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807A -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4807A
KR20120044807A KR1020100106314A KR20100106314A KR20120044807A KR 20120044807 A KR20120044807 A KR 20120044807A KR 1020100106314 A KR1020100106314 A KR 1020100106314A KR 20100106314 A KR20100106314 A KR 20100106314A KR 20120044807 A KR20120044807 A KR 20120044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hlorella
alcohol
hangov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1143B1 (ko
Inventor
박화진
배옥자
성희경
이동하
김현홍
김윤정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한국클로렐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한국클로렐라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06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14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5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8Hordeum (barle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혈중 알코올 농도의 저감효과 및 혈액의 산성화를 억제하는 활성(혈중 이산화탄소 및 젖산의 농도 저감효과, 알코올 섭취로 인해 산성화된 혈중 pH를 정상의 알카리로 전환시키는 효과)이 매우 우수하고, 알코올의 과다 섭취에 의한 간 손상으로부터 보호 효과, 위장 기능 개선 효과, 두통 감소 효과 등 숙취해소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chlorella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or relieving hangover}
본 발명은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알코올 소비는 세계 최고의 수준이며, 간암이나 간경변으로 인한 사망이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이 되는 등 음주로 인한 사회경제적 및 보건학적 폐해는 엄청나며 이는 증가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음주를 통하여 흡수된 알코올의 효과는 음주 후 약 10분 이내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40?60분이면 최고 정점에 도달하게 된다. 알코올은 식도 및 구강 점막에서 소량 흡수되고, 이후 약 10% 정도의 알코올은 위장에서, 나머지 90% 정도의 알코올은 소장에서 흡수되게 된다. 알코올의 흡수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데, 지방이 많은 음식물은 이동 속도가 느려 알코올의 흡수를 느리게 하며, 공복시에는 음식물과 함께 음주를 하는 경우보다 3?4배 빨리 흡수되며, 술을 빨리 마실수록 흡수되는 속도도 증가한다. 알코올은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7.1 kcal/g의 높은 열량을 발생하는 물질이지만, 함유하고 있는 열량 그대로 인체가 흡수하지는 못한다. 또한 생체 내 유용한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지 못하기 때문에 영양결핍을 초래할 수도 있다.
과다한 알코올 섭취는 갈증, 피로감/졸음, 두통/어지러움, 오심/구토, 무력감, 복부팽만감/위장관 불쾌감 등의 숙취현상(hangover)을 유발하며, 만성적으로는 간질환, 위염, 췌장염, 고혈압, 중풍, 식도염, 당뇨병 그리고 심장병 등 많은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알코올을 섭취할 경우 약 10%는 호흡이나 소변을 통해 체외로 배출되고, 나머지 90%의 대부분은 위 점막이나 간에서 대사되게 된다. 이때 알코올 대사량의 약 90?95%는 간에서 산화되어 분해되게 된다.
알코올은 간에 존재하는 알코올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와 알데하이드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nase, ALDH)에 이해 산화되는데 우선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로 산화되고, 이는 알데하이드 ALDH의 작용에 의해 아세테이트(Acetate)로 산화되어 진 후 간세포 내부로 방출되어 혈액을 거쳐 근육등의 조직으로 유입되어 에너지 생성에 이용된다. 이때 이산화탄소(CO2)와 물(H2O)이 생성된다. 이산화탄소의 증가는 혈액을 산성화시키는 주요 인자로서 구토, 두통, 갈증, 오심, 혼수상태등의 숙취현상을 일어킨다. 또한 간내에 축적된 알코올의 최초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는 고농도의 활성 화합물로 발한(sweat), 급맥(rapid pulse), 피부발열(skin flushing), 오심(nausea), 구토(vomiting) 등을 유발하며,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알코올 분해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숙취의 원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숙취 증상은 음주를 마친 후 몇 시간 안에 시작되어서 거의 하루 동안 지속되는데, 특별한 숙취의 경험은 매우 개인적인 성향과 상황적이고 소비된 알코올의 종류와 양에 의존적이다. 신체적 숙취 증상들은 두통, 피로, 빛과 소리 민감성, 근육통, 눈의 적색, 갈증, 오심, 구토 그리고 위통을 포함한다. 숙취는 빠른 심장박동, 흥분, 혈압상승 그리고 발한의 원인이 된다. 숙취의 관련된 정신적 증상들은 수면부족, 수면장소 변화, 주의력 감소, 집중력 저하, 우울, 현기증, 불안, 과민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음주 후 나타나는 숙취를 해소하기 위하여 예로부터 콩나물, 북어, 녹두 등이 음주 후의 숙취 해소용 음식으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콩나물에는 알코올탈수소효소(ADH)의 작용을 도와 알코올 분해를 촉진시킴으로써 간을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는 아스파라긴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현재 아스파라긴산이 함유된 숙취해소용 음료도 시판되고 있다.
