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780B1 -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780B1
KR102614780B1 KR1020230007677A KR20230007677A KR102614780B1 KR 102614780 B1 KR102614780 B1 KR 102614780B1 KR 1020230007677 A KR1020230007677 A KR 1020230007677A KR 20230007677 A KR20230007677 A KR 20230007677A KR 102614780 B1 KR102614780 B1 KR 102614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liver function
weight
ginseng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7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수
Original Assignee
주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수 filed Critical 주성수
Priority to KR1020230007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4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23L33/145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23P20/17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by dipping in a ba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부작용이 없으면서 알코올의 분해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복용이 용이한,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밀크씨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이 제공된다. 또한,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밀크씨슬 추출물,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강황 추출물, 아연, 및 비타민 B6(pyridoxine)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은 항산화 효능을 가질 뿐 아니라, 간 세포에서 알코올 분해에 관여된 유전자 발현량을 증가시켜 간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HANGOVER AND HEPATIC FUNCTION COMPRISING GINSENG BERRY EXTRACT, DRIED YEAST, AND MILK THISTLE EXTRACT}
개시내용은 인삼열매(Panax ginseng berry), 건조효모, 밀크씨슬(Silybum marianum), 헛개나무 열매(Hovenia dulcis), 강황(Curcuma longa) 복합추출물, 미네랄, 및 비타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숙취(hangover)는 과량의 알코올(에탄올) 섭취 후 발생하는 불쾌한 신체적, 정신적 증상들로 일반적으로는 음주 후 수 시간 내 혈 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되면서 나타나기 시작한다. 숙취의 신체적 증상은 갈증, 졸음, 두통, 자극 민감, 극심한 피로, 땀 등이 나타나며, 정신적으로는 어지러움, 우울증, 불안감 및 과민성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섭취된 알코올은 위와 소장에서 흡수되어 간에서 대사가 일어나 유해한 화합물이 생성되는데, 이와 같은 유해물질들이 간을 손상시킬 뿐 아니라, 음주 후 나타나는 알코올 숙취의 원인을 제공한다.
음주 후 알코올은 에탄올의 농도가 낮을 때는 위장관 또는 간에 존재하는 알코올 탈수소효소 (ADH; alcohol dehydrogenase)와 알데히드 탈수소효소 (ALDH; aldehyde dehydrogenase)의 작용으로 아세트알데히드로 대사된다. 한편, 에탄올의 농도가 높을 때는 소포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좀 에탄올 산화계 (MEOS; Microsome Ethanol Oxidation System)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대사된다. 여기에는 MEOS의 중요한 효소 중 하나인 사이토크롬(cytochrome) P450 2E1(CYP 2E1) 및 카탈레이스(catalase)도 관여한다. 즉, 섭취된 알코올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사이토크롬 P450 2E1(CYP 2E1) 및 카탈레이스(catalase)에 의해 분해되어 아세트알데히드로 대사된다. 알코올 대사에서 과도하게 생성된 아세트알데히드는 아세트알데히드-단백질 부산물과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을 유발시켜 간독성을 유발한다.
아세트알데히드는 다시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aldehyde dehydrogenase)에 의해 아세테이트로 대사된 후 다시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고, 일부는 지방산으로 전환된 후 중성지방의 형태로 간에 축적된다. 따라서, 아세트알데히드의 신속한 분해와 제거가 간 손상을 줄여주는 주요인자로 고려된다.
음주 후 얼굴이 빨갛게 되고 심한 경우 두통, 빈맥, 구역질 등이 나타나는 것은 대개 아세트알데히드를 아세테이트로 대사하는 효소인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의 기능이 다른 사람에 비해 낮아서 술을 마시면 체내의 아세트알데히드가 빠른 속도로 축적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기능이 낮은 사람이 지속적인 음주를 하는 경우 아세트알데히드의 체내 농도가 높아져 알코올성 간질환 유발률이 높아질 수 잇다. 이와 같이 음주로 인한 간의 손상은 아세트알데히드의 작용, 유리산소잔기, 저산소증, 사이토카인 생성 및 지방축적을 통해 발생될 수 있어 숙취개선을 위해 간기능의 개선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기존의 숙취개선제는 한약성분 및 생약성분의 복합제 형태로서 그 약리학적 특성이 명료하지 않다. 간의 해독에 도움을 주는 L-시스테인 및 실리마린제제 등이 식의약품으로 알려져 있으나, 숙취해소음료는 간 기능을 개선하거나 보호하는 효과가 없음이 보고되고 있어 간기능 개선 및 숙취개선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없으면서 알코올의 분해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복용이 용이하고,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밀크씨슬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강황 추출물, 아연, 비타민 B6(pyridoxine)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숙취해소 효과를 제공할 뿐 아니라, 간 세포에서 알코올 분해에 관여된 유전자 발현량을 증가시켜 간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이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시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이 10 μg/ml 이상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이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을 50 μg/ml 이상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에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이 증포 인삼열매를 추출하여 얻은 건조시료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에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인삼열매를 추출용매에 침지하여 얻어진 용매 추출물, 상기 용매 추출물의 여과물, 상기 용매 추출물의 건조물, 상기 용매 추출물의 동결 건조물 및 상기 용매 추출물의 농축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에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이 인삼열매를 열수 추출하여 얻어진 열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혼합물, 상기 혼합물의 건조물, 상기 혼합물의 동결 건조물 또는 상기 혼합물의 농축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에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상기 용매 추출물과 상기 열수추출물이 1:1의 부피비로 혼합된 후, 농축 및 동결 건조되어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추출용매가 에탄올이 부피비 10:1 내지 1:10 범위로 혼합된 혼합용매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70 내지 99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강황 추출물, 미네랄 및 비타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강황 추출물, 미네랄 및 비타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에서 상기 비타민은 비타민 B6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에서 상기 미네랄은 칼슘, 마그네슘, 칼륨, 아연, 이의 산화물, 및 이의 염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은 인삼열매 추출물 5 내지 50 중량%; 건조효모 5 내지 35 중량%; 밀크시슬 추출물 15 내지 50 중량%;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2 내지 20 중량%; 강황 추출물 1 내지 20 중량 %; 산화아연 0.1 내지 1 중량%; 및 비타민 B 0.1 내지 4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이 상기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이 필름제, 음료, 젤리, 환 또는 발포정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인삼열매 추출물을 분석하여 간기능을 개선하고 에탄올 대사를 촉진하여 숙취의 원인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뛰어난 활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간세포 보호,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를 위한 효과적이다. 