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924B1 -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924B1
KR101796924B1 KR1020170019400A KR20170019400A KR101796924B1 KR 101796924 B1 KR101796924 B1 KR 101796924B1 KR 1020170019400 A KR1020170019400 A KR 1020170019400A KR 20170019400 A KR20170019400 A KR 20170019400A KR 101796924 B1 KR101796924 B1 KR 101796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inseng fruit
fruit extract
ginse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8879A (ko
Inventor
박찬웅
김수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019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9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18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활성 및 간내 콜레스테롤 농도 증가를 억제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hepatic function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s}
본 발명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활성 및 간내 콜레스테롤 농도 증가를 억제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식생활의 변화와 더불어 과도한 스트레스, 음주, 흡연 및 환경 오염 등으로 인해 간기능의 손상 및 간질환의 발병 가능성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간기능 손상 및 간질환에는 예를 들어 급만성 간염, 간경화증, 중독성 간질환 및 알콜지방간 등의 다양한 질환이 있으나, 이중에서도 특히 최근에 이르러 심각한 사회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는 것은 전염성이 강할 뿐 아니라 만성간염, 간경변, 간암 등으로의 이환율이 높은 B형 바이러스성 간염이다. 더구나 이러한 간염등의 간질환은 종종 심각한 간기능 손상 및 합병증을 초래하기 때문에 집단적인 사회생활을 하는 현대인들에게는 큰 위협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B형 간염을 포함한 급만성, 활동성 간염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면서 손상된 간기능을 회복시킴으로써 간염성 질환을 재발이 거의 없이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간질환의 치료방법은 크게 식이요법과 약제요법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에 이 두가지 방법을 병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중에서 간질환에 대한 약제요법에서는 매우 다양한 약제들이 이용되고 있으나 실제로 간질환의 병인학적 접근에 의한 근원적 치료개념을 갖는 약물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간질환에 대한 약제요법에서는 질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약제가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 실리마린, 글루타치온, 글리시리진, 간수화물, 종합비타민제 등과 같은 간세포 재생촉진제 및 간기능 보조제, 아사이클로비르(ACV: Acyclovir)와 같은 항바이러스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6-머캅토퓨린(6MP), 아자티오프린 등과 같은 면역억제제, D-페니실라민과 같은 섬유화억제제,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PMC), 인터페론등의 약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어떤 계통의 약물도 간질환의 치료에 충분히 만족스러운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삼의 지상부인 인삼 열매 추출물이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활성 및 간내 콜레스테롤 농도 증가를 억제시킴으로써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 등에 유의적인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보호 및 간기능 효과를 갖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삼 열매 추출물은 ALT 및 AST 활성 및 간내 콜레스테롤 농도 증가를 억제시킴으로써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하였다.
본 발명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삼 열매 추출물은 종자를 분리하여 제거한 인삼 열매의 과육과 과피를 일광건조 또는 열풍건조한 후 물 또는 에탄올로 추출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활성성분인 인삼 열매 추출물 이외에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약학적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으며, 그 제형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경구투여용으로 구강용 또는 주사약제가 가능하며, 식품 첨가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오일 또는 수성매질에서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의 형태가 되거나, 사용하기 전에 무균, 발열물질이 제거된 물로 녹여 사용하는 건조분말의 형태가 되어 경구용 제형, 피하주사, 정맥주사 또는 근육주사 등의 비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경구용 제형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부형제를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예를 들면, 정제, 트로키제, 함당정제,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분산가능 가루 또는 입자, 유화액, 연질 또는 경질 캡슐, 시럽 또는 일릭서와 같은 형태로 제제화되며, 이는 단위 투여량 형태 및 다용량 용기에 담아서 완성품을 제조할 수 있다.
