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796B1 -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796B1
KR101890796B1 KR1020160142421A KR20160142421A KR101890796B1 KR 101890796 B1 KR101890796 B1 KR 101890796B1 KR 1020160142421 A KR1020160142421 A KR 1020160142421A KR 20160142421 A KR20160142421 A KR 20160142421A KR 101890796 B1 KR101890796 B1 KR 101890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pm
ginseng fruit
hours
hang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801A (ko
Inventor
김종규
천윤석
김주완
정재준
성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Priority to KR1020160142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796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숙취 예방 또는 숙취 해소용 약학 조성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알코올성 숙취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HANGOVER COMPRISING EXTRACTS OF GINGSENG BERRY, EXTRACTS OF Hovenia dulcis Thunberg AND MINERRAL CONCENTRATE}
본 발명은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숙취 예방 또는 숙취 해소용 약학 조성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알코올성 숙취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음주 후 숙취라 함은 사전적 의미로 이튿날까지 깨지 아니한 취기 즉, 장시간 유지되는 취기를 의미한다.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생활 속에서 고단한 하루를 동료, 가족 화합, 애환 등의 다양한 이유로 기호적으로 음주가 애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지속되는 음주는 숙취를 유발시켜 다음날 다양한 사회적 역할참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숙취의 증상으로는 술을 마신 후에 나타나는 두통, 설사, 식욕부진, 오심, 구토, 오한, 식은땀 등이 있으며, 객관적인 증상으로는 인식, 운동능력 저하, 혈액학적 변화 및 호르몬의 변화를 일컫는다. 숙취의 원인은 탈수, 알코올 및 알코올 대사물 (아세트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톤 등)의 독성, 흡수 장애에 의한 영양소 결핍 (혈당, 비타민, 무기질 결핍) 등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숙취 정도는 유전에 따른 개인의 편차, 환경상태 (영양 상태, 운동 상태, 탈수 정도, 건강 상태)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매우 심하다.
음주 후 알코올은 3가지 경로를 통해 대사되는데, 에탄올의 농도가 낮을 때는 위장관 또는 간에 존재하는 알코올 탈수소효소 (Alcohol dehydrogenase)와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 (Acetaldehyde dehydrogenase)의 작용에 의해, 에탄올의 농도가 높을 때는 소포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좀 에탄올 산화체계 (MEOS: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와 아세트산으로 대사되며, 이후 퍼옥시좀 (peroxisome)에 존재하는 카탈라제 (catalase)의 작용 등을 거쳐 이산화탄소(CO2)와 물 (H2O)로 최종 분해된다.
적당량의 알코올이 유입되면 상기 기술한 대사체계가 원활하게 작용하여 알코올 때문에 일어나는 제반 증상이 일어나지 않지만, 다량의 알코올 유입 시 대사체계의 균형이 파괴되어 생체 항상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단기적으로는 두통 또는 두중감, 집중력 감퇴, 속쓰림 및 소화불량 등이 초래되고 장기적으로는 간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우리나라 음주 문화의 특징인 잦은 음주와 과음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숙취를 제거할 수 있는 약물 또는 음료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숙취를 최대한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음료와 기능성 식품 등의 애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국내의 시장규모는 600억(05년), 1,140억(08년), 2,058억(11년), 1,966억(14년)으로 신장되고 있다.
현재 시판 숙취해소용 음료는 자리, 황기, 연꽃씨(Lotus seed), 쌀 배아 및 헛개나무 추출물 등을 사용한 컨디션(CJ사), 미배아대두 발효추출액 및 밀크씨슬 추출분말 성분을 주원료로 한 모닝케어(동아제약), 오리나무, 마가목 추출물을 사용한 여명808(그래미) 등을 중심으로 다수의 음료가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현대 사람들은 일상 속에 내제된 많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잘못된 음주습관을 가진 사람이 많으며, 이로 인한 과도한 음주는 다음 날 두통, 설사, 구토 등의 숙취로 이어져 다음 날 일상생활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현대인의 음주 문화는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숙취증상 해소에 관한 효과적인 해결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숙취 예방 또는 숙취 해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알코올성 숙취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숙취 예방 및/또는 숙취해소 작용이 최적화된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숙취 예방 또는 숙취 해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알코올을 투여한 생쥐에서 발생하는 운동 능력 저하 현상을 개선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알코올을 투여한 생쥐의 간 조직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및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냈고, 혈액 중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및 Alkaline phosphatase (ALP) 수치 측정을 통해 급성 알코올 섭취에 의한 간 손상을 경감시킴으로써 간 보호 효능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실험결과를 토대로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알코올성 숙취 예방 및/또는 숙취 해소를 위한 용도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 확인하고, 이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숙취 예방 또는 숙취 해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인삼열매 추출물, 인삼열매 추출물의 분획물,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건조물, 및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농축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헛개병과 추출물, 헛개병과 추출물의 분획물,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건조물, 및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농축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칼슘, 마그네슘, 칼륨, 아연을 포함하는 미네랄 농축액;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숙취 예방 및/또는 숙취 해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삼열매(Ginseng Berry)는 가장 젊은 시기의 4년생 인삼에서 7월 중순경 일주일간만 열리는 희귀한 열매이다. 기존에는 단순히 인삼 씨앗으로만 인식되어 왔으나 미국, 일본, 한국 등 의학계의 임상실험 및 연구 결과를 통해 인삼 뿌리보다 뛰어난 효능을 지닌 것이 밝혀졌다. 미국 아인슈타인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인삼열매는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작용을 비롯해, 노화 유전자의 활동을 억제하고 항노화 유전자를 활성화시킨다. 또 시카고 의과대학에서는 인삼열매의 항당뇨/항비만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특히 인삼의 핵심 영양소가 집약된 인삼열매에는 인삼의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가 30%가량이나 함유되어 있으며, 특이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Re 성분은 인삼 뿌리에 비해 2 내지 8배 많은 함량을 나타낸다. 인삼 사포닌은 혈액 흐름의 개선을 통해 노화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며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성기능 향상 등 다양한 효능을 발휘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비타민, 무기질, 칼슘, 마그네슘, 아연 등 미네랄이 풍부해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등 인삼열매는 현대판 불로초로 각광받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삼열매 추출물은 인삼열매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 중 하나인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인삼열매를 물,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인삼열매 추출물; 및
보다 우수한 숙취해소 작용을 얻기 위하여,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에 헥산, 클로로포름, 에테르,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부탄올, 에탄올, 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분획용매를 첨가하여 용매 분획하여 얻어진 인삼열매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삼 열매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 용매는 물,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및 아세톤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및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 또는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물과 에탄올의 부피비 1:0.1 내지 1:10, 1:1 내지 1:10, 1:2 내지 1:10, 1:3 내지 1:10, 1:4 내지 1:10, 1:5 내지 1:10, 1:6 내지 1:10, 1:7 내지 1:10, 1:8 내지 1:10 또는 1:9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3:7 범위로 혼합된 혼합용매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사용량은, 충분하고 효과적인 유효 성분 추출을 위하여, 인삼 열매의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30배 부피배 (예를 들어, 인삼 열매 1g에 대하여 1 내지 30mL의 용매 사용), 1 내지 25배 부피배, 1 내지 20배 부피배, 1 내지 15배 부피배, 1 내지 10배 부피배, 1 내지 8배 부피배, 5 내지 30배 부피배, 5 내지 25배 부피배, 5 내지 20배 부피배, 5 내지 15배 부피배, 5 내지 10배 부피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 부피배일 수 있다.
