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046A - 천일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일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046A
KR20100003046A KR1020080063144A KR20080063144A KR20100003046A KR 20100003046 A KR20100003046 A KR 20100003046A KR 1020080063144 A KR1020080063144 A KR 1020080063144A KR 20080063144 A KR20080063144 A KR 20080063144A KR 20100003046 A KR20100003046 A KR 20100003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extract
composition
antimicrobial
antimicrobi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6621B1 (ko
Inventor
마승진
김인철
강성국
김학렬
천길용
정재천
홍희철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3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6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3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6Ir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일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 조성물,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충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충치의 주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하여, 충치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
천일염, 꾸지뽕나무, 충치

Description

천일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A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SUN-DRIED SALT AND AN EXTRACT OF CUDRANIA TRICUSPIDATA}
본 발명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금의 주요성분은 염화나트륨(NaCl)으로, 상기 염화나트륨은 동물에게 생리적으로 필수 불가결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염화나트륨은 체내 특히 체액에 포함되어, 체액의 삼투압을 조정하고, 염화나트륨의 구성 성분인 나트륨은 인산과 결합하여, 완충물질로서 체액의 산염기 평행을 유지하고, 쓸개즙, 이자액 또는 장액 등의 알칼리성 소화액을 구성하고, 신경자극 전달 물질로 작용하며, 염화나트륨의 또 다른 구성성분인 염소는 위액을 구성한다.
일상 생활에서 식품의 맛을 내는 조미료로 사용되는 소금은 그 구성성분이 상기와 같이 동물의 생리활성 및 생명유지와 밀접하게 관련된 작용을 하므로, 소금섭취가 결필되면 단기적인 경우에는 소화액의 분비가 부족하게 되어 식욕감퇴가 일어나고, 장기적인 경우에는 전신 무력·권태·피로나 정신불안 등이 일어나며, 체 내에서 급격한 염분의 손실이 일어나게 되면 현기증·무욕·의식혼탁·탈력 등 뚜렷한 육체적 및 정신적 기능상실이 일어난다.
한편, 치과 의학상 충치, 치은염 및 치주염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강질환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병할 수 있다. 상기 원인은 전신적인 원인 및 국소적인 원인으로 나눌 수 있는데, 보다 중요한 원인은 국소적인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소적인 원인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구강 내에 상주하는 세균 즉, 병원성 미생물이다.
한편, 자연계에는 수 만 종에 이르는 미생물들이 각종 생태계에 폭 넓게 서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미생물들은 여러 질병 및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사람의 구강 내에는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약 300 여종의 미생물이 치아표면, 치근부의 치아와 잇몸사이, 혀의 표면 등에 상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미생물의 존재는 적절한 구강위생 활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정상적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적절한 구강위생 활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한 미생물 중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충치, 구취, 치은염 또는 치주질환 등 각종 구강질환이 야기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치아를 상실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구강 내에 상주하는 병원성 미생물의 발효작용에 의해 치아에 부착된 음식찌꺼기의 당분이나 전분 등의 탄수화물이 분해 되어 생기는 젖산이 치아 경조직의 석회를 탈각시켜 충치가 발생할 수 있고, 혐기성 병원균체들이 대량 증식하는 경우 다양한 구강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내에 상주하는 병원성 미생물은 치아표면에 부착하여 몇 시간만 지나면 치태라고 하는 세균군집을 형성하고 증식하게 되며, 처음에는 눈에 보이는 치은 상부의 치아 표면에 집중적으로 병원성 미생물이 부착하여 치태를 형성하지만, 점차 진행되면 치은하부에 있는 치아표면에도 치태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치태가 치아표면에서 형성될 경우, 상기 병원성 미생물은 구강 내에 들어온 당분을 이용하여 산을 생산하고 이 산은 치아의 주성부인 무기질을 탈회시킴으로써 치아가 파괴되는 충치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치은하부 치태에 있는 세균들 중 특히 혐기성 그람음성 미생물들은 독소, 단백질 분해효소 등을 분비하여 치주조직을 직접 파괴하거나 우리 몸의 면역세포들과 반응함으로써 다양한 면역물질의 생산을 유도하고 이들 물질이 치주조직의 염증과 파괴를 초래할 수 있다.
