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076B1 -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7076B1 KR100977076B1 KR1020080019251A KR20080019251A KR100977076B1 KR 100977076 B1 KR100977076 B1 KR 100977076B1 KR 1020080019251 A KR1020080019251 A KR 1020080019251A KR 20080019251 A KR20080019251 A KR 20080019251A KR 100977076 B1 KR100977076 B1 KR 1009770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helicobacter
- composition
- bokbunja
- schisandra chinensi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YEFOAORQXAOVJQ-UHFFFAOYSA-N wuweizischun A Natural products C1C(C)C(C)(O)CC2=CC(OC)=C(OC)C(OC)=C2C2=C1C=C(OC)C(OC)=C2OC YEFOAORQXAOVJQ-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41001092459 Rubus Species 0.000 title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5000008422 Schisandra ch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41000589989 Helicobacter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40000006079 Schisandra ch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2038 ethyl acetate fra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0287 crude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description 9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6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
- YEFOAORQXAOVJQ-RZFZLAGVSA-N schisandrol a Chemical compound C1[C@H](C)[C@@](C)(O)CC2=CC(OC)=C(OC)C(OC)=C2C2=C1C=C(OC)C(OC)=C2OC YEFOAORQXAOVJQ-RZFZLAGV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618264 Rubus corean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590002 Helicobacter pylor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9
- 229940037467 helicobacter pylori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65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736075 Schisandra Species 0.000 abstract 1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abstract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4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10000001156 gastric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16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108010046334 Ure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469 ethano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3743 erythr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29940093499 ethyl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9439 ethyl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5931 haemagglut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8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08000005718 Stomach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08000007107 Stomach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08000000718 duodenal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06010017758 gastr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01000005917 gastric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01000011549 stomach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07882 Gast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XSQUKJJJFZCRTK-UHFFFAOYSA-N Urea Chemical compound NC(N)=O XSQUKJJJFZCR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99 antimicrob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194 fractio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1 hydrogen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6150 trypticase soy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06010019375 Helicobacter infec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41001494479 Pecor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5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115 bio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97 bismut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JCXGWMGPZLAOME-UHFFFAOYSA-N bismuth atom Chemical compound [Bi] JCXGWMGPZLAOM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4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4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4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TWRXJAOTZQYOKJ-UHFFFAOYSA-L Magne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208000008469 Peptic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6644 chronic atrophic gast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96 gastr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899 mot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1906 peptic ulc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HELXLJCILKEWJH-NCGAPWICSA-N rebaudioside A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974 tryptic soy brot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08010050327 trypticase-soy broth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3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699684 Meriones unguicul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202 carb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919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3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510 functional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32147 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222 talc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3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3
- YBJHBAHKTGYVGT-ZKWXMUAHSA-N (+)-Biotin Chemical compound N1C(=O)N[C@@H]2[C@H](CCCCC(=O)O)SC[C@@H]21 YBJHBAHKTGYVGT-ZKWXMUAHSA-N 0.000 description 2
- GVJHHUAWPYXKBD-UHFFFAOYSA-N (±)-α-Tocopherol Chemical compound OC1=C(C)C(C)=C2OC(CCCC(C)CCCC(C)CCCC(C)C)(C)CCC2=C1C GVJHHUAWPYXKB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10076119 Cas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2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12 FEMA 460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8522 Gastro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8 Glycyrrhiz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PVNIIMVLHYAWGP-UHFFFAOYSA-N Niacin Chemical compound OC(=O)C1=CC=CN=C1 PVNIIMVLHYAW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82 Palm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30 Pe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1845 Pernicious ana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WCUXLLCKKVVCTQ-UHFFFAOYSA-M Potas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K+] WCUXLLCKKVVCT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HELXLJCILKEWJH-SEAGSNCFSA-N Rebaudioside A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CO)O1)[C@@]1(C)[C@@H]2[C@](C)([C@H]3[C@@]4(CC(=C)[C@@](O[C@H]5[C@H](O[C@H]6[C@H](O)[C@@H](O)[C@H](O)[C@@H](CO)O6)[C@@H](O[C@H]6[C@H](O)[C@@H](O)[C@H](O)[C@@H](CO)O6)[C@H](O)[C@@H](CO)O5)(C4)CC3)CC2)CCC1 HELXLJCILKEWJH-SEAGSNCFSA-N 0.000 description 2
- UIIMBOGNXHQVGW-UHFFFAOYSA-M Sodium bi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OC([O-])=O UIIMBOGNXHQVG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44000228451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WBTYMGEBZUQTK-PVLSIAFMSA-N [(7S,9E,11S,12R,13S,14R,15R,16R,17S,18S,19E,21Z)-2,15,17,32-tetrahydroxy-11-methoxy-3,7,12,14,16,18,22-heptamethyl-1'-(2-methylpropyl)-6,23-dioxospiro[8,33-dioxa-24,27,29-triazapentacyclo[23.6.1.14,7.05,31.026,30]tritriaconta-1(32),2,4,9,19,21,24,26,30-nonaene-28,4'-piperidine]-13-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O[C@H]1\C=C\O[C@@]2(C)Oc3c(C2=O)c2c4NC5(CCN(CC(C)C)CC5)N=c4c(=NC(=O)\C(C)=C/C=C/[C@H](C)[C@H](O)[C@@H](C)[C@@H](O)[C@@H](C)[C@H](OC(C)=O)[C@@H]1C)c(O)c2c(O)c3C ZWBTYMGEBZUQTK-PVLSIAFM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520 agglut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022 amoxicillin Drugs 0.000 description 2
- LSQZJLSUYDQPKJ-NJBDSQKTSA-N amoxicillin Chemical compound C1([C@@H](N)C(=O)N[C@H]2[C@H]3SC([C@@H](N3C2=O)C(O)=O)(C)C)=CC=C(O)C=C1 LSQZJLSUYDQPKJ-NJBDSQKT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429 antifung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1375 antifungal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86 aqueous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23 aqueous fra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2
- FAPWYRCQGJNNSJ-UBKPKTQASA-L calcium D-pantothenic acid Chemical compound [Ca+2].OCC(C)(C)[C@@H](O)C(=O)NCCC([O-])=O.OCC(C)(C)[C@@H](O)C(=O)NCCC([O-])=O FAPWYRCQGJNNSJ-UBKPKTQASA-L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216 calcium 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079 calcium pantothen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18 case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ECPQYXYKAMYBN-UHFFFAOYSA-N casein, tech. Chemical compound NCCCCC(C(O)=O)N=C(O)C(CC(O)=O)N=C(O)C(CCC(O)=N)N=C(O)C(CC(C)C)N=C(O)C(CCC(O)=O)N=C(O)C(CC(O)=O)N=C(O)C(CCC(O)=O)N=C(O)C(C(C)O)N=C(O)C(CCC(O)=N)N=C(O)C(CCC(O)=N)N=C(O)C(CCC(O)=N)N=C(O)C(CCC(O)=O)N=C(O)C(CCC(O)=O)N=C(O)C(COP(O)(O)=O)N=C(O)C(CCC(O)=N)N=C(O)C(N)CC1=CC=CC=C1 BECPQYXYKAMYB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240 cas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AGOYDEPGAOXOCK-KCBOHYOISA-N clarithromycin Chemical compound O([C@@H]1[C@@H](C)C(=O)O[C@@H]([C@@]([C@H](O)[C@@H](C)C(=O)[C@H](C)C[C@](C)([C@H](O[C@H]2[C@@H]([C@H](C[C@@H](C)O2)N(C)C)O)[C@H]1C)OC)(C)O)CC)[C@H]1C[C@@](C)(OC)[C@@H](O)[C@H](C)O1 AGOYDEPGAOXOCK-KCBOHYOI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626 clarithromyc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676 disease causative age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06 disease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ELXLJCILKEWJH-UHFFFAOYSA-N entered according to Sigma 01432 Natural products