추출 시간은 유효성분의 충분한 추출을 위하여 1 내지 12시간, 3 내지 12시간, 5 내지 12시간, 7 내지 12시간, 1 내지 10시간, 3 내지 10시간, 5 내지 10시간, 7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8 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 온도는 유효성분의 효과적인 추출을 위하여, 실온 내지 추출용매의 끓는점까지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추출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침법, 가열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가압추출법, 환류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전기적 추출법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삼열매 분획물은 상기와 같이 얻어진 인삼열매 추출물에 분획 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얻어지며; 예컨대, 상기 얻어진 인삼열매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얻어진 현탁액에 물과 동부피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테르,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부탄올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분획 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얻어지거나; 및/또는 상기 얻어진 인삼열매 추출물에 헥산, 클로로포름, 에테르,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부탄올, 에탄올, 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분획 용매를 가하여 용매 분획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삼열매 분획물은,
상기 얻어진 인삼열매 추출물을 추출물 고형분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40 배, 5 내지 35 배, 5 내지 30 배, 10 내지 40 배, 10 내지 35 배 또는 10 내지 30 배 부피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배 부피배의 물에 현탁한 후, 얻어진 현탁액에 물과 동부피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테르,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부탄올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분획 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얻어지거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얻어진 인삼열매 추출물에 추출물 고형분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배, 1 내지 25 배, 1 내지 20 배, 1 내지 15 배, 1 내지 10 배, 2 내지 30 배, 2 내지 25 배, 2 내지 20 배, 2 내지 15 배 부피배 또는 2 내지 10 배 부피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배 부피배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테르,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부탄올, 및 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분획 용매를 가하여 용매 분획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로서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인삼열매 분획물은 2 종 이상의 분획 용매를 상기 기재된 순서에 따라 사용하여 용매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각각의 용매 분획물일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추출 및/또는 분획 후, 당업계에 공지된 여과 및/또는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의 건조물 또는 농축물은 상기와 같이 공지된 방법으로 건조 또는 농축된 것을 의미한다.
헛개나무는 지구자 나무라고도 하며, 높이가 10 내지 17 m이고, 수피는 흑회색이며, 작은 가지는 갈자색으로 피목이 있다. 겨울눈은 2개의 눈비늘로 싸여 있으며 털이 있다. 잎은 길이 8 내지 15 cm이며 어긋나고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다. 잎에 3개의 굵은 잎맥이 발달하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자웅동주로 6월 내지 7월에 흰색 꽃이 피는데 양성화이다. 꽃은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고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9월 내지 10월에 얻을 수 있는 열매는 갈색이 돌고 지름 8 mm 정도이며 닭의 발톱 모양이다. 열매의 3실에 각각 1개씩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다갈색이고 윤기가 있다.
열매가 익을 무렵이면 과경이 굵어져서 울퉁불퉁하게 된다. 은은한 향기가 있고, 단맛이 있어 먹을 수 있으며 음식맛을 한결 돋운다. 본초강목에 술을 썩히는 작용이 있다고 하며 생즙은 술독을 풀고 구역질을 멎게 한다고 하였다. 목재는 건축재, 가구재, 악기재 등으로 사용한다. 한국(강원과 황해 이남),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헛개과병(헛개나무열매; 학명은 Hovenia dulcis Thunberg, 영어명은 Oriental raisin tree fructus)은 한약명으로 지구자로 불리우며, 납작한 원형으로 등쪽면은 조금 불록하고 배쪽면은 비교적 납작하며, 지름 3 내지 5mm, 두께는 약 2mm이다. 바깥면은 홍갈색으로 광택이 있으며, 기부에는 타원형의 점모양의 종제가 있고 끝쪽은 약간 볼록한 모듬점이 있으며, 배쪽에는 세로로 1개의 볼록한 종척이 있다. 예로부터 보증익기, 양음생진, 해주독의 효능으로 사용되어왔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헛개과병은 야생 또는 재배된 것일 수 있으며, 헛개과병 추출물 제조에 있어서 건조되거나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헛개과병 추출물은 헛개과병 추출물과 헛개과병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 중 하나인 상기 헛개과병 추출물은 헛개과병을 물,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인삼열매 추출물; 및
보다 우수한 숙취해소 작용을 얻기 위하여, 상기 헛개과병 추출물에 헥산, 클로로포름, 에테르,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부탄올, 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분획용매를 첨가하여 용매 분획하여 얻어진 인삼열매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상기 헛개과병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 용매는 물,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및 아세톤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및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 또는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물과 에탄올의 부피비 1:0.1 내지 1:10, 1:1 내지 1:10, 1:2 내지 1:10, 1:3 내지 1:10, 1:4 내지 1:10, 1:5 내지 1:10, 1:6 내지 1:10, 1:7 내지 1:10 또는 1:8 내지 1:10 범위로 혼합된 혼합용매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사용량은, 충분하고 효과적인 유효 성분 추출을 위하여, 헛개과병의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30배 부피배 (예를 들어, 헛개과병 1g에 대하여 1 내지 30mL의 용매 사용), 1 내지 25배 부피배, 1 내지 20배 부피배, 1 내지 15배 부피배, 1 내지 10배 부피배, 1 내지 5배 부피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 부피배일 수 있다.