치아나 치주조직은 한번 파괴되면 치료는 될 수 있지만, 원래의 조직상태로 복구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있고, 따라서 이들 국소원인의 대표적 요인인 병원성 미생물이 구강 내에서 번식하는 과정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구강질환을 예방 또는 신속히 치료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강질환을 유발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생물로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eptococcus mutans), 포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등이 있다.
특히,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eptococcus mutans)는 충치발생의 원인균으로, 다양한 구강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 스(Steptococcus mutans)의 생육과정 중 생성되는 글루칸과 젖산(lactic acid)은 치아의 에나멜질을 파괴하고 프라그를 생성하여 충치를 유발시킨다.
따라서, 종래 상기 미생물들에 대한 살균 및 정균작용을 갖는 항생제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항균제제가 충치, 치주질환 또는 치은염 등의 억제 및 치료제로써 개발되어 왔다. 종래부터 사용되어오는 물질은 소디움 구리 클로로필린, 소디움 플로라이드 또는 벤즈에토니움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불소와 염소성분이 함유된 합성물, 안식향산(benzoic aicd) 등을 포함하는 방향족 카르복시산, 알라토인, 초산 토코페롤, 항플라스민제 또는 항생제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불소와 염소성분이 함유된 합성물의 경우에는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문제되고 있으며, 항생제의 경우 설사, 구토 등을 포함한 신체 전반에 대한 전신적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구강 내 내성균의 출현 및 균교대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사용이 곤란하여 단지 치료제만으로 이용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술요법이나 기계적 요법에 의한 치료의 경우, 치료가 용이하지 아니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수술요법이나 기계적 요법에 비하여 그 예방 또는 치료가 용이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항생제와 같이 내성이나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어지지 아니하며, 불소와 염소성분이 함유된 합성물과 같이 부작용도 문제되지 아니하는 천연물질 유래의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3면이 바다여서, 해양자원이 풍부한 우리나라의 지리적 환경을 고려하여, 해양 천연물질로부터 구강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 는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금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예로는 식품, 식품첨가제, 음료 또는 음료첨가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충치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어서, 충치를 예방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특히, 해양 천연물 유래 물질을 연구하던 중, 꾸지뽕나무 추출물이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특히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과 천일염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 또는 천일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항균활성이 현저하게 상승할 뿐만 아니라,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다른 식물 추출물과 천일염을 함께 사용하거나 꾸지뽕나무와 정제염 또는 간수 등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항균 활성이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금은 공업용이 아닌 식용으로 사용가능한 모든 유형의 소금을 의미하는 것으로, 천일염, 암염, 꽃소금, 구운 소금, 죽염 및 정제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일염은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 들여 바람과 햇빛으로 수분만 증발시켜 만든 가공되지 않은 소금을 의미하며, 굵고 반투명한 육각형의 결정을 가지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천일염에는 칼슘, 마그네슘, 아연, 칼륨, 철 등의 많은 미네랄(무기질)이 풍부하고, 수분이 많기 때문에 주로 채소나 생선 등을 절이거나, 김치를 담그거나, 간장 또는 된장 등의 장류를 제조할 때 사용된다. 천일염은 흡습성이 높아 잘 굳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밀폐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상기 천일염은 바람직하게는 천일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염화나트륨 함량이 75 내지 95 중량%이고, 칼슘 함량이 0.1 내지 0.3 중량%이며, 칼륨 함량이 0.15 내지 0.45 중량%이고, 마그네슘 함량이 0.4 내지 2.0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 함량이 80 내지 90 중량%이고, 칼슘 함량이 0.11 내지 0.22 중량%이며, 칼륨 함량이 0.2 내지 0.35 중량%이고, 마그네슘 함량이 0.6 내지 1.5 중량%인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 함량이 82.5 내지 88 중량%이고, 칼슘 함량이 0.13 내지 0.18 중량%이며, 칼륨 함량이 0.25 내지 0.33 중량%이고, 마그네슘 함량이 0.7 내지 1.2 중량%일 수 있으며, 추가로 망간(Mn), 철(Fe), 구리(Cu), 아연(Zn) 및 스트론튬(Sr)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염화나트륨 함량은 82.5 내지 88 중량%, 바람직하게 83 내지 8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84 내지 86 중량%일 수 있고, 상기 칼슘 함량은 0.13 내지 0.18 중량%, 바람직하게 0.14 내지 0.16 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칼륨 함량은 0.25 내지 0.33 중량%, 바람직하게 0.27 내지 0.3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29 내지 0.31 중량%일 수 있고, 상기 마그네슘 함량은 0.7 내지 1.2 중량%, 바람직하게 0.8 내지 1.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9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뽕나무과의 낙엽 소교목 관목으로, 굿가시나무라고도 한다. 상기 꾸지뽕나무는 주로 한국의 황해도 이남지역, 구체적으로 전남·전북·경남·경북·충남 및 황해도 지역, 일본 및 중국에 분포한다. 가지에 가시가 있고, 잎은 3갈래로 갈라진 것과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달걀 모양인 것이 있으며, 뿌리는 황색이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고, 5 내지 6월에 두상꽃차례를 이루며 피고, 열매는 수과이며 9월에 붉은 색으로 익는다.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고, 종이 원료로도 쓰인다.