또한, 이러한 조성물이 건조효모, 밀크시슬 추출물,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강황 추출물, 비타민 및 미네랄 농축액을 적절한 양으로 더 포함하는 경우 간세포 보호,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에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효과적인 알코올 분해 효능 및 간기능개선 효과가 탁월하여,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가 하기 비제한적인 도면을 참조로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농도별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에 대한 금속이온촉매 반응 분석을 통한 단백질 보호활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의 농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의 농도에 따른 HepG2 간세포 독성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이 알코올 대사에 관련된 유전자인 ADH, ALDH, 카탈레이스, CYP2E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RT-qPCR 분석에 사용된 프라이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HepG2 간세포주에 각 10, 50, 100 μg/mL의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 처리시 ADH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분석한 qPCR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HepG2 간세포주에 각 10, 50, 100 μg/mL의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 처리시 ALDH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분석한 qPCR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HepG2 간세포주에 각 10, 50, 100 μg/mL의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 처리시 카탈레이스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분석한 qPCR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HepG2 간세포주에 각 10, 50, 100 μg/mL의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 처리시 CYP2E1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분석한 qPCR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 단독투여시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 단독투여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측정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 및 기타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조성물의 생체 내 투여시 혈중 알코올 대사 촉진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동물실험 프로토콜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 건조효모, 밀크시슬 추출물,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강황 추출물, 산화아연 및 비타민 B6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의 생체 내 투여시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 건조효모, 밀크시슬 추출물,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강황 추출물, 산화아연 및 비타민 B6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의 생체 내 투여시 혈중 알코올 측정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 건조효모, 밀크시슬 추출물,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강황 추출물, 산화아연 및 비타민 B6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의 생체 내 투여시 혈중 알코올의 경시적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고 하는 경우,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 각각의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본 명세서가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항산화효과 및 간대사 관여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여 간기능을 개선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에 대하여 금속이온촉매 반응을 이용한 단백질 보호능과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을 통해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입증했으며, 상기 조성물로 간 세포주 처리시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카탈레이스, 및 CYP2E1 유전자의 발현이 활성화됨을 확인하여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또한, 본 명세서의 조성물이 인삼열매 추출물에 더하여 건조효모, 밀크씨슬 추출물,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강황 추출물, 비타민 B군 및 미네랄을 포함하는 경우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에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알코올 분해 효과 및 세포독성을 고려한 바람직한 조성비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시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삼열매 추출물"은 인삼열매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모두 포괄하여 이른다. 인삼열매 추출물은 인삼열매를 추출용매에 침지하여 얻어진 용매 추출물, 용매 추출물의 여과물, 용매 추출물의 건조물, 용매 추출물의 동결 건조물, 용매 추출물의 농축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인삼열매 추출물은 인삼열매의 용매 추출물에 더하여 인삼열매를 열수 추출하여 얻어진 열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혼합물일 수 있다. 또, 인삼열매 추출물은 이러한 용매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혼합물의 건조물, 혼합물의 동결 건조물 또는 혼합물의 농축물, 또는 용매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여과, 농축,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모두 포함한다.
인삼열매의 용매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은 1:1 내지 1:10, 1:2 내지 1:10, 1:3 내지 1:10, 1:4 내지 1:10, 1:5 내지 1:10, 1:6 내지 1:10, 1:7 내지 1:10, 1:8 내지 1:10, 1:9 내지 1:10, 10:1 내지 1:1, 10:1 내지 2:1, 10:1 내지 3:1, 10:1 내지 4:1, 10:1 내지 5:1, 10:1 내지 6:1, 10:1 내지 7:1, 10:1 내지 8:1, 10:1 내지 9:1 범위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태양에서, 인삼열매 추출물은 증포 인삼열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일 수 있다. "증포"는 약재를 찌고 말리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를 N번씩 반복하는 것을 N증N포라고 칭한다. 증포는 일반적으로 일부 생약의 활성을 강화 또는 약화시키거나 딱딱한 것을 부드럽게 하거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한 가공과정이다. 약재를 물이 든 솥에 넣고 약불로 가열하는 것을 증(蒸)이라 하고, 이를 햇빛에 건조시키는 것을 포(曝)라고 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3 년생 또는 4년생 이상의 인삼열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서로 상이한 년생의 인삼열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년생 인삼열매와 7년생 인삼열매를 1:1, 2:1, 3:1, 4:1, 5:1, 6:1, 7:1, 8:1, 9:1, 10:1, 1:10, 1:9, 1:8, 1:7, 1:6, 1:5, 1:4, 1:3, 1:2, 또는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인삼열매 추출에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비율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익지 않은 4년생 인삼열매를 증포하여 인삼열매 추출물을 얻는 경우 다량의 진세노사이드 및 불포화지방산이 증포 과정에서 축적되기 때문에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인삼열매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매는 물, 저가(C1-C4) 알코올, 아세트산, 발효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가 사용되는 경우, 각 용매의 부피비는 1:0.1 내지 1:10, 1:1 내지 1:10, 1:2 내지 1:10, 1:3 내지 1:10, 1:4 내지 1:10, 1:5 내지 1:10, 1:6 내지 1:10, 1:7 내지 1:10, 1:8 내지 1:10, 1:9 내지 1:10, 0.1:1 내지 10:1, 1:1 내지 10:1, 2:1 내지 10:1, 3:1 내지 10:1, 4:1 내지 10:1, 5:1 내지 10:1, 6:1 내지 10:1, 7:1 내지 10:1, 8:1 내지 10:1, 또는 9:1 내지 10:1의 범위로 혼합된 혼합용매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발효주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 %, 20 %, 30 %, 40 %, 50 %, 바람직하게는 30 % 발효 주정이 사용될 수 있다.