최근 음주 후 발생하는 숙취 감소 및 제거를 위한 다양한 의약품들이 개발되었으나 이들 자체의 독성이나 부작용으로 인해 보다 안전한 천연물 유래 건강음료의 개발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천연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대한 특허 출원이 많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클로렐라-허브 복합물이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에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클로렐라-허브 복합물을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약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로렐라 추출물; 및 솔잎, 뽕잎, 보리순, 호박, 가시오가피, 쑥, 어성초, 신선초, 익모초, 민들레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종 이상의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로렐라의 건조분말; 및 솔잎, 뽕잎, 보리순, 호박, 가시오가피, 쑥, 어성초, 신선초, 익모초, 민들레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종 이상의 허브 건조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클로렐라 40 ~ 70 중량부, 솔잎 9 ~ 18 중량부, 뽕잎 4.5 ~ 10.5 중량부, 보리순 3 ~ 6 중량부, 호박 3 ~ 6 중량부, 가시오가피 1.5 ~ 3 중량부, 쑥 1.5 ~ 1.5 중량부, 어성초 1.5 ~ 3 중량부, 신선초 1.5 ~ 3 중량부, 익모초 1.5 ~ 3 중량부, 민들레 1.5 ~ 3 중량부 및 산수유 1.5 ~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분말은 10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분말화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진쑥, 발아현미, 쇠미름, 황버섯 및 참깨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건조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혈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활성, 혈중 pH를 증가시키는 활성 및 혈중 젖산 농도를 감소시키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중의 AST, ALT 및 r-GTP 농도를 감소시키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DH)의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의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혈중 알코올 농도의 저감효과 및 혈액의 산성화를 억제하는 활성(혈중 이산화탄소 및 젖산의 농도 저감효과, 알코올 섭취로 인해 산성화된 혈중 pH를 정상의 알카리로 전환시키는 효과)이 매우 우수하고, 알코올의 과다 섭취에 의한 간 손상으로부터 보호 효과, 위장 기능 개선 효과, 두통 감소 효과 등 숙취해소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질을 사용하여 생체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종래의 숙취해소제들에 비해 독성으로 인한 각종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의 예방, 해소 및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클로렐라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클로렐라(chlorella)”는 녹조식물 클로렐라과에 속하는 담수조류로, 지름 10㎛ 이하의 구형 또는 타원형의 단세포 식물이며, 녹민물?습지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현재 약 10종이 알려져 있으며, 무성생식에 의해서 증식하고 광합성에 의해서 몸의 구성물질이 증가하면 딸세포를 형성하는 등 유성생식에 비해서 고능률적이며, 광합성을 이루어 유기물을 만드는데, 광합성 때의 태양 에너지의 이용률이 높고, 단백질 함유량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클로렐라는 적당한 조건하에서는 하루에 약 10배나 증가하기 때문에 연간 유기물의 생산량이 벼의 약 8배에 해당한다. 또한 배양조건에 따라서 지방은 20~80%, 단백질은 90%까지, 그리고 탄수화물은 37%까지 함량을 높일 수 있어서, 이를 대량으로 배양하여 인간의 식량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개체가 너무 작고, 그대로 먹으면 소화가 잘 안 되며, 건조 클로렐라에는 특유한 냄새가 있어 식품에 첨가하면 맛을 저하시킨다는 단점이 있어 식품으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가 최근 들어 무균순수 배양으로 소화흡수율을 높인 건강보조식품과 유제품 등이 개발 및 이용되고 있다.
그 밖에 클로렐라를 간접적으로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다른 식품에 섞어 넣는 방안도 연구되어, 이를테면 젖산균 따위 미생물의 발육을 촉진시키는 데 이용하거나,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데 이용되기도 하며, 가축의 사료에 섞어 넣어 이용하기도 한다. 클로렐라는 고영양의 차세대 식량자원일 뿐만 아니라 체질개선, 혈전개선, 면역력 증가에 의한 항암효과, 중금속의 독성중화 및 배성효과 등의 기능성을 입증 받아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클로렐라의 음주로 인한 알코올성 간손상 및 숙취를 개선 또는 억제하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단백질과 엽록소를 풍부히 함유하고 있는 클로렐라를 이용하여 알코올에 의한 숙취 및 간기능 장애 또는 임상적 현상(혈액의 산성화 등)을 억제 또는 개선하는 약리학적 효과를 실험한 결과, 클로렐라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우수한 숙취 억제 활성, 간손상 억제 활성 및 혈액의 산성화 억제 활성을 통해 간기능 장애를 개선하고, 숙취를 해소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클로렐라 추출물; 및 솔잎, 뽕잎, 보리순, 호박, 가시오가피, 쑥, 어성초, 신선초, 익모초, 민들레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종 이상의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또한 클로렐라 건조분말; 및 솔잎, 뽕잎, 보리순, 호박, 가시오가피, 쑥, 어성초, 신선초, 익모초, 민들레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종 이상의 허브 건조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클로렐라와 각종 허브 물질의 추출물 또는 건조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클로렐라는 환경 친화적으로 자연 배양한 것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며, 예를 들어 조단백질은 건조 중량의 27 ~ 28%, 엽록소는 건조중량의 57.5 ~ 59%, 철은 건조중량의 67.5 ~ 69%, 총페오프르바이드는 40% 이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허브”는 예로부터 약이나 향료로 써 온 약초 식물을 일컫는 말로, 솔잎, 뽕잎, 보리순, 호박, 가시오가피, 쑥, 어성초, 신선초, 익모초, 민들레, 산수유, 인진쑥, 발아현미, 쇠미름, 황버섯, 참깨가루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천연 원료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이며, 예를 들어, 클로렐라 또는 천연 허브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클로렐라 원말과 각종 허브를 10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키고 분말화한 후, 일정비율로 혼합하고 정제수를 사용하여 열수 추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클로렐라 및 각종 허브는 오랫동안 생약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들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건조분말”은 클로렐라와 각종 허브 물질을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클로렐라 원말과 각종 허브를 10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키고 분말화한 후, 일정비율로 혼합하고 반죽하여 과립을 제조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클로렐라 및 각종 허브의 추출물 또는 건조분말은 다양한 조성범위 내에서 혼합될 수 있으나,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클로렐라 40 ~ 70 중량부, 솔잎 9 ~ 18 중량부, 뽕잎 4.5 ~ 10.5 중량부, 보리순 3 ~ 6 중량부, 호박 3 ~ 6 중량부, 가시오가피 1.5 ~ 3 중량부, 쑥 1.5 ~ 1.5 중량부, 어성초 1.5 ~ 3 중량부, 신선초 1.5 ~ 3 중량부, 익모초 1.5 ~ 3 중량부, 민들레 1.5 ~ 3 중량부 및 산수유 1.5 ~ 3 중량부의 조성으로 혼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진쑥, 발아현미, 쇠미름, 황버섯 및 참깨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건조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숙취”는 알코올 섭취 후에 나타나는 부작용, 예를 들어 두통, 어지러움, 졸음, 갈증, 전신권태, 피로감, 기억상실, 복부팽만감, 소화 불량, 오심, 구토, 설사, 빛과 소리 민감성, 근육통, 눈의 적색, 오심, 비타민 결핍 등과 같이 섭취한 혈중 알코올, 그 산화물 알데하이드, 및 혈액 이산화탄소(CO2)의 증가에 의한 혈액의 산성화(pH의 저하)에 의해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생리적 부작용 모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SD 