본 발명은 소금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소금은 식용으로 사용가능한 모든 유형의 소금을 의미하고, 꾸지뽕나무 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다른 종류의 소금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된 항균활성을 발휘하므로, 상기 소금은 바람직하게는 천일염일 수 있다.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이용한 식물 추출물일 수 있으며, 추출용매에 의해 수득된 추출물이거나 분획용매에 의해 수득된 분획물일 수 있다.
추출대상인 상기 꾸지뽕나무는 줄기, 잎, 뿌리, 꽃 및 열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줄기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50% 내지 100%의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극성용매와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와 같은 유기용매,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의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또는 열 추출법 등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이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 또는 상기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분획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 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감압 농축기, 일예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일예로 동결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꾸지뽕나무의 줄기를 건조하고 마쇄하여 건조시료를 제조한 후, 상기 건조시료를 에탄올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추출하여 조추출액을 얻은 후에, 상기 조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득한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상기 수득된 추출액을 농축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분말형태로 사용하거나 상기 분말을 증류수 또는 통상의 용매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균 조성물이란 항미생물제를 총칭하는 의미인 항생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고, 항균제, 살균제, 방부제, 보존제 또는 제균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충치의 원인이 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의 발육과 생활 기능을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 즉, 소금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0.001 내지 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9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항균 조성물의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지뽕나무 추출물에 비하여 상기 소금의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짠맛이 너무 강해져서 사람들이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상기 소금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함량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1:1 내지 1:50(소금:꾸지뽕나무),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1:3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소금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 외에 당질, 단백질, 지질, 비타민류 및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질, 단백질, 지질, 비타민류 또는 미네랄류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당질은 벌꿀, 덱스트린, 수크로오스, 팔라티노스, 포도당, 과당, 물엿, 당알콜(sugar alcohol), 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일 수 있고 상기 단백질은 카제인(casein), 유청 단백질(whey protein) 등의 우유 유래 단백질, 대두 단백질, 이들 단백질의 트립신, 펩신 등의 동물 유래 효소 및 뉴트라아제(neutrase), 알칼라아제(alkilase)에 의한 가수분해물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질은 제1가 포화지방산, 다가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는 해바라기유, 채종유(rapeseed oil), 올리브유, 홍화유(safflower oil), 옥수수유, 대두유, 팜유(palm oil), 야자유 등의 각종 식물 유래 유지, 중쇄 지방산(middle-chain fatty acid), EPA, DHA, 대두유래 인지질, 우유 유래 인지질일 수 있고, 상기 미네랄류는 인산칼륨, 탄산칼륨,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유산칼슘, 글루콘산칼슘, 판토텐산칼슘, 카제인칼슘, 염화마그네슘, 황산제1철, 탄산수소나트륨일 수 있으나, 각각의 예에 의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당질, 단백질, 지질, 비타민류 및 미네랄류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조 성물의 항균성이 유지되는 한 상기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함량은 항균성이 유지되는 한 제한되지 아니하고,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대비 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항균 활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목적 및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병원성 미생물 감염에 의한 구강질환, 바람직하게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이 원인균인 충치를 포함한 구강질환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소금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은 충치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항균 조성물은 구강질환의 원인균에 의한 구강질환, 일 예로 충치, 치은염 및 치주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 바람직하게는 충치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충치(dental caries)는 치아우식증이라고도 하며, 치아의 조직이 세균에 의해 용해내지 파괴되어 점차 통증을 나타내다가 치아를 잃게 되는 하나의 세균성 질병을 의미한다. 