추출용매는 충분한 유효성분의 추출을 위하여, 전체 인삼열매의 20배 부피배, 15배 부피배, 바람직하게는 10부피배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 온도는 실온 내지 추출용매의 비점 범위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매에 의한 추출시간은 5시간 이상, 6시간 이상, 7시간 이상, 8시간 이상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매에 의한 추출횟수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2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별도의 공정으로 인삼열매의 열수 추출이 수행되어, 열수 추출물이 인삼열매의 용매 추출물과 혼합되어 사용된다. 인삼열매의 열수 추출은 약 85 °C 이상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90 °C 이상의 온도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95 °C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열수 추출 시간은 20시간 이상, 22시간 이상, 24시간 이상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수행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태양에서, 인삼열매 추출물은 인삼열매의 용매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추출물로 얻어질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추출 및/또는 분획 후, 당업계에 공지된 여과, 농축, 또는 동결 건조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추출물은 상기와 같이 공지된 방법으로 건조 또는 농축된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혼합 추출물은 고형물로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인삼열매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추출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침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가압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전기적 추출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건조효모"는 활성 건조효모와 불활성 건조효모를 모두 포함하며, 상업적으로 입수하거나 통상의 공지된 수단으로 식품등급으로 정제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활성 건조효모는 빵이나 크래커 등의 제조에 쓰이며, 30 내지 40 ℃정도의 건조공기로 건조하여 수분함량을 약 8 % 이하로 한 것이다. 과립장, 단간상, 분말상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약용 건조효모, 식용 건조효모, 사료용 건조효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용 건조효모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용 건조효모는 효모균체에 함유되고 있는 비타민, 아미노산, 무기질 등의 이용을 주목적으로 하며, 식용 건조효모 또는 사료용 건조효모는 주로 균체단백질의 이용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을 이른다.
본 명세서에서 "밀크씨슬"은 카르두스 마리아누스 또는 흰무늬엉겅퀴라고도 불리며, 간에서 독성물질과 불필요한 섬유질을 제거하여 간 건강을 개선한다. 밀크씨슬의 주성분인 실리마린은 항산화 작용으로 간세포에 대한 보호와 해독 작용을 갖는다. 또한, 밀크씨슬은 항 바이러스 및 항염 작용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 "밀크씨슬 추출물"은 밀크씨슬 추출물과 밀크씨슬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모두 포함하여 이른다. 밀크씨슬 추출물은 상업적으로 입수하거나 통상의 공지된 수단으로 밀크씨슬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밀크씨슬 씨 원료의 선별 및 파쇄, 파쇄된 원료를 체로 여과, 곡물주정으로 추출 및 여과, 및 여과물을 잔사와 추출용액으로 분리, 추출용액 냉각 후 진공 농축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시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산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일 실시태양에서 인삼열매 추출물이 건조시료 형태로 얻어진 경우, 혼합 조성물에 5 μg/ml 이상, 10 μg/ml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μg/ml, 예를 들면, 100 μg/ml 이상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1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유해 라디칼에 대한 소거가 이루어지며, 1000 μg/mL 농도까지 농도가 높아질수록 유해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이 증가한다. 또한, 1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간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며, 특히 5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알코올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 ADH, ALDH, 카탈레이스, CYP2E1의 발현을 유의하게 촉진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인삼열매 추출물은 사용형태 및 목적, 증상의 종류 및 경중에 따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 10 내지 50 중량%, 20 내지 50중량%, 30 내지 50 중량%, 5 내지 45 중량%, 10 내지 45 중량%, 20 내지 45중량%, 30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태양에서, 건조효모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 내지 35 중량%, 5 내지 35 중량%, 6 내지 35 중량%, 7 내지 35 중량%, 8 내지 35 중량%, 9 내지 35 중량%, 10 내지 35 중량%, 16 내지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태양에서, 밀크씨슬 추출물은 사용형태 및 목적, 증상의 종류 및 경중에 따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 15 내지 50 중량%, 15 내지 45 중량%, 15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태양에서, 활성산소제거 및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효과를 고려하여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시슬 추출물의 혼합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내지 99 중량%, 70 중량% 내지 99 중량%, 75 중량%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75 중량% 내지 9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삼열매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건조효모 외에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강황 추출물, 비타민 및 미네랄 농축액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삼열매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건조효모,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강황 추출물, 비타민 및 미네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헛개나무 열매는 비타민B 복합체, 16종의 아미노산, 식물성 단백질, RNA, DNA, Co-enzymeA, 퀘르세틴을 함유하여 알코올성 간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명세서에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헛개나무 열매를 추출용매로 추출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의 정제물 또는 용매 분획하여 수득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상업적으로 입수하거나 통상의 공지된 수단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는 아임계 및 초임계 추출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추출물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또는 분획 후에 여과, 농축 또는 동결 건조를 추가로 수행하여 얻어질 수 있다. 헛개나무 열매는 야생에서 채취한 것 또는 재배된 것일 수 있으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제조에 있어서 건조되거나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 가능하다.
조성물 내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2 내지 2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강황은 위염증 억제와 속쓰림을 해소하여 음주 후 메스꺼움과 더부룩한 속 진정에 도움을 준다. 본 명세서에서 강황 추출물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방법으로 추출된 것이거나, 시중에서 구입한 것으로 식품등급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강황 추출물은 분말, 환, 액상, 분말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조성물 내의 강황 추출물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미네랄"은 미네랄 고형분, 미네랄 분말, 미네랄 환 또는 미네랄 농축액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나트륨(Na), 칼슘(Ca), 인(P), 마그네슘(Mg), 칼륨(K), 황(S), 염소(Cl)의 7가지 필수 미네랄군 또는 망간(Mn), 철(Fe), 구리(Cu), 요오드(I), 아연(Zn), 셀레늄(Se), 크롬(Cr) 등으로 구성된 7개의 미량 미네랄군을 포함한다. 미네랄은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한, 이의 변형된 형태, 예를 들면, 산화물, 염화물, 이온화물 등으로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미네랄은 칼슘, 마그네슘, 칼륨, 아연, 이들의 산화물, 및 이들의 염화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미네랄은 체내 다양한 생화학 반응을 촉진하며, 세포활동에 관여하는 효소나 호르몬의 구성요소이자, 뼈나 치아 등의 구성요소이다. 미네랄은 체액의 산/알칼리 균형을 유지시켜준다.