랫트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클로렐라-허브 복합물을 처리하여 혈중 알콜 농도, 혈액의 산성화(CO2, 탄산이온, pH, 젖산), 간기능 장해 임상지표(AST, ALT, r-GTP), 알코올 산화효소(ADH, ALDH)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클로렐라-허브 복합 조성물은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키는 활성이 우수하고(실험예 3 참조), 혈중 이산화탄소 및 탄산이온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혈중 pH를 산성으로부터 정상의 알카리로 회복시키며, 혈중 젖산 농도를 감소시키는 활성이 우수하고(실험예 4 참조), 간기능 장해 임상지표인 혈중의 AST, ALT 및 r-GTP 농도를 감소시키는 활성이 우수하고(실험예 5 참조),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및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본 발명의 클로렐라-허브 복합물이 간기능을 개선하고 숙취를 해소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혈중 알코올 농도의 저감효과 및 혈액의 산성화를 억제하는 활성(혈중 이산화탄소 및 젖산의 농도 저감효과, 알코올 섭취로 인해 산성화된 혈중의 pH를 정상의 알카리로 회복시키는 효과)이 매우 우수하고, 알코올의 과다 섭취에 의한 간 손상으로부터 보호 효과, 위장 기능 개선 효과, 두통 감소 효과 등 숙취해소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기존의 숙취해소제들에 비하여 강력하게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간 손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으며, 장기간 알코올 섭취로 인해 일어나는 만성 알코올 중독에서 클로렐라의 섭취가 알코올 중독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에 따라 효과적인 숙취해소제로서 개발의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클로렐라-허브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클로렐라-허브 복합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간손상 또는 숙취의 증상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로렐라-허브 복합물의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0.5 ~ 100 mg/day/체중kg, 바람직하게는 1 ~ 50 mg/day/체중kg이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간손상 또는 숙취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에멀젼, 액상,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간손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여 간기능을 개선하고, 숙취를 해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클로렐라-허브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및 숙취 증상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약제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를 위한 식품용 조성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클로렐라-허브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품용 조성물은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는 식품, 예컨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를 위한 식품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원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서 상기“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를 위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술한 것 이외에 본원발명의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내는 클로렐라-허브 복합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건강보조식품의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를 위한 식품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1중량% 내지 90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40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음료의 경우, 100㎖를 기준으로 0.001g 내지 2g, 바람직하게는 0.01g 내지 0.1g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1-1> 재료 준비
클로렐라는 (주)한국클로렐라(경남 고성군 마암면 도전리 81-3)에서 친환경적으로 배양/제조하여 생산한 클로렐라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허브는 식품공전에서 식품으로서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원료로 솔잎, 뽕잎, 보리순, 호박, 가시오가피, 쑥, 어성초, 신선초, 익모초, 민들레, 산수유를 사용하였다.
<1-2>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의 제조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클로렐라와 각종 허브를 열풍건조기(제일제약식품기계사, 한국)로 80℃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된 각각의 원료를 핀밀분쇄기(제일제약식품기계사, 한국)를 사용하여 약 180 mesh로 분쇄하였다. 분쇄한 각각의 원료에 4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추출농축기(동남산업, 한국)를 사용하여 80℃에서 7시간 동안 열수로 추출하여 수분량을 1/4 수준까지 증기 배출시킨 후 2.0㎛여과기(세한, 한국)로 여과하여 하기 표 1에 제시된 비율로 각각의 추출액을 혼합하여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추출액의 혼합비(%)
원료명 배합비율(%)
클로렐라 40 ~ 70
솔잎 9 ~ 18
뽕잎 4.5 ~ 10.5
보리순 3 ~ 6
호박 3 ~ 6
가시오가피 1.5 ~ 3
1.5 ~ 1.5
어성초 1.5 ~ 3
신선초 1.5 ~ 3
익모초 1.5 ~ 3
민들레 1.5 ~ 3
산수유 1.5 ~ 3
< 제조예 2>
클로렐라-허브 건조분말(과립) 제조
클로렐라 원말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시된 각종 허브를 건조기 100℃이하에서 건조시킨 후, 건조된 클로렐라원말 및 허브를 분쇄기에서 분쇄하였다. 분쇄된 클로렐라 및 허브를 일정비율로 혼합하고 반죽하고, 혼합한 반죽을 과립기로 과립을 제형하고 건조하였다.
< 실험예 1>
클로렐라-허브 혼합물의 안정성 평가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클로렐라-허브 혼합액 및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클로렐라-허브 건조분말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클로렐라 세포수, 대장균수, 일반 세균수, 총엽록소, 조단백질 및 비타민 등을 분석하였다.
<1-1> 클로렐라 세포(개체)수 측정
클로렐라-허브 혼합물을 Haemacytometer(Erma Co., Ltd., Japan)에서 현미경(Olympus Optical Co.,Ltd., Japan)으로 관찰하였다.
<1-2> 대장균수 측정
시료 1ml을 3M PetrifilmTM E.coli/Coliform Count Plate(3M Microbiology Products, USA)에 접종하고 배양기(CO2 Incubator J 2000, Jisico, Co., Ltd., Korea)에 넣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빨간색의 집락을 형성하는 것을 E.coli/Coliform 으로 확인하고 집락수를 산정하였다.
<1-3> 일반 세균수 측정
3M PetrifilmTM Aerobic Count Plate(3M Microbiology Products, USA), 3M PetrifilmTM Rapid Stap. aureus Count Plate(3M Microbiology Products, USA) 및 3M PetrifilmTM Yeast and Mold Count Plate(3M Microbiology Products, USA)를 각각 사용하여 3M 매뉴얼에 따라 배양기(CO2 Incubator J 2000, Jisico, Co., Ltd., Korea)에 넣어 배양한 다음 집락수를 각기 산정하여 합산하였다.
<1-4> 총엽록소
시료를 아세톤으로 추출한 후 원심분리기(MF80, 한일과학, 한국)로 3500rpm에서 분리한 다음 UV-Visible Spectrophotometers(Nicolet Evolution 300, Thermo Electron Spectroscopy Ltd., UK)를 사용하여 각각 A645와 A663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5> 조단백질 및 비타민의 측정
동진생명연구원(경남 창원시)에 의뢰하여 조단백질 및 비타민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클로렐라-허브 혼합물의 안정성 평가 분석 결과
항목 클로렐라-허브혼합액 클로렐라-허브 건조분말
세포수 - -
대장균군(음성) 음성 음성
총미생물수(/㎖) 100이하 -
조단백질(%) 0.31 25.1
타르색소 - 불검출
엽록소(㎎/100g(㎖)) 545.8 1231.9
비타민B2(㎎/100g) - 1.2
보존료(g/kg) 0.002 -
총페오포르바이드(㎎/100g)* - 0.0
납(㎎/kg)* 불검출 -
카드뮴(㎎/kg)* 불검출 -
철(㎎/100g)* - 90.4
* 분석처 : (주)한국클로렐라 연구소 및 동진생명연구원*
< 실험예 2>
동물투여 및 혈액채취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이 알코올에 의해 유발되는 숙취현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동물에 투여하고, 시험에 사용할 혈액을 채취하였다.