충치의 원인은 치태(dental plaque)로서, 이것은 점액이나 탈락한 잇몸의 세포들, 그리고 세균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점착성이 강하여 치아 표면에 잘 부착되어 양치질이나 칫솔질로는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 치태에는 그물모양의 구조 내에 충치를 유발하는 세균이 섞여 있는데, 상기 세균 중 충치의 원인균으로 밝혀져 있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은 치태 내에서 유기산을 생성하며,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의해 생성된 산은 치아의 에나멜질을 용해하여 충치를 유발한다. 따라서, 상기 충치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항균활성이 있는 물질을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식물에 대응하는 생물군으로 주로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섭취하며, 소화나 배설 및 호흡기관이 분화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척추동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포유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포유류는 인간, 돼지, 소 또는 염소 등일 수 있다.
상기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외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추가성분 즉, 약제학적으로 허용되거나 영양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키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루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 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성분들은 상기 유효성분인 항균 조성물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항균 조성물을 0.001 중량%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성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균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제화하는 경우,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항균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 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형태로는 치약, 구강세정제, 국소 투여제(크림, 연고, 드레싱 용액, 분무제, 기타 도포제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국소 투여제의 제형의 일예로는, 유효성분인 항균 조성물 또는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로 만든 거즈 등의 담체에 함침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크림 또는 연고의 경우, 치주병 환부나 그 주위에 직접 도포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상기 분무제의 경우, 유효성분으로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분무제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압축용기나 기타 분무용기에 충전포장하여 충치 부위에 수시로 분무도포하여 충치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상기 드레싱 용액의 경우, 유효성분으로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드레싱 용액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충치 부위에 드레싱이나 기타 세균 감염부위의 드레싱에 사용하여 충치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 과립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리모나데제, 산제, 시럽제, 안연고제, 액제, 에어로솔제,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 연고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전제, 침제, 점안제, 정제, 좌제, 주사제, 주정 제, 캅셀제, 크림제, 환제,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등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의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항균 조성물을 기준으로 할 때, 0.0001 mg/kg 내지 1000 mg/kg으로, 보다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0.01 mg/kg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항균조성물 이외에 공지의 충치 억제활성을 갖는 화합물 또는 식물 추출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항균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예로는 식품, 식품첨가제, 음료 또는 음료첨가제를 들 수 있다.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그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함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며, 바람직하게는 껌 또는 캔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캔디,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아이스크림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 비타민 복합제, 알코올 음료, 주류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충치의 예방 또는 개선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할 수 있는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g이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본 발명의 항균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001 내지 15 