
21 1.0 70 30
22 1.0 100 0
32 1.0 100 0
33 1.0 5 95
43 1.0 5 95
44 1.0 50 50
54 1.0 50 50
HPLC 분석 결과,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의 피크(peak) 면적에 대한 검량선은 12.25~500.00㎍/㎖의 농도범위에서 R2=0.9999의 직선성을 나타내었으며,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은 각각 약 17.76분 및 약 18.50분으로 확인하였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SA, PA 및 JA군의 데커신 함량은 각각 455.730, 615.504 및 314.876ppm이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의 함량은 각각 209.968, 326.742 및 266.350ppm으로, 데커신이 데커시놀 안젤레이트에 비해 함유량이 높았다.
한편 M . purpureus로 발효시킨 FSA, FPA 및 FJA의 데커신 함량은 각각 539.112, 792.610 및 461.152ppm으로 모두 증가하였으며, 데커신 안젤레이트의 함량은 각각 257.008, 429.500 및 389.504ppm으로 발효에 의해 증가되었다.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는 FPA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산청, 평창 및 제천의 재배 산지별 성분 함량 차이를 확인하였다.
시료 물질 머무름 시간 피크면적 피크 높이 함량(ppm)
산청산 참당귀
(SA)
데커신 17.756 7147952 547459 455.730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18.043 3308238 265468 209.968
평창산 참당귀
(PA)
데커신 17.762 9631568 736417 615.504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18.049 5148459 407166 326.742
제천산 참당귀
(JA)
데커신 17.762 4958425 384753 314.876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18.050 4196727 324541 266.350
발효 산청산 참당귀
(FSA)
데커신 17.764 8444079 654576 539.112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18.051 4049535 317676 257.008
발효 평창산 참당귀
(FPA)
데커신 17.767 12384629 943173 792.610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18.054 6767809 519407 429.500
발효 제천산 참당귀
(FJA)
데커신 17.763 7232232 563797 461.152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18.050 6137511 476130 389.504
실시예 3. 산지별 참당귀 추출물 및 참당귀 발효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변화
페놀성 화합물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2차 대사 산물로서, 항산화 작용, 혈중 지질 저하 작용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놀성 화합물 중 플라보노이드는 항당뇨, 혈압강하, 콜레스테롤 저하 및 지방간 억제 등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산지별 참당귀 추출물 및 발효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였다.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산지별 참당귀 추출물 및 발효 추출물 시료에 폴린-시오칼토 페놀 시약(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을 이용한 폴린-데니스법(Folin-Denis)으로 비색시켜 스펙트로미터의 76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함량은 일정농도(0~500㎍/㎖)의 탄닌산(tannic acid)을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Jia 등의 방법(Food Chem . 1999, 64, 555-559.)에 따라 측정하였다. 0.1%(w/v) 제조예 1의 시료 용액에 5%(w/v) NaNO2 용액 및 10%(w/v) AlCl3·6H2O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용액을 스펙트로미터(Hitachi U-2900)의 5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함량은 일정 농도(20~200㎍/㎖)의 (+)-catechin hydrate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 후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그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총 페놀성 화합물은 SA에서 1171.81㎎/100g, PA에서 1609.25㎎/100g, JA에서 1258.40㎎/100g으로 나타났으며, PA에서 유의적으로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SA에서 317.63㎎ /100g, PA에서 686.41㎎/100g, JA에서 524.90㎎/100g의 함량을 나타내었고, PA 및 JA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SA 보다 높았다. SA, PA 및 JA 모두 발효를 함으로써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FSA는 2500.07㎎/100g, FPA는 3582.73㎎/100g 및 FJA는 3044.33㎎/100g으로 각 군은 발효 전에 비해 약 2배 가까이 증가한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FSA는 301.49㎎/100g, FPA는 616.43㎎/100g 및 FJA는 549.13㎎/100g의 함량으로 발효군 모두 발효전의 함량과 유사한 함량을 나타내어 M. purpures 발효는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에 영향을 주지만, 플라보노이드 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료 촐 페놀성 화합물 함량
(㎎/100g)
플라보노이드 함량
(㎎/100g)
산청산 참당귀(SA) 1171.81±64.53a 317.63±8.11a
평창산 참당귀(PA) 1609.25±27.07b 686.41±64.77b
제천산 참당귀(JA) 1258.40±83.48a 524.90±13.98b
발효 산청산 참당귀(FSA) 2500.07±119.44c 301.49±2.69a
발효 평창산 참당귀(FPA) 3582.73±54.01d 616.43±59.95b
발효 제천산 참당귀(FJA) 3044.33±30.27e 549.13±74.60b
열 내의 a,b,c,d 및 e는 서로 유의한 차가 있음을 나타내며, p<0.05임을 의미한다.