아연은 모든 체세포 내에 있으며 단백질 합성과 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영양소로, 알코올 탈수소의 효소활성을 증진시켜 알코올의 분해를 돕는 역할을 한다. 칼슘은 체내에서 대부분 인산칼슘의 형태로 뼈와 이빨의 성분을 이룬다. 혈장에 있는 칼슘은 신경자극 전달, 혈액응고, 근육수축 등의 신체활동을 조절한다. 마그네슘은 인체 내 효소반응에 관여한다. 칼륨은 주로 세포내 체액에서 삼투압 유지 및 pH균형 유지 역할을 하며, 신체 내 생리작용에 관여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미네랄은 바람직하게는 아연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산화아연 또는 글루콘산아연일 수 있다.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으로서 미네랄의 함량은 사용 형태 및 목적, 환자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미네랄의 최대 함량은 1일 최대섭취량을 고려하여 5 중량%를 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비타민 B6"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아미노전이효소(aminotransferase), 탈탄산효소(decarboxylase), 입체이성질효소(racemase) 등 100여 종의 아미노산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조효소 기능을 하는 피리독신 화합물을 이른다.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으로서 비타민 B6의 함량은 사용 형태 및 목적, 환자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 0.1 내지 5 중량%, 1 내지 5 중량%, 0.1 내지 4 중량%, 1 내지 4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타민 B6의 최대함량은 1일 최대섭취량을 고려하여 최대 5 중량%를 넘지 않는다.
복합물이 간기능을 향상시켜 체내 알코올의 신속한 분해와 알코올대사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 제거효과가 우수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을 위한 조성물의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의약조성물 뿐 아니라, 통상적인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보조 식품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의약품, 유제품, 발효제품 및 식품첨가물, 건강기능식품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투여 경로 및 제제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예컨대, 경구, 혀밑, 구강내, 직장, 정맥 주사, 근육 주사 또는 피하 주사 등에 의해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형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투여 경로에 따라 선택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과의 혼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정제, 캡슐, 액제, 현탁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에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검, 인산칼슘, 알긴산염, 트래거캔스 고무,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시럽, 메틸셀룰로오스, 메틸 및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또는 광유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구투여용 고형제제의 예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필름제, 구강붕해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시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또는 이로부터 제조된 분획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당류,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용 액상제제의 예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포함되며, 통상적으로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예로는 멸균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제제, 좌제, 경피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 등의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단독투여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투여방식과 표준 약제학적 관행을 고려하여 선택된 담체와 혼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태양은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시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인삼열매 추출물은 인삼열매 추출물과 인삼열매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다.
건조효모는 활성 건조효모와 불활성 건조효모를 모두 포함하며,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다.
밀크시슬 추출물은 밀크씨슬 추출물과 밀크씨슬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다.
식품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각종 식품용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식품의 예로,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기능성 식품 등을 들 수 있다. 추가로, 식품은 특수영양식품 (예를 들어,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 (예를 들어,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과자류 (예를 들어, 스넥류), 기타 가공식품, 음료, 건강기능음료 (예를 들어, 숙취해소 음료 등),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첨가제 또는 음료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식품은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은 음료, 젤리, 환 또는 발포정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식품 내의 인삼열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함량은 식품사용 형태, 목적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001 내지 50 중량%, 0.1 내지 50 중량%, 1 내지 50 중량%, 5 내지 50 중량% 등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태양에서, 알코올 대사 활성화 작용 및/또는 간 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시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1) 인삼열매에 물, 저가 알코올, 아세트산, 발효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여 용매 추출물을 얻는 단계; 2) 인삼열매를 약 90 °C 이상의 온도에서 열수 추출 및 건조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는 단계; 3) 용매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얻는 단계; 4) 혼합 추출물에서 인삼열매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5)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씨슬 추출물을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단계는 1회 수행되거나, 2회 이상, 예를 들어, 2회 또는 3회 반복 수행되어 각 추출 단계에서 얻어진 여액을 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인삼열매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얻는 단계; 이를 농축하여 추출물 농축액 또는 추출물의 건조물을 조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수단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냉침법, 가열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가압추출법, 환류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전기적 추출법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고형분 중량"은 추출물 또는 분획물 중 용매 성분을 제거하고 남은 성분의 중량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시험물질 준비