중량부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항균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내지 18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내지 12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충치의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에 있어 서, 상기 항균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의 경우 식품 전체의 부피 100 ml 를 기준으로 0.001 g 내지 50 g, 바람직하게는 0.01 g 내지 10 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조성물의 예로는 치약류, 바람직하게는 치약, 양치용액, 구강세척제, 치약크림 또는 로렌지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조성물이 치약류인 경우, 유효성분으로 항균조성물을 포함하는 외에, 연마제, 점결제, 보습제, 발포제, 감미료, 미백제 또는 향미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로는 수산화알루미늄, 무수규산, 규산알루미늄, 제2인산칼슘 2 수산화물 및 무수물, 제3인산칼슘, 탄산칼슘, 피로인산칼슘,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제3인산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등을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통상 20 중량% 내지 90중량%일 수 있으나, 상기 함량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강 위생 조성물이 페이스트상 조성물일 경우에는 상기 점결제는 가라기닌, 각종 점증용 셀룰로오스 유도체, 잔탄검, 트라가칸트 검(tragacanth gum) 등의 검류, 폴리비닐 알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아크릴산/말레인산 공중합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등의 합성 고분자 유도체 등의 유기계 점결제와 실리카, 라포나이트 등의 무기계 점결제 등을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결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통상 0.3 중량% 내지 5 중량%일 수 있으나, 상기 함량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구강 위생 조성물에는 그 제조시 보습제로 솔비톨,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테르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강 위생 조성물에는 향료 또는 감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수크로즈, 락토오즈, 말토오즈, 솔비톨, 크실리톨, 나트륨시클라메이트, 글리세린, 사카린나트륨,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 등일 수 있고, 상기 향료는 페퍼민트, 멘톨, 아네톨, 오이게놀, 리모넨, 시트로네놀, 알파터피네올, 살리실메틸, 시네올, 리나롤, 에틸리나롤, 바닐린, 티몰, 스피아민트유, 세지유, 로즈마리유, 계피유 등일 수 있으며, 상기 감미제 또는 향료는 단독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조성물에는 발포성분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나 추가 효능성분이 단독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포성분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조성물이 치약인 경우에는, 유효성분으로 항균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치약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 의 구강 위생 조성물이 양치용액인 경우에는 통상적인 용액제에 항균조성물을 혼합하고 양치용액으로 제형화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하루 2 내지 10회 구강을 세척함으로써 구강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조성물이 치약크림인 경우에는, 물과 보습제를 포함하는 액체, 겔화제 또는 수불용성 광택제, 감미료, 향료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조성물이 구강 세척제인 경우에는, 치약 담체, 보다 상세하게는 비독성 알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이용한 식물 추출물일 수 있으며, 추출용매에 의해 수득된 추출물이거나 분획용매에 의해 수득된 분획물일 수 있다. 추출대상인 상기 꾸지뽕나무는 줄기, 잎, 뿌리, 꽃 및 열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줄기일 수 있으며, 상기 추출용매는 물, 50% 내지 100%의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극성용매와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와 같은 유기용매,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의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또는 열 추출법 등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고 충치의 원인이 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 즉,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0.001 내지 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9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항균 조성물의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항균 활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목적 및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병원성 미생물 감염에 의한 구강질환, 바람직하게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이 원인균인 충치를 포함한 구강질환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균조성물은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충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충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일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조성물은 충치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있으므로, 충치에 대한 우수한 예방 또는 치료용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항생물질과는 천연물질인 천일염 또는 천연물질인 꾸지뽕나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부작용 등이 문제되지 아니하고, 우리나라 서해안 특히, 전라남도에서 풍부하게 생산되는 천일염과 우리나라에서 풍부하게 서식하는 꾸지뽕나무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경제적으로도 유리하여 산업적으로 그 효과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천일염의 분석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1. 소금의 분석