경구용 제형 중, 정제는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락토스, 인산칼슘 및인산나트륨 등의 불활성 희석제; 옥수수, 녹말 및 알긴산 등의 입자화제; 붕해제; 녹말, 젤라틴 및 아카시아 등의 결합제;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스테아르산 및 탈크 등의 윤활제와 같이, 정제의 제조에 사용 가능한 부형제와 혼합된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정제는 코팅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거나, 위장관내의 흡수와 정제의 분해를 저해하기 위해 코팅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와 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 등의 시간 저해 물질을 적용할 수도 있다. 경질캅셀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탄산칼슘, 인산칼슘 및 카올린 등의 불활성 고체 희석제에 섞은 것이고, 연질캅셀은 물이나 혼합이 가능한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PEGs(polyethylene glycol) 및 에탄올 등의 용매와 땅콩기름, 액상 파라핀 및 올리브 오일 등의 기름 용매에 활성성분을 섞은 것이다.
수용성 현탁제는 수용성 현탁제 제조에 적당한 부형제와 활성 성분을 함께 혼합한 것으로, 부형제로는, 예를 들면,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트래거캔스검(gum tragacanth) 및 아카시아검(gum acacia) 등의 현탁화제;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지방산과 알킬렌 옥사이드를 축합한 화합물들;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탄올(heptadecaethyleneoxycetanol)과 같이 긴 지방산에 알킬렌 옥사이드를 축합한 화합물들;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모노올레이트와 같이 무수헥시톨(hexitol anhydride)과 지방산에서 유래한 부분 에스테르를 에틸렌 옥사이드와 축합한 화합물들; 습윤제; 또는 분산화제 등이 있다. 상기 수용성 현탁제는 방부제, 착색제, 향신료 및 감미료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유성 현탁제는 올리브유, 세사미유(sesami oil) 등의 식물성 오일 또는 액상 파라핀 같은 광물성 오일에 활성 성분을 현탁시킨 것으로, 예를 들어 비즈왁스, 경화 파라핀 및 세틸알코올 등의 농후제(thickening agent)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 착색제, 향신료 및 감미료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는데, 이러한 조성은 비타민 C 같은 항산화제를 가하여 보존할 수 있다.
분산성의 파우더와 입자는 분산화제, 습윤제, 현탁화제 및 보존제 등을 넣어 함께 혼합한 상태로 활성 성분을 가지고 있다. 적절한 분산화제, 습윤제나 현탁화제는 앞서 이미 언급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부가적인 부형제로는 예를 들어, 감미료, 향신료 및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유중수형 유화액은 올리브유 같은 식물성 기름 또는 액상 파라핀 같은 광물성 오일을 유상으로 하고, 대두레시틴(soy bean lecithin) 등의 자연산 인지질,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와 같은 무수헤시톨이나 지방산의 에스테르에서 유래된 것, 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모노올레이트와 같이 무수헥시톨(hexitol anhydride)과 지방산에서 유래한 부분 에스테르를 에틸렌 옥사이드와 축합한 화합물들을 유화제로하여 활성성분을 유화시킨 것 등이 있다.
시럽과 일릭서는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및 수크로오스 등의 감미료와 함께 활성성분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비경구형 제형은 멸균된 주사 가능 용액 혹은 무독성의 사용가능한 희석제나 용매, 예를 들어 1,3-부탄디올 등의 용매에 활성성분을 현탁시킨 현탁액으로 제제화하여 주사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부형제나 용매 중에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식염수 용액이 있다. 또한,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같은 공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멸균된 비휘발성 오일을 관습적으로 용매 혹은 현탁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런 목적으로 섞는 무자극, 비휘발성 오일(bland fixed oil)은 합성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사용한다. 또한, 올레인산과 같은 지방산을 주사제 마련에 사용할 수 있다. 좌제 형태는 약물을 상온에서는 고체였다가 직장내의 온도에서는 액체가 되어 직장 내에서 녹아 약물을 방출하게 하는 적절한 무자극성 부형제, 예를 들면, 코코아버터,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혼합하여, 제제화한 후, 직장에 투여할 수 있다.