추출 시간은 유효성분의 충분한 추출을 위하여 1 내지 12시간, 1 내지 10시간, 1 내지 8시간, 2 내지 12시간, 2 내지 10시간, 2 내지 8시간, 3 내지 12시간, 3 내지 10시간, 3 내지 8시간, 4 내지 12시간, 4 내지 10시간, 4 내지 8시간, 바람직하게는 8시간 또는 4시간씩 2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 온도는 유효성분의 효과적인 추출을 위하여, 실온 내지 추출용매의 끓는점까지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헛개과병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추출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침법, 가열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가압추출법, 환류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전기적 추출법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헛개과병 분획물은 상기와 같이 얻어진 헛개과병 추출물에 분획 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얻어지며; 예컨대, 상기 얻어진 헛개과병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얻어진 현탁액에 물과 동부피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테르,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부탄올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분획 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얻어지거나; 및/또는 상기 얻어진 헛개과병 추출물에 헥산, 클로로포름, 에테르,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부탄올, 에탄올, 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분획 용매를 가하여 용매 분획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헛개과병 분획물은,
상기 얻어진 헛개과병 추출물을 추출물 고형분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40 배, 5 내지 35 배, 5 내지 30 배, 10 내지 40 배, 10 내지 35 배 또는 10 내지 30 배 부피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배 부피배의 물에 현탁한 후, 얻어진 현탁액에 물과 동부피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테르,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에탄올, 부탄올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분획 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얻어지거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얻어진 헛개과병 추출물에 추출물 고형분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배, 1 내지 25 배, 1 내지 20 배, 1 내지 15 배, 1 내지 10 배, 2 내지 30 배, 2 내지 25 배, 2 내지 20 배, 2 내지 15 배 부피배 또는 2 내지 10 배 부피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배 부피배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테르,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부탄올, 및 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분획 용매를 가하여 용매 분획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로서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헛개과병 분획물은 2 종 이상의 분획 용매를 상기 기재된 순서에 따라 사용하여 용매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각각의 용매 분획물일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추출 및/또는 분획 후, 당업계에 공지된 여과 및/또는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의 건조물 또는 농축물은 상기와 같이 공지된 방법으로 건조 또는 농축된 것을 의미한다.
미네랄 농축액은 칼슘, 마그네슘, 칼륨, 아연을 고농도로 농축한 미네랄 농축수이다. 미네랄은 몸 안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생화학 반응을 촉진하며, 세포활동에 관여하는 효소나 호르몬의 구성요소이다. 또한 미네랄은 뼈나 치아 등 신체의 구성요소로서의 역할을 한다. 미네랄은 체액의 산
알칼리 균형을 유지시켜준다.
칼슘은 인체 내에 가장 많이 들어있는 미네랄로서 대부분은 인산칼슘의 형태로 뼈와 이빨의 성분을 이룬다. 혈장에 있는 칼슘은 신경자극 전달, 혈액응고, 근육수축 등의 신체활동을 조절한다.
마그네슘은 뼈의 구성요소이며 인체 내 효소반응에 관여하는 꼭 필요한 영양소이다. 마그네슘은 신경세포의 흥분작용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칼륨은 주로 세포내의 체액에 존재하며 삼투압을 바르게 유지하며, pH균형 유지 역할을 하고, 신체 내 생리작용에 관여한다.
아연은 모든 체세포 내에 있으며 단백질 합성과 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영양소이다. 성호르몬을 비롯한 여러 호르몬 및 효소의 활동에 관여하며, 인슐린 분비와 미각작용에도 관여한다.
상기 미네랄 농축액은 미네랄로 칼슘, 마그네슘, 칼륨, 아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칼슘, 마그네슘, 칼륨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미네랄 농축액에 포함된 칼슘(Ca)의 농도는 100 내지 14,000 ppm, 100 내지 13,000 ppm, 100 내지 12,000 ppm, 100 내지 11,000 ppm, 100 내지 10,000 ppm, 200 내지 14,000 ppm, 200 내지 13,000 ppm, 200 내지 12,000 ppm, 200 내지 11,000 ppm, 200 내지 10,000 ppm, 300 내지 14,000 ppm, 300 내지 13,000 ppm, 300 내지 12,000 ppm, 300 내지 11,000 ppm, 300 내지 10,000 ppm, 400 내지 14,000 ppm, 400 내지 13,000 ppm, 400 내지 12,000 ppm, 400 내지 11,000 ppm, 400 내지 10,000 ppm, 500 내지 14,000 ppm, 500 내지 13,000 ppm, 500 내지 12,000 ppm, 500 내지 11,000 ppm, 500 내지 10,000 pp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0ppm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칼슘을 적게 포함되는 경우에는 골다공증, 충치, 근육경련, 신경과민, 발육부진과 조효소의 감소로 숙취해소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칼슘을 많이 포함하는 경우에는 고칼슘혈증, 변비, 탈수, 식욕부진, 다뇨의 문제가 있다.
상기 미네랄 농축액에 포함된 마그네슘(Mg)의 농도는 100 내지 20,000ppm, 100 내지 16,000ppm, 100 내지 12,000ppm, 100 내지 8,000ppm, 100 내지 4,000ppm, 300 내지 20,000ppm, 300 내지 16,000ppm, 300 내지 12,000ppm, 300 내지 8,000ppm, 300 내지 4,000ppm, 500 내지 20,000ppm, 500 내지 16,000ppm, 500 내지 12,000ppm, 500 내지 8,000ppm, 500 내지 4,000pp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4,000ppm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마그네슘을 적게 포함되는 경우에는 피로를 쉽게 느끼고, 소날이 자주 저리며, 집중력이 떨어지며, 조효소의 감소로 숙취해소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마그네슘을 많이 포함하는 경우에는 혈압저하, 근력감소, 보행장애, 오심, 구토의 문제가 있다.