실험에 사용한 국내산 천일염은 전라남도 증도에서 생산된 것을 구입하였고, 시약급 정제염은 시그마(Sigma Co., USA)에서 구입하였다. 상기 수득한 국내산 천일염과 정제염의 미네랄 성분을 분석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천일염과 정제염을 0.1% 질산용액에 용해한 후, 염이 없는 순수한 물로 정용하여 여과하고, 성분 분석 대상 원소별 농도를 고려하여, 일정 농도로 희석하여 실험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제조된 실험용액을 이용하여 미네랄 성분 및 그 함량을 원자흡광기(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Spectra AA 220Fs, Varian Co., 호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원자흡광기를 이용한 분석은 상기 천일염 또는 정제염을 포함하는 시료에 질산 및 과염소산을 부피비를 기준으로 4:1로 혼합한 혼합액 20ml를 가하고 100℃에서 가열 분해한 후, 암모니아 를 이용하여 중화시키고, 질산용액을 이용하여 분석 대상 원소에 부합하는 농도로 희석하여 원자흡광기에서 각각의 성분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Ca(ppm) K(ppm) Mg(ppm) Sr(ppm) Mn(ppm) Fe(ppm) Cu(ppm) Zn(ppm)
천일염 1429 3067 9797 98.6 4.1 17.6 0.18 0.19
정제염 <20 <50 <5 <5 <5 <10 <5 <5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천일염은 정제염보다 매우 높은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칼슘, 칼륨 및 마그네슘의 경우, 천일염은 정제염에 비하여 현저하게 많은 함량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2.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제조
실험에 사용한 꾸지뽕나무는 전라남도 화순군 한약시장에서 2006년 5월에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석류, 감태 및 정향은 각각 전라남도 화순군 한약시장 및 전라남도 목포시 전일한약도매상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구입한 꾸지뽕나무는 줄기만을 분리한 후, 실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킨 다음, 마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한 꾸지뽕나무 줄기에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쇄한 꾸지뽕나무 줄기 분쇄물 10g에 95% 에탄올 500 ml를 가하여 하루 동안 상온에서 추출하여 조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조추출액 을 여과하여, 수득한 여액을 감압증발기를 사용하여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득한 각 에탄올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고(deep freezer)에서 -20℃로 보관하였다. 상기 꾸지뽕나무 줄기 분쇄물 10g으로부터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 0.94 g을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석류, 감태 및 정향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한편, 실험에 사용한 천일염은 전라남도 신안군 (주) 태평소금에서 수득하였으며, 간수(분말)는 전라남도 신안군 태평염전에서 수득하였고, 정제염(NaCl 99.9%)은 성수과학(대한민국)에서 구매하였다.
실시예 2: 천일염 또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항균활성 실험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천일염, 간수 및 정제염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의 충치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 균주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USA)에서 분양하는 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를 사용하였다. 상기 균주의 배양은 BHI(Brain Heart Infusion, Bacto사, USA)배지 및 anaerobic jar(BBL사, USA)를 이용하여 Gas pack system에서, 37℃의 조건으로 48시간 동안 전 배양을 행하였으며, 상기 전 배양을 마친 균주를 접종균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1: 천일염, 간수 및 정제염의 항균활성 비교
천일염, 간수 및 정제염의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생육 저해 효과는 IC50 값 측정법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상기 IC50 값은 미생물 발육 50% 저해농도(50%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를 도출하는 항미생물 활성 검정 지표로, 충치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항균활성을 미생물과 각종 시료를 함께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후 UV spectophotometer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균체의 생존량을 측정함으로써, 항균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천일염, 간수 및 정제염을 9㎎/㎖, 18㎎/㎖, 45㎎/㎖ 및 90㎎/㎖의 농도로 BHI 배지에 첨가하여 배지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소금이 첨가된 배지혼합액을 5㎖ Test tube에 각각의 농도별로 2㎖씩 분주하고 121℃에서 15분간 멸균하였다. 상기 멸균시킨 후에, 상온에서 방냉시킨 배지혼합액에 상기 전 배양한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를 각각 20㎕씩 분주하였다.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를 분주한 배지혼합액을 37℃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을 수행한 배지혼합액의 620 nm의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UV Spectrophotometer(Genesys 20, Thermo 사,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된 흡광도를 이용하여 천일염, 간수 및 정제염의 농도별 항균활성도를 확인한 후, 각 미생물이 50% 생육저해되는 시료의 농도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상기 시료의 저해율은 각 농도별로 측정한 흡광도를 하기 계산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상기 계산식 1에 의해 측정된 각 농도별 저해율을 이용하여 성장곡 선의 회귀선(기울기 값)을 구한 후, 상기 기울기 값의 y 절편에 50%를 대입하여 IC50 값을 구하였다.