식품 첨가물로는 음료수, 제빵, 드링크, 유지류, 아이스크림, 과자, 떡, 스넥류, 이유식, 주류, 조미료류, 레토르트 또는 통조림 등 각종 조리가공식품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콜레스테롤 저하제 조성물은 오일 또는 수성매질에서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의 형태가 되거나, 사용하기 전에 무균 상태의, 발열물질이 제거된 물로 녹여 사용하는 건조분말의 형태 등의 경구용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도 있고, 피하주사, 정맥주사 또는 근육주사 등의 비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도 있다.
경구용 제형의 경우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carrier) 또는 부형제(forming agent)를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예를 들면, 정제, 트로키제, 함당정제,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분산 가능한 가루 혹은 입자, 유화액, 연질 혹은 경질 캡슐, 시럽, 일릭서와 같은 형태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이는 단위 투여량, 형태 등에 따라 알맞게 제조될 수 있다.
비경구형 제형은 멸균된 주사 가능 용액 혹은 무독성의 사용 가능한 희석제 (diluent)나 1,3-부탄디올 등의 용매에 활성성분을 현탁시킨 현탁액으로 제제화하여 주사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부형제나 용매로는 물, 링거액 그리고 등장성 식염수 용액이 있으며,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같은 공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멸균된 비휘발성 오일을 관습적으로 용매 혹은 현탁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좌제 형태는 약물을 상온에서는 고체였다가 직장내의 온도에서는 액체가 되어 직장 내에서 녹아 약물을 방출하게 하는 적절한 무자극성 부형제, 예를 들면, 코코아버터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과 혼합하여, 제제화한 후, 직장에 투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경우, 활성 성분인 인삼 열매 추출물의 용량은 환자의 나이, 체중, 일반적 건강 상태, 성, 식사, 투여시간, 배설 속도, 약물 병용, 치료하는 동안의 질병의 정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질병에 따라 0.01 내지 140 mg/체중kg 까지를 매일 사용할 수 있으며, 환자 당 1일 기준으로 0.5 mg 내지 7 g까지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한가지 제형을 결정짓기 위해 담체 물질과 혼합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은 투여 경로별 방식과 치료하는 환자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사람에게 피부 외용제 도포 및 경구 투여를 목적으로 하는 제형은 전체 조성 중에서 5 내지 95 중량%를 차지하는 담체 물질들과 0.5 mg 내지 5 g의 활성성분을 함유하게 되고, 사람에게 비경구 투여를 목적으로 하는 제형은 전체 조성 중에서 5 내지 99%를 차지하는 담체 물질들과 0.1 mg 내지 2.5 g의 활성성분을 함유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인삼 열매 추출물 제조
1) 인삼 열매 전처리: 생(生)인삼 열매를 수확하여 종자를 분리하여 제거한 후 인삼 열매의 과육과 과피를 일광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통하여 인삼 열매 건조원료를 제조하였다.
2) 인삼 열매 추출물 제조: 인삼 열매 건조물 1 kg에 물 3 L를 가하여 환류 추출한 다음 여과한 후 40∼45℃에서 감압농축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 300 g을 얻었다.
[비교예 1] 인삼근 추출물
인삼근 1 kg에 물 3 L를 가하여 환류 추출한 다음 여과한 후 40∼45℃에서 감압농축하여 인삼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성분비교
<인삼 열매와 인삼근의 진세노사이드(인삼사포닌) 성분분석>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각각 인삼 열매와 인삼근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이들 추출물에 에테르(ether)를 처리하여 지용성 성분을 제거한 후 부탄올(BuOH)로 조사포닌을 추출, 농축하여 HPLC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성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14569311-pat00001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삼 열매 추출물은 조사포닌 함량에 있어서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인삼근 추출물의 약 2배 함량을 가지고 있었으며, 진세노사이드를 PD(Protopanaxadiol)계-"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및 Rd" 및 PT(Protopanaxatriol)계-"진세노사이드 Re, Rg1 및 Rg2"의 비율로 구분하였을 때 각각 0.73과 3.23으로 그 조성에 있어서 인삼 열매와 인삼근은 뚜렷한 차이 및 특징을 나타내었다.