상기 미네랄 농축액에 포함된 칼륨(K)의 농도는 100 내지 18,000ppm, 100 내지 16,000ppm, 100 내지 14,000ppm, 100 내지 12,000ppm, 100 내지 10,000ppm, 100 내지 8,000ppm, 100 내지 6,000ppm, 100 내지 4,000ppm, 100 내지 2,000ppm, 300 내지 18,000ppm, 300 내지 16,000ppm, 300 내지 14,000ppm, 300 내지 12,000ppm, 300 내지 10,000ppm, 300 내지 8,000ppm, 300 내지 6,000ppm, 300 내지 4,000ppm, 300 내지 2,000ppm, 500 내지 18,000ppm, 500 내지 16,000ppm, 500 내지 14,000ppm, 500 내지 12,000ppm, 500 내지 10,000ppm, 500 내지 8,000ppm, 500 내지 6,000ppm, 500 내지 4,000ppm, 500 내지 2,000pp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000ppm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칼륨을 적게 포함되는 경우에는 전신쇠약, 상행성 마비, 호흡부전과 조효소의 감소로 숙취해소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칼륨을 많이 포함하는 경우에는 근육무력감, 피로감, 오심, 구토, 설사를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미네랄 농축액에 포함된 아연(Zn)의 농도는 100 내지 10,000ppm, 100 내지 8,000ppm, 100 내지 6,000ppm, 100 내지 4,000ppm, 300 내지 10,000ppm, 300 내지 8,000ppm, 300 내지 6,000ppm, 300 내지 4,000ppm, 500 내지 10,000ppm, 500 내지 8,000ppm, 500 내지 6,000ppm, 500 내지 4,000pp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4,000ppm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아연을 적게 포함되는 경우에는 성장부진, 미각 감퇴, 불임증과 조효소의 감소로 숙취해소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아연을 많이 포함하는 경우에는 근육무력감, 피로감, 오심, 구토, 설사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으로서 인삼열매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의 함량은 사용 형태 및 목적, 환자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으로서 헛개과병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의 함량은 사용 형태 및 목적, 환자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으로서 미네랄의 함량은 사용 형태 및 목적, 환자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칼슘 250 내지 1,000 ppm; 마그네슘 125 내지 500 ppm; 칼륨 62.5 내지 250 ppm; 및 아연 100 내지 400 pp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범위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에는 성장부진, 미각 감퇴, 불임증과 조효소의 감소로 숙취해소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많이 포함하는 경우에는 근육무력감, 피로감, 오심, 구토, 설사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경피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의 비경구 제형 등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코올성 숙취해소 조성물은 인삼열매 및/또는 헛개과병 추출물(추출물 및/또는 분획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 등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인삼열매 및/또는 헛개과병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제조된 분획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경피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에게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투여방식과 표준 약제학적 관행(Standard pharmaceutical practice)을 고려하여 선택된 약제학적 담체와 혼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전분 또는 락토오즈를 함유하는 정제 형태로, 또는 단독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캡슐 형태로, 또는 맛을 내거나 색을 띄게 하는 화학 약품을 함유하는 엘릭시르 또는 현탁제 형태로 경구, 구강 내 또는 혀밑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제제는 현탁제 (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오즈, 위텝솔 (Witepsol)과 같은 반합성 글리세라이드 또는 행인유 (Apricot kernel oil)와 PEG-6 에스테르의 혼합물 또는 PEG-8과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과 같은 글리세라이드 혼합물)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와 함께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알코올성 숙취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삼열매 추출물은 인삼열매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로부터 분획된 인삼열매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인삼열매 추출물 및 인삼열매 분획물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헛개과병 추출물은 헛개과병 추출물과 헛개과병 추출물로부터 분획된 헛개과병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헛개과병 추출물 및 헛개과병 분획물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의 식품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각종 식품, 건강기능 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식품 조성물을 상기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기 식품의 예로서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 (예를 들어,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 (예를 들어,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과자류 (예를 들어, 스넥류), 기타 가공식품, 음료, 건강기능음료 (예를 들어, 숙취해소 음료 등),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첨가제 또는 음료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 내의 인삼열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함량은 식품사용 형태, 목적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0.00001 내지 99.9 중량%, 0.0001 내지 99.9 중량%, 0.00001 내지 99.0 중량%, 0.00001 내지 90.0 중량%, 0.00001 내지 80.0 중량%, 0.00001 내지 70.0 중량%, 0.00001 내지 60.0 중량%, 0.00001 내지 50.0 중량%, 0.0001 내지 99.9 중량%, 0.0001 내지 99.0 중량%, 0.0001 내지 90.0 중량%, 0.0001 내지 80.0 중량%, 0.0001 내지 70.0 중량%, 0.0001 내지 60.0 중량%, 0.0001 내지 50.0 중량%, 0.001 내지 99.9 중량%, 0.001 내지 99.0 중량%, 0.001 내지 90.0 중량%, 0.001 내지 80.0 중량%, 0.001 내지 70.0 중량%, 0.001 내지 60.0 중량% 또는 0.001 내지 50.0 중량%, 예를 들어, 0.0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조성물 내의 헛개과병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함량은 식품사용 형태, 목적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0.00001 내지 99.9 중량%, 0.0001 내지 99.9 중량%, 0.00001 내지 99.0 중량%, 0.00001 내지 90.0 중량%, 0.00001 내지 80.0 중량%, 0.00001 내지 70.0 중량%, 0.00001 내지 60.0 중량%, 0.00001 내지 50.0 중량%, 0.0001 내지 99.9 중량%, 0.0001 내지 99.0 중량%, 0.0001 내지 90.0 중량%, 0.0001 내지 80.0 중량%, 0.0001 내지 70.0 중량%, 0.0001 내지 60.0 중량%, 0.0001 내지 50.0 중량%, 0.001 내지 99.9 중량%, 0.001 내지 99.0 중량%, 0.001 내지 90.0 중량%, 0.001 내지 80.0 중량%, 0.001 내지 70.0 중량%, 0.001 내지 60.0 중량% 또는 0.001 내지 50.0 중량%, 예를 들어, 0.0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의 미네랄의 함량은 칼슘 250 내지 1,000 ppm; 마그네슘 125 내지 500 ppm; 칼륨 62.5 내지 250 ppm; 및 아연 100 내지 400 pp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알코올 대사 활성화 작용 및/또는 숙취해소 작용이 우수한 인삼열매 및/또는 헛개과병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 방법은,
1) 인삼열매 및 헛개과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에 물, C1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아세톤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추출 단계; 및