<2-1> 투여방법
375 ~ 395g의 SD 랫트에 클로렐라-허브 혼합액 및 기존 숙취해소제(C제품, Y제품, M제품)를 10ml/kg-BW가 되도록 경구 투여하고 30분 경과 후에 40% 알코올을 10ml/kg-BW가 되도록 경구 투여하였다. 정상 대조군으로는 물을 10ml/kg-BW가 되도록 경구 투여하고 30분 경과 후에 40% 알코올을 10ml/kg-BW가 되도록 경구 투여하였다.
<2-2> 혈액채취
①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용 혈액채취 : 알코올 투여 전과 투여 후 1시간, 3시간, 5시간이 지났을 때 꼬리 정맥으로부터 600 ~ 1000ml의 혈액을 채취하였고, 채취한 혈액을 3000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의 혈청을 얻었다. 얻어진 혈청의 알코올 농도를 측정한 후 추이를 확인하였다.
② 혈중 CO 2 pH 측정용 혈액채취 : 알코올을 투여한 후 24시간이 경과한 뒤에 개복하여 헤파린이 처리된 주사기를 사용하여 복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후 채취한 혈액을 즉각 3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의 혈장을 얻어 CO2 및 pH 측정에 이용하였다.
③ 혈중 젖산( lactate ) 측정용 혈액채취 : 알코올을 투여한 후 24시간이 경과한 뒤에 개복하여 복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후 글루코오스 대사(glucose metabolism)의 결과에 의해 증가하는 젖산을 막기 위하여 즉시 3M 과염소산(perchloric acid)을 처리하고 3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의 제단백된 혈청을 얻어 젖산 측정에 이용하였다.
④ 혈중 AST , ALT 및 r- GTP 측정용 혈액채취 : 알코올을 투여한 후 24시간이 경과한 뒤에 개복하여 복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후 채취한 혈액을 3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의 혈청을 얻어 AST, ALT 및 r-GTP 측정에 이용하였다.
< 실험예 3>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이 혈중 알콜 농도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클로렐라-허브 혼합액과 기존 숙취해소제가 숙취현상 중의 하나인 혈중 알코올 농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험예 <2-2>에서 분리한 혈청으로부터 알코올 측정 키트(BioAssay-ECET100)를 사용하여 혈청 내 알코올 농도 변화 추이를 측정하였다.
상기 알코올 측정 키트는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가 알코올을 산화하면서 형성하는 NADH에 의해 포마잔 MTT chromogen이 발색되는 것을 565nm 흡광도로 측정하여 정량하는 원리를 따른다. 준비된 혈청 10㎕을 96웰 플레이트에 로딩한 후 반응시약 90㎕을 넣고 30분 동안 실온에 두었다가 반응정지 시약(stop reagent)을 100㎕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 565nm 흡광도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인 물+알코올 섭취군은 알코올 섭취 후 3시간 후에는 혈중 알코올 농도가 10.12±1.23(mM)까지 증가하였다가 5시간 후에 조금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알코올 섭취군은 알코올 섭취 1시간, 3시간, 5시간 후 어느 시간에서도 혈중 알코올 농도가 낮게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은 알코올의 섭취에 의해 증가되는 혈중의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은 기존의 숙취해소제인 C제품, Y제품 및 M제품보다도 혈중의 알코올 농도를 더욱 더 강하게 감소시키는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이 알코올이 혈액으로 흡수되는 것을 억제시키거나 흡수를 지연시키기 때문에 혈액 중 알코올 농도가 낮아지게 될 것으로 추측되었다.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의 안정성 평가 분석 결과
물+알콜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알콜 C제품+알콜 Y제품+알콜 M제품+알콜
알콜 (mM) 알콜 (mM) 알콜 (mM) 알콜 (mM) 알콜 (mM)
알코올 투여 전 0±0.01 0±0.07 0±0.07 0±0.07 0±0.07
알코올 투여 후 1시간 9.23±2.46 2.57±0.04* 6.40±0.29 6.55±0.23 6.15±0.13
알코올 투여 후 3시간 10.12±1.23 6.12±0.28** 6.70±0.15* 8.39±0.10* 8.43±0.07
알코올 투여 후 5시간 8.29±1.61 4.59±0.06* 5.11±0.16* 6.52±0.13 5.24±0.13*
ㆍ데이터는 평균±SD(n = 3)로 나타내었으며, *는 물+알콜군과 비교하여 p<0.05, **는 p<0.001을 나타냄.
< 실험예 4>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이 혈액의 산성화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이 혈액의 산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혈중 이산화탄소(CO2)의 농도, 혈중 탄산이온(HCO3 -)의 농도, 혈중 pH, 혈중 젖산의 농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4-1> 혈중 이산화탄소( CO 2 )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
혈중의 이산화탄소(CO2)는 세포가 글루코오스 등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그 자신의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 등을 생성한 후에 생성되는 최종산물로서 혈액 중에 CO2가 증가하면 혈액의 pH가 산성화되는 원인이 되고, 호흡장해 및 편두통을 일으킨다. 또한 혈액 중의 CO2는 물(H2O)과 결합하여 H2CO3(탄산)이 된다. 즉 CO2 + H2O → H2CO3가 된다. 이 화학반응을 살펴보면 CO2가 증가하면 할수록 H2O의 소비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의 소비는 갈증을 느끼게 하는 원인이고, 알코올의 섭취 후 갈증을 느끼는 것은 CO2의 증가에 의한 H2O의 소비의 증가가 원인이 된다. 그래서 혈액중의 CO2농도변화는 혈액중의 pH변화, 물의 소비변화, 갈증, 호흡장해 및 편두통의 임상적 평가지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클로렐라-허브 혼합액과 기존 숙취해소제가 알코올의 섭취에 의해 증가되는 혈중 이산화탄소의 농도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험예 <2-2>에서 알코올 투여 후 24시간 후에 채취한 혈장으로부터 CO2 분석 키트(Randox-CD129)를 사용하여 혈중 CO2 농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CO2 분석 키트는 혈중의 중탄산염(bicarbonate)에 비례하여 옥살 아세트산(oxaloacetate)이 환원되고 이를 말레이트(malate)로 환원시킬 때 감소하는 NADH의 감소량을 340nm 흡광도로 측정하여 정량하는 원리를 따른다. 준비된 혈장 5㎕에 반응시약 1㎖을 첨가하여 5분 동안 37℃에서 반응시킨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코올 섭취군(물+알코올 섭취군)은 알코올을 섭취하지 않은 정상 대조군의 혈액 내 CO2 농도(18.92±0.16mM)보다 8% 증가하여 20.43±0.77mM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존의 숙취해소제(C제품, Y제품, M제품) 섭취군 및 클로렐라-허브 혼합액 섭취군의 혈액 중의 CO2 농도는 알코올 섭취군의 혈액 중의 CO2 농도(20.43±0.77mM)보다 낮은 농도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발명의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을 섭취한 경우에는 대조군의 CO2농도(18.92±016mM)보다도 더 낮은 농도(18.03±0.72mM)로까지 혈액 중의 CO2 농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알코올 섭취 후 증가된 혈액중의 CO2 농도를 가장 강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혈중 CO2 농도의 변화 분석 결과
CO2 농도(mM) CO2 증감(%)
정상 대조군 18.92±0.16 0 -
물+알코올 20.43±0.77 +8.0 0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알코올 18.03±0.72* - -11.74
C제품+알코올 19.95±1.56 - -2.36
Y제품+알코올 18.97±0.81* - -7.14
M제품+알코올 18.62±0.70* - -8.86
ㆍ데이터는 평균±SD(n = 3)로 나타내었으며, *는 물+알콜군과 비교하여 p<0.05, **는 p<0.001을 나타냄.
