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288A - 고량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량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288A
KR20140137288A KR20140028660A KR20140028660A KR20140137288A KR 20140137288 A KR20140137288 A KR 20140137288A KR 20140028660 A KR20140028660 A KR 20140028660A KR 20140028660 A KR20140028660 A KR 20140028660A KR 20140137288 A KR20140137288 A KR 20140137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disease
extract
hangover
liver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8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효현
김선건
이은경
박나영
정규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Publication of KR20140137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2Alpinia, e.g. red ginger or galangal

Abstract

본 발명은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질환 및 숙취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동물 실험에서는 혈중 에탄올 감소효과 및 혈중 ALT/AST 효소 농도를 강력하게 억제하는 숙취해소 및 간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량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Alpinia officinarum Hanc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angover or liver disease}
본 발명은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Choi HB. 2009. Alcoholic liver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53: 275-282.
[문헌 2] 질병관리본부, 201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보고서
[문헌 3] 질병관리본부, 우리나라 성인 음주 현황 보고서. 2012년
[문헌 4] Lee EH, Chyun JH. 2005. Effects of beta-carotene supplementation on lipid peroxide levels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alcoholic fatty liver rats. Korean J Nutr 38:289-296.
[문헌 5] Rouach H, Clement M, Ofanelli MT, Nordmann R. 1983. Hepatic lipid peroxidation and mitochondrial susceptibility to peroxidative attacks during ethanol inhalation and withdrawal. Biochim Biophys Acta 753: 439-444.
[문헌 6] 숙취해소음료 시장동향, 식품세계. 한국식품정보원, p 6, 2009
[문헌 7] 두산백과
[문헌 8] 이호성, 차미란, 최춘환. 2008. 고량강 추출물의 암세포증식 저해 효과. 생약학회지 39(4):347-351.
[문헌 9] 박히준, 이제현, 김수영. 2005. 고량강의 항염증 작용에 대한 연구.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2):43-53
[문헌 10] 최근호, 김종관, 권승택. 2011. 급성 알코올 중독에서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식품 조성물의 보호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0(8):1107-1112
[문헌 11] 박정은, 소주련, 오석흥. 2006. 스테비아(Stevia. Rebaudian Bertoni)추출물 보강이 만성 알코올 섭취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9(1):71-80
[문헌 12] 이수정, 강민정, 신정혜. 2009. 마늘과 한약재 추출물의 혼합급이가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기능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8(5):561-568
우리나라 간질환 사망률은 인구 십만명 당 23.5명(남자 37.8명, 여자 9.0명)으로 매우 높으며, 40대 사망원인 1위(41.1명/10만명), 50대 사망원인 2위(72.4명/10만명), 30대 사망원인 3위(10명/10만명)를 차지하는 등 간질환은 한국 중년층 인구의 주요 사망원인이다. 특히 알콜성 간질환은 만성과다 음주자의 대부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이다.