2) 상기 얻어진 추출물에 헥산, 클로로포름, 에테르,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부탄올, 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용액을 가하여 용매 분획하여 분획물을 제조하는 분획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단계는 인삼열매 및 헛개과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에 물과 C1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예를 들어, 에탄올)이 부피기준으로 1:9 내지 5:5 (예를 들어, 약 1:1)의 혼합비로 혼합된 혼합액, 또는 C1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예를 들어, 에탄올)을 가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단계는 1회 수행되거나, 2회 이상, 예를 들어, 2회 또는 3회 반복 수행되어 각 추출 단계에서 얻어진 여액을 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 단계는,
1-1) 인삼열매 및 헛개과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에 물과 C1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예를 들어, 에탄올)이 부피기준으로 1:9 내지 5:5의 혼합비로 혼합된 혼합액, 또는 C1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예를 들어, 에탄올)을 가하여 추출하고, 여과하여 여액을 얻는 단계; 및
1-2) 상기 단계 1-1)에서 얻어진 여액을 농축하여 추출물 농축액 또는 추출물의 건조물을 조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모든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냉침법, 가열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가압추출법, 환류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전기적 추출법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분획 단계는,
2-1) 상기 단계 1)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추출물 고형분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40 배 부피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배 부피배의 물에 현탁하여 추출물의 물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2-2) 상기 단계 2-1)에서 얻어진 추출물의 물 현탁액에 물과 동일한 부피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테르,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부탄올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가하고 혼합한 후 분획하여 분획물을 얻는 단계; 및
2-3) 상기 단계 2-2)에서 얻어진 분획물을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하여 분획물의 농축액 또는 분획물의 건조물을 조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분획 단계는,
2-1') 상기 단계 1)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추출물 고형분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배 부피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배 부피배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테르,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부탄올, 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분획물을 얻는 단계; 및
2-2') 상기 단계 2-1')에서 얻어진 분획물을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하여 분획물의 농축액 또는 분획물의 건조물을 조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 2-1) 또는 2-1')의 분획 단계는 하나의 용매를 사용하여 단일 과정으로 진행되거나, 두 가지 이상의 용매를 선택하여 상기 기재 순서에 따라서 차례로 사용하여 각 용매에 용해된 부분을 취하고, 잔존하는 부분에 다음 차례의 용매를 가하여 다단계로 진행될 수 있으며, 각 분획 용매로 1회 수행되거나, 2회 이상, 예를 들어, 2회 또는 3회 반복 수행되고 각 분획 단계에서 얻어진 분획물을 합하여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분획 용매로서 두 가지 이상의 용매를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단계 2-2) 또는 2-2')의 농축 및/또는 건조 단계는 상기 분획단계에서 순차적으로 취한 여액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용어 '고형분 중량'은 추출물 또는 분획물 중 용매 성분을 제거하고 남은 성분의 중량을 말한다.
본 발명은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숙취 예방 또는 숙취 해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알코올 탈수소효소와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의 활성도를 증가시키며, 간 손상 지표 효소들인 AST 및 ALP의 증가를 감소시키므로 생체 알코올 대사 활성화, 간 보호 및/또는 숙취해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음주에 따른 인체대사 경로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2는 음주 후 인체대사 과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주 후 각 집단의 호흡기 알코올 농도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A: 위약, B: 인삼열매 추출물 + 헛개과병 추출물, C: 인삼열매 추출물 + 헛개과병 추출물 + 미네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주 후 각 집단의 혈중 알코올 농도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A: 위약, B: 인삼열매 추출물 + 헛개과병 추출물, C: 인삼열매 추출물 + 헛개과병 추출물 + 미네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주 후 각 집단의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A: 위약, B: 인삼열매 추출물 + 헛개과병 추출물, C: 인삼열매추출물 + 헛개과병 추출물 + 미네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주 후 각 집단의 혈중 AST 활성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A: 위약, B: 인삼열매 추출물 + 헛개과병 추출물, C: 인삼열매추출물 + 헛개과병 추출물 + 미네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주 후 각 집단의 ALT 활성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A: 위약, B: 인삼열매 추출물 + 헛개과병 추출물, C: 인삼열매추출물 + 헛개과병 추출물 + 미네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주 후 각 집단의 두통 증상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A: 위약, B: 인삼열매 추출물 + 헛개과병 추출물, C: 인삼열매추출물 + 헛개과병 추출물 + 미네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주 후 각 집단의 어지러움 증상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A: 위약, B: 인삼열매 추출물 + 헛개과병 추출물, C: 인삼열매추출물 + 헛개과병 추출물 + 미네랄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1. 인삼열매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인삼열매(국내산 경동시장에서 구매) 10kg을 세절하여 추출병에 넣고 에탄올과 물이 3:7의 부피비로 혼합된 70%(v/v) EtOH 수용액 50L(시료중량 대비 5 부피배)를 가하여 침지하고 5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여액)을 용액이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감압 하에 50 내지 60에서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함으로써, 인삼열매 추출물 1kg을 수득 하였다.
제조예 1-2. 헛개과병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헛개과병(국내산 경동시장에서 구매) 10kg을 세절하여 추출병에 넣고 에탄올과 물이 1:9의 부피비로 혼합된 10%(v/v) EtOH 수용액 80L (시료중량 대비 8 부피배)을 가하여 침지하고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여액)을 용액이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감압 하에 50~60에서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함으로써, 헛개과병 추출물 2kg을 수득 하였다.
제조예 1-3. 인삼열매 및 헛개과병 동시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인삼열매(국내산 경동시장에서 구매) 5kg 및 건조된 헛개과병 국내산 경동시장에서 구매) 5kg을 세절하여 추출병에 넣고 에탄올과 물이 2:8의 부피비로 혼합된 20%(v/v) EtOH 수용액 80L (시료중량 대비 8 부피배)을 가하여 침지하고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여액)을 용액이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감압 하에 50 내지 60에서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함으로써, 인삼열매 및 헛개과병 동시 추출물 1.4kg을 수득 하였다.