<인삼 열매 추출물의 미네랄 성분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삼 열매 추출물이 인삼과는 다른 '과실'로서의 특징을 가짐을 구분하기 위하여 비타민을 비롯한 미네랄 성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14569311-pat0000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삼 열매의 성분적 특성은 인삼근 보다 많은 인삼사포닌을 함유함과 동시에 사포닌 조성의 성질이 정반대이고, 또한 인삼근과 달리 열매로서 비타민과 미네랄 16 종의 함량이 풍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도된 간손상에 대한 치료 효과
실험동물로는 체중 150 내지 200g의 수컷 SD(Sprague-Dawley)계 랫트(SLC, Japan) 40 마리를 사용하였다. 투여 개시 전에 체중을 측정하여 균일하게 3군[정상군, 사염화탄소만 투여한 대조군 및 사염화탄소와 실시예 1의 인삼열매 추출물을 투여한 실시예 1 처리군]으로 나누고 각 군당 8마리씩 분배하였다. 사염화탄소를 옥수수유와 혼합된 50% 용액으로하여 랫트에게 0.75 ml/kg의 용량으로 1주일에 2회 4주간 복강투여하였다. 실시예 1 처리군은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을 50 mg/kg 씩을 1% CMC 용액에 현탁하여 1일 1회, 1주일에 6회 경구 투여하였다. 이상의 약물투여를 4주간 지속한 후 동물을 치사시켜 혈청을 얻어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손상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ALT 및 AST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ALT 및 AST 활성은 조제된 키트(영동제약)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설명서에 따랐으며, 시험관에 ALT 및 AST 기질액을 0.5 ml씩 취하여 37℃에서 2∼3분 가온한 후 피검혈청 100 ㎕를 가하고 37℃에서 AST는 60분 동안 반응시켰고, ALT는 30분간 반응시켰다. 발색액(2,3-디이트로페닐하이드라진)을 0.5 ml씩 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0.4N-NaOH 5 ml씩을 가하여 증류수를 대조로 하여 5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LT 농도 상승 억제 효과
시험물질 ALT(U/L) 대조군에 대한 ALT 농도 비율(%)
정상군 72±15 -
대조군 1930±378 100
실시예 1 처리군 943±185 48.8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처리군의 경우 대조군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ALT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AST 농도 상승 억제 효과
시험물질 AST(U/L) 대조군에 대한 AST 농도 비율(%)
정상군 89±21 -
대조군 2120±421 100
실시예 1 처리군 1189±158 56.0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처리군의 경우 대조군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AST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이 간독성에 대한 간보호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에티오닌에 의해 유도된 지방간의 치료 효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8마리씩 3군의 랫트를 준비한 다음, 지방간 유도 물질로 에티오닌(ethionine; Sigma-aldrich)을 2%(w/v) 농도가 되도록 생리 식염수에 녹여 랫트에게 200 mg/kg의 용량으로 1주일에 2회 피하주사로 투여하였다. 실시예 1 처리군은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을 50 mg/kg 씩을 1% CMC 용액에 현탁하여 1일 1회, 1주일에 6회 경구 투여하였다. 이상의 약물투여를 1주간 지속한 후 동물을 치사시켜 간을 떼어낸 다음, 생리 식염수로 관류한 후 채취한 간에 4배 정도의 인산완충액(pH 7.5)을 넣고 분쇄하여 균질현탁액으로 만들었다. 이를 원심분리기로 1차 원심분리(600 g, 10분)하여 핵 및 미마쇄분을 제거한 상층액을 얻고, 이를 2차 원심분리(10,000 g, 20분)하여 미토콘드리아 분획을 제거한 후, 3차 원심분리(10,000 g, 1시간)하여 상층액을 효소원으로 사용하였다. 이어서, 이 효소원을 이용하여 간내 총 콜레스테롤 농도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효소법에 의해 제조된 키트(AM 202-K, 아산제약(주))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키트의 설명서에 따라 총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였고,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은 효소법에 의해 제조된 키트(AM 157, 아산제약(주))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키트의 설명서에 따라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간내 총콜레스테롤 농도 증가 억제 효과
시험물질 총콜레스테롤(mg/g) 대조군에 대한 총콜레스테롤 농도 비율(%)
정상군 13.78±0.45 -
대조군 23.15±0.63 100
실시예 1 처리군 16.78±0.52 72.5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처리군의 경우 간내 총콜레스테롤 농도 증가가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간내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 증가 억제 효과
시험물질 트리글리세라이드(mg/g) 대조군에 대한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 비율(%)
정상군 6.68±1.04 -
대조군 16.41±0.63 100
실시예 1 처리군 9.54±0.37 58.1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처리군의 경우 간내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 증가가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독성 실험
<경구투여>
ICR계 마우스와 스프라그 도올리(Sprague Dawley, 대구효창사이언스)를 각각 10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추출물을 각각 500, 725, 1000 및 5000 mg/k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한 후 2주간 독성여부를 관찰한 결과 4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가 한 마리도 없었고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복강투여>
ICR계 마우스(25±5 g)와 스프라그-도올리(Sprague Dawley) (대구효창사이언스)를 각각 10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추출물을 각각 25, 250, 500 및 725 mg/kg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후 24시간 동안 독성여부를 관찰한 결과 4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가 한 마리도 없었고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급성독성이 거의 없음이 확인되었다.
하기에 상기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산제