간은 우리 몸에서 각종 대사 작용, 해독, 분해, 합성 및 분비를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장기로, 그 기능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간은 에너지 대사를 관리하는 기능이 있어 음식물에서 흡수된 모든 영양소들을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물질로 대사시켜 전신에 공급하거나 저장한다. 둘째, 간은 약 2,000여종의 효소, 알부민, 응고인자들의 혈청단백, 담즙산, 인지질,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을 합성하고 저장하며 분배하는 기능이 있다. 셋째, 간은 각종 대사산물을 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배설하는 기능이 있으며, 면역기능이 있어서 우리의 생명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간은 해독 및 분해 기능이 있어 약물, 독성물질, 술 등을 해독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간의 해독기능은 간세포를 손상시키기 쉬워 약물성, 독성, 알코올성 간질환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임상증상에 따라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알코올성 간경변증으로 크게 나눌 수 있고 대개 하루 60-80 g의 알코올을 10년 정도 마실 때 발생한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과다한 알코올 섭취로 인해 간세포 안에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축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금주만 하게 되면 곧 회복할 수 있으나, 계속 음주하게 되면 간염으로 발전하게 된다. 알코올성 간염은 간세포의 괴사와 염증이 발생한 상태로, 피로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황달, 발열, 우상복부통증 등의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이를 앓는 환자 중 약 40%는 알코올성 간경변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알코올성 간경변증은 정상 간으로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신 피로감, 식욕감퇴, 복수, 식도정맥류, 출혈, 간성뇌증, 혼수 등의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경변증 보다 예후가 불량하여 구미(歐美)에서는 말기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50%가 알코올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에틸알콜 대사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에틸알콜이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과중에 들어가 간장으로 옮겨지게 된다. 간세포에는 알콜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가 있어 알콜을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시키고, 상기 아세트알데히드는 간세포에 있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에 의해 초산으로 분해되어 전신의 근육이나 지방조직으로 옮겨져 최종적으로는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에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저농도이더라도 산화를 개시하는 Ⅱ형과 아세트알데히드가 고농도로 되지 않으면 작용을 하지 않는 Ⅰ형이 있으나, 동양인은 일반적으로 Ⅱ형 아세트알데히드 효소가 결핍 또는 부족하기 때문에 아세트알데히드의 산화가 느리고, 따라서 산화되지 못한 아세트알데히드 및/또는 에틸알콜의 독작용에 의하여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방해받아 다양한 숙취현상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음주후의 숙취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생약제제 또는 인공제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제조한 드링크류가 다수 개발되었다.
알코올은 식품 또는 약품으로 간주되며, 인간이 사회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윤활유 역할, 즉 기분 전환제 또는 정신 자극제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으며(1), 현대인들에게 있어 알코올은 스트레스 해소용으로 자주 음용된다.
2012년 성인 고 위험 음주율은 13.5 % ~ 20.4 %로 2011년 대비 감소하였으나 최근 5년간 크게 줄지 않았고, 운동 등 음주행태의 개선은 여전히 미흡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간 음주자 중에서도 남성의 42.5%, 여성의 13.7%가 주 1회 이상 폭음한 것으로 조사되어 2005년 세계보건기구(WHO) 통계(전 세계 음주자의 11.5%가 주 1회 이상 폭음)와 비교하면 전체(성별 포함)적으로 3배가량 높은 수준으로 폭음의 기회는 증가되고 있다(2-3).
알코올은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7 kcal/g의 비교적 높은 열량을 함유하고 있어, 높은 열량으로 인한 식사량의 감소는 알코올성 영양 부족상태를 초래한다. 또한 다량의 알코올이나 만성적인 알코올의 섭취는 소화관 점막을 손상시켜 식욕부진, 상복부의 불편함, 가스 참, 설사 등의 소화 장애를 유발함과 동시에 영양소 흡수장애 및 영양 결핍까지 초래하게 된다. 또한 간을 비롯한 모든 장기와 조직에 대해서 유독한 효과를 발휘하여 간괴사, 간경화, 췌장염, 심근증, 신경 장애, 암 등의 질환으로 발전되기도 한다(4-5).
알코올은 다른 에너지원과 달리 대부분이 간에서 분해되고 간에서 분해되지 않은 알코올은 계속 혈액과 더불어 순환되며 시간이 경과되어야 없어진다. 특히, 한국인은 일본인과 동일하게 알코올 분해 효소의 활성이 서양인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알코올 분해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대사되지 못한 알코올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가 심각한 실정이다.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는 알코올 해독 및 숙취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약물 또는 식품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한방 숙취해소 음료가 국내 음료시장에서 각광을 받고 있고 시장 규모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다(6).
숙취의 원인은 혈중 알코올 또는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숙취 증상의 감소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체내에서의 빠른 알코올 분해가 필수적이다. 알코올 분해의 기전으로는 1차적으로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의 작용에 의한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다음 단계로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한 아세트산(acetate)으로의 대사가 진행되게 된다. 이때 대사 장애가 발생하여 알코올 분해 대사 과정 중 생성된 중간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가 체내에 쌓이게 되면 음주에 의한 독성과 숙취현상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고량강(高良薑)은 우리나라에서는 생강과의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Hance)의 뿌리줄기를 말한다. 중국에서는 고량강(高良姜), 일본에서는 량강(良薑)이라고 하며 모두 우리나라와 같은 종이다. 특이한 방향이 있고 맛은 맵고 성질은 따듯하여 비위가 차서 생기는 복통, 구토, 설사에 효과가 있고 신장 기능 허약, 냉증으로 인한 정력 감퇴, 설사, 이질, 만성 위염, 식욕부진 등에 사용해 왔으며(7), 생리활성으로는 항염증, 항암 효능이 알려져 있다(8-9).