실시예 4. 산지별 참당귀 추출물 및 참당귀 발효 추출물의 미네랄 함량 변화
미네랄 함량은 AOAC 분석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제조예 1의 시료 추출물을 건조하여 분말화한 후, 각각의 건조 분말 1g을 취해 550℃에서 3시간 동안 회화시킨 후 6N HCl에 용해시켜 완전히 산분해시켰다. 그 후, 수욕상에서 산을 완전히 제거하고, 상기 건조물에 3N HCl을 가하여 여과한 후 원소 종류에 따라 각각 일정비율로 희석하여 원자흡광 분광광도계(Analyst 300, Perkin Elmer, Norwalk CT, USA)를 이용하여 미네랄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네랄 성분은 칼슘(calcium, Ca), 칼륨(potassium, K), 철(iron, Fe), 마그네슘(magnesium, Mg), 망간(manganese, Mn), 구리(copper, Cu), 아연(zinc, Zn) 및 나트륨(sodium, Na)을 확인하였으며, 전체적으로 K, Mg, Ca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K가 287.20ppm으로 FPA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Mg는 FJA에 37.50ppm, Ca는 FPA에 19.33ppm으로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었으며, Fe, Na, Mn, Zn, Cu는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측정한 원소 대부분 발효 후에 증가한 수치를 나타내어 참당귀가 발효됨에 따라 미네랄 함량, 특히 인체에 중요한 필수 미네랄 성분인 K, Mg, Ca 등의 함량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발효 후의 참당귀가 영양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료 칼륨
(K)
마그네슘
(Mg)
칼슘
(Ca)

(Fe)
나트륨
(Na)
망간
(Mn)
아연
(Zn)
구리
(Cu)
(ppm)
산청산 참당귀
(SA)
182.90
±2.50
24.40
±0.20
15.19
±0.14
2.90
±0.08
1.49
±0.11
1.49
±0.02
0.32
±0.00
0.056
±0.00
평창산 참당귀
(PA)
201.00
±2.50
22.30
±0.00
14.50
±0.12
3.40
±0.08
3.05
±0.14
1.43
±0.03
0.38
±0.00
0.034
±0.00
제천산 참당귀
(JA)
130.60
±1.50
26.30
±0.30
12.37
±0.15
4.58
±0.04
4.24
±0.06
1.40
±0.02
0.24
±0.00
0.089
±0.00
발효 산청산 참당귀
(FSA)
223.50
±2.70
29.70
±0.20
18.13
±0.12
4.08
±0.04
1.77
±0.05
1.72
±0.02
0.35
±0.00
0.075
±0.00
발효 평창산 참당귀
(FPA)
287.20
±6.60
33.70
±0.30
19.33
±0.03
6.74
±0.12
3.72
±0.07
3.11
±0.14
0.54
±0.00
0.108
±0.00
발효 제천산 참당귀
(FJA)
196.80
±2.60
37.50
±0.40
17.59
±0.11
7.11
±0.06
2.19
±0.07
1.95
±0.12
0.33
±0.00
0.129
±0.00