약전 제제총칙 중 산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포당 실시예 1의 인삼열매 추출물 50 mg, 유당 100 mg 및 탈크 10 mg를 함유하는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정제
약전 제제총칙 중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정 당 실시예 1의 인삼열매 추출물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을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3] 캅셀제
약전 제제총칙 중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캅셀당 실시예 1의 인삼열매 추출물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을 함유하는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4] 주사제
약전 제제총칙 중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50 mg에 주사용 멸균 증류수 및 pH 조절제를 적절히 혼합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5] 액제
약전 제제총칙 중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액제 100 ㎖당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5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6] 건강 기능성 음료
통상의 건강기능성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및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가 되도록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5)

  1.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또는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내 총콜레스테롤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농도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내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5.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170019400A 2017-02-13 2017-02-13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796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400A KR101796924B1 (ko) 2017-02-13 2017-02-13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400A KR101796924B1 (ko) 2017-02-13 2017-02-13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354A Division KR20110078525A (ko) 2009-12-31 2009-12-31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879A KR20170018879A (ko) 2017-02-20
KR101796924B1 true KR101796924B1 (ko) 2017-11-13

Family

ID=5826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400A KR101796924B1 (ko) 2017-02-13 2017-02-13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780B1 (ko) * 2023-01-18 2023-12-15 주성수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abetes, 51, 2002.06, pp.1851-1858*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07, 112, pp.568-57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780B1 (ko) * 2023-01-18 2023-12-15 주성수 인삼열매 추출물, 건조효모 및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879A (ko) 201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023B1 (ko) 겹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위축증 또는 근감소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20010006983A1 (en) Multicomponent biological vehicle
KR101593618B1 (ko) 사포닌의 생체 이용률 증진 조성물
KR102110040B1 (ko) 토종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RU2313347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аллергического заболева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кстракта черного риса и ее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применение
JP5275251B2 (ja) 肝臓疾患を予防及び処置するための組合せ薬草の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JP4879741B2 (ja) 体脂肪低減剤
WO200700799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KR101441609B1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78525A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JP7161064B2 (ja) エルダーベリー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男性更年期症候群の予防、治療または改善用の組成物
KR101796924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556443B1 (ko) 잣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조성물
US2010007497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KR20140108104A (ko) 한인진 및 울금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379495B (zh) 高良姜提取物在制备预防和/或治疗非酒精性脂肪肝制剂中的用途
JP2011012021A (ja) 血糖コントロール用組成物
EP2155220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Herba Ephedrae and Thallus Laminariae seu Eckloniae for use in supressing obesity
KR20150124108A (ko)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및 약학 조성물
CN106163535B (zh) 包含胡桃萃取物的抗肥胖剂
KR20190142672A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538983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EP4151226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2149783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억제,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