본 발명의 시료인 인삼열매는 4년근 인삼으로부터 수확하여 세척, 건조 및 증포한 것(4증 4포, 7증 7포) 을 시작 물질로 사용하였으며, 인삼열매 원료의 표준화를 위해 과육 내 씨앗이 아물기 전 초록색을 띤 단단한 열매만을 채취하였다. 시험 원료 확보를 위해 4증포 인삼열매와 7증포 인삼열매를 동량으로 혼합한 뒤 10 배수 용량의 30% 발효 주정(Daehan Ethanol Life, Korea)에 침지하여 상온에서 6 시간씩 2 회 추출하였고, 별도의 공정으로 열수 추출(95 °C, 24시간) 후 건조하여 에탄올추출물:열수 추출물=1:1의 부피비로 혼합하였다. 혼합추출물은 여과지(Hyundai micro No.20, Hyundai micro, Korea)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과 동결 건조를 수행하여 건조 시료로서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 수율 32%)을 얻었다. 또한, 인삼뿌리와 증포인삼열매(SGB)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상대비교하기 위해 재래시장에서 판매하는 수삼(SGR), 백삼(WGR), 홍삼(RGR) 및 홍삼분(JRGR, 정관장)을 사용하였으며, 각 원물은 30% 에탄올로 인삼열매 추출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였으며,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 단독 투여 후 숙취해소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SGB 투여군과 양성대조군으로서 효모추출물 및 식물혼합농축액(헛개나무 열매, 산사나무 열매 및 칡꽃)을 구성성분으로 하는 복합물질(SQH) 투여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 외 6종(밀크씨슬, 헛개나무, 강황, 건조효모, 아연, 비타민 B6)은 식품등급으로 전문업체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여,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헛개나무추출물, 강황추출물, 건조효모, 아연 및 비타민B6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제조하였다. 미처치 정상군(Ctrl), 식염수 처치군(ET), 양성대조군(DNS), SGB 포함 복합군(C1), 및 SGB 제외 복합군(NC1)을 설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2.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 (SGB)에 포함된 진세노이드 함량 분석
각 시료내 함유된 진세노사이드와 함량수준을 확인하기위해 미국,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사의 HPLC(UltiMate 3000 HPLC syste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칼럼은 일본, 도쿄의 YMC 사의 YMC-Triart C18 column (250 Х 4.6 mm, S-5 μm, 12 nm)을 사용하였고, 칼럼 온도는 30 °C로 설정하였고, 이동상은 물 (A)과 아세토니트릴 (B)을 사용하여 유속 1.6 mL/min, UV 203 nm에서 검출하였다. 이동상의 조건은 국가기술표준원(인삼 및 인삼제품-진세노사이드 함량 측정-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 표준번호 KS H 2153)에 명시된 조건을 사용하였으며, 용매 조건은 표 1과 같았고, 진세노사이드 표준물질 10종 (Rg1, Re, Rb1, Rc, Rb2, Rd, F4, Rg3(S), Rg3(R), Rg5)은 2000 μg/mL부터 1/2씩 단계적 희석하여 검량선(calibration curve)를 작성하고 이에 의거하여 정성·정량 분석하였다. 추출한 시료는 진공원심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 후 10 mg/mL 농도가 되도록 3차 증류수로 용해 후 0.22 μm 주사기 필터를 이용해 여과한 후 준비된 시료 10 μL를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시간 A, 물, % B, 아세토니트릴, %
0 80 20
10 80 20
40 68 32
55 50 50
70 35 65
72 10 90
82 10 90
84 80 20
90 80 20
본 명세서의 증포 인삼열매(SGB) 및 종래의 인삼뿌리(수삼(SGR), 백상(WGR), 홍삼(RGR), 정관장 홍삼분(JRGR))에 함유된 활성물질인 진세노사이드 함량 분석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증포 인삼열매에 함유된 주요 진세노사이드 14종의 총 함량은 149.5 mg/g으로서 수삼(SGR), 백상(WGR), 홍삼(RGR), 및 정관장 홍삼분(JRGR)에 비해 각각 14.1, 5.6, 16.3, 18.8배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인삼뿌리와 비교했을 때 증포 인삼열매가 더 높은 인삼 고유의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증포 인삼열매에서 간기능보호효과를 나타내는 Rb1, Rc, Rg3, 간세포증식 효과를 나타내는 Rb2 및 항스트레스 및 항피로효과를 나타내는 Rg1, Rg5와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는 Re, Rd가 월등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이 간기능개선 및 숙취해소에 높은 활성을 나타낼 것임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mg/g) Rg1 Re Rb1 Rc Rb2 F1 Rd F4 Rg3
(S)
Rg3
(R)
Rk1 Rg5 CK Rh2 합계
SGR 1.0 1.6 3.9 1.7 0.6 0.0 0.3 0.7 1.6 3.0 0.3 0.6 - - 15.1
WGR 4.0 3.2 10.6 3.8 1.9 0.1 1.1 1.1 3.7 1.6 0.9 1.3 - - 33.2
RGR 1.7 1.3 4.9 1.8 0.8 0.1 0.3 0.2 0.3 1.3 - 0.2 - - 12.9
JRGR 1.2 0.8 3.5 1.6 0.8 0.1 0.4 0.3 1.0 1.9 0.4 0.5 - - 12.4
SGB 3.2 40.4 13.4 9.4 13.3 1.8 36.6 13.7 7.6 4.4 2.4 3.0 0.3 0.1 149.5
3. 항산화 효능 (활성산소 제거활성) 시험
시험물질(SGB)의 항산화 효능을 금속이온촉매 반응을 이용한 단백질 보호능과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단백질 보호능은 활성산소종(ROS)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단백질이나 효소를 보호하는 능력을 일컬으며, 금속이온촉매반응을 이용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 목적 단백질로서 우혈청 알부민(BSA)을 0.5 μg/mL 농도가 되도록 하고, 1차 반응으로서 Cu2+(100 μM)와 H2O2(2.5 mM)를 첨가하여 강력한 활성산소종인 히드록시 라디칼을 생성하고 우혈청 알부민과 각 농도 별 SGB 시험용액(1, 5, 10, 50, 100 μg/mL)을 함께 혼합 후 2차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종료된 각 그룹은 10% 소디움 디독실 설페이트(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겔에 전기 영동하여 시료에 의한 목적 단백질의 보호 수준을 확인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서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아스코르브산 100 μM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은 (SGB)는 5 μg에서부터 높은 활성을 나타내 완전한 수준의 단백질 보호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양성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 100 μM에 필적할 만한 수준의 우수한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라디칼 소거능을 분석하기 위해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항산화 활성실험 방법을 사용하였다. 라디칼로는 화학적으로 안정화된 수용성 지유라디칼인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DPPH)을 이용하였다. DPPH 라디칼은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에서 매우 안정하며 항산화활성이 있는 물질과 만나면 전자를 내어주면서 소멸한다. 이 때문에 용액의 색이 처음 보라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화하며, 이 때문에 산화 활성을 육안으로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라디칼은 DPPH 0.3 mM을 함유한 메탄올 용액을 제조하여 100 μg/mL 시험물질을 혼합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반응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실험물질 간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와 같이 1, 10, 100 및 1000 μg/mL의 농도로 SGB 용액을 처리했을 때 라디칼이 농도 의존적인 감소를 나타냈으며, 10 μg/mL 이상의 SGB 농도에서 라디칼이 농도 의존성은 더욱 두드러졌으며, 효과적인 라디칼을 소거가 확인되었다. 10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DPPH 라디칼이 50% 이상 감소하였으며, 1000 μg/mL 농도에서는 SGB 용액이 아스코르브산 100 μM과 유사한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항산화 효능 시험 결과로부터, 음주 후 에탄올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을 SGB 추출물이 효과적으로 제거할 것임을 확인하였으며, 체내 유입 독성물질에 대항하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물세포실험