C1CC2C3(C)CCCC(C)(C(=O)OC4C(C(O)C(O)C(CO)O4)O)C3CCC2(C2)CC(=C)C21OC(C1OC2C(C(O)C(O)C(CO)O2)O)OC(CO)C(O)C1OC1OC(CO)C(O)C(O)C1O HELXLJCILKEWJ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90 ferrous sul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891 ferrous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VBPIULPVIDEAO-LBPRGKRZSA-N folic acid Chemical compound C=1N=C2NC(N)=NC(=O)C2=NC=1CNC1=CC=C(C(=O)N[C@@H](CCC(O)=O)C(O)=O)C=C1 OVBPIULPVIDEAO-LBPRGKRZ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03 gelatin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LPLVUJXQOOQHMX-UHFFFAOYSA-N glycyrrhetinic acid glycoside Natural products C1CC(C2C(C3(CCC4(C)CCC(C)(CC4C3=CC2=O)C(O)=O)C)(C)CC2)(C)C2C(C)(C)C1OC1OC(C(O)=O)C(O)C(O)C1OC1OC(C(O)=O)C(O)C(O)C1O LPLVUJXQOOQH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YRUBYNTXSDKQT-UHFFFAOYSA-N glycyrrhizic acid Natural products CC1(C)C(CCC2(C)C1CCC3(C)C2C(=O)C=C4C5CC(C)(CCC5(C)CCC34C)C(=O)O)OC6OC(C(O)C(O)C6OC7OC(O)C(O)C(O)C7C(=O)O)C(=O)O UYRUBYNTXSDK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949 glycyrrhiz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10 glycyrrhiz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LPLVUJXQOOQHMX-QWBHMCJMSA-N glycyrrhiz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1O[C@@H]1C([C@H]2[C@]([C@@H]3[C@@]([C@@]4(CC[C@@]5(C)CC[C@@](C)(C[C@H]5C4=CC3=O)C(O)=O)C)(C)CC2)(C)CC1)(C)C)C(O)=O)[C@@H]1O[C@H](C(O)=O)[C@@H](O)[C@H](O)[C@H]1O LPLVUJXQOOQHMX-QWBHMCJM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BAUYGSIQEAFULO-UHFFFAOYSA-L iron(2+) sulfat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Fe+2].[O-]S([O-])(=O)=O BAUYGSIQEAFU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359 iron(II)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41476 lactose 100 m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629 magnes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47 magnes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5 malt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9 malt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VQHSOMBJVWLPSR-WUJBLJFYSA-N malt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C@H](O)CO)O[C@H]1O[C@H](CO)[C@@H](O)[C@H](O)[C@H]1O VQHSOMBJVWLPSR-WUJBLJFY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35436 malt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LSQZJLSUYDQPKJ-UHFFFAOYSA-N p-Hydroxyampicillin Natural products O=C1N2C(C(O)=O)C(C)(C)SC2C1NC(=O)C(N)C1=CC=C(O)C=C1 LSQZJLSUYDQPK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40 palm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06 pathogen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LCLHHZYHLXDRQG-ZNKJPWOQSA-N pect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O[C@H](C(O)=O)[C@@H]1OC1[C@H](O)[C@@H](O)[C@@H](OC2[C@@H]([C@@H](O)[C@@H](O)[C@H](O2)C(O)=O)O)[C@@H](C(O)=O)O1 LCLHHZYHLXDRQG-ZNKJPWOQ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904 phospho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10 pick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318 polygalactur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BWHMMNNQKKPAPP-UHFFFAOYSA-L potass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K+].[K+].[O-]C([O-])=O BWHMMNNQKKPAP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6409 proton pump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12 proton pump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180 public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87 pyloru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03 rebaudioside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885 rifabut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FHDHCJBZVLPGP-UHFFFAOYSA-N schardinger α-dextrin Chemical compound O1C(C(C2O)O)C(CO)OC2OC(C(C2O)O)C(CO)OC2OC(C(C2O)O)C(CO)OC2OC(C(O)C2O)C(CO)OC2OC(C(C2O)O)C(CO)OC2OC2C(O)C(O)C1OC2CO HFHDHCJBZVLP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LWIHDJKSTIGBAC-UHFFFAOYSA-K tripotass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K+].[K+].[O-]P([O-])([O-])=O LWIHDJKSTIGBA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24 working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VXPPJIGRGXGCY-DJHAAKORSA-N 6-O-alpha-D-glucopyranosyl-alpha-D-fructofuran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H]1[C@@H](O)[C@H](O)[C@](O)(CO)O1 PVXPPJIGRGXGCY-DJHAAKORSA-N 0.000 description 1
- FHVDTGUDJYJELY-UHFFFAOYSA-N 6-{[2-carboxy-4,5-dihydroxy-6-(phosphanyloxy)oxan-3-yl]oxy}-4,5-dihydroxy-3-phosphanyl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1C(C(O)=O)C(P)C(O)C(O)C1OC1C(C(O)=O)OC(OP)C(O)C1O FHVDTGUDJYJE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275 Autoimmun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3830 Bacillus <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9562 Bruce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THCMJGKKRQCBF-UHFFFAOYSA-N Cellulose, microcrystalline Chemical compound OC1C(O)C(OC)OC(CO)C1OC1C(O)C(O)C(OC)C(CO)O1 PTHCMJGKKRQCB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79 Citrus li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31522 Citrus pyriform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UHFFFAOYSA-N D-Lyxoflavin Natural products OCC(O)C(O)C(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06 Fillers/Extend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99694 Gerbillin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HTTJABKRGRZYRN-UHFFFAOYSA-N Heparin Chemical compound OC1C(NC(=O)C)C(O)OC(COS(O)(=O)=O)C1OC1C(OS(O)(=O)=O)C(O)C(OC2C(C(OS(O)(=O)=O)C(OC3C(C(O)C(O)C(O3)C(O)=O)OS(O)(=O)=O)C(CO)O2)NS(O)(=O)=O)C(C(O)=O)O1 HTTJABKRGRZYR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60003951 Immunoglob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177 Indigofera tinctor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377 Magno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8697 Membrane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2285 Membrane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4000294411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87479 Mycobacterium tuberculo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VBPIULPVIDEAO-UHFFFAOYSA-N N-Pteroyl-L-glutaminsaeure Natural products C=1N=C2NC(N)=NC(=O)C2=NC=1CNC1=CC=C(C(=O)NC(CCC(O)=O)C(O)=O)C=C1 OVBPIULPVIDEA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57297 Pepsin 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284 Pepsin 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1025070 Philophyll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13 Polysorbate 2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84 Rape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SCRDCRAPSA-N Riboflavin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SCRDCRAP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789 Rosa xanthi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222 Ros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651 Rubus glau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34 Rubus glauc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22 Rubus idae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85 Safflower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10073771 Soybean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86 Sunflower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8 Tetracyc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42 Tryps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31 Tryps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779 Vitamin B1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71 Vitamin B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08010046377 Whey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7544 Whey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YBCVMFKXIKNREZ-UHFFFAOYSA-N acoh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CC(O)=O YBCVMFKXIKNR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056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6 aliquo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71 anti-fung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46 anticoagul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7219 anticoagulant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100 anti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7 anti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6639 antige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7433 antige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52 baby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8 be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85 bio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58 bio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16 bio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85 bone marro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098773 bovine serum albu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65 calc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69 calci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7769 calcium carbonate 100 m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27 calcium gluc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7 calcium gluc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494 calcium gluc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FUFJGUQYACFECW-UHFFFAOYSA-L calcium hydrogen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OP([O-])([O-])=O FUFJGUQYACFEC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MKJXYGKVIBWPFZ-UHFFFAOYSA-L calcium lactate Chemical compound [Ca+2].CC(O)C([O-])=O.CC(O)C([O-])=O MKJXYGKVIBWPFZ-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27 calcium lac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86 calcium lac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01 calcium lac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41 calc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NEEHYRZPVYRGPP-UHFFFAOYSA-L calcium;2,3,4,5,6-pentahydroxyhexanoate Chemical compound [Ca+2].OCC(O)C(O)C(O)C(O)C([O-])=O.OCC(O)C(O)C(O)C(O)C([O-])=O NEEHYRZPVYRGP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1 cancer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VKZGUZCCUSVTD-UHFFFAOYSA-N carb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57 carcinoge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83 carcin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63 cell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GVAZMGAQJOSFJ-WZHZPDAFSA-M cobalt(2+);[(2r,3s,4r,5s)-5-(5,6-dimethylbenzimidazol-1-yl)-4-hydroxy-2-(hydroxymethyl)oxolan-3-yl] [(2r)-1-[3-[(1r,2r,3r,4z,7s,9z,12s,13s,14z,17s,18s,19r)-2,13,18-tris(2-amino-2-oxoethyl)-7,12,17-tris(3-amino-3-oxopropyl)-3,5,8,8,13,15,18,19-octamethyl-2 Chemical compound [Co+2].N#[C-].