그러나 상기 문헌 어디에도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질환 및 숙취 해소에 대한 효과에 대한 어떠한 개시 또는 교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는 숙취해소의 기능이 있는 천연물을 찾기 위해 탐색하던 중, 고량강 에탄올 추출물이 급성 알코올 유도 후 혈중 알코올 분해에 우세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 화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w/w)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간 질환은 자가면역성 간질환, 약물유인성 간질환, 알코올성 간질환, 비알콜성 간질환, 감염성 간질환, 선천성대사성 간질환, 급성간염, 만성간염, 간경변증, 간경화, 지방간 또는 간암, 바람직하게는, 급성간염, 만성간염, 알코올성 간질환 또는 비알콜성 간질환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추출물은 원재료인 건조 상태의 고량강에 추출용매로서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 용매를 건조된 상기 원재료 중량의 약 1 내지 50배(v/w),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배(v/w)를 가하여, 5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실온 또는 80℃에서 10시간 내지 60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18 내지 45시간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가열추출법, 바람직하게는 냉침 추출법으로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가능하다.
또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p6-7, 199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추출물은 동물 실험에서 혈중 에탄올 감소효과 및 혈중 ALT/AST 효소 농도를 강력하게 억제하는 숙취해소 및 간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5 g/kg 내지 5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g/kg 내지 3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 및 간 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1 내지 95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 중량백분율로 포함한다.
또한, 숙취해소 및 간 질환 예방을 위한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및 가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의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고량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예방 및 개선효과를 갖는 고량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또는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껌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숙취해소용 껌은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껌의 제조에 필요한 일반적인 성분들, 예컨대 껌베이스와 설탕, 포도당, 이소말트 또는 자일리톨과 같은 당류 등을 첨가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외 껌의 물성을 부드럽게 하고, 껌이 잘 뭉쳐지게 하기 위하여 당류 시럽, 예컨대 솔티톨 80, 물엿, 말티톨 시럽 또는 솔비톨 시럽 등이 첨가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향료, 안정제, 색소, 유화제 및 광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추가로 첨가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향료는 껌의 향을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서, 민트향, 과일향 또는 허브향의 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정제로는 검 아라빅(gum arabic), 젤라틴(gelatin) 또는 카라기난(carageena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정제의 첨가로 인해 가공시 가열이나 보존 중의 변화에 대해 신선도를 유지하고 형태를 보존할 수 있으며, 껌의 식감이나 촉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껌은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치자청색소, 치자황색소, 카라멜 색소 또는 포도과피추출색소와 같은 천연색소 또는 합성 착색료가 추가로 첨가되어 제조될 수 있다. 나아가, 향료를 당액에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하여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또는 레시틴(lecithin)과 같은 유화제와 껌의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또는 쉘락(shellac)과 같은 광택제가 추가로 첨가되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껌은 1.6g의 껌 1개 당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 50-500mg,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mg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상기 음료와 껌 이외에 복용하기 편리한 현탁제, 환제, 정제, 캅셀제, 산제 등으로 다양하게 제형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동물 실험에서 혈중 에탄올 감소효과 및 혈중 ALT/AST 효소 농도를 강력하게 억제하는 숙취해소 및 간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확인하여,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추출물의 급성 알코올 유도에 의한 혈중 알코올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추출물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효과를 시간대별로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추출물의 경구투여에 의한 간 기능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의 추출물의 8주간의 알코올 유도에 의해 유발된 래트의 간손상에 대한 간 기능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량강 추출물의 제조
본 실험에 사용한 한약재 고량강은 중국에서 2012년 생산 건조된 것을 (주)휴먼허브(경산, 한국)에서 구매하여 200 g에 75 % EtOH 수용액 3 ℓ를 넣고 60°C에서 24시간동안 침지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Whatman No.1 여과지로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4일 동안 동결 건조하여 11.57 g(5.79 %, 이하 AOE이라 함)을 수득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0.9% NaCl에 알맞은 농도로 충분히 용해시켜 동물실험 시 경구투여용 약물로 사용하였으며 투여 용량은 1 ml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실험예 1. 동물실험(혈중 알콜 농도 저하 효과)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의 래트에서의 혈중 알콜 농도 및 효소 농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10).