세포주 준비
본 실험에서는 인간 간암세포주 HepG2와 마우스 대식세포주 (Raw264.7)(Korean Cell Line Bank, Republic of Korea)를 사용하였다. 각 세포주는 10% 태아 소 혈청을 포함한 알파 최소 필수 배지(뉴클레오시드가 제거된 αMEM) (미국, 유타주, 하이클론사(Hyclone)를 사용하여 37 ℃, 5 % CO2로 조정된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90% 성장이 되었을 때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배양횟수 (passage)가 20이 넘지 않도록 조절하였다. 배양된 세포는 0.25% 트립신-EDTA로 부유시킨 후 혈구계산기로 세포 수를 산정하였다. 세포독성 시험에서는 배양된 세포를 96 well plate에 1.0×104 cells/well이 되도록 하였고 유전자발현 시험에서는 6 well plate에 1.5×106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하여 2시간 선 배양 후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4. 세포독성 시험
시료에 의한 간세포 독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막 손상에 따라 배지로 유출된 젖산 탈수소효소 (LDH; lactate dehydrogenase)량을 측정하는 LDH 방출 분석법을 미국, 프로메가사의 사이톡스 96 키트(CytoTox 96 Kit)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세포독성은 HepG2 세포주 (1.0×104 cells/96well)에 각 시료(15-1000 μg/mL)로 처치 후 37 ℃,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과산화수소수(H2O2)를 이용하여 상대비교 하였다. LDH 측정을 위해 배양액을 새로운 96-well plate에 50 μL 분주하고, 동량의 LDH 시약을 50 μL씩 첨가하여 상온에서 30 분간 반응시키고, 반응 종료와 함께 반응 종결제 동량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킨 후, 미국, 몰큘러 디바이스사(Molecular Devices)의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측정된 흡광도 상대수치를 대조군(무처치군) 대비 세포독성 (%)으로 표시하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1 μg/mL, 10 μg/mL 및 100 μg/mL 농도의 SGB 처리 시 간세포주에서 유의할만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1000 μg/mL의 SGB 처리 시 약 63%의 세포독성이 보였으며, 이는 H2O2 양성대조군보다도 낮은 수치이다.
5.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PCR 분석)을 통한 알코올 대사 유전자 발현 활성 시험
간세포에서 SGB가 알코올대사에 관련된 유전자(ADH, ALDH, 카탈레이스, CYP2E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HepG2 간세포주에 각각 10, 50, 100 μg/mL의 SGB 처리 후 ADH, ALDH, 카탈레이스, CYP2E1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정량 PCR (qPCR)을 통해 분석하였다.
HepG2 세포주를 6 well plate에 1.5×106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하여 2시간 선 배양 후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10, 50, 100 μg/mL의 SGB 처리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세포로부터 트리졸 시약 (미국, 인비트로젠사(Invitrogen))를 이용하여 총 RNA를 추출하였다. 즉, 트리졸 시약 1 mL를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5 분 동안 방치 후 클로로포름 200 μL를 첨가하여 13500 rpm에서 15 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투명한 상층액(500 μL)을 취하여 새로운 튜브로 옮기고 동량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첨가한 후 13500 rpm에서 10 분 동안 원심분리 하여 RNA를 침강시켰다. RNA 침전물을 디에틸 폴리카르보네이트(DEPC) (미국, 시그마 알드리치사 (Sigma-Aldrich))으로 처리한 증류수로 희석한 70 % 에탄올 0.75 mL로 세척한 후 공기 중에서 건조시켜 역전사 샘플로 사용하였다. 1차 cDNA 합성은 추출된 총 RNA 1 μg을 사용하여 수행되었고, 임프롬-II 역전사 시스템(Improm-IITM) (프로메가사(Promega))과 올리고(dT)(oligo(dT))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역전사 반응을 수행하였다. 정량PCR 분석은 로터-진 6000(Rotor-Gene® 6000) (미국, 퀴아젠사(Qiagen))을 사용하였으며,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ADH, ALDH, CYP2E1 및 카탈레이스(catalase) 유전자의 발현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고 β-액틴 정규화시킨 상대 농도 수치를 비교분석 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는 도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5 내지 8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증포 인삼용액 추출물(SGB)은 4 종의 유전자 발현에 모두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1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SGB 처리시 알코올과 같은 독소의 유입 없이도 간세포의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5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4 종의 유전자 ADH, ALDH, 카탈레이스, CYP2E1 유전자 모두의 발현을 눈에 띄게 촉진하였다.
6. 일산화질소(NO) 생성 억제 시험
일산화질소 생성은 일산화질소의 대사물인 아질산염(nitrite)의 양을 측정하는 Griess 시약 (미국, 미주리주, 시그마-알드리치사(Sigma-Aldrich))을 이용하였다. 일산화질소 측정은 96 well plate에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분주하고 SGB (1, 10, 100 μg/mL) 선 처리 2 시간 후에 지질다당류 (LPS; lipopolysaccharide, 1 μg/mL)을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배양액과 동량의 Griess 시약을 섞고 10 분간 반응 후 30 분 내 분광광도계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곡선을 구하기 위해 아질산 나트륨 (프로메가사 (Promega))를 100 μM로부터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7. 증포인삼열매 추출물(SGB)의 혈중 알코올 대사 촉진 시험
실험동물은 생후 10주령 Balb/c 수컷 마우스(23~25g)를 ㈜중앙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여 1주일 동안 사육환경에 적응시킨 후 무작위로 5마리씩 4군으로 나누었다. 구축된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SGB 단독 투여시 혈중 알코올 대사 촉진효과 시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SGB 단독투여에 의한 간기능개선 및 숙취해소 효능을 관찰하기 위해 정상군(Ctrl)에는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았으며, 대조군으로 효모추출물+식물혼합농축액(헛개나무 열매, 산사나무 열매 및 칡꽃)을 구성성분으로 하는 복합물질(SQH) 100 mg/kg을 투여하였고, 시험군으로 각각 50 mg/kg 및 100 mg/kg의 SGB를 투여하여 효능을 확인하였다. 4 일 동안 매일 동일한 시간에 설정된 용량으로 시험물질을 경구투여 하였으며, 에탄올군은 매일 식염수를 2 g/kg을 동 시간대에 경구투여 하였다. 투여기간 5 일 차인 종료일에 정상적인 각 시료를 경구 투여하고 120 분후 정상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 에탄올 5 g/kg을 투여한 후 90 분 경과 시점 흡입마취-채혈하였고 이후 이상장기 유무를 관찰하였다. 사육실의 온도는 23±3°C, 상대습도 55±15%, 환기횟수 10 내지 20회/hr, 조명 주기는 12 시간 간격으로 하였으며 조도는 150 내지 300 Lux로 조절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제한없이 공급하였다.