[N-]([C@@H]1[C@H](CC(N)=O)[C@@]2(C)CCC(=O)NC[C@@H](C)OP(O)(=O)O[C@H]3[C@H]([C@H](O[C@@H]3CO)N3C4=CC(C)=C(C)C=C4N=C3)O)\C2=C(C)/C([C@H](C\2(C)C)CCC(N)=O)=N/C/2=C\C([C@H]([C@@]/2(CC(N)=O)C)CCC(N)=O)=N\C\2=C(C)/C2=N[C@]1(C)[C@@](C)(CC(N)=O)[C@@H]2CCC(N)=O AGVAZMGAQJOSFJ-WZHZPDAF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50 conventional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87 cor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85 cor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40 cultured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1 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00 dicalc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5079 dicalcium phosphate anhydrou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37 dichloromethane fra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PWVASYFFYYZEW-UHFFFAOYSA-L dipotassium hydroge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K+].OP([O-])([O-])=O ZPWVASYFFYYZE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84 disinteg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69 docosahexaen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864 duoden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98 duoden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3 eicosapentaen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9 erad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85 fermen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2 fish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04 fo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2 fo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4 fo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6 food col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55 fungi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7 fung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IGCFUFOHFEKBI-UHFFFAOYSA-N gamma-tocopher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1CCC2C(C)C(O)C(C)C(C)C2O1 WIGCFUFOHFEK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7119 gastric acid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69 hepa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897 hep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8358 immunoglob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7275 indigo Drugs 0.000 description 1
- COHYTHOBJLSHDF-UHFFFAOYSA-N indigo powder Natural products N1C2=CC=CC=C2C(=O)C1=C1C(=O)C2=CC=CC=C2N1 COHYTHOBJLSH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78 infectious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1 ino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65 leuk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02 liposo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93 liqu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LNQQNXFFQJAID-UHFFFAOYSA-L magnes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Mg+2].[O-]C([O-])=O ZLNQQNXFFQJAI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95 magnesium 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1 magnes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XCFILQKKLGQFO-UHFFFAOYSA-N methylparaben Chemical compound COC(=O)C1=CC=C(O)C=C1 LXCFILQKKLGQ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AOCPAMSLUNLGC-UHFFFAOYSA-N metronidazole Chemical compound CC1=NC=C([N+]([O-])=O)N1CCO VAOCPAMSLUNLG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282 metronidazole Drug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9355 microbial metalloprotein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12 nicot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68 nicot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4 nicot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54 non-polar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17 nutraceut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36 nutraceutical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72 ovar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1202 peps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98 polar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5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7 poly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7 potass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956 potassium carb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1 potassium carbon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103 potass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64 potass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816 potassium 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8 potass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35 potassium cit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QEEAPRPFLLJWCF-UHFFFAOYSA-K potassium citrat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K+].[K+].[K+].[O-]C(=O)CC(O)(CC([O-])=O)C([O-])=O QEEAPRPFLLJWCF-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82 potassium cit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60 potass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916 potassium phosph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09 potass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9 potent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91 processed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69 prophylac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72 propylene glyc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QELSKZZBTMNZEB-UHFFFAOYSA-N propylparaben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O)C=C1 QELSKZZBTMNZ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15 propylparab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88 punch biops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42 retinol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QGNJRVVDBSJHIZ-QHLGVNSISA-N ret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C(/C)\C=C\C=C(/C)\C=C\C1=C(C)CCCC1(C)C QGNJRVVDBSJHIZ-QHLGVNSI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73 retinyl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0 ret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77 riboflav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13 safflower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3 safflowe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1 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64 seaso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557 sod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30 sod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68 sodium 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2 soy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01941 soy prote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49 soybea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24 soybea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6 spiri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9 stop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00 sunflowe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80 tetracyc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101283 tetracycl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64 tetracycl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522 tetracycl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DPJRMOMPQZCRJU-UHFFFAOYSA-M thiam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C1=C(CCO)SC=[N+]1CC1=CN=C(C)N=C1N DPJRMOMPQZCRJU-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3554 thrombocytope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88 tryp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38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3 vitamin B1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5 vitamin B1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9 vitamin 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3203 vitamin b6 0.5 m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79 wash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19 whey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조성물,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십이지장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십이지장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항 항균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이므로 기존 헬리코박터 필로리와 관련된 질환에 사용된 항생제 등과 달리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고 안전성이 뛰어나다.