[계산식 1]
저해율(%) = (Control - 각 농도별 흡광도값) / Control x 100
[표 2]
시료명 IC50 값(mg/mL)
천일염 32.0
간수 100.8
정제염 72.1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충치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하여 천일염이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IC50 값 측정결과, 천일염의 항균활성은 간수의 항균활성의 약 300% 이상이고, 정제염의 항균활성의 약 225%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충치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항균활성의 측면에서 충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후보 물질로 천일염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2: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항균활성 비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생육 저해 효과도 상기 실시예 2-1의 IC50 값 측정법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1㎍/㎕, 10㎍/㎕, 100㎍/㎕ 및 500㎍/㎕의 농도로 DMSO(Dimethylsulfoxide, Sigma, USA)에 녹인 후, 미리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BHI 배지 1970㎕에 각 농도별로 10㎕씩 첨가하여 배지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이 첨가된 배지혼합액 1980㎕에 상기 전 배양한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을 각각 20㎕씩 분주하였다.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를 분주한 배지혼합액을 37℃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을 수행한 배지혼합액의 620 nm의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UV Spectrophotometer(Genesys 20, Thermo 사,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된 흡광도를 이용하여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의 생육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석류, 감태 및 정향 추출물과 인공합성 항생제인 benzoic aicd를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상기 측정된 흡광도를 이용하여 각각의 시료의 농도별 항균활성도를 확인한 후, 각 미생물이 50% 생육저해되는 시료의 농도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
시료명 IC50 값(mg/mL)
실험예 꾸지뽕나무 추출물 4.8
비교예 석류 추출물 2.6
감태 추출물 3.2
정향 추출물 4.9
benzoic acid 1.1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충치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하 여 강한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석류 및 감태와 유사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정향보다는 우수한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천연물인 아닌 인공합성 항생제인 benzoic aicd와 비교한 결과 약 25%의 항균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어, 충치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꾸지뽕나무 추출물도 충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천일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항균활성 실험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충치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이 확인된 물질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항균활성의 시너지효과(synergy effect)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균활성이 있는 물질의 조합에 대해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천일염 및 정제염와 꾸지뽕나무 추출물, 석류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정향 추출물을 혼합한 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보다 상세하게,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18㎎/㎖ 농도의 천일염과 정제염을 BHI 배지에 첨가하여 배지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배지혼합액을 121℃에서 15분간 멸균하였다. 상기 멸균시킨 후에, 상온에서 방냉시킨 배지혼합액 1990㎕에 상기 실시예 1의 식물 추출물 1mg을 용해시킨 10㎕의 DMSO를 첨가하고, 상기 전 배양한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를 각각 20㎕씩 분주하였 다.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를 분주한 배지혼합액을 37℃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을 수행한 배지혼합액의 620 nm의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UV Spectrophotometer(Genesys 20, Thermo 사,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항균활성을 갖는 물질의 조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물질 소금 또는 식물추출물만을 각각 첨가하고, 나머지 성분은 동량의 배지를 첨가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된 흡광도를 이용하여 천일염 및 정제염과 식물추출물 혼합액의 각 조합별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항균활성은 아무런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 상기 전 배양한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를 20㎕씩 분주하고, 37℃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620 nm의 파장에서의 측정한 흡광도를 기준(100%)으로 각 시료 조합의 항균활성을 % 값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표 4에 기재된 수치의 단위는 상기 %이다.
[표 4]
소금만 첨가 꾸지뽕나무 석류 감태 정향
식물추출물만 첨가 - 10.4 19.2 15.6 10.2
천일염 9.8 68.3 15.5 21.8 10.7
정제염 2.8 25.6 12.5 12.2 0.5
상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충치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하여 소금과 꾸지뽕나무를 조합하는 경우, 현저한 항균활성의 증가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상기 소금 또는 식물추출물만 첨가한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 2에서 확인된 결 과와 거의 유사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한편, 항균활성이 가장 우수한 식물 추출물인 석류 추출물의 경우, 소금과 함께 처리하는 경우 오히려 항균활성이 감소되는 한편, 감태 추출물 또는 정향 추출물의 경우 약간의 항균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정제염을 첨가하는 경우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식물 추출물에서 항균활성이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에, 꾸지뽕나무와 소금을 함께 첨가하는 경우 다른 식물 추출물과 달리 현저하게 항균활성이 상승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꾸지뽕나무 추출물과 정제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산술적으로 계산되는 항균활성의 약 200%에 가까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꾸지뽕나무 추출물과 천일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산술적으로 계산되는 항균활성의 약 350% 이상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천일염과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른 식물 추출물 또는 정제염과 함께 사용하는 조합에 비해서 현저하게 증가되는 항균활성이 확인되어, 천일염과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충치의 예방 또는 치료에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결과를 종합해 보면, 소금과 꾸지뽕나무 특히, 천일염과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인공 항균제 등 보다 우수한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항균활성이 인정되어, 현저하게 우수한 충치 등을 포함한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고, 이러한 소금과 꾸지뽕나무는 식자재로 사용된 천연물로부터 수득한 것이며, 특히 천일염은 최근에 식품으로 인정된 것이므로, 기존의 항생제가 가지는 부작용이나 내생균과 관련된 문제도 발생되지 아니하며, 우리나라 서해안 특히, 전라남도는 천일염을 수득할 수 있는 세계 5대 염전에 해당하고, 우리나라 황해도 이남 지역은 꾸지뽕나무의 산지에 해당되므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모두 우리나라에서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는 것이므로 경제적으로도 유익하여 그 산업적 가치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Claims (8)

  1. 소금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은 천일염인 항균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물,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인 항균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함량은 중량부를 기준으로 1:4 내지 1:40(소금:꾸지뽕나무)인 항균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항균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 조성물.