실험동물
Sprague-Dawley계 rat, 200g 전후의 수컷을 코아텍(평택, 한국)에서 구입하였으며, 입수 시 외관을 육안으로 검사한 후 실험을 실시할 동물실에서 7일간 순화하면서 일반 증상을 관찰한 후 난괴법에 의해 군(n=6)별로 구분하여 실험하였다. 동물 실험실의 사육조건은 온도 24±2°C, 습도 55-60 %를 유지시켰으며 물과 식이는 자유 공급하였고, 군 식별을 위하여 사육 상자에 카드를 부착하고 동물의 머리, 등, 꼬리에 picric acid(Sigma-Aldrich Cat No. 319287)를 이용하여 동물을 표시하고 실험 직전체중을 측정하였다.
실험일정
고량강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량강 75% 에탄올 추출물을 1회 1 ml씩 용량을 유지하면서 농도별로 경구 투여하고 정상대조군 및 실험군은 동일 용량의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다. 한 시간 후 알코올의 투여는 생리식염수로 희석된 ethanol(50%, v/v) 3 g/kg으로 경구 투여(oral administration)하였으며,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만을 경구 투여하였다.
혈액 채취와 혈액의 알코올 농도 및 생화학적 성분 분석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혈액의 측정은 알코올 투여 전(0시간)과 알코올 투여 후 각 45분, 1시간, 3시간, 5시간, 8시간, 24시간째에 채취하여 비교 분석 되었다. 실험동물의 희생은 각 군별로 경추 탈골 시킨 후 개복하여 간에서 심장으로 향하는 혈관인 후대정맥에서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즉시 3,000 rpm에서 10분간 4°C에서 혈청을 원심분리하고 분석 전까지 -70°C에 보관하였다. 혈중 에탄올 농도는 BioVisions ethanol assay kit (Catalog #K620-100, Milpitas, CA, USA)을 이용하여 colorimetric 방법으로 340nm에서 분석되었고, 간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인 효소(AST/ALT)는 생화학 측정기 BS-220(Mindray, New York, NY, USA)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상기 실험 결과, 알코올 유도 후, 혈중 알코올 농도는 45분째부터 8시간까지 10배나 증가하여 그 농도가 유지되었으며, 본 발명의추출물 (100 mg/kg)은 증가된 혈중 알코올 농도를 3시간 경과 후 45 %, 8시간 경과 후 30 %까지 감소시키고, 추출물 (200 mg/kg)은 3시간 경과 후 27 %, 8시간 경과 후 30 %까지 감소시킴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상당한 숙취개선의 효과를 나타냈으며(표 1, 2 및 도 1- 2 참조),
Time (h) 혈중 알코올 농도(nmol/μl, mean±sem)
0 01 ± 0.31
0.75 10.4 ± 0.83
3 11.0 ± 0.14
5 10.8 ± 0.39
8 10.1 ± 0.53
24 2.2 ± 0.21
실험군 농도 (mg/ml) Time (h) 혈중 알코올 농도 (nmol/μl, mean±sem)
NC - 0 0.1 ± 0.31
PC - 0.75 10.4 ± 0.83
3 11.0 ± 0.14
8 10.1 ± 0.53
AOE 100 0.75 10.3 ± 0.22
3 4.5 ± 1.47
8 2.6 ± 0.16
200 0.75 10.9 ± 0.02
3 2.9 ± 0.36
8 3.0 ± 0.23
Ref. 200 0.75 11.5 ± 0.12
3 10.9 ± 0.39
8 11.3 ± 0.12
또한 간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인 효소(AST/ALT) 감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및 도 3 참조).