오미자, 복분자, 헬리코박터 필로리
Description
본 발명은 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970년대 초 호주의 병리학자 Warren과 Strickland는 위염을 악성빈혈을 동반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인 A형과 병변분포가 A형과 다르고 악성빈혈에서 관측되는 여러 소견이 발견되지 않는 B형으로 분류하였다. 상기 B형 위염 환자의 위점막에는 나선형의 세균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위장병의 원인이 세균일 수 있다는 새로운 학설이 대두되었다. 1982년 Warren과 내과의사인 Marshall이 미생물학자인 Goodwin의 도움으로 이 나선균의 순수분리 및 배양에 성공하였고, 이후 상기 나선균과 위염,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등과의 관계를 확인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Marshall을 비롯한 학자들에 의한 연구 결과, 상기 나선균은 인체에 무해하게 서식하는 정상 세균총의 일원이 아닌 B형 날문방(antral) 위염의 원인균으로서, 병원성 세균임을 확인하였고, 사람의 위 점막에 서식하며 다른 동물이나 인체의 다른 장기에서는 분리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세균은 헬리코박터라는 새로운 속(Genus)으로 분류되었으며, 사람의 위점막에 장기간 서식하면서 만성 위축성 위염, 십이지장궤양, 위궤양을 비롯하여 위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위십이지장 질환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상기와 같은 발견 소화성궤양의 병인론과 발병기전에 대한 이제까지의 개념을 크게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구체적으로, 현재 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는 상부위장관 질환 특히 소화성궤양과 위암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 및 이의 치료 또는 예방에 대한 관심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1994년 IRAC(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및 세계보건기구는 헬리코박터 필로리를 발암인자(class I carcinogen)로 규정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위암의 예방 및 진단과 관련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감염 여부는 매우 중요한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감염 인자를 규명하는 것은 국민 보건을 위하여 중요한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헬리코박터 속에 속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와 유사한 균종은 현재까지 약 20여종이 보고되었으며, 계속하여 헬리코박터 속에 속하는 많은 새로운 균종이 확인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헬리코박터 필로리는 우수한 운동성과 요소분해효소(urease) 생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헬리코박터 필로리는 대장균(E. coli) 보다 약 20배 이상 의 높은 점도에서도 운동성을 나타낼 정도로 강력한 운동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강력한 운동성은 에탄올 등과 같은 몇 가지 화합물 외에는 수소이온 같은 간단한 화합물도 침투하기 어려운 위점액층을 뚫고 들어가 위점막 상피세포의 접합부에 부착하여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우수한 요소분해효소 생성능에 의해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요소분해효소(urea amidohydrolase, EC 3.5.1.5)는 헬리코박터 필로리가 생산하는 단백질 중 약 6%를 차지하며, 상기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요소분해효소는 요소에 대한 친화도가 다른 세균이나 식물의 요소분해효소에 비하여 요소에 대한 친화도가 약 20배 정도 높고, 요소로부터 암모니아를 생성할 수 있어,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서식처인 위점막의 산성을 중화시키기 때문에 위내강의 염산에 의한 공격을 방어하여 위점막에서 서식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한 헬리코박터 필로리 연구회에서 1998년 상부위장관 증상이 없는 사람 5,732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전국 역학조사 결과에 따르면,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률은 전 국민에서 46.6%였으며, 16세 이상의 성인에서 69.4%, 특히 40대에서 78.5%라는 높은 감염률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소화성 궤양 환자 1,031명을 대상으로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위궤양 환자의 66% 및 십이지장궤양 환자의 79%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전체 위 및 십이지장 동반궤양 환자의 71%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현재까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제로 사용된 제제는 Bismuth 제제, Metronidazole 제제, Tetracycline 제제, Amoxicillin 제제, Clarithromycin 제제 및 proton pump inhibitor등이 있다. 이중, 현재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감염을 치료하기 위하여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헬리코박터 필로리 제균 요법은 강력한 위산 분비 억제제인 proton pump inhibitor(PPI)와 상기 항생제 중, Amoxicillin 제제와 Clarithromycin 제제를 함께 사용하는 PPI 삼제 병합요법이다. 상기 PPI 삼제 병합요법은 초창기에는 효과적으로 헬리코박터 필로를 제균하는 것으로 인정받았었다.
그러나 최근 보고에 의하면 상기 PPI 삼제 병합요법에 사용되는 제제에 대한 항생제 내성률의 증가하여, 그 제균율이 감소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항생제 내성률의 증가로 인한 제균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PPI와 Bismuth 제제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이나, Rifabutin bismuth을 함께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PPI와 Bismuth 제제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은 제균 실패율이 높고, 높은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Rifabutin bismuth의 경우 백혈구와 혈소판 감소증과 골수 부작용 및 결핵균에 대한 내성 출현 가능성 등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만성 위축성 위염, 십이지장궤양, 위궤양을 비롯하여 위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위십이지장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가지면서, 기존에 보고된 항균물질과 달리 부작용이 없고 내성이나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지 아니하며, 복용이 용이한 헬리코박터 필로리 항균 조성물에 대한 개발 요구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제외국의 연구 동향과 같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천연물을 위주로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조성물,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십이지장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십이지장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십이지장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십이지장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예로는 식품, 식품첨가제, 음료 또는 음료첨가제를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 활성이 뛰어난 항균 조성물을 인체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식물 유래의 물질로부터 연구하던 중, 오미자 추출물, 특히 흑오미자 추출물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적혈구 응집 저해 활성 즉, 헬리코박터 필로리 부착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감염에 의한 만성 위축성 위염, 십이지장궤양, 위궤양을 비롯하여 위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위십이지장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특히 오미자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오미자 추출물 또는 복분자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이 뛰어나고, 동물실험에 의해 확인한 결과,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미자는 미나리아재비목 목련과에 속하는 낙엽성 목본식물인 오미자나무의 열매로, 오미자는 여러 용도의 한약재 또는 식품용 색소로 사용하거나 기호식품인 오미자차, 오미자술 또는 오미자화채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 오미자는 바람직하게는 북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또는 흑오미자(Schizandra. nigra)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흑오미자일 수 있다. 상기 북오미자는 주로 태백산 지역에서 많이 자생하고 있으며, 상기 흑오미자는 제주도에 자라고 있는 낙엽성 덩굴식물의 열매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흑오미자는 미나리아재비목 목련과에 속하는 낙엽성 덩굴실물의 열매로, 주로 9월에 결실하고, 장과로 둥글며 남흑색으로 익는다(도 1-a 및 도 1-b). 상기 흑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 추출물에 비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 항균활성이 우수하고,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부착억제능이 현저하게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는 장미과의 낙엽 관목으로 복분자딸기, 나무딸기 또는 고무딸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높이는 3미터 정도이고 끝이 휘어져 땅에 닿으면 뿌리가 내리며, 5 내지 6월에 연한 붉은색 꼬치 산방 또는 겹산형 꽃차례로 가지 끝에 피고, 7 내지 8월에 붉은빛이 도는 검은색 열매가 열린다. 복분자열매는 작은 단과가 여러개 모여서 덩어리를 이룬 것으로 원추형의 편압된 구형을 이루고 있으며, 길이는 6 내지 13mm, 지름은 5 내지 12mm이고, 카르본(carvone)산, 당류 및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복분자 열매는 쉽게 부스러져서 작은 알맹이가 떨어지기 쉽고 가벼우며, 냄새가 없고 맛은 시고 달다. 상기 복분자는 바람직하게는 복분자열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조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와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의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수용액,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미자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수용액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각 추출대상에 대한 최적의 용매를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흑오미자의 95%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은 북오미자 95%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에 비하여 약 12.5% 향산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복분자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통상의 육상 식물, 바람직하게는 과실을 추출대상으로 한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또는 열 추출법 등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상기 용매로 추출한 조추출물에 대하여 분획용매를 가한 후,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한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상기 오미자 분획물의 경우, 디클로로메탄 또는 물을 분획용매로 사용한 분획물은 항균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아니한 반면, 에틸아세테이트를 분획용매로 사용한 분획물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 활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수율이 뛰어나고, 조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부착 억제능이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상기 분획과정은 4 ℃ 내지 120 ℃, 바람직하게는 50 ℃ 내지 9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내지 8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 활성과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위점막에 대한 부착 억제능을 고려하면, 오미자 추출물은 흑오미자에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용매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가로 분획하여 제조한 것인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복분자 추출물은 물을 추출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 또는 상기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분획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감압 농축기, 일예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일예로 동결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하기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흑오미자 건조 분말에 95% 에탄올을 1:1(w/v) 내지 1:5(w/v)의 비율로 혼합하고 5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에서 1 시간 내지 12 시간, 바람직하게는 3 시간 내지 5 시간 동안 추출하여 조추출액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과정을 1 내지 3회 반복 수행하여 조추출액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수득한 조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조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오미자 건조 분말은 오미자를 유수를 이용하여 씻어내고 건조한 후에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득한 오미자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상기 수득된 조추출액을 농축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오미자 조추출물은 분말형태로 사용하거나 상기 분말을 에탄올 수용액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상기 조추출액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하기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분자 건조 분말에 물을 1:1(w/v) 내지 1:5(w/v)의 비율로 혼합하고 5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에서 1 시간 내지 12 시간, 바람직하게는 3 시간 내지 5 시간 동안 추출하여 조추출액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과정을 1 내지 3회 반복 수행하여 조추출액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수득한 조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조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분자 건조 분말은 복분자를 유수를 이용하여 씻어내고 건조한 후에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득한 복분자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상기 수득된 조추출액을 농축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오미자 조추출물은 분말형태로 사용하거나 상기 분말 을 에탄올 수용액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 및/또는 복분자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에 의해 수득된 조추출물이거나 상기 분획용매에 의해 수득된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균조성물이란 항미생물제를 총칭하는 의미인 항생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고, 항진균제, 살균제, 방부제, 보존제 또는 제균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위십이지장 질환의 원인이 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발육과 생활 기능을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항균조성물에 포함된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의 함량은 중량비를 기준으로 7 : 3 내지 9.9 : 0.1, 바람직하게는 8.5 : 1.5 내지 9.5 : 0.5, 더욱 바람직하게는 8.75 : 1.25 내지 9.25 : 0.75, 가장 바람직하게는 8.9 : 1.1 내지 9.1 : 0.9일 수 있다.