실시예. 헛개과병 추출물, 인삼열매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 혼합
제조예 1-1의 인삼열매 추출물에 제조예 1-2의 헛개과병 추출물을 4:6으로 혼합한 후 정제수를 첨가하여 3brix로 조정한다. 여기에 미네랄농축액으로 칼슘이 500ppm, 마그네슘 250ppm, 칼륨 125ppm, 아연을 220ppm이 되도록 조제하였다. 구체적인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헛개과병 추출물 단독
제조예 1-1의 인삼열매 추출물에 제조예 1-2의 헛개과병 추출물을 4:6으로 혼합한 후 정제수를 첨가하여 3brix로 조정하였다. 구체적인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위약
위약은 데스트린 11.48g, 카라멜색소 5.6g, 홍삼향 0.28g, 복합황금추출물 0.07g을 넣은 후 정제수수로 140ml로 맞추었다. 구체적인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원료명 성분함량
(중량%)
섭취량
실시예
(헛개과병 추출물, 인삼열매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
식물혼합추출액 (헛개 6 : 4 인삼열매) 100 140ml
Calcium 500ppm
Magnesium 250ppm
Potassium 125ppm
Zinc 220ppm
비교예 1
(헛개과병 추출물)
식물혼합추출액 (헛개 6 : 4 인삼열매) 100% 140ml
비교예 2
(위약)
덱스트린 8.20% 140ml
카라멜색소 4.00%
홍삼향 0.20%
정제수 84.55%
복합황금추출물 0.05%
실험예 1-1. 실험 대상자 선정
본 실험의 대상자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자세한 설명과 자발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대상자로 나이는 만 19세부터 55세 이하로 설정하였으며, 총 37명을 대상으로 세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하기와 같은 이력을 가진 자는 제외 하였다.
3개월 이내 간기능 관련 약물, 건강기능식품을 복용중인 자; 스크리닝 검사 전 2개월 이내에 타 임상시험에 참여한 자; 본 연구에 사용되는 시험약 이외에 현재 연구개발 중인 다른 시험약을 복용하고 있는 자; 간염보균자, 급성간염환자 등 간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 심질환, 신질환, 담도계 질환, 위장관 질환, 암 등으로 약물을 복용중인 자; 항결핵제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항생제 및 CYP 450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항전간제를 복용하는 자; 정신적 무능력자, 정신질환자 및 항정신성 약물치료 경험이 있는 자; 약물 및 임상적으로 유의한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자; 약물 남용 병력이 있는 자;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과 같은 대사성 질환을 가진 피험자; 임신부, 수유부 또는 가임 여성으로 참여기간 동안 임신 및 수유의 계획이 있는 자; 임신 가능성이 있는 가임여성 중 적절한 피임법의 시행을 수용하지 않은 자(단, 불임수술을 받은 여성 제외); 및 기타 사유로 인하여 연구책임자가 연구 참여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한 자.
집단 구성은 위약 투여집단 A(n=10), 헛개과병 추출물 투여집단 B(n=10), 헛개과병 추출물, 인삼열매 추출물 및 미네랄농축액 투여집단 C(n=17)로 구분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신체적 특성은 하기 표 2와 같다.
신장 체중 나이 BMI
A (n=10) 174.25±9.10 75.31±15.43 30.25±5.64 24.58±3.35
B (n=10) 174.63±5.67 80.75±11.12 32.88±5.25 26.42±2.78
C (n=17) 175.66±7.29 76.57±13.93 34.13±6.76 24.73±3.31
실험예 1-2. 알코올 섭취방법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는 알코올 섭취 전 30분 전에 당일해당제품을 경구복용 하였다. 그 다음, 실험제품 섭취 후 소주(90㎖, 알코올 13.85g) 및 맥주(110㎖, 알코올 3.9g)가 혼합 된 술(200㎖, 알코올 17.75g)을 연속적으로 3잔(600㎖, 알코올 53.25g)을 섭취하였다. 알코올 섭취 후 안주는 제한하였으며, 알코올 섭취 후 3시간 동안 금식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1-3. 체혈 방법
모든 실험 및 채혈은 6시간 이상 공복상태에서 진행하였으며, 채혈은 5ml Vaccume tube(진공 채혈관, serum tube 1통)와 Heparin 4ml Vaccume tube, 22 gage needle을 사용하여 상완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총 채혈량은 1회 9ml씩 4회 36ml이며, 안정시, 알코올 섭취 후 1시간, 2시간, 3시간 총 4회 채혈하였다.
그 다음, 채취된 혈액은 heparin 4ml Vaccume tube에 응고되지 않게 잘 mix한 후 원심분리 하였고, 5ml Vaccume tube의 혈액은 응고된 후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 한 다음 -80도의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혈액 분석은 전문기관인 '삼광의료재단'에 분석을 의뢰하였다.
실험예 1-4. 통계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SPSS 21.0 for window, 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판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일차 및 이차적 유효성 평가는 시험제품 투여 전과 투여 후의 생체지표와 임상지표의 변화량에 대해, 각 측정변수의 특성에 따라 2way-ANOVA를 통해 상호작용을 확인하였으며, Hangover feeling 검사지의 분석은 그룹으로 파일 분할하여 시기별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실험예 2. 호흡기 알코올 농도 변화 관찰
안정 시와 알코올섭취 1시간, 2시간 및 3시간 후, 음주측정기(Breathlizer; ㈜센텍코리아, AL9000)를 불도록 하여 알코올 농도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3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항목 집단 안정 시 1시간 2시간 3시간 집단 X 시기 F(p)
Breath
(%)
A 0.000±0.00 0.081±0.03 0.061±0.03 0.044±0.02 3.240(0.048)
B 0.000±0.00 0.067±0.02 0.056±0.01 0.044±0.01
C 0.000±0.00 0.058±0.01 0.047±0.01 0.031±0.01
도 3 및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위약은 안정 시(0.000±0.00%), 1시간(0.081±0.03%), 2시간(0.061±0.03%), 3시간(0.044±0.02%)으로 나타났으며, 헛개과병 추출물은 안정 시(0.000±0.00%), 1시간(0.067±0.02%), 2시간(0.056±0.01%), 3시간(0.044±0.01%)으로 나타났다. 헛개과병 추출물, 인삼열매 추출물 및 미네랄농축액은 안정 시(0.000±0.00%), 1시간(0.058±0.01%), 2시간(0.047±0.01%), 3시간(0.031±0.01%)으로 나타났다. 그룹과 반복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p=0.048)
실험예 3. 혈중 알코올 농도 변화 관찰
실험 시작 전 미리 sample 및 kit(EnzyChromTM Ethanol Assay Kit Cat# : ECET-100 Lot : BG08A18)를 상온에 꺼내 놓는다. sample들은 1/2로 희석하여 사용하기 위해, 미리 96-well plate 각 well에 5㎕ D.W.를 넣어준다. Sample들을 각각의 well에 순서대로 5㎕씩 넣어준다. Standard solution은 duplication하여 농도별로 10㎕씩 넣어준다. Working reagent를 준비한다. <Well 당> Assay buffer 80㎕, Enzyme A 1㎕, Enzyme B 1㎕, NAD 2.5㎕, MTT 14㎕. 각 well에 Working reagent 90㎕씩 넣고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다. 30분간 반응시킨 후 Stop reagent를 각 well당 100㎕씩 넣어주고 파장 565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한다.