<4-2> 혈중 탄산이온(HCO 3 - )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편, 혈액 중의 탄산이온(HCO3 -)은 혈액 중의 CO2의 농도에 비례하며, 이것은 CO2 + H2O → H2CO3 → HCO3 - + H+의 화학평형반응에서 알 수 있다. 탄산이온(HCO3 -) 농도는 하기 식 1로부터 계산하였다.
(식 1)
Figure pat00001

그 결과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코올 섭취군에서는 정상 대조군의 탄산이온 농도(18.61±0.15mM)보다 7.8% 증가하여 20.06±0.76mM의 탄산이온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알코올 섭취군에서 혈중 CO2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의 혈중 CO2의 농도보다 더 많이 증가했던 결과를 반영한다. 그러나,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은 알코올 섭취에 의해 증가된 탄산이온의 농도를 강력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이 혈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가장 강하게 감소시키는 효과(표 4 참조)와 일치한다.
혈중 탄산이온 농도의 변화 분석 결과
HCO3 - 농도(mM) 증감(%) HCO3 - 농도의 증감량(pM)
정상 대조군 18.61±0.15 0 - 0 -
물+알코올 20.05±0.76 +7.8 0 +1440 0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알코올 17.74±0.71** - -11.6 - -2310
C제품+알코올 19.61±1.53 - -2.2 - -440
Y제품+알코올 18.65±0.79* - -7.0 - -1400
M제품+알코올 18.28±0.68* - -8.9 - -1770
ㆍ데이터는 평균±SD(n = 3)로 나타내었으며, *는 물+알콜군과 비교하여 p<0.05, **는 p<0.001을 나타냄.
<4-3> 혈중 pH 에 미치는 영향
혈액의 pH는 혈액의 이산화탄소(CO2) 및 탄산이온(HCO3-)의 농도에 의해 변한다. 상기 (식 1)의 pH 계산공식에서 알 수 있듯이 알코올 섭취에 의해 혈액 중의 CO2농도가 증가하고, HCO3 -농도가 증가하면, 혈액의 pH는 산성으로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혈액 pH가 산성으로 변화된 임상증상을 호흡성 산혈증(acidosis)이라 하며, 이 경우 호흡곤란, 두통 등의 증상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클로렐라-허브 혼합액과 기존 숙취해소제가 알코올의 섭취에 의해 변화하는 혈중 pH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험예 <2-2>에서 알코올 투여 후 24시간 후에 채취한 혈장으로부터 pH meter (Schott-SRDC22N:1010)를 사용하여 혈중 pH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 대조군의 혈중 pH는 7.88±0.01이지만, 알코올 섭취군은 알코올 섭취에 의해 pH가 7.83±0.01로 떨어져 혈액의 pH가 산성으로 변하였으며, 이것은 알코올 섭취로 인해 혈액 수소이온(H+) 농도가 정상 대조군의 혈액 수소이온(H+) 농도(13.18nM)보다 1610pM 증가되어 14.79nM로 나타난 결과를 반영한다. 그러나, 클로렐라-허브 혼합액과 기존의 숙취해소제(C제품, Y제품)의 섭취는 알코올 섭취에 의해 증가된 수소이온의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알코올에 의해 산성화된 혈액의 pH를 증가시켜 정상군의 pH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은 알코올 섭취에 의해 산성화된 pH(7.83±0.01)를 정상 대조군의 pH(7.88±0.01)와 비슷한 수준인 7.88±0.02로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숙취해소제들(C제품, Y제품, M제품) 보다도 더 효과적으로 수소이온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중 pH의 변화 분석 결과
pH H+농도(nM) 대조군에 대한비 H+ 농도의 증감량(pM)
정상 대조군 7.88±0.01 13.18 1 0 -
물+알코올 7.83±0.01 14.79 1.122 +1610 0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알코올 7.88±0.02* 13.18 1 - -1610
C제품+알코올 7.87±0.02* 13.49 1.023 - -1300
Y제품+알코올 7.86±0.02* 13.80 1.047 - -990
M제품+알코올 7.83±0.01 14.79 1.122 - 0
ㆍ데이터는 평균±SD(n = 3)로 나타내었으며, *는 물+알콜군과 비교하여 p<0.05, **는 p<0.001을 나타냄.
<4-4> 혈중 젖산( lactate )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
알코올을 섭취하게 되면 뇌에서 많은 양의 당(glucose)을 소비하게 되고, 이 결과 CO2의 생성이 증가됨으로서 혈중의 CO2 농도가 증가하여 혈액의 pH가 산성화됨과 동시에 혈액 중의 당 농도가 정상보다 낮아지는 저혈당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저혈당 현상을 보충하기 위해 생체 내에서는 새로운 당을 생성시키는 반응이 진행되는데, 이 새로운 당의 생성에 이용되는 것이 젖산(lactate)이다. 혈액 중의 젖산이 증가하면 혈액 중에 수소이온농도(H+)가 증가하고, 이것에 의해 혈액의 pH는 산성으로 변하며, 이와 같은 병리현상을 젖산 산혈증(lactic acidosis)이라 하며 구토, 현기증, 호흡장해 및 두통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임상증상도 숙취현상 중의 하나이므로 본 발명자들은 혈액 중의 젖산 농도를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클로렐라-허브 혼합액과 기존 숙취해소제가 알코올의 섭취에 의해 변화하는 혈중 pH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험예 <2-2>에서 채취한 제단백된 혈청으로부터 젖산 농도를 측정하였다.