상기 항균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중량%일 수 있으나, 상기 항균조성물의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조성물은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 외에 당질, 단백 질, 지질, 비타민류 및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질, 단백질, 지질, 비타민류 또는 미네랄류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당질은 벌꿀, 덱스트린, 수크로오스, 팔라티노스, 포도당, 과당, 물엿, 당알콜(sugar alcohol), 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일 수 있고 상기 단백질은 카제인(casein), 유청 단백질(whey protein) 등의 우유 유래 단백질, 대두 단백질, 이들 단백질의 트립신, 펩신 등의 동물 유래 효소 및 뉴트라아제(neutrase), 알칼라아제(alkilase)에 의한 가수분해물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질은 제1가 포화지방산, 다가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는 해바라기유, 채종유(rapeseed oil), 올리브유, 홍화유(safflower oil), 옥수수유, 대두유, 팜유(palm oil), 야자유 등의 각종 식물 유래 유지, 중쇄 지방산(middle-chain fatty acid), EPA, DHA, 대두유래 인지질, 우유 유래 인지질일 수 있고, 상기 미네랄류는 인산칼륨, 탄산칼륨,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유산칼슘, 글루콘산칼슘, 판토텐산칼슘, 카제인칼슘, 염화마그네슘, 황산제1철, 탄산수소나트륨일 수 있으나, 각각의 예에 의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당질, 단백질, 지질, 비타민류 및 미네랄류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조성물의 항균성이 유지되는 한 상기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함량은 항균성이 유지되는 한 제한되지 아니하고,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대비 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유지하고, 상기 첨가되는 성분에 의한 부작용을 발행시키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상기 유효성분 외에 헬리코박터 필 로리의 살균 목적을 위한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살균 활성이 인정된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성분 또는 첨가제는 조성물의 다른 구성으로 방해될 수 없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항균조성물은 항균 활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목적 및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억제를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생제 또는 상기 헬리코박터 필로리가 원인균인 위십이지장 질환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항균조성물은 위십이지장 질환의 원인이 되는 상기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이 인정되고, 상기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부착 억제능이 인정되어서, 위십이지장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에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위십이지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나 위십이지장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십이지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위십이지장 질환의 원인균인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위 표면에 대한 부착억제능이 인정되고, 복분자 추출물은 헬리코박터리 필로리의 요소분해효소를 저해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항균조성물은 위십이지장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위십이지장 질환이란 위 또는 십이지장 부위에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고 소화성 궤양과 위암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위염, 십이지장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및 위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위염은 바람직하게는 만성 위축성 위염일 수 있다. 헬리코박터 필로리가 발견된 이후로, 상기 위십이지장 질환의 주 원인균은 헬리코박터 필로리로 보고 되어있다. 상기 헬리코박터필로리는 위점막 구체적으로는 상피세포 및 점막층에 주로 결합하여,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위십이지장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원인균인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이 뛰어나거나, 상기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요소분해효소(urease)를 저해하거나 상기 위점막에 대한 부착을 억제할 수 있는 부착억제능이 뛰어난 물질을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십이지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인간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은 인간의 위점막에서만 서식하므로, 상기 위십이지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적용대상은 인간일 수 있다.
상기 위십이지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외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추가성분 즉, 약제학적으로 허용되거나 영양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위십이지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 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키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루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성분들은 상기 유효성분인 항균조성물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위십이지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항균조성물을 0.001 중량%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성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진균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십이지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제화하는 경우,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모두 사용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 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항균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십이지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과립제, 산제, 시럽제, 액제, 현탁제, 정제, 주사제, 주정제, 카타플라스마제(cataplasma), 캅셀제,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등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위십이지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십이지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의 위십이지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 조성물은 상기 항균조성물을 기준으로 할 때, 0.0001 mg/kg 내지 1000 mg/kg으로, 보다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0.01 mg/kg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십이지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항균조성물 이외에 공지의 위십이지장 질환의 억제활성을 갖는 화합물 또는 천연물에 대한 추출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항균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십이지장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함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발명의 식품은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건강기능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g일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 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g이다.
또한, 위십이지장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다른 오미자에 비하여 흑오미자 추출물의 경우,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북오미자 추출물에 비하여 약 15% 정도 향상된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상기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오미자 추출물에 비하여 약 20% 정도 향상된 항균 활성이 인정되어, 두 가지 추출물의 혼합 사용에 의해 항균활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오미자 추출물의 추출 용매의 경우, 적혈구 응집 저해 활성을 통해 확인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을 이용한 분획물은 에탄올 수용액 조추출물에 비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위점막 부착 억제능이 더욱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고,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요소분해효소의 저해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제 동물 실험을 수행한 결과 오미자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우수한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 차단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은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위점막에 대한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부착을 억제하는 부착억제능이 뛰어나며,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요소분해효소를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위십이지장질환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고, 항생제 내성의 문제도 발생시키지 아니하므로, 의약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의 제조
1-1: 추출물 제조
대한민국 춘천 소재 한약상에서 구입한 북오미자를 50℃에서 건조시킨 후 분쇄기(HMF-340, 대한민국)로 분쇄하여 북오미자 분말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주에서 채취된 흑오미자를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하고 분쇄하여 흑오미자 분말을 제조하 였다. 또한, 대한민국 춘천 소재 한약상에서 구입한 복분자를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하고 분쇄하여 복분자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북오미자 분말 2,500g와 95% 에탄올 7,500ml를 혼합하여 70℃에서 4시간동안 3회 반복하여 교반하면서 환류추출한 후, 이 추출액을 Advantec No.1(filter paper, Advantec, USA)로 여과하고 rotary vacuum evaporator(EYELA, 일본)로 감압 농축하여 오미자 추출물 988g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한 오미자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약 40%(solid in extract(g)/raw material(g)X100(%))이었다.