실시예 5. 산지별 참당귀 추출물 및 참당귀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항산화 활성 측정방법 중 DPPH 라디칼을 이용한 소거활성 측정은 DPPH를 소거시키는 항산화 물질의 활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DPPH는 짙은 자색의 비교적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방향족 아민류 등에 의해 환원되어 색이 탈색되는 것을 이용하여 항산화 물질을 검색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활성 측정은 Blois 방법(Nature, 1958, 26, 1199-1204.)에 따라 측정하였다. 제조예 1의 산지별 참당귀 추출물 및 발효 추출물을 각각 0.10%, 0.50% 및 1.00%(v/v)의 농도로 만든 시료의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을 528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식 2를 이용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이때, 활성 비교를 위해 합성 항산화제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 BHT)을 0.05%(v/v) 농도로 첨가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식 2]
DPPH 라디칼 소거활성(%)=(1-시료 첨가구의 흡광도/시료 무첨가구의 흡광도)×100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효 전과 후의 참당귀 추출물 처리구 모두 농도의존적인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발효 전의 참당귀 추출물 처리구 중에서는 1.00%(v/v) PA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발효 전에 비해 발효 후의 참당귀군 모두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고, 발효 후 참당귀 또한 FPA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실시예 6. 산지별 참당귀 추출물 및 참당귀 발효 추출물의 Fe / Cu 환원력 측정
환원력은 항산화 작용의 다양한 기전 중에서 활성 산소종 및 유리기에 전자를 공여하여 환원시켜주는 능력을 말하며, Fe3 + 및 Cu2 + 혼합물이 수소 공여하여 유리 라디칼을 안정화시켜 Fe2 + 및 Cu+로 전환하는 환원력을 흡광도 값으로 나타낸 것으로, 환원력의 세기가 높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Fe-환원력 측정은 Zhu 등의 방법(J. Agric . Food Chem ., 2002, 50, 6229-6234.)에 따라 제조예 1의 0.10%, 0.50% 및 1.00%(v/v)의 산지별 참당귀 및 발효 참당귀 추출물에 0.2M 인산나트륨 완충액(sodium phosphate buffer, pH 6.6) 및 1%(w/v) 페리시안화칼륨(potassium ferricyanide, K3Fe(CN)6)을 혼합하여 50℃에서 반응시키고, 10%(w/v) 트라이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을 가한 후 원심분리한 상층액에 증류수 및 0.50%(w/v) 염화제2철(ferric chloride, FeCl3)을 혼합한 후 실온에서 반응시켜 7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Cu-환원력 측정은 제조예 1의 0.10%, 0.50% 및 1.00%(v/v)의 산지별 참당귀 추출물 및 발효 참당귀 추출물에 0.01M CuCl2, 7.5mM ethanolic neocuprorine solution 및 1M NH4OAc 완충액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환원력 비교를 위하여 기존에 항산화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천연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과 합성 항산화제인 BHT를 각각 시료와 동일 농도, 동일한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시료 반응액에서 흡광도가 증가된 만큼 강한 환원력을 나타낸다.