혈중 에탄올과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측정을 위해 실험동물로부터 확보한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혈중 에탄올 측정을 독일, 알-바이오팜사 (R-BIOPHARM, Cat. No. 10176290035)의 에탄올 결정 키트(Ethanol determination kit)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을 약간 변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이인산칼륨 완충액 (pH 9.0) 7.5 mL에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NAD;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12 mg을 녹인 후 7 개의 마이크로 원심분리기 튜브에 1 mL씩 분주하여 준비하였다. 그리고 3차 증류수(Blank)와 혈장분석이 필요한 튜브에 50 μL씩 주입하고 3 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켜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E1). 이후 각 튜브에 7000 U의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50 μL를 가하여 효소반응을 시작하였으며 10 분간 반응시킨 후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E2). 측정 결과는 아래의 식과 같이 도출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23007158134-pat00001
에탄올 투여 후 채취된 혈액내 포함된 에탄올 농도를 측정한 결과 SGB 50, 100 mg/kg 투여군 모두에서 에탄올 단독 처리군 대비 유의한 수준의 혈중 에탄올 농도 감소가 관찰되었다.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또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측정을 독일, 알-바이오팜사 (R-BIOPHARM Cat. No. 10668613035)의 아세트알데히드 결정 키트(Acetaldehyde determination kit)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하였다. 우선, 이인산칼륨 완충액 (pH 9.0) 7.5 mL에 NAD 2.4 mg을 녹인 후 7개의 마이크로 원심분리기 튜브에 1 mL씩 분주하여 준비한 후, 3차 증류수(Blank)와 혈장분석이 필요한 튜브에 50 μL씩 주입하고 3 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켜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1). 이후 각 튜브에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4 U) 50 μL를 가하여 10분간 반응시킨 후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A2)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아래의 식과 같이 도출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23007158134-pat00002
에탄올 투여 후 채취된 혈액내 포함된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한 결과 SGB 50, 100 mg/kg 투여군 모두에서 에탄올 단독 처리군 대비 유의한 수준의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특히 SGB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정상 수준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나타내 매우 우수한 대사 촉진 활성을 나타내었다.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8.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 및 기타 성분들의 조성에 따른 효과 확인
최적의 SGB와 건조효모, 밀크씨슬 추출물, 헛개나무 열매추출물, 강황 추출물, 산화아연, 비타민 B6의 6종의 혼합조성물 비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5종류로 구성하였다. 즉, 주요활성물질로 작용하는 성분(인삼열매 추출물)을 최대 50 중량%가 넘지 않고 나머지 구성성분비와의 합이 100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간 기능을 돕는 기능성 원료인 밀크씨슬 추출물의 배합량을 15 내지 50 중량%까지 증량하여 본 조성물에서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자화합물인 산화아연 및 비타민 B6는 1일 최대섭취량을 고려하여 최대 5 중량%를 넘지 않도록 제한하였다. 강황은 보조작용제로서 최대 20 중량%를 넘지 않도록 하였다.
이들 조성물에 대하여 활성산소 제거시험(DPPH 라디칼 소거시험),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시험 및 세포독성 시험을 앞선 설명한 실험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1 내지 C4군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활성산소제거 및 일산화질소 생성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독성시험 결과(간세포 독성)까지 고려했을 때는 C1과 C2군의 성분배합이 유리하였다.
구성물질 배합1(C1) 배합2(C2) 배합3(C3) 배합4(C4) 배합5(C5)
인삼열매 45 22.5 11.25 5.62 2.81
건조효모 35 17.5 8.75 4.35 2.17
밀크씨슬 15 35 40 45 50
헛개나무열매 2 10 15 20 20
산화아연 1 1 1 1 1
강황 1 10 20 20 20
비타민b6 1 4 4 4 4
성분(중량%) 100 100 100 100 100
DPPH 항산화활성 IC50 (μg/mL) Raw264.7에서 일산화질소 억제 활성 IC50 (μg/mL) HepG2에서 세포독성 CC50 (μg/mL)
C1 5.59 ± 0.16*** 7.88 ± 2.54*** 156 ± 18.06
C2 10.42 ± 0.32*** 31.58 ± 2.47*** 125 ± 22.17
C3 75.16 ± 1.24** 70.02 ± 2.84*** 80.72 ± 14.55
C4 88.43 ± 3.58** 110.25 ± 7.07* 72.52 ± 20.25
C5 105.27 ± 6.89* 155.11 ± 15.72 50.64 ± 11.75
(***p<0.001, **p<0.01, *p<0.05)
9.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 및 기타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조성물 투여시 혈중 알코올 대사 촉진효과 시험
실험예 7과 동일한 경로로 실험동물을 준비하고, 본 발명의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 및 기타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조성물의 생체 내 투여시 혈중 알코올 대사 촉진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혼합조성물로서는 실험예 8의 조성물 (C1군)을 사용하였다. 대조 시험물질로는 조성물 (C1)에서 인삼열매 추출물을 제외한 조성물 (NC1군), 식염수 (ET군), 양성대조군(삼두해정탕)(DNS)을 사용하였고, 군별로 각 시험물질을 투여하였다. 인삼열매 추출물을 제외한 조성물 (NC1)은 인삼열매 추출물 외의 다른 구성성분은 C1과 동일함량을 유지하되 인삼열매 추출물 함량(45%) 대신 옥수수전분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4 일 동안 매일 동일한 시간에 설정된 용량으로 시험물질 (C1군, NC1군, DNS군) 또는 식염수(미처치 정상군, ET군)를 동 시간대에 경구투여 하였다. 투여기간 5 일 차인 종료일에 정상적인 각 시료 또는 식염수를 경구 투여하고 120 분후 정상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 20 % 에탄올2 g/kg을 투여한 후 90 분 경과 시점 흡입마취 후 채혈하였고 이후 이상장기 유무를 관찰하였다. 시험 프로토콜을 도 11에 간략히 나타내었다.