상기 흑오미자 추출물은 북오미자 분말 2,500g 대신에 흑오미자 분말 2,50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복분자 추출물은 북오미자 분말 2,500g 대신에 복분자 분말 2,500g을 사용하고, 95% 에탄올 대신에 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1-2: 분획물 제조
상기 에탄올 조추출물에 대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용매분획과정을 수행하여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탄올 조추출물 500g을 10배의 증류수 즉, 5,000g의 증류수로 치환한 후, 동일한 양의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MC)을 첨가하고 분획하여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을 제조하였고, 물층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와 에틸아세테 이트(ethylacetate, EeOAc)를 첨가하고 분획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물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물 및 분획물은 실험에 사용되기까지 4℃ 냉장고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 활성 측정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의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Paper disc method법과 최소저해농도법(Minimum inhibirory concentration, MIC법)을 이용하였다.
상기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 활성 측정에 사용된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주는 표준균주인 ATCC 43504를 사용하였고, 상기 균주의 배양 배지는 Trypticase Soy Agar(TSA, BBL, Becton Dickinson, USA)와 Trypticase Soy Broth(TSB, BBL, Becton Dickinson, USA)를 사용하였으며, 아가(agar)는 5% sheep blood를 첨가하여 제조하였고, 상기 세포의 배양조건은 혐기적 조건을 유지시켜주기 위하여 10% CO2 배양기(incubator)에서 37℃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기의 습도는 항상 95% 이상으로 유지하였다.
2-1: 오미자 추출물의 항균활성 측정 1(Paper disc method)
헬리코박터 필로리를 상기 5% sheep blood를 첨가한 TSA에서 37℃의 조건으로 48시간 배양시킨 후, colony로부터 백금이를 이용하여 채취한 균주를 TSB에 현 탁하여 1.0×106 cfu/mL의 농도로 희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북오미자 추출물과 흑오미자 추출물을 1mg/disc, 3mg/disc, 5mg/disc의 농도로 각각 멸균된 paper disc(5.0mm diameter and 1.0mm thickness, Whatman AA disc, England)에 흡수시킨 후, 30분 이상 방치하여 휘발시켰다. 상기 균주 희석액 0.1 mL를 5% sheep boold가 첨가된 TSA plate 표면 위에 균일하게 펼쳐서 제조된 헬리코박터 필로리 고체 배양배지 위에 상기 추출물을 분주한 disc를 놓고 37℃의 조건에서 CO2 배양기를 이용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disc 주위의 저해환(inhibition zone)의 직경(mm)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 내지 도 6 및 하기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 에탄올을 같은 부피로 흡수시킨 후, 휘발시킨 disc를 이용하였다.
상기 도 3 및 도 4와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에탄올만을 흡수시킨 대조군은 전혀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아니한 반면, 오미자 추출물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이 인정되었다. 또한, 흑오미자 추출물의 경우,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도 5 및 도 6과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오미자 추출물의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 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에탄올 추출물도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물 분획물의 경우 항균활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2: 오미자 추출물의 항균활성 측정 2(최소저해농도측정법,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최소저해농도측정법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북오미자 추출물의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멸균한 test tube에 TSB를 990μL씩 분주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북오미자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 즉, 3.90μg/mL 내지 2,000μg/mL가 되도록 2배씩 희석하면서 첨가하였다. 미리 배양하여 1.0 × 106 의 농도로 희석한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 10μL를 첨가하여 37℃의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5% sheep blood가 첨가된 TSA에 100μL씩 분주하고 도말한, 후 다시 37℃의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결과, 육안으로 균의 생육이 관찰되지 않는 농도를 MIC로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Paper disc method법과 달리 최소저해농도법의 경우 에탄올 용매를 사용한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사용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최소저해농도가 동일하게 나온 이유는, 표 2 및 도 5와 도 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1mg/disc에서는 항균활성이 뚜렷하지 아니하여 그 차이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최소저해농도보다 과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균활성 차이가 구분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2-3: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의 항균활성 측정(
Paper
disc
method
)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헬리코박터리 필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1의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북오미자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을 각각 북오미자 추출물 1mg/disc, 복분자 추출물 1mg/disc, 오미자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을 0.9mg/disc와 0.1mg/disc의 농도로 각각 멸균된 paper disc(5.0mm diameter and 1.0mm thickness, Whatman AA disc, England,)에 흡수시킨 후, 30분 이상 방치하여 휘발시켰다. 상기 균주 희석액 0.1 mL를 5% sheep boold가 첨가된 TSA plate 표면 위에 균일하게 펼쳐서 제조된 헬리코박터 필로리 고체 배양배지 위에 상기 추출물을 분주한 disc를 놓고 37℃의 조건에서 CO2 배양기를 이용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disc 주위의 저해환(inhibition zone)의 직경(mm)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복분자 추출물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아니한 반면, 오미자 추출물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함께 사용한 경우에는 오미자 추출물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에 비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이 상승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체적으로, 오미자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을 함께 사용한 경우에는, 오미자 추출물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저해환의 크기가 1.5mm 더 크게 나타났고 이는 오미자 추출물의 사용량의 감소를 고려할 때, 약 37%의 항균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복분자 추출물 자체는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크지 아니하나, 오미자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이러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동물실험(in vivo test)을 통한 확인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오미자 추출물의 안정성
오미자 추출물의 열 안정성과 pH 안정성을 하기와 같은 실험방법으로 측정하였다.
3-1: 열 안정성 측정
오미자 추출물의 열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100℃에서 15분, 30분 및 60분 동안 열처리 한 후, 각 온도 별로 1mg/disc, 3mg/disc 및 5mg/disc의 농도로 각각 상기의 멸균된 paper disc(Whatman AA disc, England)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항균력을 측정하였으며, 열 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3mg/disc의 농도로 측정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 처리 기간에 상관없이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상기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열에 매우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열에 의하여 가공하는 경우에도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 활성이 실활 되지 않으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3-2: pH 안정성 측정
오미자 추출물의 pH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오미자 추출물 및 분획물을 0.1N HCl과 0.1N NaOH를 이용하여, pH를 pH 2, pH 4, pH 6 및 pH 8로 조절하고 1시간 동안 처리한 후, 다시 pH인 4로 추출물 및 분획물의 pH를 조절하고 상기 paper disc(Whatman AA disc, England)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항균력을 측정하였으며, pH 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3mg/disc의 농도로 측정한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pH에 상관없이, 상이한 pH로 1시간 동안 처리한 각각의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상기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pH에 매우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오미자 추출물의 낮은 pH(pH 4)가 항균활성의 원인이라는 기존의 예상과 달리 중성인 pH 6 및 pH 8에서도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하게 유지되어,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요소분해효소(urea amidohydrolase, EC 3.5.1.5)에 의해 생성된 암모니아로 인해 중화된 위점막의 헬리코박터 필로리 서식처에서도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오미자 추출물의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의 부착억제 활성 측정
헬리코박터 필로리는 위점막에 부착, 구체적으로 상피세포 및 점막층에 결합과 관련하여, 상기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표면단백질이 위점막의 특정 탄수화물을 인식하여 부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체 내 위벽 부착 억제 실험은 위점막 세포와 탄수화물 조성이 유사한 적혈구를 이용하여, 시험관 내(in vitro) 조건에서 적혈구 응집활성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험 당일 보건소에서 채혈한 A형 혈액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A형 혈액은 헤파린(heparin)을 처리한 후, 4℃ 및 300×g의 조건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제거하고, 침전된 적혈구를 4℃ 및 pH 7.4의 조건에서 PBSE와 현탁하여 가볍게 교반, 세척하고, 상기 조건으로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상층액이 맑아질 때까지 상기 과정을 3회 이상 반복하였고, 원심분리시, 백혈구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층액이 맑아질때까지 제거하였다.