[계산식]
[Ethanol] = { (ODsample - ODblank) / Slope } X n(희석배수)(%)
항목 집단 안정시 1시간 2시간 3시간 집단×시기F(p)
Alcohol
(mg/dl)
A 0.00±0.00 0.08±0.02 0.08±0.02 0.07±0.01 16.370(<0.001)
B 0.00±0.00 0.08±0.01 0.07±0.01 0.05±0.01
C 0.00±0.00 0.07±0.01 0.06±0.01 0.05±0.01
도 4 및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안정 시와 알코올섭취 후 1시간, 2시간, 3시간의 혈중 알코올 변화량을 분석한 결과 위약은 안정 시(0.00±0.00mg/dl), 1시간(0.08±0.02mg/dl), 2시간(0.08±0.02mg/dl), 3시간(0.07±0.01mg/dl)으로 나타났으며, 헛개과병 추출물은 안정 시(0.00±0.00mg/dl), 1시간(0.08±0.01mg/dl), 2시간(0.07±0.01mg/dl), 3시간(0.05±0.01mg/dl)으로 나타났다. 헛개과병 추출물, 인삼열매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은 안정 시(0.00±0.00mg/dl), 1시간(0.07±0.01mg/dl), 2시간(0.06±0.01mg/dl), 3시간(0.05±0.01mg/dl)으로 나타났다. 그룹과 반복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p<0.001)
실험예 4. 혈중 알데하이드 변화 관찰
실험 시작 전 미리 sample 및 kit(Aldehyde Quantification Assay Kit (Colorimetric) - Abcam Cat# : ab112113 Lot : GR284598-7)를 상온에 꺼내놓는다. 2X Yellow Reaction Mixture를 매뉴얼대로 준비한다. 5㎖의 Component B를 Component A에 넣고 섞어 준다. Aldehyde standard를 매뉴얼대로 준비한다. (1㎖의 Component D를 Component C에 넣어 10mM aldehyde stock solution을 만들어 준다.)- 1000, 300, 100, 30, 10, 3, 1, 0.3 uM 의 aldehyde stock solution을 준비한다. 각 well에 standard, blank 및 sample들을 50㎕씩 넣어준다. 준비한 2X Yellow Reaction Mixture를 각 well에 50 ㎕ 넣고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켜준다. 30분간 반응 시킨 후 파장 550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한다.
[계산식]
[Aldehyde] = { (ODsample - ODblank) / Slope } X n(희석배수) (%)
항목 집단 안정시 1시간 2시간 3시간 집단×시기F(p)
Aldehyde
(uM)
A 531.59±65.25 1073.22±247.65 1105.15±241.36 1053.23±245.56 1.304(0.282)
B 560.61±142.61 1007.05±205.79 1008.35±309.71 961.87±243.72
C 540.87±143.11 994.87±406.09 886.97±323.73 862.81±301.46
도 5 및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안정 시 와 알코올섭취 후 1시간, 2시간, 3시간의 Aldehyde 변화량을 분석한 결과, 위약은 안정 시(531.59±65.25uM), 1시간(1073.22±247.65uM), 2시간(1105.15±241.36 uM), 3시간(1053.23±245.56 uM)으로 나타났으며, 헛개과병 추출물은 안정 시(560.61±142.61uM), 1시간(1007.05±205.79uM), 2시간(1008.35±309.71uM), 3시간(961.87±243.72 uM)으로 나타났다. 헛개과병 추출물, 인삼열매추출물과 미네랄농축액은 안정 시(540.87±143.11uM), 1시간(994.87±406.09 uM), 2시간(886.97±323.73uM), 3시간(862.81±301.46 uM)으로 나타났다. 반복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혈중 알데하이드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4. 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 (AST) 활성도 측정
혈중 AST 활성도에 대한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3의 혈액 샘플을 AST 측정 키트(Cat No. K753-100, BioVision Inc., CA,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권장 실험법 대로 측정하였으며, 흡광도 450 nm에서 deaminated glutamate에 의한 흡광도 변화를 지표로 사용하였다. 각 시료 혈청의 AST 효소량은 U/L 단위로 측정 결과를 도 6 및 표 6에 나타냈다.
항목 집단 안정시 1시간 2시간 3시간 집단×시기F(p)
AST
(lU/l)
A 21.88±7.26 24.00±9.67 23.69±10.94 24.81±10.59 0.316(0.731)
B 22.19±6.55 23.59±6.10 23.88±6.31 24.31±6.37
C 22.06±6.50 21.63±5.70 21.44±4.98 22.06±5.66
도 6 및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안정 시와 알코올섭취 후 1시간, 2시간, 3시간의 AST 변화량을 분석한 결과, 위약은 안정 시(21.88±7.26lU/l), 1시간(24.00±9.67lU/l), 2시간(23.69±10.94lU/l), 3시간(24.81±10.59lU/l)으로 나타났으며, 헛개과병 추출물은 안정 시(22.19±6.55lU/l), 1시간(23.59±6.10lU/l), 2시간(23.88±6.31lU/l), 3시간(24.31±6.37lU/l)으로 나타났다. 헛개과병 추출물, 인삼열매 추출물과 미네랄농축액은 안정 시(22.06±6.50lU/l), 1시간(21.63±5.70lU/l), 2시간(21.44±4.98lU/l), 3시간(22.06±5.66lU/l)으로 나타났다. 그룹과 반복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5. 검사지 분석결과
두통 증상 및 어지러움 증상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 대상자에게 알코올 섭취 1시간, 2시간, 3시간 후의 두통증상 및 어지러움 증상에 대해서 하기와 같은 기준을 통해 평가하도록 지시하였다.