본 실험은 4일간 각 시험물질 투여 후 5일차 마지막날 시험물질 투여 2시간 후 채취된 혈액으로부터 혈액에 존재하는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수준을 측정 비교하였다.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측정방법은 앞선 실시예 7에 사용된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SGB가 포함된 군(C1군)에서 유의한 수준(p<0.001)의 혈중 에탄올 감소가 관찰되었다. 또,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혈중 아세트알데히드도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되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에탄올이 효과적으로 분해됨을 확인하였다.
10. 증포 인삼열매 추출물(SGB) 및 기타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조성물 투여시 혈중 에탄올의 경시적 변화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시 혈중 에탄올 농도의 경시적 변화는 SD (Spague Dawley) 랫드를 이용하여 에탄올(20%) 투여 2시간 전에 C1, NC1, ET 시험물질을 투여한 후 혈중 에탄올을 측정하였다.
에탄올 투여 후 각 시험물질의 에탄올 감소 수준을 경시적(0, 30, 60, 120, 189, 240 분)으로 분석하기 위해 각 시간별 채혈이 용이한 SD 랫드를 사용하였으며, 측정 방법은 마우스 혈중 에탄올 측정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에탄올 투여 후 혈중 에탄올 농도는 60 분에서 최대치를 나타났으며, 240 분에서 대부분의 에탄올이 제거되는 양상을 보였다. 도 14에서와 같이 SGB 및 기타 성분이 포함된 조성물군(C1)에서 매우 유효한 에탄올 감소 양상이 나타났을 뿐 아니라, 240분 경과 시 최저치를 나타내 매우 효과적인 에탄올 분해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SGB를 포함하는 복합물이 SGB 불포함 복합물에 비해 에탄올 분해에 있어서 우수한 효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이며, SGB가 에탄올 분해에 유효한 효과를 가지는 물질임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인삼열매 추출물 20 내지 50 중량%,
    건조효모 10 내지 35 중량%,
    밀크시슬 추출물 15 내지 45 중량%, 및
    강황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진세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이 조성물 중 10 μg/ml 이상의 농도로 포함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증포 인삼열매를 추출하여 얻은 건조시료인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인삼열매를 추출용매에 침지하여 얻어진 용매 추출물, 상기 용매 추출물의 여과물, 상기 용매 추출물의 건조물, 상기 용매 추출물의 동결 건조물 및 상기 용매 추출물의 농축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인삼열매를 열수 추출하여 얻어진 열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혼합물, 상기 혼합물의 건조물, 상기 혼합물의 동결 건조물 또는 상기 혼합물의 농축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상기 용매 추출물과 상기 열수추출물이 1:1의 부피비로 혼합된 후, 농축 및 동결 건조되어 수득된 것인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에탄올이 부피비 10:1 내지 1:10 범위로 혼합된 혼합용매인 것인,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밀크시슬 추출물, 및 강황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70 내지 99 중량%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미네랄 및 비타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미네랄 및 비타민을 추가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은 비타민 B6인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은 칼슘, 마그네슘, 칼륨, 아연, 이의 산화물, 및 이의 염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삼열매 추출물 20 내지 50 중량%; 건조효모 15 내지 35 중량%; 밀크시슬 추출물 16 내지 45 중량%;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2 내지 10 중량%; 강황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 산화아연 0.1 내지 1 중량%; 및 비타민 B 0.1 내지 4 중량%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15. 제1항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필름제, 음료, 젤리, 환 또는 발포정인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230007677A 2023-01-18 2023-01-18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KR102614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677A KR102614780B1 (ko) 2023-01-18 2023-01-18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677A KR102614780B1 (ko) 2023-01-18 2023-01-18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780B1 true KR102614780B1 (ko) 2023-12-15

Family

ID=8912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7677A KR102614780B1 (ko) 2023-01-18 2023-01-18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7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6025A (ko) * 2013-08-02 2015-02-11 주식회사 한국지네틱팜 증포인삼열매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6309A (ko) * 2014-04-07 2015-10-15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 숙취개선 및 간보호용 조성물
KR101796924B1 (ko) * 2017-02-13 2017-11-13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80046801A (ko)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6025A (ko) * 2013-08-02 2015-02-11 주식회사 한국지네틱팜 증포인삼열매의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6309A (ko) * 2014-04-07 2015-10-15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 숙취개선 및 간보호용 조성물
KR20180046801A (ko)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1796924B1 (ko) * 2017-02-13 2017-11-13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뉴트리어스 밀크시슬 530 밀크씨슬 실리마린추천 간에좋은영양제 꾸준히 챙겨먹기.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22.11.15., [2023.04.23. 검색],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imazinclara/222929629600> 1부.* *
작물 베이스로 밀크시슬부작용 줄이다.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22.12.08., [2023.04.23. 검색],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sm0422kr/222949989816>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854685B1 (ko)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홍삼 농축액
KR20120003693A (ko)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60007728A (ko) 마늘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WO2016190566A2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080018676A (ko) 프로폴리스와 한약재를 배합한 혈당저하 식품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976241B1 (ko) 알코올분해 및 숙취해소용 돌나물 분획물
KR101253658B1 (ko) 팽화 발효 홍삼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616811B1 (ko) 짚신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40026748A (ko) 인삼 및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20120044807A (ko)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614780B1 (ko)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KR20100003045A (ko) 천일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KR101556443B1 (ko) 잣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조성물
KR101552970B1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 또는 간 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1034986B1 (ko)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433586B1 (ko) 숙취 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080039135A (ko) 가시오가피를 포함하는 혈압강하용 음료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20140066317A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표고버섯 균사체 흑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JP2006016340A (ja) ザクロ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血中尿酸値低下剤
KR101817053B1 (ko)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비만 또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2591467B1 (ko) 황칠 발효 추출물 및 당유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507869B1 (ko) 증포 발효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05305B1 (ko)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22845B1 (ko) 홍삼 추출물의 감식초 반응 혼합물을 함유한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