상기에서 배양된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오미자 추출물과 흑오미자 추출물을 0.5 mg/mL의 농도로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방치시킨 후, 상기 PBSE를 이용하여 2%(w/v)의 농도로 희석처리된 적혈구 용액을 헬리코박터 필로리와 동량으로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약하게 교반시켜, 적혈구 응집반응을 수행하였으며, 상기 적혈구 응집반응 결과, 적혈구 응집 여부를 현미경으로 검경하여 그 결과를 관찰하였고, 상기 관찰 결과를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내었다 적혈구 희석액과 헬리코박터 필로리를 혼합한 것을 항응집반응의 positive control로 사용하였고, 균을 첨가하지 않은 적혈구 희석액을 negative control로 사용하였다.
상기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북오미자 추출물과 흑오미자 추출물 모두에서 적혈구 응집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위점막에 대한 부착을 억제할 수 있는 부착 억제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북오미자 추출물의 경우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모두 1 mg/mL의 농도까지는 응집 저해 활성을 보인 반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흑오미자 추출물의 경우, 에탄올 추출물은 1 mg/mL까지 활성을 나타내어 오미자 추출물과 유사한 응집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흑오미자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 북오미자 추출물과 달리 0.25 mg/mL의 농도까지 우수한 적혈구 응집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흑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북오미자 추출물이나 흑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부착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흑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의 경우에는 소량을 첨가하는 경우에도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위점막 부착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헬리코박터 필로리와 관련된 위십이지장 질환의 치료에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시예 5: 동물실험에 의한 오미자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 혼합물의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 억제 효과 측정
상기 복분자 추출물 및 오미자 추출물을 함께 사용할 경우의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감염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사육한 후, 위 아랫부분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Bacterial culture를 통하여 위에 부착되어 있는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의 수를 계수(count)하였으며, 혈청 중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체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위벽의 두께와 세포 증식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5-1: 실험동물의 사육
상기 복분자 추출물 및 오미자 추출물을 함께 사용할 경우의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감염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7주량의 평균체중이 65g 내지 75g의 수컷 몽골리안 저빌(Mongolian gerbil, Meriones unguiculatus, Halan, USA) 11 마리를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빛을 가하는 일정한 명암주기, 21℃ 내지 25℃의 온도 및 45% 내지 65%의 상대습도의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실험동물의 사료는 일반적인 펠렛건조 사료(대한실험동물, 대한민국)를 사용하였고, 사료와 물은 상시로 섭취할 수 있게 하였다.
실험은 총 11마리에 대해 수행하였고, 그 그룹은 하기 표 5와 같이 구분하였다.
상기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의 접종은 헬리코박터 필로리(ATCC 43504)를 Group B에 대하여 2.3 × 109 H.P/ml/마리를 경구투여를 통하여 투입하였다.
또한, 상기 시료의 투여는 사료에 섞어 조제하였다. 상기 조제는 사료 2kg을 믹서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파우더로 만든 후, 상기 실시예 1의 오미자 추출물 3g과 물 1L에 녹인 상기 실시예 1의 복분자 추출물 0.3g과 함께 섞고 반죽을 한 후, 직경 1.5 내지 2 cm 정도의 구형으로 뭉쳐서 75℃에 열풍건조하여 제조하였다.
5-2:
감염여부의
관찰
상기 사육한 실험동물로부터 위를 적출하고, 적출된 큰굽이(Greater curvature)를 따라서 자르고, 양쪽으로 펼쳐 관찰하였다. 헬리코박터 필로리는 주로 위의 날문방(antrum) 부분에 서식하므로, 상기 부위에 염증이 있는 조직이 있는지 여부를 하얀 덩어리가 있는지 여부로 관찰하였다.
상기 적출된 A group 및 B group의 적출된 위를 확인하였으며, 헬리코박터 필로리를 감염시키고 상기 실시예 1의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이 첨가된 사료를 섭취하지 않은 A group과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이 첨가된 사료를 섭취한 B group을 비교예로 하여 육안 관찰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의 혼합물이 첨가된 사료를 섭취시킨 B group은 두 마리의 경우 염증 조직인 하얀 덩어리가 전혀 관찰되지 아니하였고, 한 마리의 경우에만 약간의 염증 조직이 발견되었으나, 적출된 위 전체에서 염증부위가 확인된 비교예인 A group과 비교하면 매우 협소한 부위에서만 감염이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감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3: 균의 배양
상기 사육한 실험동물로부터 적출된 위의 유문(pylorus) 부분에서 채집된 균을 배양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의 감염여부를 확인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적출된 위의 유문 부분에서 직경 1mm의 원형 조직을 A Group의 경우 4회, B Group의 경우 3마리에 대해서 2회 또는 3회를 찍어내어(punch biopsy) 수득한 후, 1 ml의 Brucella broth를 이용하여 균질화(homogenize)하였다. 상기 균질화한 용액을 상기 배지를 이용하여, 점차적으로 1:10000까지 희석시켰다. 상기 희석액 100 μl를 항균 아가배지(Agar plate)에 도말하고, 상기 아가배지를 호기성(microaerophilic) 조건 및 습도가 충분한 37℃의 조건에서 4일간 배양한 후에, 배양된 균 수를 계수하였다. 상기 결과를 표 6 및 도 14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헬리코박터 필로리를 접종하고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된 사료를 투여한 Group B의 경우, Group A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이 검출되었다. 또한, 상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Group A의 colony들은 아주 작고 투명한 colony가 굉장히 많이 관찰되는 반면에, Group B의 colony들은 소량의 colony들이 확인되어 본 발명의 조성물이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즉, 실제 감염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동물실험에서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을 감염시키지 않은 것에 비하여 우수한 결과가 확인되어, 항균활성으로부터 예측되는 범위보다 더 우수한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 저해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5-4: 혈청학적 조사(Serology)
상기 사육한 실험동물로부터 위를 적출하기 위하여 개복한 다음, 위의 적출과 함께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상층액을 수득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항 헬리코박터 필로리 IgG positive 저빌로부터 얻은 혈정을 PBS(pH 7.4)를 포함하는 4% bovine serum albumin으로 1:3200의 비율로 희석하고, 이때 포함된 항 헬리코박터 필로리 IgG의 양을 AI(1.0 arbitrary index)로 정하였다. 상기 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GAP-IgG KIT(Biomerica, USA)를 이용하였다. 상기 키트에 사용된 항원(antigen)은 상기 실시예 2의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의 배양물을 이용하였다.
500 ml의 병에 480 ml의 증류수와 sample diluent concentrate 20 ml을 넣고 혼합하여 상층액을 희석시킨 후, 1L의 병에 980 ml의 증류수를 넣고 20 ml의 wash concentrate를 넣고 혼합하였다. 15 ml 튜브(tube)에 상기 상층액 희석액 5 ml를 넣고 25 μl의 상기 수득한 상층액을 넣어 희석시켰다.