젖산이 젖산 탈수소 효소(lactate dehydrogenase)에 의해 산화되면서 형성하는 NADH의 증가량을 340nm흡광도로 측정하여 정량하였으며, 단백질을 제거한 혈청 50㎕에 반응시약 1450㎕을 첨가하여 30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 대조군의 혈액 중에는 40.40±3.37(μM)의 젖산이 존재하지만 알코올 섭취군은 알코올 섭취에 의해 대조군보다 47.7% 증가하여 59.66±6.07(μM)의 젖산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클로렐라-허브 혼합액과 기존의 숙취해소제(C제품, Y제품, M제품)는 알코올 섭취에 의해 증가된 혈중 젖산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발명의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은 정상 대조군보다도 더 낮은 젖산 농도를 나타내어 효과적으로 혈중의 젖산 농도를 낮게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중 젖산 농도의 변화 분석 결과
lactate 농도(μM) lactate 증감 (%) lactate 농도의
증감량 (μM)
정상 대조군 40.40±3.37 0 - 0 -
물+알코올 59.66±6.07 +47.7 0 19.26 0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알코올 36.77±1.97** - -38.9 - -22.89
C제품+알코올 44.45±1.83* - -25.5 - -15.21
Y제품+알코올 24.94±0.44** - -58.2 - -34.72
M제품+알코올 44.28±4.28* - -25.8 - -15.38
ㆍ데이터는 평균±SD(n = 3)로 나타내었으며, *는 물+알콜군과 비교하여 p<0.05, **는 p<0.001을 나타냄.
< 실험예 5>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이 간기능 장해 임상지표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이 간기능 장해 임상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혈중 AST, ALT, r-GTP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5-1> 혈중 AST 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AST는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에 있는 아미노기(-NH2)를 알파케토글루타르산(α-ketoglutaric acid)의 카르보닐기(C=O)에 전이시켜 아스파르트산은 옥살 아세트산(oxaloacetic acid)으로,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은 글루타민산으로 변하게 한다. 간세포막 인지질의 산화에 의해 세포막이 손상될 때 간 세포 내에 있는 AST가 혈액으로 분비되므로 혈중 AST는 간 손상 지표로 이용되며 이때에 glucose 신생저하에 의해 에너지가 충분히 생성되지 않아 전신 권태, 피로 등의 임상증상과 NADH/NADPH/글루타티온의 생성저하에 의한 세포 및 신체의 기능저하 및 독성이 없는 urea의 생성저하에 의한 암모니아 축적으로 혼수상태 등이 일어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클로렐라-허브 혼합액과 기존 숙취해소제가 간 손상 지표 중 하나인 AST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험예 <2-2>에서 채취한 혈청으로부터 AceChem AST 키트(영동-A301)를 사용하여 혈중 AST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키트는 혈중 AST에 의해 생성된 옥살아세테이트(Oxaloacetate)를 말레이트로 환원시킬 때 감소하는 NADH의 감소량을 340nm 흡광도에서 kinetic으로 측정하여 효소반응식으로 계산하는 원리를 따른다.
준비된 혈청 100㎕에 반응시약 1㎖을 첨가하여 2분 동안 37℃에서 반응시킨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2분 동안 kinetic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코올 섭취군에서는 109.32±4.36(U/L)으로 정상 대조군의 40.07±0.51(U/L)보다 173% 증가하였으며,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은 65.42±1.77(U/L)로 알코올 섭취에 의해 증가된 혈중 AST 농도를 40.16% 감소시켰다. 특히, 혈중 AST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에 있어서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은 기존의 숙취해소제인 C제품, Y제품 및 M제품보다 14% 이상 강력하게 혈중 AST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이 기존의 숙취해소제들(C제품, Y제품, M제품)에 비하여 간 보호효과에서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중 AST 활성의 변화 분석 결과
AST 활성(U/L) AST 증감 (%)
정상 대조군 40.07±0.51 0 -
물+알코올 109.32±4.36 +173 0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알코올 65.42±1.77** - -40.16
C제품+알코올 80.74±0.51** - -26.14
Y제품+알코올 84.86±0.88** - -22.37
M제품+알코올 120.52±2.04* - +10.2
ㆍ데이터는 평균±SD(n = 3)로 나타내었으며, *는 물+알콜군과 비교하여 p<0.05, **는 p<0.001을 나타냄.
<5-2> 혈중 ALT 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ALT는 알라닌에 있는 아미노기(-NH2)를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의 카르보닐기(C=O)에 전이시켜 알라닌은 피루브산으로,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은 글루타민산으로 변하게 한다. 간세포막 인지질의 산화에 의해 세포막이 손상될 때 간 세포 내에 있는 ALT가 혈액으로 분비되므로 혈중 ALT는 간 손상 지표로 이용되며 이때에 glucose 신생저하에 의해 에너지가 충분히 생성되지 않아 전신 권태, 피로 등의 임상증상과 NADH/NADPH/글루타티온의 생성저하에 의한 세포 및 신체의 기능저하 및 독성이 없는 우레아의 생성저하에 의한 암모니아 축적으로 혼수상태 등이 일어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클로렐라-허브 혼합액과 기존 숙취해소제가 간 손상 지표 중 하나인 ALT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험예 <2-2>에서 채취한 혈청으로부터 AceChem ALT 키트(영동-A302)를 사용하여 혈중 ALT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키트는 혈중 ALT에 의해 생성된 피루브산을 젖산으로 환원시킬 때 감소하는 NADH의 감소량을 340nm 흡광도에서 kinetic으로 측정하여 효소반응식으로 계산하는 원리를 따른다.
준비된 혈청 100㎕에 반응시약 1㎖을 첨가하여 2분 동안 37℃에서 반응시킨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2분 동안 kinetic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코올 섭취군에서는59.23±3.85(U/L)으로 정상 대조군의 27.99±1.02(U/L)보다 112% 증가하였으며,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은 32.12±0.51(U/L)로 알코올 섭취에 의해 증가된 혈중 ALT 농도를 45.77% 감소시켰다. 특히, 혈중 ALT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에 있어서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은 기존의 숙취해소제인 C제품, Y제품 및 M제품보다 15% 이상 강력하게 혈중 ALT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이 혈중 AST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표 8 참조)와 일치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이 기존의 숙취해소제들(C제품, Y제품 및 M제품)에 비하여 간 보호효과에서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중 GPT(ALT) 활성의 변화 분석 결과
GPT 활성(U/L) 증감 (%)
정상 대조군 27.99±1.02 0 -
물+알코올 59.23±3.85 + 111.6 0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알코올 32.12±0.51** - - 45.77
C제품+알코올 41.84±1.02** - - 29.36
Y제품+알코올 41.25±1.84** - - 30.35
M제품+알코올 64.83±2.70 - + 9.4
ㆍ데이터는 평균±SD(n = 3)로 나타내었으며, *는 물+알콜군과 비교하여 p<0.05, **는 p<0.001을 나타냄.