  8.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조성물.
KR1020080063144A 2008-06-30 2008-06-30 천일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046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144A KR101046621B1 (ko) 2008-06-30 2008-06-30 천일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144A KR101046621B1 (ko) 2008-06-30 2008-06-30 천일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046A true KR20100003046A (ko) 2010-01-07
KR101046621B1 KR101046621B1 (ko) 2011-07-05

Family

ID=41813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144A KR101046621B1 (ko) 2008-06-30 2008-06-30 천일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6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150B1 (ko) * 2018-05-25 2019-05-15 장세순 구강 건강 개선을 위한 경구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29308B1 (ko) * 2020-08-04 2021-03-18 주식회사 엘에스과학기술원 항균필터 제조용 수분산 항균액 염수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2606A (ko) * 2020-10-21 2022-04-28 양기령 은행과 도라지를 함유하는 죽염 김부각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36501B2 (ja) 2019-06-03 2021-09-15 株式会社フォーエバー 除菌性食品添加剤およびこれを含む除菌性食品
KR20210059570A (ko) 2019-11-15 2021-05-25 긴미라이 가부시키가이샤 제균용 제품, 제균용 스틱 및 물 저장용 용기
KR102260902B1 (ko) 2019-11-28 2021-06-03 긴미라이 가부시키가이샤 은 제균성 스폰지 양치 기구, 은 제균성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10917A (ko) 2020-07-20 2022-01-27 긴미라이 가부시키가이샤 제균성 사탕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207A (ko) * 2000-09-19 2002-03-27 정중호 분말치약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150B1 (ko) * 2018-05-25 2019-05-15 장세순 구강 건강 개선을 위한 경구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29308B1 (ko) * 2020-08-04 2021-03-18 주식회사 엘에스과학기술원 항균필터 제조용 수분산 항균액 염수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2606A (ko) * 2020-10-21 2022-04-28 양기령 은행과 도라지를 함유하는 죽염 김부각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6621B1 (ko) 201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629B1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997893B1 (ko) 새싹삼의 생리활성효과를 증대시키는 방법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1467316B1 (ko)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KR101046621B1 (ko) 천일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276141B1 (ko)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948044B2 (ja) プラーク形成抑制剤、または抗う蝕菌剤
KR100873180B1 (ko)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0871627B1 (ko) 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68830B1 (ko)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개느삼 추출물
KR20140031512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KR20120133135A (ko) 화마인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아우식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70959B1 (ko)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항만성천식 효과를 지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365352B1 (ko) 오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KR102594674B1 (ko)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863117B1 (ko) 봄맞이 추출물, 정금나무 추출물 및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조성물
KR100977076B1 (ko)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64516B1 (ko) 꾸지뽕 잎 추출물, 꾸지뽕 뿌리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466769B1 (ko) 큰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652465A (zh) 一种植物多肽护理组合物
KR100871628B1 (ko) 비틀대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1630829B1 (ko) 에키나코사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A2496358A1 (en) Hair growth stimulants for oral use
KR20170100369A (ko) 하엽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8