그 결과,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효 전 참당귀의 Fe와 Cu의 환원력은 1%(v/v) SA에서 각각 0.32, 0.23, 1%(v/v) PA에서 각각 0.44, 0.36, 1%(v/v) JA에서 0.41, 0.19로 나타났으며, 발효 후 참당귀의 Fe와 Cu의 환원력은 1%(v/v) FSA에서 0.79, 0.54, 1%(v/v) FPA에서 1.13, 0.75, 1%(v/v) FJA에서 0.89, 0.58로, 발효 전·후 모두 발효 평창 참당귀에서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v/v) Fe-환원력 Cu-환원력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 1.00 2.33±0.06 2.57±0.03
0.50 2.42±0.09 2.13±0.01
0.10 1.71±0.05 1.16±0.01
아스코르브산 1.00 2.90±0.03 3.54±0.04
0.50 2.88±0.05 2.37±0.02
0.10 2.76±0.20 2.09±0.03
산청산 참당귀(SA) 1.00 0.32±0.00 0.23±0.00
0.50 0.19±0.00 0.11±0.01
0.10 0.04±0.00 0.05±0.00
평창산 참당귀(PA) 1.00 0.44±0.01 0.36±0.02
0.50 0.23±0.00 0.19±0.00
0.10 0.05±0.00 0.06±0.00
제천산 참당귀(JA) 1.00 0.41±0.01 0.19±0.00
0.50 0.20±0.00 0.16±0.00
0.10 0.05±0.00 0.06±0.00
발효 산청산 참당귀(FSA) 1.00 0.79±0.06 0.54±0.04
0.50 0.42±0.00 0.32±0.00
0.10 0.09±0.00 0.09±0.00
발효 평창산 참당귀(FPA) 1.00 1.13±0.02 0.75±0.02
0.50 0.56±0.00 0.41±0.01
0.10 0.12±0.00 0.12±0.00
발효 제천산 참당귀(FJA) 1.00 0.89±0.01 0.58±0.01
0.50 0.44±0.01 0.34±0.01
0.10 0.10±0.00 0.10±0.00
실시예 7. 산지별 참당귀 추출물 및 참당귀 발효 추출물의 면역활성 유도능 확인
대식세포는 선천적 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이며, 동물 체내 모든 조직에 분포하며 선천적 면역반응을 담당한다. 따라서, 산지별 참당귀 추출물 및 발효 추출물의 면역활성 유도능에 관해 알아보기 위하여 대식세포주(RAW 264.7)에 LPS와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였으며, 대식세포의 면역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NO의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해 안정된 일산화질소 산화물인 NO2 -(nitrite)를 Griess 반응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대식세포주(RAW 264.7)를 제조예 1의 추출물 및 LPS와 함께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 상층액을 96웰 플레이트에 100㎕씩 넣고, Griess 시약(0.1%(w/v) N-1-naphthyl-ethyl-endiamine in H2O : 1%(w/v) sulfanilamide in 5%(v/v) H3PO4=1:1 부피비)을 동량 첨가하여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Microplate reader)로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질산염(nitrite)의 농도는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을 64μM에서 0.5μM까지 2배씩 희석하여 얻은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RAW 264.7 세포에 대한 제조예 1의 산지별 참당귀 추출물 및 발효 추출물 시료의 세포독성은 100, 500, 1,000㎍/㎖의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시료는 1000㎍/㎖의 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NO의 생성량이 발효에 의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FPA의 NO의 생성량이 가장 우수하였다.
항원을 인식한 대식세포가 면역세포에 항원을 제시함으로써 대식세포 활성화 지표인 NO를 생성하며, 적정량의 NO 증가는 인체 내 암세포 증식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SA, PA 및 JA는 M. purpureus로 발효함으로써 면역 기능 활성이 증가하고, 특히 PA의 M. purpureus 발효가 면역 기능 활성 증가에 가장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평창산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은 참당귀를 홍국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홍국균은 모나스커스 푸르푸레우스(Monascus purpure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은
    1) 찹쌀, 설탕 및 음건하여 분쇄한 평창산 참당귀 분말이 포함된 배지에 홍국균을 접종시켜 배양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배양된 홍국균과 음건하여 분쇄한 평창산 참당귀 분말을 혼합하여 평창산 참당귀를 발효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발효된 평창산 참당귀에 물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은
    1) 0.5~2%(w/v)의 찹쌀, 0.5~2%(w/v)의 설탕 및 0.05~0.2%(w/v)의 음건하여 분쇄한 평창산 참당귀 분말이 포함된 배지에 모나스커스 푸르푸레우스(Monascus purpureus)를 접종시켜 25~35℃에서 2~4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배양된 모나스커스 푸르푸레우스와 음건하여 분쇄한 평창산 참당귀 분말을 0.5~2:0.5~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5~35℃에서 2~12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발효된 평창산 참당귀 1 중량부에 대하여 5~15 중량부의 물을 첨가한 후 35~4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는 과정을 2~4회 반복하여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평창산 참당귀 발효 추출물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창산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발효 추출물은 발효하지 않은 평창산 참당귀 추출물에 비해 증진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평창산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사료 조성물.