<5-3> 혈중 r- GTP 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r-GTP는 혈중에 있는 알라닌, 아르파르트산, 글루타민산 등의 AST, ALT의 기질아미노산, 산화를 억제시키는 글루타티온의 구성아미노산인 시스테인, 글리신, 글루타민산, 그리고 모든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아미노산을 간세포의 내부로 수송시키는 중요한 작용을 한다. 간세포막 인지질의 산화에 의해 세포막이 손상될 때 간 세포 내에 있는 r-GTP가 혈액으로 분비되므로 혈중 r-GTP는 간 손상 지표로 이용되며 이때에 glucose 신생저하에 의해 에너지가 충분히 생성되지 않아 전신 권태, 피로 등의 임상증상과 NADH/NADPH/글루타티온의 생성저하에 의한 세포 및 신체의 기능저하 및 독성이 없는 우레아의 생성저하에 의한 암모니아 축적으로 혼수상태 등이 일어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클로렐라-허브 혼합액과 기존 숙취해소제가 간 손상 지표 중 하나인 r-GTP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험예 <2-2>에서 채취한 혈청으로부터 AceChem r-GTP 키트(영동-A319)를 사용하여 혈중 r-GTP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키트는 혈중 r-GTP에 의해 생성되는 p-니트로아닐린의 증가량을 405nm 흡광도에서 kinetic으로 측정하여 효소반응식으로 계산하는 원리를 따른다.
준비된 혈청 500㎕에 반응시약 1㎖을 첨가하여 2분 동안 37℃에서 반응시킨 후 405nm에서 흡광도를 2분 동안 kinetic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코올 섭취군에서는13.43±0.61(U/L)로 정상 대조군의 10.96±0.61(U/L) 보다 22.5% 증가하였으며,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은 10.87±0.53(U/L)으로 알코올 섭취에 의해 증가된 혈중 r-GTP 농도를 19.06% 감소시켰다. 특히, 혈중 r-GTP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에 있어서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은 기존의 숙취해소제인 C제품, Y제품 및 M제품보다 8% 이상 강력하게 혈중 r-GTP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정상대조군의 r-GTP 농도와 비슷한 수준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이 기존의 숙취해소제들에 비하여 간 보호효과에서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중 r-GTP 활성의 변화 분석 결과
r-GTP 활성(U/L) 증감 (%)
정상 대조군 10.96±0.61 - -
물+알코올 13.43±0.61 + 22.5 0
클로렐라-허브 혼합액+알코올 10.87±0.53** - - 19.06
C제품+알코올 12.73±1.37 - - 5.24
Y제품+알코올 13.26±0.75 - - 1.29
M제품+알코올 12.37±1.62 - - 7.87
ㆍ데이터는 평균±SD(n = 3)로 나타내었으며, *는 물+알콜군과 비교하여 p<0.05, **는 p<0.001을 나타냄.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결과들을 통해 클로렐라 제품이 기존의 숙취해소제들에 비하여 강력하게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간 손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는 결과를 얻었으므로 클로렐라 제품이 효과적인 숙취해소제로서 개발의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 실시예 6>
간의 알코올 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알코올이 혈관을 거쳐 간의 문맥을 통해 간으로 유입되면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이하, ‘ADH’라고 함)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산화되고, ADH의 조효소(coenzyme)인 NAD+는 NADH로 환원된다. 이러한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이하, ‘ALDH’라고 함)에 의해 아세테이트로 산화되면서, NAD+로부터 NADH가 생성된다.
ADH와 ALDH의 활성 증가는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축적을 막기 위한 피드백 현상이다. 장기간 알코올을 복용할 경우 간에서 알코올을 분해시키기 위하여 ADH와 ALDH의 활성이 증가하여 나타나며 그렇기 때문에 만성 알코올 중독의 중요한 지표로서 ADH와 ALDH의 활성이 이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장기간(4주)알코올 음용으로 인한 간내 알코올 산화효소(탈수소효소)들의 변화에 대한 클로렐라 과립의 식이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클로렐라-허브 과립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이실험을 진행하였다.
<6-1> 클로렐라 과립의 식이 및 알코올의 투여
8주령 SD 랫트에 일반사료 식이와 물을 음용시킨군(대조군), 클로렐라 과립이 3% 함유된 사료를 제조하여 식이하고 물을 음용시킨군(3% 클로렐라 섭취군), 일반사료 식이와 25% 알코올을 음용시킨군(25% 알코올 섭취군), 및 클로렐라 과립이 3% 함유된 사료를 식이하고 25% 알코올을 음용시킨군(3% 클로렐라 식이 + 25% 알코올 섭취군), 총 네 가지 그룹으로 나누어 4주 동안 식이실험을 진행하였다.
<6-2> 알코올 탈수소효소( ADH ) 활성에 미치는 효과
본 발명자들은 장기간 알코올 섭취 시에 일어나는 만성 알코올 중독의 억제에 미치는 클로렐라 식이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간 내의 ADH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ADH의 측정은 ADH에 의해 n-부탄올이 산화될 때 p-nitrosodiumethylaniline(NDMA)가 환원되어 발색이 감소되는 것을 440nm 흡광도에서 kinetic으로 측정하여 효소반응식으로 계산하는 원리를 따른다.
준비된 샘플 100㎕에 반응시약 1.9㎖를 첨가하여 440nm에서 흡광도를 5분 동안 kinetic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5% 알코올 섭취군에서는 6.97±0.27 (nmol/minmg protein)로 대조군의 4.97±0.97 (nmol/minmg protein)보다 40.2% 증가하였으며, 3% 클로렐라+ 25% 알코올 섭취군은 4.03±0.09 (nmol/minmg protein)으로서 클로렐라의 식이로 인해 간 내 ADH 활성이 정상의 상태로 완전히 감소되었음을 알수있다.