5: 증상이 심해서 생활에 많은 지장을 받는다 / 매우 심함
4: 생활에 다소 지장을 받는다 / 대체로 심함
3: 생활에 지장은 없으나 평소의 신체상태는 아니다 / 약간 심함
2: 생활에 거의 지장이 없다 / 매우 약함
1: 생활에 전혀 지장이 없다 / 거의 없음
6-1. 두통 증상
알코올섭취 후 1시간, 2시간, 3시간의 두통증상을 분석한 결과, 위약은 1시간(3.40점), 2시간(2.30점), 3시간(1.90점)으로 나타났으며, 헛개과병 추출물, 인삼열매추출물은 1시간(3.10점), 2시간(2.50점), 3시간(1.70점)으로 나타났다. 헛개과병 추출물, 인삼열매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은 1시간(2.00점), 2시간(1.59점), 3시간(1.18점)으로 나타났다. 그룹과 반복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P<0.037)
6-2. 어지러움 증상
알코올섭취 후 1시간, 2시간, 3시간의 어지러움 증상을 분석한 결과, 위약은 1시간(3.40점), 2시간(2.40점), 3시간(1.70점)으로 나타났으며, 헛개과병 추출물, 인삼열매추출물은 1시간(3.10점), 2시간(2.40점), 3시간(1.70점)으로 나타났다 헛개과병 추출물, 인삼열매 추출물 및 미네랄농축액은 1시간(2.00점), 2시간(1.59점), 3시간(1.18점)으로 나타났다. 그룹과 반복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p=0.021).
소결
헛개과병 추출물, 인삼열매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1차 유효성 평가변수에서는 Breathlizer와 Alcohol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으며, 2차 유효성 평가변수인 Aldehyde, AST에서는 감소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두통과 어지러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헛개과병 추출물 및 물 섭취군에 비해 헛개과병 추출물, 인삼열매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 섭취군은 숙취와 관련된 평가변수들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숙취 관련 인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인삼열매 추출물 0.1 내지 50 중량%;
    헛개과병 추출물 0.1 내지 70 중량%;
    칼슘 250 내지 1,000 ppm;
    마그네슘 125 내지 500 ppm;
    칼륨 62.5 내지 250 ppm; 및
    아연 100 내지 400 ppm;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숙취 예방 또는 숙취 해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인삼열매를 물,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이염화메탄, 초산에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상기 추출물의 건조물, 및 상기 추출물의 농축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알코올성 숙취 예방 또는 숙취 해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에탄올이 부피비 1:0.1 내지 1:10 범위로 혼합된 혼합용매인 것인, 알코올성 숙취 예방 또는 숙취 해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매는 인삼열매의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30배 부피배를 사용하는 것인, 알코올성 숙취 예방 또는 숙취 해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1 내지 12시간 동안 추출한 것인, 알코올성 숙취 예방 또는 숙취 해소용 약학적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인삼열매 추출물 0.1 내지 50 중량%;
    헛개과병 추출물 0.1 내지 70 중량%;
    칼슘 250 내지 1,000 ppm;
    마그네슘 125 내지 500 ppm;
    칼륨 62.5 내지 250 ppm; 및
    아연 100 내지 400 ppm;
    을 함유하는 알코올성 숙취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음료인 것인, 알코올성 숙취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60142421A 2016-10-28 2016-10-28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1890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421A KR101890796B1 (ko) 2016-10-28 2016-10-28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421A KR101890796B1 (ko) 2016-10-28 2016-10-28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801A KR20180046801A (ko) 2018-05-09
KR101890796B1 true KR101890796B1 (ko) 2018-09-28

Family

ID=62201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421A KR101890796B1 (ko) 2016-10-28 2016-10-28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7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055A (ko) 2020-02-13 2021-08-23 주성수 증포 인삼열매 발효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음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909A (ko) * 2020-11-18 2022-05-25 맑고밝고따뜻한협동조합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KR102614780B1 (ko) * 2023-01-18 2023-12-15 주성수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525B1 (ko) * 2006-04-10 2007-10-30 주식회사 당바이오텍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100968109B1 (ko) * 2008-01-15 2010-07-06 주식회사농심 칼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천연 원료의 숙취 해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25130B1 (ko) * 2008-05-07 2012-03-16 성인환 인삼열매 추출물, 인삼화병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2031080A (ja) * 2010-07-29 2012-02-16 House Foods Corp 二日酔いの症状の回復剤
KR101404297B1 (ko) * 2011-12-22 2014-06-0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천수를 함유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368634B1 (ko) * 2012-03-28 2014-03-06 영천시(농업기술센터) 산삼배양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5199B1 (ko) * 2014-02-20 2016-04-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및 식품첨가제
KR101591429B1 (ko) * 2014-04-07 2016-02-04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 숙취개선 및 간보호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석준 외 7명. 약용식물 추출물이 첨가된 미네랄이 알코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숙취해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40권, 제3호, 2011년, pp, 393-4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055A (ko) 2020-02-13 2021-08-23 주성수 증포 인삼열매 발효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801A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5508B2 (ja) 成長ホルモン分泌促進剤
KR100615039B1 (ko) 기능성 한방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KR101789424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67530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1890796B1 (ko)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1394358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140137289A (ko)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40101520A (ko) 남성 성기능 개선 및 불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426925B1 (ko)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101795261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23022B1 (ko) 개오동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WO2007120007A1 (en) Extract of echinosophora koreensis removing hangover and having anti-oxidant activity
KR20140137288A (ko) 고량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614431B1 (ko) 남성 성기능 개선 및 불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943448A (zh) 竹汁银杏饮料及其生产方法
KR101961788B1 (ko) 천문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KR100642801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CN111096344A (zh) 一种具有缓解酒精性肝损伤功能的夹心饼干及其制备方法
KR101808808B1 (ko) 벌나무 및 후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07120008A1 (en) Extract of chrysanthemum zawadskii removing hangover activity
KR20210002221A (ko) 노니가 함유된 홍삼 가공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277135A (zh) 一种杜仲保健酒以及制备方法
KR101439792B1 (ko) 저체중 개선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이로부터 추출된 약재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2633837B1 (ko) 류마티스 관절염의 개선 및 치료 효능이 우수한 황금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의 혼합물 제조방법 및 상기 혼합물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