추출물의 200 mg/kg까지의 단회 경구투여는 rat의 간 기능(AST/ALT효소 수치)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험군 농도 (mg/ml) Time (h) 혈청 AST(IU, mean±sem) 혈청 ALT(IU, mean±sem)
NC - 0 94 ± 1.63 62 ± 4.90
PC - 0.75 109 ± 4.90 68 ± 2.04
3 109 ± 12.26 70 ± 2.04
5 123 ± 19.21 57 ± 1.63
8 123 ± 5.31 59 ± 2.86
24 97 ± 2.86 59 ± 2.04
AOE 100 0.75 125 ± 12.05 83 ± 4.49
3 131 ± 7.24 78 ± 4.92
8 112 ± 14.38 24 ± 16.35
200 0.75 120 ± 4.90 49 ± 18.39
3 138 ± 1.63 70 ± 0.82
8 136 ± 7.77 67 ± 5.72
Ref. 200 0.75 124 ± 2.97 58 ± 4.36
3 71 ± 21.95 22 ± 18.72
8 103 ± 11.85 55 ± 6.39
실험예 2. 동물실험(간세포 보호 효과)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의 래트에서의 알코올 유도에 의한 간손상에서 보호 작용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11, 12).
2.1. 실험일정
고량강의 급성 알코올 유도 및 장기간 알코올 유도에 의한 간손상에 대한 보호 작용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량강 75% 에탄올 추출물을 매일 오후 1회 1 ml씩 용량을 유지하면서 8주 동안 농도별로 경구 투여하고 정상대조군 및 실험군은 동일 용량의 생리식염수를 같은 기간 투여하였다. 알코올의 투여는 매일 오전 생리식염수로 희석된 ethanol(30%, v/v) 3 g/kg을 실험 전기간 경구 투여(oral administration)하였으며,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만을 경구 투여하였다.
2.2. 혈액 채취와 혈액의 알코올 농도 및 생화학적 성분 분석
급성 알콜 유도 및 8주간의 알코올 유도를 위한 실험동물의 희생은 각 군별로 경추 탈골 시킨 후 개복하여 간에서 심장으로 향하는 혈관인 후대정맥에서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즉시 3,000 rpm에서 10분간 4°C에서 혈청을 원심분리하고 분석 전까지 -70°C에 보관하였다.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혈액의 측정은 알코올 투여전(0시간)과 알코올 투여 후 각 45분, 1시간, 3시간, 5시간, 8시간, 24시간째에 채취하여 비교 분석 되었다. 혈중 에탄올 농도는 BioVision’s ethanol assay kit (Catalog #K620-100, Milpitas, CA, USA)을 이용하여 colorimetric 방법으로 340nm에서 분석되었고, 간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인 효소(AST/ALT)는 생화학 측정기 BS-220 (Mindray, New York, NY, USA)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2.3.장기 적출 및 Hematoxylin & eosin (H&E) 조직염색
간 조직은 적출하여 주위의 지방과 물기를 제거하여 무게를 측정한 후 알코올 투여로 인해 유도되는 간의 염증 발생의 억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10% 포르말린에 고정하였다. 고정된 간조직은 물에 충분히 수세한 후 Automatic tissue processor에서 탈수, 청명, 파라핀 침투 과정을 거쳐 파라핀 포매 후 조직 절편기를 이용하여 4 ㎛로 조직절편을 제작하였다. 이를 슬라이드에 부착한 후 자일렌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파라핀을 제거하고, 함수과정을 거쳐 hematoxylin으로 핵염색을 한 후 증류수 등을 이용하여 수세하였으며, eosin을 이용하여 세포질을 염색하였다. 이후 슬라이드를 봉입 (mounting) 하여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2.4 실험 결과
상기 실험 결과, 8주간의 알코올 유도 후, 실험동물의 간기능 및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혈청 AST, ALT, ALP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증가되었으며, 같은 기간 본 발명의 추출물(100 mg/kg)의 투여로 AST 활성은 30 %, ALP 활성은 19 % 정도 감소시킴으로써 알코올에 의한 간기능 지표의 변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간조직의 염증세포의 증가 또한 현저히 감소시켰다. (표 4 및 도 4 참조).