  9. 평창산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질환은 감기, 천식, 폐렴,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알러지, 류마티스 관절염, 알츠하이머병, 자가면역성 갑상선 질환, 염증성 장질환, 재생불량성 빈혈, 홍반성 루푸스 또는 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70132203A 2017-10-12 2017-10-12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2119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203A KR102119178B1 (ko) 2017-10-12 2017-10-12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203A KR102119178B1 (ko) 2017-10-12 2017-10-12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130A true KR20190041130A (ko) 2019-04-22
KR102119178B1 KR102119178B1 (ko) 2020-06-04

Family

ID=66283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203A KR102119178B1 (ko) 2017-10-12 2017-10-12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1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799A1 (ko) * 2019-06-28 2020-12-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노다케닌 및/또는 노다케네틴을 포함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KR20210150829A (ko) 2020-06-04 2021-12-13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참당귀 추출물 및 인디루빈 농축물을 포함하는 건선 또는 비염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792B1 (ko) * 2000-12-29 2003-11-12 진봉규 맨홀용 뚜껑의 높이조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188A (ko) * 2010-04-15 2011-10-21 주식회사 에스에이치발효식품 발효 중 높은 종균 균체수 및 효소활성을 극대화함으로써 다양한 질병개선 적응성이 높은 균체 및 균체조합의 개발
KR20130013743A (ko) * 2011-07-29 2013-02-06 광주과학기술원 당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Th1-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63636A (ko) * 2014-11-27 2016-06-07 강원도 참당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당뇨 기능성 조성물 및 한방소스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188A (ko) * 2010-04-15 2011-10-21 주식회사 에스에이치발효식품 발효 중 높은 종균 균체수 및 효소활성을 극대화함으로써 다양한 질병개선 적응성이 높은 균체 및 균체조합의 개발
KR20130013743A (ko) * 2011-07-29 2013-02-06 광주과학기술원 당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Th1-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63636A (ko) * 2014-11-27 2016-06-07 강원도 참당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당뇨 기능성 조성물 및 한방소스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799A1 (ko) * 2019-06-28 2020-12-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노다케닌 및/또는 노다케네틴을 포함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KR20210150829A (ko) 2020-06-04 2021-12-13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참당귀 추출물 및 인디루빈 농축물을 포함하는 건선 또는 비염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178B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rifi-Rad et al. Ellagic acid: A review on its natural sources, chemical stability, and therapeutic potential
Arora et al. Nutritional significance and therapeutic potential of Moringa oleifera: The wonder plant
Liu et al. Leaves, seeds and exocarp of Ginkgo biloba L.(Ginkgoaceae): A Comprehensive Review of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pharmacology, resource utilization and toxicity
KR101103040B1 (ko)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된 옻나무 추출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han et 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n Citrus limetta (Mosambi)
KR101974442B1 (ko)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Okwu et al. Evaluation of the phytochemical composition of mango (Mangifera indica Linn) stem bark and leaves
KR20160088165A (ko) 양파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KR20190041130A (ko)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40534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057745B1 (ko) 탈람노실 악테오사이드 함유 올리브 추출물
KR102086166B1 (ko) 람부탄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1509061B1 (ko) 노루궁뎅이버섯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20066118A (ko) 키토산 올리고당 착화합물과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다기능성 천연항균제
KR102368892B1 (ko) 약난 및 진득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067153B1 (ko) 뇌신경 세포 보호 활성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을 갖는 율피 추출물 및 그의 용도
KR100530578B1 (ko) 항균활성을 갖는 키토산, 키토산올리고당 및 자몽종자추출물을 함유한 약학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70077980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Dangal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study of physical, nutritional, and phytochem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rapeutic activities of Choerospondias axillaris (lapsi)
KR102450143B1 (ko) 타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060058729A (ko) 공포화 독소 중화제
KR102287389B1 (ko) 인삼 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510297B1 (ko)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 또는 스트레스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