상기에서 제조한 calibrator, control 및 sample을 각 well에 100 μl씩 넣는다. 이후, plastic film으로 덮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시킨 후, 상등액을 버리고 washing solution 300 μl로 3회 세척하였다. 각 well에 0.05% Tween 20이 포함된 PBS를 이용하여 1:1,500으로 희석시킨 HRP-conjugated anti-gerbil IgG 100 μl씩 첨가한 후, plastic film으로 덮고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working solution을 첨가한 후, 어두운 곳에 보관한 후에, 상등액을 버리고 washing solution 300 μl로 3회 세척하였다. 상기 working solution을 100 μl 첨가하고 다시 plastic film으로 덮고 상온에서 10분 동안 방치한 후, stop solution(1N HCl)을 50 μl로 첨가하고, 450 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청 검사 결과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이 포함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Group B에서 검출된 항 헬리코박터 필로리 IgG의 양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지 아니한 Group A 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되어,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경우,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의한 감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이 관찰되었다.
제조예
: 오미자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이용한 제제
제조예 1. 산제의 제조
오미자 추출물 분말 20 mg
복분자 추출물 분말 2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오미자 추출물 분말 10 mg
복분자 추출물 분말 1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캡슐제의 제조
오미자 추출물 분말 10 mg
복분자 추출물 분말 1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액제의 제조
오미자 추출물 분말 20 mg
복분자 추출물 분말 2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오미자 추출물 분말 1000 ㎎
복분자 추출물 분말 1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오미자를 나타낸 사진으로, 도 1A는 북오미자의 사진이고, 도 1B는 흑오미자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과 오미자 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Paper disc method법으로 측정한 사진으로, 상기 도 3의 a는 1mg/disc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고, b는 3mg/disc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고, c는 5mg/disc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Paper disc method법으로 측정한 사진으로, 상기 도 4의 a는 1mg/disc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고, b는 3mg/disc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고, c는 5mg/disc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오미자의 추출용매에 따른 항균활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북오미자의 에탄올 추출물의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Paper disc method법으로 측정한 사진으로, 상기 도 5의 a는 1mg/disc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고, b는 3mg/disc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고, c는 5mg/disc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오미자의 추출용매에 따른 항균활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북오미자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Paper disc method법으로 측정한 사진으로, 상기 도 6의 a는 1mg/disc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고, b는 3mg/disc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고, c는 5mg/disc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열 안정성 측정을 위하여, 100℃에서 열처리한 시간 별로 측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pH 안정성 측정을 위하여, 처리 pH 별로 pH 2, pH 4, pH 6 및 pH 8로 처리한 후의 분획물의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오미자 에탄올 추출물 3 mg/mL 내지 0.1 mg/mL를 첨가한 경우, 적혈구의 혈구응집저해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Control은 북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3 mg/mL 내지 0.1 mg/mL를 첨가한 경우, 적혈구의 혈구응집저해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Control은 북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오미자 에탄올 추출물 3 mg/mL 내지 0.1 mg/mL를 첨가한 경우, 적혈구의 혈구응집저해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Control은 흑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3 mg/mL 내지 0.1 mg/mL를 첨가한 경우, 적혈구의 혈구응집저해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Control은 흑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의 위의 날문방(antrum) 부위에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의한 감염 부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사진으로, 도 13의 a는 헬리코박터 필로리를 감염시키고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을 섭취시키지 않은 A group의 사진이고, b는 헬리코박터 필로리를 감염시키고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을 섭취시킨 B group의 사진으로 붉은 원은 감염 부위로 확인된 부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의 위의 유문(pylorus) 부분에서 채집된 균을 배양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의 감염여부를 확인한 사진으로, 도 14의 a는 헬리코박터 필로리를 감염시키고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을 섭취시키지 않은 A group의 사진이고, b는 헬리코박터 필로리를 감염시키고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을 섭취시킨 B group으로부터 채집된 균을 배양한 사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의 혈액을 채취하여 그 혈액 내에 있는 헬리코박터 면역글로브린의 생성(Ig G) 정도를 해당 Kit 사용하여 확인 된 혈중의 Ig G의 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그림이다.
Claims (6)
- 흑오미자(Schizandra. nigra)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상기 알코올 및 물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조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제조된, 흑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항균 조성물은 복분자(Rubus coreanus)를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 복분자 추출물이, 상기 흑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하여 0.1:9.9 내지 3:7의 중량비(복분자 추출물:흑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 추가적으로 혼합된 것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항균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은 에탄올인 항균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십이지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십이지장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9251A KR100977076B1 (ko) | 2008-02-29 | 2008-02-29 |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9251A KR100977076B1 (ko) | 2008-02-29 | 2008-02-29 |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3619A KR20090093619A (ko) | 2009-09-02 |
KR100977076B1 true KR100977076B1 (ko) | 2010-08-19 |
Family
ID=4130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9251A KR100977076B1 (ko) | 2008-02-29 | 2008-02-29 |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707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6637B1 (ko) * | 2017-01-09 | 2020-01-15 |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 복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KR102576659B1 (ko) * | 2021-10-15 | 2023-09-08 | 주식회사 하람 | 흑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
KR102576662B1 (ko) * | 2021-10-15 | 2023-09-08 | 주식회사 하람 | 흑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해 손상된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40924A (ja) * | 1994-07-28 | 1996-02-13 | Kyowa Yakuhin Kk | 抗菌性薬剤の増強剤 |
-
2008
- 2008-02-29 KR KR1020080019251A patent/KR10097707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40924A (ja) * | 1994-07-28 | 1996-02-13 | Kyowa Yakuhin Kk | 抗菌性薬剤の増強剤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논문1;성신여대 박사학위 논문 |
논문2;한국식품영양학회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3619A (ko) | 2009-09-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9986B1 (ko) |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50040392A (ko) |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 |
KR101614574B1 (ko) | 탱자 발효물에 의한 비만개선효과물질의 조성 | |
KR20100003046A (ko) | 천일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
TWI734322B (zh) | 用於預防或治療幽門螺旋桿菌相關疾病之韓國泡菜 | |
KR100977076B1 (ko) |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조성물 | |
JP5409439B2 (ja) | コウゾ抽出物を含む免疫機能強化用組成物 | |
KR102230517B1 (ko) |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 |
KR20180042936A (ko) | 치마버섯 분리 균사체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 |
WO2007007994A1 (en) |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 |
KR102133473B1 (ko) | 고구마 줄기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 |
KR102064516B1 (ko) | 꾸지뽕 잎 추출물, 꾸지뽕 뿌리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
KR102210092B1 (ko) |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mg505 를 포함하는 조성물 | |
KR20180006612A (ko) |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조절,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20067467A (ko) |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962893B1 (ko) |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074348B1 (ko) | 녹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 |
KR20220057839A (ko) | 곤드레 착즙액을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 | |
KR20150019739A (ko) | 항암 치료 후 부작용 완화를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 |
KR101074347B1 (ko) | 녹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 |
KR20190037014A (ko) |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 |
KR100996617B1 (ko) | 녹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 |
KR102302047B1 (ko) |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 |
KR101700606B1 (ko) |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 |
RU2793287C2 (ru) | Кимчи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связанных с helicobacter pylori заболевани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