8주간의 알코올 유도에 의해 유발된 래트의 간손상에서 고량강 에탄올 추출물의 간보호 효능
실험군 농도 (mg/kg) AST
(IU/L, mean±sem)
ALT
(IU/L, mean±sem)
ALP
(IU/L, mean±sem)
T-Protein (g/dl, mean±sem) Albumin (g/dl, mean±sem)
NC - 149 ± 13.1 54 ± 0.4 421 ± 12.2 7.4 ± 0.07 4.3 ± 0.03
PC - 191 ± 2.9 72 ± 4.1 499 ± 9.7 7.1 ± 0.18 4.0 ± 0.12
AOE 100 136 ± 2.8 70 ± 2.4 405 ± 4.5 7.3 ± 0.04 4.4 ± 0.14
Ref. 100 119 ± 2.8 58 ± 0.4 400 ± 9.8 7.4 ± 0.20 4.3 ± 0.10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AOE 추출물 ------------------------------------------- 20 mg
유당 ------------------------------------------------ 100 mg
탈크 -------------------------------------------------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AOE 추출물 ------------------------------------------- 10 mg
옥수수전분 ------------------------------------------ 100 mg
유당 ------------------------------------------------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AOE 추출물 -------------------------------------------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 3 mg
락토오스 -------------------------------------------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AOE 추출물 ------------------------------------------- 10 mg
만니톨 ----------------------------------------------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 2974 mg
Na2HPO4,12H2O ------------------------------------------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AOE 추출물 ------------------------------------------- 20 mg
이성화당 ---------------------------------------------- 10 g
만니톨 ------------------------------------------------- 5 g
정제수 ------------------------------------------------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Claims (8)

  1.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에 가용한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 질환은 자가면역성 간질환, 약물유인성 간질환, 알코올성 간질환, 비알콜성 간질환, 감염성 간질환, 선천성대사성 간질환, 급성간염, 만성간염, 간경변증, 간경화, 지방간 또는 간암인 약학 조성물.
  4.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또는 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6.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의 효과를 나타내는 고량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보조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형태인 건강보조식품.
  8.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고량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또는 식품첨가제.
KR20140028660A 2013-05-22 2014-03-12 고량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401372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792 2013-05-22
KR1020130057792 2013-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288A true KR20140137288A (ko) 2014-12-02

Family

ID=5245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8660A KR20140137288A (ko) 2013-05-22 2014-03-12 고량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72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9661A (zh) * 2015-09-25 2015-11-25 孙茂志 一种治疗便血的中药组合物
KR20170026241A (ko) 2015-08-28 2017-03-08 김병용 경구용 복합제제
KR20170026242A (ko) 2015-08-28 2017-03-08 김병용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241A (ko) 2015-08-28 2017-03-08 김병용 경구용 복합제제
KR20170026242A (ko) 2015-08-28 2017-03-08 김병용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5079661A (zh) * 2015-09-25 2015-11-25 孙茂志 一种治疗便血的中药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146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US8084061B2 (en) Body fat-reducing agent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40090453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예방, 숙취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523663B1 (ko) 우방자, 감초, 생강 및 후박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39548A (ko) 가시오가피를 함유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생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7289A (ko)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WO2010005004A1 (ja)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及び尿酸生成阻害剤
KR100976241B1 (ko) 알코올분해 및 숙취해소용 돌나물 분획물
KR20140137288A (ko) 고량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863524B1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5775922B2 (ja)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及び尿酸生成阻害剤
KR20100088794A (ko) 새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 2형 당뇨병에 의한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합병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92604B1 (ko) 저속으로 추출한 석류주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400368B1 (ko) 돌콩의 열처리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113603B1 (ko)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증진 기능을 가지는 한방복합제재 조성물(dts20, dts21)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75247B1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7520548A (ja) 糖尿病性合併症の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KR20070097868A (ko) 양파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110125958A (ko) 유효성분으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20140026737A (ko) 발효울금 분말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1290264B1 (ko) 당뇨병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KR20130127088A (ko) 택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958975B1 (ko)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12263A1 (ja)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