혈중 ADH 활성의 변화 분석 결과
ADH 활성(nmol/minmg protein)
대조군 4.97±0.97
3% 클로렐라 3.64±0.70
25% 알코올 6.97±0.27
3% 클로렐라 + 25% 알코올 4.03±0.09**
ㆍ데이터는 평균±SD(n = 3)로 나타내었으며, **은 25% 알코올 섭취군과 비교하여 p<0.001을 나타냄.
<6-3> 간의 알데하이드 산화효소(탈수소효소) 활성에 미치는 효과
본 발명자들은 장기간 알코올 섭취 시에 일어나는 만성 알코올 중독의 억제에 미치는 클로렐라 식이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간 내의 ALDH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ALDH의 측정은 ALDH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산화될 때 6-methoxy-2-naphthaldehyde가 형광물질인 6-methoxy-2-naphthoic acid로 환원되면서 나오는 형광을 310/360nm 형광도에서 kinetic으로 측정하여 효소반응식으로 계산하는 원리를 따른다.
준비된 샘플 60㎕에 반응시약 2.94㎖를 첨가하여 excitation 310nm/ emission 360nm 에서 형광도를 3분 동안 kinetic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5% 알코올 섭취군에서의 ALDH의 활성은 0.288±0.016 (nmol/minmg protein)로 대조군의 0.224±0.011 (nmol/minmg protein)보다 28.6% 증가하였으며, 3% 클로렐라+ 25% 알코올 섭취군에서의 ALDH의 활성은 0.238±0.010 (nmol/minmg protein)이었다. 이것은 25% 알코올 섭취에 의해 대조군의 것보다 28.6% 증가한 ALDH의 활성이 클로렐라의 식이로 인해 완전히 저해되었음을 의미한다.
혈중 ALDH 활성의 변화 분석 결과
ALDH 활성(nmol/minmg protein)
대조군 0.224±0.011
3% 클로렐라 0.194±0.039
25% 알코올 0.288±0.016
3% 클로렐라 + 25% 알코올 0.238±0.010**
ㆍ데이터는 평균±SD(n = 3)로 나타내었으며, **은 25% 알코올 섭취군과 비교하여 p<0.001을 나타냄.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장기간 알코올 섭취로 인해 일어나는 만성 알코올 중독에서 클로렐라의 섭취가 알코올 중독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클로렐라 추출물; 및
    솔잎, 뽕잎, 보리순, 호박, 가시오가피, 쑥, 어성초, 신선초, 익모초, 민들레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종 이상의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2. 클로렐라의 건조분말; 및
    솔잎, 뽕잎, 보리순, 호박, 가시오가피, 쑥, 어성초, 신선초, 익모초, 민들레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종 이상의 허브 건조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클로렐라 40 ~ 70 중량부, 솔잎 9 ~ 18 중량부, 뽕잎 4.5 ~ 10.5 중량부, 보리순 3 ~ 6 중량부, 호박 3 ~ 6 중량부, 가시오가피 1.5 ~ 3 중량부, 쑥 1.5 ~ 1.5 중량부, 어성초 1.5 ~ 3 중량부, 신선초 1.5 ~ 3 중량부, 익모초 1.5 ~ 3 중량부, 민들레 1.5 ~ 3 중량부 및 산수유 1.5 ~ 3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분말은 10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분말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진쑥, 발아현미, 쇠미름, 황버섯 및 참깨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종 이상의 추출물 또는 건조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활성, 혈중 pH를 증가시키는 활성 및 혈중 젖산 농도를 감소시키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중의 AST, ALT 및 r-GTP 농도를 감소시키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DH)의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10.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00106314A 2010-10-28 2010-10-28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371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314A KR101371143B1 (ko) 2010-10-28 2010-10-28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314A KR101371143B1 (ko) 2010-10-28 2010-10-28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807A true KR20120044807A (ko) 2012-05-08
KR101371143B1 KR101371143B1 (ko) 2014-03-18

Family

ID=4626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314A KR101371143B1 (ko) 2010-10-28 2010-10-28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1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10741A (zh) * 2012-12-22 2013-05-22 潘海燕 用于胃病治疗的药酒
CN104107350A (zh) * 2014-06-30 2014-10-22 胥玲 一种治疗神经性头痛的中药制剂
KR101483592B1 (ko) * 2012-11-20 2015-01-16 대한민국 새싹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6099043A1 (ko) * 2014-12-17 2016-06-23 주식회사 블루텍 숙취해소용 및 간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204B1 (ko) 2020-05-21 2020-11-18 최복남 당뇨병 또는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용 김치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053A (ko) * 2005-04-19 2005-05-19 김영근 현미 및 각종영양재료를 주제로한 식사대용식품
KR20070013965A (ko) * 2005-07-26 2007-01-31 김화란 클로렐라(chlorella)100%원말을 주원료로 한 건강기능식품(생식)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592B1 (ko) * 2012-11-20 2015-01-16 대한민국 새싹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3110741A (zh) * 2012-12-22 2013-05-22 潘海燕 用于胃病治疗的药酒
CN104107350A (zh) * 2014-06-30 2014-10-22 胥玲 一种治疗神经性头痛的中药制剂
WO2016099043A1 (ko) * 2014-12-17 2016-06-23 주식회사 블루텍 숙취해소용 및 간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143B1 (ko) 201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483B1 (ko) 발효 청미래덩굴 잎 및 이의 추출물
KR101371143B1 (ko)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US20110052732A1 (en) Mineral absorption accelerator and iron deficiency anemia improver of food composition
KR101919839B1 (ko)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093998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KR100976241B1 (ko) 알코올분해 및 숙취해소용 돌나물 분획물
KR101819026B1 (ko) 제주도 자생식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 손상 억제, 알코올 흡수 억제 또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JP2006014730A (ja) 食品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00003045A (ko) 천일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KR20130130131A (ko) 흑마늘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403320B2 (ja) 天然抽出物より得られた脱顆粒抑制剤、β−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抗アレルギー剤および抗炎症剤
KR100977076B1 (ko)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조성물
KR101391647B1 (ko) 항비만 조성물
KR100540498B1 (ko) 아스타잔틴 및 아스파라긴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KR101725261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 분해 효능과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621205B1 (ko) 옻 추출물, 장수버섯 추출물 및 고정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EP2052728B1 (en) Hypoglycemic composition containing component originating in the bark of tree belonging to the genus acacia
KR101074348B1 (ko) 녹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KR20180013603A (ko) 천연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520985B1 (ko) 아스타잔틴 및 아스파라긴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KR100505764B1 (ko)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20060035921A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CN117547578A (zh) 一种降尿酸及治疗痛风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20141377A (ko) 울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